KR102007737B1 - 부유식 구조물 - Google Patents

부유식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737B1
KR102007737B1 KR1020180036706A KR20180036706A KR102007737B1 KR 102007737 B1 KR102007737 B1 KR 102007737B1 KR 1020180036706 A KR1020180036706 A KR 1020180036706A KR 20180036706 A KR20180036706 A KR 20180036706A KR 102007737 B1 KR102007737 B1 KR 102007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er
air
air packing
pile
h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준환
김정
박태윤
신상명
전상배
정성훈
천진솔
최봉균
최정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6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7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4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된다. 부유식 구조물은 선체, 상기 선체의 측면에 설치된 서포터, 일단은 해저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서포터에 연결되는 파일(pile), 내부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질 수 있게, 상기 서포터에 연결되어 상기 파일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에어 패킹, 상기 에어 패킹에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 펌프를 포함하되, 상기 선체는 상기 서포터와 상기 파일의 가이드에 따라 히브 운동(heave motion)을 한다.

Description

부유식 구조물{Floating structure}
본 발명은 부유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원유 또는 천연가스 등의 해양 자원을 채취하기 위하여, 다양한 해양 구조물들이 해상에 건설된다. 이러한 해양 구조물은 해상에 부유하므로 해양 구조물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위치를 고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해양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는 기초를 해저 지반에 설치한다.
해양 구조물을 지지하는 기초는 설치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해저 지반 내에 관입되어 설치되는 기초 파일 또는 앵커는 해저 지반 내로 관입되는 방식에 따라 항타 파일(driven pile), 석션 파일(suction pile), 드래그 앵커(drag anchor) 또는 낙하 앵커(drop anchor or torpedo anchor)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해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해저 지반 내에 관입되는 기초 파일 또는 앵커는 수중에서 설치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파일 또는 앵커가 설치되는 수심 또는 해저 지반의 특성 등에 따라 시공 시간과 비용이 상당히 소요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1-0023607 (공개일: 2011. 03. 0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내부에 공기를 포함하는 에어 패킹을 서포터에 연결하여, 서포터와 파일 사이에 해양 생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유식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유식 구조물의 일 면(aspect)은, 선체, 상기 선체의 측면에 설치된 서포터, 일단은 해저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서포터에 연결되는 파일(pile), 내부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질 수 있게, 상기 서포터에 연결되어 상기 파일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에어 패킹, 상기 에어 패킹에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 펌프를 포함하되, 상기 선체는 상기 서포터와 상기 파일의 가이드에 따라 히브 운동(heave motion)을 한다.
상기 서포터는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서포터 및 제2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패킹은 상기 제1 서포터의 상부와 상기 제2 서포터의 하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에어 패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 패킹은, 상기 제1 서포터의 하부에 연결된 제2 에어 패킹과, 상기 제2 서포터의 상부에 연결된 제3 에어 패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 패킹은, 상기 서포터의 상부에 연결된 상부 에어 패킹과, 상기 서포터의 하부에 연결된 하부 에어 패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 패킹은 상기 서포터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에어 패킹은 플렉서블(flexible)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영역을 확대하여 그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에서 선체의 히브 운동(heave motion)에 따른 에어 패킹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영역을 확대하여 그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C영역을 확대하여 그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영역을 확대하여 그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에서 선체의 히브 운동(heave motion)에 따른 에어 패킹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은 선체(110), 파일(pile)(120), 서포터(130), 에어 패킹(140), 에어 펌프(150) 및 에어 펌프 배관(151)을 포함한다.
파일(120)은 선체(110)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파일(120)은 선체(110)를 관통하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파일(120)은 선체(110)의 측면에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는 선체(110)의 측면에 6개의 파일(120)이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고, 설치되는 파일(120)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는 파일(120)이 원기둥 형상 또는 원통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파일(120)은 선체(110)를 해수면(20)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일(120)의 일단은 해저면(10)에 고정될 수 있고, 파일(120)의 타단은 선체(110)의 측면에 설치된 서포터(13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선체(110)는 해저면(10)에 고정된 파일(120)을 이용하여 해수면(2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에는 파일(120)의 일단이 해저면(10)과 접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파일(120)의 일단은 해저면(10)에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파일(120)의 일단은 해저면(10)에 매립되도록 설치된 앵커(anchor)에 삽입될 수도 있다.
서포터(130)는 선체(110)의 측면에 설치되고, 파일(120)의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선체(110)에 파일(120)을 연결할 수 있다.
도 2에는 하나의 파일(120)에 하나의 서포터(130)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하나의 파일(120)에 2개 이상의 서포터(130)가 연결될 수도 있다.
서포터(130)는 선체(110)를 파일(120)에 고정시켜 선체(110)가 해수면(20) 상에서 수평으로 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서포터(130)는 파일(120)을 따라 파일(120)의 길이 방향 즉, 해수면(20)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선체(110)는 서포터(130)와 파일(120)의 가이드에 따라 히브 운동(heave motion)을 할 수 있다.
즉, 선체(110)가 해수면(20) 상에서 파도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운동하는 경우에, 서포터(130)는 선체(110)를 파일(120)에 고정시킴으로써 선체(110)가 계류 지점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에어 패킹(140)은 서포터(130)의 상부(130a)에 연결되는 상부 에어 패킹(142) 및 서포터(130)의 하부(130b)에 연결되는 하부 에어 패킹(141)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 패킹(140)은 서포터(130)에 연결되어 파일(120)을 감싸도록 설치될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 에어 패킹(141)은 서포터(130)의 하부(130b)에 연결되어 파일(120)의 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하부 에어 패킹(141)은 서포터(130)의 하부(130b)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는 하부 에어 패킹(141)의 형상이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반구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부 에어 패킹(142)은 서포터(130)의 상부(130a)에 연결되어 파일(120)의 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부 에어 패킹(142)은 서포터(130)의 상부(130a)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는 상부 에어 패킹(142)의 형상이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반구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부 에어 패킹(141)의 일단은 파일(120)의 측면과 접할 수 있고, 하부 에어 패킹(141)의 타단은 서포터(130)의 하부(130b)와 접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에어 패킹(142)의 일단은 파일(120)의 측면과 접할 수 있고, 상부 에어 패킹(142)의 타단은 서포터(130)의 상부(130a)와 접할 수 있다.
하부 에어 패킹(141) 및 상부 에어 패킹(142)은 서포터(130)를 밀폐시킴으로 그 내부에 공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부 에어 패킹(141) 및 상부 에어 패킹(142)은 서포터(130)와 파일(120) 사이의 공간에 공기 층을 형성하여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부 에어 패킹(141) 및 상부 에어 패킹(142)은 서포터(130)와 파일(120) 사이에 해양 생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오(antifoul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에어 펌프(150)는 하부 에어 패킹(141) 및 상부 에어 패킹(142)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어 펌프(150)는 서포터(130)에 연결된 에어 펌프 배관(151)을 통해 서포터(130)의 하부(130b)와 하부 에어 패킹(141) 사이의 공간과, 서포터(130)의 상부(130a)와 상부 에어 패킹(142) 사이의 공간과, 서포터(130)와 파일(120) 사이의 공간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에어 펌프(150)가 선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에어 펌프(150)는 서포터(13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는 에어 펌프 배관(151)이 서포터(130)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에어 펌프 배관(151)은 하부 에어 패킹(141) 및 상부 에어 패킹(142) 각각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하부 에어 패킹(141) 및 상부 에어 패킹(142)은 플렉서블(flexible)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하부 에어 패킹(141) 및 상부 에어 패킹(142)은 예를 들어, 고무와 같은 유연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선체(110)가 해저면(10)이 위치한 방향인 제1 방향(D)으로 히브 운동(heave motion)을 하는 경우에, 하부 에어 패킹(141)의 구조적 변형 및 상부 에어 패킹(142)의 구조적 변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체(110)가 제1 방향(D)으로 히브 운동(heave motion)을 하는 경우, 파일(120)과 접하는 하부 에어 패킹(141)의 일단은 파일(120)의 마찰력에 의해 제1 방향(D)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4에 도시된 하부 에어 패킹(141)은 도 3에 도시된 하부 에어 패킹(141)보다 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파일(120)과 접하는 상부 에어 패킹(142)의 일단은 파일(120)의 마찰력에 의해 제1 방향(D)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4에 도시된 상부 에어 패킹(142)은 도 3에 도시된 상부 에어 패킹(142)보다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은 내부에 공기를 포함하는 에어 패킹(240)을 서포터(130)에 연결하여, 파일(120)과 서포터(130) 사이에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서포터(130)와 파일(120) 사이에 해양 생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을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부유식 구조물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영역을 확대하여 그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은 선체(210), 파일(220), 제1 서포터(231), 제2 서포터(232), 에어 패킹(240), 에어 펌프(250) 및 에어 펌프 배관(251)을 포함한다.
선체(210)의 측면에는 파일(22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서포터(231) 및 제2 서포터(232)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서포터(231)는 선체(210)의 하부 측면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서포터(232)는 선체(210)의 상부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서포터(231)는 해수면(20) 아래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서포터(232)는 해수면(20)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에어 패킹(240)은 해수면(20) 아래에 설치되는 제1 서포터(231)에 설치될 수 있다. 해수면(20) 위에 설치되는 제2 서포터(232)의 상부(232a) 및 제2 서포터(232)의 하부(232b)에는 에어 패킹(240)이 설치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해수면(20) 위에 설치되는 제2 서포터(232)의 상부(232a) 및 제2 서포터(232)의 하부(232b)에 에어 패킹(240)이 설치될 수도 있다.
에어 패킹(240)은 제1 서포터(231)의 상부(231a)에 연결되는 상부 에어 패킹(242) 및 제1 서포터(231)의 하부(231b)에 연결되는 하부 에어 패킹(241)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 펌프(250)는 에어 펌프 배관(251)을 통해 제1 서포터(231)의 하부(231b)와 하부 에어 패킹(241) 사이의 공간과, 제1 서포터(231)의 상부(231a)와 상부 에어 패킹(242) 사이의 공간과, 제1 서포터(231)와 파일(220) 사이의 공간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을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부유식 구조물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C영역을 확대하여 그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은 선체(310), 파일(320), 제1 서포터(331), 제2 서포터(332), 제1 에어 패킹(343), 제2 에어 패킹(341), 제3 에어 패킹(342), 에어 펌프(350) 및 에어 펌프 배관(351)을 포함한다.
선체(310)의 측면에는 파일(32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서포터(331) 및 제2 서포터(332)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서포터(331)는 선체(310)의 하부 측면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서포터(332)는 선체(310)의 상부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서포터(331)는 해수면(20) 아래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서포터(332)는 해수면(20)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에어 패킹(343)은 제1 서포터(331)의 상면(331a)과 제2 서포터(332)의 하면(332b)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에어 패킹(343)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에어 패킹(341)은 해수면(20) 아래에 설치되는 제1 서포터(331)의 하면(331b)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에어 패킹(341)은 제1 서포터(331)의 하면(331b)으로부터 돌출된 반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에어 패킹(342)은 해수면(20) 위에 설치되는 제2 서포터(332)의 상면(332a)에 설치될 수 있다. 제3 에어 패킹(342)은 제2 서포터(332)의 상면(332b)으로부터 돌출된 반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에어 펌프(350)는 제1 서포터(331) 및 제2 서포터(332)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 펌프(350)는 에어 펌프 배관(351)을 통해 제1 서포터(331)의 하부(331b)와 제2 에어 패킹(341) 사이의 공간과, 제2 서포터(332)의 상부(332a)와 제3 에어 패킹(342) 사이의 공간과, 제1 서포터(331)와 파일(320) 사이의 공간과, 제2 서포터(332)와 파일(320) 사이의 공간과, 제1 에어 패킹(343)과 파일(320) 사이의 공간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선체 120: 파일
130: 서포터 140: 에어 패킹
150: 에어 펌프 151: 에어 펌프 배관

Claims (6)

  1. 선체;
    상기 선체의 측면에 설치된 서포터;
    일단은 해저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서포터에 연결되는 파일(pile);
    내부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질 수 있게, 상기 서포터에 연결되어 상기 파일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에어 패킹;
    상기 에어 패킹에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 펌프를 포함하되,
    상기 선체는 상기 서포터와 상기 파일의 가이드에 따라 히브 운동(heave motion)을 하는 부유식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서포터 및 제2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패킹은 상기 제1 서포터의 상부와 상기 제2 서포터의 하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에어 패킹을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패킹은,
    상기 제1 서포터의 하부에 연결된 제2 에어 패킹과,
    상기 제2 서포터의 상부에 연결된 제3 에어 패킹을 더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패킹은,
    상기 서포터의 상부에 연결된 상부 에어 패킹과,
    상기 서포터의 하부에 연결된 하부 에어 패킹을 더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패킹은 상기 서포터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을 갖는 부유식 구조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패킹은 플렉서블(flexible)한 구조를 갖는 부유식 구조물.
KR1020180036706A 2018-03-29 2018-03-29 부유식 구조물 KR102007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706A KR102007737B1 (ko) 2018-03-29 2018-03-29 부유식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706A KR102007737B1 (ko) 2018-03-29 2018-03-29 부유식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7737B1 true KR102007737B1 (ko) 2019-08-12

Family

ID=67624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706A KR102007737B1 (ko) 2018-03-29 2018-03-29 부유식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73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3600A (ja) * 1999-12-16 2001-06-26 Tokai Rubber Ind Ltd 液の排出装置
KR20110023607A (ko) 2009-08-31 2011-03-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해양생물 제거장치
KR20140011935A (ko) * 2012-07-20 2014-01-29 홍문표 부유식 발전설비의 해안 정박장치
KR20150133415A (ko) * 2014-05-20 2015-11-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해수 출입구의 수리를 위한 플러깅 장치
KR101785713B1 (ko) * 2016-11-15 2017-11-0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상부유체의 계류시 뒤틀림을 수동적으로 방지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3600A (ja) * 1999-12-16 2001-06-26 Tokai Rubber Ind Ltd 液の排出装置
KR20110023607A (ko) 2009-08-31 2011-03-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해양생물 제거장치
KR20140011935A (ko) * 2012-07-20 2014-01-29 홍문표 부유식 발전설비의 해안 정박장치
KR20150133415A (ko) * 2014-05-20 2015-11-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해수 출입구의 수리를 위한 플러깅 장치
KR101785713B1 (ko) * 2016-11-15 2017-11-0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상부유체의 계류시 뒤틀림을 수동적으로 방지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55383A1 (en) Offshore seabed to surface conduit transfer system
US9428876B2 (en) Multi-suction-pile anchor and flat plate anchor having suction piles
KR102066144B1 (ko) 내부 격벽을 이용한 석션버켓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KR20120065721A (ko) 부유식 구조물의 계류장치
CN205035824U (zh) 一种吸力式悬浮隧道固定装置
CN110185409A (zh) 一种高效加工运输的分离式水下井口吸力锚
CN208266910U (zh) 负压桶
KR20150077559A (ko) 관입식 플레이트형 앵커 및 이의 설치 방법
Huang et al. Geotechnical design of suction caisson in clay
KR102007737B1 (ko) 부유식 구조물
KR20150050618A (ko) 석션 파일
CN104776292A (zh) 一种海底管线浮球式柔性冲刷防护装置
CN103590413B (zh) 一种封堵装置
KR102097958B1 (ko) 계류용 파일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1495572B1 (ko) 다중석션파일 앵커
US3805534A (en) Slide resistant platform anchor conductor silo
CN110685296B (zh) 一种组合式吸力锚及其海底贯入方法
KR102070837B1 (ko) 부유식 구조물
KR101735949B1 (ko) 석션기초를 이용한 이동식 해저지반조사시스템 및 조사방법
CN109610462B (zh) 针对海底管道冲刷灾害的注浆防护方法及其使用的注浆设备
KR101640992B1 (ko) 동적침하량 추정을 통한 파이프라인의 해저안정성 평가방법
KR102128793B1 (ko) 부유식 구조물 및 부유식 구조물의 계류 방법
CN210066693U (zh) 一种装配式筒型基础海上地质勘探平台结构
KR102128795B1 (ko) 부유식 구조물 및 선체 계류용 조립체
CN210798909U (zh) 一种高效加工运输的分离式水下井口吸力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