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634B1 - 수배전반 - Google Patents
수배전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7634B1 KR102007634B1 KR1020190009197A KR20190009197A KR102007634B1 KR 102007634 B1 KR102007634 B1 KR 102007634B1 KR 1020190009197 A KR1020190009197 A KR 1020190009197A KR 20190009197 A KR20190009197 A KR 20190009197A KR 102007634 B1 KR102007634 B1 KR 1020076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ow path
- pair
- fans
- box body
- enclosure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은 배전 기기 및 제어 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기들이 내장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된 외함 본체; 상기 외함 본체의 개방된 상기 일면을 개폐하는 도어부; 상기 외함 본체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 공간과 외기를 소통가능하도록 연통되고, 상기 외함 본체의 내부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팬을 구비하여 상기 외함 본체의 내부를 환기시키는 환기부; 및 상기 한 쌍의 팬을 통한 외부로의 공기 배출경로와 상기 한 쌍의 팬을 경유하는 상기 외함 본체의 내부 순환 경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유로 변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 변경부는, 상기 외함 본체의 상부면의 하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유로 변경부 케이스; 상기 외함 본체의 상부면 중 상기 변경부 케이스의 내측 영역에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 배출구; 상기 외함 본체의 상부면 하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폐 곡선 형상의 격벽을 형성하여 상기 한 쌍의 배출구 사이를 가로지르는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순환유로 격벽; 및 상기 유로 변경부 케이스의 하단에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유로 변경부 케이스 및 상기 순환유로의 하단을 폐쇄하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팬 고정구에 각각 팬을 구비하며, 상기 유로 변경부 케이스의 중심에 위치한 제1 회전축에 연결되고, 제1 위치로 회전하여 상기 한 쌍의 팬이 상기 배출구의 하부에 위치하거나 제2 위치로 회전하여 상기 한 쌍의 팬이 모두 상기 순환유로의 내측 영역에 위치하는 회전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기 및 제습이 가능한 구조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배전반(수전반 및 배전반)은 내부의 고압용 인입구 개폐기, 차단기 등의 기계기구를 관리자만 취급할 수 있도록 금속제 함으로 격납 보호된다. 더욱이, 수배전반은 특고압과 그에 따른 대전류 분위기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수배전반을 취급하는 작업자는 안전 수칙에 따라 작업과 유지관리를 수행해야만 한다. 이와 관련하여 등록특허 제1154009호(2012.05.31)가 제공되어 있다.
하지만, 작업자는 수배전반에 근접하여 각종 계기류의 검침 결과를 기록하거나 수배전반 내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경우에 따라 수배전반의 도어를 열어야만 한다.
또한, 단선, 단락, 지락 등의 사고 발생시 사고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또는 유지보수를 위하여 수배전반 내부의 기계기구를 교체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수배전반의 개폐기나 차단기를 조작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하나 이상의 수배전반에 구비된 많은 개수의 도어들 중 어느 하나 이상 또는 모든 도어들을 열기 위하여 키 묶음이나 키 박스에서 하나 이상의 특정 도어에 대한 해당 키를 찾거나 해당 키를 찾아 일일이 각 도어를 개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외기 환경에 따라 공기 순환의 경로를 변경시킬 수 있는 수배전반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기 환경에 따라 공기 순환의 경로를 변경시킴과 동시에 내부의 공기로부터 제습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은 배전 기기 및 제어 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기들이 내장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된 외함 본체; 상기 외함 본체의 개방된 상기 일면을 개폐하는 도어부; 상기 외함 본체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 공간과 외기를 소통가능하도록 연통되고, 상기 외함 본체의 내부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팬을 구비하여 상기 외함 본체의 내부를 환기시키는 환기부; 및 상기 한 쌍의 팬을 통한 외부로의 공기 배출경로와 상기 한 쌍의 팬을 경유하는 상기 외함 본체의 내부 순환 경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유로 변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 변경부는, 상기 외함 본체의 상부면의 하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유로 변경부 케이스; 상기 외함 본체의 상부면 중 상기 변경부 케이스의 내측 영역에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 배출구; 상기 외함 본체의 상부면 하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폐 곡선 형상의 격벽을 형성하여 상기 한 쌍의 배출구 사이를 가로지르는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순환유로 격벽; 및 상기 유로 변경부 케이스의 하단에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유로 변경부 케이스 및 상기 순환유로의 하단을 폐쇄하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팬 고정구에 각각 팬을 구비하며, 상기 유로 변경부 케이스의 중심에 위치한 제1 회전축에 연결되고, 제1 위치로 회전하여 상기 한 쌍의 팬이 상기 배출구의 하부에 위치하거나 제2 위치로 회전하여 상기 한 쌍의 팬이 모두 상기 순환유로의 내측 영역에 위치하는 회전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제1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 변경부 케이스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제1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에지부에는, 상기 제1 기어부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2 기어와, 제2 기어의 회전 중심이 되는 제2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의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제2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함 본체의 측면 하부 및 상기 도어부의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지점에 상기 상기 외함 본체의 내부 공간과 외기를 소통가능하도록 연통되는 외기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유로 격벽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의 평면상 형상은 중앙측이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제2 위치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팬 중 어느 하나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한 쌍의 팬들을 경유하여 유입되는 외함 본체 내부의 공기로부터 제습하는 제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습부는, 상기 한 쌍의 팬 중 어느 하나의 하부 위치로부터 상기 외함본체의 측벽에 구비되는 습기 배출구멍에 이르는 제2 유로를 형성하는 제2 유로관; 상기 제2 유로관 중 일 지점에서 상기 제2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상기 외함 본체의 내부로 되롤리는 제2 팬; 상기 제2 유로의 유입측과 상기 제2 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유로를 지나는 공기와 접촉하는 방열패드; 및 상기 방열패드의 외측에 부착되어 상기 방열패드를 냉각시키는 펠티어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패드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관의 내측인 제1 면에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유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펠티어 소자의 외측에는 단열부재가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은 회전형 유로 변경부를 구비함으로써 외기의 습도 조건에 따라 공기순환의 경로를 변경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내부의 습도가 일정 이상인 경우 변경된 경로를 따라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제습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하우징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도어부가 오픈된 전면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내측으로부터 상부를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4로부터 회전플레이트를 제거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변경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다른 방향을 잘라본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로변경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모습을 내측에서 상향바라본 저면도와 종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제습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및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도어부가 오픈된 전면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내측으로부터 상부를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4로부터 회전플레이트를 제거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변경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다른 방향을 잘라본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로변경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모습을 내측에서 상향바라본 저면도와 종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제습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및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하우징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도어부가 오픈된 전면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측단면도이다.
제어반 외함(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함 본체(110)와, 도어(115)와 환기부(120)를 포함한다.
외함 본체(110)는 공장 자동화를 위한 배전 기기 및 제어 기기들이 내장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외함 본체(110)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어부(130)는 외함 본체(110)의 개방된 일면을 개폐한다. 도어부(130)에는 배전반 또는 제어반의 제어나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15)가 구비될 수 있다.
환기부(120)는 외함 본체(110)의 상부면(113)에 구비되어 외함 본체(100)의 내부 공간과 외기를 소통가능하도록 연통되며, 팬 등을 구비하여 외함 본체(110)의 내부를 능동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다.
또한 외함 본체(100)의 측면(110) 하부 및 도어부(130)의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지점에 외함 본체의 내부 공간과 외기를 소통가능하도록 연통되는 외기 유입구(119)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외함 본체(100)의 상단에는 유로 변경부(200)를 구비할 수 있다. 유로 변경부(200)는 외함 본체의 내부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팬을 구비하여 외함 본체의 내부를 환기시키거나, 내부 순환시킨다. 즉, 유로 변경부(200)는 한 쌍의 팬을 통한 외부로의 공기 배출경로와 상기 한 쌍의 팬을 경유하는 외함 본체(100)의 내부 순환 경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게 된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변경부를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내측으로부터 상부를 바라본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4로부터 회전플레이트를 제거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또한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변경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다른 방향을 잘라본 종단면도이다.
유로 변경부(200)는 외함 본체(100)의 상부면의 하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유로 변경부 케이스(201)를 구비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서 살펴보는 경우 원통형의 벽구조를 형성하는 유로 변경부 케이스(201)의 하단을 회전 플레이트(203)가 폐쇄하고 있으며, 회전 플레이트(203)에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의 팬 고정구(2031)가 형성된다. 한 쌍의 팬 고정구(2031)에는 각각 팬(2033)이 구비되어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한다. 한편, 회전 플레이트(210)는 구동부(210) 및 구동부(210)에 연결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회전 플레이트(203)는 유로 변경부 케이스(201) 및 순환유로(SP1)의 하단을 폐쇄하며, 회전 플레이트(203)의 회전 상태에 따라 배출구(1131)를 통하여 외함 본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순환유로(SP1)를 통하여 순환시키게 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배출구(1131)는 외함 본체의 상부면 중 상기 변경부 케이스(201)의 내측 영역에 원형으로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으로 형성된다.
순환유로 격벽(202)은 외함 본체(100)의 상부면(113)의 하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폐 곡선 형상의 격벽을 형성하여 한 쌍의 배출구(1131) 사이를 가로지르는 순환유로를 형성한다.
순환유로 격벽(202)에 의하여 구획되는 순환유로(SP1)의 평면상 형상은 중앙측이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 즉 아령형상 또는 땅콩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 경우는 회전 플레이트(203)가 제1 회전상태로 회전하여 배출구(1131)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함 본체 내부의 공기를 팬(2033)을 작동시킴으로써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 경우는 회전 플레이트(203)가 제2 회전상태로 회전하여 순환유로(SP1)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팬(2033)의 회전 방향을 서로 반대로 작동시키게 되면, 순환 유로(SP1)를 경유하는 순환기류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로변경부를 설명한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로변경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구동부가 회전 플레이트(203)의 외측 모서리 부분에 구비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유로 변경부 케이스(20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일주방향을 따라 제1 기어가 형성된다. 제1 기어는 원형의 랙 기어로서 기능한다.
이 때 회전 플레이트(203)의 에지부에는 제2 구동부(210a), 제2 회전축(2101a) 및 제2 기어부(219)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기어부(219)는 회전 플레이트(203)의 에지부에 원통형 홈(2035)을 형성하고 이에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제2 구동부(210a)와 제2 기어부(219)는 제2 회전축(2101a)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2 구동부(210a)에 의하여 제2 기어부(219)가 회전한다. 제2 기어부(219)가 회전하게 되면, 제2 기어부(219)와 맞물린 제1 기어부(2019)를 따라 제2 기어부(219)가 이동하게 된다. 즉 제2 기어부(219)는 피니언 기어로서 작동하게 되어 회전 플레이트(203)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중앙 회전식 실시예에 비하여 적은 동력으로도 회전 플레이트(203)를 회전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을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모습을 내측에서 상향바라본 저면도와 종단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제습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및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습부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습부는 회전 플레이트(203)의 하부에 구비되어 회전 플레이트(203)가 제2 위치로 회전한 상태에서 한 쌍의 팬 중 어느 하나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한 쌍의 팬들을 경유하여 제습부로 유입되는 외함 본체 내부의 공기로부터 습기를 제거한다. 제습부는 제2 유로관(250), 습기 배출구멍(255), 제습모듈(240) 등을 포함한다.
제2 유로관(250)은 한 쌍의 팬 중 어느 하나의 하부 위치로부터 외함본체의 측벽에 구비되는 습기 배출구멍(255)에 이르는 제2 유로를 형성한다. 제2 팬(259)은 제2 유로관(250) 중 일 지점, 바람직하게는 제2 유로관(250) 중 수직배관(253) 부분에서 제2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외함 본체의 내부로 되롤리도록 회전한다.
제습모듈(240)은 제2 유로관(250), 특히 제2 유로관(250) 중 하향 사선으로 배치된 배관에 구비되어 제2 유로관(25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하고 결로가 발생하도록 한다. 결로가 발생하는 경우 법면을 따라 물기가 흐르게 되고, 제2 유로관(250)의 최저점 부근, 즉 수직배관(253)의 저점에 모이게 된다. 습기 배출구멍(255)은 수직배관(253)의 저점 부근에 위치함으로써 외부로 모인 물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배ㅔ출구멍(255)은 모터 등을 이용하여 능동적으로 물기를 배출할 수도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습모듈(240)은 방열패드(241)와 펠티어 소자(243)를 포함한다.
방열패드(241)는 제2 유로의 유입측과 제2 팬(25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유로를 지나는 공기와 접촉한다. 펠티어 소자(243)은 방열패드의 외측에 부착되어 상기 방열패드를 냉각시킨다. 이 때 방열패드(24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로관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 면에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유로홈(2411)이 형성될 수 있다. 유로홈(2411)은 물기의 이동을 촉진시키고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증가시킨다.
한편, 펠티어 소자(243)는 일면이 냉각되는 경우 타측면은 발열을 하게 된다. 이 때 펠티어 소자(243)의 외측에는 단열부재를 둘러싸도록 구비함으로써 외함 본체 내부의 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100: (수배전반) 외함본체
110: 측벽
113: 외함본체 상면
115: 디스플레이
119: 외기 유입구
120: 환기부
129: 환기구
130: 도어
200: 유로 변경부
201: 유로 변경부 케이스
202 순환유로 격벽
210: 구동부
240: 제습모듈
241: 방열패드
243: 펠티어 소자
250: 제2 유로(관)
255: 습기 배출구멍
259: 제2 팬
1131: 배출구
2101: 제1 회전축
2031: 팬 고정구
2033: 팬
2411: 유로홈
Sp1: 순환 유로
110: 측벽
113: 외함본체 상면
115: 디스플레이
119: 외기 유입구
120: 환기부
129: 환기구
130: 도어
200: 유로 변경부
201: 유로 변경부 케이스
202 순환유로 격벽
210: 구동부
240: 제습모듈
241: 방열패드
243: 펠티어 소자
250: 제2 유로(관)
255: 습기 배출구멍
259: 제2 팬
1131: 배출구
2101: 제1 회전축
2031: 팬 고정구
2033: 팬
2411: 유로홈
Sp1: 순환 유로
Claims (9)
- 배전 기기 및 제어 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기들이 내장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된 외함 본체;
상기 외함 본체의 개방된 상기 일면을 개폐하는 도어부;
상기 외함 본체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 공간과 외기를 소통가능하도록 연통되는 환기부; 및
적어도 한 쌍의 팬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팬을 통한 외부로의 공기 배출경로와 상기 한 쌍의 팬을 차례로 경유하는 상기 외함 본체의 내부 순환 경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유로 변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 변경부는,
상기 외함 본체의 상부면의 하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유로 변경부 케이스;
상기 외함 본체의 상부면 중 상기 변경부 케이스의 내측 영역에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 배출구;
상기 외함 본체의 상부면 하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폐 곡선 형상의 격벽을 형성하여 상기 한 쌍의 배출구 사이를 가로지르는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순환유로 격벽; 및
상기 유로 변경부 케이스의 하단에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유로 변경부 케이스 및 상기 순환유로의 하단을 폐쇄하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팬 고정구에 각각 팬을 구비하며, 상기 유로 변경부 케이스의 중심에 위치한 제1 회전축에 연결되고, 제1 위치로 회전하여 상기 한 쌍의 팬이 상기 배출구의 하부에 위치하거나 제2 위치로 회전하여 상기 한 쌍의 팬이 모두 상기 순환유로의 내측 영역에 위치하는 회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제1 구동부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변경부 케이스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제1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에지부에는, 상기 제1 기어부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2 기어와, 제2 기어의 회전 중심이 되는 제2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의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제2 구동부가 구비되는 수배전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 본체의 측면 하부 및 상기 도어부의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지점에 상기 외함 본체의 내부 공간과 외기를 소통가능하도록 연통되는 외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수배전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 격벽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의 평면상 형상은 중앙측이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배전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제2 위치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팬 중 어느 하나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한 쌍의 팬들을 경유하여 유입되는 외함 본체 내부의 공기로부터 제습하는 제습부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부는,
상기 한 쌍의 팬 중 어느 하나의 하부 위치로부터 상기 외함 본체의 측벽에 구비되는 습기 배출구멍에 이르는 제2 유로를 형성하는 제2 유로관;
상기 제2 유로관 중 일 지점에서 상기 제2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상기 외함 본체의 내부로 되롤리는 제2 팬;
상기 제2 유로의 유입측과 상기 제2 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유로를 지나는 공기와 접촉하는 방열패드; 및
상기 방열패드의 외측에 부착되어 상기 방열패드를 냉각시키는 펠티어 소자;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패드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관의 내측인 제1 면에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유로홈이 형성되는 수배전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펠티어 소자의 외측에는 단열부재가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수배전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9197A KR102007634B1 (ko) | 2019-01-24 | 2019-01-24 | 수배전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9197A KR102007634B1 (ko) | 2019-01-24 | 2019-01-24 | 수배전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07634B1 true KR102007634B1 (ko) | 2019-08-06 |
Family
ID=67612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09197A KR102007634B1 (ko) | 2019-01-24 | 2019-01-24 | 수배전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07634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668720A (zh) * | 2020-06-10 | 2020-09-15 |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 一种配电箱 |
CN111952865A (zh) * | 2020-08-14 | 2020-11-17 |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 一种配电装置和配电设备 |
CN112038902A (zh) * | 2020-10-10 | 2020-12-04 | 国网河南省电力公司社旗县供电公司 | 一种具有透风结构的防潮电力柜 |
CN116488036A (zh) * | 2023-05-16 | 2023-07-25 | 东营市奥能电器成套设备有限公司 | 一种配电箱的通风防尘装置 |
CN116937384A (zh) * | 2023-08-02 | 2023-10-24 | 泰州市润扬电气有限公司 | 一种配电柜通风散热系统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3942Y1 (ko) * | 2006-01-31 | 2006-04-14 | 아이캔두 | 배전반의 환기 장치 |
KR101541852B1 (ko) * | 2014-07-31 | 2015-08-05 | 주식회사 동남종합중전기 | 제습 및 냉각장치가 구비된 변전설비용 보호배전반 |
KR101753837B1 (ko) * | 2016-07-06 | 2017-07-04 | 이인석 | 복합 제습식 수배전반 |
KR20180025497A (ko) * | 2016-08-31 | 2018-03-09 | 주식회사 이천엔지니어링 | 열배출이 가능한 배전반 |
-
2019
- 2019-01-24 KR KR1020190009197A patent/KR10200763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3942Y1 (ko) * | 2006-01-31 | 2006-04-14 | 아이캔두 | 배전반의 환기 장치 |
KR101541852B1 (ko) * | 2014-07-31 | 2015-08-05 | 주식회사 동남종합중전기 | 제습 및 냉각장치가 구비된 변전설비용 보호배전반 |
KR101753837B1 (ko) * | 2016-07-06 | 2017-07-04 | 이인석 | 복합 제습식 수배전반 |
KR20180025497A (ko) * | 2016-08-31 | 2018-03-09 | 주식회사 이천엔지니어링 | 열배출이 가능한 배전반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668720A (zh) * | 2020-06-10 | 2020-09-15 |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 一种配电箱 |
CN111952865A (zh) * | 2020-08-14 | 2020-11-17 |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 一种配电装置和配电设备 |
CN112038902A (zh) * | 2020-10-10 | 2020-12-04 | 国网河南省电力公司社旗县供电公司 | 一种具有透风结构的防潮电力柜 |
CN116488036A (zh) * | 2023-05-16 | 2023-07-25 | 东营市奥能电器成套设备有限公司 | 一种配电箱的通风防尘装置 |
CN116488036B (zh) * | 2023-05-16 | 2024-01-30 | 东营市奥能电器成套设备有限公司 | 一种配电箱的通风防尘装置 |
CN116937384A (zh) * | 2023-08-02 | 2023-10-24 | 泰州市润扬电气有限公司 | 一种配电柜通风散热系统 |
CN116937384B (zh) * | 2023-08-02 | 2024-03-15 | 泰州市润扬电气有限公司 | 一种配电柜通风散热系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07634B1 (ko) | 수배전반 | |
JP3985835B2 (ja) | 電装品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 |
KR101658644B1 (ko) | 바이패스터널을 구비한 전열교환기 | |
KR20150055204A (ko) |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 | |
WO2016136351A1 (ja) | 空気調和機の室外機 | |
US20160131368A1 (en) | Indoor unit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 |
KR20100007803U (ko) | 전동 리니어 디퓨저 | |
KR100760198B1 (ko) | 공기조화기 | |
EP1816408B1 (en) | Conditioning device of the free cooling type | |
EP3370003B1 (en) | Heat exchange ventilation device | |
KR102056712B1 (ko) | 우수유입 방지가 가능한 배전 및 제어반 외함 | |
KR101576217B1 (ko) | 바이패스터널을 구비한 전열교환기 | |
WO2017134744A1 (ja) | 空気調和機の室内機 | |
JP2003139354A (ja) | 空気調和機の室外機 | |
WO2023021655A1 (ja) | ファンの防滴構造 | |
CN215497685U (zh) | 一种隔音电气柜机箱 | |
US11619403B2 (en) | Ceiling-embedded air conditioner | |
RU2797553C2 (ru) | Блок вентиляции для шкафа с электрооборудованием | |
JP7356577B2 (ja) |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 |
JP7374324B2 (ja) | 室内機 | |
KR101963616B1 (ko) | 환기장치 | |
JP7227816B2 (ja) | ダクト装置 | |
EP3699510B1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KR100916768B1 (ko) | 회전형 열교환기 | |
KR100836817B1 (ko) | 천정형 공기조화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