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616B1 -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616B1
KR101963616B1 KR1020170099762A KR20170099762A KR101963616B1 KR 101963616 B1 KR101963616 B1 KR 101963616B1 KR 1020170099762 A KR1020170099762 A KR 1020170099762A KR 20170099762 A KR20170099762 A KR 20170099762A KR 101963616 B1 KR101963616 B1 KR 101963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on flow
flow path
case
air
flow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9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5939A (ko
Inventor
박장희
박한샘
정용기
하도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9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616B1/ko
Publication of KR20190015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5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9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alternatively operating a heat exchanger in an absorbing/adsorbing mode and a heat exchanger in a regeneration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에 공유유로를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유유로를 일측의 제1공유유로 및 타측의 제2공유유로의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배치되고,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작용하는 데시칸트 열교환기와, 스윙되는 동작으로, 상기 제1공유유로로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제1공유유로 공기 흡입부 및 실내로 공기가 토출되는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제2공유유로로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제2공유유로 공기 흡입부 및 실외로 공기가 토출되는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함으로써, 제품의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케이스 내부의 정압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환기장치{Vantil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품의 제조 단가를 줄이고, 내부 압력 손실을 저감시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기장치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하고, 실외의 신선하고 깨끗한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최근에는, 실외 공기를 흡입하고 실내 공기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실내를 제습하거나 가습하도록 하는 환기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48469호(이하, ‘선행기술’이라 함)는, 케이스 내부에 공유유로를 형성하고, 수평 파티션을 이용하여 케이스 내부의 하측과 상측으로 구획한 다음 일측 공유유로 및 타측 공유유로로 구분되도록 데시칸트 열교환기가 설치된다.
선행기술은, 실내의 환기가 필요할 경우에는, 상측 공유유로 또는 하측 공유유로 중 어느 하나의 일측 공유유로 측으로 실내 공기를 흡입한 후 타측 공유유로 측으로 유동시켜 실외로 배기시키고, 상측 공유유로 또는 하측 공유유로 중 다른 하나의 일측 공유유로 측으로 실외 공기를 흡입한 후 타측 공유유로 측으로 유동시켜 실내로 배기시키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선행기술은, 하층에 실내 또는 실외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댐퍼가 4개소에 구비되고, 상층에 실내 또는 실외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댐퍼가 4개소에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선행기술은, 각각의 공기 흡입부 및 토출부에 상응하는 개수의 댐퍼가 구비되어야 하는 한편, 각 댐퍼는 AC모터의 구동력이 링크 전달 구조를 통해 전달됨으로써 구현되는 바 댐퍼의 고장 진단이 어렵고, 댐퍼와 데시칸트 열교환기가 이루는 각도가 수직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내부 정압이 상승하여 결과적으로 보다 큰 용량의 AC모터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48469호
본 발명은, 상층 및 하층으로 구획된 내부 공간으로 실내 공기를 흡입 및 토출시키는 실내측 공기 흡입부 및 공기 토출부와 실외 공기를 흡입 및 토출시키는 실외측 공기 흡입부 및 공기 토출부의 개폐 구조를 간소화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복수개의 공기 토출부 및 공기 흡입부를 DC모터를 이용한 구동 모터를 채용함으로써 고장 진단이 용이한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케이스 내부의 내부 정압의 상승을 방지하여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내부에 공유유로를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유유로를 일측의 제1공유유로 및 타측의 제2공유유로의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배치되고,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작용하는 데시칸트 열교환기와, 스윙되는 동작으로, 상기 제1공유유로로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제1공유유로 공기 흡입부 및 실내로 공기가 토출되는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제2공유유로로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제2공유유로 공기 흡입부 및 실외로 공기가 토출되는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1공유유로에 배치된 제1개폐 유닛과, 상기 제2공유유로에 배치된 제2개폐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회전축을 가지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직결되어 회전되는 회전 가이드와, 상기 회전 가이드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 가이드의 회전과 연동하여 스윙되면서 상기 제1공유유로 공기 흡입부 및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제2공유유로 공기 흡입부 및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시키는 스윙 도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모터는, DC 모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1공유유로 공기 흡입부와 상기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 사이 및 상기 제2공유유로 공기 흡입부와 상기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 사이에 마련된 설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부는, 상기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 및 상기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를 점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에는 실내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토출력을 형성하는 실내 팬이 구비되고, 상기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에는 실외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토출력을 형성하는 실외 팬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가이드는,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도록 수평 연장된 축 연결부와, 상기 축 연결부에 상기 구동 모터의 일부를 감싸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윙 도어 패널이 외주면에 연결된 가이드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 연결부 및 상기 가이드 블록을 포함하는 상기 회전 가이드의 수평 단면 형상은,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가이드의 수평 단면 형상인 부채꼴의 각은, 270도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스윙 도어 패널의 선단부가 스윙되면서 접촉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로 돌출 형성된 유동 가이드가 상기 제1공유유로 및 제2공유유로에 각각 복수개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윙 도어 패널은, 상기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에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스윙되면서 상기 제1공유유로 공기 흡입부 및 상기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되고, 상기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에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스윙되면서 상기 제2공유유로 공기 흡입부 및 상기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내부에 공유유로를 가지되, 수평 파티션에 의해 상기 공유유로가 하층 및 상측으로 구획되고, 하측 공유유로를 포함하는 제1케이스 및 상측 공유유로를 포함하는 제2케이스와, 상기 하측 공유유로 및 상기 상측 공유유로에 각각 배치되되, 각각의 공유유로를 일측의 제1공유유로 및 타측의 제2공유유로의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배치되고, 증발기 또는 응축기로 작용하는 하측의 제1데시칸트 열교환기 및 상측의 제2데시칸트 열교환기와, 스윙되는 동작으로 상기 하측 공유유로의 제1공유유로 및 제2공유유로와, 상기 상측 공유유로의 제1공유유로 및 제2공유유로 각각에 구비된 공기 흡입부 및 공기 토출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는, 회전축을 가지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시 연동하여 회전되는 회전 가이드와, 상기 회전 가이드에 구비되고, 상기 제1공유유로로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제1공유유로 공기 흡입부 및 실내로 공기가 토출되는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제2공유유로로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제2공유유로 공기 흡입부 및 실외로 공기가 토출되는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스윙 도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의 제1공유유로 측 및 제2공유유로 측에 각각 단수개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구동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에 구비된 회전 가이드 각각에 분할하여 전달하되, 상기 제1공유유로 측의 한 쌍의 스윙 도어 패널 및 상기 제2공유유로 측의 한 쌍의 스윙 도어 패널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스윙되어 상기 공기 흡입부 및 공기 토출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회전 분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분할부는, 수평되게 구비된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동축으로 구비된 베벨 기어와, 상기 베벨 기어와 치합되되 상기 베벨 기어의 회전축과 직교되게 회전되고, 상기 제1케이스 측의 상기 회전 가이드에 형성된 제1링기어와, 상기 제2케이스 측의 상기 회전 가이드에 형성된 제2링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1케이스의 제1공유유로에 구비된 스윙 도어 패널이 상기 공기 흡입부를 개방할 때, 상기 제2케이스의 제1공유로에 구비된 스윙 도어 패널이 상기 공기 토출부를 폐쇄하는 제1개폐 유닛과, 상기 제1케이스의 제2공유유로에 구비된 스윙 도어 패널이 상기 공기 흡입부를 폐쇄할 때, 상기 제2케이스의 제2공유유로에 구비된 스윙 도어 패널이 상기 공기 토출부를 개방하는 제2개폐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첫째, 상층 및 하층으로 구획된 내부 공간으로 실내 공기를 흡입 및 토출시키는 실내측 공기 흡입부와, 공기 토출부와 실외 공기를 흡입 및 토출시키는 실외측 공기 흡입부 및 공기 토출부의 개폐 구조를 간소화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둘째, 복수개의 공기 토출부 및 공기 흡입부를 DC모터를 이용한 구동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고장 진단이 용이하다.
셋째, 케이스 내부의 내부 정압의 상승을 방지하여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작동례를 나타낸 하층 및 상층의 각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제1실시예에 따른 개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은 도 3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구성 중 제2실시예에 따른 개폐부를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 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작동례를 나타낸 하층 및 상층의 각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제1실시예에 따른 개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은 도 3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구성 중 제2실시예에 따른 개폐부를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1)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유유로(110,220)를 가지는 케이스(100,200)와, 케이스(100,200)의 내부에 배치되고, 공유유로(110,220)를 일측의 제1공유유로(110A,210A) 및 타측의 제2공유유로(110B,210B)의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배치되고,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작용하는 데시칸트 열교환기(120,220)와, 각 공유유로(110,220)로 실내 또는 실외 공기를 흡입 및 토출시키는 공기 흡입부(101A,101B,201A,201B) 및 공기 토출부(102A,102B,202A,202B)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개폐부(130,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데시칸트 열교환기(120,220)는, 일반적으로 냉매가 유동되도록 구비된 열교환기의 표면에 데시칸트 코팅이 실시된 열교환기를 의미한다.
데시칸트 코팅은,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고, 열을 가할 경우 흡수된 수분을 공기 중으로 방출 시킬 수 있는 재질이며,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소재인 바,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그 명칭 여하에 불구하고, 냉매가 유동되면서 차가워지거나 뜨거워지는 과정 동안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 및 방출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본 발명의 데시칸트 열교환기(120,220)의 범주에 속한다고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케이스(100,20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 형상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공유유로(110A,210A) 및 제2공유유로(110B,210B)를 형성하는 한도에서 여하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공유유로(110,220)는, 케이스(100,200)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공통적으로 갖는 유동로로써의 의미를 가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데시칸트 열교환기(120,220)에 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공유유로(110A,210A)와 제2공유유로(110B,210B)로 구획된다.
제1공유유로(110A,210A)에는, 데시칸트 열교환기(120,220)를 통과시키도록 실내 공기를 공유유로(110,220)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제1공유유로 공기 흡입부(101A,201A)와, 데시칸트 열교환기(120,220)를 통과한 실외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기 위한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1B,201B)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공유유로(110B,210B)에는, 데시칸트 열교환기(120,220)를 통과시키도록 실외 공기를 공유유로(110,220)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1B,201B)와, 데시칸트 열교환기(120,220)를 통과한 실내 공기를 실외로 토출시키기 위한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B,202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공유유로 공기 흡입부(101A,201A),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1B,201B),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1B,201B) 및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B,202B)는 모두 상술한 개폐부(130,230)에 의하여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챔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실내 또는 실외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A,202A) 및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B,202B)에는, 토출 팬(160)이 구비될 수 있다. 토출 팬(160)은, 각각 실내 팬(160A)과 실외 팬(160B)으로 구비되어 공기가 공유유로(110,220)를 통해 유동될 수 있는 유동력을 형성할 수 있다.
실내 팬(160A) 및 실외 팬(160B)은, 후술하겠지만, 개폐부(130,230)가 설치되는 설치부(150,150A,150B)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설치부(150,150A,150B)는,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A,202A) 및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B,202B)를 각각 점하도록 구비되고, 실내 팬(160A)과 실외 팬(160B)은 제1공유유로(110A) 측에 구비된 설치부(150,150A) 및 제2공유유로(110B) 측에 구비된 설치부(150,150B) 각각에 개폐부(130,230)와 함께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술한 케이스(100,200)를 제1케이스(100)라 정의하고, 제1케이스(100)와 동일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케이스(200)(이하, 제1케이스(100)와 구별하기 위하여 ‘제2케이스(200)’라 정의한다)가 제1케이스(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적층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제1케이스(100)에 형성된 각 구성과 제2케이스(200)에 형성된 각 구성들의 구분을 위하여, 제1케이스(100)에 구비된 각 구성 앞에는, ‘하층’이라는 접두어를 사용하고, 제2케이스(200)에 구비된 각 구성 앞에는, ‘상층’이라는 접두어를 사용하기로 한다.
그러나, 반드시 제1케이스(100)가 제2케이스(200)의 하측에 적층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제1케이스(100)가 제2케이스(200)의 상측에 적층 구비되는 것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의 범주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유유로(110,220)를 가지되, 수평 파티션(10)에 의해 상술한 공유유로(110,220)가 하층 및 상측으로 구획되고, 하층 공유유로(110)를 포함하는 제1케이스(100) 및 상층 공유유로(210)를 포함하는 제2케이스(200)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수평 파티션(10)은 별도의 구조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나, 상층 공유유로(210)와 하층 공유유로(110)를 구획하는 한도에서 제1케이스(100) 및 제2케이스(200)의 공통 구성요소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수평 파티션(10)은 제1케이스(100)의 내부 중 천정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제2케이스(200)의 내부 중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는 공통 구성요소로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데시칸트 열교환기(120,220)는, 하층 공유유로(110) 및 상층 공유유로(210)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층 공유유로(110)의 데시칸트 열교환기(120)(이하, ‘하측 열교환기(120)’라 칭하기로 한다)가 증발기로 작용할 경우 상층 공유유로(210)의 데시칸트 열교환기(220)(이하, ‘상측 열교환기(220)’라 칭하기로 한다)는 반드시 응축기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측 열교환기(120)와 상측 열교환기(220)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도록 구비되어야 하고, 하측 열교환기(120)의 냉기 또는 열기가 상측 열교환기(220)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 된다.
다만, 실내 팬(160A)과 실외 팬(160B)은, 제1케이스(100)와 제2케이스(200)가 적층 구비될 경우, 하층에서 실외로 공기를 토출시킬 경우에는 반드시 동일한 챔버에 해당하는 상층 부위는 상술한 개폐부(130,230)에 의하여 폐쇄되고, 하층에서 실내로 공기를 토출시킬 경우에는 반드시 동일한 챔버에 해당하는 상층 부위는 상술한 개폐부(130,230)에 의하여 폐쇄되는 바, 하층 및 상층을 별도로 구분하여 설치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상술한 수평 파티션(10)에 의하여 하층 및 상층의 공유유로(110,220)를 구획하되, 실내 팬(160A)과 실외 팬(160B)이 구비되는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A,202A) 및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B,202B)는 수평 파티션(10)에 의하여 구획될 필요는 없고 상하로 연통되게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하로 연통되게 구비된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A,202A) 및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B,202B)에는 단수개의 실내 팬(160A) 및 실외 팬(160B)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1)의 가능한 작동 모드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1)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는 작동 모드는, 환기모드, 제습모드 및 가습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환기모드는, 도 2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실내공기 중 일부를 실외로 토출시키고,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작동 모드이다.
본 실시예의 환기장치(1)는, 하층 및 상층의 공유유로(110,220)를 통해 실내 공기의 토출 및 실외 공기의 흡입이 분리되도록 구동된다. 즉, 예를 들면, 하층을 통해 실외공기가 실내로 급기되고, 상층을 통해 실내공기가 실외로 토출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시키기 위해, 하층에 구비된 하층 제2공유유로 공기 흡입부(101B)를 개방하고 동시에 하층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B)는 폐쇄하여 실외 공기를 흡입하며, 하층 제1공유유로 공기 흡입부(101A)는 폐쇄하고 동시에 하층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A)는 개방하여 실내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층에 구비된 상층 제1공유유로 공기 흡입부(201A)를 개방하고 동시에 상층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202A)는 폐쇄하여 실내 공기를 흡입하며, 상층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202A)는 폐쇄하고 동시에 상층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202B)는 개방하여 실외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이때, 실내 팬(160A)이 가동되어 하층 제2공유유로 공기 흡입부(101B)를 통하여 하층으로 유입된 실외 공기는 하층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A)를 통하여 실내로 공급되고, 실외 팬(160B)이 가동되어 상층 제1공유유로 공기 흡입부(201A)를 통하여 상층으로 유입된 실내 공기는 상층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202B)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된다.
즉, 하층의 제1케이스(100)에서는 실외 공기가 유입되어 실내로 공급되고, 상층의 제2케이스(200)에서는 실내 공기가 유입되어 실외로 배출되는 되면서, 상술한 환기모드로 구동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습모드는, 도 2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데시칸트 코팅이 이루어진 데시칸트 열교환기(120,220)를 증발기로 구동하도록 작동시켜 실내 공기를 제습시키는 작동 모드이다.
예를 들면, 도 2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술한 순환모드의 구동과 동시에, 습도가 많은 실내 공기를 제2케이스(200)를 통하여 흡입한 후 증발기로 작동되는 상측 열교환기(220)를 통과시키면서 실내 공기 중의 수분이 상측 열교환기(220)에 흡수토록 한 후 다시 실외로 토출시킨다.
아울러, 도 2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술한 순환모드의 구동과 동시에, 실외 공기를 제1케이스(100)를 통하여 흡입한 후 증발기로 작동되는 하측 열교환기(120)를 통과시키면서 실외 공기 중의 수분이 하측 열교환기(120)에 흡수토록 한 후 건조한 실외 공기를 실내로 급기시킨다.
마지막으로, 가습모드는, 도 2c에 참조된 바와 같이, 데시칸트 코팅이 이루어진 데시칸트 열교환기(120,220)를 응축기로 구동하도록 작동시켜 실내 공기를 가습시키는 작동 모드이다.
예를 들면, 도 2c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술한 순환모드의 구동과 동시에, 건조한 상태의 실내 공기를 제2케이스(200)인 상층 제1공유유로 공기 흡입부(201A)를 통하여 흡입한 후 상층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202B)를 통하여 실외로 배기함과 동시에, 제1케이스(100)인 하층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1B)를 통하여 실외 공기를 흡입한 후 응축기로 작용하는 하측 열교환기(120)를 통과시켜 수분을 공급받은 상태에서 하층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A)를 통하여 실내로 급기시킨다.
이때, 상측 열교환기(220)는 증발기로 작동시켜 실내 공기로부터 수분을 흡수하여 추후 실내 공기를 가습할 수 있도록 준비 가동시키고, 하측 열교환기(120)의 수분이 고갈될 경우 응축기로 작동시켜 하측 열교환기(120)와 교번하여 응축기로 작동될 수 있다.
특히, 하측 열교환기(120)와 상측 열교환기(220)에는 미도시의 수분 감지부가 구비되어, 수분의 축적량을 감지한 후, 제습모드 또는 가습모드에 따라 제1케이스(100) 및 제2케이스(200) 중 적절한 케이스를 선택하여 가동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1)의 실시예는, 제1공유유로 공기 흡입부(101A,201A)가 개방되면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A,202A)는 반드시 폐쇄 제어되고, 제2공유유로 공기 흡입부(101B,201B) 또한 반드시 폐쇄 제어되며,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B,202B)가 반드시 개방 제어된다.
아울러, 순환모드 또는 별개의 다른 작동모드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제1케이스(100)의 제1공유유로 공기 흡입부(101A)가 개방되면 제2케이스(200)의 제1공유유로 공기 흡입부(201A)는 반드시 폐쇄 제어되고, 마찬가지로 제1케이스(100)의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B)가 개방되면 제2케이스(200)의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202B)는 반드시 폐쇄 제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1)에서, 개폐부(130,23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작동모드를 효과적으로 구현시키기 위하여 구비된 구성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개폐부(130,230)는, 도 1 내지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공유유로(110A,210A)에 배치된 제1개폐유닛(130A,230A)과, 제2공유유로(110B,210B)에 배치된 제2개폐 유닛(130B,230B)을 포함한다.
제1개폐유닛(130A,230A)은, 제1공유유로 공기 흡입부(101A,201A)와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A,202A)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개폐유닛(130A,230A)은, 제1공유유로 공기 흡입부(101A,201A)를 폐쇄시킨 경우에는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A,202A)는 항상 개방시키고, 제1공유유로 공기 흡입부(101A,201A)를 개방시킨 경우에는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A,202A)는 항상 폐쇄시킨다.
마찬가지로, 제2개폐유닛(130B)은, 제2공유유로 공기 흡입부(101B,201B)와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B,202B)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개폐유닛(130B)은, 제2공유유로 공기 흡입부(101B,201B)를 폐쇄시킨 경우에는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B,202B)는 항상 개방시키고, 제2공유유로 공기 흡입부(101B,201B)를 개방시킨 경우에는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B,202B)는 항상 폐쇄시킨다.
개폐부(130, 이하, 개폐부를 지칭하는 도면부호는 130으로 통일하여 지시한다)는,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회전축(131a)을 가지는 구동 모터(131)와, 구동 모터(131)의 회전축(131a)에 직결되어 회전되는 회전 가이드(132)와, 회전 가이드(132)에 구비되고, 회전 가이드(132)의 회전과 연동하여 제1공유유로 공기 흡입부(101A,201A) 및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A,202A) 중 어느 하나 또는 제2공유유로 공기 흡입부(101B,201B) 및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B,202B)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시키는 스윙 도어 패널(13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개폐유닛(130A) 및 제2개폐유닛(130B)은, 제1공유유로(110A,210A) 및 제2공유유로(110B,210B)에 구분되게 설치되는 것이나,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개폐유닛(130A)만을 설명하고, 제2개폐유닛(130B)은 제1개폐유닛(130A)과 동일한 구성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제1개폐유닛(130A) 및 제2개폐유닛(130B)의 구분은 작동 설명을 제외하고는 불필요하므로 이하에서는 ‘개폐부(130)’로 통칭하기로 한다.
개폐부(130,230)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공유유로 공기 흡입부(101A,201A) 및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A,202A)가 구비된 케이스(100,200)의 일측에 설치된다.
케이스(100,200)의 일측에는, 개폐부(130)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부(150,150A,150B)가 마련된다. 설치부(150,150A,150B)는, 대략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공간으로 형성되되, 제1공유유로 공기 흡입부(101A,201A) 및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A,202A)가 케이스(100,200)의 내외로 연통되게 구비됨과 아울러, 제2공유유로 공기 흡입부(101B,201B) 및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B,202B)가 케이스(100,200) 내외로 연통되게 구비된다.
특히, 설치부(150,150A,150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공유유로 공기 흡입부(101A,201A)와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B,202B)를 점하도록 설치되고,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A,202A)가 형성된 부위에 상술한 실내 팬(160A)이 설치되고,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A,202A)와 제1공유유로 공기 흡입부(101A,201A) 사이에 해당되는 부위에 개폐부(130,230)가 설치되며,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B,202B)가 형성된 부위에 상술한 실외 팬(160B)이 설치되고,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B,202B)와 제2공유유로 공기 흡입부(101B,201B) 사이에 해당하는 부위에 개폐부(130,230)가 설치된다.
한편, 케이스(100,200)의 내부 중 폭방향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제1공유유로(110A) 측으로 돌출되고, 개폐부(130,230)의 스윙 도어 패널(137)의 선단부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복수의 유동 가이드(140)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동 가이드(140)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200)의 내부의 제1공유유로(110A)에 형성되되, 스윙 도어 패널(137)의 선단부가 접촉되면서 제1공유유로 공기 흡입부(101A,201A) 및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A,202A)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시키면서 케이스(100,20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케이스(100,200) 내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제1공유유로(110A)에 형성된 유동 가이드(140)만을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유동 가이드(140)는, 제2공유유로(110B)에도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스윙 도어 패널(137)의 선단부가 접촉되면서 제2공유유로 공기 흡입부(101B,201B) 및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B,202B)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시키면서 케이스(100,20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복수의 유동 가이드(140)는, 케이스(100,200)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점점 폭이 좁아졌다가 데시칸트 열교환기(120,220)로 갈수록 다시 점점 폭이 커지도록 각각 케이스(100,200)의 내부 중 폭방향 일측과 타측에 대칭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개폐부(130,230)의 스윙 도어 패널(137)은 구동 모터(131)에 의해 일측으로 스윙되는 동작으로 스윙되어 그 선단부가 일측에 구비된 유동 가이드(140)의 돌출 선단부에 접하고, 타측으로 스윙되는 동작으로 스윙되어 그 선단부가 타측에 구비된 유동 가이드(140)의 돌출 선단부에 접할 수 있다.
스윙 도어 패널(137)의 선단부가 일측의 유동 가이드(140)의 돌출 선단부에 접하는 경우, 일측에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A,202A)가 구비된 것으로 가정할 때,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A,202A)는 폐쇄되고, 제1공유유로 공기 흡입부(101A,201A)만이 개방된다.
이때, 스윙 도어 패널(137)의 양면 중 데시칸트 열교환기(120,220)가 구비된 측의 일면은 타측의 유동 가이드(140)의 일부면과 함께 제1공유유로 공기 흡입부(101A,201A)를 통하여 흡입되는 실내 공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반대로, 스윙 도어 패널(137)의 선단부가 타측의 유동 가이드(140)의 돌출 선단부에 접하는 경우, 타측에 제1공유유로 공기 흡입부(101A,201A)가 구비된 것으로 가정할 때, 제1공유유로 공기 흡입부(101A,201A)는 폐쇄되고,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A,202A)만이 개방된다.
이때, 스윙 도어 패널(137)의 양면 중 데시칸트 열교환기(120,220)가 구비된 측의 타면은 일측의 유동 가이드(140)의 일부면과 함께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A,202A)를 통하여 토출되는 실외 공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구동 모터(131)는, DC 모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개폐유닛(130A) 및 제2개폐유닛(130B)의 고장 상태를 진단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회전 가이드(132)는, 도 2 및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구동 모터(131)의 회전축(131a)과 연결되도록 수평 연장된 축 연결부(133)와, 축 연결부(133)에 구동 모터(131)의 일부를 감싸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스윙 도어 패널(137)이 외주면에 연결된 가이드 블록(135)을 포함할 수 있다.
축 연결부(133)는, 대략 설치부(150,150A,150B)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 구비되고, 구동 모터(131)로부터 구동력을 가이드 블록(135)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축 연결부(133) 및 가이드 블록(135)을 포함하는 회전 가이드(132)의 상단부 수평 단면 형상은, 구동 모터(131)의 회전축(131a)을 중심으로 하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본래 가이드 블록(135)이 하방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바, 설치부(150,150A,150B) 내의 공간에 위치한 일부를 절개하여 삭제함으로써 구동 모터(131)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회전 가이드(132)의 수평 단면 형상인 상기 부채꼴의 각은, 270도 이상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부채꼴의 각이 270도 미만일 경우, 스윙 도어 패널(137)이 일측 및 타측으로 스윙될 때 회전 가이드(132)의 절개 부위가 내부 공간으로 노출되어 공기의 유동 저항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회전 가이드(132)는 일부가 제1공유유로(110A) 측으로 노출되게 구비되고, 제1공유유로(110A,210A) 측으로 노출된 회전 가이드(132) 부위는 원주기둥의 외주면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공유유로 공기 흡입부(101A,201A) 및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A,202A)를 통하여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 저항을 최소화함으로써 환기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스윙 도어 패널(137)은, 회전 가이드(132)의 외주면 중 제1공유유로(110A,210A) 측으로 노출된 외주면에 반경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게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윙 도어 패널(137)의 연장 길이는, 스윙 도어 패널(137)의 선단이 상술한 유로 가이드의 돌출된 선단부에 접촉되는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반드시 스윙 도어 패널(137)이 회전 가이드(132)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될 필요는 없고, 별도로 성형되되, 각각 상이한 형상의 유로 가이드에 알맞은 스윙 도어 패널(137)을 선택하여 회전 가이드(132)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개폐부(130,230)는, 제1공유유로(110A,210A)에 제1개폐유닛(130A,230A) 및 제2공유유로(110B,210B)에 제2개폐유닛(130B,230B)이 각각 단수개 설치되어, 제1공유유로 공기 흡입부(101A,201A) 및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A,202A)와, 제2공유유로 공기 흡입부(101B,201B) 및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B,202B)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총 4개의 공기 흡/토출부를 2개의 개폐유닛 만으로도 개폐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케이스(100) 및 제2케이스(200)가 상하로 적층되어 있는 환기장치(1)의 실시예에서는, 총 8개의 공기 흡/토출부를 4개의 개폐유닛 만으로도 개폐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종래의 환기장치(1)의 경우, 8개의 공기 흡/토출부마다 댐퍼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각 댐퍼의 유지 보수를 위한 유지보수 공간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1)의 경우에는, 공기 흡/토출부 개수 대비 개폐유닛의 개수가 절반 이하로 줄어듦으로써 유지보수를 위해 구비하여야 할 공간이 상대적으로 적은 이점이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환기장치(1)에서 각 공기 흡/토출부마다 구비된 댐퍼가 복수개의 루버를 구동 모터(131)의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복잡한 링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된 경우, 링크 결합 부위의 링크력 약화에 따른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음은 물론, 링크 결합 구성의 고장 또는 노후화에 의한 수리 또는 교체를 위하여 각 댐퍼마다 소정의 유지보수 공간의 확보가 필수적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1)에 따르면, 링크 결합 방식을 전혀 채택하지 아니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 저하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각 공기 흡/토출부의 개수 대비 적은 개수의 개폐유닛 만으로도 효과적인 개폐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는 바, 적은 공간만으로도 유지보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케이스(100,200) 내부의 공기 유동 공간을 더 확장할 수 있는 이점을 창출할 수 있다.
한편, 제1케이스(100)가 하층에 구비되고 제2케이스(200)가 상층에 적층 구비되는 경우,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개폐부(130,230)는, 제1케이스(100)의 제1공유유로(110A)에 구비된 스윙 도어 패널(137)이 제1공유유로 공기 흡입부(101A)를 개방할 때, 제2케이스(200)의 제1공유유로(210A)에 구비된 스윙 도어 패널(137)이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202A)를 폐쇄하는 제1개폐유닛(130A)과, 제1케이스(100)의 제2공유유로(110B)에 구비된 스윙 도어 패널(137)이 제2공유유로 공기 흡입부(101B)를 폐쇄할 때, 제2케이스(200)의 제2공유유로(210B)에 구비된 스윙 도어 패널(137)이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202B)를 개방하는 제2개폐유닛(13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폐부(130,230)는, 구동 모터(131)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제1케이스(100) 및 제2케이스(200)에 구비된 회전 가이드(132) 각각에 분할하여 전달하는 회전 분할부(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분할부(136)가 구비된 실시예의 경우, 구동 모터(131)의 회전축(131a)이 직접 회전 가이드(132)에 접촉되는 위의 실시예와는 상이하므로, 이하에서는 ‘제2실시예’에 따른 개폐부라 칭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개페부(130)에서, 구동 모터(131)는, 제1케이스(100) 및 제2케이스(200)의 사이 중 제1공유유로(110A,210A) 측에 단수개(이하, ‘제1공유 유로측 모터’라 칭한다)가 구비되고, 제1케이스(100) 및 제2케이스(200)의 사이 중 제2공유유로(110B,210B) 측에 단수개(이하, ‘제2공유 유로측 모터’라 칭한다)가 구비된다.
여기서, 회전 분할부(136)는, 제1공유유로(110A,210A) 측의 한 쌍의 스윙 도어 패널(137)(즉, 제1케이스(100)의 제1공유유로(110A) 측에 구비된 스윙 도어 패널(137)과 제2케이스(200)의 제1공유유로(210A) 측에 구비된 스윙 도어 패널(137), 이하, ‘제1공유 유로측 스윙 도어 패널(137)’이라 칭한다) 및 제2공유유로(110B,210B) 측의 한 쌍의 스윙 도어 패널(137)(즉, 제1케이스(100)의 제2공유유로(110B) 측에 구비된 스윙 도어 패널(137)과 제2케이스(200)의 제2공유유로(210B) 측에 구비된 스윙 도어 패널(137), 이하, ‘제2공유 유로측 스윙 도어 패널(137)’이라 칭한다)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스윙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제1공유 유로측 스윙 도어 패널(137)은, 제1케이스(100)에서 제1공유유로 공기 흡입부(101A)를 개방하고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A)를 폐쇄할 때, 제2케이스(200)에서 제1공유유로 공기 흡입부(201A)는 폐쇄하고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202A)를 개방한다.
마찬가지로, 제2공유 유로측 스윙 도어 패널(137)은, 제1케이스(100)에서 제2공유유로 공기 흡입부(101B)를 개방하고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102B)를 폐쇄할 때, 제2케이스(200)에서 제2공유유로 공기 흡입부(201B)는 폐쇄하고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202A)를 개방한다.
이처럼, 회전 분할부(136)는, 제1공유 유로측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을 제1공유 유로측 스윙 도어 패널(137)로 각각 분할하여 분배함으로써 동시에 제1케이스(100) 및 제2케이스(200)에서 상호 반대방향으로 제1공유 유로측 스윙 도어 패널(137)이 스윙되도록 하고, 제2공유 유로측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을 제2공유 유로측 스윙 도어 패널(137)로 각각 분할하여 분배함으로써 동시에 제1케이스(100) 및 제2케이스(200)에서 상호 반대방향으로 제2공유 유로측 스윙 도어 패널(137)이 스윙되도록 한다.
회전 분할부(136)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수평되게 구비된 구동 모터(131)의 회전축(131a)에 동축으로 구비된 베벨 기어(131b)와, 베벨 기어(131b)와 치합되되 베벨 기어(131b)의 회전축(131a)과 직교되게 회전되고, 제1케이스(100) 측의 회전 가이드(132)에 형성된 제1링기어(134A)와, 제2케이스(200) 측의 회전 가이드(132)에 형성된 제2링기어(134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베벨 기어(131b)는 하측의 제1케이스(100)와 관련된 회전 가이드(132)의 제1링기어(134A) 및 상측의 제2케이스(200)와 관련된 회전 가이드(132)의 제2링기어(134B)와 동시에 치합됨으로써 제1케이스(100) 및 제2케이스(200)의 각 회전 가이드(132)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1)의 경우, 제1공유유로(110A,210A) 측의 제1개폐유닛(130A) 및 제2공유유로(110B,210B) 측의 제2개폐유닛(130B) 만으로도 8개의 공기 흡/토출부를 모두 동시 제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1)는, 스윙 도어 패널(137)의 스윙 동작에 따른 각 공기 흡/토출부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비됨으로써 보다 넓은 공기 유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바, 케이스(100,200) 내부의 정압을 축소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 환기장치 10: 수평 파티션
100: 케이스, 제1케이스 101A: 제1공유유로 공기 흡입부
101B: 제2공유유로 공기 흡입부 102A: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
102B: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 110: 공유유로
110A: 제1공유유로 110B: 제2공유유로
130: 개폐부 130A: 제1개폐유닛
130B: 제2개폐유닛 131: 구동 모터
131a: 회전축 131b: 베벨 기어
132: 회전 가이드 133: 축 연결부
134A: 제1링기어 134B: 제2링기어
135: 가이드 블록 136: 회전 분할부
137: 스윙 도어 패널 140: 유동 가이드
141: 일측 유동가이드 142: 타측 유동가이드
150,150A,150B: 설치부 160,160A: 실내 팬
160,160B: 실외 팬 200: 케이스, 제2케이스
201A: 제1공유유로 공기 흡입부 201B: 제2공유유로 공기 흡입부
202A: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 202B: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
210: 공유유로 210A: 제1공유유로
210B: 제2공유유로 230: 개폐부
230A: 제1개폐유닛 230B: 제2개폐유닛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내부에 공유유로를 가지되, 수평 파티션에 의해 상기 공유유로가 하층 및 상측으로 구획되고, 하측 공유유로를 포함하는 제1케이스 및 상측 공유유로를 포함하는 제2케이스와;
    상기 하측 공유유로 및 상기 상측 공유유로에 각각 배치되되, 각각의 공유유로를 일측의 제1공유유로 및 타측의 제2공유유로의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배치되고, 증발기 또는 응축기로 작용하는 하측의 제1데시칸트 열교환기 및 상측의 제2데시칸트 열교환기와;
    스윙되는 동작으로 상기 하측 공유유로의 제1공유유로 및 제2공유유로와, 상기 상측 공유유로의 제1공유유로 및 제2공유유로 각각에 구비된 공기 흡입부 및 공기 토출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회전축을 가지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시 연동하여 회전되는 회전 가이드와;
    상기 회전 가이드에 구비되고, 상기 제1공유유로로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제1공유유로 공기 흡입부 및 실내로 공기가 토출되는 제1공유유로 공기 토출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제2공유유로로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제2공유유로 공기 흡입부 및 실외로 공기가 토출되는 제2공유유로 공기 토출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스윙 도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의 제1공유유로 측 및 제2공유유로 측에 각각 단수개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구동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에 구비된 회전 가이드 각각에 분할하여 전달하되, 상기 제1공유유로 측의 한 쌍의 스윙 도어 패널 및 상기 제2공유유로 측의 한 쌍의 스윙 도어 패널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스윙되어 상기 공기 흡입부 및 공기 토출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회전 분할부를 더 포함하는 환기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분할부는,
    수평되게 구비된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동축으로 구비된 베벨 기어와;
    상기 베벨 기어와 치합되되 상기 베벨 기어의 회전축과 직교되게 회전되고, 상기 제1케이스 측의 상기 회전 가이드에 형성된 제1링기어와, 상기 제2케이스 측의 상기 회전 가이드에 형성된 제2링기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1케이스의 제1공유유로에 구비된 스윙 도어 패널이 상기 공기 흡입부를 개방할 때, 상기 제2케이스의 제1공유로에 구비된 스윙 도어 패널이 상기 공기 토출부를 폐쇄하는 제1개폐 유닛과;
    상기 제1케이스의 제2공유유로에 구비된 스윙 도어 패널이 상기 공기 흡입부를 폐쇄할 때, 상기 제2케이스의 제2공유유로에 구비된 스윙 도어 패널이 상기 공기 토출부를 개방하는 제2개폐 유닛을 포함하는 환기장치.
KR1020170099762A 2017-08-07 2017-08-07 환기장치 KR101963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762A KR101963616B1 (ko) 2017-08-07 2017-08-07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762A KR101963616B1 (ko) 2017-08-07 2017-08-07 환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939A KR20190015939A (ko) 2019-02-15
KR101963616B1 true KR101963616B1 (ko) 2019-03-29

Family

ID=65367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762A KR101963616B1 (ko) 2017-08-07 2017-08-07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616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330B1 (ko) * 2004-05-21 2006-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 겸용 공기조화기
KR20070080622A (ko) * 2006-02-08 2007-08-13 백승도 공유형 공기조화모듈
KR20160048469A (ko) 2014-10-24 2016-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KR20160086693A (ko) * 2015-01-12 2016-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939A (ko) 2019-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644B1 (ko) 바이패스터널을 구비한 전열교환기
AU2016340533A1 (en) Air conditioner
KR101980549B1 (ko) 공기조화 장치
KR20150028171A (ko) 제습기
US10234167B2 (en) Air conditioner apparatus with partitioned suction and discharge channels
KR20150015741A (ko) 도어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KR101963616B1 (ko) 환기장치
US20210108813A1 (en) Air conditioner and ventilation apparatus for the same
US20060010896A1 (en) Air-conditioning system
KR20080092201A (ko) 환기장치 및 이를 갖춘 공기조화기
JP2009236481A (ja) 空気調和機
JP2009236481A5 (ko)
JP2005283071A (ja) 調湿装置
KR101576217B1 (ko) 바이패스터널을 구비한 전열교환기
KR102113837B1 (ko) 공기조화장치
KR20010026764A (ko) 가습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조기기
KR100672602B1 (ko) 공기조화장치의 실내 열교환유닛
JP2015203513A (ja) 一体型空気調和機
KR20190017272A (ko) 공기조화장치
KR10077071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상부 공기 토출 플랩 구동장치
KR20170035824A (ko)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KR100698910B1 (ko) 덕트형 공기조화기
KR102451313B1 (ko) 공기조화기
KR100794837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101606044B1 (ko) 공기조화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