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595B1 - 화상 변형 처리 방법,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변형 처리 방법,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595B1
KR102007595B1 KR1020177030333A KR20177030333A KR102007595B1 KR 102007595 B1 KR102007595 B1 KR 102007595B1 KR 1020177030333 A KR1020177030333 A KR 1020177030333A KR 20177030333 A KR20177030333 A KR 20177030333A KR 102007595 B1 KR102007595 B1 KR 102007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arget
deformation
original imag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0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9911A (ko
Inventor
샤오이 첸
양 루
하오 펭
Original Assignee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29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04Context-preserving transformations, e.g. by using an importance ma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84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in the transform domain, e.g. fast Fourier transform [FFT] domain sca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3Edge-driven scaling; Edge-based sca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07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4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histogram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two or more images, e.g. averaging or subt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81Segmentation; Edge detection involving edge growing; involving edge lin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화상 변형 처리 방법,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를 개시한다. 본 방법은 원 화상을 취득하고, 목표 형상을 취득하는 단계; 원 화상의 중심에 대한 에지에서의 변형 비율에 기초하여, 원 화상을 목표 화상으로 변형시키는 단계 -목표 화상의 에지가 목표 화상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변형이 커지고, 목표 화상의 형상은 상기 목표 형상임-; 및 목표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 변형 처리 방법,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본 출원은 2015년 7월 30일자로 중화 인민 공화국 국가 지적 재산권국에 출원된 "화상 변형 처리 방법 및 디바이스(IMAGE DE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라는 명칭의 중국 특허 출원 제201510460354.9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가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개시내용은 컴퓨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상 변형 방법, 화상 변형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화상 변형은 원 화상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처리이다. 예를 들어, 포토샵 화상 변형 기능은 화상 변형을 위한 특정 애플리케이션이다.
포토샵 화상 변형 기능을 일례로서 취하면, 그에 대한 동작은 다음 단계들 1-7을 포함한다.
대화 박스를 "열기"위한 단계 1에서, "문서(Document)"/ "열기(Open)" 명령이 클릭되어 재료 파일이 열린다.
재료 파일을 여는 단계 2에서, 재료 파일의 화상은 이동 툴(move tool)을 사용하여 화상 편집 창으로 드래그된다.
변환 제어 박스를 호출하는 단계 3에서, "계층 1"의 화상 계층이 선택되고, "편집(Edit)"| "변환(Transform)"| "변형(Deform)" 명령이 클릭되어 변환 제어 박스가 호출된다.
제어 포인트를 조정하는 단계 4에서, 마우스 포인터를 제어 박스의 우측 상단 코너에 위치한 제어 포인트로 이동시키고, 좌측 마우스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마우스를 드래그하여 그에 따라 화상을 변형한다.
제어 레버를 조정하는 단계 5에서, 마우스 포인터를 제어 레버로 이동시키고, 좌측 마우스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마우스를 드래그하여 화상을 변형한다.
화상을 조정하는 단계 6에서, 단계 4-5의 동작을 참조하고 단계 4 및 단계 5를 반복하여 화상을 적절하게 변형시킴으로써 각종 제어 포인트 및 제어 레버를 조정한다.
화상을 변형시키는 단계 7에서, 확인을 위해 "엔터(Enter)"키가 눌러지고, 그에 따라서 화상 변형의 동작이 완료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화상 변형 방법 및 화상 변형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원 화상을 취득하고, 목표 형상을 취득하는 단계;
원 화상의 중심에 대한 에지에서의 변형 비율에 기초하여 원 화상을 목표 화상으로 변형시키는 단계 -목표 화상의 에지가 목표 화상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목표 화상의 에지의 변형 정도가 커지고, 목표 화상의 형상은 목표 형상임- ; 및
목표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변형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원 화상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화상 취득 유닛;
목표 형상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형상 취득 유닛;
원 화상의 중심에 대한 에지에서의 변형 비율에 기초하여 원 화상을 목표 화상으로 변형하도록 구성된 변형 유닛 -목표 화상의 에지가 목표 화상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목표 화상의 에지의 변형 정도가 커지고, 목표 화상의 형상은 목표 형상임- ; 및
목표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변형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를 실행하여 화상 변형 디바이스가 화상 변형 방법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화상 변형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방법은,
원 화상을 취득하고, 목표 형상을 취득하는 단계;
원 화상의 중심에 대한 에지에서의 변형 비율에 기초하여 원 화상을 목표 화상으로 변형시키는 단계 -목표 화상의 에지가 목표 화상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목표 화상의 에지의 변형 정도가 커지고, 목표 화상의 형상은 목표 형상임- ; 및
목표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화상 변형 매체를 제공한다. 프로그램 명령어는, 계산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저장 매체가 화상 변형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방법은,
원 화상을 취득하고, 목표 형상을 취득하는 단계;
원 화상의 중심에 대한 에지에서의 변형 비율에 기초하여 원 화상을 목표 화상으로 변형시키는 단계 -목표 화상의 에지가 목표 화상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목표 화상의 에지의 변형 정도가 커지고, 목표 화상의 형상은 목표 형상임- ; 및
목표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제공된 기술적 해결책을 따르면, 사용자는 단지 원 화상 및 목표 형상을 입력할 필요가 있을 뿐이고, 마우스에 의한 원 화상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없이 자동적으로 화상 변형 처리가 완료되어, 조작이 간단하고 고정밀도로 된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옵션에 따라 목표 형상을 지정하여 원 화상을 지정된 목표 형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변형하는 화상을 유연하게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사용되는 첨부된 도면들을 다음과 같이 간략하게 설명하여,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술적 해결책이 보다 명확하게 되도록 한다. 다음의 설명에서 첨부 도면들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를 단지 설명하는 것임이 명백하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임의의 창조적인 작업없이 이들 첨부 도면들을 기초로 다른 도면들을 취득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단편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편화된 화상의 화상 변형 및 스티칭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편화된 화상의 화상 변형 결과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조적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조적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조적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조적인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조적인 개략도이다.
본 개시내용의 목적, 기술적 해결책 및 이점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명확하고 충분하게 후술될 것이고, 명백하게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모든 실시예가 아닌 일부일 뿐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임의의 진보적 노력없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유도된 모든 다른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에 속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는 화상 변형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다음 단계들 101-103을 포함한다.
단계 101에서는, 원 화상을 취득하고, 목표 형상을 취득한다.
원 화상은 화상의 변형, 즉 변형될 화상의 처리를 위한 재료 화상이다. 목표 형상은 변형 화상의 형상이고, 즉 원 화상은 화상 변형 처리 후에 목표 형상으로 변형될 필요가 있다. 목표 형상은 사용자의 요구 사항에 따라 자유롭게 지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그려지는 그래프의 형상이 될 수 있으며,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 미리 정의된 형상들로부터 선택된 형상일 수 있다.
단계 102에서, 원 화상의 중심에 대한 에지(edge)에서의 변형 비율에 기초하여 원 화상이 목표 화상으로 변형되어, 목표 화상의 추가 에지가 목표 화상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목표 화상의 에지의 변형 정도가 커지고, 목표 화상의 형상이 목표 형상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 원 화상의 중심은 원 화상의 기하학적 중심일 수 있고, 또한 기준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중심 위치일 수 있다. 원 화상의 절대적인 기하학적 중심일 필요는 없다. 사용자가 기준을 위한 중심 위치를 지정하는 방식을 채택하면, 원 화상의 기하학적 중심이 원 화상의 디폴트 중심이 되고, 사용자가 지정한 중심 위치를 수신한 후, 지정된 중심 위치를 원 화상의 중심으로서 취한다.
단계 103에서는, 목표 화상이 디스플레이된다.
목표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화상 변형 처리의 결과를 출력함으로써 화상 변형 처리의 효과를 체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상 변형 처리의 결과를 확인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단지 원 화상 및 목표 형상을 입력할 필요가 있을 뿐이고, 마우스에 의한 원 화상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없이 자동적으로 화상 변형 처리가 완료되어, 조작이 간단하고 고정밀도로 된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옵션에 따라 목표 형상을 지정하여 원 화상을 지정된 목표 형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변형하는 화상을 유연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는, 목표 형상이 변형 화상의 형상이고, 즉 원 화상을 화상 변형 처리 후에 목표 형상으로 변형할 필요가 있다. 목표 형상은 사용자의 요구 사항에 따라 자유롭게 지정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그려진 그래프의 형상일 수 있으며, 미리 정의된 형상들로부터 선택된 형상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목표 형상을 취득하는 단계는, 그려진 그래프를 수신하고, 그려진 그래프의 형상을 목표 형상으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미리 정의된 그래프로부터 선택된 그래프를 수신하고, 선택된 그래프의 형상을 목표 형상으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변형은 전체 화상 변형일 수 있거나, 국부적인 화상 변형일 수 있다. 먼저 원 화상을 단편화하는 단계, 단편화된 화상의 모든 화상 단편을 변형하는 단계, 및 단편화된 화상의 모든 변형된 화상 단편을 스티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 바람직한 구현 해결책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다. 예를 들어, 원 화상의 중심에 대한 에지에서의 변형 비율에 기초하여 원 화상을 목표 화상으로 변형시키는 단계는, 원 화상을 단편화하는 단계; 원 화상의 중심에 대한 에지에서의 변형 비율에 기초하여 단편화된 화상의 모든 화상 단편을 변형시키는 단계; 및 단편화된 화상의 모든 변형된 화상 단편을 스티칭하여 목표 화상을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목표 화상의 에지가 목표 화상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변형 정도가 커지기 때문에, 원 화상을 단편화한 후의 변형 처리에서, 화상 단편이 에지에 가까울수록, 목표 화상의 에지의 변형 정도가 커지고, 중심 영역의 화상 단편은 낮은 변형 정도를 갖는다. 따라서, 원 화상의 과도한 단편화를 피할 수 있고, 이는 화상 스티칭과 같은 후속 작업의 계산량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원 화상을 단편화하는 단계는 원 화상을 화상 단편으로 단편화하여, 화상 단편이 원 화상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화상 단편의 면적이 작아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제 요구 사항에 기초하여,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목표 형상과 원 화상 간의 연관성이 설정될 수 있다. 목표 형상과 원 화상 간의 연관성이 설정되면, 전자 디바이스는 원 화상을 목표 형상으로 변형시키는 요구 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 화상을 목표 화상으로 변형하기 전에, 본 방법은 원 화상을 목표 형상으로 드래그하는 명령을 수신하거나, 목표 형상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 다음, 원 화상을 목표 화상으로 변형시키는 단계가 수행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 변형 비례 파라미터는 중심 위치에서 화상 단편들의 변형에 대한 에지 근처의 화상 단편들의 변형의 변형 비율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변형 비율이 클수록, 에지 위치 근처의 화상 단편의 변형 정도가 커지고; 그렇지 않으면 변형 정도가 작아진다. 본 실시예에서, 변형 비례 파라미터를 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표 화상을 디스플레이한 후에, 또는 원 화상을 목표 화상으로 변형하기 전에, 본 방법은 변형 비례 파라미터에 대한 조정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변형 비례 파라미터의 값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변형 비례 파라미터를 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많은 특정 구현예가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예로서 2개의 선택적인 구현예가 제공된다. 파라미터를 입력하는 임의의 모드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으며, 다음의 예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제한으로서 고려되어서는 안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조정 인터페이스는 슬라이더를 통해 변형 비례 파라미터를 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또는 파라미터 입력 박스를 통해 변형 비례 파라미터를 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화상 변형 방법은 다음 단계들 1 내지 3을 포함한다.
단계 1에서, 형상이 지정되고, 예를 들면, 타원이 그려진다.
단계 2에서, 오리지널 픽처(original picture)이 지정된 형상과 연관된다.
상기 오리지널 픽처는 원 화상이고, 지정된 형상은 목표 형상이다. 관련 조작은 오리지널 픽처의 형상을 지정된 형상으로 변형하기 위한 요구 사항을 결정하는 처리이다. 예를 들어, 오리지널 픽처는 지정된 형상으로 드래그될 수 있다.
단계 3에서, 화상 변형 처리가 수행된다.
다음 단계들 3.1 내지 3.3을 포함할 수 있는 단계 3이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된다.
단계 3.1에서는, 전체 화상을 다수의 작은 단편들로 단편화하기 위해, 원 화상을 단편화한다. 따라서, 화상 압축 또는 화상 신장(image stretching)이 수행될 때, 화상 에지 및 화상 중심의 압축 정도 또는 신장 정도의 관계가 제어된다. 도 2는 단편화된 원 화상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단계 3.2에서는, 지정된 형상 및 화상 에지와 화상 중심 간의 디폴트 변형 비례 관계에 기초하여 화상의 모든 단편이 변형되고 결합되어 최종 화상을 형성한다. 변형된 후의 스티칭 및 결합을 통해 취득된 화상은 도 3에 도시되어 있으며, 화상은 예를 들어 타원인 지정된 형상이다.
단계 3.3에서는, 예를 들어, 중심 픽처의 변형에 대한 에지 픽처의 변형의 비율을 제어하기 위한 조정 가능한 파라미터가 제공된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화상 에지는 심하게 압축되었지만, 화상 중심은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조정 가능한 파라미터를 추가함으로써, 화상 중심에서의 단편들의 변형에 대한 화상 에지 근처의 단편들의 변형의 비율이 제어되어, 변형 균일성이 향상된다. 도 4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화상의 변형 결과를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형상을 지정하고 픽처를 선택함으로써 신속하게 제어 가능한 화상 변형이 수행될 수 있다. 기존의 화상 변형 기술은 원 화상을 기반으로 하고, 원하는 결과에 접근하기 위해 수동으로 원 화상을 단계적으로 수정하여 실현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방법은 예측된 형상에 기초하고, 지정된 결과에 따라 원 화상을 자동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화상 에지 근처의 위치에서의 및 화상 중심의 변형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는 화상 변형 디바이스가 또한 제공된다. 이 디바이스는 화상 취득 유닛(501), 형상 취득 유닛(502), 변형 유닛(503) 및 디스플레이 유닛(504)을 포함한다.
화상 취득 유닛(501)은 원 화상을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형상 취득 유닛(502)은 목표 형상을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변형 유닛(503)은 원 화상의 중심에 대한 에지에서의 변형 비율에 기초하여 원 화상을 목표 화상으로 변형시켜, 목표 화상의 에지가 목표 화상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목표 화상의 에지의 변형 정도가 커지고, 목표 화상의 형상이 목표 형상이 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유닛(504)은 목표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원 화상은 화상 변형 처리를 위한 재료 화상, 즉 변형될 화상이다. 목표 형상은 변형된 화상의 형상이며, 즉 화상 변형 프로세스 후에 원 화상이 목표 형상으로 변형될 필요가 있다. 목표 형상은 사용자의 요구 사항에 따라 자유롭게 지정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 의해 그려지는 그래프의 형상이 될 수 있고,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 미리 정의된 형상들로부터 선택된 형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 화상의 중심은 원 화상의 기하학적 중심이 될 수 있고, 또한 기준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중심 위치일 수 있다. 원 화상의 절대적인 기하학적 중심일 필요는 없다. 사용자가 기준을 위한 중심 위치를 지정하는 방식을 채택하면, 원 화상의 기하학적 중심이 원 화상의 디폴트 중심이 되고, 사용자가 지정한 중심 위치를 수신한 후에, 지정된 중심 위치를 원 화상의 중심으로서 취한다.
목표 화상을 표시하는 것은 화상 변형 처리의 결과를 출력함으로써 화상 변형 처리의 효과 체크를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상 변형 처리의 결과를 확인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단지 원 화상 및 목표 형상을 입력할 필요가 있을 뿐이고, 마우스에 의한 원 화상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없이 자동적으로 화상 변형 처리가 완료되어, 조작이 간단하고 고정밀도로 된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옵션에 따라 목표 형상을 지정하여 원 화상을 지정된 목표 형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변형하는 화상을 유연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 목표 형상은 변형된 화상의 형상이고, 즉 원 화상은 화상 변형 처리 후에 목표 형상으로 변형될 필요가 있다. 목표 형상은 사용자의 요구 사항에 따라 자유롭게 지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그려진 그래프의 형상일 수 있고, 미리 정의된 형상들로부터 선택된 형상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형상 취득 유닛(502)은 그려진 그래프를 수신하여 그려진 그래프의 형상을 목표 형상으로 결정하거나; 미리 정의된 그래프로부터 선택된 그래프를 수신하고, 선택된 그래프의 형상을 목표 형상으로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변형은 전체 화상 변형일 수 있거나, 국부적인 화상 변형일 수 있다. 먼저 원 화상을 단편화하는 단계, 단편화된 화상의 모든 화상 단편을 변형하는 단계, 및 단편화된 화상의 모든 변형된 화상 단편을 스티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 바람직한 구현 해결책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다. 예를 들어, 변형 유닛(503)은 원 화상을 단편화하고; 원 화상의 중심에 대한 에지에서의 변형 비율에 기초하여 단편화된 화상의 모든 화상 단편을 변형시키고; 단편화된 화상의 모든 변형된 화상 단편을 스티칭하여 목표 화상을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목표 화상의 에지가 목표 화상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변형 정도가 커지기 때문에, 원 화상을 단편화한 후의 변형 처리에서, 화상 단편이 에지에 가까울수록, 화상 단편의 변형 정도가 커지고, 중심 영역의 화상 단편은 낮은 변형 정도를 갖는다. 따라서, 원 화상의 과도한 단편화를 피할 수 있고, 이는 화상 스티칭과 같은 후속 작업의 계산량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변형 유닛(503)은 원 화상을 단편화하여, 화상 단편이 원 화상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화상 단편의 면적이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실제 요구 사항에 기초하여,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목표 형상과 원 화상 간의 연관성이 설정될 수 있다. 목표 형상과 원 화상 간의 연관성이 설정되면, 전자 디바이스는 원 화상을 목표 형상으로 변형시키는 요구 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형상 결정 유닛(601)을 더 포함한다.
형상 결정 유닛(601)은 변형 유닛(503)이 원 화상을 목표 화상으로 변형시키기 전에, 원 화상을 목표 형상으로 드래그하는 명령을 수신하거나, 목표 형상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 변형 비례 파라미터는 중심 위치에서의 화상 단편의 변형에 대한 에지 위치 근처의 화상 단편의 변형의 변형 비율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변형 비율이 클수록, 에지 위치 근처의 화상 단편의 변형 정도가 커지고; 그렇지 않으면 변형 정도가 작아진다. 본 실시예에서, 변형 비례 파라미터를 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유닛(504)은 또한 목표 화상이 디스플레이된 후에 또는 변형 유닛(503)이 원 화상을 목표 화상으로 변형하기 전에 변형 비례 파라미터에 대한 조정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수신 유닛(701)을 더 포함한다.
수신 유닛(701)은 변형 비례 파라미터의 값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변형 비례 파라미터를 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많은 특정 구현예가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예로서 2개의 선택적인 구현예가 제공된다. 파라미터를 입력하는 임의의 모드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으며, 다음의 예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제한으로서 고려되어서는 안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유닛(504)은 또한 슬라이더를 통해 변형 비례 파라미터를 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또는 파라미터 입력 박스를 통해 변형 비례 파라미터를 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화상 변형 디바이스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제공된다. 디바이스는 수신기(801), 이미터(802), 프로세서(803) 및 메모리(804)를 포함한다.
프로세서(803)는 원 화상을 취득하고 목표 형상을 취득하며; 원 화상의 중심에 대한 에지에서의 변형 비율에 기초하여 원 화상을 목표 화상으로 변형시켜, 목표 화상의 에지가 목표 화상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목표 화상의 에지의 변형 정도가 커지고, 목표 화상의 형상이 목표 형상이 되도록 하고; 목표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원 화상은 화상의 변형 처리를 위한 재료 화상, 즉 변형될 화상이다. 목표 형상은 변형 화상의 형상이고, 즉 원 화상은 화상 변형 처리 후에 목표 형상으로 변형될 필요가 있다. 목표 형상은 사용자의 요구 사항에 따라 자유롭게 지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그려지는 그래프의 형상이 될 수 있으며,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 미리 정의된 형상들로부터 선택된 형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 화상의 중심은 원 화상의 기하학적 중심일 수 있고, 또한 기준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중심 위치일 수 있다. 원 화상의 절대적인 기하학적 중심일 필요는 없다. 사용자가 기준을 위한 중심 위치를 지정하는 방식을 채택하면, 원 화상의 기하학적 중심이 원 화상의 디폴트 중심이 되고, 사용자가 지정한 중심 위치를 수신한 후, 지정된 중심 위치를 원 화상의 중심으로서 취한다.
목표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화상 변형 처리의 결과를 출력함으로써 화상 변형 처리의 효과를 체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상 변형 처리의 결과를 확인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단지 원 화상 및 목표 형상을 입력할 필요가 있을 뿐이고, 마우스에 의한 원 화상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없이 자동적으로 화상 변형 처리가 완료되어, 조작이 간단하고 고정밀도로 된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옵션에 따라 목표 형상을 지정하여 원 화상을 지정된 목표 형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변형하는 화상을 유연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는, 목표 형상이 변형 화상의 형상이고, 즉 원 화상을 화상 변형 처리 후에 목표 형상으로 변형할 필요가 있다. 목표 형상은 사용자의 요구 사항에 따라 자유롭게 지정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그려진 그래프의 형상일 수 있으며, 미리 정의된 형상들로부터 선택된 형상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03)는 그려진 그래프를 수신하고, 그려진 그래프의 형상을 목표 형상으로 결정하거나, 미리 정의된 그래프로부터 선택된 그래프를 수신하고, 선택된 그래프의 형상을 목표 형상으로서 결정함으로써 목표 형상을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변형은 전체 화상 변형일 수 있거나, 국부적인 화상 변형일 수 있다. 먼저 원 화상을 단편화하는 단계, 단편화된 화상의 모든 화상 단편을 변형하는 단계, 및 단편화된 화상의 모든 변형된 화상 단편을 스티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 바람직한 구현 해결책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03)는 원 화상을 단편화하고; 원 화상의 중심에 대한 에지에서의 변형 비율에 기초하여 단편화된 화상의 모든 화상 단편을 변형시키고; 단편화된 화상의 모든 변형된 화상 단편을 스티칭하여 목표 화상을 취득함으로써, 원 화상의 중심에 대한 에지에서의 변형 비율에 기초하여 원 화상을 목표 화상으로 변형하도록 구성된다.
목표 화상의 에지가 목표 화상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에지의 변형 정도가 커지기 때문에, 원 화상을 단편화한 후의 변형 처리에서, 화상 단편이 에지에 가까울수록, 화상 단편의 변형 정도가 커지고, 중심 영역에서의 화상 단편은 낮은 변형 정도를 갖는다. 따라서, 원 화상의 과도한 단편화를 피할 수 있고, 이는 화상 스티칭과 같은 후속 작업의 계산량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03)는 원 화상을 화상 단편으로 단편화하여, 화상 단편이 원 화상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화상 단편의 면적이 작아지도록 원 화상을 단편화하도록 구성된다.
실제 요구 사항에 기초하여,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목표 형상과 원 화상 간의 연관성이 설정될 수 있다. 목표 형상과 원 화상 간의 연관성이 설정되면, 전자 디바이스는 원 화상을 목표 형상으로 변형시키는 요구 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03)는 또한 원 화상을 목표 화상으로 변형하기 전에, 원 화상을 목표 형상으로 드래그하는 명령을 수신하거나 목표 형상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고; 원 화상을 목표 화상으로 변형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 변형 비례 파라미터는 중심 위치에서 화상 단편들의 변형에 대한 에지 위치 근처의 화상 단편들의 변형의 변형 비율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변형 비율이 클수록, 에지 위치 근처의 화상 단편의 변형 정도가 커지고; 그렇지 않으면 변형 정도가 작아진다. 본 실시예에서, 변형 비례 파라미터를 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03)는 또한 목표 화상을 디스플레이한 후에, 또는 원 화상을 목표 화상으로 변형하기 전에, 변형 비례 파라미터에 대한 조정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변형 비례 파라미터의 값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변형 비례 파라미터를 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많은 특정 구현예가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예로서 2개의 선택적인 구현예가 제공된다. 파라미터를 입력하는 임의의 모드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으며, 다음의 예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제한으로서 고려되어서는 안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조정 인터페이스는 슬라이더를 통해 변형 비례 파라미터를 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또는 파라미터 입력 박스를 통해 변형 비례 파라미터를 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서는 다른 화상 변형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와 관련된 콘텐츠만이 설명의 편의상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 기술되지 않은 특정 기술적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본 개시내용의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참조할 수 있다. 단말기는 이동 전화, 태블릿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OS(point of sales), 온보드 컴퓨터 및 임의의 다른 단말기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이동 전화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단말기와 관련된 이동 전화의 구조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전화는 무선 주파수(RF) 회로(910), 메모리(920), 입력 유닛(930), 디스플레이 유닛(940), 센서(950), 오디오 회로(960), WiFi(wireless fidelity) 모듈(970), 프로세서(980) 및 전원(990) 등을 포함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동 전화가 도 9에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도 9의 이동 전화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거나, 컴포넌트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거나, 컴포넌트의 다른 배열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동 전화의 각 컴포넌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도 9와 함께 이루어진다.
RF 회로(910)는 정보를 송수신 처리하는 동안, 특히 기지국의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처리하기 위해 프로세서(980)로 전달하기 위해 호출하는 동안 신호를 송수신하고; 관련된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RF 회로(910)는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LNA) 및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RF 회로(910)는 네트워크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GSM(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전자 메일 및 SMS(Short Messaging Service)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메모리(920)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980)는, 메모리(92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실행함으로써, 이동 전화에서의 모든 종류의 기능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920)는 주로 프로그램 메모리 영역 및 데이터 메모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예를 들면, 오디오 재생 기능, 화상 표시 기능 등)에 의해 요구되는 운영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메모리 영역은 이동 전화의 활용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예를 들면, 오디오 데이터, 폰북(phonebook)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920)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휘발성 고체 메모리와 같은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유닛(930)은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또는 이동 전화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유닛(930)은 터치 감지 패널(931) 및 다른 입력 디바이스(932)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 패널(931)은 또한 사용자에 의해 또는 그 근처에서의 터치 조작(예를 들면, 사용자가 손가락, 터치 펜 및 임의의 다른 이용 가능한 물체 또는 액세서리를 통해 수행하는 터치 감지 패널(931) 상에서의 또는 터치 감지 패널(931) 근처에서의 조작)을 수집하고 미리 설정된 형태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연결된 디바이스를 구동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을 지칭한다. 선택적으로, 터치 감지 패널(931)은 터치 검출 디바이스 및 터치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검출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터치 위치와 터치 조작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검출하여 그 신호를 터치 제어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터치 제어기는 터치 검출 디바이스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터치 스팟 좌표로 변환하고, 그 터치 스팟 좌표를 프로세서(980)로 전송하고, 프로세서(980)부터 전송된 명령을 수신하여 그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터치 감지 패널(931)은 저항형, 커패시턴스형, 적외선 및 표면 탄성면파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 유닛(930)은 또한 터치 감지 패널(931) 이외에 다른 입력 디바이스(9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른 입력 디바이스(932)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 키(예를 들어, 볼륨 제어 키, 온/오프 키 등), 트랙볼, 마우스 및 조작 레버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940)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 및 이동 전화의 다양한 메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940)은 디스플레이 패널(94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이 디스플레이 패널(941)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터치 감지 패널(931)은 디스플레이 패널(941)을 덮을 수 있다. 터치 감지 패널(931)이 그 상에서의 또는 그 근처에서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면, 터치 감지 패널(931)은 그 터치 조작을 프로세서(980)에 전송하여 터치 이벤트의 유형을 결정한다. 이후, 프로세서(980)는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941) 상에 대응하는 비전 출력을 제공한다. 도 9에서, 터치 감지 패널(931)과 디스플레이 패널(941)은 이동 전화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2개의 독립적인 컴포넌트이지만, 일부 실시예에서는 터치 감지 패널(931) 및 디스플레이 패널(941)이 이동 전화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실현하도록 통합될 수도 있다.
이동 전화는 또한 광학 센서, 움직임 센서 및 다른 센서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센서(9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 센서는 주변 광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 광 센서는 주변 광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941)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으며, 근접 센서는 이동 전화가 귀로 이동할 때 디스플레이 패널(941) 및/또는 백라이트를 차단할 수 있다. 일종의 운동 센서로서, 중력 가속도 센서는 어느 방향(일반적으로 3축 방향)에서의 가속도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고, 정지 상태에서 중력의 크기 및 방향을 검출할 수 있고, 이동 전화 제스처(예를 들어, 풍경/인물 모드 전환, 관련 게임 및 자력계 자세 교정)의 인식, 진동 인식(예를 들어, 만보계 및 노크)에 관련된 기능 등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다.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과 같이, 이동 전화에 장착될 수 있는 다른 센서의 경우, 여기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자세한 설명을 하지 않았다.
오디오 회로(960), 확성기(961) 및 마이크로폰(962)은 사용자와 이동 전화 사이에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회로(960)는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변환된 수신 전기 신호를 확성기(961)로 송신할 수 있고, 확성기(961)는 전기 신호를 사운드 신호로 변환하여 이를 출력한다. 한편, 마이크로폰(962)은 수집된 사운드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이 전기 신호는 오디오 회로(960)에 의해 수신되어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한다. 오디오 데이터는 프로세서(980)로 출력되어 프로세서(980)에 의해 처리되고; 최종적으로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RF 회로(910)를 통해 단말기와 같은 디바이스로 전송되거나, 오디오 데이터는 추가적인 처리를 위해 메모리(920)로 출력된다.
WiFi는 근거리 무선 전송 기술이다. 이동 전화는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하는 WiFi 모듈(970)을 통해 사용자가 이메일을 수신 및 송신하고, 웹사이트를 브라우징하고, 스트리밍 미디어 등을 방문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비록 WiFi 모듈(970)이 도 9에 도시되어 있지만, WiFi 모듈(970)은 이동 전화의 필수 컴포넌트가 아니며, 본 개시내용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프로세서(980)는 이동 전화의 제어 센터이며, 각종 인터페이스 및 회로를 이용하여 이동 전화의 각 부를 접속시키고, 메모리(92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과 메모리(920)에 저장된 호출 데이터를 구동 또는 실행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행하고 이동 전화의 데이터를 처리하여, 이동 전화에 대한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980)는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변조 복조 프로세서가 프로세서(980)에 통합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 시스템, 사용자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처리하지만; 변조 복조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변조 복조 프로세서는 프로세서(980)에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동 전화는 모든 컴포넌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990)(예를 들어, 배터리)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원은 전력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980)에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요금 관리, 방전 관리 및 전력 관리 등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동 전화는 카메라, 블루투스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여기서는 간단히 하기 위해 설명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이 실시예에서, 메모리(920)는 하나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원 화상을 취득하고, 목표 형상을 취득하는 동작; 원 화상의 중심에 대한 에지에서의 변형 비율에 기초하여 원 화상을 목표 화상으로 변형시켜 원 화상을 단편화하는 동작; 단편화된 화상의 모든 화상 단편을 변형하여, 목표 화상의 에지가 목표 화상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목표 화상의 에지의 변형 정도가 커지고, 목표 화상의 형상은 목표 형상이 되도록 하는 동작; 및 목표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도 1에 도시된 상술한 화상 변형 방법에서의 다른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한다.
디바이스의 실시예에서의 유닛의 분할은 논리 기능에 기초하고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유닛의 다른 분할은 대응하는 기능을 달성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각 기능 유닛의 구체적인 명칭은 구별을 위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려고 사용되지는 않는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상술한 실시예들의 방법들에서의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프로그램을 통해 지시된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프로그램은 RO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단지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내용의 범위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개시내용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쉽게 일어날 수 있는 임의의 변형 또는 대체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범위에 속할 것이다.

Claims (16)

  1. 화상 변형 방법으로서,
    원 화상 - 상기 원 화상은 기하학적 점 중심(geometric point center)을 가짐 - 을 취득하고, 목표 형상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원 화상의 상기 기하학적 점 중심에서의 변형에 대한 상기 원 화상의 에지에서의 변형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원 화상 전체를 목표 화상으로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원 화상을 복수의 화상 단편으로 단편화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화상 단편의 각각에 대하여:
    (i) 상기 원 화상의 상기 기하학적 점 중심에서의 변형에 대한 상기 원 화상의 상기 에지에서의 변형의 상기 비율 및 (ii) 상응하는, 상기 화상 단편과 상기 원 화상에서의 상기 기하학적 점 중심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단편을 변형시켜, 상기 화상 단편이 상기 원 화상의 상기 기하학적 점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목표 화상 내의 상기 화상 단편의 변형된 상대 화상 단편(deformed counterpart image fragment)의 변형 정도가 커지고, 상기 목표 화상의 형상이 상기 목표 형상이 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변형된 화상 단편들 전부를 스티칭(stitching)하여 상기 목표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화상 변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형상을 취득하는 단계는,
    그려진 그래프를 수신하여 상기 그려진 그래프의 형상을 목표 형상으로서 결정하는 단계; 또는
    미리 정의된 그래프로부터 선택된 그래프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그래프의 형상을 목표 형상으로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 변형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화상 단편이 상기 원 화상의 상기 기하학적 점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화상 단편의 면적이 작아지는 화상 변형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 화상 전체를 목표 화상으로 변형하기 전에,
    상기 원 화상을 상기 목표 형상으로 드래그하는 명령을 수신하거나, 상기 목표 형상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 변형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화상을 디스플레이한 후에, 또는 상기 원 화상 전체를 목표 화상으로 변형하기 전에,
    변형 비례 파라미터에 대한 조정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변형 비례 파라미터의 값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 변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인터페이스는,
    상기 변형 비례 파라미터를 슬라이더를 통해 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변형 비례 파라미터를 파라미터 입력 박스를 통해 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화상 변형 방법.
  8. 화상 변형 디바이스로서,
    원 화상 - 상기 원 화상은 기하학적 점 중심을 가짐 - 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화상 취득 유닛;
    목표 형상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형상 취득 유닛;
    상기 원 화상의 상기 기하학적 점 중심에서의 변형에 대한 상기 원 화상의 에지에서의 변형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원 화상 전체를 목표 화상으로 변형하고,
    상기 원 화상을 복수의 화상 단편으로 단편화하도록 구성된 변형 유닛 -상기 변형 유닛은 또한, 상기 복수의 화상 단편의 각각에 대하여,
    (i) 상기 원 화상의 상기 기하학적 점 중심에서의 변형에 대한 상기 원 화상의 상기 에지에서의 변형의 상기 비율 및 (ii) 상응하는, 상기 화상 단편과 상기 원 화상에서의 상기 기하학적 점 중심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단편을 변형시켜, 상기 화상 단편이 상기 원 화상의 상기 기하학적 점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목표 화상 내의 상기 화상 단편의 변형된 상대 화상 단편의 변형 정도가 커지고, 상기 목표 화상의 형상이 상기 목표 형상이 되도록 하고,
    상기 단편화된 화상의 상기 변형된 화상 단편들 전부를 스티칭하여 상기 목표 화상을 취득하도록 구성됨-; 및
    상기 목표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유닛
    을 포함하는 화상 변형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취득 유닛은,
    그려진 그래프를 수신하여 상기 그려진 그래프의 형상을 목표 형상으로서 결정하거나;
    미리 정의된 그래프로부터 선택된 그래프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그래프의 형상을 목표 형상으로서 결정하도록 구성된 화상 변형 디바이스.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화상 단편이 상기 원 화상의 상기 기하학적 점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화상 단편의 면적이 작아지는 화상 변형 디바이스.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유닛이 상기 원 화상을 상기 목표 화상으로 변형하기 전에, 상기 원 화상을 상기 목표 형상으로 드래그하는 명령을 수신하거나 상기 목표 형상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형상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화상 변형 디바이스.
  13.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또한 상기 목표 화상을 디스플레이한 후에 또는 상기 변형 유닛이 상기 원 화상을 상기 목표 화상으로 변형하기 전에, 변형 비례 파라미터에 대한 조정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변형 비례 파라미터의 값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는 화상 변형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또한
    상기 변형 비례 파라미터를 슬라이더를 통해 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변형 비례 파라미터를 파라미터 입력 박스를 통해 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화상 변형 디바이스.
  15. 화상 변형 디바이스로서,
    저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를 실행하여 상기 화상 변형 디바이스가 화상 변형 방법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원 화상 - 상기 원 화상은 기하학적 점 중심을 가짐 - 을 취득하고, 목표 형상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원 화상의 상기 기하학적 점 중심에서의 변형에 대한 상기 원 화상의 에지에서의 변형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원 화상 전체를 목표 화상으로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원 화상을 복수의 화상 단편으로 단편화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화상 단편의 각각에 대하여:
    (i) 상기 원 화상의 상기 기하학적 점 중심에서의 변형에 대한 상기 원 화상의 상기 에지에서의 변형의 상기 비율 및 (ii) 상응하는, 상기 화상 단편과 상기 원 화상에서의 상기 기하학적 점 중심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단편을 변형시켜, 상기 화상 단편이 상기 원 화상의 상기 기하학적 점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목표 화상 내의 상기 화상 단편의 변형된 상대 화상 단편의 변형 정도가 커지고, 상기 목표 화상의 형상이 상기 목표 형상이 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변형된 화상 단편들 전부를 스티칭하여 상기 목표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화상 변형 디바이스.
  16.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 명령어는, 계산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저장 매체가 화상 변형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방법은,
    원 화상 - 상기 원 화상은 기하학적 점 중심(geometric point center)을 가짐 - 을 취득하고, 목표 형상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원 화상의 상기 기하학적 점 중심에서의 변형에 대한 상기 원 화상의 에지에서의 변형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원 화상 전체를 목표 화상으로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원 화상을 복수의 화상 단편으로 단편화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화상 단편의 각각에 대하여:
    (i) 상기 원 화상의 상기 기하학적 점 중심에서의 변형에 대한 상기 원 화상의 상기 에지에서의 변형의 상기 비율 및 (ii) 상응하는, 상기 화상 단편과 상기 원 화상에서의 상기 기하학적 점 중심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단편을 변형시켜, 상기 화상 단편이 상기 원 화상의 상기 기하학적 점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목표 화상 내의 상기 화상 단편의 변형된 상대 화상 단편의 변형 정도가 커지고, 상기 목표 화상의 형상이 상기 목표 형상이 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변형된 화상 단편들 전부를 스티칭하여 상기 목표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 및
    상기 목표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177030333A 2015-07-30 2016-06-22 화상 변형 처리 방법,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KR102007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460354.9A CN106408508B (zh) 2015-07-30 2015-07-30 一种图像变形处理方法及装置
CN201510460354.9 2015-07-30
PCT/CN2016/086653 WO2017016344A1 (zh) 2015-07-30 2016-06-22 一种图像变形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911A KR20170129911A (ko) 2017-11-27
KR102007595B1 true KR102007595B1 (ko) 2019-08-05

Family

ID=57884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0333A KR102007595B1 (ko) 2015-07-30 2016-06-22 화상 변형 처리 방법,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82818B2 (ko)
EP (1) EP3330918B1 (ko)
JP (1) JP6510676B2 (ko)
KR (1) KR102007595B1 (ko)
CN (1) CN106408508B (ko)
WO (1) WO20170163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0630A (zh) * 2018-04-17 2019-10-29 上海碧虎网络科技有限公司 图像变形方法、装置、存储介质、显示系统和汽车
CN110189250B (zh) * 2019-05-28 2023-03-24 成都依能科技股份有限公司 图片裁剪方法
CN112634124B (zh) * 2020-12-10 2024-04-12 深兰工业智能创新研究院(宁波)有限公司 图像变形方法、图像变形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5257A (ja) * 2008-08-27 2010-03-11 Seiko Epson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8940A (ja) * 1992-10-02 1994-04-28 Alps Electric Co Ltd 画像データ編集装置および方法
JP3449563B2 (ja) * 1993-09-10 2003-09-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画像データ編集方法
KR100532635B1 (ko) 2002-07-26 2005-12-01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외형 검사를 위한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
JP4403271B2 (ja) * 2004-03-31 2010-01-2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金属の結晶粒界解析方法
US7650266B2 (en) * 2005-05-09 2010-01-19 Nvidia Corporation Method of simulating deformable object using geometrically motivated model
CN100550051C (zh) * 2007-04-29 2009-10-14 威盛电子股份有限公司 图像变形的方法
CN101742125B (zh) * 2008-11-27 2012-07-04 义晶科技股份有限公司 鱼眼图像校正及减轻透视变形的图像处理方法及相关装置
JP5741917B2 (ja) * 2011-03-31 2015-07-0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画像処理プログラム
CN102163129A (zh) * 2011-04-26 2011-08-2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实现图标变形的方法及装置
CN102393951B (zh) * 2011-06-30 2014-10-29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人脸模型的变形方法
CN102681775A (zh) * 2012-04-13 2012-09-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区域控制方法、系统及移动终端
JP5790948B2 (ja) * 2013-01-10 2015-10-0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変形処理装置および画像変形処理方法
CN103929584B (zh) * 2013-01-15 2017-11-03 瑞昱半导体股份有限公司 图像校正方法及图像校正电路
CN103729849A (zh) * 2013-12-31 2014-04-16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数字图像变形初值的计算方法
CN103810739B (zh) * 2014-02-20 2017-01-04 南京师范大学 一种图像文字变形动画的生成方法
CN103902730B (zh) * 2014-04-15 2017-05-03 中国科学院自动化研究所 一种缩略图生成方法和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5257A (ja) * 2008-08-27 2010-03-11 Seiko Epson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30918A1 (en) 2018-06-06
WO2017016344A1 (zh) 2017-02-02
JP6510676B2 (ja) 2019-05-08
EP3330918A4 (en) 2019-03-13
US10282818B2 (en) 2019-05-07
EP3330918B1 (en) 2020-09-23
CN106408508A (zh) 2017-02-15
KR20170129911A (ko) 2017-11-27
US20170372451A1 (en) 2017-12-28
CN106408508B (zh) 2019-07-09
JP2018522305A (ja)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9054B1 (ko) 터치 패드를 사용하여 이동 단말의 촬영 초점 거리를 조절하는 방법 및 이동 단말
US9740671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generating a webpage from an original design file comprising layers
CN105975190B (zh) 一种图形界面的处理方法、装置及系统
WO2015078293A1 (zh) 音效处理方法、装置、插件管理器及音效插件
KR20150129423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스처 인식 방법 및 전자 장치
EP3699743B1 (en) Image view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07251536A (zh) 一种移动终端显示多个应用窗口的方法及移动终端
WO2021129536A1 (zh) 图标移动方法及电子设备
US20150212693A1 (en) Intera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isting data on mobile terminal
CN109683802B (zh) 一种图标移动方法及终端
CN108228902B (zh) 一种文件显示方法及移动终端
US10463965B2 (en) Control method of scene sound effect and related products
JP2016511875A (ja) 画像サムネイルの生成方法、装置、端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11290591B2 (en) Dial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07957841B (zh) 滚动截屏方法及装置
JP7324949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共有方法、第1電子機器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KR102007595B1 (ko) 화상 변형 처리 방법,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US20200310771A1 (en) Application Processing Method for Terminal Device, and Terminal Device
CN109542307B (zh) 一种图像处理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5513098B (zh) 一种图像处理的方法和装置
CN106204588B (zh) 一种图像处理方法和装置
US10110720B2 (en) Dialing method for user terminal and user terminal
CN110825285B (zh) 一种文本复制方法及移动终端
WO2017035740A9 (zh) 一种选择文本的方法
WO2017035794A1 (zh) 显示器操作的方法、装置、用户界面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