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341B1 - 철근 부착 강도가 우수한 콘크리트 박리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철근 부착 강도가 우수한 콘크리트 박리제 - Google Patents

철근 부착 강도가 우수한 콘크리트 박리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철근 부착 강도가 우수한 콘크리트 박리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341B1
KR102007341B1 KR1020170142719A KR20170142719A KR102007341B1 KR 102007341 B1 KR102007341 B1 KR 102007341B1 KR 1020170142719 A KR1020170142719 A KR 1020170142719A KR 20170142719 A KR20170142719 A KR 20170142719A KR 102007341 B1 KR102007341 B1 KR 102007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weight
concrete
parts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2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8147A (ko
Inventor
박두연
Original Assignee
박두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두연 filed Critical 박두연
Priority to KR1020170142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341B1/ko
Publication of KR20190048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3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38Treating surfaces of moulds, cores, or mandrels to prevent sticking
    • B28B7/384Tre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38Treating surfaces of moulds, cores, or mandrels to prevent sticking
    • B28B7/388Treating surfaces of moulds, cores, or mandrels to prevent sticking with liquid material, e.g. lubric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부착 강도가 우수한 콘크리트 박리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철근 부착 강도가 우수한 콘크리트 박리제에 관한 것으로, 미네랄 오닐에 로진유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1 교반물을 얻는 단계(단계 1); 상기 제1 교반물에 옥배유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2 교반물을 얻는 단계(단계 2); 상기 제2 교반물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3 교반물을 얻는 단계(단계 3); 상기 제3 교반물에 물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4 교반물을 얻는 단계(단계 4); 및 상기 제4 교반물에 소포제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콘크리트 박리제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5); 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며,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무해하며 VOC나 환경호르몬이 전혀 검출되지 않으며, 콘크리트 박리효과가 우수하고, 철근 부착 강도가 우수하며, 몰드에 도포시에도 분무기를 이용하여 도포가 가능하고, 우천시에도 유성 박리제보다 강한 수저항성을 가지고 있으며, 형틀의 변형을 막아주고, 내구성을 증진시키며,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철근 부착 강도가 우수한 콘크리트 박리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철근 부착 강도가 우수한 콘크리트 박리제{Manufacturing Method of Concrete Form Oil having execellent Adhesion Strength with Steel and Concrete Form Oil manufactured thereof}
본 발명은 철근 부착 강도가 우수한 콘크리트 박리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철근 부착 강도가 우수한 콘크리트 박리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무해하며 VOC나 환경호르몬이 전혀 검출되지 않으며, 콘크리트 박리효과가 우수하고, 철근 부착 강도가 우수한 콘크리트 박리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철근 부착 강도가 우수한 콘크리트 박리제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파일, 하안 블록 또는 콘크리트 바닥재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작할 때는 제작하고자 하는 물체의 형상에 맞도록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판재를 이용하여 거푸집(금형)을 만든 다음, 이 거푸집 속에 시멘트와 모래 및 자갈로 이루어진 콘크리트를 주입한 후 양생시킨 다음 거푸집을 분리(탈형)함으로써 제작하는데, 이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거푸집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와 거푸집 간의 결합력에 의해 거푸집이 쉽게 분리되지 않거나 또는 거푸집과 함께 콘크리트의 일부가 떨어져나가는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 콘크리트가 일부 떨어져 나간 부분을 수작업으로 일일이 메워야 하기 때문에 많은 제작시간과 인력이 소모된다.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거푸집이 분리되지 않거나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부가 거푸집과 함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거푸집을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먼저 거푸집의 내부 표면에 박리제(또는 이형제)를 도포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작하는데, 이때 일반적으로 박리제로서 폐유를 사용하거나, 또는 윤활유, 등유, 경유, 등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석유류에 적당량의 점착제를 용해시킨 것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폐유나 석유류에 점착제가 용해된 박리제를 거푸집의 표면에 도포하게 되면 석유성분은 증발하고 잔존하는 점착제 성분이 피막을 형성하게 되며, 이에 의해 거푸집이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박리제로서 석유성분이 포함된 폐유 등의 지용성을 사용할 경우 환경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탈형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박리제(폐유)가 잔류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오염시키거나 검은색으로 착색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박리제가 오랜 기간에 걸쳐 빗물 등에 씻겨 토양이나 하천 등에 유입됨으로써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지용성 박리제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친환경적이면서도 물에 쉽게 녹을 수 있는 수용성 박리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 하나의 예로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76161호(2014.03.19.)에 개시된 친환경 수용성 콘크리트 거푸집 박리제를 들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 박리제는 미네랄오일 70~85중량%, 고급 알코올 유도체 5~10중량%, 코코넛 지방산 유도체 1~5중량%, 호박산 유도체 0.5~3중량%, 글리세린 1~5중량% 및 설포네이트 2~8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 박리제에는 스프레이 도포법을 적용할 수 있어 용이하게 작업 수행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글리세린이 포함되어 있어 물에 쉽게 녹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75184호(2014.12.22.)에는 물 70~80체적%, 로진 분말 15~25체적%, 한지 2~3체적% 및 계면활성제 1~2체적%를 포함하는 친환경 수용성 콘크리트 거푸집 박리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친환경 수용성 콘크리트 거푸집 박리제는 친환경적인 물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지만, 슬라브(상판)에 적용이 가능할 뿐, 압력이 전달되는 벽면, 측면, 터널 등에서는 그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KR 10-1376161 B1 2014.03.19. KR 10-1475184 B1 2014.12.22.
본 발명의 목적은,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무해하며 VOC나 환경호르몬이 전혀 검출되지 않으며, 콘크리트 박리효과가 우수하고, 철근 부착 강도가 우수한 콘크리트 박리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철근 부착 강도가 우수한 콘크리트 박리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미네랄 오닐에 로진유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1 교반물을 얻는 단계(단계 1); 상기 제1 교반물에 옥배유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2 교반물을 얻는 단계(단계 2); 상기 제2 교반물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3 교반물을 얻는 단계(단계 3); 상기 제3 교반물에 물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4 교반물을 얻는 단계(단계 4); 및 상기 제4 교반물에 소포제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콘크리트 박리제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5); 를 포함하는, 철근 부착 강도가 우수한 콘크리트 박리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1은 미네랄 오일 100중량부에 로진유 1~5중량부를 첨가하고 5분 동안 교반한다.
상기 단계 2는 상기 제1 교반물에 옥배유를 첨가하고 5분 동안 교반하되, 상기 옥배유는 상기 미네랄 오일 100중량부에 대하여 12~20중량부를 첨가한다.
상기 단계 3은 상기 제2 교반물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고 15분 동안 교반하되, 상기 계면활성제는 디옥틸술포숙신나트륨염(Dioctyl Sulfosuccunate Sodium Salt) 및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Polyoxyethylene Oleyl Ether)를 사용하며, 상기 미네랄 오일 100중량부에 대하여 디옥틸술포숙신나트륨염(Dioctyl Sulfosuccunate Sodium Salt) 5~10중량부 및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Polyoxyethylene Oleyl Ether) 1~5중량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되, 미네랄 오닐, 로진유, 옥배유, 디옥틸술포숙신나트륨염(Dioctyl Sulfosuccunate Sodium Salt) 및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Polyoxyethylene Oleyl Ether)를 포함하는, 철근 부착 강도가 우수한 콘크리트 박리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 부착 강도가 우수한 콘크리트 박리제는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무해하며 VOC나 환경호르몬이 전혀 검출되지 않으며, 콘크리트 박리효과가 우수하고, 철근 부착 강도가 우수하며, 몰드에 도포시에도 분무기를 이용하여 도포가 가능하고, 우천시에도 유성 박리제보다 강한 수저항성을 가지고 있으며, 형틀의 변형을 막아주고, 내구성을 증진시키며,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부착 강도가 우수한 콘크리트 박리제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철근 부착 강도가 우수한 콘크리트 박리제의 제조방법은,
미네랄 오닐에 로진유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1 교반물을 얻는 단계(단계 1);
상기 제1 교반물에 옥배유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2 교반물을 얻는 단계(단계 2);
상기 제2 교반물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3 교반물을 얻는 단계(단계 3);
상기 제3 교반물에 물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4 교반물을 얻는 단계(단계 4); 및
상기 제4 교반물에 소포제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콘크리트 박리제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5);
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1은 미네랄 오일 100중량부에 로진유 1~5중량부를 첨가하고 5분 동안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네랄 오닐 100중량부에 로진유를 1중량부 미만 포함하면 탈형 효과가 미흡한 문제가 있고, 5중량부 초과 포함되어도 더 이상 탈형 효과가 증가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2는 상기 제1 교반물에 옥배유를 첨가하고 5분 동안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옥배유는 옥수수의 배아로부터 채유한 기름을 의미한다.
상기 옥배유는 상기 미네랄 오일 100중량부에 대하여 12~20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네랄 오일 100중량부에 대하여 옥배유를 12중량부 미만 포함하면 기포 발생을 막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20중량부 초과 포함하면 기포 발생은 막아주나 전체 유화에 나쁜 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다.
상기 단계 3은 상기 제2 교반물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고 15분 동안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디옥틸술포숙신나트륨염(Dioctyl Sulfosuccunate Sodium Salt) 및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Polyoxyethylene Oleyl Eth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네랄 오일 100중량부에 대하여 디옥틸술포숙신나트륨염(Dioctyl Sulfosuccunate Sodium Salt) 5~10중량부 및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Polyoxyethylene Oleyl Ether) 1~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네랄 오일 100중량부에 대하여 디옥틸술포숙신나트륨염(Dioctyl Sulfosuccunate Sodium Salt)을 5중량부 미만 포함하면 유화도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고, 10중량부 초과 포함되면 점도가 너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미네랄 오일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Polyoxyethylene Oleyl Ether) 1중량부 미만 포함하면 유화 안전성에 문제가 있고, 5중량부 초과 포함되어도 더 이상 기포발생을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상기 단계 4는 상기 제3 교반물에 물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교반하여 제4 교반물을 얻는 단계이다.
상기 물은 상기 미네랄 오일 100중량부에 대하여 30~60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은 전체량을 일시에 첨가할 경우 양호한 유화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우므로, 물 전체 중량 대비 1/5에 해당하는 양을 다섯 차례에 걸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5는 상기 제4 교반물에 소포제를 첨가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여 콘크리트 박리제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소포제는 상기 미네랄 오일 100중량부에 대하여 0.1~0.2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되, 미네랄 오닐, 로진유, 옥배유, 디옥틸술포숙신나트륨염(Dioctyl Sulfosuccunate Sodium Salt) 및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Polyoxyethylene Oleyl Ether)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박리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 부착 강도가 우수한 콘크리트 박리제는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무해하며 VOC나 환경호르몬이 전혀 검출되지 않으며, 콘크리트 박리효과가 우수하고, 철근 부착 강도가 우수하며, 몰드에 도포시에도 분무기를 이용하여 도포가 가능하고, 우천시에도 유성 박리제보다 강한 수저항성을 가지고 있으며, 형틀의 변형을 막아주고, 내구성을 증진시키며,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미네랄 오일 100중량부에 로진유 3중량부를 첨가하고 5분 동안 교반하여 제1 교반물을 만들었다. 상기 제1 교반물에 옥배유를 첨가하고 5분 동안 교반하여 제2 교반물을 만들었다. 상기 옥배유는 상기 미네랄 오일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에 해당하는 양을 첨가하였다. 상기 제2 교반물에 디옥틸술포숙신나트륨염(Dioctyl Sulfosuccunate Sodium Salt) 및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Polyoxyethylene Oleyl Ether)를 첨가하고 15분 동안 교반하여 제3 교반물을 만들었다. 상기 미네랄 오일 100중량부에 대하여 디옥틸술포숙신나트륨염(Dioctyl Sulfosuccunate Sodium Salt) 7중량부 및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Polyoxyethylene Oleyl Ether) 3중량부에 해당하는 양을 첨가하였다. 상기 제3 교반물에 물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교반하여 제4 교반물을 만들었다. 상기 물은 상기 미네랄 오일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부에 해당하는 양을 첨가하였다. 상기 물은 물 전체 중량 대비 1/5에 해당하는 양을 다섯 차례에 걸쳐 첨가하였다. 상기 제4 교반물에 소포제를 첨가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여 철근 부착 강도가 우수한 콘크리트 박리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소포제는 상기 미네랄 오일 100중량부에 대하여 0.1중량부에 해당하는 양을 첨가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철근 부착 강도가 우수한 콘크리트 박리제를 철근 표면에 도포 후 콘크리트 공시체를 3개씩 제작하여 인발 시험을 각 3회씩 실시하였다. 부착 강도의 평가를 위해 대조군으로는 콘크리트 박리제를 도포하지 않은 것을 비교예 1로 하였다. 철근-콘크리트 부착응력 시험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콘크리트는 물 168㎏/㎥, 시멘트 350㎏/㎥, 잔골재 850 ㎏/㎥, 굵은골재 1,043㎏/㎥을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단위
시험검사
방법
시험 검사결과
1 2 3 Avg.
최대인발
부착하중
(재령28일)
실시예 1 kN
KS F 2441
62.7 60.0 56.4 59.7
비교예 1 54.4 52.4 49.8 52.2
공칭평균
부착응력
(재령28일)
실시예 1 MPa
KS F 2441
7.02 6.48 6.22 6.57
비교예 1 5.58 5.85 5.45 5.63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철근 부착 강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디옥틸술포숙신나트륨염(Dioctyl Sulfosuccunate Sodium Salt)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하여 콘크리트 박리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Polyoxyethylene Oleyl Ether)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하여 콘크리트 박리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서, 로진유 대신 로진 분말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하여 콘크리트 박리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2]
실시예 1 및 비교예 2 내지 비교예 4에서 제조된 철근 부착 강도가 우수한 콘크리트 박리제를 거푸집의 표면에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하여 박리성능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상태 등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물 168㎏/㎥, 시멘트 350㎏/㎥, 잔골재 850 ㎏/㎥, 굵은골재 1,043㎏/㎥을 배합하여 콘크리트를 제조한 다음, 이 콘크리트를 그 표면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2 내지 비교예 4에서 제조된 콘크리트 박리제가 도포된 상태의 하안블록 성형용 거푸집에 주입하여 H자 형상의 하안블록을 성형한 후, 48시간 동안 상온에서 양생시킨 다음 콘크리트 구조물(하안블록)로부터 거푸집을 탈형하여 박리성능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상태를 살펴보았으며, 이때 하안 블록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용 거푸집은 두께 3㎜의 알루미늄 판재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였다. 표 2에 기재된 박리성능 항목의 수치는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성형용 거푸집을 분리할 때 거푸집 분리의 용이성을 기준으로 5가지(5:매우우수, 4:우수, 3:보통, 2:나쁨, 1:매우 나쁨)의 등급으로 나누어 표시한 것이고, 표면 상태 항목에 있어서 흠결 개수와 최대 직경은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거푸집을 분리할 때 콘크리트의 일부가 거푸집과 함께 분리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이 움푹 파이는 경우와 같은 흠결의 개수와 최대 크기를 말하는 것이다.
구분
박리 성능
표면 상태
흠결 개수 최대 직경(㎜)
실시예 1 5 0 0
비교예 2 2 6 14
비교예 3 3 5 7
비교예 4 4 4 5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콘크리트 박리제는 박리 성능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상태가 양호한 데 비하여, 비교예 2 내지 비교예 4의 콘크리트 박리제는 콘크리트 박리 성능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표면에 큰 기공이 형성되며, 거푸집이 제거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가 부분적으로 박리되면서 표면에 많은 홈이 형성되어 콘크리트의 품질이 낮아 콘크리트 거푸집 박리제로서 사용이 적합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5]
실시예 1에서, 미네랄 오일 100중량부에 로진유 3중량부를 첨가하는 대신 로진유 0.5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하여 콘크리트 박리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실시예 1에서, 미네랄 오일 100중량부에 로진유 3중량부를 첨가하는 대신 로진유 6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하여 콘크리트 박리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실시예 1에서, 미네랄 오일 100중량부에 옥배유 15중량부를 첨가하는 대신 옥배유 11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하여 콘크리트 박리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8]
실시예 1에서, 미네랄 오일 100중량부에 옥배유 15중량부를 첨가하는 대신 옥배유 21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하여 콘크리트 박리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9]
실시예 1에서, 미네랄 오일 100중량부에 디옥틸술포숙신나트륨염(Dioctyl Sulfosuccunate Sodium Salt) 7중량부를 첨가하는 대신 디옥틸술포숙신나트륨염(Dioctyl Sulfosuccunate Sodium Salt) 4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하여 콘크리트 박리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0]
실시예 1에서, 미네랄 오일 100중량부에 디옥틸술포숙신나트륨염(Dioctyl Sulfosuccunate Sodium Salt) 7중량부를 첨가하는 대신 디옥틸술포숙신나트륨염(Dioctyl Sulfosuccunate Sodium Salt) 11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하여 콘크리트 박리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1]
실시예 1에서, 미네랄 오일 100중량부에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Polyoxyethylene Oleyl Ether) 3중량부를 첨가하는 대신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Polyoxyethylene Oleyl Ether) 0.5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하여 콘크리트 박리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2]
실시예 1에서, 미네랄 오일 100중량부에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Polyoxyethylene Oleyl Ether) 3중량부를 첨가하는 대신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Polyoxyethylene Oleyl Ether) 6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하여 콘크리트 박리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3]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5 ~ 12에서 제조한 콘크리트 박리제를 하기와 같은 시험방법으로 박리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시험 결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체 성형용 틀은 KSL 5105(수경성 시멘트 모르터 압축강도 시험방법) 2.4의 시험체 성형용 틀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각각의 박리제를 각각의 성형틀 벽면에 골고루 도포한 다음 KSL 5201(포틀랜드 시멘트)에 규정한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와 KSL 5001(표준사)에 규정한 모래와 물을 1:2.45:0.48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성형틀에 넣고, KSL 5105 9항의 시험체 성형방법에 따라 시험체를 성형한 다음 상온 상습에서 48시간 동안 양생시킨 다음 탈형하여 시험체로 하였다.
시험항목 실시예1 비교예 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비교예10 비교예11 비교예12
콘크리트
박리상태
× × ×
콘크리트
표면상태
× × ×
콘크리트
폼 상태
× × ×
콘크리트원색
유지상태
× ×
기름 기포
상태
×
공기 기포
상태
×
◎:매우 우수, ○:우수, △: 보통, ×:나쁨
표 3에 의하면, 실시예 1의 콘크리트 박리제는 콘크리트의 박리상태, 표면상태, 폼상태, 원색유지 상태, 기름 기포 상태 및 공기 기포 상태가 전반적으로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비교예 5, 9, 11의 콘크리트 박리제는 콘크리트 박리상태, 표면상태, 폼상태가 좋지 않으며, 비교예 7은 기포 상태가 좋은 않는 결과를 보였다.

Claims (5)

  1. 미네랄 오일에 로진유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1 교반물을 얻는 단계(단계 1);
    상기 제1 교반물에 옥배유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2 교반물을 얻는 단계(단계 2);
    상기 제2 교반물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3 교반물을 얻는 단계(단계 3);
    상기 제3 교반물에 물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4 교반물을 얻는 단계(단계 4); 및
    상기 제4 교반물에 소포제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콘크리트 박리제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5);
    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1은 미네랄 오일 100중량부에 로진유 1~5중량부를 첨가하고 5분 동안 교반하며,
    상기 단계 2는 상기 제1 교반물에 옥배유를 첨가하고 5분 동안 교반하며,
    상기 옥배유는 상기 미네랄 오일 100중량부에 대하여 12~20중량부를 첨가하며,
    상기 단계 3은 상기 제2 교반물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고 15분 동안 교반하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디옥틸술포숙신산 나트륨염(Dioctyl Sulfosuccinate Sodium Salt) 및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Polyoxyethylene Oleyl Ether)를 사용하며,
    상기 미네랄 오일 100중량부에 대하여 디옥틸술포숙신산 나트륨염(Dioctyl Sulfosuccinate Sodium Salt) 5~10중량부 및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Polyoxyethylene Oleyl Ether) 1~5중량부를 포함하는,
    철근 부착 강도가 우수한 콘크리트 박리제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142719A 2017-10-30 2017-10-30 철근 부착 강도가 우수한 콘크리트 박리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철근 부착 강도가 우수한 콘크리트 박리제 KR102007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719A KR102007341B1 (ko) 2017-10-30 2017-10-30 철근 부착 강도가 우수한 콘크리트 박리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철근 부착 강도가 우수한 콘크리트 박리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719A KR102007341B1 (ko) 2017-10-30 2017-10-30 철근 부착 강도가 우수한 콘크리트 박리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철근 부착 강도가 우수한 콘크리트 박리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147A KR20190048147A (ko) 2019-05-09
KR102007341B1 true KR102007341B1 (ko) 2019-08-05

Family

ID=66545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719A KR102007341B1 (ko) 2017-10-30 2017-10-30 철근 부착 강도가 우수한 콘크리트 박리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철근 부착 강도가 우수한 콘크리트 박리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34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984B1 (ko) * 2012-04-20 2012-11-21 (주)케미칼코리아 이형성과 스케일업 방지성능이 향상된 단조용 이형제 조성물
KR101376161B1 (ko) 2013-10-18 2014-03-19 유인재 친환경 수용성 콘크리트 거푸집 박리제
WO2017173484A1 (en) * 2016-04-04 2017-10-12 Veedol Lubricants Australia Release agent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27001A (ja) * 1985-04-01 1986-10-09 信越産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ト用水性離型剤
KR101475184B1 (ko) 2014-08-14 2014-12-22 정영종 친환경 수용성 콘크리트 거푸집 박리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984B1 (ko) * 2012-04-20 2012-11-21 (주)케미칼코리아 이형성과 스케일업 방지성능이 향상된 단조용 이형제 조성물
KR101376161B1 (ko) 2013-10-18 2014-03-19 유인재 친환경 수용성 콘크리트 거푸집 박리제
WO2017173484A1 (en) * 2016-04-04 2017-10-12 Veedol Lubricants Australia Release agent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147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ng Effects of compaction method and rubber content on the properties of concrete paving blocks
RU2307810C1 (ru) Бетонная смесь и способ ее приготовления
CN108675671B (zh) 一种3d打印混凝土专用触变剂
KR101626803B1 (ko) 콘크리트 2차 제품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2차 제품 제조 방법
DE102016106196B4 (de) Verwendung von Stabilisatoren zur Stabilisierung eines Schaums, Schäumungsmittel,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luftporenhaltigen Baumaterials und nach den Verfahren erhältliche luftporenhaltige Baumaterialien und Bauprodukte
CN110423074B (zh) 一种用于crts iii型板式轨道天窗施工的高触变性快硬自密实混凝土与制备方法
DE202021103269U1 (de) Hochfester wärme- und schalldämmender gipsbasierter Fließmörtel
CN112142410A (zh) 一种高强高抗渗多层氧化石墨烯混凝土及其制备方法
CN116693326A (zh) 一种轻质泥态固化土及制备方法
CN110256000A (zh) 一种预制复合保温板的生产工艺
KR102007341B1 (ko) 철근 부착 강도가 우수한 콘크리트 박리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철근 부착 강도가 우수한 콘크리트 박리제
CN108484026A (zh) 轻质混凝土浆液及其制备方法
KR102130624B1 (ko) 복합 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용성 콘크리트 박리제의 제조방법
CN110421683A (zh) 一种建筑结构一体化保温墙板的生产工艺
EP2028170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eichtbeton
WO2013064849A4 (en) Glass fiber reinforced thermoset plastic waste doped concret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 same
EP1660416B1 (de) Wärme- und trittschalldämmstoff
DE102016109751B3 (de) Schäumungsmittel für Baustoff-Bindemittelleime und zugehöriges Porenleichtbauprodukt
JP2006036607A (ja) ポリマーセメントモルタル硬化体
US20150368155A1 (en) High carbon cellular concrete
DE3140808C2 (de) Fließfähiger Form- und Kernsand mit organischen Härtern
KR20070032512A (ko) 미수화 시멘트 쵸크 및 그 제조방법
DE102016001791A1 (de) Initiierung der Zementaushärtung durch Zugabe von Kohlendioxid zum Anmachwasser
EP2374767A2 (de) Füllstoff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KR101766420B1 (ko) 스팀양생이 필요없는 사각맨홀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각맨홀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