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927B1 - 신규한 나노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규한 나노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927B1
KR102006927B1 KR1020170091419A KR20170091419A KR102006927B1 KR 102006927 B1 KR102006927 B1 KR 102006927B1 KR 1020170091419 A KR1020170091419 A KR 1020170091419A KR 20170091419 A KR20170091419 A KR 20170091419A KR 102006927 B1 KR102006927 B1 KR 102006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graphene oxide
nanocomposite
met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9541A (ko
Inventor
박호범
강용수
박슬찬
이현희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91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927B1/ko
Publication of KR20190009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20Graphite
    • C01B32/21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 B01D53/228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characterised by specific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3/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2 or 12 of the Periodic Table
    • C07F3/06Zinc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0~40 nm 크기의 활성 기공을 갖는 다공성 2차원 나노소재의 기재; 및 상기 기재 상에 성장된 금속-유기 구조체;를 포함하는 신규한 나노복합체를 제공하며, 상기 나노복합체는 표면적이 현저하게 향상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적은 함량으로도 센서, 촉매 및 분리막 등에 응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신규한 나노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Novel nanocomposi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신규한 나노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십 나노미터 크기의 활성 기공을 갖는 다공성 2차원 나노소재의 기재 상에 금속-유기 구조체를 성장시킴으로써 표면적이 현저하게 향상된 나노복합체를 제조하고, 이를 센서, 촉매 및 분리막 등에 응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금속-유기 구조체(metal organic frameworks, MOF)는 금속 이온 또는 금속 이온 클러스터가 유기 리간드와 배위결합을 통해 형성된 결정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물질이다. 이러한 금속-유기 구조체는 다양한 작용기와 큰 표면적을 가지므로 센서, 촉매, 수소저장, 기체분리 등 많은 분야에 걸쳐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금속-유기 구조체 그 자체로는 결정성이 높아 가공성이 떨어지는바, 나노복합체를 구성하는 첨가제로서 주로 사용되는데, 고분자와 혼합되는 경우에는 유기체인 고분자와 무기체에 가까운 금속-유기 구조체 사이의 상호작용이 좋지 않아 응집 현상이 빈번히 발생함으로써 비활성화의 단점이 있다. 따라서 금속-유기 구조체의 특성을 발현하기 위해서는 매우 높은 농도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금속-유기 구조체의 특성을 개선하고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그래핀과 같은 2차원 나노소재와 융합하여 복합체를 제조하는 연구도 알려져 있는바, 일반적으로 금속-유기 구조체를 2차원 나노시트의 기재 상에 성장시켰을 때 종횡비가 증가하여 표면적이 높을 것이라 기대할 수 있지만, 성장 사이트가 적어 고밀도의 성장이 어렵고 기재 자체의 표면적은 금속-유기 구조체에 비하여 매우 작아 성장 이후의 표면적이 금속-유기 구조체 자체의 표면적보다도 작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그래핀 옥사이드 등의 2차원 나노소재와 금속-유기 구조체의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먼저 2차원 나노소재를 간단한 산화 열수처리 공정에 의해 수십 나노미터 크기의 활성 기공을 갖는 다공성 기재로 만들고, 상기 다공성 2차원 나노소재의 기재 상에 금속-유기 구조체를 성장시키면, 금속-유기 구조체가 균일하게 고밀도로 성장함으로써 나노복합체의 표면적이 현저하게 향상됨을 발견하였고, 나아가 이렇게 얻어진 나노복합체는 고분자와 융합하여 기체분리용 복합막으로 응용할 수 있음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58883호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3095호
비특허문헌 1. Zhu, Q. L. et al. Chemical Society Reviews 2014, 43, 5468-55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10~40 nm 크기의 활성 기공을 갖는 다공성 2차원 나노소재의 기재 상에 금속-유기 구조체를 성장시킴으로써 표면적이 현저하게 향상된 신규한 나노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10~40 nm 크기의 활성 기공을 갖는 다공성 2차원 나노소재의 기재; 및 상기 기재 상에 성장된 금속-유기 구조체;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를 제공한다.
상기 2차원 나노소재는 그래핀, 플루오로그래핀, 그래핀 옥사이드, 육방정계 질화붕소 및 붕소-질소-탄소(BCN)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차원 나노소재는 2차원 칼코겐화합물, 2차원 산화물, 흑린(black phosphorus) 또는 포스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유기 구조체는 제올라이트 이미다졸레이트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2차원 나노소재를 준비하는 단계; II) 상기 2차원 나노소재를 산화열수처리 공정에 의하여 10~40 nm 크기의 활성 기공을 갖는 다공성 2차원 나노소재의 기재를 형성하는 단계; 및 III) 상기 기재 상에 용매 하에서 금속-유기 구조체를 성장시킨 후, 세척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2차원 나노소재는 그래핀, 플루오로그래핀, 그래핀 옥사이드, 육방정계 질화붕소 및 붕소-질소-탄소(BCN)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산화열수처리 공정은 2차원 나노소재를 산화제로 처리한 후, 고압반응기에서 150~200℃로 6~12시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산화제는 과산화수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증류수 또는 이소프로판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기체분리용 고분자 복합막을 제공한다.
상기 기체는 CO2/N2의 혼합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10~40 nm 크기의 활성 기공을 갖는 다공성 2차원 나노소재의 기재 상에 금속-유기 구조체가 균일하게 고밀도로 성장된 나노복합체는 표면적이 현저하게 향상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적은 함량으로도 센서, 촉매 및 분리막 등에 응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2차원 나노소재로서 그래핀 옥사이드의 투과전자현미경(TEM) 이미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형성된 다공성 그래핀 옥사이드의 투과전자현미경(TEM) 이미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다공성 그래핀 옥사이드 기재 상에 성장된 아연-이미다졸 구조체로 이루어진 나노복합체의 투과전자현미경(TEM) 이미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나노복합체(아연-이미다졸 구조체/다공성 그래핀 옥사이드) 분말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이미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아연-이미다졸 구조체(MOF) 및 나노복합체(Composite) 분말의 X-선 회절(XRD) 패턴을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아연-이미다졸 구조체(MOF) 및 나노복합체(Composite)의 BET 기공분포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아연-이미다졸 구조체(MOF) 및 나노복합체(Composite)의 X-선 광전자분석(XPS)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나노복합체(Composite)의 열중량분석(TGA)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아연-이미다졸 구조체(MOF) 및 나노복합체(Composite)의 BET 등온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고분자 복합막(+composite)과 실시예 1에 따른 아연-이미다졸 구조체를 상용화 Pebax-1657 분리막에 혼합한 고분자 복합막(+MOF) 및 상용화 Pebax-1657 분리막 자체(Neat Polymer)의 CO2/N2 분리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고분자 복합막(+composite)과 상용화 Pebax-1657 분리막 자체(Neat Polymer)의 압력증가에 따른 CO2/N2 혼합기체의 선택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나노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는 종래 금속-유기 구조체를 통상의 2차원 나노시트의 기재 상에 성장시키는 과정에서 성장 사이트가 적어 고밀도의 성장이 어렵고 기재 자체의 표면적이 금속-유기 구조체에 비하여 매우 작아 성장 이후의 표면적이 금속-유기 구조체 자체의 표면적보다도 작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먼저 2차원 나노소재를 간단한 산화 열수처리 공정에 의해 수십 나노미터 크기의 활성 기공을 갖는 다공성 기재로 만들고, 이어서 상기 다공성 2차원 나노소재의 기재 상에 금속-유기 구조체를 성장시키면, 금속-유기 구조체가 균일하게 고밀도로 성장함으로써 나노복합체의 표면적이 현저하게 향상됨을 발견한 기술적 사상이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10~40 nm 크기의 기공을 갖는 다공성 2차원 나노소재의 기재; 및 상기 기재 상에 성장된 금속-유기 구조체;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를 제공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층상구조를 이루는 2차원 나노소재로서 그래핀 계열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는바, 그래핀, 플루오로그래핀, 그래핀 옥사이드, 육방정계 질화붕소(hexagonal boron nitride, h-BN) 및 붕소-질소-탄소(BCN)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하며, 특히 최근에 촉매, 센서, 분리막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는 그래핀 옥사이드를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한다.
또한, 2차원 나노소재로서는 상기 그래핀 계열의 물질 이외에 2차원 칼코겐화합물, 2차원 산화물, 흑린(black phosphorus) 또는 포스포린(phosphorene)도 가능하다. 2차원 칼코겐화합물로는 보통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 TMD)로 불리는 MX2(M=전이금속, X=칼코겐원소)로서 MoS2, WS2, MoSe2, WSe2, MoTe2, WTe2, ZrS2, ZrSe2 둥이 있으며, 또한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transition metal trichalcogenide, TMT)로 불리는 MX3로서 TiS3, TiSe3, ZrS3, ZrSe3 등이 있다.
또한, 상기 2차원 산화물로는 MoO3, WO3, TiO2, MnO2, V2O5, TaO3, RuO2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나노복합체의 일 성분으로서 금속-유기 구조체(metal organic frameworks, MOF)는 금속 이온 또는 금속 이온 클러스터가 유기 리간드와 배위결합을 통해 형성된 결정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물질이다. 이때, 상기 금속-유기 구조체로서는 공지된 다양한 물질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MOF 부류 중에서도 높은 열적·화학적 안정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제올라이트 이미다졸레이트 구조체(zeolitic imidazolate framework, ZIF) 계열의 아연-이미다졸 구조체를 바람직하게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나노복합체를 얻기 위하여 I) 2차원 나노소재를 준비하는 단계; II) 상기 2차원 나노소재를 산화열수처리 공정에 의하여 10~40 nm 크기의 기공을 갖는 다공성 2차원 나노소재의 기재를 형성하는 단계; 및 III) 상기 기재 상에 용매 하에서 금속-유기 구조체를 성장시킨 후, 세척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2차원 나노소재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래핀, 플루오로그래핀, 그래핀 옥사이드, 육방정계 질화붕소 및 붕소-질소-탄소(BCN)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하며, 그래핀 옥사이드를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한다.
상기 II) 단계에서는 2차원 나노소재를 대상으로 간단한 산화열수처리 공정을 수행하는바, 2차원 나노소재를 과산화수소와 같은 산화제로 처리한 후, 고압반응기에서 150~200℃로 6~12시간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10~40 nm 크기의 활성 기공을 갖는 다공성 2차원 나노소재의 기재를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III) 단계에서는 II) 단계로부터 얻어진 수십 나노미터 크기의 기공을 갖는 다공성 2차원 나노소재의 기재 상에 용매 하에서 금속-유기 구조체를 성장시킨 후, 세척 및 건조함으로써 나노복합체를 제조한다. 이때, 금속-유기 구조체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올라이트 이미다졸레이트 구조체(zeolitic imidazolate framework, ZIF) 계열의 아연-이미다졸 구조체를 바람직하게 사용하며, 용매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증류수 또는 이소프로판올을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한다.
상술한 제조방법의 I) 내지 III) 단계 중 II) 단계 공정으로 인하여 통상적인 2차원 나노소재에 10~40 nm 크기의 활성 기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렇게 얻어진 10~40 nm 크기의 활성 기공을 갖는 다공성 2차원 나노소재를 기재로 하여 그 기재 상에 금속-유기 구조체를 균일하게 고밀도로 성장시킨 나노복합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기체분리용 고분자 복합막을 제공하는바, 공지의 방법에 따라 상기 나노복합체를 함유하는 복합막을 제조하여 다양한 혼합기체로부터 특정의 기체를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기체분리막으로 응용할 수 있으며, 특히 종래 상용막(Pebax-1657)에 비하여 이산화탄소의 투과도가 크게 향상되면서도 질소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선택도 또한 소폭 향상되어 CO2/N2의 혼합기체로부터 이산화탄소를 선택적으로 분리하는데 유용하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아연-이미다졸 구조체/다공성 그래핀 옥사이드 나노복합체의 제조
그래핀 옥사이드(도 1 참조) 0.1 중량% 수용액에 과산화수소를 산화제로 사용하여 10분간 소니케이션 한 후, 고압반응기(오토클레이브)에서 180℃로 6시간 열수반응시켜 10~40 nm 크기의 활성 기공을 갖는 다공성 그래핀 옥사이드를 형성하였다. 상기 형성된 다공성 그래핀 옥사이드 상에 메탄올 하에서 MOF인 아연-이미다졸 구조체(ZIF-8)를 5시간에 걸쳐 성장시키고, 메탄올로 3회 세척 및 건조하여 아연-이미다졸 구조체/다공성 그래핀 옥사이드 나노복합체(Composite)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나노복합체를 함유하는 고분자 복합막의 제조
상기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나노복합체를 에탄올과 물의 혼합용매(7:3 부피비) 하에서 상용막인 Pebax-1657에 혼합하여 증발 방식으로 고분자 복합막을 제조하였으며(고분자 복합막 내 나노복합체의 농도는 4~6 μg/mL), 이를 이용하여 기체(CO2/N2) 분리 특성을 시험하였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2차원 나노소재로서 그래핀 옥사이드의 투과전자현미경(TEM) 이미지를, 또한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형성된 다공성 그래핀 옥사이드의 투과전자현미경(TEM) 이미지를 나타내었는바, 도 2로부터 2차원 나노소재인 그래핀 옥사이드가 간단한 산화열수처리 공정에 의하여 수십 나노미터 크기의 기공을 갖는 다공성으로 전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 및 4에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다공성 그래핀 옥사이드 기재 상에 성장된 아연-이미다졸 구조체로 이루어진 나노복합체의 투과전자현미경(TEM) 이미지 및 본 발명의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나노복합체(아연-이미다졸 구조체/다공성 그래핀 옥사이드) 분말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이미지를 나타내었는바, 다공성 그래핀 옥사이드 기재 상에 아연-이미다졸 구조체가 성장한 이후에도 2차원 평면 구조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6에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아연-이미다졸 구조체(MOF) 및 나노복합체(Composite) 분말의 X-선 회절(XRD) 패턴 및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아연-이미다졸 구조체(MOF) 및 나노복합체(Composite)의 BET 기공분포를 나타내었는바, 아연-이미다졸 구조체가 다공성 그래핀 옥사이드 기재 상에 균일하게 고밀도로 성장하였음을 알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아연-이미다졸 구조체(MOF) 및 나노복합체(Composite)의 X-선 광전자분석(XPS) 결과 그래프로부터는 다공성 그래핀 옥사이드 기재와 아연-이미다졸 구조체 사이에 새로운 화학적 작용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나노복합체(Composite)의 열중량분석(TGA) 결과로부터는 나노복합체 내에서 다공성 그래핀 옥사이드 기재와 아연-이미다졸 구조체의 중량비 및 그에 따른 열적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도 9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아연-이미다졸 구조체(MOF) 및 나노복합체(Composite)의 BET 등온곡선을 나타내었는바, BET 등온곡선으로부터 아연-이미다졸 구조체(MOF)와 나노복합체(Composite) 각각의 표면적을 계산한 결과, 아연-이미다졸 구조체(MOF)는 1720 m2/g, 나노복합체(Composite)는 2170 m2/g으로서 나노복합체(Composite)가 아연-이미다졸 구조체(MOF)에 비하여 약 26% 정도 BET 표면적이 증가하였음을 알았다. 이러한 BET 표면적의 값은 종래 보고된 나노복합체의 BET 표면적[HF 그래핀 옥사이드/ZIF-8 : 590 m2/g, 그래핀 옥사이드/ZIF-8 : 819 m2/g, 환원된 그래핀 옥사이드/ZIF-8 : 720 m2/g]에 비하여도 현저하게 높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고분자 복합막(+composite)과 실시예 1에 따른 아연-이미다졸 구조체를 상용화 Pebax-1657 분리막에 혼합한 고분자 복합막(+MOF) 및 상용화 Pebax-1657 분리막 자체(Neat Polymer)의 CO2/N2 분리 특성을 그래프로 나타내었는바,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고분자 복합막(+composite)은 실시예 1에 따른 아연-이미다졸 구조체를 상용화 Pebax-1657 분리막에 혼합한 고분자 복합막(+MOF) 및 상용화 Pebax-1657 분리막 자체(Neat Polymer)에 비하여 질소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선택도가 유지되면서도 이산화탄소의 투과도가 크게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고분자 복합막(+composite)과 상용화 Pebax-1657 분리막 자체(Neat Polymer)의 압력증가에 따른 CO2/N2 혼합기체의 선택도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는바, 도 11로부터는 CO2/N2 혼합기체에서 압력을 올림에 따라 선택도가 떨어지고 투과도는 증가하는 가소화반응이 상용막에 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고분자 복합막(+composite)에서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 10~40 nm 크기의 활성 기공을 갖는 다공성 2차원 나노소재의 기재 상에 금속-유기 구조체가 균일하게 고밀도로 성장된 나노복합체는 표면적이 현저하게 향상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적은 함량으로도 센서, 촉매 및 분리막 등에 응용이 가능하다.

Claims (11)

10~40 nm 크기의 활성 기공을 갖는 다공성 그래핀 옥사이드의 기재; 및
상기 기재 상에 성장된 제올라이트 이미다졸레이트 구조체(ZIF);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
삭제
삭제
삭제
I) 그래핀 옥사이드를 준비하는 단계;
II) 상기 그래핀 옥사이드를 산화열수처리 공정에 의하여 10~40 nm 크기의 활성 기공을 갖는 다공성 그래핀 옥사이드의 기재를 형성하는 단계; 및
III) 상기 기재 상에 용매 하에서 제올라이트 이미다졸레이트 구조체(ZIF)를 성장시킨 후, 세척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삭제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열수처리 공정은 그래핀 옥사이드를 산화제로 처리한 후, 고압반응기에서 150~200℃로 6~12시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는 과산화수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증류수 또는 이소프로판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제1항에 따른 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기체분리용 고분자 복합막.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는 CO2/N2의 혼합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분리용 고분자 복합막.
KR1020170091419A 2017-07-19 2017-07-19 신규한 나노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006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419A KR102006927B1 (ko) 2017-07-19 2017-07-19 신규한 나노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419A KR102006927B1 (ko) 2017-07-19 2017-07-19 신규한 나노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541A KR20190009541A (ko) 2019-01-29
KR102006927B1 true KR102006927B1 (ko) 2019-08-02

Family

ID=65323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419A KR102006927B1 (ko) 2017-07-19 2017-07-19 신규한 나노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9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4612A (ko) 2021-01-18 2022-07-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래핀 나노리본과 금속-유기 골격체 기반의 기체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26413A (ko) * 2021-03-09 2022-09-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2차원 나노소재-금속 유기 골격체 기반의 기체 분리막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110177A (ko) 2022-01-14 2023-07-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래핀계 나노리본 및 금속-유기 골격체을 포함하는 기체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2088B (zh) * 2019-09-16 2021-02-09 安徽师范大学 一种zif-8@还原氧化石墨烯负载硫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及锂硫电池正极和锂硫电池
CN110917907B (zh) * 2019-12-12 2022-03-08 万华化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高通量的反渗透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933933A (zh) * 2020-07-31 2020-11-13 广东凯金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锂离子电池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
CN113842795B (zh) * 2021-09-26 2024-03-12 南阳理工学院 一种zif-bn/pva筛分膜的制备方法及其应用
KR102666528B1 (ko) * 2022-04-29 2024-05-16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수지상 섬유질 실리카 나노층을 갖는 물유리 기반 합성 나노실리카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CN115716641B (zh) * 2022-11-11 2024-05-10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二五研究所 一种具有电磁波吸收性能的MOFs衍生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883B1 (ko) 2012-03-19 2014-02-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이 담지된 그래핀 옥사이드와 금속-유기구조체의 복합화로 제조된 고효율 수소저장용 탄소나노복합체 제조방법
KR101835879B1 (ko) 2013-05-24 2018-03-07 카운슬 오브 사이언티픽 앤드 인더스트리얼 리서치 나노다공성 그래핀 및 그래핀 양자점을 제조하는 방법
KR101701238B1 (ko) * 2015-03-31 2017-02-0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산화물 나노입자가 코팅된 그래핀 옥사이드/고분자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emical Physics Letters. 2016, Vol. 659, pp. 61~65*
New Carbon Materials. 2015, Vol. 30, pp. 566~571 (2016.07.07.)*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4612A (ko) 2021-01-18 2022-07-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래핀 나노리본과 금속-유기 골격체 기반의 기체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77541B1 (ko) 2021-01-18 2022-12-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래핀 나노리본과 금속-유기 골격체 기반의 기체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26413A (ko) * 2021-03-09 2022-09-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2차원 나노소재-금속 유기 골격체 기반의 기체 분리막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92776B1 (ko) * 2021-03-09 2023-01-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2차원 나노소재-금속 유기 골격체 기반의 기체 분리막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110177A (ko) 2022-01-14 2023-07-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래핀계 나노리본 및 금속-유기 골격체을 포함하는 기체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541A (ko) 201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6927B1 (ko) 신규한 나노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Cheng et al. Recent development of zeolitic imidazolate frameworks (ZIFs) derived porous carbon based materials as electrocatalysts
Zhao et al. Multiple structural defects in ultrathin NiFe-LDH nanosheets synergistically and remarkably boost water oxidation reaction
US11761099B2 (en) 3D reduced graphene oxide foams embedded with nanocatalysts, synthesizing methods and applications of same
Kuang et al. Interface engineering in transition metal carbides for electrocatalytic hydrogen generation and nitrogen fixation
Xu et al. Enhanced photocatalytic activity by the construction of a TiO 2/carbon nitride nanosheets heterostructure with high surface area via direct interfacial assembly
KR101804958B1 (ko) 산소 발생용 촉매 전극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35879B1 (ko) 나노다공성 그래핀 및 그래핀 양자점을 제조하는 방법
Huang et al. High-quality phosphorus-doped MoS 2 ultrathin nanosheets with amenable ORR catalytic activity
Park et al. Three-dimensional carbon foam/N-doped graphene@ MoS 2 hybrid nanostructures as effective electrocatalysts for the hydrogen evolution reaction
Shi et al. Nitrogen-doped ordered mesoporous carbons based on cyanamide as the dopant for supercapacitor
Singh et al. Low surface energy plane exposed Co3O4 nanocubes supported on nitrogen-doped graphene as an electrocatalyst for efficient water oxidation
Lee et al. Cobalt-based compounds and composites as electrode materials for high-performance electrochemical capacitors
Jin et al. Synergetic advantages of atomically coupled 2D inorganic and graphene nanosheets as versatile building blocks for diverse functional nanohybrids
Luo et al. Controllable synthesis of nitrogen-doped carbon containing Co and Co3Fe7 nanoparticles as effective catalysts for electrochemical oxygen conversion
Moon et al. Structural engineering of 3D carbon materials from transition metal ion-exchanged Y zeolite templates
Gujral et al. Metal nitride-based nanostructures for electrochemical and photocatalytic hydrogen production
KR102232615B1 (ko) 홀을 포함하는 2 차원 티타늄 질화물 나노시트, 상기 나노시트 및 금속 층상이중수산화물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및 상기 하이브리드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촉매
Li et al. Cobalt carbonate hydroxide mesostructure with high surface area for enhanced electrocatalytic oxygen evolution
Venkateswarlu et al. Recent progress on MOF/MXene nanoarchitectures: A new era in coordination chemistry for energy storage and conversion
Rasheed 3D MXenes as promising alternatives for potential electrocatalysis application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Cao et al. Defect regulating of few-layer antimonene from acid-assisted exfoliation for enhanced electrocatalytic nitrogen fixation
Wang et al. A zeolite-type CoFe selenite via in-situ transformation of layered double hydroxide boosting the water oxidation performance in alkaline electrolyte
Jeong et al. Function-regeneration of non-porous hydrolyzed-MOF-derived materials
Wang et al. A core-shell structured CoMoO4⋅ nH2O@ Co1-xFexOOH nanocatalyst for electrochemical evolution of oxyg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