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852B1 - 차량의 가상 사운드 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가상 사운드 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852B1
KR102006852B1 KR1020180012697A KR20180012697A KR102006852B1 KR 102006852 B1 KR102006852 B1 KR 102006852B1 KR 1020180012697 A KR1020180012697 A KR 1020180012697A KR 20180012697 A KR20180012697 A KR 20180012697A KR 102006852 B1 KR102006852 B1 KR 102006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ound
state
smart key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민수
김도경
김태원
Original Assignee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주) filed Critical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주)
Priority to KR1020180012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8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6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or with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60R25/1012Zone surveillance means, e.g. parking lots, truck dep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ransportation (AREA)
  • Multimedia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의 가상 사운드 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상 사운드 발생장치는 차량의 주차상태를 감지하는 주차감지부와, 차량의 시동상태를 감지하는 시동감지부와, 도어의 잠금상태를 감지하는 도어잠금감지부와, 차량의 스마트키의 위치를 감지하는 스마트키위치감지부와, 스마트키와 연관된 복수의 차량 상태에 대응하는 가상 사운드가 각각 저장된 음원 저장부와, 감지된 주차상태, 시동상태, 도어잠금상태 및 스마트키위치를 근거로 하여 스마트키와 연관된 차량 상태를 판단하고, 음원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가상 사운드 중에서 판단된 차량 상태에 대응하는 가상 사운드를 출력하는 음원 제어부 및 음원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음원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가상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가상 사운드 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FOR GENERATING A VIRTUAL SOUND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가상 사운드 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 연료전지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등 전기 구동방식으로 운행되는 차량의 엔진을 사용하는 차량보다 저속 주행시 차량 소음이 적다.
따라서, 주변의 보행자 및 시각 장애인은 이러한 차량의 접근을 깨닫기 어려워 차량와 보행자 간의 사고 위험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저소음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정 이상의 소리가 나게 하는 법규를 준비 중에 있다. 그에 따라, 인공 엔진음 발생장치(Acoustic Vehicle Alerting System ; AVAS)와, 가상 엔진음 발생장치(Virtual Engine Sound System ; VESS) 등과 같이 가상의 엔진음을 출력하는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은 차량 속도 정보와 기어 정보를 고려하여 가상 엔진음을 구현하는 시점과 방법을 결정한다.
기존의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은 차량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엔진음의 소리 크기 및 음의 높낮이가 결정되는 단순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는 차량 속도 정보와 기어 정보에 의해 구현되는 가상 엔진음은 그 기능과 소리가 단순하며, 단순한 차량 주행 상태만을 보행자 및 시각 장애인에게 전달할 뿐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7938호에 개시된 친환경 차량의 작동 사운드 발생장치는 가상 엔진 주행음 뿐만 아니라, 충전 시작 알림음과 충전 완료 알림음도 출력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지만, 배터리 충전 상태를 안내하는 정도에 불과해 구현하는 기능이 단순하고 제한적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7938호(2015.08.21.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마트키와 관련된 차량의 다양한 상태에 맞게 적절한 가상 사운드를 출력하는 차량의 가상 사운드 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주차상태를 감지하는 주차감지부;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를 감지하는 시동감지부; 도어의 잠금상태를 감지하는 도어잠금감지부; 상기 차량의 스마트키의 위치를 감지하는 스마트키위치감지부; 상기 스마트키와 연관된 복수의 차량 상태에 대응하는 가상 사운드가 각각 저장된 음원 저장부; 상기 감지된 주차상태, 시동상태, 도어잠금상태 및 스마트키위치를 근거로 하여 상기 스마트키를 가진 운전자가 상기 차량에 접근하는 것을 알리는 웰컴음을 출력할 차량 상태 또는 상기 스마트키를 가진 운전자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알리는 굿바이음을 출력할 차량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음원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가상 사운드 중에서 상기 판단된 차량 상태에 대응하는 가상 사운드를 출력하는 음원 제어부; 및 상기 음원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음원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가상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가상 사운드 발생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음원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주차상태이고, 시동오프 상태이며, 도어잠금상태일 때 상기 스마트키가 외부에서 상기 차량으로 접근하면, 상기 웰컴음을 출력할 차량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차량이 주차상태이고, 시동오프 상태이며, 도어잠금상태일 때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면, 상기 굿바이음을 출력할 차량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주차상태를 감지하는 주차감지부;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를 감지하는 시동감지부; 상기 도어의 잠금상태를 감지하는 도어잠금감지부; 상기 차량의 스마트키의 위치를 감지하는 스마트키위치감지부; 상기 스마트키와 연관된 복수의 차량 상태에 대응하는 가상 사운드가 각각 저장된 음원 저장부; 상기 감지된 주차상태, 시동상태, 도어잠금상태 및 스마트키위치를 근거로 하여 상기 스마트키와 연관된 차량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음원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가상 사운드 중에서 상기 판단된 차량 상태에 대응하는 가상 사운드를 출력하는 음원 제어부; 및 상기 음원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음원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가상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가상 사운드 발생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주차상태인지 감지하고, 상기 차량이 주차상태이면, 상기 차량이 시동오프 상태인지 감지하고, 상기 차량이 시동오프 상태이면, 상기 차량이 도어잠금 상태인지 감지하고, 상기 차량이 도어잠금 상태이면,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스마트키가 외부에서 상기 차량으로 접근하는지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는지 판단하고, 상기 스마트키가 외부에서 상기 차량으로 접근하면, 웰컴음을 출력할 차량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면, 굿바이음을 출력할 차량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웰컴음을 출력할 차량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웰컴음에 대응하는 가상 사운드를 출력하고, 상기 굿바이음을 출력할 차량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굿바이음에 대응하는 가상 사운드를 출력하는 차량의 가상 사운드 발생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스마트키와 관련된 차량의 다양한 상태에 따라 적절한 가상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웰컴(Welcome)음, 굿바이(Goodbye)음, 차량 내부 스마트키 존재알림음, 도어잠금음, 도어잠금해제음 등 스마트키와 연관된 차량 상태음을 가상 사운드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상 사운드 발생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상 사운드 발생장치에서 풀 디지털 앰프부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상 사운드 발생장치에서 스마트키와 연관된 차량 상태를 가상 사운드로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상 사운드 발생장치에서 웰컴음과 굿바이음을 가상 사운드로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상 사운드 발생장치에서 차량 내부에 스마트키가 있음을 알리는 차량 내부 스마트키 존재알림음을 가상 사운드로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상 사운드 발생장치에서 도어잠금음과 도어잠금해제음을 가상 사운드로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상 사운드 발생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가상 사운드 발생장치는 주차감지부(10), 시동감지부(11), 도어감지부(12), 도어잠금감지부(13), 스마트키위치감지부(14), 스마트키명령수신부(15), 음원 제어부(20), 음원 저장부(30), 풀 디지털 앰프(Full Digital Amplifier)부(40) 및 스피커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주차감지부(10)는 차량이 주차상태인지 아닌지를 감지한다. 주차감지부(10)는 기어 상태를 감지하여 주차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주차감지부(10)는 차량의 주차상태정보를 감지하여 음원 제어부(20)에 전달한다.
시동감지부(11)는 차량이 시동 온 상태인지 시동 오프 상태인지를 감지한다.
시동감지부(11)는 차량의 시동상태정보를 감지하여 음원 제어부(20)에 전달한다.
도어감지부(12)는 차량의 도어가 열린 상태인지 닫힌 상태인지를 감지한다.
도어감지부(12)는 차량의 도어상태정보를 감지하여 음원 제어부(20)에 전달한다.
도어잠금감지부(13)는 차량의 도어가 잠금상태인지 잠금해제상태인지를 감지한다.
도어잠금감지부(13)는 차량의 도어잠금상태정보를 감지하여 음원 제어부(20)에 전달한다.
스마트키위치감지부(14)는 스마트키가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지 차량 외부에 위치하는지 또는 차량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를 감지한다.
스마트키위치감지부(14)는 차량에 마련된 실내외안테나를 포함하고, 이 실내외안테나를 통해 스마트키에 LF(Low Frequency) 신호를 송출하고 스마트키로부터 응답되는 RF(Radio Frequency) 신호의 강도에 따라 실내외안테나와 스마트키 간의 거리를 추정하고, 추정된 거리를 이용하여 스마트키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스마트키위치감지부(14)는 스마트키의 위치정보를 감지하여 음원 제어부(20)에 전달한다.
스마트키명령수신부(15)는 스마트키로부터 전송된 명령을 수신한다. 이 명령은 도어 락(lock) 명령, 도어 언락(unlock) 명령 등 스마트키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명령을 수신한다.
음원 저장부(30)는 스마트키와 관련된 차량의 각종 상태에 대응하는 다양한 형태의 가상 사운드가 음원 데이터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다.
음원 저장부(30)는 스마트키를 가진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하는 것을 알리는 웰컴음, 스마트키를 가진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알리는 굿받이음, 차량 내부에 스마트키가 존재함을 알리는 차량 내부 스마트키 존재알림음, 차량의 도어 잠김을 알리는 도어잠금음, 차량의 도어 잠김해제를 알리는 도어잠금해제음 등 스마트키와 연관된 각종 차량 상태음과 관련된 각종 가상 사운드가 음원 데이터 형태로 각각 저장되어 있다.
음원 저장부(30)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는 가상 사운드로서, 디지털 음원이다. 디지털 음원은 MP3(MPEG Audio Layer-3), OGG(Ogg Vorbis), FLAC(Free Lossless Audio Codec), WAVE, APE(Monkey's Audio) 등 디지털로 구현되거나 압축된 음원을 포함할 수 있다.
풀 디지털 앰프부(40)는 디지털 음원을 입력받는 디지털 D급 증폭기로서, 음원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음원 제어부(20)에 의해 제공된 디지털 음원을 PWM(Pulse Width Modulation) 컨버터를 이용하여 PWM 신호로 변환시키고, 변환된 PWM 신호를 스위칭출력스테이지(switching output stage)를 이용하여 증폭시키고, 저역 통과 필터(LPF: Low Pass Filter)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부(50)로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상 사운드 발생장치에서 풀 디지털 앰프부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풀 디지털 앰프부(40)는 포맷 컨버터(41), PWM 컨버터(42), D-급 출력 스테이지(D-Class Output Stage)(43) 및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 ; LPF)(44)를 포함할 수 있다.
포맷 컨버터(41)는 디지털 음원인 가상 사운드의 디지털 데이터 포맷을 변환한다. 포맷 컨버터(41)는 예를 들면, 디지털 음원 신호에 대해서 전자 볼륨 등의 신호 처리를 한 후, 오버 샘플러에 의해 신호의 샘플링 주파수를 16배나 32배 등의 값으로 상승시키고, 변조기에 의해 5비트라든지 6비트 등이 낮은 분해능으로 양자화하고, 양자화한 신호를 PWM 컨버터(42)로 출력할 수 있다.
PWM 컨버터(42)는 포맷 컨버터(41)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PWM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D-급 출력 스테이지(D-Class Output Stage)(43)는 PWM 컨버터(42)로부터 출력된 PWM 신호를 증폭시킨다. D-급 출력 스테이지(D-Class Output Stage)(43)는 PWM신호를 버퍼링하고, 버퍼링된 신호를 출력하는 방식으로 PWM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다.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 ; LPF)(44)는 인덕터와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증폭된 PWM 신호를 필터링하여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되게 한다.
포맷 컨버터(41), PWM 컨버터(42) 및 D-급 출력 스테이지(43)의 작동은 음원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갖는 풀 디지털 앰프부(40)의 작동을 설명한다.
풀 디지털 앰프부(40)는 음원 제어부(20)로부터 제공된 가상 사운드의 디지털 음원을 수신하고, 수신된 디지털 음원에 대한 샘플링, 양자화 등을 디지털신호처리하여 디지털 데이터 포맷을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에 대하여 PWM 변환동작을 통해 PWM 신호로 변환한다. PWM 신호는 디지털 음원 신호를 다양한 길이의 펄스를 형성하는 0과 1의 숫자 열이 나열한다. 이 PWM 신호가 길면 길수록 신호의 증폭도는 점점 높아진다. 이러한 PWM 신호는 D급 출력 스테이지(43)의 출력 트랜지스터들을 구동시킨다. 출력 트랜지스터들은 PWM 신호에 의해 매우 빠른 동작으로 켜지고 꺼지는 동작을 반복한다. 이때, 온 상태에 있는 출력 트랜지스터에 의해 PWM 신호의 증폭이 이루어진다.
출력 트랜지스터는 온 일 때 증폭된 PWM 신호가 출력하지만, 오프일 때 증폭된 PWM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다. 이러한 패턴이 가상 사운드 파형을 나타내는 디지털 부호 0과 1의 흐름 패턴과 동일하게 나타낸다. 출력 트랜지스터에서 발생하는 펄스의 열은 가상 사운드 파형을 복원하도록 커패시터와 인덕터로 이루어진 저역통과필터(44)에 의해 매끄럽게 다듬어지는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스피커부(50)로 출력하면서 가상 사운드가 출력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스피커부(50)는 풀 디지털 앰프부(40)로부터 출력된 가상 사운드를 출력한다. 스피커부(50)는 가상 사운드가 보행자에게 전달되도록 차량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고 이와 함께 운전자에게 전달 가능하도록 차량의 내부에도 설치될 수 있다.
음원 제어부(20)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원 제어부(20)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는 각각 다른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음원 제어부(20)는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icro Controller Unit ; MCU)을 포함한다. 음원 제어부(20)는 차량 네트워크 통신(예를 들면, 캔(CAN) 통신)을 통해 차량상태 감지부(10)로부터 감지정보들을 수신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음원 제어부(20)는 음원 저장부(30)에 저장된 가상 사운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가상 사운드에 대한 디지털 신호처리, 음원 변조, 음원 제어 등을 수행한 후 풀 디지털 앰프부(40)를 통해 스피커부(50)로 출력시켜 운전자와 보행자에게 차량 상태를 가상 사운드로 알린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상 사운드 발생장치에서 스마트키와 연관된 차량 상태를 가상 사운드로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음원 제어부(20)는 스마트키와 연관된 각종 차량 상태음들, 예를 들면, 웰컴(Welcome)음, 굿바이(Goodbye)음, 차량 내부 스마트키 존재알림음, 도어잠금음, 도어잠금해제음 등을 가상 사운드로 스피커부(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음원 제어부(20)는 차량상태 감지부(10)에 의해 감지된 주차상태정보, 시동상태정보, 도어상태정보, 도어잠금상태정보, 스마트키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감지정보들을 이용하여 스마트키와 연관된 각종 차량 상태를 판단한다.
음원 제어부(20)는 차량이 주차 상태이고, 시동오프 상태이며, 도어잠금 상태인 상황에서 스마트키가 외부에서 차량으로 접근하면, 웰컴음 출력이 필요한 차량 상태로 판단한다.
음원 제어부(20)는 차량이 주차 상태이고, 시동오프 상태이며, 도어잠금 상태인 상황에서 스마트키가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면, 굿바이음 출력이 필요한 차량 상태로 판단한다.
음원 제어부(20)는 차량이 주차 상태이고, 시동오프 상태이며, 도어 닫힘 상태인 상황에서 스마트키가 차량 내부에 위치하면, 차량 내부 스마트키 존재알림음 출력이 필요한 차량 상태로 판단한다.
음원 제어부(20)는 스마트키로부터 도어락 명령이 수신되면, 도어잠금음 출력이 필요한 차량 상태로 판단한다.
음원 제어부(20)는 스마트키로부터 도어언락 명령이 수신되면, 도어잠금해제음 출력이 필요한 차량 상태로 판단한다.
음원 제어부(20)는 음원 저장부(30)에 저장된 가상 사운드 중에서 판단된 차량 상태에 대응하는 가상 사운드를 풀 디지털 앰프부(40)를 통해 스피커부(50)로 출력시킨다.
음원 제어부(20)는 웰컴음 출력이 필요한 차량 상태이면, 음원 저장부(30)에 저장된 가상 사운드 중 웰컴음에 해당하는 가상 사운드를 외부로 출력시켜 보행자와 운전자에게 알린다.
음원 제어부(20)는 굿바이음 출력이 필요한 차량 상태이면, 음원 저장부(30)에 저장된 가상 사운드 중 굿바이음에 해당하는 가상 사운드를 외부로 출력시켜 보행자와 운전자에게 알린다.
음원 제어부(20)는 차량 내부 스마트키 존재알림음 출력이 필요한 차량 상태이면, 음원 저장부(30)에 저장된 가상 사운드 중 차량 내부 스마트키 존재알림음에 해당하는 가상 사운드를 외부로 출력시켜 운전자에게 알린다.
음원 제어부(20)는 도어잠금음 출력이 필요한 차량 상태이면, 음원 저장부(30)에 저장된 가상 사운드 중 도어잠금음에 해당하는 가상 사운드를 외부로 출력시켜 보행자와 운전자에게 알린다.
음원 제어부(20)는 도어잠금해제음 출력이 필요한 차량 상태이면, 음원 저장부(30)에 저장된 가상 사운드 중 도어잠금해제음에 해당하는 가상 사운드를 외부로 출력시켜 보행자와 운전자에게 알린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상 사운드 발생장치에서 웰컴음과 굿바이음을 가상 사운드로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의 주차상태를 감지하고(100), 차량이 주차중인지를 판단한다(102).
차량이 주차상태이면, 차량의 시동상태를 감지하고(104), 차량이 시동 오프 상태인지를 판단한다(106).
차량이 시동 오프상태이면, 차량의 도어잠금상태를 감지하고(108), 도어잠금상태인지 판단한다(110).
도어잠금상태이면, 스마트키의 위치를 감지하고(112), 스마트키가 차량 접근 중인지를 판단한다(114).
만약, 작동모드 114의 판단결과 스마트키가 차량 접근 중이면, 웰컴음을 출력할 차량 상태로 판단하여 음원 저장부(30)에 저장된 복수의 가상 사운드 중 웰컴음에 해당하는 가상 사운드를 출력시켜 웰컴음을 발생시킨다(116).
한편, 작동모드 114의 판단결과 스마트키가 차량 접근 중이 아니면, 스마트키가 차량에서 멀어지는 중인지를 판단한다(118).
작동모드 118의 판단결과 스마트키가 차량에서 멀어지는 중이면, 굿바이음을 출력할 차량 상태로 판단하여 음원 저장부(30)에 저장된 복수의 가상 사운드 중 굿바이음에 해당하는 가상 사운드를 출력시켜 굿바이음을 발생시킨다(116).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상 사운드 발생장치에서 차량 내부에 스마트키가 있음을 알리는 차량 내부 스마트키 존재알림음을 가상 사운드로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의 주차상태를 감지하고(200), 차량이 주차중인지를 판단한다(202).
차량이 주차상태이면, 차량의 시동상태를 감지하고(204), 차량이 시동 오프 상태인지를 판단한다(206).
차량이 시동 오프상태이면, 차량의 도어상태를 감지하고(208), 도어닫힘상태인지 판단한다(210).
도어닫힘상태이면, 스마트키의 위치를 감지하고(212), 스마트키가 차량 내부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214).
작동모드 214의 판단결과 스마트키가 차량 내부에 존재하면, 차량 내부 스마트키 존재알림을을 출력할 차량 상태로 판단하여 음원 저장부(30)에 저장된 복수의 가상 사운드 중 차량 내부 스마트키 존재알림음에 해당하는 가상 사운드를 출력시켜 차량 내부 스마트키 존재알림음을 발생시킨다(216).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상 사운드 발생장치에서 도어잠금음과 도어잠금해제음을 가상 사운드로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스마트키로부터 명령을 수신하고(300), 수신된 명령이 도어락 명령인지를 판단한다(302).
만약, 작동모드 302의 판단결과 수신된 명령이 도어락 명령이면, 도어잠금음 출력이 필요한 차량 상태로 판단하여 음원 저장부(30)에 저장된 복수의 가상 사운드 중 도어잠금음에 해당하는 가상 사운드를 출력시켜 도어잠금음을 발생시킨다(304).
한편, 작동모드 302의 판단결과 수신된 명령이 도어락 명령이 아니면, 도어언락 명령인지를 판단한다(306).
만약, 작동모드 306의 판단결과 수신된 명령이 도어언락 명령이면, 도어잠금해제음 출력이 필요한 차량 상태로 판단하여 음원 저장부(30)에 저장된 복수의 가상 사운드 중 도어잠금해제음에 해당하는 가상 사운드를 출력시켜 도어잠금해제음을 발생시킨다(308).
한편, 작동모드 306의 판단결과 수신된 명령이 도어언락 명령이 아니면, 음원 저장부(30)에 저장된 복수의 가상 사운드 중에서 수신된 명령에 따른 알림음에 해당하는 가상 사운드를 출력시켜 해당 알림음을 발생시킨다(310).
10 : 주차감지부 11 : 시동감지부
12 : 도어감지부 13 : 도어잠금감지부
14 : 스마트키위치감지부 15 : 스마트키명령수신부
20 : 음원 제어부 30 : 음원 저장부
40 : 풀 디지털 앰프부 50 : 스피커부

Claims (7)

  1. 차량의 주차상태를 감지하는 주차감지부;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를 감지하는 시동감지부;
    도어의 잠금상태를 감지하는 도어잠금감지부;
    상기 차량의 스마트키의 위치를 감지하는 스마트키위치감지부;
    상기 스마트키와 연관된 복수의 차량 상태에 대응하는 가상 사운드가 각각 저장된 음원 저장부;
    상기 감지된 주차상태, 시동상태, 도어잠금상태 및 스마트키위치를 근거로 하여 상기 스마트키를 가진 운전자가 상기 차량에 접근하는 것을 알리는 웰컴음을 출력할 차량 상태 또는 상기 스마트키를 가진 운전자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알리는 굿바이음을 출력할 차량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음원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가상 사운드 중에서 상기 판단된 차량 상태에 대응하는 가상 사운드를 출력하는 음원 제어부; 및
    상기 음원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음원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가상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가상 사운드 발생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주차상태이고, 시동오프 상태이며, 도어잠금상태일 때 상기 스마트키가 외부에서 상기 차량으로 접근하면, 상기 웰컴음을 출력할 차량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차량이 주차상태이고, 시동오프 상태이며, 도어잠금상태일 때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면, 상기 굿바이음을 출력할 차량 상태로 판단하는 차량의 가상 사운드 발생장치.
  4. 삭제
  5. 삭제
  6. 차량의 주차상태를 감지하는 주차감지부;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를 감지하는 시동감지부; 도어의 잠금상태를 감지하는 도어잠금감지부; 상기 차량의 스마트키의 위치를 감지하는 스마트키위치감지부; 상기 스마트키와 연관된 복수의 차량 상태에 대응하는 가상 사운드가 각각 저장된 음원 저장부; 상기 감지된 주차상태, 시동상태, 도어잠금상태 및 스마트키위치를 근거로 하여 상기 스마트키와 연관된 차량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음원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가상 사운드 중에서 상기 판단된 차량 상태에 대응하는 가상 사운드를 출력하는 음원 제어부; 및 상기 음원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음원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가상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가상 사운드 발생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주차상태인지 감지하고,
    상기 차량이 주차상태이면, 상기 차량이 시동오프 상태인지 감지하고,
    상기 차량이 시동오프 상태이면, 상기 차량이 도어잠금 상태인지 감지하고,
    상기 차량이 도어잠금 상태이면,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스마트키가 외부에서 상기 차량으로 접근하는지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는지 판단하고,
    상기 스마트키가 외부에서 상기 차량으로 접근하면, 웰컴음을 출력할 차량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면, 굿바이음을 출력할 차량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웰컴음을 출력할 차량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웰컴음에 대응하는 가상 사운드를 출력하고, 상기 굿바이음을 출력할 차량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굿바이음에 대응하는 가상 사운드를 출력하는 차량의 가상 사운드 발생장치의 제어방법.
  7. 삭제
KR1020180012697A 2018-02-01 2018-02-01 차량의 가상 사운드 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06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697A KR102006852B1 (ko) 2018-02-01 2018-02-01 차량의 가상 사운드 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697A KR102006852B1 (ko) 2018-02-01 2018-02-01 차량의 가상 사운드 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6852B1 true KR102006852B1 (ko) 2019-10-01

Family

ID=68207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697A KR102006852B1 (ko) 2018-02-01 2018-02-01 차량의 가상 사운드 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8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706B1 (ko) 2022-05-10 2022-10-25 (주)에어패스 인공지능 기반의 전기 자동차 운전 출력음 제어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6753A (ko) * 2011-09-06 2013-03-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블랙박스와 연동하는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 웰컴 라이트 제어 방법
KR101547938B1 (ko) 2014-04-29 2015-08-28 대성전기공업주식회사 친환경 차량의 작동 사운드 발생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121274A (ko) * 2015-04-10 2016-10-1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통합 소리 재생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6753A (ko) * 2011-09-06 2013-03-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블랙박스와 연동하는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 웰컴 라이트 제어 방법
KR101547938B1 (ko) 2014-04-29 2015-08-28 대성전기공업주식회사 친환경 차량의 작동 사운드 발생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121274A (ko) * 2015-04-10 2016-10-1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통합 소리 재생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706B1 (ko) 2022-05-10 2022-10-25 (주)에어패스 인공지능 기반의 전기 자동차 운전 출력음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7724B2 (en) Acoustic signaling system for electric or hybrid vehicles
US8542131B2 (en) Musical key fob vehicle locator
JP2007501158A (ja) インテリジェントフロアマット
KR101260585B1 (ko) 초음파 센서 및 주차 제어 시스템
KR102006852B1 (ko) 차량의 가상 사운드 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70069951A1 (en) Remote object locator and method
CN113844360A (zh) 车载人机交互系统
US20190162090A1 (en) Motor vehicle having a control apparatus for at least one loudspeaker of an exhaust system of the motor vehicle
US200902438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notification of presence of emergency vehicles
KR101383727B1 (ko) 스마트키 인식 방법 및 시스템
CN201808538U (zh) 原车防盗关窗功能升级装置
JPH0795681A (ja) 音選択再生装置
EP1744450A1 (en) Electronic device
KR20180025408A (ko) 차량 음향 경보 시스템
JP2007283853A (ja) 車両用警報装置
US6963272B1 (en) Vehicle security system shock sensing siren and associated methods
US20040217848A1 (en) Audio alarm system for vehicle use
CN110491059A (zh) 纹波检测防盗装置及纹波检测防盗方法
KR101369723B1 (ko) 차량용 오디오와 연동되는 장애물 감지 경보음 발생 시스템 및 방법
JPH0536500U (ja) 車載用音響機器の音声認識装置
CN202827859U (zh) 多功能电动车防盗器
KR100341915B1 (ko) 긴급차량 인식용 오디오장치
EP1657128B1 (en) Burglar alarm using power cord to transmit signal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H11278331A (ja) 自転車用鎖錠装置
KR200217361Y1 (ko) 차량용 경고음성 자동출력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