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147B1 -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rf 연결기 - Google Patents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rf 연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147B1
KR102006147B1 KR1020160104152A KR20160104152A KR102006147B1 KR 102006147 B1 KR102006147 B1 KR 102006147B1 KR 1020160104152 A KR1020160104152 A KR 1020160104152A KR 20160104152 A KR20160104152 A KR 20160104152A KR 102006147 B1 KR102006147 B1 KR 102006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xial line
connector
coupler
adjuster
coax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0341A (ko
Inventor
정인일
한재은
최오룡
손기택
이도윤
Original Assignee
기초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초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기초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04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147B1/ko
Publication of KR20180020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RF 연결기는, 동축 선로의 외주면에 접하는 커플링 포트; 및 커플링 포트 내부에 배치되어 동축 선로에 대한 이격 거리 또는 대향 각도가 변경됨에 따라, 동축 선로와 RF 연결기 사이의 연결계수를 변경시키는 조정자;를 구비하며, RF 연결기는 동축 선로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동축 선로와 RF 연결기 사이의 연결계수를 변경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RF 연결기{WIDE RANGE ADJUSTABLE COUPLING COEFFICIENT RF COUPLER FOR COAXIAL LINE}
본 발명은 동축 선로용 RF 연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 계수를 넓은 폭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동축 선로용 RF 연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축 선로용 RF 연결기는 고정된 연결계수를 가진다. RF 연결기는 주 전송선의 전력을 계측 및 감시하는 곳에 반드시 필요하므로, RF 전력 전송, RF 신호 증폭, RF 측정 및 시험 분야에 반드시 필요한 액세서리이다.
이때, 사용하는 RF 전력의 세기에 따라 RF 연결기의 연결 계수가 다양하게 바뀌어야 할 필요가 있다. 기존의 고정 연결계수를 가진 연결기를 사용할 경우, 부가적으로 가변 감쇠기(variable attenuator) 혹은 각기 다른 연결계수 값을 가진 연결기들을 여러 대 사용하여야 할 필요가 생긴다.
또한, 계측기 등은 기준 크기 이상의 전력이 입력될 경우, 파손의 위험이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연결 계수를 폭넓게 바꿀 수 있는 것이 연결기의 응용에 있어서 유리하다.
한편,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유사한 사상을 갖는 기존의 연구 또는 기기가 없었으며, 관련 분야에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4028호 "비반도체 기판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하이 Q 변압기"을 참조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4028호 (2013년 09월 25일 등록, 발명의 명칭: 비반도체 기판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하이 Q 변압기)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동축 선로용 RF 연결기의 연결계수를 넓은 폭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RF 연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RF 연결기는, 동축 선로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동축 선로와 RF 연결기 사이의 연결계수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결계수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로서, 적어도 하나의 조정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예를 더 포함한다.
또한, 연결계수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는 동축 선로와 이격된 상태로 동축 선로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예를 더 포함한다.
또한, 연결계수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로서, 나선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예를 더 포함한다.
또한, 연결계수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는 동축 선로와 이격된 상태로 동축 선로에 대한 대향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예를 더 포함한다.
또한, 연결계수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로서,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예를 더 포함한다.
또한, 동축 선로에 설치되는 RF 연결기로서, RF 연결기는 동축 선로의 외주면에 접하는 커플링 포트; 및 커플링 포트 내부에 배치되어 동축 선로에 대한 이격 거리 또는 대향 각도가 변경됨에 따라, 동축 선로와 RF 연결기 사이의 연결계수를 변경시키는 조정자; 를 구비하며, RF 연결기는 동축 선로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예를 더 포함한다.
또한, 커플링 포트의 내주면 및 내벽에 나선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예를 더 포함한다.
또한, 동축 선로와 조정자 사이의 대향 각도를 변경시키기 위한 회전축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예를 더 포함한다.
또한, 동축 선로에 설치되는 RF 연결기로서, RF 연결기는 동축 선로의 외주면에 접하는 커플링 포트; 및 커플링 포트 내부에 배치되어 동축 선로에 대한 이격 거리 또는 대향 각도가 변경됨에 따라, 동축 선로와 RF 연결기 사이의 연결계수를 변경시키는 조정자;를 구비하며, 조정자는 동축 선로의 외주면에 이격된 원반 또는 판을 적어도 하나 구비하고, RF 연결기는 동축 선로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예를 더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각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RF 연결기에 따르면, 동축 선로용 RF 연결기의 연결계수를 넓은 폭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RF 연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RF 연결기에 따르면, 운용이 간편한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RF 연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RF 연결기에 따르면, 비용 절감 효과를 가진,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RF 연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RF 연결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RF 연결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정판 이격형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RF 연결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정판 회전형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RF 연결기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RF 연결기를 적용한 시뮬레이션의 결과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RF 연결기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RF 연결기는 알에프 연결기(20)로 기재하므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RF 연결기', '알에프 연결기' 및 '알에프 연결기(20)'가 모두 동일한 것을 의미하는 것임을 주의하여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동축 선로(10)의 상부에 알에프(RF: Radio Frequency) 연결기(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알에프 연결기(20)는 그 중심부 또는 중심 부근에, 상기 알에프 연결기(20)를 관통하는 커플링 포트(50)를 포함하고 있다. 이 커플링 포트(50)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알에프 연결기(20)는, 도면을 기준으로 하부에서 상부까지의 순서로, 연결기 하단부(21), 연결기 중간부(23), 연결기 삽입부(25) 및 연결기 상단부(27)가 적층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는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알에프 연결기(20)의 일측면 만이 확인될 뿐인 관계로, 연결기 하단부(21) 등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알에프 연결기(20)가 동축 선로(10) 상에 설치되어 있을 때, 동축 선로(10)의 축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 상기 알에프 연결기(20)를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인 관계로, 상기 커플링 포트(50)가 도면을 통하여 드러나 있지는 않다. 상기 커플링 포트(50)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또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동축 선로(10)의 단면에는, 2개의 동심원 만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중심의 작은 원은 상기 동축 선로(10)의 중심 도체를 나타내며, 이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동축 선로(10)의 단면 중 바깥쪽 원은 상기 중심 도체를 둘러싼 절연체를 나타낸다. 또한, 실제 동축 선로(10)에는 상기 절연체를 둘러싸는 외부 도체와 보호피복이 더 구비되는데, 본 명세서의 도면, 즉 도 1 내지 도 4에서는 상기 외부 도체와 보호피복이 생략되어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음을 유념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알에프 연결기(20)는 동축 선로(10) 상에 설치될 때, 상기 외부 도체와 보호피복의 일부를 제거하고, 적어도 상기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알에프 연결기(20)의 하단부의 일부가 상기 절연체 또는 상기 외부 도체에 접촉되는 형태로 동축 선로(10) 상에 설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RF 연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알에프 연결기(2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부로부터 상부의 순서로, 연결기 하단부(21), 연결기 중간부(23), 연결기 삽입부(25) 및 연결기 상단부(27)가 적층되는 형태를 가진다. 또한,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결기 하단부(21)는, 알에프 연결기(20)의 가장 아랫부분에 배치되어, 알에프 연결기(20)가 동축 선로(10) 상에 설치될 때, 상기 동축 선로(10)의 절연체(부호 생략) 또는 외부 도체(미도시)에 접한다.
연결기 중간부(23)는, 상기 연결기 하단부(21)의 상부에 적층되는 구성요소로서, 그 중심 또는 중심 부근에 조정자 삽입공(30)을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조정자 삽입공(30)에는 조정자(100)가 구비되는데, 상기 조정자(100)의 구조 및 작동 등에 대한 것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겠다.
연결기 삽입부(25)는, 상기 연결기 중간부(23)의 상부에 적층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연결기 중간부(23)와 연결기 상단부(27)을 연결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연결기 삽입부(25)의 중심 또는 중심 부근에는 상기 조정자 삽입공(30) 및 조정자 상부공(40)과 연통되는 공동이 구비되는데, 이에 대한 부호는 생략한다.
연결기 상단부(27)는, 상기 연결기 삽입부(25)의 상부에 적층되는 구성요소로서, 연결기 상단부(27)의 중심 또는 중심 부근에는 조정자 상부공(40)이 구비되며, 상기 조정자 상부공(40)과 상기 조정자 삽입공(30)은 연통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연통되어 있는 상기 조정자 상부공(40)과 상기 조정자 삽입공(30) 내부에 조정자(100)가 구비되어 작동되는데, 상기 조정자(100)의 구조 및 작동 등에 대한 것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겠다.
또한, 도 1을 참조한 설명에서 언급되었던 커플링 포트(50)는 상기 조정자 삽입공(30)과 상기 조정자 상부공(40)을 함께 일컫는 표현이었음을 참고하기 바란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한 설명에 기재된 '연결계수'는, 동축 선로(10)가 알에프 연결기(20) 상에 설치된 상태일 때, 상기 동축 선로(10)와 상기 알에프 연결기(20) 사이의 연결계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하기 [수학식 1]의 C와 같이 표현된다.
[수학식 1]
C [dB] = 10 log 10 (P1 +/P2 -)
(상기 수학식 1 중 P1은 동축선로에 주입되는 전력이며, P2는 동축선로를 빠져나가는 전력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정판 이격형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RF 연결기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한 설명에서 조정자(100)는 조정추(110), 조정자 중심축(120) 및 조정판(130)을 함께 일컫는 표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동축 선로(10)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면 상부에, 연결기 중간부(23) 및 조정자(100)가 상기 단면 상부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좌측에 도시된 것과 같이, 조정자(100)의 조정판(130)이 동축 선로(10)에 근접해 있는 상태일 때, 상기 조정자(100)를 조정자 중심축(120)을 중심으로 회전(이하 자전)시키면, 상기 우측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조정판(130)이 상기 동축 선로(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도시 형태이다.
또한, 상기 좌측과 우측의 도시에 포함된 화살표들은 각각 상기 조정자(100)가 조정자 중심축(120)을 기준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조정자(100) 및 조정판(130)이 이동됨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 조정판(130)은 원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운용상 유리할 것이다.
또한, 상기 조정자(100)를 반대로 자전시키면 상기 조정자(100) 및 상기 조정판(130)이 상기 동축 선로(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정자(100) 및 조정판(130)이 조정판(130)의 자전에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것은, 상기 연결기 중간부(23)의 내주면, 즉 커플링 포트 내벽(51)에 나선을 형성하고, 상기 조정판(130)이 상기 나선을 따라 자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조정자(100) 및 상기 조정판(130)이 자전함에 따라 상기 조정판(130) 및 상기 동축 선로(10) 사이의 이격 거리가 달라지게 된다. 또한, 상기 이격 거리가 달라짐으로써 생기는 효과는, 상기 동축 선로(10)와 상기 알에프 연결기(20) 사이의 연결계수 변경 효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정판 회전형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RF 연결기의 상면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한 설명에서 조정자(100)는 조정자 중심축(120), 조정판(130)을 함께 일컫는 표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축 선로(10)의 상부에, 알에프 연결기(20) 및 조정자(100)가 좌측과 우측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좌측과 우측의 도시에 포함된 화살표들은 각각 상기 조정자(100)가 조정자 중심축(120)을 기준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동축 선로(10)에 대한 상기 조정판(130)의 각도가 바뀜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조정판(130)의 각도는 동축 선로(10)의 축방향을 따르는 가상의 선과 상기 조정판(130)을 연장하는 가상의 면이 교차되어 이루는 교차 각도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정판(130)의 각도를 정의하고, 도면의 위쪽 방향을 0도로 보면, 도 4의 좌측에서의 상기 조정판(130)의 각도는 135도이며, 도 4의 우측에서의 상기 조정판(130)이 각도는 45도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조정자(100)를 상기 조정자 중심축(120)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시킴에 따라서, 상기 동축 선로(10)와 상기 알에프 연결기(20) 사이의 연결계수가 변경된다.
여기에서, 상기 조정자(100)의 각도가 상기 좌측에 도시된 것과 같은 135도 또는 상기 우측에 도시된 것과 같은 45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0 내지 360도의 어느 각도로든 회전될 수 있다는 것은 누구나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조정자(100)가 회전되는 방향이 도 4의 상기 좌측 또는 상기 우측에 도시되어 있는 화살표의 방향과 같아야만 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도 4와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정자(100)의 회전 방향 또는 각도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정될 수 있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 하나의 동축 선로(10) 상에, 상기 좌측과 우측으로 구분되는 도시에 각각, 연결기 중간부(23) 및 그 내부의 조정자(100)를 포함시킨 것은, 상기 동축 선로(10)와 상기 조정자(100) 사이의 이격 거리 변화 또는 각도 변화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동축 선로(10) 상에 연결기 중간부(23) 및 조정자(100)가 2개 구비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도 3의 조정판 이격형 알에프 연결기와 도 4의 조정판 회전형 알에프 연결기에 있어서, 양자 간 차이점은 동축 선로(10)와 알에프 연결기(20) 사이의 연결계수 변경 폭 또는 연결계수 변경 범위의 차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정판 이격형 알에프 연결기의 연결계수 변경 범위가 조정판 회전형 알에프 연결기의 연결계수 변경 범위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연결계수 변경 폭 또는 범위의 차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RF 연결기를 적용한 시뮬레이션의 결과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정판 이격형 알에프 연결기의 연결계수 변경 범위는, 시뮬레이션 결과 80MHz:-48.08dB 내지 83MHz:-47.76dB 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알에프 연결기의 연결계수 변경 범위는, 시뮬레이션 결과, 도 4의 조정판 회전형 실시예와 같이 조정자를 회전시킬 경우 ~ +/- 1.5 dB 까지 변동 가능하며, 도 3의 조정판 이격형 실시예와 같이 조정자의 높이를 변경할 경우 ~ +/- 10 dB 변동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10 : 동축 선로
20 : 알에프 연결기
21 : 연결기 하단부
23 : 연결기 중간부
25 : 연결기 삽입부
27 : 연결기 상단부
30 : 조정자 삽입공
40 : 조정자 상부공
50 : 커플링 포트
51 : 커플링 포트 내벽
100 : 조정자
110 : 조정추
120 : 조정자 중심축
130 : 조정판

Claims (10)

  1. 동축 선로에 설치되는 RF 연결기로서,
    상기 RF 연결기는 상기 동축 선로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RF 연결기는 상기 동축 선로와 상기 RF 연결기 사이의 연결계수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계수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는
    상기 동축 선로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동축 선로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RF 연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계수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로서,
    적어도 하나의 조정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RF 연결기.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계수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로서,
    나선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RF 연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계수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는
    상기 동축 선로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동축 선로에 대한 대향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RF 연결기.
  6. 제 1항 또는 제 2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계수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로서,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RF 연결기.
  7. 동축 선로에 설치되는 RF 연결기로서,
    상기 RF 연결기는
    상기 동축 선로의 외주면에 접하는 커플링 포트; 및
    상기 커플링 포트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동축 선로에 대한 이격 거리 또는 대향 각도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동축 선로와 상기 RF 연결기 사이의 연결계수를 변경시키는 조정자;
    를 구비하며,
    상기 RF 연결기는 상기 동축 선로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RF 연결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포트의 내주면 및 내벽에 나선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RF 연결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 선로와 상기 조정자 사이의 대향 각도를 변경시키기 위한 회전축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RF 연결기.
  10. 동축 선로에 설치되는 RF 연결기로서,
    상기 RF 연결기는
    상기 동축 선로의 외주면에 접하는 커플링 포트; 및
    상기 커플링 포트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동축 선로에 대한 이격 거리 또는 대향 각도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동축 선로와 상기 RF 연결기 사이의 연결계수를 변경시키는 조정자;
    를 구비하며,
    상기 조정자는 상기 동축 선로의 외주면에 이격된 원반 또는 판을 적어도 하나 구비하고,
    상기 RF 연결기는 상기 동축 선로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RF 연결기.
KR1020160104152A 2016-08-17 2016-08-17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rf 연결기 KR102006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152A KR102006147B1 (ko) 2016-08-17 2016-08-17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rf 연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152A KR102006147B1 (ko) 2016-08-17 2016-08-17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rf 연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341A KR20180020341A (ko) 2018-02-28
KR102006147B1 true KR102006147B1 (ko) 2019-08-02

Family

ID=61401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152A KR102006147B1 (ko) 2016-08-17 2016-08-17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rf 연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1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654B1 (ko) 2018-02-21 2023-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주행모드 전환 제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차량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823B1 (ko) * 2004-07-06 2006-07-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력 가변부를 구비한 방향성 결합기
US8237269B2 (en) 2008-08-01 2012-08-07 Qualcomm Incorporated High Q transformer disposed at least partly in a non-semiconductor substr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341A (ko)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93304A1 (en) Directional coupler system
US8937480B2 (en) High frequency detection device and coaxial cable including the same
KR101298972B1 (ko) 비접촉식 부분 방전 검출장치
CA2552338A1 (en) Broadband high-frequency slip-ring system
KR102006147B1 (ko) 동축 선로용 광역 가변 결합계수 rf 연결기
WO2014108991A1 (ja) アンテナとケーブルの接続状態確認装置および確認方法
US9804195B2 (en) HF measuring probe contacting assembly
US20120262249A1 (en) Broadband directional coupler
JP2011004355A (ja) コプレーナ線路と同軸線路の接続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高周波用パッケージ
US8022296B2 (en) Coaxial cable connector insulator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2123716B1 (ko) 알에프 신호조절 기능을 갖는 커넥터
CN104237575A (zh) 一种测试材料电磁特性的同轴夹具
WO2009104265A1 (ja) 分配移相器
US10230183B2 (en) Electrical interposer
US9712134B2 (en) Ultra-wideband impedance tuner
CN108028451B (zh) 具有导线连接的hf引导通过装置的高频导体系统
CN109417249B (zh) 适配器和具有适配器的电缆
KR20170050009A (ko) 광대역 고출력 동축 도파관용 양방향성 결합기
KR102337398B1 (ko) 연성회로기판
CN106415936B (zh) 具有阻止不希望的焊料流动的介电间隔件的同轴电缆和连接器
US20150034375A1 (en) Circuit board assembly with pads and connection lines having same resistance value as the pads and impedance matching method
TWI515438B (zh) High frequency probe module
JP6893358B2 (ja) 群遅延を利用したインダクタンスおよびキャパシタンス測定手法
US10777942B2 (en) Signal transmission cable
JP6988724B2 (ja) 挟み込みセンサおよび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