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718B1 - 상황정보 병기형 실사용 기반 모바일단말 스크립트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상황정보 병기형 실사용 기반 모바일단말 스크립트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718B1
KR102005718B1 KR1020180094758A KR20180094758A KR102005718B1 KR 102005718 B1 KR102005718 B1 KR 102005718B1 KR 1020180094758 A KR1020180094758 A KR 1020180094758A KR 20180094758 A KR20180094758 A KR 20180094758A KR 102005718 B1 KR102005718 B1 KR 102005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information
script
screen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수
Original Assignee
알서포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서포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알서포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4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57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718B1/ko
Priority to CN201910729034.7A priority patent/CN110825612A/zh
Priority to JP2019147357A priority patent/JP6911082B2/ja
Priority to US16/538,181 priority patent/US2020005771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Arrangements for tes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06F11/3668Software testing
    • G06F11/3672Test management
    • G06F11/3684Test management for test design, e.g. generating new test c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06F11/3604Software analysis for verifying properties of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04Abstract machines for programme code execution, e.g. Java virtual machine [JVM], interpreters, emulators
    • G06F9/45516Runtime code conversion or optim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06F11/3409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for performance assessment
    • G06F11/3414Workload generation, e.g. scripts, play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06F11/3438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monitoring of user 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06F11/3668Software tes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06F11/3668Software testing
    • G06F11/3672Test management
    • G06F11/3688Test management for test execution, e.g. scheduling of test sui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 모바일단말(10) 탑재 응용프로그램의 시험과정에서 모바일단말(10)을 자동 조작하는 스크립트(script)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모바일단말(10)에 탑재된 작성프로그램이 사용자의 실제 조작정보 및 그에 따라 출력된 화면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기초로 스크립트를 작성하여 저장하되 당 시점(時點)에서 모바일단말(10)의 상황정보를 병기(竝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모바일단말(10)의 사용환경이 충실하게 반영된 자동화 스크립트의 생성이 가능하며, 이로써 모바일단말(10) 탑재 응용프로그램의 시험에 있어서, 실사용 상태를 완벽하게 재연할 수 있어, 응용프로그램의 시험 실효성 및 신뢰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상황정보 병기형 실사용 기반 모바일단말 스크립트 생성 방법{SITUATION INFORMATION INDEXING TYPE ACTUAL OPERATION BASED SCRIPT GENERATION METHOD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 모바일단말(10) 탑재 응용프로그램의 시험과정에서 모바일단말(10)을 자동 조작하는 스크립트(script)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모바일단말(10)에 탑재된 작성프로그램이 사용자의 실제 조작정보 및 그에 따라 출력된 화면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기초로 스크립트를 작성하여 저장하되 당 시점(時點)에서 모바일단말(10)의 상황정보를 병기(竝記)하는 것이다.
고성능 처리장치, 대용량 기억장치 및 고화질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스마트폰 및 태블릿 등의 모바일단말(10)은 단순한 통신기기를 탈피하여,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다기능 정보기기로 활용되고 있으며, 이에 모바일단말(10)의 운영체계하에서 작동하는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모바일단말(10) 운영체계 제작사에 의하여 응용프로그램 제작 환경이 광범위하게 개방됨에 따라, 과거 모바일단말(10) 제작사 또는 통신사 등의 전유물이었던 응용프로그램 제작이 중소 프로그램 개발사는 물론 일반 사용자로 확대되어, 모바일단말(10)용 응용프로그램의 양적, 질적 성장이 폭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여타의 소프트웨어와 같이, 모바일단말(10)용 응용프로그램 역시 제작의 최종 단계로서 응용프로그램의 작동상 오류, 안정성 및 호환성 등을 점검하는 시험을 거치게 되는데, 이러한 응용프로그램의 시험 방식으로는 USB(Universal Serial Bus) 등 모바일단말(10)의 데이터커넥터(Data Connector)와 컴퓨터를 물리적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컴퓨터에 탑재된 테스트 프로그램이 모바일단말(10)을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모바일단말(10)에 탑재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 및 제어하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관련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2012-121950호 등을 들 수 있다.
시험 대상 응용프로그램이 탑재된 모바일단말(10)에 대한 컴퓨터의 자동 조작은 컴퓨터에 탑재된 테스트 프로그램이 모바일단말(10)로 개별 조작에 대응되는 스크립트(script)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되며, 테스트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컴퓨터에는 시험 대상 응용프로그램을 조작하는 다양한 시나리오별 스크립트가 수록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시험자가 모바일단말(10)을 직접 조작하지 않고도 다양한 상황에 대한 시험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렇듯, 테스트 프로그램이 탑재된 컴퓨터와 다양한 상황별 스크립트를 활용하여 모바일단말(10)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자동 시험이 가능하게 되었으나, 모바일단말(10)과 컴퓨터를 물리적으로 연결하여야 할 뿐 아니라, 다양한 기종의 모바일단말(10)에 대한 동시 시험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컴퓨터가 아닌 모바일단말(10)에서 실행되는 테스트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모바일단말(10)과 컴퓨터를 물리적으로 연결하지 않고도 모바일단말(10)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자동 시험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관련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2009-78890호 등을 들 수 있다.
공개특허 제2012-121950호에서와 같이 모바일단말(10)과 컴퓨터를 연결하여 수행하는 응용프로그램의 시험이나, 공개특허 제2009-78890호에서와 같이 모바일단말(10)에 자체 탑재된 테스트 프로그램에 의한 응용프로그램의 시험을 막론하고,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제어하는 일련의 처리는 모바일단말(10)을 조작하는 행위에 대응되는 스크립트에 의하여 수행된다.
즉, 모바일단말(10)에 탑재된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및 제어를 당해 모바일단말(10)의 물리적 입력장치에 대한 직접 조작이 아니라, 기 작성된 스크립트를 테스트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단말(10)의 운영체계가 독취(讀取)하여, 이를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입력 조작으로 취급함으로써, 시험 대상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자동 실행 내지 자동 제어가 진행되는 것이다.
따라서, 모바일단말(10) 응용프로그램의 자동 시험을 위해서는 시험용 스크립트의 작성이 반드시 선행될 필요가 있고, 이러한 시험용 스크립트는 주로 시험 대상 응용프로그램의 개발자 또는 당해 응용프로그램의 시험을 위탁받은 전문가가 작성하게 된다.
이렇듯 모바일단말(10) 응용프로그램의 시험용 스크립트를 개발자 또는 관련 전문가가 작성하는 것은 시험의 신뢰성, 정확성 및 효율성 측면에서 일견 유리할 것으로 판단될 수 있으나, 실제로는 스크립트 작성자의 전문성이 당해 응용프로그램의 실제 작동 환경과 괴리된 작위적인 환경을 조성함에 따라, 오히려 시험의 신뢰성 및 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작용이 초래된다.
즉, 종래 모바일단말(10) 응용프로그램 자동 시험 방법에 있어서 사용되는 스크립트는 정보기술 분야 전문가에 의하여 작성되는 것으로, 스크립트 자체의 무결성(無缺性) 및 안정성은 우수하지만, 시험을 마치고 배포된 응용프로그램의 실제 사용자는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인 경우가 절대 다수라 할 수 있는 바, 실사용 환경에서의 응용프로그램 조작에는 오조작 및 불필요한 무위(無爲) 조작이 빈발할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전문가에 의하여 정제(整齊)되어 작성된 스크립트가 오히려 실사용 환경을 반영하지 못하고, 오조작 또는 무위 조작으로 야기될 수 있는 오류를 전혀 예측하지 못하여 응용프로그램의 시험 효과를 반감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몽키스크립트(Monkey script) 등으로 불리는 무작위 조작 스크립트가 모바일단말(10)의 운영체계 내지 개발도구에 탑재되어, 시험 대상 응용프로그램이 탑재된 모바일단말(10)을 무작위 자동 조작함으로써,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의 오류를 확인하고 있으나, 이는 몽키스크립트의 사전적 의미에서와 같이, 최소한의 지적 판단에 의한 순차적 내지 체계적 조작이 완전히 배제된 상태에서 마치 원숭이가 모바일단말(10)을 다루는 것과 동일한 조작을 진행하는 것인 바, 이 또한 실사용 환경을 반영한 자동 조작이라 할 수 없다.
특히, 이러한 무작위 조작은 모바일단말(10)의 터치스크린내 임의의 좌표를 터치하는 스크립트가 반복 실행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바, 시험 대상 응용프로그램이 터치에 따라 순차 수행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경우, 실행되는 경우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시험이 사실상 불가능할 뿐 아니라, 설령 가능하다 하여도 유의(有意)한 시험 결과를 기대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한편, 종래기술에 있어서 활용되는 스크립트는 전적으로 조작내용만을 반영하는 것으로, 당해 스크립트가 실행되는 모바일단말(10)의 상황 즉, 통신망, 위치 또는 각종 센서의 활성화 여부 등이 전혀 반영되지 않은 것인 바, 실험 결과의 신뢰도 및 정확성에 있어서의 한계는 물론, 효율성에 있어서도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모바일단말(10)의 활용 분야가 확장되고 그 기능이 고도화됨에 따라 응용프로그램 역시 복잡화 및 고도화되고 있을 뿐 아니라, 응용프로그램의 실행과정에서 활발한 통신이 수행됨과 동시에, 위치정보는 물론 다양한 주변 감지 신호가 활용되고 있는데, 종래의 응용프로그램 시험에서 활용되는 스크립트는 사용자 조작에 기반한 것으로, 주변 상황을 실질적으로 반영하지 못하고, 실험 조건을 충실하게 재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데, GPS 정보에 기반한 위치정보를 프로그램 실행의 초기치 또는 입력치로 활용하는 응용프로그램을 상정하면, 종래의 시험용 스크립트는 사용자 조작을 재현할 뿐, 당 시점에서의 위치정보 획득 여부 내지 위치정보 자체를 실질적으로 반영하지 못하며, 따라서 시험 과정에서 위치정보 미비로 인한 오류의 발생시, 오류 원인의 파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밖에 없다.
이 밖에도 통신망 접속을 전제로 수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의 시험 또는 각종 센서류의 출력 신호가 소요되는 응용프로그램의 시험에서도 유사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일반적인 사용환경에서의 실사용 상황을 충분히 반영하면서도, 일반 사용자의 조작을 충실하게 재연할 수 있는 스크립트를 작성함과 동시에, 위치 및 통신망 접속 상태 등을 나타내는 상황정보를 동반 수록함으로 모바일단말(10) 응용프로그램 시험의 정확성, 신뢰도 및 효율성을 제고함을 목적으로 창안된 것으로, 모바일단말(10)용 스크립트의 생성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단말(10)에 탑재된 작성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실행단계(S10)와, 작성프로그램이 화면분석기로부터 모바일단말(10)의 화면정보를 추출하는 화면추출단계(S21)와, 작성프로그램이 모바일단말(10) 운영체계에서 시각정보, 통신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상황정보를 추출하는 상황추출단계(S22)와, 입력 조작이 이루어지면 작성프로그램이 이벤트분석기로부터 조작정보를 추출하는 조작추출단계(S23)와, 작성프로그램이 화면정보와 조작정보를 기초로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생성단계(S31)와, 작성프로그램이 생성된 스크립트와 스크립트에 대응되는 상황정보를 모바일단말(10)의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저장단계(S32)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정보 병기형 실사용 기반 모바일단말 스크립트 생성 방법이다.
또한, 상기 실행단계(S10)는 모바일단말(10) 화면상의 개시아이콘(21)이 터치됨으로써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정보 병기형 실사용 기반 모바일단말 스크립트 생성 방법이며, 상기 실행단계(S10)는 모바일단말(10) 화면의 스테이터스바가 전개된 후 터치됨으로써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정보 병기형 실사용 기반 모바일단말 스크립트 생성 방법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모바일단말(10)의 사용환경이 충실하게 반영된 자동화 스크립트의 생성이 가능하며, 이로써 모바일단말(10) 탑재 응용프로그램의 시험에 있어서, 실사용 상태를 완벽하게 재연할 수 있어, 응용프로그램의 시험 실효성 및 신뢰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모바일단말(10) 응용프로그램의 자동 시험과정에서 무의미한 무작위 반복 조작을 배제할 수 있으므로, 시험의 신속성 및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시험과정에서 수반되는 모바일단말(10) 전산자원의 잠식을 경감하고 시험 소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시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종래기술에서 간과되었던 모바일단말(10)의 위치 및 통신망 등 상황정보를 충실하게 반영함으로써, 모바일단말(10) 응용프로그램 시험의 정확성, 신뢰도 및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수행되는 모바일단말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크립트 작성 방식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이 수행되는 모바일단말 화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스테이터스바 방식 실시예의 모바일단말 화면 예시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수행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이 수행되는 모바일단말(10)의 시스템 구성도로서, 모바일단말(10)의 운영체계와 해당 운영체계의 응용프로그램으로서의 시험 대상 응용프로그램 및 본 발명을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작성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을 수행하는 작성프로그램은 모바일단말(10) 운영체계의 프로그램 모듈인 화면분석기 및 이벤트분석기와 연결되어 이들로부터 화면정보 및 조작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기초로 스크립트 코드를 작성하며, 상기 운영체계로부터 시각, 통신망 접속 상태 및 위치 등의 상황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이러한 작성프로그램 역시 모바일단말(10) 운영체계의 응용프로그램으로서 설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황정보란 그 사전적 의미에서와 같이, 모바일단말(10)의 작동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작성프로그램이 모바일단말(10)의 운영체계로부터 추출하게 되며, 시각정보, 통신정보, 위치정보 또는 감지정보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시각(時刻)정보란 모바일단말(10)의 운영체계에서 추출되는 정보로서 당 시점(時點)에서의 실제 시간(real time)을 나타내는 문자열 또는 숫자열 형식을 가지며, 통신정보란 통신망의 접속 상태 즉, 무선랜 접속 여부, 이동통신망 접속 여부 또는 접속 네트워크의 명칭 등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위치정보란 모바일단말(10)의 GPS모듈 등에서 추출되는 당해 모바일단말(10)의 좌표 등을 나타내는 정보이며, 감지정보란 모바일단말(10)에 장착된 가속도센서, 중력센서 또는 근접센서 등의 각종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러한, 시각정보, 통신정보, 위치정보 또는 감지정보 등의 상황정보를 통하여 모바일단말(10)의 작동 상태 및 주변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데, 후술할 저장단계(S32)에서 스크립트와 함께 개별 스크립트에 대응되는 상황정보를 모바일단말(10)의 기억장치에 동반 수록함으로써, 추후 응용프로그램의 시험과정에서 스크립트를 활용하여 모바일단말(10) 조작을 재현함에 있어서 실제 조작 상황을 충실하고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시험 대상 응용프로그램을 자동 조작하는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것이나, 이 과정에서 시험 대상 응용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실행될 뿐, 스크립트 생성에는 일체 관여하지 못하는 바, 시험 대상 응용프로그램과 본 발명을 수행하는 작성프로그램은 상호 독립적으로 작동하게 되며, 심지어 시험 대상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여부와 관계 없이 작성프로그램만이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작성프로그램은 시험 대상 응용프로그램의 작동을 전제로 실행되는 것이 아니며, 단지 시험 대상 응용프로그램의 자동 시험에 활용될 수 있는 스크립트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 유도를 목적으로 시험 대상 응용프로그램이 작동되는 것이며, 따라서 일단 작성프로그램이 실행된 후 사용자 조작이 이루어지기만 한다면 시험 대상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여부와 관계 없이, 사용자 조작 상황을 충분히 반영한 스크립트가 작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시험 대상 응용프로그램과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작성프로그램에 의한 스크립트 작성 방식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 즉, 입력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이벤트분석기가 이를 독취하여 조작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조작정보를 작성프로그램이 추출하여 스크립트 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으며, 이렇듯 생성된 일련의 스크립트 코드는 상황정보와 함께 스크립트 파일 등의 형식으로 모바일단말(10)의 기억장치에 수록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바일단말(10)에 탑재된 작성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실행단계(S10)로 개시된다.
이후, 모바일단말(10)에 탑재된 작성프로그램이 당해 모바일단말(10) 운영체계의 화면분석기로부터 모바일단말(10)의 화면정보를 추출하는 화면추출단계(S21)가 수행되는데, 화면추출단계(S21)에서 추출되는 화면정보는 위젯(widget) 등 GUI요소(Graphical User Interface)와, 해상도 및 화면비 등 화면 규격 요소 등을 포함하는 화면 구성 정보와, 캡처된 이미지를 포괄하는 것이다.
또한, 작성프로그램이 모바일단말(10) 운영체계에서 시각정보, 통신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상황정보를 추출하는 상황추출단계(S22)가 수행되는데, 여기서 상황정보란 전술한 바와 같이, 시각정보, 통신정보, 위치정보 또는 감지정보 등으로 구성되는 정보로서, 모바일단말(10)의 당 시점(時點)에서의 실제 상황을 충실하게 기록하는 정보라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화면추출단계(S21) 및 상황추출단계(S22)는 화면정보의 변동 또는 상황정보의 변동 발생시 반복 수행됨으로써, 후술할 저장단계(S32)에서 스크립트에 대응되어 갱신된 상태의 화면정보 및 상황정보가 수록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에 의하여 모바일단말(10)의 터치스크린을 통한 제스처 입력이 이루어지거나, 모바일단말(10)의 하드웨어 키 조작이 이루어지는 즉, 입력 조작이 이루어지면 작성프로그램이 이벤트분석기로부터 조작정보를 추출하는 조작추출단계(S23)가 수행된다.
이러한 화면추출단계(S21) 내지 조작추출단계(S23)를 통하여, 작성프로그램은 사용자의 모바일단말(10) 조작 상황을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이어서 작성프로그램이 화면정보와 조작정보를 기초로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생성단계(S31)를 수행함으로써, 해당 시점에서 수행된 일련의 조작이 스크립트 코드 형식으로 작성된다.
이렇듯 생성된 일련의 스크립트 코드는 작성프로그램이 생성된 스크립트와 스크립트에 대응되는 상황정보를 모바일단말(10)의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저장단계(S32)가 수행됨으로써, 순차적으로 누적된 일련의 제어 정보로서의 스크립트 파일로 완성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스크립트 파일은 단순히 스크립트가 순차적으로 나열된 문자열 정보가 아니라, 각 스크립트별로 해당 스크립트가 생성된 시점(時點)에서의 상황정보가 스크립트와 동반 수록되는 형식의 정보로서 수립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생성된 스크립트 파일은 시험 대상 응용프로그램을 배포한 시험 주관자에게 제공되거나, 다수의 시험 참여자에게 배포되어 전술한 일련의 사용자 조작을 충실하게 재현하게 되며, 특히 스크립트별 상황정보가 제공되어 시험의 정확성, 신뢰도 및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각각의 스크립트가 생성되던 시점의 모바일단말(10)의 작동 상황이 추후 수행되는 시험에서도 충실하게 반영될 수 있는 것으로, 단순히 사용자의 조작만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조작이 이루어지던 시점의 실제 시각, 통신망 접속 상태, 위치 또는 각종 센서의 신호 등을 충실하게 시험에 반영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개시 및 종료는 각각 작성프로그램의 실행 및 종료라 할 수 있으며, 작성프로그램의 실행 및 종료는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는 것인 바, 이러한 작성프로그램의 실행 및 종료를 강제하는 수단이 필요하며, 그 예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4는 모바일단말(10)의 터치스크린 화면상에 구현된 아이콘을 터치함으로써, 작성프로그램을 개시 및 종료하는 것으로, 이 경우 전술한 실행단계(S10)는 모바일단말(10) 화면상의 개시아이콘(21)이 터치됨으로써 수행된다.
또한, 작성프로그램의 종료 즉, 스크립트 작성의 종료 역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료아이콘(22)의 터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작성프로그램이 일단 실행된 후에는 작성프로그램이 모바일단말(10)의 화면에 종료아이콘(22)을 구현하게 된다.
이러한 아이콘 조작 방식은 모바일단말(10)의 활용에 미숙한 사용자라도 직관적인 조작이 가능하여 본 발명 보급을 확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작성프로그램의 실행중에 종료아이콘(22)이 화면상 상시 표시되므로, 타 아이콘과의 혼동 및 오조작의 우려가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스테이터스바에 작성프로그램을 활성화하는 항목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평상시 및 작성프로그램 실행중 모바일단말(10)의 화면에 개시아이콘(21) 및 종료아이콘(22)을 표시하지 않고도 본 발명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실행단계(S10)가 모바일단말(10) 화면의 스테이터스바가 전개된 후 터치됨으로써 수행되도록 한 것이며, 이후 작성프로그램의 종료 역시 스테이터스바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모바일단말
21 : 개시아이콘
22 : 종료아이콘
S10 : 실행단계
S21 : 화면추출단계
S22 : 상황추출단계
S23 : 조작추출단계
S31 : 생성단계
S32 : 저장단계

Claims (3)

  1. 시험 대상 응용프로그램이 탑재된 모바일단말(10)의 시험용 스크립트의 생성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단말(10)에 탑재되고 상기 시험 대상 응용프로그램과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작성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실행단계(S10)와;
    모바일단말(10)에 탑재된 작성프로그램이 화면분석기로부터 모바일단말(10)의 화면정보를 추출하는 화면추출단계(S21)와;
    모바일단말(10)에 탑재된 작성프로그램이 모바일단말(10) 운영체계에서 시각정보, 통신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상황정보를 추출하는 상황추출단계(S22)와;
    사용자에 의한 입력 조작이 이루어지면 모바일단말(10)에 탑재된 작성프로그램이 이벤트분석기로부터 조작정보를 추출하는 조작추출단계(S23)와;
    모바일단말(10)에 탑재된 작성프로그램이 화면정보와 상기 조작추출단계(S23)에서 추출된 조작정보를 기초로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생성단계(S31)와;
    모바일단말(10)에 탑재된 작성프로그램이 생성된 스크립트와 스크립트에 대응되는 상황정보를 모바일단말(10)의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저장단계(S32)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정보 병기형 실사용 기반 모바일단말 스크립트 생성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실행단계(S10)는 모바일단말(10) 화면상의 개시아이콘(21)이 터치됨으로써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정보 병기형 실사용 기반 모바일단말 스크립트 생성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실행단계(S10)는 모바일단말(10) 화면의 스테이터스바가 전개된 후 터치됨으로써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정보 병기형 실사용 기반 모바일단말 스크립트 생성 방법.
KR1020180094758A 2018-08-14 2018-08-14 상황정보 병기형 실사용 기반 모바일단말 스크립트 생성 방법 KR102005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758A KR102005718B1 (ko) 2018-08-14 2018-08-14 상황정보 병기형 실사용 기반 모바일단말 스크립트 생성 방법
CN201910729034.7A CN110825612A (zh) 2018-08-14 2019-08-08 情况信息同时记入式基于实际使用移动终端脚本生成方法
JP2019147357A JP6911082B2 (ja) 2018-08-14 2019-08-09 状況情報併記型実使用ベースのモバイル端末のスクリプト生成方法
US16/538,181 US20200057710A1 (en) 2018-08-14 2019-08-12 Script generation method for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758A KR102005718B1 (ko) 2018-08-14 2018-08-14 상황정보 병기형 실사용 기반 모바일단말 스크립트 생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5718B1 true KR102005718B1 (ko) 2019-07-31

Family

ID=67473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758A KR102005718B1 (ko) 2018-08-14 2018-08-14 상황정보 병기형 실사용 기반 모바일단말 스크립트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00057710A1 (ko)
JP (1) JP6911082B2 (ko)
KR (1) KR102005718B1 (ko)
CN (1) CN110825612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765B1 (en) * 2002-07-29 2003-09-13 Metabrain Co Ltd Terminal device for transferring context and context transferring method adopting the same
JP2009501984A (ja) * 2005-07-21 2009-01-22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制御装置を操作および監視する方法、これに対応する操作/監視装置、制御装置ならびにこのような制御装置を備える機械、およびその方法の利用法、ならびにデータ記憶媒体
KR101325954B1 (ko) * 2012-09-13 2013-11-20 주식회사 인프라웨어테크놀러지 코드분석과 화면분석을 이용한 안드로이드 어플의 자동실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안드로이드 어플 자동실행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JP2014157634A (ja) * 2014-06-05 2014-08-28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表示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37371B1 (ko) * 2014-12-10 2016-07-07 (주)파이온닷컴 스마트기기용 어플리케이션의 테스트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7117309A (ja) * 2015-12-25 2017-06-29 ムーバクラウド株式会社 スマートフォンアプリケーションテスト自動化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5654B2 (en) * 2012-08-13 2015-04-21 Bitbar Technologies Oy System for providing test environments for executing and analysing test routines
JP5903028B2 (ja) * 2012-11-13 2016-04-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動作検証システム、動作検証プログラム、および動作検証方法
JP6326742B2 (ja) * 2013-08-29 2018-05-23 富士通株式会社 シナリオ生成プログラム、シナリオ実行プログラム、シナリオ生成方法、シナリオ実行方法、シナリオ生成装置、及びシナリオ実行装置
KR102289786B1 (ko) * 2014-11-21 2021-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765B1 (en) * 2002-07-29 2003-09-13 Metabrain Co Ltd Terminal device for transferring context and context transferring method adopting the same
JP2009501984A (ja) * 2005-07-21 2009-01-22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制御装置を操作および監視する方法、これに対応する操作/監視装置、制御装置ならびにこのような制御装置を備える機械、およびその方法の利用法、ならびにデータ記憶媒体
KR101325954B1 (ko) * 2012-09-13 2013-11-20 주식회사 인프라웨어테크놀러지 코드분석과 화면분석을 이용한 안드로이드 어플의 자동실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안드로이드 어플 자동실행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JP2014157634A (ja) * 2014-06-05 2014-08-28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表示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37371B1 (ko) * 2014-12-10 2016-07-07 (주)파이온닷컴 스마트기기용 어플리케이션의 테스트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7117309A (ja) * 2015-12-25 2017-06-29 ムーバクラウド株式会社 スマートフォンアプリケーションテスト自動化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11082B2 (ja) 2021-07-28
JP2020027660A (ja) 2020-02-20
CN110825612A (zh) 2020-02-21
US20200057710A1 (en) 2020-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2237B2 (en) Automated testing of gesture-based applications
US10853232B2 (en) Adaptive system for mobile device testing
US9280451B2 (en) Testing device
CN107608609B (zh) 一种事件对象发送方法与装置
CN103984626A (zh) 一种生成测试用例脚本的方法及装置
US20160077831A1 (en) Accurate and performant code design using memoization
TWI476587B (zh) 測試電子裝置之功能的測試方法以及測試裝置
US20140082582A1 (en) Resource Tracker
CN106952426B (zh) 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11651232A (zh) 一机多控方法、装置、系统及电子设备
CN106815010B (zh) 一种操作数据库的方法及装置
JPH08212106A (ja) システム試験支援装置及びシステム試験支援方法
KR102005718B1 (ko) 상황정보 병기형 실사용 기반 모바일단말 스크립트 생성 방법
KR102103590B1 (ko) 프로그램 호환성 자동테스트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JP5204343B1 (ja) テスト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685299B1 (ko) 비결정적인 이벤트 처리가 가능한 프로그램의 자동 테스트 방법 및 자동 테스트 장치
CN113805861B (zh) 基于机器学习的代码生成方法、代码编辑系统及存储介质
JP2010231594A (ja) 試験プログラム及び試験装置
KR102087208B1 (ko) 니모닉 기반의 gui 테스트 자동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JP2007213487A (ja) アスペクト生成方法及び装置
CN110851332A (zh) 一种日志文件的处理方法、装置、设备和介质
CN113139190A (zh) 程序文件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5982018B (zh) 一种基于ocr的ui测试方法、系统、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3220596B (zh) 应用的测试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程序产品
KR20120058753A (ko) 디버거를 이용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단위 테스트 자동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