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641B1 -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 - Google Patents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641B1
KR102005641B1 KR1020170169954A KR20170169954A KR102005641B1 KR 102005641 B1 KR102005641 B1 KR 102005641B1 KR 1020170169954 A KR1020170169954 A KR 1020170169954A KR 20170169954 A KR20170169954 A KR 20170169954A KR 102005641 B1 KR102005641 B1 KR 102005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ves
support
tree
net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9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9741A (ko
Inventor
박동석
Original Assignee
박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석 filed Critical 박동석
Priority to KR1020170169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5641B1/ko
Publication of KR20190069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6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6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 A01D2046/262Collecting surfaces extended around a tree in order to catch the frui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의 둘레에 감겨져서 고정되는 고정대; 고정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고정대에 둘레를 따라 다수로 결합되고, 각각이 와이어에 의해 수목의 가지에 연결되는 지지봉; 지지봉에 지지되어 수목의 둘레에 설치되고, 수목에 대한 낙과물이나 낙엽을 수집하여 하방으로 이송시키는 받침망; 및 받침망의 하부에 연결되어 고정대를 감싸서 하단이 오므리도록 설치되고, 받침망을 통해서 유입되는 낙과물이나 낙엽을 개폐부의 개방에 의해 외부로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수거망;을 포함하고, 고정대는, 양측에 제 1 힌지결합부가 마련되고, 지지봉이 끼워지기 위한 봉결합부가 상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며, 봉결합부가 보강편에 의해 연결되는 다수의 주판; 및 제 1 힌지결합부에 힌지축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 2 힌지결합부가 양측에 각각 마련됨으로써, 주판과 교대로 연결되어 주판과 함께 원통을 이루도록 하는 다수의 연결판;을 포함하는,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목에 설치되어 낙과의 방지 및 낙엽의 수집을 가능하도록 하여, 낙과 및 낙엽으로 인한 손실이나 주변 환경 오염 또는 청소 부담을 해소할 수 있고, 수목에 대해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집된 낙과물이나 낙엽의 회수가 손쉽도록 할 수 있으며, 수목에 안정적이면서 견고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낙과물이나 낙엽의 수집에 대한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Apparatus for prevention of falling fruit and collecting fallen leaves}
본 발명은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낙과 및 낙엽으로 인한 손실이나 주변 환경 오염 또는 청소 부담을 해소할 수 있고, 수목에 대해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집된 낙과물이나 낙엽의 회수가 손쉽도록 할 수 있으며, 수목에 안정적이면서 견고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목은 낙엽 시기가 되면, 대부분 잎 속의 양분이 줄기 등으로 이동하여 엽록소가 분해 및 소실됨으로써 낙엽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수목은 과수인 경우, 수확기 무렵에 과실의 발육이 거의 완료되어 낙과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낙엽은 도로를 비롯한 통행로 등에 적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시로 청소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초래하고, 심지어는 하수로 유입되어 하수의 이동통로를 차단함으로써 폭우 등에 의해 배수를 어렵게 하여, 침수 등의 피해를 발생시키고, 과수에서의 낙과는 낙과물에 상처를 주게 되어 제품으로서 가치를 크게 훼손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또한, 도로변에 식재된 은행나무의 경우, 가을에 많은 양의 낙과와 낙엽을 발생시켜 도로를 오염시키게 되는데, 은행나무의 열매는 껍질이 벗겨지거나 부패하면 불쾌한 냄새를 발생시킴으로써 주변 환경을 열악하게 하는 원인이 제공하였다.
이러한 낙과 및 낙엽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41582호의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가 있다. 이는 수목의 둘레를 감싸는 포집망과; 길게 연장 형성된 고리 형태로, 하단은 상기 포집망의 상부와 탈부착 결합되고, 중단에는 길이조절부재가 구비되고, 상단에는 고리가 형성되어 수목의 가지에 걸리며, 상기 고리 또는 상기 길이조절부재의 일측에는 걸이홈이 형성되는 포집망 고정부재와; 길이가 조절되는 긴 바 형태로, 상단을 상기 포집망 고정부재의 걸이홈에 걸어 상기 포집망 고정부재를 수목 가지에 걸거나 분리하는 고지 걸이대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는 포집망의 설치 및 포집대상물의 회수 등이 불편하고, 설치의 견고성을 확보하는데 한계를 가짐으로써, 낙엽이나 낙과물의 수집에 대한 안전성을 해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상기한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목에 설치되어 낙과의 방지 및 낙엽의 수집을 가능하도록 하여, 낙과 및 낙엽으로 인한 손실이나 주변 환경 오염 또는 청소 부담을 해소하도록 하고, 수목에 대해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집된 낙과물이나 낙엽의 회수가 손쉽도록 하며, 수목에 안정적이면서 견고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낙과물이나 낙엽의 수집에 대한 안전성을 담보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목의 둘레에 감겨져서 고정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상기 고정대에 둘레를 따라 다수로 결합되고, 각각이 와이어에 의해 상기 수목의 가지에 연결되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에 지지되어 상기 수목의 둘레에 설치되고, 상기 수목에 대한 낙과물이나 낙엽을 수집하여 하방으로 이송시키는 받침망; 및 상기 받침망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대를 감싸서 하단이 오므리도록 설치되고, 상기 받침망을 통해서 유입되는 낙과물이나 낙엽을 개폐부의 개방에 의해 외부로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수거망;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대는, 양측에 제 1 힌지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봉이 끼워지기 위한 봉결합부가 상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며, 상기 봉결합부가 보강편에 의해 연결되는 다수의 주판; 및 상기 제 1 힌지결합부에 힌지축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 2 힌지결합부가 양측에 각각 마련됨으로써, 상기 주판과 교대로 연결되어 상기 주판과 함께 원통을 이루도록 하는 다수의 연결판;을 포함하는,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가 제공된다.
삭제
상기 지지봉은, 다수로 분할되는 중공부재가 끝단에 형성되는 삽입부에 의해 서로 끼워져서 일렬로 연결되고, 끝단에 와이어의 연결을 위한 연결링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받침망은, 역사다리꼴의 제 1 메쉬망; 상기 제 1 메쉬망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제 1 테두리부재; 상기 제 1 테두리부재에 걸 수 있도록 다수로 마련되는 제 1 아일렛; 상기 제 1 메쉬망의 좌측과 우측이 서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테두리부재에서 상기 제 1 메쉬망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마련되는 스냅단추; 및 상기 제 1 메쉬망에 상기 지지봉의 일부 또는 전부 각각이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거망은, 하부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도록 형성되는 제 2 메쉬망; 상기 제 2 메쉬망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제 2 테두리부재; 상기 제 2 테두리부재에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마련되는 제 2 아일렛; 상기 제 2 메쉬망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 2 아일렛을 통해서 상기 받침망의 하단에 다수로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핀; 및 상기 제 2 메쉬망에 지퍼로 이루어지도록 마련되는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대의 상단과 하단을 감싸도록 각각 마련되는 상부고무밴드 및 하부고무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수목의 둘레에 감겨져서 고정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상기 고정대에 둘레를 따라 다수로 결합되고, 각각이 와이어에 의해 상기 수목의 가지에 연결되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에 지지되어 상기 수목의 둘레에 설치되고, 상기 수목에 대한 낙과물이나 낙엽을 수집하여 하방으로 이송시키는 받침망; 및 상기 받침망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대를 감싸서 하단이 오므리도록 설치되고, 상기 받침망을 통해서 유입되는 낙과물이나 낙엽을 개폐부의 개방에 의해 외부로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수거망;을 포함하는,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양측에 제 1 힌지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봉이 끼워지기 위한 봉결합부가 상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며, 상기 봉결합부가 제 3 힌지결합부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측부에 제 4 힌지결합부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제 1 볼트와 상기 봉결합부의 측부에 제 5 힌지결합부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제 2 볼트가 암나사튜브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암나사튜브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봉결합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다수의 주판; 및 상기 제 1 힌지결합부에 힌지축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 2 힌지결합부가 양측에 각각 마련됨으로써, 상기 주판과 교대로 연결되어 상기 주판과 함께 원통을 이루도록 하는 다수의 연결판;을 포함하는,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고정대는, 상기 주판과 상기 연결판이 서로 분리되는 측에 서로 마주 보도록 결합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플랜지를 볼트와 너트에 의해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에 의하면, 수목에 설치되어 낙과의 방지 및 낙엽의 수집을 가능하도록 하여, 낙과 및 낙엽으로 인한 손실이나 주변 환경 오염 또는 청소 부담을 해소할 수 있고, 수목에 대해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집된 낙과물이나 낙엽의 회수가 손쉽도록 할 수 있으며, 수목에 안정적이면서 견고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낙과물이나 낙엽의 수집에 대한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의 설치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의 고정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에서 주판을 도시한 측면도(a) 및 정면도(b)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에서 연결판을 도시한 측면도(a) 및 정면도(b)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의 다른 설치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에서 지지봉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에서 받침망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에서 수거망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에서 수거망의 접힌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에서 주판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에서 봉결합부의 각도조절 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른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에서 고정대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에 의하여 여러 가지의 실시례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례를 예로서 도면에 나타내어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실시례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 내지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의 설치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10)는 고정대(100), 지지봉(200), 받침망(300) 및 수거망(4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대(100)는 수목(20)의 둘레에 감겨져서 고정되도록 한다. 고정대(100)는 예컨대 다수의 주판(110)과 다수의 연결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주판(110)은 양측에 제 1 힌지결합부(111)가 마련될 수 있고, 지지봉(200)이 끼워지기 위한 봉결합부(112)가 상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으며, 봉결합부(112)가 보강편(113)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상단과 하단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절곡으로 보강부(114)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연결판(120)은 제 1 힌지결합부(111)에 힌지축(130)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 2 힌지결합부(121)가 양측에 각각 마련됨으로써, 주판(110)과 교대로 연결되어 주판(110)과 함께 원통을 이루도록 하고, 상단과 하단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절곡으로 보강부(122)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주판(110)과 연결판(120)은 식물의 외주면 곡률에 상응하도록 횡단면이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대(100)는 수목(20)에 설치시 수목(20)과의 사이에 수목(20) 보호를 위한 보호시트(510)를 감은 다음, 보호시트(510)의 외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대(100)는 상단과 하단을 감싸도록 각각 마련되는 상부고무밴드(520) 및 하부고무밴드(530)의 조임 내지 탄성력에 의해 수목(20)의 둘레에 밀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대(100)는 수목(20)의 둘레보다 크거나 작은 경우 이러한 수목(20)에 대한 밀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주판(110)과 연결판(120)이 서로 분리될 수도 있다.
도 1 및 6을 참조하면, 지지봉(200)은 고정대(100)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고정대(100)에 둘레를 따라 다수로 결합되고, 각각이 와이어(230)에 의해 수목(20)의 가지(21)에 연결된다. 지지봉(200)은 예컨대 다수로 분할되는 중공부재(210,220)가 끝단에 형성되는 삽입부(221)에 의해 서로 끼워져서 일렬로 연결되고, 끝단에 와이어(230)의 연결을 위한 연결링(240)이 마련될 수 있다. 와이어(230)는 끝단의 매듭 또는 별도의 링을 사용하여 가지(21)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 및 7을 참조하면, 받침망(300)은 지지봉(200)에 지지되어 수목(20)의 둘레에 설치되고, 수목(20)에 대한 낙과물이나 낙엽을 수집하여 하방으로 이송시키도록 한다. 받침망(300)은 역사다리꼴의 제 1 메쉬망(310)과, 제 1 메쉬망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제 1 테두리부재(320)와, 제 1 테두리부재(320)에 걸 수 있도록 다수로 마련되는 제 1 아일렛(330)과, 제 1 메쉬망(310)의 좌측과 우측이 서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제 1 테두리부재(320)에서 제 1 메쉬망(31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부분에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마련되는 스냅단추(340)와, 제 1 메쉬망(310)에 지지봉(200)의 일부 또는 전부 각각이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슬리브(350)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망(300)은 일례로 단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다른 예로서 본 실시례에서처럼 상하 다수, 예컨대 2개로 이루어져서 서로 연결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제 1 메쉬망(310)이 상하 다수로 분할될수 있고, 분할된 각각의 제 1 메쉬망(310) 가장자리마다 제 1 테두리부재(320)가 마련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제 1 메쉬망(310)에 마련된 제 1 테두리부재(320) 좌측과 우측에 체결을 위한 스냅단추(340)가 마련될 수 있고, 각각의 제 1 메쉬망(310)에 마련되는 제 1 테두리부재(320)가 상하로 서로 마주보는 측에 체결을 위한 스냅단추(340)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 테두리부재(320)는 박음질이나 접착 등에 의해 제 1 메쉬망(3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 1 메쉬망(310)의 보강을 위한 섬유나 합성수지를 비롯한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아일렛(330) 및 스냅단추(340)가 걸림 및 체결 등을 요구하는 위치에 다양하게 분포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 1 메쉬망(310)에는 설치 또는 관리의 주체를 나타내는 로고 등이 인쇄된 표시부(360)가 마련될 수 있다. 슬리브(350)는 섬유나 합성수지 등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박음질이나 부착에 의해 설치될 수 있으며, 지지봉(200)과 동일한 갯수나 그보다 작은 갯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수거망(400)은 받침망(300)의 하부에 연결되어 고정대(100)를 감싸서 하단이 오므리도록 설치되고, 받침망(300)을 통해서 유입되는 낙과물이나 낙엽을 개폐부(450)의 개방에 의해 외부로 수거할 수 있도록 한다. 수거망(400)은 하부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도록 형성되는 제 2 메쉬망(410)과, 제 2 메쉬망(410)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제 2 테두리부재(420)와, 제 2 테두리부재(420)에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마련되는 제 2 아일렛(430)과, 제 2 메쉬망(410)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 2 아일렛(430)을 통해서 받침망(300) 하단, 예컨대 제 1 메쉬망(321) 하단에 다수로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핀(440)과, 제 2 메쉬망(410)에 지퍼로 이루어지도록 마련되는 개폐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테두리부재(420)는 박음질이나 접착 등에 의해 제 2 메쉬망(410)에 설치될 수 있고, 제 2 메쉬망(410)의 보강을 위한 섬유나 합성수지 등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거망(400)은 예컨대 제 2 아일렛(430)을 통한 와이어, 예컨대 고무줄 등을 이용하여 고정대(100)를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에서 고정대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10)의 고정대(100)와 마찬가지로, 양측에 제 1 힌지결합부(611)가 마련되고, 지지봉(200; 도 1에 도시)이 끼워지기 위한 봉결합부(612)가 상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다수의 주판(610)과, 제 1 힌지결합부(611)에 힌지축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 2 힌지결합부가 양측에 각각 마련됨으로써, 주판(610)과 교대로 연결되어 주판(610)과 함께 원통을 이루도록 하는 다수의 연결판을 포함하는 점에서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례에서 주판(610)은 이전 실시례에서와 달리, 봉결합부(612)가 고정타입이 아니라 각도조절타입이다. 이를 위해 주판(610)은 측부에 봉결합부(612)가 제 3 힌지결합부(613)에 의해 힌지 결합될 수 있고, 측부에 제 4 힌지결합부(616)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제 1 볼트(614)와 봉결합부(612)의 측부에 제 5 힌지결합부(617)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제 2 볼트(615)가 암나사튜브(618)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사 결합됨으로써, 암나사튜브(618)의 회전 조작에 의해 봉결합부(61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볼트(614,615)의 나사 형성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거나, 암나사튜브(618) 내의 양측 암사나 형성 방향이 반대 방향이 되도록 함으로써, 암나사튜브(618)의 양방향 회전 조작에 의해 제 1 및 제 2 볼트(614,615)의 간격 조절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에서와 같이, 제 1 및 제 2 볼트(614,615) 및 암나사튜브(618) 등과 같은 봉결합부(612)의 각도조절 구조는 일례로 턴버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른 고정대(700)는 주판(710)과 연결판(720)이 서로 분리되는 측에 서로 마주 보도록 결합플랜지(730)가 형성될 수 있고, 결합플랜지(730)를 볼트(741)와 너트(742)에 의해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대(100,700)가 스테인레스스틸이나 그 밖의 금속 또는 금속합금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수목(20)에 견고하게 부착하여 지지봉(200)과 함께 받침망(300) 등을 견고하게 부착하여, 이를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수목(20)에 해당하는 가로수나 유실수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조립식 받침망(300)을 자유롭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다수로 분할된 지지봉(200)의 길이 조절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받침망(300)과 수거망(400)의 분리 구조로 인해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에 맞게 쉽게 조정할 수 있으며, 보호시트(510) 등을 사용하여, 수목(20)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보호시트(510)를 사용후에는 소각하여 병충해 제거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받침망(300)에는 표시부(360)를 마련하여 각종 홍보문구나 그림 인쇄 등으로 도로경과 향상에 기여하고, 필요에 따라 지지봉(200)에 LED를 장착하여 도시 야간 환경을 개선할 수 있으며, 상부고무밴드(520) 및 하부고무밴드(530)를 사용하여 고정대(100)를 수목(2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에 따르면, 수목에 설치되어 낙과의 방지 및 낙엽의 수집을 가능하도록 하여, 낙과 및 낙엽으로 인한 손실이나 주변 환경 오염 또는 청소 부담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목에 대해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집된 낙과물이나 낙엽의 회수가 손쉽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목에 안정적이면서 견고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낙과물이나 낙엽의 수집에 대한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0 : 수목 21 : 가지
100 : 고정대 110 : 주판
111 : 제 1 힌지결합부 112 : 봉결합부
113 : 보강편 114 : 보강부
120 : 연결판 121 : 제 2 힌지결합부
122 : 보강부 123 : 고리부
130 : 힌지축 200 : 지지봉
210 : 제 1 중공부재 220 : 제 2 중공부재
221 : 삽입부 230 : 와이어
240 : 연결링 300 : 받침망
310 : 제 1 메쉬망 320 : 제 1 테두리부재
330 : 제 1 아일렛 340 : 스냅단추
350 : 슬리브 360 : 표시부
400 : 수거망 410 : 제 2 메쉬망
420 : 제 2 테두리부재 430 : 제 2 아일렛
440 : 연결핀 450 : 개폐부
510 : 보호시트 520 : 상부고무밴드
530 : 하부고무밴드 610 : 주판
611 : 제 1 힌지결합부 612 : 봉결합부
613 : 제 3 힌지결합부 614 : 제 1 볼트
615 : 제 2 볼트 616 : 제 4 힌지결합부
617 : 제 5 힌지결합부 618 : 암나사튜브
700 : 고정대 710 : 주판
720 : 연결판 730 : 결합플랜지
741 : 볼트 742 : 너트

Claims (8)

  1. 수목의 둘레에 감겨져서 고정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상기 고정대에 둘레를 따라 다수로 결합되고, 각각이 와이어에 의해 상기 수목의 가지에 연결되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에 지지되어 상기 수목의 둘레에 설치되고, 상기 수목에 대한 낙과물이나 낙엽을 수집하여 하방으로 이송시키는 받침망; 및
    상기 받침망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대를 감싸서 하단이 오므리도록 설치되고, 상기 받침망을 통해서 유입되는 낙과물이나 낙엽을 개폐부의 개방에 의해 외부로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수거망;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대는,
    양측에 제 1 힌지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봉이 끼워지기 위한 봉결합부가 상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며, 상기 봉결합부가 보강편에 의해 연결되는 다수의 주판; 및
    상기 제 1 힌지결합부에 힌지축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 2 힌지결합부가 양측에 각각 마련됨으로써, 상기 주판과 교대로 연결되어 상기 주판과 함께 원통을 이루도록 하는 다수의 연결판;을 포함하는,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다수로 분할되는 중공부재가 끝단에 형성되는 삽입부에 의해 서로 끼워져서 일렬로 연결되고, 끝단에 와이어의 연결을 위한 연결링이 마련되는,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망은,
    역사다리꼴의 제 1 메쉬망;
    상기 제 1 메쉬망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제 1 테두리부재;
    상기 제 1 테두리부재에 걸 수 있도록 다수로 마련되는 제 1 아일렛;
    상기 제 1 메쉬망의 좌측과 우측이 서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테두리부재에서 상기 제 1 메쉬망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마련되는 스냅단추; 및
    상기 제 1 메쉬망에 상기 지지봉의 일부 또는 전부 각각이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슬리브;
    를 포함하는,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거망은,
    하부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도록 형성되는 제 2 메쉬망
    상기 제 2 메쉬망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제 2 테두리부재;
    상기 제 2 테두리부재에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마련되는 제 2 아일렛;
    상기 제 2 메쉬망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 2 아일렛을 통해서 상기 받침망의 하단에 다수로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핀; 및
    상기 제 2 메쉬망에 지퍼로 이루어지도록 마련되는 개폐부;
    를 포함하는,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의 상단과 하단을 감싸도록 각각 마련되는 상부고무밴드 및 하부고무밴드를 더 포함하는,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
  7. 수목의 둘레에 감겨져서 고정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상기 고정대에 둘레를 따라 다수로 결합되고, 각각이 와이어에 의해 상기 수목의 가지에 연결되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에 지지되어 상기 수목의 둘레에 설치되고, 상기 수목에 대한 낙과물이나 낙엽을 수집하여 하방으로 이송시키는 받침망; 및
    상기 받침망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대를 감싸서 하단이 오므리도록 설치되고, 상기 받침망을 통해서 유입되는 낙과물이나 낙엽을 개폐부의 개방에 의해 외부로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수거망;을 포함하는,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양측에 제 1 힌지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봉이 끼워지기 위한 봉결합부가 상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며, 상기 봉결합부가 제 3 힌지결합부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측부에 제 4 힌지결합부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제 1 볼트와 상기 봉결합부의 측부에 제 5 힌지결합부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제 2 볼트가 암나사튜브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암나사튜브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봉결합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다수의 주판; 및
    상기 제 1 힌지결합부에 힌지축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 2 힌지결합부가 양측에 각각 마련됨으로써, 상기 주판과 교대로 연결되어 상기 주판과 함께 원통을 이루도록 하는 다수의 연결판;
    을 포함하는,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상기 주판과 상기 연결판이 서로 분리되는 측에 서로 마주 보도록 결합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플랜지를 볼트와 너트에 의해 서로 연결시키는,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
KR1020170169954A 2017-12-12 2017-12-12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 KR102005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954A KR102005641B1 (ko) 2017-12-12 2017-12-12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954A KR102005641B1 (ko) 2017-12-12 2017-12-12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741A KR20190069741A (ko) 2019-06-20
KR102005641B1 true KR102005641B1 (ko) 2019-07-30

Family

ID=67103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954A KR102005641B1 (ko) 2017-12-12 2017-12-12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56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518B1 (ko) * 2021-10-29 2022-02-14 안병욱 과실 수집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584B1 (ko) 2009-12-07 2012-05-16 김형섭 낙과수거장치
US20160255772A1 (en) 2015-03-06 2016-09-08 Payman Zamirpour Tree Mounted Tarp Device
KR101672968B1 (ko) * 2014-10-08 2016-11-04 이인호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1057A (ko) * 2016-02-26 2017-09-05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은행나무 열매 낙과 수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584B1 (ko) 2009-12-07 2012-05-16 김형섭 낙과수거장치
KR101672968B1 (ko) * 2014-10-08 2016-11-04 이인호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US20160255772A1 (en) 2015-03-06 2016-09-08 Payman Zamirpour Tree Mounted Tarp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741A (ko) 2019-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59220A1 (en) Ballasted wind shielding system and method
KR20160083510A (ko) 열매 수집기
KR102005641B1 (ko) 수목의 낙과 방지 및 낙엽 수집 장치
KR101672968B1 (ko)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KR101975560B1 (ko) 유실수의 열매 또는 낙엽받이 기구
MX2011004914A (es) Barrera protectora de las ventiscas.
US20060037300A1 (en) Safety and harvesting device
US20090025357A1 (en) Tree fruit collection device v-shaped support
KR102001206B1 (ko) 은행 낙과 수집 장치
KR20170101057A (ko) 은행나무 열매 낙과 수거장치
KR101057968B1 (ko)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
JP5980270B2 (ja) 電柱作業落下物防止具
KR200460435Y1 (ko)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
EP3721704A1 (en) A protection system for agricultural crops
KR20160000335U (ko) 농작물 지지장치
CN206101132U (zh) 一种安装在葡萄防鸟网篱架上的紧固件
CN203158622U (zh) 组合式灌木凋落物回收装置
CN215872774U (zh) 一种棕榈科王棕属植物叶片固定装置
KR20160011888A (ko) 과수원의 잡초 방지장치
KR20190097443A (ko) 수용포켓을 포함하는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
KR200481883Y1 (ko) 농작물 지지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탈착식 연결클립
KR20230060912A (ko) 중심링을 구비한 친환경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CN213907501U (zh) 一种薯类作物收获机用除草机构
KR20210065359A (ko) 가로수 낙엽 수거 및 과수 열매 수확장치
KR200426241Y1 (ko) 나무 보호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