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538B1 - 모듈식 전기로를 구비하는 플럭서 - Google Patents

모듈식 전기로를 구비하는 플럭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538B1
KR102005538B1 KR1020177033111A KR20177033111A KR102005538B1 KR 102005538 B1 KR102005538 B1 KR 102005538B1 KR 1020177033111 A KR1020177033111 A KR 1020177033111A KR 20177033111 A KR20177033111 A KR 20177033111A KR 102005538 B1 KR102005538 B1 KR 102005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ace
crucible
movable
holder
mel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3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8505A (ko
Inventor
마르크 보이빈
삐에르 엠마뉴엘 리메이
안토이네 피알라
마르코 베르니에르
Original Assignee
스펙스 샘플프렙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펙스 샘플프렙 엘엘씨 filed Critical 스펙스 샘플프렙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80018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8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7/00Furnaces of a kind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 F27B17/0016Chamber type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10Cruci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7/00Furnaces of a kind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 F27B17/02Furnaces of a kind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specially designed for laboratory u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4Sample treatment involving radiation, e.g. hea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2014/0825Crucible or pot sup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7/00Furnaces of a kind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 F27B17/0016Chamber type furnaces
    • F27B2017/0091Series of chambers, e.g. associated in their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5/00Supports, screens, or the like for the charge within the furnace
    • F27D5/0068Containers
    • F27D2005/0075Pots, e.g. slag pots, ladles

Abstract

플럭서는, 다수의 용융 위치를 수용하도록 미리 배선되고 충분히 큰 단일의 폭 넓은 노 엔클로저를 포함한다. 노는, 노의 실제 절연된 부피를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 절연 파티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듈식 전기로를 구비하는 플럭서{FLUXER HAVING A MODULAR ELECTRICALLY POWERED FURNACE}
본 건은 2015년 4월 16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62/148,229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참조에 의해 본원에 통합된다.
본 발명은 용융(fusion)에 의한 무기 샘플(inorganic sample)의 준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렇게 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x 레이 형광(x-ray fluorescence; XRF), 유도 결합 플라즈마(inductively coupled plasma; ICP), 원자 흡수(atomic absorption; AA)와 같은 분석 기술을 통해 무기 샘플을 분석하는 것은, 분석 이전에 샘플이 특별하게 준비되어야 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샘플은 종종, 디스크 또는 비드와 같이, 균질하고 단단한 매끄러운 표면 형상의 형태로 되어있어야 한다. 이 형태에서, 샘플은 광물학적, 그레인 사이즈, 또는 방향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데, 이들은 그렇지 않은 경우 분석 결과를 왜곡할 수도 있을 것이다.
XRF, ICP 및 AA에 대한 샘플을 준비하기 위해, "용융"으로 칭해지는 프로세스가 사용될 수 있다. 용융 프로세스 동안, 분말 샘플은 용매, 통상적으로 붕산 리튬 플럭스에서 용해된다. 플럭스는 실온에서 고체이고 따라서 액화되어야만 하는데, 액화는 통상적으로 고온(약 900 내지 1000℃)에서 발생한다.
필요로 되는 고온의 결과로서, 용융 프로세스는 히터/노(furnace)/버너에서 수행된다. 프로세스에 대한 에너지는 가스(즉, 가스 버너) 또는 전기(전기 히터 또는 노)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공급된다. 전기로(electrically powered furnace)는 유도성 또는 저항성일 수 있다.
히터 또는 노는, 다른 제어 회로부(control circuitry) 등등과 함께, 더 큰 엔클로저(enclosure)에 포함된다; 집합체(assemblage)는 통상적으로 "플럭서(fluxer)"로 칭해진다.
"도가니 홀더(crucible holder)"와 "몰드 홀더(mold holder)" 또는 "몰드 랙(mold rack)"을 비롯한, "백금 기구류(Platinumware)" 홀더가 플럭서와 연계하여 사용된다. "백금 기구류"라는 별칭은, 도가니와 몰드가 통상적으로 백금으로 만들어진다는 사실로부터 유래한다. 도 1 및 도 2는 캐나다 퀘벡(
Figure 112017113635089-pct00001
) 소재의 카타낙스 인코포레이티드(Katanax, Inc.)로부터 입수 가능한 몇몇 저항 가열로(resistive-heated furnace)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각각의 종래 기술의 도가니 홀더(100) 및 몰드 랙(200)을 묘사한다. 백금 기구류 홀더는 모터/액추에이터의 제어 하에서 핫 존(즉, 노 또는 버너 화염) 안팎을 이동하도록 배열된다.
도가니 홀더(100)는 복수의 도가니(112)를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되는 실시형태에서, 도가니 홀더(100)는 다섯 개의 도가니(112)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도 1에서 묘사되는 바와 같이, 도가니 홀더(100)는,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배열되고 상호 관련되는 지지 빔(102), 스페이서(104), 유지 빔(106), 브래킷(108), 및 단부 샤프트(end shaft; 110)를 포함한다. 몰드 랙(200)은, 도가니 홀더 내의 도가니(112)의 수와 통상적으로 일치하는 복수의 몰드(224)를 지지할 수 있다. 몰드 랙(200)은,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배열되고 상호 관련되는 지지 빔(214), 몰드 리테이너(216), 스페이서(218), 브래킷(220), 및 단부 지지체(222)를 포함한다.
사용시, 도가니 홀더(100)는 몰더 홀더(200) 위에 배치된다. 도가니 홀더는 자신의 종축(즉, 두 개의 단부 샤프트(110)와 정렬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도가니(112) 및 몰드(224)는, 각각의 도가니(112)로부터 주입되는(poured) 고온 용액이 각각의 몰드(224)에 의해 수용되게끔 서로 정렬하도록 위치된다.
용융 프로세스를 시작하기 위해, 플럭스 및 샘플은 도가니(112) 안으로 퇴적되는데, 이들은, 그 다음, 노 캐비티(furnace cavity) 안으로 이동되어 용융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예를 들면, http://www.katanax.com/cgi/show.cgi?products/K2prime/K2primevideo.l=en.html을 참조한다.
플럭스가 액화된 이후, 그리고 샘플의 완전한 용해 이후, 도가니(들) 내의 용융된 용액은 판형 백금 몰드(들)에 주입된다. 냉각은, 이제 분석에 적합한, 작고 균질한 유리와 같은 디스크 또는 비드의 샘플로 나타난다.
물론, 플럭서에게 요구되는 처리량은 고객/실험실/현장(site)(이하 "현장")마다 변할 것이다. 그리고 주어진 현장의 요건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할 수 있다. 특히, 용융 기술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현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들의 용융 수요가 증가하는 것을 알게 될 가능성이 있다. 비록 몇몇 가스 연소 플럭서가 가변 개수의 버너를 수용하기 위해 더 큰 케이싱을 가지도록 설계되지만, 전기 플럭서는 이러한 유연성을 제공하지 않는다.
특히, 가스 플럭서를 설계할 때, 용융 위치로서 각각 기능할 수 있는 다수의 가스 출력부를 매니폴드에 제공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용융 위치의 수를 줄이기 위해, 가스 출력부 중 하나 이상은 캡핑되거나(capped) 또는 막혀진다. 용융 위치의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버너가 가스 출력부에 커플링된다. 버너는 통상적으로 서로 매우 가깝게 위치되며, 따라서, 다수의 용융 위치가 사용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더라도, 대용량에 대한 잠재력을 제공하는 데에는 많은 비용이 들지 않는다.
여분의 용량의 문제는 전기 플럭서에서는 더욱 복잡해진다. 큰 노가 건설되면, 몇 개의 샘플만이 프로세싱되고 있고 그 결과 여분의 용량이 남더라도, 필수 가열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모든 가열 엘리먼트가 동작되어야만 한다. 대안적으로, 플럭서는 서로 인접하여 위치되는 몇몇 개개의 노를 수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각각의 노가 수 인치의 절연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나란히 배치되는 경우, (절연된) 측벽의 두께는 플럭서를 허용할 수 없는 사이즈로 폭넓게 만든다.
증가하는 용융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가능한 한 빨리 용융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이 유익하다. 이것은 플럭서의 온도 응답; 즉, 플럭서가 온도를 변화시키고 온도 목표에서 안정화할 수 있는 상대적인 속도를 의미한다. 그것의 많은 이점에도 불구하고, 통상적인 전기 플럭서의 인식된 단점은, 그것의 온도가 가스 플럭서의 것만큼 빠르게 변할 수 없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용융 위치의 수(즉, 런마다 수용될 수 있는 동시 샘플의 수)에서의 증가를 수용할 수 있는 전기 플럭서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것은 새로운 플럭서를 구입할 필요 없이 초기의 적절한 처리량이 증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또한, 증가된 온도 응답성을 갖는 전기 플럭서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하는데, 증가된 온도 응답성은 용융 프로세스를 가속시킬 것이고 그에 의해 처리량을 증가시킬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 플럭서의 상기 언급된 단점을 해결하는 방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모듈식 전기 "용융"로(modular electric "fusion" furnace)를 구비하는 플럭서이다.
본 교시에 따른 플럭서는 다수의 용융 위치를 수용하도록 미리 배선되고 충분히 큰 단일의 넓은 노 엔클로저를 포함한다. 노는 노의 실제 절연된 부피(즉, 노 캐비티)를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 절연 파티션(movable insulated partition)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노는 최대 세 개의 용융 위치를 수용하고 두 개의 가동 절연 파티션을 포함한다. 용어 "절연된" 및 그것의 변화된 형태는, 본 개시 및 첨부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열적으로 절연된 것을 의미한다. 파티션은 네 개의 상이한 위치(즉, 노 엔클로저의 양 단부에 있는 하나씩의 위치 및 엔클로저를 1/3씩 분할하는 두 개의 중간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세 개의 가열 엘리먼트는 노 엔클로저의 중간의 1/3(즉, 중앙의 용융 위치)에 걸치는 노의 상부에 걸쳐 배치된다.
두 개의 중간 위치의 각각에 하나의 가동 파티션을 배치하는 것은, 노의 엔클로저의 중간 1/3을 덮는 작은 가열로 캐비티(heated furnace cavity)를 정의한다. 이것은 단일의 용융 위치를 제공한다. 파티션 중 하나를 중간 위치로부터 노 엔클로저의 가장 가까운 단부로 이동시키는 것은, 절연된 캐비티를 두 개의 용융 위치를 포괄하도록 확대시킨다. 그리고 노 엔클로저의 대향 단부에 각각 하나씩의 양 파티션을 이동시키는 것은, 절연된 부피를 세 개의 용융 위치를 수용하는 노 엔클로저의 최대 사이즈로 확대시킨다. 따라서, 가동 절연 파티션에 의해, 가변 사이즈의 노 캐비티가 생성된다.
단일의 용융 위치를 넘어서는 절연된 캐비티의 각각의 확대는, 추가 부품을 필요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추가 용융 위치에 대해, (다른 부품 중에서도) 두 개의 가열 엘리먼트, 즉 도가니 홀더 어셈블리 및 몰드 홀더 어셈블리가 추가된다.
가동 절연 파티션의 사용은, 본원에서 개시되는 바와 같이, 자기 자신의 절연 벽을 각각 갖는 다수의 단일 위치 노 캐비티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경우에 요구되는 것과 비교하여, 노 엔클로저의 길이를 현저하게 감소시킨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노는 다른 방식에서도 또한 종래의 전기 노와는 상이하다. 예를 들면, 몇몇 실시형태에서, 노는 종래의 전기 노의 설계와 비교하여 감소된 벽 두께를 갖는다.
노 캐비티의 절연 벽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은, 노 엔클로저의 더 적은 질량이 더 빠른 가열 및 냉각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온도 반응성을 향상시킨다. 만약 가열 엘리먼트(들)가 도가니를 필요한 온도에서 유지하기에 충분한 전력을 갖는다면, 벽 두께는, 적어도 이론적으로는, 거의 제로로 감소될 수 있다. 반대로, 절연재가 많을수록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데 더 적은 전력이 필요로 된다. 또한, 노 벽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은 (동일한 외부 사이즈를 갖는 엔클로저의 경우) 더 큰 노 캐비티로 나타나게 된다.
절연재의 두께는 궁극적으로 전력 요건(즉, 수용 가능한 정도)과 온도 반응성 사이의 절충(tradeoff)이다 비교를 위해, 플럭서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전기 노의 벽 두께는 통상적으로 약 4 인치이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모든 벽/가동 파티션은 두께가 2 인치 미만이다. 예를 들면, 몇몇 실시형태에서, 노의 상부 벽은 두께가 1.75 인치이고 다른 모든 절연 벽 및 가동 파티션은 1 인치의 두께를 갖는다.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플럭서의 소정의 다른 양태는, 노의 상대적으로 더 얇은 벽으로부터의 열 손실의 영향을 감소시키도록 변경된다.
하나의 변경은, 노의 개구부를 그 바닥(bottom)으로 재배치하는 것이다; 종래의 설계에서, 개구부는 노의 측면에 위치된다. 더구나, 노에는 가동 도어가 장착되어 있다. 노 도어가 열려 있는 한, 개구가 바닥에 있다는 사실은, (뜨거운 공기가 상승하기 때문에) 가열된 공기를 내부에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그리고, 플럭서의 외부 도어/안전 실드와 기계적으로 독립적인 노 도어를 통합하는 것은, 도가니 장착, 주입 및 냉각 동작 동안 노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따라서 열을 보존하게 된다.
종래의 플럭서에서, 도가니/몰드 홀더가 적재 지점으로부터 노 캐비티 내로 이동할 때의 그것의 궤적은 통상적으로 수평 또는 수직이다. 그러나, 바닥에 자신의 개구를 갖는 본 교시에 따른 노는 표준이 아닌 궤적을 필요로 한다. 특히, 도가니 홀더 및 몰드 홀더는, 노에 진입하고 노를 빠져나오기 위해서는 수직으로 이동해야 하며, 적재 위치로부터 노를 향해 또는 그 반대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수평으로 이동해야만 한다.
본 발명가는, 도가니/몰드 홀더의 이동을 위해 아크형 궤적을 채택하는 것이 필수 수직 및 수평 모션을 제공하는 효율적인 방법이라는 것을 인식하였다. 직접 모터 구동은 메커니즘을 단순화하고, 예를 들면, 화학적 공격으로 인해 멈출 수 있는 직선 모션 어셈블리보다 더 견고하다.
노 내에서 가열되고 있는 전체 질량을 실용적인 정도까지 최소화하여 가열 및 냉각을 가속하기 위해, 도가니/몰드 홀더의 구조가 종래의 설계에서 변경되었다. 특히, 종래의 도가니 홀더 및 몰드 홀더는 다수의 도가니 및 몰드를 수용한다(예를 들면, 도 1 및 도 2 참조). 모듈식 용융로의 실시형태가 단지 하나 또는 두 개의 용융 위치만이 동작하게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종래의 도가니/몰더 홀더의 여분의 질량은 단순히 플럭서의 온도 반응성을 둔하게 할 것이다.
실제로, 본 발명의 도가니 홀더 및 몰드 홀더는 종래의 설계와는 상당히 상이하다. 도가니 홀더는 단일 도가니를 수용하고, 몰드 홀더는 단일 몰드를 수용한다. 도가니는, 자신의 홀더 안에 위치되는 경우, 후프에 의해 수평 이동이 제한되고 상부 및 하부 리테이너에 의해 수직 이동이 제한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상부 리테이너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에서 수직으로 배향되지 않는다(그것은 후프와 직교하지 않는다). 이러한 기하학적 형상은, 도가니가 도가니 홀더 안으로 삽입될 수 있는 또는 도가니 홀더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개구로 나타난다.
도가니를 도가니 홀더에 적재하기 위해, 도가니는 중립 위치로부터 경사진다. 적절히 기울어지면, 도가니는 상부 리테이너와 후프 사이를 미끄러질 수 있다. 도가니가 바(bar) 및 후프에 의해 생성되는 "케이지"에 안에 있을 때, 도가니는 중립 위치로 다시 회전된다.
도가니 홀더의 구조적 배열에 기초하여, 도가니의 내용물을 밑에 있는 몰드 안으로 주입하기 위해 도가니 홀더가 완전히 기울어지는 경우, 도가니는 도가니 홀더로부터 떨어지지 않을 것이다. 이것은, 이 회전된 위치에서, (이제 부분적으로 전도된 위치에 있는) 도가니의 상부 에지의 일부분이 상부 리테이너에 걸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가니 홀더의 기하학적 형상은, 종래의 설계에서와 같이, 가동 잠금 바(movable locking bar) 또는 (금속 탄성에 의존하는) 금속 클립을 요구하지 않고도, 도가니가 주입 동안 안전하게 유지되는(secure)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플럭서인데, 플럭서는, 노 캐비티의 길이를 결정하도록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 절연 파티션의, 노 내에서의, 존재로 인해 가변적인 길이를 특징으로 하는 노 캐비티를 구비하는 모듈식 전기로; 및 백금 기구류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백금 기구류 어셈블리는 로킹 모듈(rocking module) 및 백금 기구류의 하나 이상의 인스턴스 - 각각의 인스턴스는 도가니 홀더 및 몰드 홀더를 포함함 - 를 포함하며, 인스턴스의 수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 절연 파티션의 배치를 결정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도가니 홀더를 묘사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몰드 랙을 묘사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플럭서의 단면도를 묘사한다.
도 3b는 도 3a에서 도시되는 플럭서와 연계하여 사용하기 위한 백금 기구류 어셈블리의 측면도를 묘사한다.
도 4a는 도 3의 플럭서의 노의 내부의 정면도를 묘사하는데, 여기서 노는 단일의 용융 위치에 대해 구성된다.
도 4b는 도 3의 플럭서의 노의 내부의 정면도를 묘사하는데, 여기서 노는 두 개의 용융 위치에 대해 구성된다.
도 4c는 도 3의 플럭서의 노의 내부의 정면도를 묘사하는데, 여기서 노는 세 개의 용융 위치에 대해 구성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a 내지 도 4c에서 도시되는 구성의 사시도를 각각 묘사한다.
도 6은 도 3의 플럭서를 묘사하는데, 본 교시에 따른 적재 위치와 동작 위치 사이에서의 도가니 홀더 및 몰드 홀더의 이동을 도시한다.
도 7a는 도 3의 플럭서와 연계하여 사용하기 위한 도가니 홀더의 일부의 사시도를 묘사한다.
도 7b는 도 7a의 도가니 홀더의 정면도를 묘사한다.
도 7c는 도 7a의 도가니 홀더의 측면도를 묘사한다.
도 8a 내지 도 8e는, 도가니가 도 7a의 도가니 홀더 내에 배치되는 방법을, 일련의 정면도를 통해 묘사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플럭서(300)의 측단면도를 묘사한다.
플럭서(300)는, 엔클로저(330), 외부 도어/안전 실드(332), 기울일 수 있는 터치 스크린(334), 송풍기(336), 교반 시스템(338), 비이커 웰(340), 도가니 이동 모터(342), 전력 연결부(344), 노(346), 노 도어(356), 가열 엘리먼트(358), 및 백금 기구류 어셈블리(377)를 포함한다.
외부 엔클로저(330) 및 안전 실드(332)는 연강(mild steel)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을 포함한다. 안전 실드(332)의 동작은 노 도어(356)와는 기계적으로 독립적이며, 도가니 적재, 냉각, 등등과 같은 안전 실드가 올려지는 동작 동안 노(346)가 닫혀진 채로 유지되는 것(즉, 열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기울일 수 있는 터치 스크린(334)은 플럭서(300)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이다. 송풍기(336)는 냉각을 위해 공기를 엔클로저(330) 안으로 송풍한다. 자기 교반 시스템인 교반 시스템(338)은 ICP(유도 결합 플라즈마) 분석을 위한 ICP 용액을 준비할 때 비이커 웰(340) 내에 배치되는 비이커 내의 유체를 교반한다. 전력 연결부(344)는 플럭서(300)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제 도 3b뿐만 아니라 도 3a를 참조하면, 백금 기구류 어셈블리(377)는 로킹 모듈(365) 및 "백금 기구류"(373)의 하나 이상의 인스턴스를 포함한다. 로킹 모듈(365)은 하나 이상의 모터(366)를 포함한다. 백금 기구류(373)의 각각의 인스턴스는 단일의 도가니 홀더(362), 샤프트(364), 단일 몰드 홀더(368) 및 아암(370)을 포함한다. 도 5a 내지 도 5c와 연계하여 나중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로킹 모듈(365)은, 백금 기구류(373)의 하나 이상의 인스턴스를 원하는 대로 수용하는 복수의 커플링 영역을 포함한다.
도가니 홀더(362)는 샤프트(364)를 통해 모터(366)에 커플링된다. 백금 기구류(373)가 노(346) 내에 있을 때의 가열 프로세스 동안, 모터(366)는 도가니를 좌우로 수십 도 흔들어서 교반을 제공한다. 또한, 모터는 또한, 도가니(372)의 내용물이 밑에 있는 몰드(374)로 주입되는 주입 동작 동안 도가니 홀더(362)를 회전시킨다.
도 3a는 도가니 홀더(362) 내의 도가니(372) 및 몰드 홀더(368) 내의 몰드(374)를 묘사하고; 도 3b는 도가니 또는 몰드가 없는 도가니 홀더 및 몰더 홀더를 묘사한다. 도가니 홀더(362)는 도 7a 내지 도 7c 및 도 8a 내지 도 8e와 연계하여 본 개시에서 나중에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플럭서(300)의 "핵심(heart)"은 노(346)이다. 본 개시로부터 명백해지듯이, 노(346)는 그 구조에서, 그리고, 어느 정도까지는, 그 동작에서도 또한 종래의 것이 아니다.
도 3a에서 묘사되는 바와 같이, 노(346)는 절연재의 상부 벽(350), 절연재의 전면 벽(352), 절연재의 후면 벽(354), 및 폐쇄시 절연재의 하부 벽으로서 기능하는 도어(356)를 포함한다. 얇은 금속 엔클로저(348)은 상기 언급된 상부 벽, 전면 벽 및 후면 벽을 둘러싼다. 엔클로저(348)는 또한 노(346)의 측면 위로 연장한다. 엔클로저(348)를 구성하는 동일한 얇은 금속은 도어(356)의 외부 표면 상에 배치된다.
상부 벽(350)은 (절연재의) 가장 큰 두께를 갖는다. 이것은, 뜨거운 공기가 상승한다는 사실을 다루기 위한 것이다(즉, 모든 벽이 동일한 두께의 절연재를 갖는 경우, 열 손실은 상단 벽을 통해 가장 커질 것이다). 예를 들면, 몇몇 실시형태에서, 상부 벽(350)은 1.75 인치의 두께를 가지며, 전면 벽(352), 후면 벽(354) 및 도어(356)는 1 인치의 두께를 갖는다.
도 4a 내지 도 4c는 명확화를 위해 전면 벽(352)이 제거된 노(346)의 정면도를 묘사한다. 노(346)의 측면(좌측 및 우측)을 따라 도어(356)까지 연장하는 상부 벽(350)을 덮는 엔클로저(348)가 묘사된다. 엔클로저에 대해 사용된 것과 동일한 얇은 금속은 도어(356)의 모든 외부 표면을 덮는다. 후면 벽(354)은 세 개의 개구(480)를 포함한다. 도어(356)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는 핑거(357)는 개구(480)에 의해 수용되도록 치수가 정해지고 배열된다. 핑거(357)는, 핑거(357)의 외측 에지와 개구(480)의 에지 사이에 갭(481)(도 4a)이 존재하도록 사이즈가 정해진다. 이 갭은 도가니 홀더(362)의 샤프트(364) 및 몰드 홀더(368)의 아암(370)이 후면 벽(354)을 통해 노(346)의 내부로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중앙 용융 위치 참조).
도 4a에서 묘사되는 실시형태에서, 노(346)는, 노의 (좌에서 우로의) 중간에 위치되는 단일의 용융 위치를 가지고 구성된다. 가동 파티션(482A)은 엔클로저(348)의 좌측으로부터 노(346)의 길이의 약 1/3에 배치되고, 가동 파티션(482B)은 우측에서부터 노(346)의 길이의 약 1/3에 배치된다. 가동 파티션은 절연 벽이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가동 파티션(482A 및 482B)의 두께는 전면 벽(352)(도 4a에서는 묘사되지 않음), 후면 벽(354) 및 도어(356)의 두께와 동일하다.
도 4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언급된 위치는 노 캐비티(484-1)를 정의하기 위해 중앙 용융 위치의 양측에 가동 파티션을 설치한다. 세 개의 가열 엘리먼트(358)는 수평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부 벽(350) 바로 아래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사이즈 및 엘리먼트 타입에 따라, 세 개보다 더 적은 가열 엘리먼트 또는 세 개보다 더 많은 가열 엘리먼트가 적절히 사용될 수도 있다. 가동 파티션(482A)의 좌측 또는 가동 파티션(482B)의 우측에는 절연재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주목할 만하다. 도가니(372)는 도가니 홀더(362) 내에 배치되고 몰드(374)는 몰드 홀더(368) 내에 배치된다.
굴뚝(486)은 노 캐비티(484-1)로부터 부식성 가스를 배출한다. 굴뚝은, 예를 들면, 세라믹 튜브일 수 있다.
도 5a는 (도 4a와 같은) 단일의 용융 위치에 대해 구성되는 노(346)의 사시도를 묘사한다. 이 도면에서, 핑거(357)가 개구(480)와 결합되지 않도록 도어(356)는 "개방"되어 묘사된다. 로킹 모듈(365)은 세 개의 도가니 홀더를 수용하기 위한 세 개의 커플링 영역(588)을 구비한다. 노가 단일의 용융 위치에 대해 구성되기 때문에, 하나의 도가니 홀더만이 로킹 모듈(365)에 커플링된다. 몰드 홀더는 각각의 도가니 홀더 바로 아래에서 로킹 모듈(365)에 커플링된다. 가동 파티션(482-A 및 482-B)은 중앙의 용융 위치의 양측에 배치되어 노 캐비티(484-1)를 정의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단일의 모터(366)는 로킹 모듈(356)에 커플링되는 모든 도가니 홀더(362)를 구동시킨다. 예를 들면, 모터(366)는, 다른 커플링 영역(588)에 커플링되는 도가니 홀더의 샤프트를 회전시킬 수 있는 푸시로드 시스템을 동작시키면서 중앙 커플링 영역(588)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b에서 묘사되는 실시형태에서, 노(346)는 좌측 및 중앙 위치를 포함하는 두 개의 용융 위치를 가지고 구성된다. 이들 두 개의 용융 위치를 수용하기 위해, 가동 파티션(482A)은 멀리 엔클로저(348)의 좌측으로 설치되고, 가동 파티션(482B)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엔클로저(348)의 우측으로부터 노(346)의 길이의 약 1/3에 위치된다. 이것은 가동 파티션(482A)을 좌측 용융 위치의 좌측으로 그리고 가동 파티션(482B)을 중앙 용융 위치의 우측으로 배치하여, 노 캐비티(484-2)를 정의한다.
용융 위치를 추가하는 것은, 노(346)에 대한 소정의 다른 엘리먼트의 추가를 필요로 한다. 제2 도가니 홀더(362) 및 제2 몰드 홀더(368) 외에도, 두 개의 가열 엘리먼트(358), 가열 엘리먼트에 대한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 스위칭 디바이스(묘사되지 않음)(예를 들면, 스냅인 솔리드 스테이트 릴레이(snap-in solid state relay), 등등), 및 제2 굴뚝(486)이 좌측 용융 위치 위에 추가된다. 몇몇 다른 실시형태에서, 파티션(482A 및 482B)은, 노 캐비티가, 좌측 용융 위치가 아닌, 중앙 용융 위치 및 우측 용융 위치를 포함하도록 배치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5b는 (도 4b와 같이) 두 개의 용융 위치에 대해 구성되는 노(346)의 사시도를 묘사한다. 로킹 모듈(365)은 두 개의 커플링 영역(588)에서 도가니 홀더 및 몰드 홀더의 두 개의 인스턴스를 수용한다. 가동 파티션(482-A)은 노의 좌측 단부에 설치되고 가동 파티션(482-B)은 중앙 용융 위치의 우측에 설치되어 노 캐비티(484-2)를 정의한다.
도 4c에서 묘사되는 실시형태에서, 노(346)는 세 개의 용융 위치 모두가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세 개의 용융 위치를 수용하기 위해, 가동 파티션(482A)은 멀리 엔클로저(348)의 좌측에 배치되고, 가동 파티션(482B)는 멀리 엔클로저의 우측에 배치된다. 이것은, 가동 파티션(482A)을 좌측 용융 위치의 좌측에 그리고 가동 파티션(482B)을 우측 용융 위치의 우측에 배치시켜, 노 캐비티(484-3)를 정의한다.
이전과 마찬가지로, 제3 용융 위치를 수용하기 위해, 동일한 엘리먼트(즉, 제3 도가니 홀더(362), 제3 몰드 홀더(368), 두 개의 가열 엘리먼트(358), 전력 스위칭 디바이스(묘사되지 않음) 및 제3 굴뚝(486))가 노(346)에 추가된다.
도 5c는 (도 4c와 같이) 세 개의 용융 위치에 대해 구성되는 노(346)의 사시도를 묘사한다. 로킹 모듈(365)은 도가니 홀더 및 몰드 홀더의 세 개의 인스턴스를 수용한다. 가동 파티션(482A 및 482B)은 노의 좌측 및 우측 단부에 설치되어 노 캐비티(484-3)를 정의한다.
비록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각각의 추가적인 용융 위치에 대해 두 개의 가열 엘리먼트가 추가되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더 큰 또는 더 적은 수의 가열 엘리먼트가 엘리먼트 사이즈와 타입뿐만 아니라, 노 사이즈의 함수로서 추가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가동 파티션(482A 및 482B)의 사용을 통해, 가변 사이즈의 노 캐비티가 생성된다. 노 캐비티의 사이즈는 특정한 수의 용융 위치를 수용하도록 적절히 변경된다. 캐비티가 필요 이상으로 커지지 않기 때문에, 로킹 모듈(365)이 소망하는 개수의 도가니 홀더 및 몰드 홀더를 (최대 능력까지) 커플링하는 능력을 가지기 때문에, 필요한 것 보다 더 많은 질량이 온도 순환되지는 않는다. 이것은 플럭서(300)의 온도 반응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복수의 개별적인 인접한 노 캐비티의 사용과는 대조적으로, 가동 파티션의 사용 때문에, (세 개의 캐비티를 생성하기 위한) 네 개와는 대조적으로, 두 개의 측면 절연 벽만이 요구된다. 이것은, 주어진 수의 용융 위치에 필요로 되는 공간의 양을 감소시킨다.
비록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최대 세 개의 용융 위치를 갖는 노(346) 및 로킹 모듈(365)을 묘사하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 원하는 대로, 노 및 로킹 모듈은 최대 두 개의 용융 위치, 또는 네 개, 다섯 개, 등등과 같은, 최대 세 개보다 더 많은 용융 위치를 가질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노가 세 개보다 많은 용융 위치를 수용하기 위한 능력을 가지더라도, 필요로 되는 사이즈의 노 캐비티를 생성하기 위해, 두 개의 가동 파티션이 여전히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할 만하다.
몇몇 추가 실시형태에서, 두 개의 가동 파티션을 사용하는 것 대신, 가변 사이즈의 노 캐비티를 갖는 플럭서는 오직 하나의 가동 파티션만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가동 파티션 중 하나는 고정 파티션; 즉, 측벽에 의해 대체된다. 예를 들면, 도 4b를 참조하면, 가동 파티션(482A)은 고정 벽일 수 있을 것이다. 단일의 용융 위치를 생성하기 위해, 가동 파티션(482B)은 좌측 벽으로부터 멀어지는 엔클로저(348)의 길이의 약 1/3인 위치로 이동되고, 그 결과 노 캐비티는 좌측 용융 위치만을 포함한다. 두 개의 용융 위치를 수용하기 위해, 가동 파티션(482B)은 도 4b에서 나타나는 위치로 이동된다. 그리고 세 개의 용융 위치를 수용하기 위해, 가동 파티션(482B)은 멀리 우측으로 이동된다.
다시 도 3a로 돌아가서, 노(346)는 종래의 설계에서와 같이 측면보다는 바닥에서 개방된다. 따라서, 도어(356)는 노의 "바닥" 벽으로서 기능한다. 도어(356)는 (자동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어는 도 3a에서 조금 열린 상태로 도시된다. 도어는, 풀리(359)를 회전시키는 벨트(묘사되지 않음)를 구동하는 모터(묘사되지 않음)에 의해 작동된다. 풀리에는 레버(360)가 부착되어 있다. 도어(356)는, 레버의 단부에 인접한, 그러나 레버의 단부는 아닌 위치에서 레버(360)에 선회 가능하게(pivotally) 커플링된다. 베어링(묘사되지 않음)이 도어(356)의 보이지 않는 면의 후방(도면의 우측)으로부터 연장하여 슬롯(375)과 맞물린다. 이러한 배열은 레버(360)와 도어(356) 사이에서 소망하는 (회전) 이동을 강제한다. 풀리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도어를 좌측으로 끌어 노를 완전히 열리게 하는 것에 의해 도어(356)가 개방되게 하여 그 내부에 대한 접근을 제공한다. 도어를 닫기 위해서는, 풀리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핀(361)은 도어(356)의 에지에 걸려서, 이동의 끝 근처에서 도어(356)를 상향으로 가압하여 노(346)의 개구를 밀봉한다.
도어(356)가 개방되어 있는 한, 노의 개구가 노의 바닥에 위치한다는 사실은 가열된 공기를 내부에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그리고 안전 실드(332)의 개폐와 기계적으로 독립적인 도어(356)를 통합하는 것은, 도가니 적재, 주입 및 냉각 동안 노가 닫힌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그에 의해 열을 유지하게 된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백금 기구류 어셈블리(377)가 두 위치에서 도시된다: 안전 실드(332) 근처의 적재 위치(즉, 도가니(372) 및 몰드(374)를 적재하기 위한 위치)인 위치 "A" 및 백금 기구류(373)를 노(346) 내에 배치하는 위치 "B". 종래의 플럭서에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구현되는) 백금 기구류가 적재 지점으로부터 노 캐비티로 이동할 때의 그 백금 기구류의 궤적은 통상적으로 수평 또는 수직이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바닥이 열린 노의 결과로서, 백금 기구류 어셈블리(377)에 대한 비표준 궤적이 필요로 된다. 특히, 백금 기구류 어셈블리(377)는 노 캐비티에 진입하고 빠져 나오기 위해서는 수직으로 그리고 적재 위치로부터 노를 향해 또는 그 반대로 수평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수평으로 이동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백금 기구류(373)는 아크 형 궤적(T)으로 노(346)를 빠져 나온다. 이러한 비선형 궤적은, 노를 빠져 나오기 위해 필요한 수직 모션을, 도가니(372) 및 몰드(374)를 적재하기 위해 백금 기구류 어셈블리(377)를 유저 가까이 가져오는 데 필요로 되는 수평 모션과 결합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백금 기구류 어셈블리(377)의 이러한 비선형 이동은, 백금 기구류 어셈블리를 이동시키기에 충분한 토크를 제공하는 그리고 백금 기구류(373)를 수평으로 유지하는 메커니즘에 의해 달성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메커니즘은, 레버에 연결되는 풀리를 회전시키는 벨트를 구동하는 두 개의 모터를 포함한다. 더블 레버 배열은 백금 기구류를 수평으로 유지한다. 직접 모터 구동은, 예를 들면, 화학적 공격으로 인해 멈출 수 있는 직선 모션 어셈블리보다 더 견고하면서, 메커니즘을 단순화한다.
노(346)의 설계 및 동작의 결과로서, 예시적인 실시형태와 연계하여 사용하기 위한 백금 기구류(373)는, 도 1 및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래의 설계와는 상당히 상이해야만 한다.
도 7a는 도가니 홀더(362)를 묘사한다. 도가니 홀더(362)는 수평 방향의 리테이너(790), 상부 리테이너(792) 및 하부 리테이너(796)를 포함한다. 수평 배향된 리테이너(790)는 임의의 수평 이동으로부터 도가니(372)를 제한한다. 상부 리테이너(792)는 주입 동작 동안 도가니(372)가 도가니 홀더(362)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하부 리테이너(796)는 적재 및 가열 동작 동안 도가니(372)를 중력에 대해 지지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수평 배향된 리테이너(790)는 후프(이하, "후프(790)")이다. 중립 위치에서, 후프는 수평으로 배향된다. 상부 리테이너(792)는 상승 부분(793) 및 유지 바(retaining bar; 794)를 포함한다. 상승 부분은 후프 상의 그 중간선에 위치되고 유지 바(794)를 후프 위에서 그리고 그것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지지한다. 하부 리테이너(796)는 하강 부분(797) 및 유지 바(798)를 포함한다. 하강 부분은 후프 상의 그 중간선에 위치되고 유지 바(798)를 후프 아래에서 그리고 그것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지지한다.
도 7a의 정면도인 도 7b(도가니(372)가 도시되지 않음) 및 도 7a의 측면도인 도 7c(도가니(372)가 도시되지 않음)는, 도가니 홀더(362)의 구조에 관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도 7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승 부분(793)도 하강 부분(797)도 후프(790)에 직교하지 않는다. 상승 부분(793)과 후프(790)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 α는 90도보다 더 크다. 도 8a 내지 도 8f와 연계하여 하기에서 더 논의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구조적 배열은 도가니 홀더(362)로부터 도가니(372)의 삽입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비록 하강 부분(797)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상승 부분(793)과 동일 선형인 것으로 묘사되어 있지만, 몇몇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하강 부분은 후프(790)에 수직이다(즉, 도 7b에서 똑바로 아래로 연장한다).
도 7c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후프(790)는 유지 바(794)보다 유지 바(798)에 상대적으로 더 가깝게 배치된다. 둔각 α와 관련하여, 이러한 배열은 도가니 홀더(362)로부터 도가니(372)의 삽입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수평으로 배향된 리테이너(790), 상부 리테이너(792) 및 하부 리테이너(796)의 배열에 기초하여, 도가니(372) 내용물의 주입을 위해 도가니 홀더(362)를 우측으로 완전히 기울이는 경우(방향 P(도 7a)의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의해 약 120 내지 130도), 도가니는 유지 바(794)와 후프(790) 사이의 간격을 통해 떨어지지 않을 것이다. 이것은 완전히 기울어진 위치에서, 도가니(372)의 상부 에지 부분(이것은 부분적으로 전도된 위치에 있을 것임)이 유지 바(794)에 걸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도가니 홀더의 기하학적 형상은, 종래의 디자인에서와 같이, 가동 잠금 바 또는 (금속 탄성에 의존하는) 금속 클립을 요구하지 않고도, 도가니가 주입 동안 안전하게 유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각도 α(도 7b)는 후프(790)의 사이즈 및 상부 리테이너(792)의 상승 부분(793)의 높이에 대한 도가니 치수(높이 및 직경)의 함수이다. 다시 말하면, 각도 α의 값에 대해 특별히 중요한 것은 없다; 그것은 단순히 상기에서 언급되는 다양한 엘리먼트의 사이즈의 결과로 나타나는 각도이다. 도가니의 경우 다수의 표준 사이즈가 존재한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가니의 선택이 이용 가능한 경우, 도가니 홀더와 연계하여 사용될 때 "안전하게 유지하는 기하학적 형상(securing geometry)"으로 나타나는 높이 대 폭 비율을 갖는 도가니가 선택되어야 한다. 본 개시 및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안전하게 유지하는 기하학적 형상"은, 도가니가, 잠금 기능(예를 들면, 가동 잠금 바, 금속 클립 등)을 요구하지 않고도, 도가니 홀더 내에서 주입 동안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가니(372)의 적재 모션은 도가니 홀더(362)의 정면도를 통해 도 8a 내지 도 8e에서 묘사된다. 도 8a는 도가니(372)가 없는 도가니 홀더(362)의 정면도를 묘사한다. 도 8b 및 도 8c에서 묘사되는 바와 같이, 도가니(372)는, 도가니(372)가 유지 바(794)와 후프(790) 사이에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처음에는 기울어진다. 도가니가 다양한 바 및 후프에 의해 생성되는 "케이지" 내에 있는 경우, 도가니는, 도 8d에서 묘사되는 바와 같이, 기울어지지 않은 위치를 향해 회전된다. 도 8e는 도가니 홀더(362) 내의 최종적이고 완전히 지지되는 중립 위치에 있는 도가니(372)를 묘사한다.
본 개시가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단지 하나의 예를 교시한다는 것 및 본 개시의 판독 이후 본 발명의 많은 변형예가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에 의해 쉽게 고안될 수 있다는 것 및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5)

  1. 플럭서(fluxer)로서,
    노 캐비티(furnace cavity)의 길이를 결정하도록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 절연 파티션(movable insulated partition)의, 노 내에서의, 존재에 따라 가변적인 길이를 특징으로 하는 상기 노 캐비티를 구비하는 모듈식 전기로(modular electrically powered furnace);
    백금 기구류 어셈블리(platinumware assembly) - 상기 백금 기구류 어셈블리는 로킹 모듈(rocking module) 및 백금 기구류의 하나 이상의 인스턴스를 포함하며, 각각의 인스턴스는 단일 도가니를 수용하는 도가니 홀더 및 단일 몰드를 수용하는 몰드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인스턴스의 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 절연 파티션의 배치를 결정함 -; 및
    하나 이상의 도가니 및 몰드가 각각의 하나 이상의 도가니 홀더 및 몰드 홀더 내로 적재되는 적재 위치와 상기 모듈식 전기로 내의 가열 위치 사이의 비선형 경로에서 상기 백금 기구류 어셈블리를 이동시키는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플럭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모듈은, 상기 백금 기구류의 복수의 인스턴스의 각각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커플링 영역을 구비하고,
    추가적으로 상기 로킹 모듈에 커플링되는 각각의 도가니 홀더는 모터에 커플링되는, 플럭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럭서는:
    상기 플럭서의 내부로의 접근을 제어하는 안전 실드; 및
    상기 모듈식 전기로의 상기 내부로의 접근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적으로 동작되는 절연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 실드는, 상기 플럭서의 상기 내부가 접근되는 동안 상기 모듈식 전기로가 닫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절연 도어와는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한, 플럭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 홀더는 후프, 상부 리테이너 및 하부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리테이너는, 상기 후프 위로 연장하고, 상기 후프 위의 제1 유지 바를 지지하는 상승 부분(rise portion)을 포함하고, 실질적으로 상기후프에 평행하고,
    상기 하부 리테이너는, 상기 후프 아래로 연장하고, 상기 후프 아래의 제 2유지 바를 지지하는 하강부분(drop portion)을 포함하고, 실질적으로 상기 후프에 평행한, 플럭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부분과 상기 하강 부분 모두 상기 후프에 대해 직각이 되지 않는, 플럭서.
  6. 제1항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상기 노 캐비티는, 부분적으로, 후면 벽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 절연 파티션에 의해 정의되며, 상기 후면 벽은 상기 노 캐비티의 최대 길이를 정의하는 길이를 가지며 복수의 이격된 개구 - 각각의 개구는 도가니 홀더와 몰드 홀더가 상기 후면 벽을 통해 상기 모듈식 전기로 안으로 연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치수가 정해지고 정렬됨으로써, 각각의 이러한 개구는 잠재적인 용융 위치를 정의함 - 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벽의 상기 길이를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 파티션을 움직이는 것은 상기 노 캐비티의 길이를 변경하고, 상기 노 캐비티의 상기 길이가 변함에 따라,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상기 이격된 개구 및 따라서 용융 위치가 상기 노 캐비티의 상기 길이 내에 포함되는, 플럭서.
  7.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이격된 개구가 존재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동 파티션이 이동 가능하며, 하나의 용융 위치, 두개의 용융 위치, 또는 세개의 용융 위치 중 어느 하나를 갖는 노 캐비티를 정의하고, 상기 노 캐비티는 상기 백금 기구류의 인스턴스를 수용하지 않는 상기 이격된 개구는 포함하지 않는, 플럭서.
  8. 제6항에 있어서,
    가열 엘리먼트를 더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가열 엘리먼트는 각각의 용융 위치와 관련되고, 각각의 용융 위치와 관련되는 상기 가열 엘리먼트는, 상기 각각의 용융 위치가 상기 노 캐비티에 의해 포위되는 경우에만 상기 모듈식 전기로 내에 존재하는, 플럭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식 전기로와 함께 두 개의 가동 절연 파티션이 존재하는, 플럭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가동 파티션은 바람직한 용융 위치의 수를 포함하도록 이동 가능하고, 따라서 상기 노 캐비티는 상기 바람직한 용융 위치의 수를 포함하는데 요구되는 것보다 크지 않은, 플럭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 캐비티는 추가적으로 상부 벽, 전면 벽, 자동적으로 동작되는 절연 도어에 의해 정의되며, 상기 도어는, 폐쇄시, 상기 전면 벽 및 상기 후면 벽의 바닥과 접하는 것에 의해 절연재의 바닥 벽으로서 기능하는, 플럭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가 폐쇄될 때 상기 이격된 개구 내에 수용되는 핑거(finger)를 포함하는, 플럭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격된 개구는 상기 후면 벽 위로 부분적으로 연장하고 또한 상기 자동적으로 동작되는 절연 도어 아래까지 연장하는, 플럭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벽, 상기 전면 벽, 상기 후면 벽, 상기 자동적으로 동작되는 절연 도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 파티션은 2 인치 미만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상부 벽은, 상기 전면 벽, 상기 후면 벽, 상기 자동적으로 동작되는 절연 도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 파티션의 두께보다 더 큰 두께를 갖는, 플럭서.
  15. 플럭서(fluxer)로서,
    노 캐비티(furnace cavity)의 길이를 결정하도록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 절연 파티션(movable insulated partition)의, 노 내에서의, 존재에 따라 가변적인 길이를 특징으로 하는 상기 노 캐비티를 구비하는 모듈식 전기로(modular electrically powered furnace);
    백금 기구류 어셈블리(platinumware assembly) - 상기 백금 기구류 어셈블리는 로킹 모듈(rocking module) 및 백금 기구류의 하나 이상의 인스턴스를 포함하며, 각각의 인스턴스는 단일 도가니를 수용하는 도가니 홀더 및 단일 몰드를 수용하는 몰드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인스턴스의 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 절연 파티션의 배치를 결정함 -;
    상기 플럭서의 내부로의 접근을 제어하는 안전 실드; 및
    상기 모듈식 전기로의 상기 내부로의 접근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적으로 동작되는 절연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실드는, 상기 플럭서의 상기 내부가 접근되는 동안 상기 모듈식 전기로가 닫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절연 도어와는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한, 플럭서.
KR1020177033111A 2015-04-16 2016-04-18 모듈식 전기로를 구비하는 플럭서 KR1020055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48229P 2015-04-16 2015-04-16
US62/148,229 2015-04-16
PCT/US2016/028030 WO2016168795A1 (en) 2015-04-16 2016-04-18 Fluxer having a modular electrically powered furn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505A KR20180018505A (ko) 2018-02-21
KR102005538B1 true KR102005538B1 (ko) 2019-07-30

Family

ID=57126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3111A KR102005538B1 (ko) 2015-04-16 2016-04-18 모듈식 전기로를 구비하는 플럭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709472B2 (ko)
EP (1) EP3283866B8 (ko)
KR (1) KR102005538B1 (ko)
CN (1) CN107923827B (ko)
AU (1) AU2016248439B2 (ko)
CA (1) CA2984966C (ko)
ES (1) ES2836283T3 (ko)
WO (1) WO20161687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8079A1 (en) 2019-10-11 2021-04-15 Materiaux Niek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an analytical sample by borate fusion with electric heat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3221A (ja) 2009-07-03 2011-01-20 Panalytical Bv ビード炉
US20120051387A1 (en) * 2010-08-26 2012-03-01 Marc Boivin System and Method for Heating Material Sample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81303A1 (fr) * 1977-02-21 1978-09-15 Siderurgie Fse Inst Rech Appareil pour la preparation automatique d'echantillons destines a l'analyse par fluorescence x
CA1265930A (en) 1984-03-05 1990-02-20 Fernand Claisse Sample preparation machine
US4738618A (en) * 1987-05-14 1988-04-19 Semitherm Vertical thermal processor
US5215718A (en) 1990-04-02 1993-06-01 Katzer Rodney A Laboratory dryer with hydrophilic exhaust filter
US5269827A (en) * 1991-03-01 1993-12-14 Leco Corporation Analytical sample preparation system
EP0576934B1 (en) * 1992-06-23 1998-09-16 TDK Corporation Calcination furnace
US5315091A (en) * 1993-03-02 1994-05-24 Leco Corporation Resistively heated sample preparation apparatus
DE19506503C1 (de) * 1995-02-24 1996-09-12 Inst Physikalische Hochtech Ev Laborofen
US6074205A (en) * 1997-10-17 2000-06-13 South African Bureau Of Standards Determination of volatile matter in samples
US6305930B1 (en) * 2000-06-14 2001-10-23 Tibor Fedak Vertical multiple stage oven
DE102008009254A1 (de) * 2008-02-15 2009-08-27 Hte Ag The High Throughput Experimentation Company Mehrzonenofen
KR101320154B1 (ko) * 2011-06-28 2013-10-23 현대제철 주식회사 가열 공간 가변형 열처리 장치
AU2013239280B2 (en) * 2012-03-28 2017-08-03 Spectris Canada Inc. Retaining bar for heat furnace receptacles, heat furnace receptacle supporting assembly comprising retaining bar and heat furnace comprising same
CN203274493U (zh) * 2013-05-03 2013-11-06 武汉钢铁(集团)公司 一种可制取材料高温淬冷试样的试验电炉
ES2544514B1 (es) * 2014-02-28 2016-06-09 Equilab, S.A. Equipo y procedimiento para preparación de muestras de análisis por rayos-X o IC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3221A (ja) 2009-07-03 2011-01-20 Panalytical Bv ビード炉
US20120051387A1 (en) * 2010-08-26 2012-03-01 Marc Boivin System and Method for Heating Material Samp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923827B (zh) 2021-02-02
EP3283866B8 (en) 2020-11-18
EP3283866B1 (en) 2020-09-09
AU2016248439A1 (en) 2017-11-09
CN107923827A (zh) 2018-04-17
CA2984966C (en) 2018-03-27
WO2016168795A1 (en) 2016-10-20
CA2984966A1 (en) 2016-10-20
US9709472B2 (en) 2017-07-18
EP3283866A1 (en) 2018-02-21
US20160305858A1 (en) 2016-10-20
EP3283866A4 (en) 2018-12-05
AU2016248439B2 (en) 2017-12-14
ES2836283T3 (es) 2021-06-24
KR20180018505A (ko)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5538B1 (ko) 모듈식 전기로를 구비하는 플럭서
US5315091A (en) Resistively heated sample preparation apparatus
CN111296509B (zh) 烘焙麦片的低温烘焙装置
EP0024037B1 (en) A base for a kiln car
US10578527B2 (en) Test system comprising a heating device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test system
JP5471469B2 (ja) クロマトグラフ装置
KR20220082319A (ko) 재료의 투입과 완제품의 배출이 자동화된 자동 튀김 장치
AU2014253660A1 (en) A furnace and a method for preparing samples for sample analysis
JPS6047959A (ja) ガスクロマトグラフ炉
CN110108120A (zh) 一种马弗炉
US10550449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separating and recovering the components of an alloy, particularly a noble alloy
EP4006421B1 (en) Heating cooking apparatus
JP6396477B2 (ja) 耐火性セラミックライニング用煉瓦及び対応する耐火性セラミックライニング
US20160003720A1 (en) Apparatus Comprising an Increased-Capacity Platinumware Holder and Method Therefor
KR101136605B1 (ko) 조리기기
US11774112B2 (en) Heating cooking apparatus
EP4006419A1 (en) Heating cooker
TW561082B (en) Structure of melting furnace for aluminum alloy casting device
EP2951519B1 (en) A furnace for preparing fused (homogenised) samples for sample analysis
AU2015268610A1 (en) Immersion device for an optical fibre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a melt
JP2023014815A (ja) 電気炉
TW202124897A (zh) 熱處理裝置
CN117848048A (zh) 真空气氛炉的自动进料装置
KR20160017421A (ko) 소결 서셉터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마이크로파 소결 시스템
CN108194947A (zh) 燃气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