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318B1 - 해킹을 방지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해킹을 방지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318B1
KR102005318B1 KR1020180021334A KR20180021334A KR102005318B1 KR 102005318 B1 KR102005318 B1 KR 102005318B1 KR 1020180021334 A KR1020180021334 A KR 1020180021334A KR 20180021334 A KR20180021334 A KR 20180021334A KR 102005318 B1 KR102005318 B1 KR 102005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amera module
control
path
cp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모
Original Assignee
피타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타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타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1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53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2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04N5/2324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해킹을 방지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는 홈 네트워크 장치에서 해킹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연동하는 카메라 모듈의 해킹, 사생활 침해에 대비하기 위하여 종래와 같이 기구적으로 화면을 가리는 방식이 아니라 제어 스위치를 이용하여 CPU와 카메라 모듈 사이에 별도의 제어 스위치를 구비하여 CPU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오프 신호로 인지하고, 별도의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온 신호로 인지하도록 하는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해킹을 방지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해킹을 방지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ome Networking for Preventing Hacking}
본 실시예는 해킹을 방지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홈 네트워크는 TV, 냉장고 및 에어컨 등 가정에서 사용하는 가전 제품과 도어락, 조명, 가스, 화재 등의 가정용 기기 등을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홈 네트워크는 아파트나 오피스텔과 같은 공동 주거(거주) 공간이나 IBS(Intelligent Building System) 등에 적용되고 있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대에 대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의미한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각 세대에 설치된 모니터링 장비는 가전제품, 가정용 기기와 같은 다수의 기기를 모니터링한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공용 서버를 통해 네트워크를 거쳐 외부와 연결된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예컨대, 각 세대마다 설치되어 있는 월패드(Wallpad)일 수 있다.
종래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보안상 문제가 있다. 즉,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연결된 공용 서버의 경우 외부로부터 서버 자체에 대한 공격에 대해서는 방화벽이나 기타 보안 기술로 차단할 수 있다. 하지만,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구현된 장치인 월패드 자체의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 기술은 아직까지 존재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외부에서 월패드 자체를 해킹할 경우, 각 세대의 출입 비밀번호 등이 탈취 또는 변조되거나 월패드와 연결된 다수의 기기(예를 들면, CCTV, 도어락, 카메라와 같은 촬영 수단, 마이크와 같은 음성 입력 수단 또는 조명 등)가 임의로 조작될 수 있다. 또한, 해킹된 월패드가 DDos 공격 등에 악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해킹에 대비할 수 있는 보안이 적용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실시예는 홈 네트워크 장치에서 해킹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연동하는 카메라 모듈의 해킹, 사생활 침해에 대비하기 위하여 종래와 같이 기구적으로 화면을 가리는 방식이 아니라 제어 스위치를 이용하여 CPU와 카메라 모듈 사이에 별도의 제어 스위치를 구비하여 CPU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오프 신호로 인지하고, 별도의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온 신호로 인지하도록 하는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해킹을 방지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인가받은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온 또는 오프로 동작하며, 온으로 동작시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의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 모듈과 별도로 형성된 제어 패스(Control Path)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 패스로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온 또는 오프로 동작하도록 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 스위치;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온 시키기 위한 별도로 형성된 제1 전용 패스로 상기 제어 스위치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전용 패스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온 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제어 스위치로 인가하는 버튼;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오프 시키기 위한 별도로 형성된 제2 전용 패스로 상기 제어 스위치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전용 패스로 프로세스의 종료 여부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오프 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제어 스위치로 인가하는 CP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CPU 사이에 상기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패스(Path)가 미연결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CPU 사이에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 패스만이 연결된다.
상기 CPU와 상기 카메라 모듈 사이에 별도의 상기 제어 스위치를 구비하기 때문에, 상기 CPU는 상기 제어 스위치하고만 패스가 연결이 되고, 상기 제어 스위치는 상기 카메라 모듈과 패스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어 스위치는 상기 버튼과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온 시키는 패스가 연결되는 구조와 상기 CPU와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오프 시키는 패스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어 스위치는 상기 버튼으로부터 상기 제1 전용 패스로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온 시키기 위한 온 신호로 인지하여 상기 제어 패스로 카메라 온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이 온 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CPU으로부터 상기 제2 전용 패스로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오프 시키기 위한 오프 신호로 인지하여 상기 제어 패스로 카메라 오프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이 오프 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 스위치는 제1 제어신호 입력단, 제2 제어신호 입력단, 제어신호 출력단을 가지며, 상기 제1 제어신호 입력단은 상기 버튼의 출력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전용 패스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제어신호 입력단은 상기 CPU의 오프신호 출력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2 전용 패스를 형성하며, 상기 제어신호 출력단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입력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어 패스를 형성한다.
상기 제어 스위치는 상기 제1 제어신호 입력단으로부터 온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온 시키도록 하는 카메라 온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제어신호 출력단으로 출력하며, 상기 제2 제어신호 입력단으로부터 오프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오프 시키도록 하는 카메라 오프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제어신호 출력단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 스위치는 상기 제1 제어신호 입력단으로부터 온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카메라 온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신호 출력단으로 출력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제어신호 입력단으로부터 오프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 상태와 무관하게 상기 카메라 모듈을 우선적으로 오프 시키도록 하는 카메라 오프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신호 출력단으로 출력한다.
상기 CPU와 상기 제1 전용 패스 사이에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온 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신호 패스가 연결되며, 상기 CPU는 상기 신호 패스로부터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온 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LED를 발광하는 LED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CPU의 LED 제어신호 출력단과 상기 LED부의 입력단이 연결되어 상태 패스를 형성한다.
상기 CPU는 상기 신호 패스로부터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온 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LED부로 LED 발광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이 온 상태를 나타내도록 하며, 프로세스의 종료 여부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오프 시키도록 하는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LED부로 LED 오프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이 오프 상태를 나타내도록 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CPU 사이에 상기 제어 스위치가 연결되는 구조와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CPU 사이에 상기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패스가 미연결되는 구조로 인해, 상기 CPU가 해킹 신호를 전송하더라도 상기 카메라 모듈로 미전달되고, 상기 제어 스위치로 상기 해킹 신호가 전달되더라도 해킹이 차단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카메라 모듈의 온 시키기 위한 별도로 형성된 제1 전용 패스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온 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제어 스위치로 인가하는 과정; 상기 카메라 모듈의 오프 시키기 위한 별도로 형성된 제2 전용 패스로 프로세스의 종료 여부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오프 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제어 스위치로 인가하는 과정; 상기 제1 전용 패스 및 상기 제2 전용패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온 또는 오프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카메라 모듈과 연결된 별도의 제어 패스로 출력하는 과정; 및 인가받은 상기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온 또는 오프로 동작하며, 온으로 동작시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킹을 방지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홈 네트워크 장치에서 해킹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연동하는 카메라 모듈의 해킹, 사생활 침해에 대비하기 위하여 종래와 같이 기구적으로 화면을 가리는 방식이 아니라 제어 스위치를 이용하여 CPU와 카메라 모듈 사이에 별도의 제어 스위치를 구비하여 CPU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오프 신호로 인지하고, 별도의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온 신호로 인지하도록 하는 연결되는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 스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CPU의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해킹을 방지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홈 네트워크 장치(100)를 포함하며, 홈 네트워크 장치(100)는 댁내의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한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댁내에 존재하는 컴퓨터(Computer, Notebook), 프린터(Printer), AP(Access Point), TV, 냉장고, 에어컨, 도어락, 조명, 가스, 화재 등의 가정용 기기 등을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대에 대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의미한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예컨대, 각 세대마다 설치되어 있는 월패드(Wallpad)일 수 있다. 다시 말해, 홈 네트워크 장치(100)는 바람직하게는 아파트 내에 설치되는 월패드에 적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홈 네트워크 장치(100)는 해킹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는 구조로서, 카메라 모듈(210)의 제어에 대한 것으로 기능을 켜거나 끄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210)의 해킹, 사생활 침해에 대비하기 위해 과거에는 기구적으로 화면을 가리는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기구를 닫는 것을 잊어버리거나 불편하여 열어 놓고 사용하는 등으로 인해 보안의 기능이 떨어지며 기구적 구현으로 디자인의 손상과 단가 상승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장치(100)는 일반적인 방식의 해킹 방지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제어 스위치(220)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210)의 해킹을 방지한다.
홈 네트워크 장치(100)는 CPU(240)에 제어 받지 않는 독립된 버튼(230)을 사용자가 누르면 내부에 구비된 제어 스위치(220)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210)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홈 네트워크 장치(100)는 CPU(240)에서 오프 신호를 제어 스위치(220)에 전송하면 제어 스위치(220)에서 카메라 모듈(210)이 동작하지 않도록 한다. 홈 네트워크 장치(100)는 카메라 모듈(210)의 기능이 켜졌을 때 LED부(250)를 발광시켜 사용자가 카메라 모듈(210)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홈 네트워크 장치(100)는 사용자가 독립된 버튼(230)을 눌러야만 카메라 모듈(210) 사용이 가능해지며, CPU(240)에서 카메라 모듈(210)을 끄는 것만 가능하게 되어 해킹으로 인한 사생활 침해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홈 네트워크 장치(100)(예컨대, 홈 패드)는 댁내에 설치되어 집 내의 전자 디바이스를 전반적으로 관리한다. 홈 네트워크 장치(100)(예컨대, 홈 패드)는 카메라 모듈(210)을 구비한다. 홈 네트워크 장치(100)는 별도의 버튼(230)(소프트웨어적인 버튼, 하드웨어적인 버튼)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카메라 모듈(210)을 필요로 하는 기능(내부 영상 통화 기능, 현관문 모니터링 기능 등)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별도의 버튼(230)을 누른다. 버튼(230)의 구현된 방식에 따라 사용자는 화면 내의 버튼을 누르거나 별도의 버튼(230)을 누른다. 버튼(230)을 누르면, 홈 네트워크 장치(100) 내의 카메라 모듈(210)(카메라 온 신호)이 동작한다.
통화가 종료되거나 카메라 모듈의 동작이 종료되면, 다시 말해, 카메라 모듈(210)을 필요로 하는 기능(내부 영상 통화 기능, 현관문 모니터링 기능 등)이 종료되면, 홈 네트워크 장치(100) 내의 CPU(240)가 자동으로 카메라 모듈의 동작 기능을 차단한다.
홈 네트워크 장치(100) 내의 CPU(240)는 카메라 모듈(210)을 오프 시키도록 하는 제어만 가능하다. 홈 네트워크 장치(100) 내의 카메라 모듈(210)을 온 시키는 기능은 별도의 버튼(230)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의한 입력이 있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홈 네트워크 장치(100)는 별도의 버튼(230)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경우에만 온 상태를 체크한다. 홈 네트워크 장치(100)는 버튼(23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카메라 모듈(210)을 온으로 동작시키고 LED부(250)를 켜도록 동작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장치(100) 내의 CPU(240)는 카메라 모듈을 온시키는 명령을 내릴 수 없다. CPU(240)는 카메라 모듈에 대한 오프 신호만 인가할 수 있다.
일반적인 홈 네트워크 장치(100)는 내부 구비된 카메라 모듈(210)과 CPU(240)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다시 말해, 일반적인 홈 네트워크 장치(100)의 CPU(240)는 카메라 모듈(210)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CPU(240)에서 카메라 모듈(210)을 직접적으로 온 또는 오프 시키는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210)과 CPU(240)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구조에서는 해킹으로 카메라 모듈(210)을 온 시킬 수 있는 구조가 되므로 해킹에 취약점을 갖는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장치(100)는 CPU(240)와 카메라 모듈(210) 사이에 별도의 제어 스위치(220)를 구비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장치(100)는 카메라 모듈(210), 제어 스위치(220), 버튼(230), CPU(240) 및 LED부(250)를 포함한다. 홈 네트워크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홈 네트워크 장치(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는 장치 내부의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또는 하드웨어적인 모듈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에 연결되어 상호 간에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도 2에 도시된 홈 네트워크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하드웨어적인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10)은 제어 스위치(220)로부터 인가받은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온 또는 오프로 동작한다. 카메라 모듈(210)은 온으로 동작시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한다. 카메라 모듈(210)은 CPU(240)와 형성된 영상 데이터 패스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CPU(240)로 전송한다.
카메라 모듈(210)은 댁내에 영상 통화를 위해 구현된 전면 카메라, 현관 외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외부 카메라 모두를 포함한다. 전면 카메라는 세대간 영상 통화, 경비실과의 영상 통화에 이용되는 영상을 촬영한다. 외부 카메라는 현관, 주차장, CCTV 등을 촬영한 형상을 생성한다.
CPU(240)와 카메라 모듈(210) 사이에 별도의 제어 스위치(220)를 구비하기 때문에, CPU(240)는 제어 스위치(220)하고만 제2 전용 패스가 연결이 되고, 제어 스위치(220)는 카메라 모듈(210)과 제어 패스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카메라 모듈(210)과 CPU(240) 사이에 제어 스위치(220)가 연결되는 구조와 카메라 모듈(210)과 CPU(240) 사이에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패스가 미연결되는 구조로 인해, CPU(240)가 해킹 신호를 전송하더라도 카메라 모듈(210)로 미전달되고, 제어 스위치(220)로 해킹 신호가 전달되더라도 해킹이 차단되는 구조를 갖는다.
카메라 모듈(210)과 CPU(240) 사이에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패스(Path)가 미연결된다. 카메라 모듈(210)과 CPU(240) 사이에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 패스만이 연결된다.
홈 네트워크 장치(100)는 CPU(240)와 카메라 모듈(210) 사이에 별도의 제어 스위치(220)를 구비하기 때문에, CPU(240)는 제어 스위치(220)하고만 연결이 되고, 제어 스위치(220)가 카메라 모듈(210)과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어 스위치(220)는 별도의 버튼(230)으로부터 카메라 모듈(210)을 온 시키는 신호를 인가받으면, 카메라 모듈(210)을 온 시킨다. 제어 스위치(220)는 CPU(240)로부터 카메라 모듈(210)을 오프 시키는 신호를 인가받으면, 카메라 모듈(210)을 오프 시킨다. 제어 스위치(220)는 카메라 모듈(210)을 제어하는 것이 주요기능이다.
제어 스위치(220)는 제1 제어신호 입력단(340), 제2 제어신호 입력단(350), 제어신호 출력단(360)을 갖는다.
제어 스위치(220)는 제1 제어신호 입력단(340) 또는 제2 제어신호 입력단(350)으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카메라 모듈(210)을 온 또는 오프로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카메라 모듈(210)로 출력한다.
제어 스위치(220)의 제1 제어신호 입력단(340)은 버튼(230)의 출력단(232)과 연결된다. 제어 스위치(220)는 카메라 모듈(210)을 제어하기 위해, 버튼(230)의 출력단(232)과 연결된 제1 제어신호 입력단(340)으로 카메라 온 신호를 입력받는다. 제어 스위치(220)의 제2 제어신호 입력단은 CPU(240)의 오프신호 출력단(410)과 연결된다.
제어 스위치(220)는 카메라 모듈(210)을 제어하기 위해, CPU(240)의 오프신호 출력단(410)과 연결된 제2 제어신호 입력단(350)으로 카메라 오프 신호를 입력받는다. 제어 스위치(220)의 제어신호 출력단(360)은 카메라 모듈(210)의 입력단(212)과 연결된다. 제어 스위치(220)는 CPU(240)으로부터 카메라 오프 신호를 입력받는다.
제어 스위치(220)는 제1 제어신호 입력단(340)으로부터 카메라 온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카메라 모듈(210)을 온 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카메라 모듈(210)로 출력한다.
제어 스위치(220)는 제2 제어신호 입력단(350)으로부터 카메라 오프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카메라 모듈(210)을 오프 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카메라 모듈(210)로 출력한다.
제어 스위치(220)는 제1 제어신호 입력단(340)으로부터 카메라 온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카메라 모듈(210)을 온 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카메라 모듈(210)로 출력한 상태에서 제2 제어신호 입력단(350)으로부터 카메라 오프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카메라 모듈(210)을 오프 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카메라 모듈(210)로 출력한다.
CPU(240)가 해킹되서 카메라 온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가정하더라도 제어 스위치(220)는 CPU(240)의 온 신호를 인가하는 출력단과 미연결된 상태이므로 CPU(240)가 출력하는 카메라 온 신호 자체가 제어 스위치(220)로 수신되지 않는다.
제어 스위치(220)는 CPU(240)로부터 어떠한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카메라 오프 신호로 인식하여 카메라 모듈(210)을 오프 시키도록 한다.
제어 스위치(220)는 카메라 모듈(210)의 온 또는 오프 기능을 제어한다. 제어 스위치(220)는 카메라 모듈(210)의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하기 위해, 카메라 모듈(210)과 별도로 형성된 제어 패스(Control Path)로 연결된다. 제어 스위치(220)는 카메라 모듈(210)과 형성된 제어 패스로 카메라 모듈(210)을 온 또는 오프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제어 스위치(220)는 버튼(230)과 카메라 모듈(210)을 온 시키는 제1 전용 패스가 연결되는 구조와 CPU(240)와 카메라 모듈(210)을 오프 시키는 제2 전용 패스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어 스위치(220)는 버튼(230)으로부터 제1 전용 패스로 신호가 인가되면, 카메라 모듈(210)을 온 시키기 위한 온 신호로 인지하여 제어 패스로 카메라 온 신호를 출력하여 카메라 모듈(210)이 온 되도록 제어한다.
제어 스위치(220)는 CPU(240)으로부터 제2 전용 패스로 신호가 인가되면, 카메라 모듈(210)을 오프 시키기 위한 오프 신호로 인지하여 제어 패스로 카메라 오프 신호를 출력하여 카메라 모듈(210)이 오프 되도록 제어한다.
버튼(230)은 물리적인 버튼으로 구현되거나 디스플레이부 내의 소프트웨어적인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다. 버튼(230)은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동작 신호를 발생한다.
버튼(230)은 카메라 모듈(210)을 온 시키기 위한 별도로 형성된 제1 전용 패스로 제어 스위치(220)와 연결된다. 버튼(230)은 제1 전용 패스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카메라 모듈(210)을 온 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제어 스위치(220)로 인가한다.
CPU(240)는 홈 네트워크 장치(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의미한다. CPU(240)는 홈 네트워크 장치(100)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에서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홈 네트워크 장치(100)의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
CPU(240)는 카메라 모듈(210)을 오프 시키기 위한 별도로 형성된 제2 전용 패스로 제어 스위치(220)와 연결된다. CPU(240)는 제2 전용 패스로 프로세스의 종료 여부에 따라 카메라 모듈(210)을 오프 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제어 스위치(220)로 인가한다.
CPU(240)와 제1 전용 패스 사이에 카메라 모듈(210)을 온 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신호 패스가 연결된다. CPU(240)는 신호 패스로부터 카메라 모듈(210)을 온 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CPU(240)의 LED 제어신호 출력단(440)과 LED부(250)의 입력단(252)이 연결되어 상태 패스를 형성한다.
CPU(240)는 신호 패스로부터 카메라 모듈(210)을 온 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태 패스를 이용하여 LED부(250)로 LED 발광 신호를 인가하여 카메라 모듈이 온 상태를 나타내도록 한다. CPU(240)는 프로세스의 종료 여부에 따라 카메라 모듈(210)을 오프 시키도록 하는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태 패스를 이용하여 LED부(250)로 LED 오프 신호를 인가하여 카메라 모듈(210)이 오프 상태를 나타내도록 한다.
CPU(240)는 버튼(230)으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LED부(250)를 온 시킬 수 있다. CPU(240)는 버튼(230)으로부터 온 신호를 센싱하면, 카메라 모듈(210)이 동작하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210)에서 영상 데이터가 CPU(240)로 전송된다.
LED부(250)는 LED(Light Emitting Diode)를 발광한다. LED부(250)는 카메라 모듈(210)의 동작 상태에 따라 CPU(240)의 제어에 따라 온되면서 발광한다.
홈 네트워크 장치(100)는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으로서, 메모리를 포함하며, 메모리에는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저장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 스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 스위치(220)는 입력신호 확인부(310), 입력신호 판별부(320), 제어신호 출력부(330), 제1 제어신호 입력단(340), 제2 제어신호 입력단(350), 제어신호 출력단(360)을 포함한다. 제어 스위치(22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 스위치(22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는 장치 내부의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또는 하드웨어적인 모듈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에 연결되어 상호 간에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도 3에 도시된 제어 스위치(220)의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하드웨어적인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신호 확인부(310)는 제1 전용 패스 및 제2 전용패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확인한다. 입력신호 확인부(310)는 카메라 모듈(210)을 온 시키기 위한 별도로 형성된 제1 전용 패스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카메라 모듈(210)을 온 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입력신호 확인부(310)는 카메라 모듈(210)을 오프 시키기 위한 별도로 형성된 제2 전용 패스로 프로세스의 종료 여부에 따라 카메라 모듈(210)을 오프 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입력신호 판별부(320)는 버튼(230)으로부터 제1 전용 패스로 신호가 인가되면, 카메라 모듈(210)을 온 시키기 위한 온 신호로 판별한다. 입력신호 판별부(320)는 CPU(240)으로부터 제2 전용 패스로 신호가 인가되면, 카메라 모듈(210)을 오프 시키기 위한 오프 신호로 판별한다.
제어신호 출력부(330)는 제어 패스로 카메라 온 신호를 출력하여 카메라 모듈(210)이 온 되도록 제어한다. 제어신호 출력부(330)는 제어 패스로 카메라 오프 신호를 출력하여 카메라 모듈이 오프 되도록 제어한다.
제어신호 출력부(330)는 제1 제어신호 입력단(340)으로부터 온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카메라 모듈(210)을 온 시키도록 하는 카메라 온 신호를 생성한 후 제어신호 출력단(360)으로 출력한다.
제어신호 출력부(330)는 제2 제어신호 입력단(350)으로부터 오프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카메라 모듈(210)을 오프 시키도록 하는 카메라 오프 신호를 생성한 후 제어신호 출력단(360)으로 출력한다.
제어신호 출력부(330)는 제1 제어신호 입력단(340)으로부터 온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카메라 온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신호 출력단(360)으로 출력한 상태에서 제2 제어신호 입력단(350)으로부터 오프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카메라 모듈(210)의 동작 상태와 무관하게 카메라 모듈(210)을 우선적으로 오프 시키도록 하는 카메라 오프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신호 출력단(360)으로 출력한다.
제1 제어신호 입력단(340)은 버튼(230)의 출력단(232)과 연결되어 제1 전용 패스를 형성한다. 제1 제어신호 입력단(340)은 제1 전용 패스를 이용하여 버튼(230)의 출력단(232)으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카메라 모듈(210)을 온 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인가받는다.
제2 제어신호 입력단(350)은 CPU(240)의 오프신호 출력단과 연결되어 제2 전용 패스를 형성한다. 제2 제어신호 입력단(350)은 제2 전용 패스를 이용하여 CPU(240)의 오프신호 출력단(410)으로부터 프로세스의 종료 여부에 따라 카메라 모듈(210)을 오프 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인가받는다.
제어신호 출력단(360)은 카메라 모듈(210)의 입력단과 연결되어 제어 패스를 형성한다. 제어신호 출력단(360)은 카메라 모듈(210)과 형성된 제어 패스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210)의 입력단(212)으로 카메라 모듈(210)을 온 또는 오프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CPU의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CPU(240)는 홈 네트워크 장치(100) 내의 구성요소들과 연동하기 위한 오프신호 출력단(410), 영상신호 입력단(420), LED 제어신호 출력단(440), 상태신호 입력단(430)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CPU(240)의 구조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프신호 출력단(410)은 제어 스위치(220)의 제2 제어신호 입력단(350)과 연결되어 제2 전용 패스를 형성한다. 오프신호 출력단(410)은 제2 전용 패스를 이용하여 프로세스의 종료 여부에 따라 카메라 모듈(210)을 오프 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제어 스위치(220)로 인가한다.
영상신호 입력단(420)은 카메라 모듈(210)의 출력단(222)과 연결되어 영상 데이터 패스를 형성한다. 영상신호 입력단(420)은 영상 데이터 패스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210)의 출력단(222)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LED 제어신호 출력단(440)은 LED부(250)의 입력단(252)과 연결되어 상태 패스를 형성한다. LED 제어신호 출력단(440)은 상태 패스를 이용하여 LED부(250)의 입력단(252)으로 LED 발광 신호를 인가하여 카메라 모듈(210)이 온 상태를 나타내도록 한다. LED 제어신호 출력단(440)은 상태 패스를 이용하여 LED부(250)의 입력단(252)으로 LED 오프 신호를 인가하여 카메라 모듈(210)이 오프 상태를 나타내도록 한다.
상태신호 입력단(430)은 버튼(230)의 출력단(232)과 연결되어 신호 패스를 형성한다. 상태신호 입력단(430)은 형성된 신호 패스로부터 버튼(230)의 출력단(232)에서 출력하는 카메라 모듈(210)을 온 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해킹을 방지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홈 네트워크 장치(100) 내의 버튼(230)은 카메라 모듈(210)을 온 시키기 위한 별도의 제1 전용 패스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카메라 모듈(210)을 온 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제어 스위치(220)로 인가한다(S510).
홈 네트워크 장치(100) 내의 CPU(240)는 카메라 모듈(210)을 오프 시키기 위한 별도의 제2 전용 패스로 프로세스의 종료 여부에 따라 카메라 모듈(210)을 오프 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제어 스위치(220)로 인가한다(S520).
홈 네트워크 장치(100)의 제어 스위치(220)는 제1 전용 패스 및 제2 전용패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카메라 모듈(210)의 온 또는 오프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S530).
홈 네트워크 장치(100)의 제어 스위치(220)는 카메라 모듈(210)의 온 또는 오프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카메라 모듈(210)과 연결된 별도의 제어 패스로 출력한다(S540).
홈 네트워크 장치(100)의 카메라 모듈(210)은 인가받은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온 또는 오프로 동작한다(S550).
단계 S550 이후에 홈 네트워크 장치(100)의 카메라 모듈(210)은 온으로 동작시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한다. 홈 네트워크 장치(100)의 카메라 모듈(210)은 CPU(240)와 형성된 영상 데이터 패스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CPU(240)로 전송한다. CPU(240)는 영상 데이터 패스를 경유하여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외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한다.
홈 네트워크 장치(100)의 CPU(240)는 신호 패스로부터 카메라 모듈(210)을 온 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LED부(250)로 LED 발광 신호를 인가하여 카메라 모듈이 온 상태를 나타내도록 한다(S560).
단계 S560 이후에 홈 네트워크 장치(100)의 CPU(240)는 프로세스의 종료 여부에 따라 카메라 모듈(210)을 오프 시키도록 하는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LED부(250)로 LED 오프 신호를 인가하여 카메라 모듈(210)이 오프 상태를 나타내도록 한다.
도 5에서는 단계 S510 내지 단계 S56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5에 기재된 단계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5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5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해킹을 방지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해킹을 방지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홈 네트워크 장치
210: 카메라 모듈 220: 제어 스위치
230: 버튼 240: CPU
250: LED부
340: 제1 제어신호 입력단 350: 제2 제어신호 입력단
360: 제어신호 출력단
410: 오프신호 출력단 420: 영상신호 입력단
430: 상태신호 입력단 440: LED 제어신호 출력단

Claims (12)

  1. 인가받은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온 또는 오프로 동작하며, 온으로 동작시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의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 모듈과 별도로 형성된 제어 패스(Control Path)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 패스로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온 또는 오프로 동작하도록 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 스위치;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온 시키기 위한 별도로 형성된 제1 전용 패스로 상기 제어 스위치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전용 패스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온 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제어 스위치로 인가하는 버튼;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오프 시키기 위한 별도로 형성된 제2 전용 패스로 상기 제어 스위치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전용 패스로 프로세스의 종료 여부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오프 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제어 스위치로 인가하는 CPU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CPU 사이에 상기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상기 제어패스, 및 상기 제2 전용 패스가 미연결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CPU 사이에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 패스만을 연결하기 위해서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스위치는
    상기 버튼으로부터 상기 제1 전용 패스로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온 시키기 위한 온 신호로 인지하여 상기 제어 패스로 카메라 온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이 온 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CPU으로부터 상기 제2 전용 패스로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오프 시키기 위한 오프 신호로 인지하여 상기 제어 패스로 카메라 오프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이 오프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스위치는 제1 제어신호 입력단, 제2 제어신호 입력단, 제어신호 출력단을 가지며,
    상기 제1 제어신호 입력단은 상기 버튼의 출력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전용 패스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제어신호 입력단은 상기 CPU의 오프신호 출력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2 전용 패스를 형성하며,
    상기 제어신호 출력단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입력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어 패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스위치는,
    상기 제1 제어신호 입력단으로부터 온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온 시키도록 하는 카메라 온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제어신호 출력단으로 출력하며,
    상기 제2 제어신호 입력단으로부터 오프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오프 시키도록 하는 카메라 오프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제어신호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스위치는
    상기 제1 제어신호 입력단으로부터 온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카메라 온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신호 출력단으로 출력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제어신호 입력단으로부터 오프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 상태와 무관하게 상기 카메라 모듈을 우선적으로 오프 시키도록 하는 카메라 오프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신호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PU와 상기 제1 전용 패스 사이에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온 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신호 패스가 연결되며,
    상기 CPU는 상기 신호 패스로부터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온 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LED를 발광하는 LED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CPU의 LED 제어신호 출력단과 상기 LED부의 입력단이 연결되어 상태 패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CPU는,
    상기 신호 패스로부터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온 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LED부로 LED 발광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이 온 상태를 나타내도록 하며,
    프로세스의 종료 여부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오프 시키도록 하는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LED부로 LED 오프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이 오프 상태를 나타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
  11. 삭제
  12. 카메라 모듈의 온 시키기 위한 별도로 형성된 제1 전용 패스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온 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제어 스위치로 인가하는 과정;
    상기 카메라 모듈의 오프 시키기 위한 별도로 형성된 제2 전용 패스로 프로세스의 종료 여부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오프 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제어 스위치로 인가하는 과정;
    상기 제1 전용 패스 및 상기 제2 전용패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온 또는 오프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카메라 모듈과 연결된 별도의 제어 패스로 출력하는 과정; 및
    인가받은 상기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온 또는 오프로 동작하며, 온으로 동작시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킹을 방지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180021334A 2018-02-22 2018-02-22 해킹을 방지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05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334A KR102005318B1 (ko) 2018-02-22 2018-02-22 해킹을 방지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334A KR102005318B1 (ko) 2018-02-22 2018-02-22 해킹을 방지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5318B1 true KR102005318B1 (ko) 2019-07-30

Family

ID=67473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334A KR102005318B1 (ko) 2018-02-22 2018-02-22 해킹을 방지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53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4411A (ko) * 2007-09-04 2009-03-09 (주) 멀티비아 홈네트워크를 위한 네트워크 카메라
KR20110131105A (ko) * 2010-05-28 2011-12-06 주식회사 아이티엑스시큐리티 네트워크 스위치 제어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KR20160129990A (ko) * 2015-04-30 2016-11-10 이호준 해킹 방지용 원격지원 제어기
KR20160138761A (ko) * 2015-05-26 2016-12-06 주식회사 안랩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보안 관리 장치 및 보안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4411A (ko) * 2007-09-04 2009-03-09 (주) 멀티비아 홈네트워크를 위한 네트워크 카메라
KR20110131105A (ko) * 2010-05-28 2011-12-06 주식회사 아이티엑스시큐리티 네트워크 스위치 제어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KR20160129990A (ko) * 2015-04-30 2016-11-10 이호준 해킹 방지용 원격지원 제어기
KR20160138761A (ko) * 2015-05-26 2016-12-06 주식회사 안랩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보안 관리 장치 및 보안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9048B2 (en) Doorbell camera
US11212427B2 (en) Doorbell camera
JP6998971B2 (ja) ビデオカメラアセンブリ
US8793302B2 (en) Secure implementation of network-based sensors
EP1791302A2 (en) Communication relay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201402548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scanning vehicle license plates
US201402548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vehicle license plate
US201401921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ccess to a home using visual cues
Kumar et al. IoT based smart home surveillance and automation
US20220124226A1 (en) Doorbell Camera
KR20060098179A (ko)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031712A (ja) インターネットを通じた共同住宅のセキュリティー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005318B1 (ko) 해킹을 방지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59799B1 (ko) 공동 현관문 출입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출입 관리 방법
KR101568740B1 (ko)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그의 사생활 보호방법
KR102069713B1 (ko)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보안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51641A (ko) 네트워크 장비의 전원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100138A (ko) 디지털 보안 어댑터
KR20090097695A (ko)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JP3778209B1 (ja) 通信中継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通信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2142032B1 (ko) 지능형 커뮤니케이션 서버
US20230345094A1 (en) Doorbell Camera
TWI647369B (zh) 智慧型門鎖系統及其方法
US20190306206A1 (en) System for managing iot information
CN115601797A (zh) 一种智能设备监控方法、装置、智能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