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8740B1 -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그의 사생활 보호방법 - Google Patents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그의 사생활 보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8740B1
KR101568740B1 KR1020150076457A KR20150076457A KR101568740B1 KR 101568740 B1 KR101568740 B1 KR 101568740B1 KR 1020150076457 A KR1020150076457 A KR 1020150076457A KR 20150076457 A KR20150076457 A KR 20150076457A KR 101568740 B1 KR101568740 B1 KR 101568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hacking
relay server
room
priva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6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인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지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지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지엔스
Priority to KR1020150076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7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22Arrangements for preventing the taking of data from a data transmission channel without author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detecting or protecting against malicious traffic
    • H04L63/14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detecting or protecting against malicious traffic by monitoring network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142Denial of service attacks against network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그의 사생활 보호방법에 관한 것으로, 네트워크를 통한 해킹 발생 여부를 검사하는 해킹 검사부와 실내에 설치된 카메라를 포함해서 복수의 디지털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해킹 검사부의 검사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카메라를 사생활 보호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중계서버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네트워크를 통한 해킹이 감지되면, 실내에 설치된 카메라의 음성 녹화를 차단하고, 카메라의 렌즈를 벽이나 천정 또는 바닥을 향하도록 회전 동작시켜 사생활 또는 원하지 않는 정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그의 사생활 보호방법{HOME AUTOMATION SYSTEM AND PROTECTION OF PRIVATE LIFE THEREOF}
본 발명은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 적용되는 카메라를 통한 해킹으로부터 사생활을 보호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실내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실내에 마련된 디지털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홈 오토메이션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 홈 오토메이션 기능은 실내에 마련된 리모컨이나 외부의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텔레비전이나 오디오뿐만 아니라, 에어컨, 선풍기, 보일러와 같은 냉난방장치와 DVD 플레이어, 조명 등 복수의 디지털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확대되고 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은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등 복수에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과 관련된 기술을 개시하여 출원한 바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와이파이(Wi-Fi) 등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서버통신부와, 디지털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적외선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적외선송출부가 구비된 IR 중계서버에서 사무실이나 집 등의 실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그에 대하여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기기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적합한 적외선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함으로써, 실외에서도 실내에 구비된 복수의 디지털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홈 오토메이션을 저렴한 비용과 간단한 장비로 구현할 수 있게 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기기 제어 및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스마트폰을 통하여 실내 또는 실외에서 전송되는 디지털기기의 구동신호를 각 가정에 설치된 중계 홈서버에서 수신하여 적외선 발생수단이 구비된 IR 중계기로 전송하면, 디지털기기의 구동신호를 수신한 IR 중계기에서 적외선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실내에 있을 경우뿐만 아니라 실외에서도 가정 내의 디지털기기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리모컨과 같은 원격제어장치에서 전송되는 적외선 신호를 IR 중계기에서 수신하여 캡처한 후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면 스마트폰에서 이와 같이 캡처한 적외선 신호의 패턴을 분석하고 적외선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를 압축하여 IR 중계기로 다시 전송하고 이를 저장함으로써, 새로운 디지털기기 고유의 적외선 신호를 스마트폰과 IR 중계기 등에 용이하게 학습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적외선 신호 학습이 가능한 디지털기기 제어시스템의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는 실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실내에 구획된 각 공간마다 설치된다.
이와 같이, 카메라를 이용해서 실내 영상을 촬영해서 실외에 있는 사용자에게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는 외출 시에도 실내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해킹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카메라를 통한 사생활 또는 원하지 않는 정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3에는 수동식 조리개를 마련해서 조리개의 동작 방향에 따라 닫힘과 열림의 동작을 제어해서 바이러스 프로그램이나 해킹 프로그램 등으로 인한 사생활 또는 원하지 않는 정보의 노출을 방지하는 장치의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080278호(2013년 7월 12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 공고번호 제10-1253148호(2013년 4월 10일 공고)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6-0109032호(2006년 10월 19일 공개)
그러나 특허문헌 3은 카메라에 별도의 수동식 조리개와 수동식 조리개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를 마련해야 함에 따라, 부품 수가 증가되어 제작비용이 상승하고, 필요할 때마다 수동식 조리개를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조작 명령을 입력해야 함에 따라, 사용상의 불편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실내 보안 상태에 따라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 적용되는 카메라를 통한 사생활 또는 원하지 않는 정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 보안 상태에 기초해서 실내에 설치된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여 사생활 또는 원하지 않는 정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그의 사생활 보호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이러스 프로그램이나 해킹 프로그램을 감지해서 실내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한 사생활 노출을 방지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그의 사생활 보호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한 해킹 발생 여부를 검사하는 해킹 검사부와 실내에 설치된 카메라를 포함해서 복수의 디지털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해킹 검사부의 검사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카메라를 사생활 보호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중계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계서버는 상기 해킹 검사부로부터 해킹 검사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의 음성 녹화를 차단하고, 상기 카메라의 렌즈가 벽이나 천정 또는 바닥을 향하도록 상기 카메라의 회전 동작시키는 사생활 보호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감지 데이터 및 상기 중계서버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그리고 상기 감지부에 마련된 각 센서 및 각 디지털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계서버는 상기 해킹 검사정보와 보안 기능의 설정 여부에 따른 보안 설정정보 및 실내에서 이동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사용자 감지정보를 포함하는 실내 보안 상태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카메라의 사생활 보호 모드를 설정 또는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내 상태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중계서버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카메라를 포함한 각 디지털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스마트폰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해킹 검사부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중계서버로 전달되는 패킷을 분석하거나 상기 중계서버에서 생성되는 프로세스를 검사해서 해킹 프로그램이나 바이러스 프로그램을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부는 실내에 하나 이상 설치되고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센서, 실내의 냉난방을 위한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온도, 습도 감지센서,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연기 감지센서 및 현관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사생활 보호방법은 제어하고자 하는 복수의 디지털 기기가 설치된 실내의 보안 상태 정보에 기초해서 실내에 하나 이상 설치된 카메라를 미리 설정된 사생활 보호 모드로 동작시키고, 상기 실내 보안 상태 정보는 네크워크를 통한 해킹 발생이나 바이러스 프로그램의 설치 여부를 검사한 해킹 검사정보, 보안 기능의 설정 여부에 따른 보안 설정정보 및 실내에서 이동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사용자 감지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a) 네트워크를 통한 해킹 또는 바이러스 프로그램의 설치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의 검사결과 해킹 발생 시 상기 카메라의 렌즈를 벽이나 천정 또는 바닥을 향하도록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c) 스마트폰으로부터 전달되는 사생활 보호모드 해제 명령에 따라 상기 사생활 보호 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카메라를 재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d) 실내에 설치된 도어 감지센서와 모션 감지센서를 이용해서 도어의 개방 동작이나 실내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사생활 보호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단계는 카메라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해서 카메라의 구동을 중지하거나 상기 카메라에서 녹화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의 송신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그의 사생활 보호방법에 의하면, 네트워크를 통한 해킹이 감지되면, 실내에 설치된 카메라의 음성 녹화를 차단하고, 카메라의 렌즈를 벽이나 천정 또는 바닥을 향하도록 회전 동작시켜 사생활 또는 원하지 않는 정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해킹 발생 시 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프로그램의 침입 여부 등 사생활이 노출될 위험을 미연에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사생활 보호모드를 해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에서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도어 개폐 동작이 감지되면 사생활 보호모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설정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사생활 보호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그의 사생활 보호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카메라, 텔레비젼, 오디오, 조명장치, 냉난방장치 등 제어하고자 하는 복수의 디지털 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가정 또는 사무실과 같은 실내에서 해킹이나 보안 상태에 따라 실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여 사생활 또는 원하지 않는 정보의 노출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20), 실내에 하나 이상 설치되고 실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30),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고 카메라(30)를 포함해서 실내에 설치된 복수의 디지털 기기(31)와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고 각 디지털 기기(31)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계서버(40) 및 중계서버(4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카메라(30)를 포함한 각 디지털 기기(31)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스마트폰(50)을 포함한다.
특히, 중계서버(40)는 실내 보안 상태 정보에 기초해서 카메라(30)를 회전시켜 실내 영상 촬영을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카메라(30)는 실내 상태를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상하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중계서버(40)와 통신 가능한 IP 카메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실내 상태 정보는 실내 온도, 습도, 도어 개폐 여부, 사용자의 움직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내 보안 상태 정보는 네크워크를 통한 해킹 발생이나 바이러스 프로그램의 설치 여부를 검사한 해킹 검사정보, 감지부(20)를 이용해서 외부인의 침입 등을 감지하기 위한 보안 기능의 설정 여부에 따른 보안 설정정보 및 실내에서 이동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사용자 감지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중계서버(40)는 건물이나 실내에 마련되는 네트워크 장비(도면 미도시)와 직접 연결되거나 공유기(60)를 통해 스마트폰(5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계서버(40)와 상기 네트워크 장비를 직접 통신 케이블을 이용해서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고, 공유기(60)를 중계서버(40)에 연결하거나, 중계서버(40) 또는 카메라(30) 내부에 적용해서 중계서버(40)나 카메라(30)에서 공유기(60) 기능을 수행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감지부(20)는 실내에 하나 이상 설치되고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센서(21), 실내의 냉난방을 위한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온도, 습도 감지센서(22),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연기 감지센서(23), 현관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감지센서(24)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계서버(40)는 공유기(60)를 통해 중계서버(40)로 전달되는 패킷을 분석하거나, 중계서버(40)에서 생성되는 프로세스를 검사해서 해킹 프로그램이나 바이러스 프로그램을 검사하는 해킹 검사부(41)를 포함한다.
그리고 중계서버(40)는 해킹 검사부(41)로부터 해킹 검사정보가 수신되면 카메라(30)의 음성 녹화를 차단하고, 카메라(30)의 렌즈가 벽이나 천정 또는 바닥을 향하도록 카메라(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중계서버(40)는 카메라(30)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와 감지부(20)에서 감지된 감지 데이터 및 중계서버(4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43) 그리고 감지부(20)에 마련된 각 센서(21 내지 24) 및 각 디지털 기기(31)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2)는 외부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카메라(30) 및 각 센서(21 내지 24)를 이용해서 감지된 실내 상태 정보에 따라 보안 기능을 실행하는 보안 모드와 사생활 또는 원하지 않는 정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카메라에서 음성 녹화를 차단하고 렌즈를 벽이나 천정 또는 바닥을 향하도록 회전 동작시키는 사생활 보호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44)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으로 공유기(6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45), 적외선 신호를 이용해서 디지털 기기(31)와 통신을 수행하는 적외선 통신모듈(46) 및 지그비 방식으로 감지부(20)에 마련되는 각 센서(21 내지 24)와 통신을 수행하는 지그비 통신모듈(47)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45)은 와이파이(Wi-Fi)와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이나 랜 선을 이용한 유선 통신 방식으로 공유기(6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적외선 통신모듈(46)은 스마트폰(50)으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기기(31)의 구동신호에 포함된 커스텀 코드(custom code)와 제어명령에 해당하는 적외선 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적외선 신호를 디지털 기기로 송신하고, 새로운 디지털 기기(31)의 적외선 포맷을 저장하는 경우, 해당 디지털 기기(31)의 제어를 위한 적외선 포맷이 매치되어 있는 리모컨(도면 미도시)에서 송출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새로운 적외선 신호로 저장하도록 저장부(43)로 전달할 수 있다.
스마트폰(50)에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1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어플리케이션(51)이 설치될 수 있다.
스마트폰(50)의 메인 제어부(52)는 구동 어플리케이션(51)을 실행시켜 새로운 디지털 기기(31)를 등록하고, 카메라(30)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 및 감지부에 마련된 각 센서에서 감지된 감지 데이터를 수신해서 화면에 표시하도록 표시유닛(5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제어부(52)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조작 명령에 기초해서 카메라(30)를 포함한 각 디지털 기기(31)의 동작을 제어하고,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보안 기능을 설정하거나 해제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해서 송신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홈 오토메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태블릿 PC, 노트북과 같이 이동통신망에 연결되거나 와이파이 등의 통신 기능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개인휴대단말기를 적용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다음,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사생활 보호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사생활 보호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실외에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의 S10단계에서 스마트폰(50)의 메인 제어부(52)는 메모리에 저장된 구동 어플리케이션(51)을 실행시켜 초기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유닛(53)을 제어하고, IP 주소를 이용해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10)의 중계서버(4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어서, 메인 제어부(52)는 초기화면에 표시된 메뉴를 선택해서 실내에 설치된 카메라(30)를 포함한 각 디지털 기기(3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명령을 입력받아 해당 조작명령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발생해서 송신한다.
이때, 사용자는 스마트폰(50)을 조작해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10)을 보안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보안 모드로 설정되면, 중계서버(40)는 스마트폰(50)에서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를 동작시켜 실내 영상을 촬영하고(S12), 실내에 설치된 감지부(20)의 각 센서(21 내지 24)를 동작시켜 실내의 온도, 습도, 연기 발생 여부 및 도어 개페 여부 등을 감지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중계서버(40)는 카메라(30)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 및 각 센서(21 내지 24)에서 감지된 감지 데이터, 즉 실내 상태 정보를 스마트폰(50)으로 전송하고, 메인 제어부(52)는 수신된 각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표시유닛(53)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마트폰(50)의 표시유닛(53) 화면에 표시된 실내 영상 데이터 및 실내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제어하고자 하는 카메라(30)를 포함해서 각 디지털 기기(3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S14).
이와 같이,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10)의 동작 과정에서 중계서버(40)는 실내 보안 상태 정보에 기초해서 사생활 보호 모드에 따른 카메라(30)의 사생활 보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S16단계에서 해킹 검사부(41)는 네트워크를 통해 중계서버(40)로 전달되는 패킷을 분석하거나 중계서버(40)에서 생성되는 프로세스를 검사해서 해킹 프로그램이나 바이러스 프로그램의 침입 여부를 검사한다.
S16단계의 검사결과 해킹이 미감지되면, 제어부(42)는 지속적으로 스마트폰(30)으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각 디지털 기기(31)의 동작을 제어한다.
반면, 제어부(42)는 미리 설정된 카메라(30)의 사생활 보호 모드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한다(S18).
이에 따라, 카메라(30)는 음성 녹화를 중지하고, 카메라(30)에 마련된 구동모듈(도면 미도시)은 카메라(30)의 렌즈가 벽이나 천정 또는 바닥을 향하도록 회전 동작하여 카메라(30)를 통한 사생활 또는 원하지 않는 정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S20단계에서 중계서버(40)는 카메라(30)의 사생활 보호 모드가 해제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예를 들어, 중계서버(40)는 스마트폰(50)으로부터 사생활 보호 모드 해제 명령이 수신되면 사생활 보호모드를 해제하고, 보안 모드로 복귀해서 카메라(30)를 재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2).
물론, 중계서버(4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도어 감지센서(24)나 모션 감지센서(21)로부터 도어의 개방 동작이나 실내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사생활 보호모드를 해제할 수도 있다.
S24단계에서 제어부(42)는 스마트폰(50)으로부터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10)의 구동을 중지하기 위한 구동 중지명령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구동 중지명령이 수신될 때까지 S12단계 내지 S24단계를 반복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만약, S24단계의 검사결과 구동 중지명령이 수신되면, 제어부(42)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10)에 마련된 각 장치의 구동을 중지하고 종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한 해킹이 감지되면, 실내에 설치된 카메라의 음성 녹화를 차단하고, 카메라의 렌즈를 벽이나 천정 또는 바닥을 향하도록 회전 동작시켜 사생활 또는 원하지 않는 정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상기의 실시 예서는 사용자가 실외에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실내에 있는 경우에도 사생활 보호를 위해 카메라를 사생활 보호 모드로 동작시키도록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카메라의 사생활 보호 모드 동작시 카메라의 음성 녹화를 차단하고 카메라의 렌즈를 벽이나 천정 또는 바닥을 향하도록 제어하는 방법 이외에도, 카메라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해서 카메라의 구동을 중지하거나 카메라에서 녹화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의 송신만을 차단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서 네트워크를 통한 해킹을 감지해서 실내에 설치된 카메라의 음성 녹화를 차단하고, 카메라의 렌즈를 벽이나 천정 또는 바닥을 향하도록 회전 동작시켜 사생활을 보호하는 기술에 적용된다.
10: 공유기 20: 감지부
21: 모션 감지센서 22: 온도, 습도 감지센서
23: 연기 감지센서 24: 도어 감지센서
30: 카메라 31: 디지털 기기
40: 중계서버 41: 해킹 검사부
42: 제어부 43: 저장부
44: 통신부 45: 통신모듈
46: 적외선 통신모듈 47: 지그비 통신모듈
50: 스마트폰 51: 구동 어플리케이션
52: 메인 제어부 53: 표시유닛
60: 공유기

Claims (10)

  1. 네트워크를 통한 해킹 발생 여부를 검사하는 해킹 검사부,
    미리 설정된 실내 상태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실내에 설치된 카메라를 포함해서 복수의 디지털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해킹 검사부의 검사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카메라를 사생활 보호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중계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서버는 상기 해킹 검사부로부터 해킹 검사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를 사생활 보호 모드를 동작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킹 검사정보와 보안 기능의 설정 여부에 따른 보안 설정정보 및 실내에서 이동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사용자 감지정보를 포함하는 실내 보안 상태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카메라의 사생활 보호 모드를 설정 또는 해제하고,
    상기 해킹 검사부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중계서버로 전달되는 패킷을 분석하거나 상기 중계서버에서 생성되는 프로세스를 검사해서 해킹 프로그램이나 바이러스 프로그램을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서버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감지 데이터 및 상기 중계서버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그리고
    상기 감지부에 마련된 각 센서 및 각 디지털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중계서버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카메라를 포함한 각 디지털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스마트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실내에 하나 이상 설치되고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센서,
    실내의 냉난방을 위한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온도, 습도 감지센서,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연기 감지센서 및
    현관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6. (a) 해킹 검사부를 이용해서 네트워크를 통한 해킹 또는 바이러스 프로그램의 설치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b) 감지부를 이용해서 실내에서 이동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및
    (c) 중계서버에서 상기 (a)단계의 해킹 검사정보, 상기 (b)단계의 사용자 감지정보 및 보안 기능의 설정 여부에 따른 보안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실내 보안 상태 정보에 기초해서 카메라 실내에 하나 이상 설치된 카메라를 미리 설정된 사생활 보호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생활 보호 모드 동작시 상기 카메라는 음성 녹화를 차단하며, 렌즈를 벽이나 천정 또는 바닥을 향하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사생활 보호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d) 스마트폰으로부터 전달되는 사생활 보호모드 해제 명령에 따라 상기 사생활 보호 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카메라를 재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사생활 보호방법.
  9.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e) 실내에 설치된 도어 감지센서와 모션 감지센서를 이용해서 도어의 개방 동작이나 실내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사생활 보호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사생활 보호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카메라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해서 카메라의 구동을 중지하거나 상기 카메라에서 녹화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의 송신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사생활 보호방법.
KR1020150076457A 2015-05-29 2015-05-29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그의 사생활 보호방법 KR101568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457A KR101568740B1 (ko) 2015-05-29 2015-05-29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그의 사생활 보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457A KR101568740B1 (ko) 2015-05-29 2015-05-29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그의 사생활 보호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8740B1 true KR101568740B1 (ko) 2015-11-16

Family

ID=54785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6457A KR101568740B1 (ko) 2015-05-29 2015-05-29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그의 사생활 보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74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173B1 (ko) * 2016-04-01 2016-08-18 김천섭 AIHonet 모듈을 통한 인공지능형 안전사고감지 홈네트워크 통합관리장치
CN109875227A (zh) * 2019-01-22 2019-06-14 杭州小肤科技有限公司 多功能安全智能梳妆镜
KR102154432B1 (ko) * 2019-04-09 2020-09-0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영상 촬영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241027B1 (ko) * 2019-12-30 2021-04-15 박용덕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
CN109875227B (zh) * 2019-01-22 2024-06-04 杭州小肤科技有限公司 多功能安全智能梳妆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217B1 (ko) 2012-04-12 2012-10-29 박주영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용 디지털 영상 저장 장치 및 영상 저장 방법
KR101425658B1 (ko) * 2013-04-30 2014-08-05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시카메라 시스템에 대한 해킹 및 오동작 감지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217B1 (ko) 2012-04-12 2012-10-29 박주영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용 디지털 영상 저장 장치 및 영상 저장 방법
KR101425658B1 (ko) * 2013-04-30 2014-08-05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시카메라 시스템에 대한 해킹 및 오동작 감지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홈 CCTV카메라 제품설명서(http://www.inon.kr/youngcart4/bbs/board.php?bo_table=manual&wr_id=12&page=1), '15년 1월.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173B1 (ko) * 2016-04-01 2016-08-18 김천섭 AIHonet 모듈을 통한 인공지능형 안전사고감지 홈네트워크 통합관리장치
WO2017171177A1 (ko) * 2016-04-01 2017-10-05 김천섭 Aihonet 모듈을 통한 인공지능형 안전사고감지 홈네트워크 통합관리장치
CN109875227A (zh) * 2019-01-22 2019-06-14 杭州小肤科技有限公司 多功能安全智能梳妆镜
CN109875227B (zh) * 2019-01-22 2024-06-04 杭州小肤科技有限公司 多功能安全智能梳妆镜
KR102154432B1 (ko) * 2019-04-09 2020-09-0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영상 촬영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241027B1 (ko) * 2019-12-30 2021-04-15 박용덕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0035B2 (en) Monitoring system configuration technology
EP3310004B1 (en) Mobile assist device and mobile assist method
JP2006245829A (ja) 電気機器制御装置、電気機器制御システム、電気機器制御方法、電気機器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060096910A (ko) 통신 중계 장치, 통신 시스템,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US20160328953A1 (en) House monitoring system
US9852608B2 (en) Monitoring system
US9288452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capturing device and shutter
KR101568740B1 (ko)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그의 사생활 보호방법
US20180199009A1 (en) Monitoring system
WO2016079897A1 (en) Monitoring system
WO2012124230A1 (ja) 撮影装置、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485111B2 (en) Monitoring system
KR101446416B1 (ko) 자동 녹화 및 실시간 영상 통화가 가능한 가정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시스템
US9594290B2 (en) Monitor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shutter
JP6159576B2 (ja) 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929921B1 (ko) 유비퀴터스 일체형 보안영상장치 및 시스템
US10504345B2 (en) Surveillance camera, system having a surveillance camera and method for operating a surveillance camera
KR101020670B1 (ko) 원격테스트 기능을 구비한 방범 시스템
KR200382262Y1 (ko) 가정용 보안 시스템
KR101914813B1 (ko)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장치 및 방법
JP6976046B2 (ja) 管理装置、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および管理プログラム
KR20200082092A (ko) 스마트 창문 시스템
KR101642017B1 (ko)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그의 전원 이중화 방법
KR20160033390A (ko) 방범방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090100138A (ko) 디지털 보안 어댑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