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199B1 -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 - Google Patents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199B1
KR102005199B1 KR1020180171312A KR20180171312A KR102005199B1 KR 102005199 B1 KR102005199 B1 KR 102005199B1 KR 1020180171312 A KR1020180171312 A KR 1020180171312A KR 20180171312 A KR20180171312 A KR 20180171312A KR 102005199 B1 KR102005199 B1 KR 102005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weight
composition
odor
pu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석훈
Original Assignee
배석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석훈 filed Critical 배석훈
Priority to KR1020180171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5199B1/ko
Priority to PCT/KR2019/001722 priority patent/WO202013858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6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processing of plants or parts thereof
    • C02F2103/28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processing of plants or parts thereof from the paper or cellulose indust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폐수에 투입되어 폐수를 정화하고 악취를 제거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물(H2O), 백설탕(C12H22O11), 우레아((NH2)2CO), 염화나트륨(NaCl), 붕산, 아염소산나트륨(NaClO2), 프로피온산(CH3CH2COOH), 및 모르폴린(C4H9NO)을 포함하는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Waste water purification and odor removal composition}
본 발명은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산업 공장에서 배출되는 폐수에 함유된 수많은 지방족 유기물의 고유한 냄새 및 세균에 의한 부패성 냄새 등의 악취를 소멸하고 폐수를 정화할 수 있는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인간의 이기심과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생활하수, 산업폐수, 그리고 축산폐수를 비롯해 각종 오물, 쓰레기, 산업폐기물이 무분별하게 하천으로 유입되고 있다.
이에 정수를 하기 전에는 물의 용도를 다하지 못하게 되었음은 물론이고, 질병과 여러 환경적인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특히 산업폐기물과 같은 오염물질에서 나오는 용수는 생활하수와는 달리 산업 공정에 따라 오염물질이 다양하게 배출되며, 높은 농도의 유해물질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자연의 정화능력을 벗어난 정도의 오염도 유발하고 있다.
그래서 산업체에서는 가급적 폐수 배출을 극소화하고, 환경에 영향을 적게 미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공해 요인을 줄여가는 노력을 하고 있으며, 원칙적으로는 무공해의 상태로 자연으로 돌려주기 위한 환경적인 기술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각 공정에서는 원료에서 제품이 생산하기 까지 많은 용수가 사용되기 때문에, 이와 비례하여, 동시 다발적으로 폐수의 발생량도 함께 증가하게 된다. 산업체가 많은 연구와 공해 요인을 줄여가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지만, 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폐수처리시설이 필요하며, 때로는 고도의 정수 시설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막대한 자본과 운영비가 소요된다.
이에 용수 및 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용수 및 폐수처리시설은, 생산시설 못지않게 매우 중요한 시설로서 부각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전에는 공장의 가동 비용과 폐수처리비용이 각각 분리되어 처리되어 왔으나, 현재는 공해 방지에 소요되는 비용이 공장 가동 비용의 일부로 포함되는 상황으로 전개되었으며, 이에 따라 생산 초기단계부터 완료까지 사용되는 원료 에너지를 좀 더 효율적 이용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와 개선조치가 취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환경의 개선과 공장의 개선을 가져오고 있음은 물론이고, 특수한 상황에서는 때때로 부수적인 이득을 가져오기도 하나, 우려되는 점은,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재래식 기술이 개량되고, 새로운 환경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하사고에 따른 정책을 시행하다 보니, 날이 갈수록 정부의 환경정책은 강력해지고, 이전과 다른 보다 근본적인 강력한 규제가 뒤따르기 때문에, 사업체에서는 이에 따른 보다 효과적인 오염물질의 처리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업체에서 처리하는 방법에는, 다음에 제시할 3가지 처리방법이 있다.
1) 물리적 처리방법 - 이 방법은 폐수에 혼합되어 있는 오염물질의 비중에 의해 자연상태에서 침전이나 부상으로 처리하는 방법이지만 이 처리방법은 처리 시간이 장시간 필요할 뿐만 아니라 시설도 대규모가 필요하기 때문에 규모 면에서 활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2) 생물학적 처리방법 - 이 방법은 폐수에 유기물질을 분해 및 식생을 위하여 종균을 투입하여 유기 오염물질을 분해 및 식생 하도록 처리하는 방법이다.
3) 화학적 처리방법 - 이 방법은 오염물질을 단시간에 처리하기 위하여 화학물질을 투여 정화하는 방법으로, 화학물질의 이온성이나, 결합성, 분해성의 화학적 성질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하며 현재 가장 많은 기업에서 활용되는 폐수처리 정화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화학적 처리방법으로 염기성의 무기물(염화 제1철, 염화 제2철, 묽은 염산, 황산알루미늄)등과 알카리성 무기물(가성소다, 수산화알루미늄, 황산나트륨)등을 폐수에 투입하여 폐수 정화를 실시하고 있는데, 위 물질들은 폐수에 혼재되어 있는 유기성 지방과 지방질을 분산, 분해 시키는 것이 아니라 pH변화에 의해 비중이 낮은 물질을 큰 입자로 형성시켜 큰 후룩(뭉침)으로 비중을 높여 침전이 되도록 하여 폐수를 정화시키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방법의 폐수처리와 같이 염화 제1철 및 염화 제2철을 사용하였을 때 그 물질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들이 많이 있어 폐수처리 약품으로는 적합하지 못하나, 폐수처리 비용이 저렴하여 경제성이 있다는 생각에 산업체에서는 선호하고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폐수를 정화시킨 용수에는 산화철의 붉은 색상이 함유되어 연붉은 색상의 방류수가 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처리방법이 존재하지만,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는 다량의 폐수를 정화 시키는데 어려움이 많아, 처리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각 공장의 조건에 맞도록 정화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처리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처리를 하여도, 폐수의 완전 처리가 어렵기 때문에 새로운 방법이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폐수 정화 시 중금속 함량이 없고 슬러지 함량이 적으며, 방류수 처리 법정기준 이하의 배출수로 정화시켜 폐수를 완전 처리할 수 있는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산업 공장에서 배출되는 폐수에 함유된 수많은 지방족 유기물의 고유한 냄새 및 세균에 의한 부패성 냄새 등의 악취를 소멸하고 폐수를 정화할 수 있는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은 폐수에 투입되어 폐수를 정화하고 악취를 제거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물(H2O), 백설탕(C12H22O11), 우레아((NH2)2CO), 염화나트륨(NaCl), 붕산, 아염소산나트륨(NaClO2), 프로피온산(CH3CH2COOH), 및 모르폴린(C4H9NO)을 포함하는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성물은 물 70 내지 85중량%, 백설탕 3 내지 8중량%, 우레아 3 내지 8중량%, 염화나트륨 3 내지 8중량%, 붕산 0.1 내지 1중량%, 아염소산나트륨 3 내지 8중량%, 프로피온산 1 내지 2중량% 및 모르폴린 1 내지 2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상기 폐수 전체 중량에 있어서, 0.03 내지 0.05중량%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상기 폐수에 투입되고 5 내지 10분간 혼합한 후 5 내지 10분간 방치하는 것으로 폐수를 정화하고 악취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은 산업 공장에서 배출되는 폐수에 함유된 수많은 지방족 유기물의 고유한 냄새 및 세균에 의한 부패성 냄새 등의 비산되는 악취를 지방족 유기물을 분해시키고 세균의 번식을 억제시켜 부패가 발생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으로, 악취를 소멸시킬 수 있다.
이에 수질오염의 개선 및 방지뿐만 아니라 대기오염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폐수에 함유되어 있던 비중이 낮은 폐기물을 응집시켜 비중이 물보다 높은 상태로 변화시킴으로써, 폐수를 방류수 처리 법정기준 이하로 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폐수를 중화시켜 방류수의 pH가 적정 pH로 나타날 수 있다.
특히, 리그닌, 잉크입자 등이 함유되어 있는 펄프 및 제지산업의 폐수를 효과적으로 정화시키고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은 비극성으로 작업안정성이 우수하고 친환경적이다.
도 1의 (a) 및 (b)는 탈색효과 평가를 위한 폐수에 실시예 투입 전/후 사진.
도 2의 (a) 및 (b)는 초지펄프에 실시예 투입 전/후 사진.
도 3의 (a) 및 (b)는 팔파펄프에 실시예 투입 전/후 사진
도 4a 및 b는 실시예 투입 전/후에 따른 초지펄프 및 팔파펄프의 백색도, 백감도 및 색도 측정 결과 시험성적서.
도 5는 실시예 투입 전/후에 따른 폐수, 오렌지염료 및 엘로우염료의 입도 측정 결과 시험성적서.
도 6의 (a) 내지 (c) 는 제지공장의 폐수, 실시예 투입된 폐수 및 비교예 투입된 폐수 사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등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 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등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은 폐수에 투입되어 폐수를 정화하고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무기물과 결합된 지방족 유기물을 분해시키고 세균의 번식을 억제시켜 부패가 발생하지 못하도록 하여 악취를 제거하고, 폐기물에서 비중이 낮은 물질을 응집시키는 등의 작용으로 폐수를 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폐기물이 분리분해됨으로써 폐수 처리에 의해 발생하는 슬러지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비극성 및 친환경적인 물질들로만 구성되어 작업안정성이 우수하고, 폐수 처리 공정이 간소화되어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은 물(H2O), 백설탕(C12H22O11), 우레아((NH2)2CO), 염화나트륨(NaCl), 붕산, 아염소산나트륨(NaClO2), 프로피온산(CH3CH2COOH), 및 모르폴린(C4H9NO)을 포함할 수 있다.
물(H2O)은 다른 각 조성물을 안정적으로 용해시키는 것으로,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에 70 내지 85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77.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물이 70중량% 미만일 경우 다른 조성물의 용해가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85중량%를 초과할 경우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의 정화 및 악취 제거 효과가 미미해질 수 있다.
백설탕(C12H22O11)은 거의 스크로오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포도당(글루코오스)와 과당(프록토오스)이 각 1분자가 결합되어 점착성에 의한 접착력이 존재하여, 폐수 속에 함유한 미립자 유기 및 무기물의 분산된 입자들을 흡착시켜 응집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백설탕은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에 3 내지 8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백설탕이 3중량% 미만일 경우 응집효과가 저하될 수 있으며, 8중량%를 초과할 경우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의 분리, 분해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우레아((NH2)2CO)는 탄산의 디아미드로 물속에 용해되면 아질산화성 및 염화물로 분산되어 이온성 물질을 흡착 유도하는 특징이 있으며, 유기성 물질들을 분해하는 효능이 있어 세균(박테리아)의 번식을 억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우레아는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에 3 내지 8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우레아가 3중량% 미만일 경우 이온성 물질의 흡착 유도 및 유기성 물질 의 분해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8중량%를 초과할 경우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염화나트륨(NaCl)은 붕산에 의해 탁도가 낮춰진 폐수를 더욱 맑게 정화시키는 것으로,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에 3 내지 8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염화나트륨이 3중량% 미만일 경우 색상 제거 효과가 저하되고, 8중량%를 초과할 경우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붕산은 폐기물의 지방족 유기물을 분해하고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검은색상에 가까운 폐수에 탈색 현상을 발생시켜 폐수의 탁도를 낮출 수 있으며,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의 pH에 영향을 주는 것이다.
이러한 붕산은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에 0.1 내지 1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0.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붕산이 0.1중량% 미만일 경우 지방족 유기물 분해 및 탈색 작용이 미미하여 악취 제거 기능이 저하될 수 있고, 1중량%를 초과할 경우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이 비극성의 적합한 pH를 나타낼 수 없어 안정성이 저하될 있다.
아염소산나트륨(NaClO2)는 폐기물의 지방족 유기물을 분해하고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에 3 내지 8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아염소산나트륨이 3중량% 미만일 경우 상기 효과가 미미하여 악취 제거 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8중량%를 초과할 경우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프로피온산(CH3CH2COOH)은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붕산에 의해 탁도가 낮춰진 폐수를 더욱 맑게 정화시킬 수 있으며,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의 pH에 영향을 주는 것이다.
이러한 프로피온산은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에 1 내지 2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1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프로피온산이 1중량% 미만일 경우 세균 번식 억제가 미미하여 악취 제거 효과가 저하되고 2중량% 초과할 경우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이 비극성의 적합한 pH를 나타낼 수 없어 안정성이 저하될 있다.
모르폴린(C4H9NO)은 폐기물의 지방족 유기물을 분해시켜 악취 발생을 방지하고 생성되는 슬러지 함량을 저감시키는 것으로,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에 1 내지 2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1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모르폴린이 1중량% 미만일 경우 상기 효과가 미미하고, 2중량%를 초과할 경우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즉,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은 물 70 내지 85중량%, 백설탕 3 내지 8중량%, 우레아 3 내지 8중량%, 염화나트륨 3 내지 8중량%, 붕산 0.1 내지 1중량%, 아염소산나트륨 3 내지 8중량%, 프로피온산 1 내지 2중량% 및 모르폴린 1 내지 2중량%를 포함할 수 있고, 물 77.5중량%, 백설탕 5중량%, 우레아 5중량%, 염화나트륨 5중량%, 붕산 0.5중량%, 아염소산나트륨 5중량%, 프로피온산 1중량% 및 모르폴린 1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폐수 정화 및 악취 조성물은 투입되는 폐수 전체 중량에 있어서, 0.03 내지 0.05중량%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의 폐수에 투입되는 폐수 정화 및 악취 조성물의 투입량 범위는 폐수처리 현장에서는 장시간동안 운전하여 정수가 이루어지는 것에 맞춰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효과가 최적으로 나타나는 범위로, 0.03중량% 미만일 경우 정화 및 악취 제거 기능을 효과적으로 나타내지 못하며, 0.05중량%를 초과할 경우 투입량 대비 효과 향상이 크지 않으므로 비효율적이다.
또한,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은 폐수에 투입된 후 5 내지 10분간 혼합한 후 5 내지 10분간 방치되는 것으로, 효과적으로 폐수를 정화시키고 폐수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은 pH가 6.5 내지 7.5의 비극성으로 나타나, 사용상 안정성이 있고 취급이 용이하며 친환경적이다.
또한, 투입하여 혼합 및 방치하는 간단한 처리로 폐수를 정화시킬 수 있어 처리공정 및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보다 효과적으로 폐수를 탈색시켜 맑게 정화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비교예, 실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실시되는 실험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험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물 77.5중량%, 백설탕 5중량%, 우레아 5중량%, 염화나트륨 5중량%, 붕산 0.5중량%, 아염소산나트륨 5중량%, 프로피온산 1중량% 및 모르폴린 1중량%을 배합하여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의 탈색효과 평가1
실시예의 탈색효과를 단시간에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확인하기 위하여, 폐수에 실시예 2중량%를 투입하고 10분 방지하여 시각적으로 탈색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도 1과 같다.
도 1을 보면 알 수 있듯이, 투입 전 폐수인 (a) 보다 실시예 투입 후인 (b)가 탄소성분의 검은 색상이 거의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시예의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은 탈색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 실험예 2]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의 탈색효과 평가2
실시예의 탈색효과를 더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초지펄프, 팔파펄프에 각각 실시예 0.05중량%를 투입하고 백색도, 백감도 및 색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투입 전 초지펄프와 팔파펄프를 비교예로 설정하여 비교하였다.
여기서 초지펄프는 종이에 폐수를 투입하고 프레스로 가압한 후, 건조시켜 제조하였다.
팔파펄프는 종이에 가성소다를 투입하여 제조하였다.
또한, 팔파펄프를 이용하여 실험한 경우 가성소다를 투입한 직후에 관찰하였고, 투입한 직후에 바로 실시예를 투입하였다.
실시예 투입 전/후 펄프 사진은 도 2 및 도 3이고, 측정결과는 도 4a, b와 같다.
[ 실험예 3]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의 분해효과 평가
실시예의 분해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폐수, 오렌지염료(orange 1% 용액) 및 엘로우염료(yellow 1% 용액)에 각각 실시예 0.5중량%를 투입하여 입도를 분석하였다. 이때, 투입 전 폐수, 오렌지염료(orange 1% 용액) 및 엘로우염료(yellow 1% 용액)를 각각 비교예로 설정하여 비교하였다.
입도분석은 온도 23℃, 상대습도 59%의 환경에서 실시하였다.
이때, 실시예를 0.5중량%로 투입하여 실험한 것은 오렌지, 엘로우 염료들은 수용성 염료로 입자의 크기는 5㎛ 이하 크기의 미세입자이고 고농도 염료로 형성되어 있어, 폐수의 경우 함유된 부유 또는 분산된 물질보다 염료에 분산된 입자의 함량이 많기 때문에 폐수에 사용하는 투입량보다 10배의 고농도로 투입하였다.
그 결과는 도 5와 같다.
도 5를 보면 알 수 있듯이, 폐수, 오렌지염료 및 엘로우염료 모두 실시예 투입 전 입도크기보다 투입 후 입도크기가 더 작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시예의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은 분해효과가 있으며, 염료의 분산 및 균염현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 실험예 4]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의 폐수 정화 및 악취제거 평가
실시예의 폐수 정화 및 악취제거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제지공장의 폐수에 실시예 및 비교예(염화 제1철 및 염화 제2철)을 1중량% 투입하고 5분 후 분석하였다. 이때, 실시예 및 비교예는 폐수에 대한 처리 정화력을 단시간에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 1중량%를 투입한 것이다.
그 결과는 도 6과 같다.
먼저, 도 6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실시예를 투입한 폐수는 색상이 정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비교예를 투입한 폐수는 색상 정화가 미흡한 것을 확인하 수 있었다.
또한, 중금속 측정 결과, 실시예를 투입한 폐수는 중금속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비교예를 투입한 폐수는 산화철 함유량이 높게 검출되었다.
또한, 실시예를 투입한 폐수는 악취가 100% 제거되었으나, 비교예를 투입한 폐수는 악취제거가 미흡하였다.
또한, 폐수발생량(7ton/일, 210ton/월)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의 사용량을 측정하였다.
폐수 발생량 실시예 비교예(염철)
7TON/일 70KG(1%) 150KG(2.1%)
210TON/월 2100KG(1%) 4500KG(2.1%)
표 1을 보면 알 수 있듯이, 폐수 처리시 실시예가 비교예보다 사용량이 53%정도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시예의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은 적은 사용량으로도 효과적으로 정화 및 악취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Claims (4)

  1. 폐수에 투입되어 폐수를 정화하고 악취를 제거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물(H2O) 70 내지 85중량%, 백설탕(C12H22O11) 3 내지 8중량%, 우레아((NH2)2CO) 3 내지 8중량%, 염화나트륨(NaCl) 3 내지 8중량%, 붕산 0.1 내지 1중량%, 아염소산나트륨(NaClO2) 3 내지 8중량%, 프로피온산(CH3CH2COOH) 1 내지 2중량% 및 모르폴린(C4H9NO) 1 내지 2중량%을 포함하는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폐수 전체 중량에 있어서, 0.03 내지 0.05중량%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폐수에 투입되고 5 내지 10분간 혼합한 후 5 내지 10분간 방치하는 것으로 폐수를 정화하고 악취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
KR1020180171312A 2018-12-27 2018-12-27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 KR102005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312A KR102005199B1 (ko) 2018-12-27 2018-12-27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
PCT/KR2019/001722 WO2020138585A1 (ko) 2018-12-27 2019-02-13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312A KR102005199B1 (ko) 2018-12-27 2018-12-27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5199B1 true KR102005199B1 (ko) 2019-07-29

Family

ID=67480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312A KR102005199B1 (ko) 2018-12-27 2018-12-27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05199B1 (ko)
WO (1) WO2020138585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2977A (ja) * 1995-11-28 1997-06-03 Izuwa:Kk 家畜糞尿等の処理法及び再利用法
JP2005000763A (ja) * 2003-06-10 2005-01-06 Ebara Engineering Service Co Ltd 臭気発生防止方法
JP2006061684A (ja) * 2004-07-28 2006-03-09 Nippon Soda Co Ltd し尿用防臭組成物
JP2006167584A (ja) * 2004-12-15 2006-06-29 Tomooka Kaken Kk 汚泥または廃水の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71106B (zh) * 2009-07-27 2016-07-06 隆萨公司 稳定的活性卤素溶液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2977A (ja) * 1995-11-28 1997-06-03 Izuwa:Kk 家畜糞尿等の処理法及び再利用法
JP2005000763A (ja) * 2003-06-10 2005-01-06 Ebara Engineering Service Co Ltd 臭気発生防止方法
JP2006061684A (ja) * 2004-07-28 2006-03-09 Nippon Soda Co Ltd し尿用防臭組成物
JP2006167584A (ja) * 2004-12-15 2006-06-29 Tomooka Kaken Kk 汚泥または廃水の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38585A1 (ko)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lcıoğlu et al. Treatment of pharmaceutical wastewater containing antibiotics by O3 and O3/H2O2 processes
Kang et al. Decolorization of textile wastewater by photo-Fenton oxidation technology
CN105923735B (zh) 一种基于高铁酸盐的复合水处理药剂及其制备方法
Ong et al. Treatment of azo dye Orange II in aerobic and anaerobic-SBR systems
CN102139995A (zh) 高色度化工废水的处理方法
Wahyuni et al. Photodegradation of detergent anionic surfactant in wastewater using UV/TiO2/H2O2 and UV/Fe2+/H2O2 processes
KR100566358B1 (ko) 물, 토양, 침강물 및/또는 슬러지의 처리 방법
Rai et al. Remediation of industrial effluents
CN106745467A (zh) 一种复配净水剂及其组分制备和水质净化方法
CN109626645A (zh) 一种化工废水处理工艺
CN109879386B (zh) 一种食品工业废水处理工艺
JP5117803B2 (ja) 染料を含有する廃水の脱色処理方法、脱色処理装置および脱色処理剤
KR102005199B1 (ko) 폐수 정화 및 악취 제거 조성물
CN107381684A (zh) 一种用造纸污泥生产用于处理污水的过滤剂及其制造方法
KR20080045355A (ko) 흡착 및 응집 분해 효과가 우수한 복합 오폐수정화용미생물제 및 그의 제조방법
Simona et al. Application of potassium ferrate (VI) for oxidation of selected pollutants in aquatic environment–short review
Adeyinka et al. Effect of hydrogen peroxide on industrial waste water effluents: a case study of Warri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Goodell et al. Decolorization and degradation of dyes with mediated Fenton reaction
Bhattacharyya et al. Colour removal from pulp and paper mill effluent using waste products
KR101344372B1 (ko) 색도제거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양돈폐수정화방류수의 색도제거방법
CN107252586A (zh) 一种用于处理食品工业污水的滤料
JP2003245678A (ja) 触媒による廃液処理方法
KR20060088610A (ko) 오·폐수 슬러지 재활용용 분산재 및 혼화재
JP3884499B2 (ja) 着色物質含有廃水の処理方法
Nnaji et al. Efficiency evaluation of Luffa cylindrica and Mucuna sloanei seeds in dye removal: A news appro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