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184B1 - 하이브리드 코드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코드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184B1
KR102005184B1 KR1020180036509A KR20180036509A KR102005184B1 KR 102005184 B1 KR102005184 B1 KR 102005184B1 KR 1020180036509 A KR1020180036509 A KR 1020180036509A KR 20180036509 A KR20180036509 A KR 20180036509A KR 102005184 B1 KR102005184 B1 KR 102005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d
hybrid
polyamide
aramid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수홍
이지완
이미정
고길주
박일용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6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51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8Tyre c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005Reinforcement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e.g. hybrid or composite c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18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 B60C9/20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02G3/047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including aramid fib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코드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하이브리드 코드는 600 내지 900 데니어(denier)의 폴리아미드 66 코드를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꼬아지며, 600 내지 900 데니어의 아라미드 코드를 포함하는 커버링을 포함한다.
상기 하이브리드 코드는 타이어의 소음을 줄이고, 승차감과 속내구성, 조종안정성을 향상시키며, 캡 플라이의 경량화를 통하여 회전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코드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HYBRIDCORD AND TIR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코드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타이어의 소음을 줄이고, 승차감과 속내구성, 조종안정성을 향상시키며, 캡 플라이의 경량화를 통하여 회전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 코드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가 고성능화되어 감에 따라 타이어에 있어서 주행성과 안락함은 동시에 요구되는 항목임에도 불구하고, 상반되는 두 물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은 매우 어려워서 타이어의 연구에 있어서 이들 두 가지 성능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일은 항상 숙제와도 같은 일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차량 및 관련 제품에 대해서도 사회와 소비자들 역시 친환경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타이어 산업에서 친환경이란 주제에 대한 접근 방법은 재료 사용량의 감소와 타이어 경량화 등의 방법을 통하여 주행 중인 자동차의 연비를 향상시켜 연비 성능이 향상된 타이어를 제조하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고성능 타이어에 보강 벨트로 사용해왔던 하이브리드 코드는 대부분 1000 데니어 이상의 아라미드 코드와 840 데니어 이상의 폴리아미드 66 코드를 합연하여 제조하였다. 이렇게 하는 경우, 전체적으로 캡 플라이의 압연물 두께가 증가하게 되어 타이어의 중량이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기존의 아라미드 1500 D/2와 폴리아미드 1260 D/1의 구조를 가지는 일반적인 하이브리드 코드의 경우, 코드 자체의 직경이 0.84 mm에 이르며, 압연을 실시하게 되는 경우, 1.2 mm 이상의 두께를 갖는 압연물이 제조된다. 이러한 경우, 타이어의 무게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45077호에는, 아라미드/폴리아미드 66 머지 코드를 포함하는 단방향성 패브릭 및 이를 포함하는 고신축성, 내절단성 타이어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문헌은, 아라미드/폴리아미드 66 머지 코드를 타이어 내의 플라이 각도에 대해 45 ° 내지 135 °의 각도로 타이어에 포함시켜 측벽부를 보강함으로써 도로 파면에 의한 타이어 측벽의 손상을 감소시키는 것을 발명의 요지로 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2-30737호에는, 두 가닥의 아라미드 하연사(下撚絲)와 한 가닥의 폴리에스테르 하연사를 집속하여 상연(上撚)을 부여한 복합 코드를 카커스 층의 보강 코드로서 사용하여 경량화하면서 내구성능을 향상시킨 래디얼 타이어가 기재되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57247호에는, 기존의 아라미드 또는 하이브리드 코드를 정량 섬도가 800 데니어 내지 5000 데니어, 꼬임수가 100 TPM 내지 700 TPM(Twist per meter), 1 % 이하의 초기 모듈러스가 30 g/D 내지 50 g/D, 5 % 이상의 고하중 모듈러스가 100 g/D 내지 300 g/D인 물성을 나타내는 열방성 폴리에스테르(thermotropic polyester)-나일론 66 하이브리드 코드로 대체하여 보강 밸트에 적용함으로써 소음이나 승차감의 저하 없이 고속 내구성과 조종 안정성을 기존의 아라미드 코드 사용시보다 향상시킨 고성능 래디얼 타이어가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어의 소음을 줄이고, 승차감과 속내구성, 조종안정성을 향상시키며, 캡 플라이의 경량화를 통하여 회전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 코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하이브리드 코드를 포함하는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600 데니어(denier) 초과 내지 900 데니어 이하의 폴리아미드 66 코드를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꼬아지며, 600 데니어 초과 내지 900 데니어 이하의 아라미드 코드를 포함하는 커버링을 포함하는 코어-커버링 구조의 하이브리드 코드를 제공한다.
상기 아라미드 코드와 상기 폴리아미드 66 코드의 상연(Cable Twist) 꼬임수는 200 TPM 내지 500 TPM일 수 있다.
상기 아라미드 코드의 하연(Ply Twist) 꼬임수는 200 TPM 내지 500 TPM이고, 상기 폴리아미드 66 코드의 하연 꼬임수는 200 TPM 내지 500 TPM이고, 상기 아라미드 코드의 하연 꼬임수와 상기 폴리아미드 66 코드의 하연 꼬임수의 차이는 5 TPM 내지 10 TPM일 수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 코드는 1 % 이하 변형에서 초기 모듈러스가 5 g/D 내지 20 g/D이고, 5 % 이상의 고하중 모듈러스가 50 g/D 내지 300 g/D일 수 있다.
상기 아라미드 코드는 인장 강도가 18 g/D 내지 35 g/D이고, 영 모듈러스(Young's modulus)가 200 g/D 내지 500 g/D일 수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 코드는 상기 하이브리드 코드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아라미드 코드를 15 중량% 내지 85 중량% 포함하고, 상기 폴리아미드 66 코드를 85 중량% 내지 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 코드의 경사 밀도(EPI)는 30 EPI 내지 37 EPI일 수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 코드는 열처리시 권취 속도보다 권출 속도를 빠르게 하여 상기 폴리아미드 66 코드가 열수축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폴리아미드 66 코드가 코어 쪽으로 위치하고, 상기 아라미드 코드가 커버링 쪽으로 위치하도록 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이브리드 코드를 보강 코드로 포함하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코드는 타이어의 소음을 줄이고, 승차감과 속내구성, 조종안정성을 향상시키며, 캡 플라이의 경량화를 통하여 회전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코드를 적용한 래디얼 타이어의 단면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기존에 사용해왔던 고성능 래디얼 타이어의 보강 벨트용 코드인 아라미드-폴리아미드 66 하이브리드 코드의 정량 섬도를 낮추어 직경이 작은 아라미드-폴리아미드 66 하이브리드 코드를 제조함으로써, 압연물의 두께를 얇게 하고, 최종적으로는 성능은 유지하면서 타이어의 중량을 최적화하여 회전 저항이 낮은 고성능 래디얼 타이어를 제조할 수 있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코드는 600 데니어 초과 내지 900 데니어 이하의 낮은 섬도의 아라미드 코드와 600 데니어 초과 내지 900 데니어 이하의 낮은 섬도의 폴리아미드 66 코드를 합연사한 아라미드 폴리아미드 66 하이브리드 코드이다.
즉, 상기 하이브리드 코드는 기존 보다 섬도가 낮은 아라미드 코드와 기존보다 섬도가 낮은 폴리아미드 66(혹은 나일론 66) 코드를 혼합 연사한 하이브리드(Hybrid) 코드이다. 상기 하이브리드 코드는 타이어의 보강 벨트에 적용시 타이어의 내구성 및 조종안정성 향상과 더불어 타이어 경량화를 통하여 회전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의 고성능 타이어에 보강 벨트로 사용하던 하이브리드 코드는 대부분 아라미드 1000 데니어 이상, 폴리아미드 66 840 데니어 이상의 얀(Yarn)을 합연사하여 제조하였다. 이렇게 할 경우, 전체적으로 캡 플라이의 압연물 두께가 증가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타이어의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아라미드 코드의 섬도와 폴리아미드 66 코드의 섬도를 기존보다 낮추어 직경이 낮은 하이브리드 코드를 제조하여, 압연물의 두께를 낮추어 고성능 래디얼 타이어에 적용하고자 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하이브리드 코드는 750 데니어의 아라미드와 630 데니어의 폴리아미드 66을 합연사 했을 경우 0.47 mm의 직경을 가지게 되고 0.8 mm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압연 반제품의 제조가 가능하다. 이렇게 될 경우 타이어 1 개당 수백g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회전 저항에 유리하며, 하이브리드의 특성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고성능 타이어의 우수한 고속주행 안정성 및 조종안정성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아라미드 코드 및 폴리아미드 코드의 섬도가 600 데니어 이하이면 보강벨트의 기본적인 목적인 고속 주행시 타이어의 팽창을 안정적으로 막아주지 못할 수 있고, 900 데니어를 초과하면 본 발명의 목적인 경량화 및 회전 저항 능력 향상을 효과 적으로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라미드가 고하중 영역에서 높은 모듈러스로 우수한 고속 주행성능과 조종안성성을 발현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으나, 초기 모듈러스가 높기 때문에, 높은 초기 모듈러스에 따른 타이어 트레드부 강성의 상승으로 소음, 승차감에 큰 악영향을 미쳐 고급용 타이어 보강벨트 소재로의 적용이 어렵고, 타이어 제조 공정에서 어려움이 따른다. 하지만, 최근 차량의 고급화와 함께 소음, 승차감은 타이어의 성능에 있어 더욱 중요한 항목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이러한 성능을 만족시키기 위해 신율이 큰 다른 섬유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하이브리드 코드는 소음과 승차감에 영향이 큰 초기 모듈러스를 기존의 폴리아마이드 수준으로 유지하고, 고하중에서는 아라미드의 특성을 살려, 모듈러스를 높게 유지하여 고속 주행성 및 조종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이브리드 코드는 폴리아미드 66 코드가 코어에 배치되고, 상기 아라미드 코드가 상기 코어를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꼬아진 코어-커버링 구조를 가진다.
기존의 하이브리드 코드의 경우, 연사 공정 시 아라미드 코드와 폴리아미드 66 코드의 꼬임수를 다르게 하여 폴리아미드 66을 코어 쪽에 가깝게 하고 아라미드 코드는 커버링 쪽에 가깝게 하여, 공정성 향상을 꾀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연사 시 꼬임수를 다르게 하기 위하여 구식의 방법인 투 포 원(2 for 1) 연사기나, 링 트위스터 연사기를 사용해야 한다. 이러할 경우 생산성이 낮은 구식설비의 사용으로 생산성 저하가 있게 되고 제조 단가가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코어-커버링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연사 공정 중 하연의 꼬임을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꼬임수를 적용하여 연사한 후, 코드 제조 공정 중 가장 마지막 공정인 열처리 공정에서의 권출 속도와 권취 속도를 조절하여 폴리아미드 66 코드의 열수축을 이용한 방법을 적용한다. 즉, 동일한 하연으로 연사된 하이브리드 코드를 열처리 하기 위해 귄출하는 길이보다 권취하는 길이를 짧게 하면, 공정 중 코드에 부여되는 장력이 감소하게 되어 폴리아미드 66 코드는 수축하게 되지만, 아라미드 코드는 열수축률이 0에 가까우므로 수축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길이가 짧아진 폴리아미드 66 코드는 코드의 중심축에 가까워지게 되고,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아라미드 코드는 코드의 바깥쪽을 휘감게 되어, 앞서 설명한 연사 조건을 변경하여 하이브리드 코드의 구조를 만드는 제조 방법보다 훨씬 간단하게 코어-커버링 구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코어-커버링 구조의 하이브리드 코드는 낮은 변형률 구간에서는 폴리아미드 66의 물성이 주로 나타나게 되어 타이어 제조 공정에서 양호한 공정성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타이어의 가류 공정 중, 그린타이어가 가류타이어의 치수가 되기 위하여 캡 플라이코드층과 벨트층은 원주방향으로 1 % 내지 3 % 정도 신장하게 된다. 이때 하이브리드 코드의 초기 신율이 낮을 경우 타이어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구조를 적용한다.
또한, 인장 특성이 직선에 가까우며 초기 모듈러스가 매우 높은 아라미드 코드에 적당한 정도로 Z 방향 꼬임을 주고, 초기 모듈러스가 낮은 폴리아미드 66 코드에 Z 방향 꼬임을 적당하게 주면, 초기 모듈러스는 낮지만 고하중 모듈러스가 높은 S 방향 꼬임을 가진 하이브리드 코드가 수득되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하이브리드 코드를 사용한다.
상기 하이브리드 코드는 상기 아라미드 코드를 15 중량% 내지 85 중량%로 사용하고, 상기 폴리아미드 66 코드를 85 중량% 내지 15 중량%로 사용하여 플라이와 케이블의 상연 꼬임수와 하연 꼬임수가 각각 200 TPM 내지 500 TPM(Twist per meter)으로 되도록 구성하였으며, 상기 아라미드 코드의 하연 꼬임수와 폴리아미드 66 코드는 하연 꼬임수의 차이가 5 TPM 내지 10 TPM으로, 거의 차이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고,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이브리드 코드의 정량 섬도 대비 강도 11 g/D 이상, 1 % 이하 변형에서 초기 모듈러스가 5 g/D 내지 20 g/D이고, 5 % 이상의 고하중 모듈러스가 50 g/D 내지 300 g/D인 하이브리드 코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 코드가 1 % 이하의 변형에서 초기 모듈러스가 5 g/D 미만인 경우에는 초기의 형태 변형이 지나치게 심하게 되고, 20 g/D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본래의 하이브리드 코드의 역할을 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아라미드 코드는, 인장 강도가 18 g/D 내지 35 g/D이고 영 모듈러스(Young's modulus)가 200 g/D 내지 500 g/D일 수 있다. 이러한 아라미드 코드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코드를 적용한 타이어는 고성능을 가지고 회전 저항에 유리한 고성능 친환경 래디얼 타이어가 될 수 있다.
상기 아라미드 코드는 파라계 아라미드이다. 구체적으로, 아라미드 코드는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Poly p-phenyleneterephtalamide)로, 진한 황산에 용해된 용액의 특정 농도에서 액정을 나타내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극성 용매를 사용하는 습식 방사를 통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아라미드 코드의 함량이 상기 하이브리드 코드 전체 중량에 대하여 15 중량% 미만인 경우, 고하중에서의 모듈러스 상승 효과가 경미하여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주행 성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으며, 8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초기 모듈러스가 매우 높아져서 소음 및 승차감의 저하를 수반하여 고급 타이어에 적용하기가 곤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라미드 코드 또는 상기 폴리아미드 66의 하연 꼬임수가 200 TPM 미만이면 코드 집속력이 부족해짐에 따라 강도 및 가공성의 저하를 수반할 수 있으며, 500 TPM을 초과하는 경우 과도한 꼬임이 부여되어 상기 하이브리드 코드의 강도 및 모듈러스가 하락하여 원하는 성능의 타이어에 적용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이브리드 코드의 정량 섬도를 낮추어 줌에 따라 강력이 부족해질 수 있는 문제점은 상기 하이브리드 코드 패브릭의 경사 밀도(EPI)를 상승시킴으로써 보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아라미드 1500 D/2와 폴리아미드 66 1260 D/1 하이브리드 코드의 경우, 이론상 24 EPI는 불가능하지만, 아라미드 750 D/1와 폴리아미드 66 630 D/1의 경우, 30 EPI 이상의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하이브리드 코드의 경사 밀도(EPI)는 30 EPI 내지 37 EPI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이브리드 코드의 경사 밀도가 30 EPI 미만인 경우 고속 주행에서의 유니포미티(uniformity) 변형이 커질 수 있고, 37 EPI를 초과하는 경우 코드 간의 키씽(kissing) 현상으로 내구 성능에 취약해질 수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 코드는 기존과 동일한 접착 시스템을 사용하여도 우수한 접착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제 처리 방법은 기존의 폴리아미드 66 코드의 처리방법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는 상기 하이브리드 코드를 보강 코드로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코드를 적용한 래디얼 타이어의 단면 개략도이다. 이하, 상기 타이어에 대하여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타이어는 트레드부(1), 사이드월부(2), 및 비드부(3)를 포함한다. 상기 좌우 한 쌍의 비드부(3) 사이에는 카카스층(4)이 가설되고, 상기 카카스층(4)의 타이어 폭 방향 양 단부가 각각 비드부(5)의 주변에 타이어 내측에서 외측으로 감겨 올라간다. 상기 카카스층(4)의 외측에는 스틸벨트층(5) 및 벨트층(6)이 설치되고, 상기 카카스층(4)의 내측에는 이너라이너(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된다. 상기 하이브리드 코드는 상기 벨트층(6)에 적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캡 플라이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 코드는 고성능 타이어에서도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해주어 우수한 연비로 현대의 소비자들의 요구와 사회적 책임을 달성할 수 있다. 즉, 기존의 범용 섬도의 하이브리드 코드를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정량 섬도를 낮춘 하이브리 코드를 사용하는 경우 고성능 래디얼 타이어를 사용하는 조건에서 환경 친화적이 되어 사회의 요구에 부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하이브리드 코드의 제조]
실시예 1에서는 보강 벨트로 정량 섬도를 낮춘 아라미드-폴리아미드 66 하이브리드 코드를 사용하는 반면, 비교예 1에서는 보강 벨트로 폴리아미드 66 코드를 사용하였고, 비교예 2에서는 아라미드 코드를 사용하였으며, 비교예 3 및 비교예 4에서는 아라미드-폴리아미드 66 하이브리드 코드를 사용하였다. 각 코드의 접착력과 이들을 적용한 타이어(225/45R17)의 제반 물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실시예 1
구조 폴리아미드66
840 D/2
아라미드
1500 D/2
아라미드 1500 D/2
+
폴리아미드66
1260 D/1
아라미드 600 D/1
+
폴리아미드66
430 D/1
아라미드
750 D/1
+
폴리아미드66
630 D/1
EPI 28 EPI 21 EPI 20 EPI 41 EPI 30.5 EPI
규격 225/45R17
적용부위 캡 플라이
중량(kg) 11.4 11.6 11.8 10.9 11.0
회전저항 100 110 115 99 93
고속주행내구성 1:45 1:55 1:50 1:58 1:58
조종안전성 100 115 110 117 120
승차감 100 80 96 100 100
소음 100 85 102 88 88
Uniformity특성 100 110 130 105 130
[물성 측정 방법]
(1) 회전 저항: 회전 저항은 SAE J1269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함.
(2) 고속 주행 내구성: 드럼의 원주방향에 타이어를 올리고 드럼을 회전시킴에 따라서, 타이어와 드럼이 맞물려 회전하게 함으로써, 타이어의 주행조건을 모사하였음.
(3) 조종안정성: 테스트 드라이버가 시험용 타이어를 취부한 차량을 테스트 운전하며, 느끼는 값을 인덱스로 표현함.
(4) 승차감: 테스트 드라이버가 시험용 타이어를 취부한 차량을 테스트 운전하며, 느끼는 값을 인덱스로 표현함.
(5) 소음: 테스트 드라이버가 시험용 타이어를 취부한 차량을 테스트 운전하며 느끼는 값을 인덱스로 표현함.
(6) Uniformity 특성: 드럼의 원주 방향에 타이어를 올리고 드럼을 회전시킴에 따라서, 타이어와 드럼이 맞물려 회전하게 함으로써, 타이어의 주행시의 변형 정도를 확인하였음.
상기 표 1의 결과를 통해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폴리아미드 66 코드를 이용한 비교예 1의 경우, 소음과 승차감은 우수하나 고속 주행 내구성과 조종안정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으며, 아라미드 코드를 이용한 비교예 2의 경우, 고속 주행 내구성과 조종안정성은 양호하나, 소음과 승차감이 불리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범용 섬도의 아라미드-폴리아미드 66 하이브리드 코드를 사용한 비교예 3의 경우, 소음과 승차감 및 고속 주행 내구성, 조종안정성에서 전체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중량 증가로 인해서 회전 저항이 불리한 값을 나타내고 있다.
낮은 섬도의 아라미드-폴리아미드 66 하이브리드 코드를 이용한 비교예 4 및 실시예 1의 경우에는 고속 주행 내구성, 조종안전성, 승차감 등에서 비교예 3과 유사하거나 우수한 값을 나타내고 있고, 특히, 회전 저항은 비교예 1 내지 3보다 양호한 값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비교예 4의 경우, 상기 아라미드와 폴리아미드 66의 정량 섬도가 600 g/D 이하임에 따라 Uniformity 특성이 실시예 1 대비에서 매우 불리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트레드부
2: 사이드월부
3: 비드부
4: 카카스층
5: 스틸벨트층
6: 벨트층

Claims (9)

  1. 600 데니어(denier) 초과 내지 900 데니어 이하의 폴리아미드 66 코드 1 가닥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꼬아지며, 600 데니어 초과 내지 900 데니어 이하의 아라미드 코드 1 가닥을 포함하는 커버링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코드로서,
    상기 하이브리드 코드의 경사 밀도(EPI)는 30 EPI 내지 37 EPI인 것인 코어-커버링 구조의 하이브리드 코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라미드 코드와 상기 폴리아미드 66 코드의 상연(Cable Twist) 꼬임수는 200 TPM 내지 500 TPM인 것인 코어-커버링 구조의 하이브리드 코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라미드 코드의 하연(Ply Twist) 꼬임수는 200 TPM 내지 500 TPM이고,
    상기 폴리아미드 66 코드의 하연 꼬임수는 200 TPM 내지 500 TPM이고,
    상기 아라미드 코드의 하연 꼬임수와 상기 폴리아미드 66 코드의 하연 꼬임수의 차이는 5 TPM 내지 10 TPM인 것인 코어-커버링 구조의 하이브리드 코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코드는 1 % 이하 변형에서 초기 모듈러스가 5 g/D 내지 20 g/D이고, 5 % 이상의 고하중 모듈러스가 50 g/D 내지 300 g/D인 것인 코어-커버링 구조의 하이브리드 코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라미드 코드는 인장 강도가 18 g/D 내지 35 g/D이고, 영 모듈러스(Young's modulus)가 200 g/D 내지 500 g/D인 것인 코어-커버링 구조의 하이브리드 코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코드는 상기 하이브리드 코드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아라미드 코드를 15 중량% 내지 85 중량% 포함하고,
    상기 폴리아미드 66 코드를 85 중량% 내지 1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인 코어-커버링 구조의 하이브리드 코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코드는 열처리시 권취 속도보다 권출 속도를 빠르게 하여 상기 폴리아미드 66 코드가 열수축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폴리아미드 66 코드가 코어 쪽으로 위치하고, 상기 아라미드 코드가 커버링 쪽으로 위치하도록 한 것인 코어-커버링 구조의 하이브리드 코드.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이브리드 코드를 보강 코드로 포함하는 타이어.
KR1020180036509A 2018-03-29 2018-03-29 하이브리드 코드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KR102005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509A KR102005184B1 (ko) 2018-03-29 2018-03-29 하이브리드 코드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509A KR102005184B1 (ko) 2018-03-29 2018-03-29 하이브리드 코드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5184B1 true KR102005184B1 (ko) 2019-10-01

Family

ID=68207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509A KR102005184B1 (ko) 2018-03-29 2018-03-29 하이브리드 코드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51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3005A1 (ko) * 2019-12-26 2021-07-0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타이어 코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90447A1 (en) * 2007-10-05 2009-04-09 Baldwin Jr Donald William Tire cord reinforcement
KR101411209B1 (ko) * 2012-12-26 2014-06-23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아라미드-폴리아미드 66 하이브리드 코드 및 그를 포함하는 연비 성능이 향상된 래디얼 타이어
KR101602605B1 (ko) * 2015-06-29 2016-03-2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타이어 코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47076A (ko) * 2014-10-21 2016-05-02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코드 및 그를 포함하는 고성능 래디얼 타이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90447A1 (en) * 2007-10-05 2009-04-09 Baldwin Jr Donald William Tire cord reinforcement
KR101411209B1 (ko) * 2012-12-26 2014-06-23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아라미드-폴리아미드 66 하이브리드 코드 및 그를 포함하는 연비 성능이 향상된 래디얼 타이어
KR20160047076A (ko) * 2014-10-21 2016-05-02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코드 및 그를 포함하는 고성능 래디얼 타이어
KR101602605B1 (ko) * 2015-06-29 2016-03-2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타이어 코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3005A1 (ko) * 2019-12-26 2021-07-0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타이어 코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JP7411796B2 (ja) 2019-12-26 2024-01-11 コーロン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ク タイヤのゴム補強材、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含むタイ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1209B1 (ko) 아라미드-폴리아미드 66 하이브리드 코드 및 그를 포함하는 연비 성능이 향상된 래디얼 타이어
KR101740769B1 (ko) 하이브리드 코드 및 그를 포함하는 고성능 래디얼 타이어
KR101869147B1 (ko) 하이브리드 코드 및 이를 사용한 타이어
CN103153650B (zh) 具有径向胎体增强层的轮胎
US7188654B2 (en) Ply with strength carriers embedded in a rubber mixture and vehicle pneumatic tires with a belt bandage thereof
JP2007168711A (ja) 重荷重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US20090266462A1 (en) Pneumatic tire for motorcycle
US20170246913A1 (en) Pneumatic Vehicle Tires Comprising a Belt Bandage
KR20080113034A (ko) 공기입 안전 타이어
JP2007253827A (ja) 空気入り安全タイヤ
JP5093874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005184B1 (ko) 하이브리드 코드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US5906693A (en) Pneumatic radial tire with specified organic fiber carcass cords
JP2010173612A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4966552B2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2009184563A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2008044550A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S6194803A (ja) 乗用車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の製造方法
KR102578622B1 (ko) 셀룰로오스 인조섬유-폴리에스터 하이브리드 코드를 캡플라이에 적용한 친환경 고성능 래디얼 타이어
JP2013193548A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およびそれに用いる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繊維コード
JP2009096456A (ja) 空気入りタイヤ
JP5345378B2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2008024189A (ja) 空気入りランフラットラジアルタイヤ
JP5460463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5060784B2 (ja) 航空機用空気入りタイ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