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919B1 - 하천 안전 계장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천 안전 계장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919B1
KR102004919B1 KR1020190046916A KR20190046916A KR102004919B1 KR 102004919 B1 KR102004919 B1 KR 102004919B1 KR 1020190046916 A KR1020190046916 A KR 1020190046916A KR 20190046916 A KR20190046916 A KR 20190046916A KR 102004919 B1 KR102004919 B1 KR 102004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instrumentation control
river
terminal block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규
Original Assignee
(주)종성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종성테크 filed Critical (주)종성테크
Priority to KR1020190046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9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21S8/08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with lighting device attached sideways of the standard, e.g. for roads and highw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Abstract

본 발명은 관리구역 내에 하천의 범람을 미리 예측하여 하천의 범람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하천 안전 계장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천 안전 계장 제어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하천구역 내의 산책로를 따라 설치되어 어둠을 밝히며 우수량을 측정하여 측정신호를 발신하는 복수 개의 계장제어가로등, 상기 산책로로 진입하는 부분마다 설치되어 진입을 차단하는 진입차단기, 및 상기 복수 개의 계장제어가로등에서 발생하는 측정신호를 기초로 하천의 범람을 예측하고, 하천의 범람이 예측되는 경우, 범람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복수 개의 계장제어가로등, 및 상기 진입차단기를 제어하는 계장제어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계장제어가로등은 우수량을 측정하여 측정신호를 발생하는 우수측정부, 상기 산책로의 어둠을 밝히는 등기구, 상기 계장제어가로등으로 인입하는 전기를 상기 등기구로 제공하도록 인입선이 연결되며 하천의 범람에 따라 침수의 발생 시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인입선을 분리하는 연결단자부, 상기 산책로를 촬영하여 산책로를 감시하는 감시카메라, 상기 우수측정부에서 측정된 측정신호와 상기 감시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무선으로 송신하고, 상기 계장제어서버로부터 범람신호를 무선으로 수신받는 무선통신모듈,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범람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감시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산책로를 이동하는 이동객체를 검출하며, 상기 이동객체가 검출되는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가로등컨트롤러, 및 상기 가로등컨트롤러에서 상기 경고신호의 발생에 따라 미리 설정된 경고음을 출력하여 상기 이동객체에 청각적으로 경고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우수측정부는 상부 및 하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개방된 상부로 우수가 유입되며 하부 측면에 채워진 우수를 배출하는 우수배출공이 형성되는 우수받이, 상기 우수받이에 우수가 채워지도록 상기 우수받이의 하부를 밀폐하고, 상기 우수받이의 개방된 하부 내주에 나사체결되어 나사체결에 따라 상기 우수받이의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우수배출공을 개방하고, 상기 우수받이의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우수배출공을 밀폐하는 하부마개, 상기 우수받이에서 상기 하부마개가 나사체결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도록 상기 하부마개를 회전시키는 마개구동부, 상기 우수받이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뚜껑, 상기 하부마개가 상기 우수배출공을 밀폐하도록 상기 우수받이의 상부로 이동 시 상기 상부뚜껑이 상기 우수받이의 상부 개방하며, 상기 우수받이의 하부로 이동 시 상기 상부뚜껑이 상기 우수받이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상부뚜껑과 상기 하부마개를 연결하는 연결대, 및 상기 상부뚜껑의 상부에 설치되어 우수를 감지할 경우, 상기 하부마개가 상기 우수배출공을 밀폐하도록 상기 마개구동부를 제어하며 우수를 감지하는 우수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계장제어서버는 상기 복수 개의 계장제어가로등에서 각각 발신되는 우수량을 측정한 측정신호를 제공받아 우수량의 평균을 구하고 우수량의 평균을 기초하여 범람신호를 발생한다.

Description

하천 안전 계장 제어 시스템{River safety instrumentation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관리구역 내에 하천의 범람을 미리 예측하여 하천의 범람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하천 안전 계장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폭우가 발생하는 경우, 하천의 수위가 급격히 높아지기 때문에 폭우의 발생시 대피경고를 하더라도 미처 대피하지 못하는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17350호(2018.1.11.공고)에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 및 동작 방법"이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 및 동작 방법은 센서가 인식할 수 있는 방향성 때문에 차단기의 앞면과 뒤면에 각각 거리센서를 설치하여 접근하는 모든 인체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하고, 거리센서를 통하여 인체가 감시된 후 외부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인체의 움직임에 따른 모션이 감시되면 차단기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하여, 돌발 홍수와 우기에 하천 주변의 산책로를 이용하려는 사람들의 진입을 차단함으로써, 홍수 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는 우천에 상관 없이 단순히 하천을 촬영한 영상에만 의존하여 하천의 수위를 분석하기 때문에 영상의 판단 오류로 인한 작동의 오류가 발생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하천의 범람 시 산책로에 설치된 가로등이 침수되면서 감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하천의 범람시 단순히 차단기만 작동하기 때문에 산책로를 지나는 사람에게 산책로가 차단되었음을 경고하기 어려워 고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천의 관리구역 내에서 우수량을 측정하여 관리구역 내에서 하천의 범람을 미리 예측하는 형태로 하천의 범람하기 이전에 신속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침수 시 가로등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침수에 따른 전기감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산책로를 차단한 상태에서 산책로를 지나는 사람에게 경고하여 신속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는 하천 안전 계장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천 안전 계장 제어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하천구역 내의 산책로를 따라 설치되어 어둠을 밝히며 우수량을 측정하여 측정신호를 발신하는 복수 개의 계장제어가로등, 상기 산책로로 진입하는 부분마다 설치되어 진입을 차단하는 진입차단기, 및 상기 복수 개의 계장제어가로등에서 발생하는 측정신호를 기초로 하천의 범람을 예측하고, 하천의 범람이 예측되는 경우, 범람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복수 개의 계장제어가로등, 및 상기 진입차단기를 제어하는 계장제어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계장제어가로등은 우수량을 측정하여 측정신호를 발생하는 우수측정부, 상기 산책로의 어둠을 밝히는 등기구, 상기 계장제어가로등으로 인입하는 전기를 상기 등기구로 제공하도록 인입선이 연결되며 하천의 범람에 따라 침수의 발생 시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인입선을 분리하는 연결단자부, 상기 산책로를 촬영하여 산책로를 감시하는 감시카메라, 상기 우수측정부에서 측정된 측정신호와 상기 감시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무선으로 송신하고, 상기 계장제어서버로부터 범람신호를 무선으로 수신받는 무선통신모듈,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범람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감시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산책로를 이동하는 이동객체를 검출하며, 상기 이동객체가 검출되는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가로등컨트롤러, 및 상기 가로등컨트롤러에서 상기 경고신호의 발생에 따라 미리 설정된 경고음을 출력하여 상기 이동객체에 청각적으로 경고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우수측정부는 상부 및 하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개방된 상부로 우수가 유입되며 하부 측면에 채워진 우수를 배출하는 우수배출공이 형성되는 우수받이, 상기 우수받이에 우수가 채워지도록 상기 우수받이의 하부를 밀폐하고, 상기 우수받이의 개방된 하부 내주에 나사체결되어 나사체결에 따라 상기 우수받이의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우수배출공을 개방하고, 상기 우수받이의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우수배출공을 밀폐하는 하부마개, 상기 우수받이에서 상기 하부마개가 나사체결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도록 상기 하부마개를 회전시키는 마개구동부, 상기 우수받이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뚜껑, 상기 하부마개가 상기 우수배출공을 밀폐하도록 상기 우수받이의 상부로 이동 시 상기 상부뚜껑이 상기 우수받이의 상부 개방하며, 상기 우수받이의 하부로 이동 시 상기 상부뚜껑이 상기 우수받이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상부뚜껑과 상기 하부마개를 연결하는 연결대, 및 상기 상부뚜껑의 상부에 설치되어 우수를 감지할 경우, 상기 하부마개가 상기 우수배출공을 밀폐하도록 상기 마개구동부를 제어하며 우수를 감지하는 우수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계장제어서버는 상기 복수 개의 계장제어가로등에서 각각 발신되는 우수량을 측정한 측정신호를 제공받아 우수량의 평균을 구하고 우수량의 평균을 기초하여 범람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연결단자부는 상기 인입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대, 상기 인입선의 단부에 결합되며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선결합부싱, 상기 단자대에서 상기 인입선이 인입되는 부분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인입지지대, 상기 인입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선결합부싱이 내주에 나사체결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선결합부싱을 상기 단자대가 위치된 부분으로 이동시켜 상기 인입선을 상기 단자대에 연결하거나, 상기 선결합부싱을 상기 단자대에서 이격되도록 이동시켜 상기 인입선을 상기 단자대에서 분리하는 부싱이동부재, 상기 부싱이동부재를 회전시키는 부싱구동부, 및 상기 단자대에서 상기 인입선의 분리 시 상기 인입선의 노출되는 끝단에 끼워져 침수에 의한 감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상기 단자대에서 상기 단자대와 상기 인입지지대의 사이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자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장제어가로등의 하부에 위치되어 하천의 범람에 따른 침수를 감지하여 상기 인입선이 상기 단자대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계장제어가로등의 침수를 감지하여 상기 부싱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침수감지센서, 상기 침수감지센서를 가려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침수감지센서를 개방 또는 밀폐하는 센서커버, 및 상기 하부마개가 상기 우수받이에 우수를 받기 위해 상부로 이동할 때, 상기 센서커버를 개방하도록 상기 센서커버와 상기 하부마개를 연결하는 연결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시카메라가 촬영하는 산책로에 표시되는 침수감지마커를 포함하고, 상기 침수감지센서는 상기 감시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침수감지마커가 미검출되는 경우, 상기 산책로가 침수된 것으로 판단하여 하천의 범람에 따른 침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천 시 우수측정부에서 관리구역 내에 내리는 우수량을 예측하여 하천의 범람을 예측함으로써, 하천의 범람이 발생하기 이전에 신속한 대피룔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하천의 범람 시 연결단자부가 전원을 공급하는 인입선을 분리하고, 인입선의 노출된 심선에 단자캡을 끼워 침수에 따른 감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침수를 감지하는 침수감지센서가 감시카메라에서 촬영된 침수감지마커를 기초하여 작동하기 때문에 침수감지센서의 오작동에 따른 인입선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침수감지센서가 센서커버에 덮이고, 우수측정부에 연결와이어에 의해 연동하여 작동하기 때문에 침수감지센서의 파손 또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천 안전 계장 제어 시스템이 산책로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천 안전 계장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천 안전 계장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계장제어가로등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천 안전 계장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계장제어가로등의 우수측정부가 위치된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천 안전 계장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계장제어가로등의 연결단자부가 위치된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천 안전 계장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계장제어가로등의 연결단자부가 위치된 부분을 확대한 측단면도로서, 인입선이 단자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천 안전 계장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계장제어가로등의 연결단자부가 위치된 부분을 확대한 측단면도로서, 인입선이 단자대에 결합되어 단자캡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천 안전 계장 제어 시스템은 계장제어가로등(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계장제어가로등(100)은 미리 설정된 하천구역의 내에 형성된 산책로(511)를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어 설치되어 어둠을 밝힐 수 있으며, 우수량을 측정하건, 산책로(511)를 감시하도록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하천(500)이 범람이 예상되는 경우, 산책로(511)를 지나는 사람들에게 경고할 수 있다.
또한, 계장제어가로등(100)은 하천(500)의 범람이 발생하는 경우, 전기의 인입선(600)이 침수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감전사고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계장제어가로등(100)은 등주(110), 및 등기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등기구(120)를 바닥에서 이격되어 산책로(511)에 빛을 조사하도록 등기구(120)를 지지할 수 있다.
등주(110)는 산책로(511)의 가장자리에서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단부분이 산책로(511)를 향해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등주(110)는 내부가 빈 관의 형태일 수 있다.
등기구(120)는 상단의 절곡된 끝단에 설치되고, 전기를 공급받아 빛을 밝힐 수 있다.
등기구(120)는 복수 개의 LED로 구성된 LED등이거나, 나트륨등, 형광등, 네온등의 다양한 형태의 전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등기구(120)는 등기구(120)를 외부부터 보호하기 위해 기구커버의 내부에 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장제어가로등(100)은 우수측정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우수측정부(150)는 우수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우수측정부(150)는 우수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우수량을 측정신호로 변환하여 하기에 설명될 무선통신모듈로 제공할 수 있다.
우수측정부(150)는 우수받이(151), 하부마개(153), 마개구동부(155), 상부뚜껑(156), 연결대(159), 및 우수감지센서(158)를 포함할 수 있다.
우수받이(151)는 우수를 받아 우수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우수받이(151)는 등주(110)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우수받이(151)는 상부 및 하부가 관통된 통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우수받이(151)의 하부 측면에는 받은 우수를 배출하기 위한 우수배출공(152)이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우수배출공(152)과 대응되는 등주(110)에는 우수배출공(152)으로 배출되는 우수를 등주(1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등주배출공(111)이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우수받이(151)의 개방된 상부로는 우수가 유입될 수 있으며, 하부 내주에는 하부마개(153)가 나사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우수받이(151)는 레벨센서(157)를 포함할 수 있으며, 레벨센서(157)는 우수받이(151)에 받아지는 우수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우수량이 채워지는 시간도 함께 측정하여 측정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하부마개(153)는 우수받이(151)에 우수를 받을 수 있도록 개방된 하부를 밀폐할 수 있다.
하부마개(153)는 우수받이(151)의 하부를 밀폐한 상태에서 우수받이(151)의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 및 이물질이 우수배출공(152)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우수배출공(152)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높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부마개(153)는 우수받이(151)의 하부에 밀착하여 밀폐하도록 탄성력에 의해 기밀성을 갖는 재료 예컨대, 실리콘, 고무, 합성수지 또는 우레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마개(153)는 마개부재(154)를 포함할 수 있다. 마개부재(154)는 하부마개(153)가 우수받이(151)에 나사체결될 수 있도록 우수받이(151)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체결되도록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마개부재(154)는 하부마개(153)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마개부재(154)는 하부마개(153)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마개부재(154)의 하부에는 연결와이어(180)가 결합되는 와이어고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와이어고리는 마개부재(154)에서 자유 회전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마개부재(154)의 하부에는 우수받이(151)에 하부마개(153)를 나사체결하기 위해 마개부재(154)를 회전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톱니가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마개기어부(154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하부마개(153)는 우수받이(151)의 개방된 하부로 삽입되어 끼워지며, 마개부재(154)의 둘레에 형성된 나사산이 우수받이(151)의 하부에 나사체결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그리고, 마개부재(154)를 회전시키면, 마개부재(154)의 회전 방향에 따라 나사체결에 의해 우수받이(151)의 내부에서 마개부재(154)가 상부로 이동하여 우수배출공(152)을 밀폐하거나, 하부로 이동하여 우수배출공(152)을 개방할 수 있다.
마개구동부(155)는 하부마개(153)가 우수배출공(152)을 밀폐하거나, 우수배출공(152)을 개방하도록 마개부재(154)를 회전시킬 수 있다.
마개구동부(155)는 마개기어부(154a)의 톱니와 맞물리는 평기어(155a)를 전기에 의해 회전축이 회전하는 마개모터(155b)에 결합하여 마개모터(155b)에 의해 회전시키는 형태로 마개부재(154)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마개구동부(155)는 마개부재(154)가 나사체결에 의해 상하로 이동시킬 때, 마개구동부(155)가 우수받이(151)에서 상하로 따라 이동하며 마개부재(154)를 구동할 수 있도록 마개구동부(155)를 우수받이(151)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우수받이(151)에는 마개구동부(155)의 마개모터(155b)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155c)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뚜껑(156)는 우수받이(151)의 상단에 측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우수받이(151)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여 우수받이(151)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거나, 우수를 받을 수 있도록 우수받이(151)의 상부를 개방할 수 있다.
연결대(159)는 하부마개(153)의 작동 시 상부뚜껑(156)이 연동하여 개폐하도록 하부마개(153)와 상부뚜껑(156)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대(159)는 우수를 받기 위해 하부마개(153)가 우수배출공(152)을 밀폐하도록 상향되면 상부뚜껑(156)을 상부로 밀어 우수받이(151)의 상부를 개방할 수 있으며, 우수받이(151)에 받아진 우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우수배출공(152)을 개방하도록 하부마개(153)가 하향되면 상부뚜껑(156)을 하부로 당겨 우수받이(151)의 상부를 밀폐할 수 있다.
우수감지센서(158)는 상부뚜껑(156)의 상부에 설치되어 우수를 감지할 수 있다.
우수감지센서(158)는 비가 내리는 경로를 감지하는 형태로 우수를 감지하는 공지된 우적감지센서 또는 빗물에 의한 빛의 굴절을 감지하는 형태로 우수를 감지하는 광감지센서 또는 포토센서, 또는 빗물에 의한 전기적은 통전에 따라 우수를 감지하는 전기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우수감지센서(158)는 우수가 감지되는 경우, 하부마개(153)가 우수배출공(152)을 밀폐함과 동시에 상부뚜껑(156)을 개방하도록 마개구동부(155)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우수감지센서(158)에 의해 마개구동부(155)가 우수배출공(152)을 밀폐하여 우수받이(151)에 우수를 받아 레벨센서(157)에 의해 만수위가 감지되는 마개구동부(155)는 레벨센서(157)에 의해 제어되어 하부마개(153)가 우수배출공(152)을 개방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물론, 하부마개(153)가 마개구동부(155)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 연결대(159)에 의해 상부뚜껑(156)이 우수받이(151)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여 우수받이(151)로 우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도 3,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장제어가로등(100)은 연결단자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연결단자부(160)는 등기구(120)를 밝히기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인입선(6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단자부(160)는 하천(500)의 범람에 따라 산책로(511)가 침수되어 계장제어가로등(100)이 침수되는 경우, 인입선(600)을 단선시켜 감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단자부(160)는 등주(11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인입선(600)은 지중을 통해 등주(110)의 하부로 인입될 수 있다.
연결단자부(160)는 단자대(161), 선결합부싱(162), 인입지지대(164), 부싱이동부재(163), 부싱구동부(165), 단자캡(168), 및 침수감지센서(166)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대(161)는 인입선(6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된 인입선(600)의 전기는 안정기, 또는 아답터를 통해 전원이 요구되는 구성들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단자대(161)에는 인입선(600)의 심선이 하부에서 상부로 꽂아지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단자대(161)는 인입선(600)이 인입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단자커버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선결합부싱(162)은 인입선(600)의 끝단에 인입선(600)의 심선이 노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인입선(600)이 단자대(161)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인입선(600)의 인입을 가이드할 수 있다.
선결합부싱(162)은 인입선(600)이 관통된 내부로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내부가 빈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인입선(600)은 선결합부싱(162)에 견고하게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선결합부싱(162)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인입지지대(164)는 선결합부싱(162)이 지지될 수 있으며, 인입지지대(164)는 단자대(161)의 하부에 이격배치되어 단자대(161)에 인입선(600)을 연결하기 위해 선결합부싱(162)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고, 단자대(161)에서 인입선(600)을 분리하기 위해 선결합부싱(162)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인입지지대(164)는 인입선(600)이 이탈되지 않도록 인입선(600)을 지지함과 동시에 인입선(600)을 거치시킬 수 있으며, 인입지지대(164)는 단자대(161)의 하부에 결합되거나, 등주(110)의 내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인입지지대(164)에는 인입선(600)이 관통하여 끼워지는 지지대공이 인입선(600)의 개수에 맞춰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부싱이동부재(163)는 인입지지대(164)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함에 따라 인입선(600)이 단자대(161)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하여 단자대(161)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단자대(161)에서 인입선(600)을 전기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부싱이동부재(163)는 중앙이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대공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부싱이동부재(163)의 관통된 중앙에는 선결합부싱(162)이 나사체결되어 끼워지도록 선결합부싱(162)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부싱이동부재(163)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톱니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부싱기어부(163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부싱이동부재(163)를 인입지지대(164)에서 회전시키면 부싱이동부재(163)에 나사체결된 선결합부싱(162)이 나사체결에 따라 단자대(161)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하여 단자대(161)에 인입선(600)을 연결하거나, 단자대(161)에 인입선(600)이 연결되는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단자대(161)에서 인입선(600)을 분리할 수 있다.
부싱구동부(165)는 부싱기어부(163a)의 톱니에 맞물리는 피니언(165a)을 전기에 의해 구동하는 부싱모터(165b)의 회전축에 결합하여 부싱모터(165b)에 의해 피니언(165a)이 회전하면 부싱기어부(163a)가 회전하면서 인입지지대(164)에서 부싱이동부재(163)가 회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인입선(600)이 인입되어 부싱구동부(165)가 두 개의 부싱이동부재(163)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었으며, 두 개의 부싱이동부재(163)의 부싱기어부(163a) 사이에 피니언(165a)이 맞물려 하나의 부싱모터(165b)에 의해 두 개의 부싱이동부재(163)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하였다.
단자캡(168)은 부싱구동부(165)에 의해 인입선(600)이 단자대(161)에서 분리 시에 인입선(600)의 노출된 심선이 위치된 끝단이 끼워져 하천(500)의 범람에 따라 침수 시 심선의 노출로 인한 감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단자대(161)에서 단자대(161)와 인입지지대(164)의 사이로 회전하여 위치하도록 단자대(16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단자대(161)에 인입선(600)이 분리된 상태에서 단자캡(168)이 단자대(161)와 인입지지대(164)의 사이로 회전하여 위치될 수 있다.
단자캡(168)은 하부에 인입선(600)이 끼워져 심선을 밀폐할 수 있으며, 단자캡(168)의 내부에는 심선 및 인입선(600)의 단부 둘레를 기밀하는 탄성력을 갖는 기밀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단자캡(168)은 인입선(600)이 단자대(161)에서 분리 시 단자대(161)와 인입지지대(164)의 사이로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여 위치할 수 있도록 비틀림스프링(169)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단자캡(168)은 부싱구동부(165)에 의해 인입선(600)이 단자대(161)에서 분리되면 단자대(161)와 인입지지대(164)의 사이로 회전하여 위치한 상태에서 부싱구동부(165)가 인입선(600)을 단자대(161)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켜 인입선(600)의 끝단에 단자캡(168)을 결합하여 심선을 밀폐할 수 있다.
이때, 인입지지대(164)에는 단자캡(168)이 단자지지대와 단자대(161)의 사이로 인입될 수 있도록 단자대(161)에서 이격되면 이를 감지하여 다시 인입선(600)이 단자대(161)로 결합될 수 있도록 부싱구동부(165)를 제어하는 제어스위치(163c)가 인입지지대(164)에 또는 부싱이동부재(163)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스위치(163c)는 부싱이동부재(163)의 상부에서 돌출되는 가압부(163b)에 의해 가압되면, 인입선(600)이 단자대(161)에서 분리되어 단자캡(168)이 단자대(161)와 인입지지대(164)의 사이에 위치된 것으로 예상하여 부싱구동부(165)가 인입선(600)을 다시 단자대(161)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형태로 단자대(161)와 인입지지대(164)의 사이에 위치되는 단자캡(168)에 인입선(600)을 결합할 수 있다.
이렇게 하천(500)의 범람에 따라 침수가 발생하는 경우, 전원을 공급하는 인입선(600)의 심선을 단자캡(168)을 끼워 결합하는 함으로써, 전기가 공급되는 부분에 전기의 공급으로 인한 합선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누전에 따른 감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단자부(160)는 침수감지센서(166)와 센서커버(167)를 포함할 수 있다.
침수감지센서(166)는 등주(110)의 하단 부분에 설치되어 침수감지센서(166)가 설치된 높이만큼 침수되어 침수감지센서(166)가 침수를 감지하는 경우, 부싱구동부(165)를 제어하여 단자대(161)에서 인입선(600)을 분리할 수 있다.
침수감지센서(166)는 우수를 감지하는 우수감지센서(158)로 구현될 수 있으며, 침수감지센서(166)는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물에 의해 통전되면 침수라고 판단하는 전기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침수감지센서(166)는 등주(110)를 타고 흐르는 우수의 감지에 따라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감시카메라(130)의 정보를 기초하여 작동할 수 있다.
예컨대, 감시카메라(130)가 촬영하는 범위의 산책로(511)에 복수 개의 침수감지마커(515)를 표시하고, 가로등컨트롤러(170)는 감시카메라(130)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복수 개의 침수감지마커(515)를 검출하고, 복수 개의 침수감지마커(515)가 동시에 검출되지 않을 경우, 침수라고 판단하여 침수감지센서(166)가 작동하도록 가로등컨트롤러(1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산책로(511)의 침수가 발생하는 경우, 복수 개의 침수감지마커(515)가 잠겨 감시카메라(130)에서 침수감지마커(515)가 촬영되지 않기 때문에 가로등컨트롤러(170)는 복수 개의 침수감지마커(515)가 동시에 검출되지 않으면 침수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침수감지센서(166)의 감지를 시작하고, 침수감지센서(166)에서도 침수가 감지될 때, 부싱구동부(165)를 제어하여 단자대(161)에서 인입선(600)을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침수감지센서(166)는 바닥에 근접하게 위치되기 때문에 평상 시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물이 튀거나, 이물질에 의해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센서커버(167)에 덮일 수 있다.
센서커버(167)는 등주(110)에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센서커버(167)가 상향 회전 시에 침수감지센서(166)가 외부로 노출되어 침수를 감지하고, 센서커버(167)가 하향 회전 시에 침수감지센서(166)를 덮어 이물질로부터 침수감지센서(166)를 보호할 수 있다.
계장제어가로등(100)은 감시카메라(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감시카메라(130)는 하천(500)의 주변을 따라 형성된 산책로(511)를 촬영할 수 있다.
감시카메라(130)는 평상시에는 촬영된 영상을 가로등컨트롤러(170)로 제공하여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외부에 위치된 계장제어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하천(500)의 범람시에는 가로등컨트롤러(170)는 감시카메라(130)에서 촬영되는 영상에서 이동객체 및 산책로(511)에 표시된 침수감지마커(515)를 검출할 수 있다.
가로등컨트롤러(170)가 이동객체 및 침수감지마커(515)를 검출하는 방법은 산책로(511)의 영상의 프레임마다 달라지는 영상부분을 검출하는 형태로 이동객체와 침수감지마커(515)를 검출할 수 있으며, 감시카메라(130)에서 이동객체와 침수감지마커(515)를 검출하는 방법은 공지된 영상에서 객체를 검출하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동객체는 산책로(511)를 이동 중인 물체 예컨대, 사람, 동물, 자전거 등일 수 있다.
계장제어가로등(100)은 스피커(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피커(140)는 감시카메라(130)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에서 가로등컨트롤러(170)에 의해 이동객체가 검출되는 경우, 신속히 대피할 수 있도록 청각적인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40)는 가로등컨트롤러(170)에서 이동객체가 검출되면, 미리 저장된 경고음을 출력하여 산책로(511)를 지나는 이동객체에게 하천(500)이 범람될 우려가 있다는 경고를 할 수 있으며, 경고음은 사이렌소리 또는 미리 녹음된 경고음성일 수 있다.
가로등컨트롤러(170)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무선통신모듈은 감시카메라(130)에서 촬영되는 영상, 우수측정부(150)에서 측정되는 우수량에 따른 측정신호, 및 컨트롤러에서 발생하는 경고신호를 무선통신 신호로 변경하여 외부로 발신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모듈은 계장제어서버(300)에서 발생하는 범람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은 외부와 근거리 통신, 장거리 통신, 또는 사물인터넷(IoT) 통신으로 계장제어가로등(100) 끼리 통신하거나, 계장제어서버(300)와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통신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계장제어가로등(100)은 가로등컨트롤러(17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로등컨트롤러(170)는 계장제어가로등(100)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가로등컨트롤러(170)는 우수측정부(150)에서 측정된 우수량에 따른 측정신호를 무선통신모듈로 제공할 수 있으며, 가로등컨트롤러(170)는 마개구동부(155), 부싱구동부(165)를 제어할 수 있으며, 가로등컨트롤러(170)는 등기구(120) 및, 스피커(140), 감시카메라(1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가로등컨트롤러(170)는 감시카메라(130)에서 촬영되는 영상에서 이동객체, 및 침수감지마커(515)를 검출할 수 있으며, 가로등컨트롤러(170)는 우수감지센서(158), 및 침수감지센서(166)에서 감지되는 정보에 따라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가로등컨트롤러(170)는 평상 시에는 감시카메라(130)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제공받아 무선통신모듈로 제공할 수 있으며, 범람신호의 수신 시, 인입선(600)이 단자대(161)에서 분리되도록 부싱구동부(165)를 직접적으로 제어하거나, 더 이상 우수의 측정이 불필요함에 따라 마개구동부(155)를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천 안전 계장 제어 시스템은 진입차단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진입차단기(200)는 미리 설정된 하천구역에 설치된 산책로(511)에 진입이 가능한 부분마다 설치되어 산책로(511)의 진입을 차단 또는 개방할 수 있다.
진입차단기(200)는 산책로(511)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진입차단기(200)는 산책로(511)로 진입하는 진입로를 가로지르는 진입차단바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진입로를 가로지르도록 진입차단바를 수평하게 내릴 때에는 산책로(511)로의 진입을 차단하고, 진입차단바를 수직하게 세울 때에는 진입로를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진입차단기(200)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진입차단기(200)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진입차단기(200)는 무선수신부가 내장되어 계장제어서버(300)에서 발신되는 범람신호를 제공받을 경우, 산책로(511)를 차단할 수 있다.
물론, 진입차단기(200)는 계장제어서버(300)에서 범람신호 외에 진입차단바를 내리거나 올리도록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천 안전 계장 제어 시스템은 계장제어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계장제어서버(300)는 하천(500)이 범람하거나, 하천(500)의 범람이 예상되는 경우, 범람신호를 발생하여 계장제어가로등(100) 및 진입차단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계장제어서버(300)는 계장제어가로등(100)에서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발신되는 영상을 수신하여 모니터에서 출력하는 형태로 미리 설정된 산책로(511)를 감시할 수 있으며, 계장제어가로등(100)의 우수측정부(150)에서 제공되는 측정신호를 제공받아 범람을 예상할 수 있다.
한편, 계장제어서버(300)는 미리 설정된 하천구역 내에 설치된 계장제어가로등(100)의 우수량에 따른 측정신호를 제공받아 하천(500)의 범람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장제어서버(300)는 복수 개의 계장제어가로등(100)에서 제공되는 측정신호를 제공받아 각 계장제어가로등(100)에서 측정되는 우수량의 평균을 구하고, 이 평균 값에 따라 우수량이 채워지는 속도 및 량에 따라 하천(500)의 범람을 예측할 수 있다.
이때, 일부의 계장제어가로등(100)에서 제공되는 측정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는 수신된 계장제어가로등(100)에서 제공된 우수량만을 평균하여 하천(500)의 범람을 예측한다.
계장제어서버(300)는 계장제어가로등(100)의 우수량에 따라 범람신호를 발생할 뿐만 아니라, 미리 설정된 하천구역 내에 우수가 내리지 않더라도 상류측에서 폭우에 의해 범람이 예측되는 경우, 계장제어서버(300)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직접적으로 범람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물론, 일반적인 상황에서 계장제어가로등(100)과 진입차단기(200)를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계장제어서버(300)에서 범람신호를 발생할 때에는 각 계장제어가로등(100)에서 제공되는 우수량 뿐만 아니라, 동일기간 내에 이전에 발생한 우수량을 참고하여 범람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천 안전 계장 제어 시스템은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계장제어가로등(100)의 감시카메라(130)가 산책로(511)의 영상을 촬영하고, 가로등컨트롤러(170)와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발신하면, 계장제어서버(300)가 수신하여 산책로(511)를 감시한다.
그리고, 가로등컨트롤러(17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계장제어서버(300)로부터 등기구(120)를 ON/OFF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비가 내리면 각 계장제어가로등(100)에 설치된 우수감지센서(158)가 우수를 감지하면, 우수감지센서(158)는 마개구동부(155)를 작동시킨다.
마개구동부(155)는 마개모터(155b)의 작동에 따라 마개부재(154)가 회전하고, 우수받이(151)의 하부에 나사체결된 마개부재(154)는 나사체결에 의해 상향이동하여 우수받이(151)에 형성된 우수배출공(152)을 밀폐하는 위치까지 상향된다.
이때, 하부마개(153)가 상부로 이동하면 하부마개(153)에 연결된 연결대(159)가 상부뚜껑(156)을 상부로 밀어 우수받이(151)의 상부를 개방하여 우수를 우수받이(151)에 받아 우수량을 측정한다.
여기서, 레벨센서(157)에 의해 우수받이(151)에 만수위가 감지되는 경우, 우수배출공(152)을개방하기 위해 마개구동부(155)가 마개모터(155b)를 역회전시켜 하부마개(153)를 하향 이동시키고, 우수배출공(152)을 통해 우수받이(151)에 우수가 모두 배출한 상태에서 우수감지센서(158)에서 우수가 계속적으로 감지되는 경우, 다시 하부마개(153)가 상향되어 우수배출공(152)을 밀폐하도록 마개구동부(155)가 작동한다.
그리고, 우수를 배출하기 위해 하부마개(153)가 우수배출공(152)을 개방하도록 하향이동하면, 연결대(159)가 상부뚜껑(156)을 덮어 더 이상의 우수가 우수받이(151)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우수받이(151)에 받아지는 우수는 우수받이(151)에 설치된 레벨센서(157)에 의해 측정되는 우수량에 따른 측정신호를 가로등컨트롤러(170)와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외부로 발신한다.
계장제어서버(300)는 미리 설정된 하천구역 내에 설치된 계장제어가로등(100)에서 발신되는 측정신호를 수신하여 평균을 구하는 형태로 하천(500)의 범람을 예측하고, 범람이 예측되면, 범람신호를 발신한다.
이때, 계장제어서버(300)는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측정신호에 따라 변화되는 우수량의 증감속도를 참고하여 범람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긴급시에는 관리자가 직접적으로 범람신호를 발신할 수도 있다.
범람신호가 발신되면, 계장제어가로등(100)의 무선통신모듈이 이를 수신하고, 수신된 범람신호를 가로등컨트롤러(170)로 제공하며, 가로등컨트롤러(170)는 감시카메라(130)에서 촬영되는 영상에서 이동객체, 및 산책로(511)에 표시된 침수감지마커(515)를 검출한다.
그리고, 가로등컨트롤러(170)에서 이동객체가 검출되는 경우, 가로등컨트롤러(170)는 미리 설정된 경고음을 스피커(140)로 출력함으로써, 산책로(511)를 지나는 이동객체에 범람이 발생할 수 있음을 경고한다.
여기서, 가로등컨트롤러(170)는 범람신호를 수신한 경우, 이동객체가 감지된 계장제어가로등(100)에서만 경고음을 발생하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모든 계장제어가로등(100)에서 경고음의 발생에 따른 청각적인 공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계장제어가로등(100)을 지나는 이동객체에 직접적으로 경고를 함으로써, 경고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범람신호를 수신한 가로등컨트롤러(170)는 감시카메라(130)의 촬영된 영상에서 산책로(511)의 침수로 인해 복수 개의 침수감지마커(515)가 모두 미검출되는 경우, 침수감지센서(166)에서 침수를 감지하도록 침수감지센서(166)를 작동시킨다.
여기서, 감시카메라(130)가 일반적으로 일반적인 상황에서 이동객체 및 침수감지마커(515)를 검출할 경우에는 부하의 발생으로 인한 가로등컨트롤러(170)의 노후화 및 과열에 따른 손상이 쉽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우수에 따른 범람이 예측되는 범람신호가 발생할 때에만, 이동객체 및 침수감지마커(515)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침수감지센서(166)는 비가 내리는 경우, 우수감지센서(158)에 의해 하부마개(153)가 우수를 받기 위해 상향 이동할 때, 연결와이어(180)가 상부로 당겨지면서, 침수감지센서(166)를 덮은 센서커버(167)를 회전시켜 개방하여 침수를 감지할 수 있다.
물론, 우수를 배출하기 위해 하부마개(153)가 하향 이동하는 경우, 센서커버(167)가 침수감지센서(166)를 덮어 침수를 감지하기는 어렵지만, 우수가 계속적으로 내리는 경우, 우수감지센서(158)에 의해 우수받이(151)에서 우수가 모두 배출되면, 하부마개(153)가 다시 상향되기 때문에 침수감지센서(166)가 침수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침수감지센서(166)가 침수를 감지하면, 침수감지센서(166)는 단자대(161)에서 인입선(600)을 분리하도록 부싱구동부(165)를 제어한다.
부싱구동부(165)는 부싱모터(165b)에 의해 부싱이동부재(163)를 회전시키고, 부싱이동부재(163)가 회전하면, 부싱이동부재(163)의 내부에 나사체결되어 인입선(600)이 선결합부싱(162)이 하부로 이동하면서 단자대(161)에서 인입선(600)이 분리된다.
선결합부싱(162)이 최대로 하부로 이동하면, 선결합부싱(162)에 형성된 가압부(163b)가 인입지지대(164)에 설치된 제어스위치(163c)를 가압하고, 제어스위치(163c)가 가압되면, 부싱구동부(165)의 부싱모터(165b)가 인입선(600)을 분리하기 위한 방향에 대해 역회전하여 다시 인입선(600)이 단자대(161)가 위치된 방향으로 상향 이동시킨다.
여기서, 선결합부싱(162)의 가압부(163b)가 제어스위치(163c)를 가압할 때까지 인입선(600)이 하향되면, 단자대(16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단자캡(168)이 비틀림스프링(169)의 탄성력에 의해 단자대(161)와 인입지지대(164)의 사이로 위치된다.
이에 따라 선결합부싱(162)의 가압부(163b)가 제어스위치(163c)를 가압하여 부싱구동부(165)에 의해 인입선(600)이 다시 상향되면, 인입선(600)의 상부에는 단자캡(168)이 위치되어 단자캡(168)의 내부로 인입선(600)의 심선이 노출되는 끝단이 삽입되면서, 계장제어가로등(1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과 동시에 인입선(600)의 노출로 인한 침수에 따른 감전사고를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모든 상황이 종료되고, 다시 인입선(600)을 연결할 때에는 인입선(600)이 단자캡(168)에서 이탈되도록 부싱구동부(165)를 제어하고, 인입선(600)에서 단자캡(168)이 분리되면, 단자대(161)와 인입단자대(161)의 사이에서 단자캡(168)이 제거되도록 단자캡(168)을 단자대(161)에서 회전시킨 상태에서 다시 인입선(600)이 단자대(161)에 삽입되도록 부싱구동부(165)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천 안전 계장 제어 시스템은 계장제어가로등(100)에 우수량을 측정하는 우수측정부(150)가 설치되어 우수측정부(150)에서 측정되는 우수량에 의해 미리 설정된 하천구역 내에서 하천(500)의 범람을 예측하여 범람에 따른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범람을 예측하는 범람신호가 발생한 경우, 감시카메라(130)가 이동객체를 추적하여 이동객체가 위치된 계장제어가로등(100)의 스피커(140)를 통해 경고함으로써, 신속한 대피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계장제어가로등(100)에서 경고음의 출력으로 인한 소음공해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산책로(511)에 표시된 침수감지마커(515)를 감시카메라(130)에서 검출유무에 따라 침수방지센서의 작동여부를 판단하여 침수방지센서의 오작동에 따른 가로등의 전원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침수가 발생한 경우, 단자대(161)에서 인입선(600)을 분리하고, 인입선(600)에 노출된 끝단을 단자캡(168)을 씌워 밀폐함으로써, 침수의 발생 시 누전으로 인한 감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침수에 따른 전기적인 구성들의 합선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계장제어가로등 110: 등주
111: 등주배출공 120: 등기구
130: 감시카메라 140: 스피커
150: 우수측정부 151: 우수받이
152: 우수배출공 153: 하부마개
154: 마개부재 154a: 마개기어부
155: 마개구동부 155a: 평기어
155b: 마개모터 155c: 가이드부
156: 상부뚜껑 157: 레벨센서
158: 우수감지센서 159: 연결대
160: 연결단자부 161: 단자대
162: 선결합부싱 163: 부싱이동부재
163a: 부싱기어부 163b: 가압부
163c: 제어스위치 164: 인입지지대
165: 부싱구동부 165a: 피니언
165b: 부싱모터 166: 침수감지센서
167: 센서커버 168: 단자캡
169: 비틀림스프링 170: 가로등컨트롤러
180: 연결와이어 200: 진입차단기
300: 계장제어서버 500: 하천
511: 산책로 515: 침수감지마커
600: 인입선

Claims (4)

  1. 미리 설정된 하천구역 내의 산책로를 따라 설치되어 어둠을 밝히며 우수량을 측정하여 측정신호를 발신하는 복수 개의 계장제어가로등,
    상기 산책로로 진입하는 부분마다 설치되어 진입을 차단하는 진입차단기, 및
    상기 복수 개의 계장제어가로등에서 발생하는 측정신호를 기초로 하천의 범람을 예측하고, 하천의 범람이 예측되는 경우, 범람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복수 개의 계장제어가로등, 및 상기 진입차단기를 제어하는 계장제어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계장제어가로등은
    우수량을 측정하여 측정신호를 발생하는 우수측정부,
    상기 산책로의 어둠을 밝히는 등기구,
    상기 계장제어가로등으로 인입하는 전기를 상기 등기구로 제공하도록 인입선이 연결되며 하천의 범람에 따라 침수의 발생 시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인입선을 분리하는 연결단자부,
    상기 산책로를 촬영하여 산책로를 감시하는 감시카메라,
    상기 우수측정부에서 측정된 측정신호와 상기 감시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무선으로 송신하고, 상기 계장제어서버로부터 범람신호를 무선으로 수신받는 무선통신모듈,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범람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감시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산책로를 이동하는 이동객체를 검출하며, 상기 이동객체가 검출되는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가로등컨트롤러, 및
    상기 가로등컨트롤러에서 상기 경고신호의 발생에 따라 미리 설정된 경고음을 출력하여 상기 이동객체에 청각적으로 경고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우수측정부는
    상부 및 하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개방된 상부로 우수가 유입되며 하부 측면에 채워진 우수를 배출하는 우수배출공이 형성되는 우수받이,
    상기 우수받이에 우수가 채워지도록 상기 우수받이의 하부를 밀폐하고, 상기 우수받이의 개방된 하부 내주에 나사체결되어 나사체결에 따라 상기 우수받이의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우수배출공을 개방하고, 상기 우수받이의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우수배출공을 밀폐하는 하부마개,
    상기 우수받이에서 상기 하부마개가 나사체결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도록 상기 하부마개를 회전시키는 마개구동부,
    상기 우수받이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뚜껑,
    상기 하부마개가 상기 우수배출공을 밀폐하도록 상기 우수받이의 상부로 이동 시 상기 상부뚜껑이 상기 우수받이의 상부 개방하며, 상기 우수받이의 하부로 이동 시 상기 상부뚜껑이 상기 우수받이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상부뚜껑과 상기 하부마개를 연결하는 연결대, 및
    상기 상부뚜껑의 상부에 설치되어 우수를 감지할 경우, 상기 하부마개가 상기 우수배출공을 밀폐하도록 상기 마개구동부를 제어하며 우수를 감지하는 우수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계장제어서버는 상기 복수 개의 계장제어가로등에서 각각 발신되는 우수량을 측정한 측정신호를 제공받아 우수량의 평균을 구하고 우수량의 평균을 기초하여 범람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연결단자부는 상기 인입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대, 상기 인입선의 단부에 결합되며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선결합부싱, 상기 단자대에서 상기 인입선이 인입되는 부분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인입지지대, 상기 인입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선결합부싱이 내주에 나사체결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선결합부싱을 상기 단자대가 위치된 부분으로 이동시켜 상기 인입선을 상기 단자대에 연결하거나, 상기 선결합부싱을 상기 단자대에서 이격되도록 이동시켜 상기 인입선을 상기 단자대에서 분리하는 부싱이동부재, 상기 부싱이동부재를 회전시키는 부싱구동부, 및 상기 단자대에서 상기 인입선의 분리 시 상기 인입선의 노출되는 끝단에 끼워져 침수에 의한 감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상기 단자대에서 상기 단자대와 상기 인입지지대의 사이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자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안전 계장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장제어가로등의 하부에 위치되어 하천의 범람에 따른 침수를 감지하여 상기 인입선이 상기 단자대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계장제어가로등의 침수를 감지하여 상기 부싱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침수감지센서,
    상기 침수감지센서를 가려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침수감지센서를 개방 또는 밀폐하는 센서커버, 및
    상기 하부마개가 상기 우수받이에 우수를 받기 위해 상부로 이동할 때, 상기 센서커버를 개방하도록 상기 센서커버와 상기 하부마개를 연결하는 연결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안전 계장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카메라가 촬영하는 산책로에 표시되는 침수감지마커를 포함하고,
    침수감지센서는 상기 감시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침수감지마커가 미검출되는 경우, 상기 산책로가 침수된 것으로 판단하여 하천의 범람에 따른 침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안전 계장 제어 시스템.
KR1020190046916A 2019-04-22 2019-04-22 하천 안전 계장 제어 시스템 KR102004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916A KR102004919B1 (ko) 2019-04-22 2019-04-22 하천 안전 계장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916A KR102004919B1 (ko) 2019-04-22 2019-04-22 하천 안전 계장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4919B1 true KR102004919B1 (ko) 2019-07-29

Family

ID=67480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916A KR102004919B1 (ko) 2019-04-22 2019-04-22 하천 안전 계장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9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979B1 (ko) * 2019-11-19 2021-05-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다목적 스마트 쉘터
KR102495959B1 (ko) * 2022-06-07 2023-02-06 정재호 인재 사고 예방을 위한 차단 시스템
CN116311796A (zh) * 2022-12-16 2023-06-23 华南农业大学 一种基于计算机视觉识别的河道防洪预警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191A (ko) * 2005-03-23 2006-09-27 영 성 이 침수 상황 대처를 위한 교통 통제 시스템
KR101092093B1 (ko) * 2010-04-29 2011-12-13 주식회사 케이티 침수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로등
KR20130125456A (ko) * 2012-05-09 2013-11-19 현대해상화재보험 주식회사 도로 침수 감지 장치를 이용한 도로 침수 안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191A (ko) * 2005-03-23 2006-09-27 영 성 이 침수 상황 대처를 위한 교통 통제 시스템
KR101092093B1 (ko) * 2010-04-29 2011-12-13 주식회사 케이티 침수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로등
KR20130125456A (ko) * 2012-05-09 2013-11-19 현대해상화재보험 주식회사 도로 침수 감지 장치를 이용한 도로 침수 안내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979B1 (ko) * 2019-11-19 2021-05-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다목적 스마트 쉘터
KR102495959B1 (ko) * 2022-06-07 2023-02-06 정재호 인재 사고 예방을 위한 차단 시스템
CN116311796A (zh) * 2022-12-16 2023-06-23 华南农业大学 一种基于计算机视觉识别的河道防洪预警系统
CN116311796B (zh) * 2022-12-16 2023-08-25 华南农业大学 一种基于计算机视觉识别的河道防洪预警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4919B1 (ko) 하천 안전 계장 제어 시스템
CN109162300B (zh) 一种智慧排水井盖
KR101525985B1 (ko) 승하강 방식의 지중 매립형 배전반의 시공구조
KR101113070B1 (ko) 농수로의 실시간 물관리 감시 시스템
US20170352266A1 (en) Advanced flood gauge
KR102149176B1 (ko) 5g 네트워크 기반 지능형 고속도로 교통 시스템
CN113203433B (zh) 一种煤矿井下突水预警监测装置及方法
CN116499558B (zh) 一种环境监测装置
KR20060102191A (ko) 침수 상황 대처를 위한 교통 통제 시스템
CN107036019A (zh) 一种智能路灯
KR20210083025A (ko) 인공지능 기반 횡단보도 보행자 검출 및 사고 예방 시스템
CN109137991A (zh) 一种智能窨井盖
CN208999790U (zh) 具有积水监测功能的路灯
KR200455665Y1 (ko) 외부수위감지통지장치가 설치된 이동식화장실
TWI531781B (zh) 水位偵測警示裝置
CN213028356U (zh) 一种道路积水自动监测、预警和智能拦截系统
JP2004044316A (ja) ゲート設備
CN108978845B (zh) 一种在雨天能自动开关排除杂物的雨水篦子装置
US8051955B2 (en) Elevator alert for fluid overflow into elevator pit
KR102602535B1 (ko)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JP7373784B2 (ja) 照明器具及び照明システム
JP2005282172A (ja) 地下への雨水流入防止装置
CN219716217U (zh) 一种下沉式隧道防汛自动化监测与控制系统
CN218214355U (zh) 一种智能窨井盖装置
CN216118994U (zh) 一种市政道路下水井智能报警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