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405B1 - 라돈저감장치의 시공 환경 점검 방법 - Google Patents

라돈저감장치의 시공 환경 점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405B1
KR102004405B1 KR1020170090552A KR20170090552A KR102004405B1 KR 102004405 B1 KR102004405 B1 KR 102004405B1 KR 1020170090552 A KR1020170090552 A KR 1020170090552A KR 20170090552 A KR20170090552 A KR 20170090552A KR 102004405 B1 KR102004405 B1 KR 102004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on
soil
sound pressure
building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8762A (ko
Inventor
원용천
Original Assignee
씨앤에치아이앤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앤에치아이앤씨(주) filed Critical 씨앤에치아이앤씨(주)
Priority to KR1020170090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405B1/ko
Publication of KR20190008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2Treating ga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돈저감장치의 시공 환경 점검방법을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건물 하단의 토양측에 음압테스트기가 연결될 수 있도록 지상으로 일부가 노출되는 점검구를 시공하여, 매립된 라돈저감장치가 작동하여 라돈을 포함하는 공기를 대기중으로 방출시킬 때 측정되는 음압 변화량으로부터 라돈저감장치의 시공 상태가 정상 또는 비정상인지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유지 보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라돈저감장치에 의한 라돈 제거 효율성을 높인 것이다.

Description

라돈저감장치의 시공 환경 점검 방법{Driving environment examination method of that do radon reduction device}
본 발명은 건물 하단의 토양내에 설치되는 라돈저감장치의 시공 상태를 점검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하단에 토양 배기법의 라돈저감장치가 시공되어 매몰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그 시공 상태가 정상 또는 불량인지를 점검구를 통한 음압 측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라돈저감장치의 시공 환경 점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돈(Rn)은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무색, 무취, 무미의 수용성 방사성 가스로 원자량 219, 220과 222의 동위원소를 가지며, 이들은 각각 U-235, Th-232, U-222의 방사성 붕괴산물로서 불활성이어서 이동도가 크고 공기보다 무겁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쉽게 흡입될 가능성이 크다.
라돈은 대기중에서 일정기간(예; 3일정도)이 경과되면 자연적으로 없어지는 것이지만, 실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흡연에 이은 제 2의 폐암 발생 원인이 되며, 특히 실내 대기중 라돈의 농도가 매우 적을지라도 방사선 발생에 의해 폐에 손상을 입힐 수 있고, 토양가스, 건축자재, 지하수 등에 의해 라돈이 꾸준히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어 지구상 어느 공간에서나 분포할 수 있다는 점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그러나, 라돈 방사능의 문제가 심각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일반인에게 거의 인식되지 않았으며, 정부의 규제 조치 역시 미흡하여 일상적인 실내 공간에서 사람들이 자신도 모르는 사이 라돈을 흡입하여 건강을 해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종래에는 공개특허공보 제 10-2011-72590 호(공개일 2011.06.29.), 공개특허공보 제 10-2012-66484 호(공개일 2012.06.22.)와 같이 라돈을 검출하는 장비는 물론, 지하수에 함유되는 라돈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장비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들은 라돈검출장비를 통해 검출되는 라돈을 라돈저감장치(예; 송풍장치)를 통해 대기중으로 방출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들은 라돈의 분포 범위 및 농도에 대응하여 적합한 규격의 라돈저감장치를 선정하고 시공한 것이 아니라, 단순히 라돈을 대기중으로 방출시키는 것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이러한 방식은 라돈저감장치를 쉼없이 동작시켜야 하는 것이며, 이 경우 라돈저감장치의 과부하로 인해 고장 등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선행기술들의 라돈저감장치를 시공시 그 시공은 라돈의 분포범위는 물론 농도를 고려하여 적합한 규격(예; 배기용량, 부하압력)을 선정한 것이 아니라, 단순히 라돈을 대기중으로 방출할 수 있으면 규격에 관계없이 그 시공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에따라 종래에는 라돈저감장치의 용량이 부족하거나 또는 초과되면서, 라돈 저감 효율을 떨어뜨리거나 또는 불필요한 전력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질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본원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도록 등록특허공보 제10-1606552호(등록일 2016.03.21)의 '라돈저감장치 설계 적합도 선정시스템과 그 선정방법'에 대한 특허를 출원하여 등록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등록특허의 경우에도, 일단 토양내에 라돈저감장치에 포함되는 흡입구를 가지는 관체를 시공한 후 이를 매몰시키게 되면, 그 매몰작업에서 흡입구를 통해 관체의 내부로 토양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에따라 라돈팬의 구동으로부터 토양속 라돈이 포함되는 공기를 대기중으로 강제 배기시킬 때 그 배기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건물 하단의 토양속에 라돈저감장치에 포함되는 관체를 시공하여 매몰 작업이 완료되면, 매몰된 관체의 육안 확인이 어렵게 된다.
이때, 토양속에 매몰되는 관체의 흡입구를 통해 관체 내부에는 토양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 관체내에 유입된 토양 이물질이 관체내의 공간에서 장애요소로 작용하게 되고, 이에따라 지상의 라돈팬을 구동하여 토양속 라돈이 포함되는 공기를 대기중으로 방출시킬 때, 그 방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지만,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방출 오류를 확인하는 수단이 제공되어 있지 않았다.
즉, 토양속에 매몰된 관체의 내부에 토양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지상에 위치하는 라돈팬이 정상적으로 구동하는 경우, 라돈저감장치 전체가 정상적으로 시공된 것으로 판단하였던 것이다.
일예로, 라돈저감장치는 토양속에 관체가 매설되고, 지상에는 상기 관체에 연결되는 라돈팬을 설치하는 것이 통상적인데, 상기 라돈팬의 경우에는 지상에 위치하므로 그 작동 성능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토양속에 매설된 관체는 막힘 상태 등을 확인하기 어려운 관계로, 라돈저감장치에 대한 시공 상태가 정상적인지 아니면 비정상적인지를 제대로 확인할 수 없었고, 이에따라 라돈저감장치에 의한 라돈 제거 효율성은 떨어질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 하단의 토양측에 음압테스트기가 연결될 수 있도록 지상으로 일부가 노출되는 점검구를 시공하여, 매립된 라돈저감장치의 시공 상태가 정상 또는 비정상인지를 토양속 음압 변화량을 통해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라돈저감장치의 시공 환경 점검 방법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라돈저감장치의 시공 환경 검검방법은, (a) 건물 하단의 토양에 라돈흡입부와 이에 연결되면서 지상으로 노출되는 배출관체, 그리고 상기 배출관체에 설치되는 지상의 라돈팬을 포함하는 토양 배기법의 라돈저감장치를 매립 시공하는 공정; (b) 상기 (a)공정으로부터 라돈저감장치가 매립 시공되는 건물 하단의 토양에 지상으로 일부가 노출되도록 점검구를 매립 시공하는 공정; (c) 상기 (b)공정으로부터 매립 시공된 점검구에 음압테스트기를 연결한 후, 상기 (a)공정을 통해 매립 시공이 완료된 라돈저감장치를 작동시키는 공정; (d) 상기 (c)공정으로부터 라돈저감장치의 작동시 상기 음압테스트기를 통해 측정되는 음압 변화량을 측정하여 표시하는 공정; 및, (e) 상기 (d)공정으로부터 상기 음압테스트기에 표시되는 음압 변화량이 기준값보다 높거나 같으면 상기 라돈저감장치의 시공 환경을 정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기준값보다 낮으면 상기 라돈저감장치의 시공 환경을 비정상으로 판단하는 공정; 을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e)공정에는, 상기 라돈저감장치의 시공 환경이 비정상으로 판정시, 지상에 위치하는 라돈팬의 작동에 따른 부하 압력이 정상범위인지를 측정하는 공정; 및, 상기 라돈팬의 측정된 부하 압력이 정상이면, 건물 하단의 토양속에 매설되는 라돈흡입부 또는 배출관체에 라돈을 포함하는 공기의 배출에 대한 장애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공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음압테스트기에는 라돈저감장치의 정상 작동시 측정되는 토양속 음압변화량의 기준값이 저장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라돈을 포함하는 공기의 배출에 대한 장애요소는 라돈저감장치에 대한 매립 시공시 라돈 흡입부 또는 배출관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토양 이물질인 것이다.
또한, 상기 (b)공정에서 상기 점검구는 덮개에 의해 밀폐되도록 시공되며, 상기 덮개는 상기 (c)공정에서 상기 음압테스트기의 연결을 위해 분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점검구는 건물내 하단의 토양에 매설되어 일부가 지상으로 노출되는 바이퍼 핀(Vapor Pin)인 것이다.
또한, 상기 (a)공정에서 건물 하단의 토양속에 매설되는 상기 라돈 흡입부는 토양속에서 라돈이 포함되는 공기를 집진하는 것으로, 복수의 제 1 돌기가 형성되는 다공성 재질의 하부매트; 및, 상기 하부매트와 결합되고, 상기 제 1 돌기에 대응하는 개수의 제 2 돌기를 형성하면서 내부 유로를 형성하게 되는 다공성 재질의 상부매트; 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매트 또는 상기 상부매트에는 상기 내부 유로에 유입되는 라돈이 포함되는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구에는 가이드 관체의 일단을 연결하며, 상기 가이드 관체의 타단에는 상기 배출관체를 연결하는 시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a)공정에서 라돈저감장치가 매립 시공시, 지상으로 토양속 라돈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시키기 위한 라돈차단막을 상기 건물 하단과 상기 라돈 흡입부 사이에 시공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건물 하단의 토양측에 음압테스트기가 연결될 수 있도록 지상으로 일부가 노출되는 점검구를 시공하여둔 것이고, 이를 통해 매립된 라돈저감장치가 작동하여 라돈을 포함하는 공기를 대기중으로 방출시킬 때 측정되는 음압 변화량으로부터 라돈저감장치의 시공 상태가 정상 또는 비정상인지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유지 보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라돈저감장치에 의한 라돈 제거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라돈저감장치의 시공 환경 검검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라돈저감장치의 시공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라돈저감장치의 시공 환경을 점검하기 위해 점검구에 음압테스트기가 연결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거나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라돈저감장치의 시공 환경 검검방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라돈저감장치의 시공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라돈저감장치의 시공 환경을 점검하기 위해 점검구에 음압테스트기가 연결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돈저감장치의 시공 환경 점검방법은,
건물 하단의 토양에 라돈저감장치에 포함되는 라돈 흡입부(10)와 배출관체(20)를 매립 시공한 상태에서, 상기 라돈 흡입부(10)와 배출관체(20)의 시공 환경이 정상적인지 또는 비정상적인지를 점검하고 그 점검 결과에 따라 후속조치(예; 재시공, 교체, 보수 등)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는 라돈저감장치의 매립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토양속에 매립 시공되는 상기 라돈 흡입부(10)와 배출관체(20)의 상태를 육안으로 전혀 확인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돈저감장치의 시공 환경 점검방법은 (a),(b),(c),(d),(e)의 순서로 공정이 진행되는 것을 설정하여둔 것이다.
상기 (a)공정은,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건물 하단의 토양속에 라돈흡입부(10)를 매립 시공하는 한편, 상기 라돈 흡입부(10)에 연결되면서 지상으로 일부가 노출되는 배출관체(20)를 매립 시공하고, 상기 배출관체(20)에 설치되는 지상의 라돈팬(30)을 포함하는 토양 배기법의 라돈저감장치를 매립 시공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것이다.
즉, 건물 하단의 토양속에서 라돈이 포함되는 공기를 집진하는 상기 라돈흡입부(10)를 매립 시공한 후, 상기 라돈흡입부(10)에 연결되면서 건물 일단의 지상으로 일부 노출되는 배출관체(20)를 연결 시공하는 한편, 지상에 노출된 상기 배출관체(20)에 라돈팬(30)을 연결 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a)공정의 라돈저감장치에 대한 매립 시공에서, 상기 라돈 흡입부(10)는 토양속에서 라돈이 포함되는 공기의 원활한 집진을 위해, 기본적으로 관체를 구성하게 되지만,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복수의 제 1 돌기(11a)가 형성되는 다공성 재질의 하부매트(11)와, 상기 하부매트(11)와 결합되고 상기 제 1 돌기(11a)에 대응하는 개수의 제 2 돌기(12a)를 형성하면서 내부 유로(U1)를 형성하게 되는 다공성 재질의 상부매트(12)로 설계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하부매트(11) 또는 상기 상부매트(12)에는 상기 내부 유로(U1)에 유입되는 라돈이 포함되는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13)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배출구(13)에는 가이드 관체(40)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가이드 관체(40)의 타단에는 상기 배출관체(20)를 연결하는 시공이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a)공정의 라돈저감장치에 대한 매립 시공에서, 상기 라돈저감장치에는 필요에 따라 라돈차단막(50)을 더 포함하여 시공할 수도 있으며, 상기 라돈차단막(50)은 토양속의 라돈이 지상의 건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 (b)공정은, 상기 (a)공정으로부터 매립 시공되는 건물 하단의 토양속에 지상으로 일부가 노출되는 점검구(60)를 시공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점검구(60)는 건물내 하단의 토양에 매설되어 일부가 지상으로 노출되는 바이퍼 핀(Vapor Pin)으로, 상기 바이퍼 핀에는 음압테스트기(70)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점검구(60)는 덮개(61)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음압테스트기(70)의 연결이 필요로 할 때, 상기 덮개(61)는 상기 점검구(60)로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c)공정은,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a)공정을 통해 라돈저감장치의 매립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라돈저감장치에 포함되는 라돈흡입부(10)와 배출관체(20)에 대한 시공 환경이 육안으로 전혀 확인할 수 없는 것을 감안한 것으로서, 상기 라돈흡입부(10)와 배출관체(20)가 제대로 시공 즉, 상기 라돈흡입부(10)와 상기 배출관체(20)의 매립 시공이 이루어질 때, 상기 라돈흡입부(10)와 배출관체(20)의 내부에 라돈이 포함되는 공기의 배출에 장애요소로 작용하는 토양 이물질이 유입되어 있는지를 점검하도록, 상기 점검구(60)에 음압테스트기(70)를 연결하는 한편, 상기 라돈팬(30)을 구동시키는 공정인 것이다.
상기 (d)공정은, 상기 (c)공정으로부터 라돈팬(20)이 구동하는 상태에서, 상기 점검구(60)에 연결되는 음압테스트기(70)에서 토양내에 걸리는 음압 변화량을 측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e)공정은, 상기 (d)공정으로부터 측정되는 음압 변화량이 설정된 기준값보다 높거나 같으면 상기 라돈흡입부(10)와 배출관체(20)가 정상적으로 시공된 것이라 판단하고, 측정된 음압 변화량이 상기 기준값보다 낮으면 시공 환경이 비정상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e)공정에서 상기 라돈저감장치의 시공 환경이 비정상으로 판정시, 지상에 위치하는 라돈팬(30)의 작동에 따른 부하 압력이 정상범위인지를 측정하는 한편, 상기 라돈팬(30)의 측정된 부하 압력이 정상인 경우, 건물 하단의 토양속에 매설되는 라돈흡입부(10) 또는 배출관체(20)에 라돈을 포함하는 공기의 배출에 대한 장애요소 즉, 상기 라돈 흡입부(10) 또는 배출관체(20)의 내부로 토양 이물질이 유입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음압테스트기(70)에는 라돈저감장치의 정상 작동시 측정되는 토양속 음압변화량의 기준값이 저장될 수 있으며, 이에따라 상기 음압테스트기(70)를 통해 측정되는 음압 변화량은 상기 기준값과 비교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돈저감장치의 시공 환경 검검방법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우선 건물이 신축될 지면에 라돈흡입부(10)와 배출관체(20) 및 라돈팬(30), 그리고 및/또는 라돈차단막(50)과 덮개(61)에 의해 밀폐되는 점검구(60)를 매립 시공하여둔다.
이때, 상기와 같이 매립 시공이 이루어지면, 작업자는 상기 라돈흡입부(10)와 배출관체(20)의 시공이 정상적인지 또는 그 내부에 토양 이물질이 유입되어 있는지를 육안으로 전혀 확인할 수 없게 된다.
이에따라, 상기 라돈팬(30)을 구동시켜, 대기중으로 토양속에 라돈이 포함되는 공기를 강제 배출시킬 때, 그 배출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또는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매립 시공된 상기 점검구(60)로부터 덮개(11)를 분리시킨 후, 상기 점검구(60)에 음압테스트기(70)를 연결하여둔다.
다음으로, 상기 라돈팬(30)을 구동시키면서, 상기 음압테스트기(70)를 통해 토양내에 걸리는 음압 변화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음압테스트기(70)에는 측정된 음압 변화량이 표시되므로, 작업자는 상기 표시되는 음압 변화량을 통해 상기 라돈흡입부(10)와 배출관체(20)의 내부에 토양 이물질이 유입되어 있는지 아니면 토양 이물질이 없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매립 시공이 이루어진 상기 라돈흡입부(10) 및/또는 배출관체(20)의 내부에 토양 이물질이 유입되면, 상기 라돈팬(30)의 구동이 이루어질 때, 상기 라돈흡입부(10) 및/또는 상기 배출관체(20)에서의 라돈 배출 압력은 작아질 수 밖에 없으며, 이 경우 상기 음압테스트기(70)를 통해 측정되는 음압 변화량은 설정된 기준값보다 작게 표시되므로, 작업자는 작게 표시되는 상기 음압 변화량으로부터 상기 라돈흡입부(10) 및/또는 배출관체(20)의 시공에 문제가 있음을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작업자는 라돈팬(30)이 정상적으로 구동하는 상태에서, 토양내에 걸리는 음압 변화량(기준값)이 어느 정도인지를 알고 있는 것을 감안한 것이지만, 상기 음압테스트기(70)에서 정상적인 기준값이 표시될수도 있으며, 이에따라 작업자는 음압테스트기(70)를 통해 손쉽게 매립 시공으로 인해 육안 확인이 어려운 라돈흡입부(10) 및/또는 배출관체(20)의 시공 환경이 정상 또는 비정상인지를 손쉽게 점검할 수 있으며, 비정상적인 시공 환경인 경우에는 상기 라돈 흡입부(10) 및/또는 배출관체(20)의 내부에 침투한 이물질을 제거하는 보수 공사를 바로 진행할 수 있게 되면서, 라돈저감장치를 통한 토양속 라돈의 대기중 방출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라돈 흡입부 11; 하부매트
11a; 제 1 돌기 12; 상부매트
12a; 제 2 돌기 13; 배출구
20; 배출관체 30; 라돈팬
40; 가이드관체 50; 라돈차단막
60; 점검구 61; 덮개
70; 음압테스트기 U1; 내부 유로

Claims (7)

  1. (a) 건물 하단의 토양에 라돈흡입부와 이에 연결되면서 지상으로 노출되는 배출관체, 그리고 상기 배출관체에 설치되는 지상의 라돈팬을 포함하는 토양 배기법의 라돈저감장치를 매립 시공하는 공정;
    (b) 상기 (a)공정으로부터 라돈저감장치가 매립 시공되는 건물 하단의 토양에 지상으로 일부가 노출되도록 점검구를 매립 시공하는 공정;
    (c) 상기 (b)공정으로부터 매립 시공된 점검구에 음압테스트기를 연결한 후, 상기 (a)공정을 통해 매립 시공이 완료된 라돈저감장치를 작동시키는 공정;
    (d) 상기 (c)공정으로부터 라돈저감장치의 작동시 상기 음압테스트기를 통해 측정되는 음압 변화량을 측정하여 표시하는 공정; 및,
    (e) 상기 (d)공정으로부터 상기 음압테스트기에 표시되는 음압 변화량이 기준값보다 높거나 같으면 상기 라돈저감장치의 시공 환경을 정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기준값보다 낮으면 상기 라돈저감장치의 시공 환경을 비정상으로 판단하는 공정; 을 포함하고,
    상기 (e)공정에는 상기 라돈저감장치의 시공 환경이 비정상으로 판정시 지상에 위치하는 라돈팬의 작동에 따른 부하 압력이 정상범위인지를 측정하는 공정; 및, 상기 라돈팬의 측정된 부하 압력이 정상이면 건물 하단의 토양속에 매설되는 라돈흡입부 또는 배출관체에 라돈을 포함하는 공기의 배출에 대한 장애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공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돈저감장치의 시공 환경 검검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테스트기에는 라돈저감장치의 정상 작동시 측정되는 토양속 음압변화량의 기준값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돈저감장치의 시공 환경 검검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공정에서 상기 점검구는 덮개에 의해 밀폐되도록 시공되며, 상기 덮개는 상기 (c)공정에서 상기 음압테스트기의 연결을 위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돈저감장치의 시공 환경 검검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구는 건물내 하단의 토양에 매설되어 일부가 지상으로 노출되는 바이퍼 핀(Vapor P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돈저감장치의 시공 환경 검검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공정에서 건물 하단의 토양속에 매설되는 상기 라돈 흡입부는 토양속에서 라돈이 포함되는 공기를 집진하는 것으로,
    복수의 제 1 돌기가 형성되는 다공성 재질의 하부매트; 및, 상기 하부매트와 결합되고, 상기 제 1 돌기에 대응하는 개수의 제 2 돌기를 형성하면서 내부 유로를 형성하게 되는 다공성 재질의 상부매트; 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매트 또는 상기 상부매트에는 상기 내부 유로에 유입되는 라돈이 포함되는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구에는 가이드 관체의 일단을 연결하며, 상기 가이드 관체의 타단에는 상기 배출관체를 연결하는 시공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돈저감장치의 시공 환경 검검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공정에서 라돈저감장치가 매립 시공시, 지상으로 토양속 라돈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시키기 위한 라돈차단막을 상기 건물 하단과 상기 라돈 흡입부 사이에 시공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돈저감장치의 시공 환경 검검방법.
KR1020170090552A 2017-07-17 2017-07-17 라돈저감장치의 시공 환경 점검 방법 KR102004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552A KR102004405B1 (ko) 2017-07-17 2017-07-17 라돈저감장치의 시공 환경 점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552A KR102004405B1 (ko) 2017-07-17 2017-07-17 라돈저감장치의 시공 환경 점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762A KR20190008762A (ko) 2019-01-25
KR102004405B1 true KR102004405B1 (ko) 2019-07-26

Family

ID=65280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552A KR102004405B1 (ko) 2017-07-17 2017-07-17 라돈저감장치의 시공 환경 점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40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794B1 (ko) * 2013-07-12 2014-10-08 씨앤에치아이앤씨(주) 토양의 라돈 위험도 측정시스템 및 그 측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800U (ko) * 2014-01-07 2015-07-15 씨앤에치아이앤씨(주) 라돈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794B1 (ko) * 2013-07-12 2014-10-08 씨앤에치아이앤씨(주) 토양의 라돈 위험도 측정시스템 및 그 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762A (ko) 201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4487B1 (ko) 맨홀의 악취저감장치 및 그 시스템
KR20170136966A (ko) 흡입된 샘플링 시스템에 대한 개선
KR101956628B1 (ko) 환경적으로 격리된 사용후핵연료 저장조
JP2010096741A (ja) 非破壊検査装備
KR20190122605A (ko) 결로방지 및 빗물유입방지가 가능한 맞춤형 토양 라돈가스 배출 시스템
KR102004405B1 (ko) 라돈저감장치의 시공 환경 점검 방법
CN101322021B (zh) 气体管泄漏的排空和监测系统
GB2593420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entilation of freight containers
US8536522B2 (en) Mass spectrometer
KR100817223B1 (ko) 다면체 멤브레인을 이용한 고감도 온라인 유중가스검출장치
JPH05246485A (ja) 地上貯蔵タンクからの漏れ又は漏れ路の防止、検知及び/又は修復方法及び装置
KR100824810B1 (ko) 진공 하수수집 시스템용 매설형 진공펌프장
KR101443794B1 (ko) 토양의 라돈 위험도 측정시스템 및 그 측정방법
CA250350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eak testing an environmental enclosure
US9378856B2 (en) Mobile system for intervention in an atmosphere of radioactive gas, notably tritium
JP2001174586A (ja) 放射性ダストの捕集方法および捕集装置
JP2012103119A (ja) 除去効果測定システム
KR20180051251A (ko) 라돈 농도 검출을 이용한 지진 모니터링 시스템
KR20150002800U (ko) 라돈 배출장치
KR102106327B1 (ko) 지하수 오염확산 방지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지하수 오염확산 방지방법
KR101606552B1 (ko) 라돈저감장치 설계 적합도 선정시스템과 그 선정방법
WO2010136825A1 (en) Detachable and replaceable ion source for a mass spectrometer
BRPI0213710B1 (pt) “dispositivo coletor de emissões decorrentes de vazamento”
JP2002211684A (ja) 高圧気体貯蔵施設およびその漏洩検知方法ならびに漏洩ガス検知・捕集設備の機能性確認方法
JP2006349139A (ja) 筐体の接合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