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839B1 - Double parking system - Google Patents

Double park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839B1
KR102003839B1 KR1020180002552A KR20180002552A KR102003839B1 KR 102003839 B1 KR102003839 B1 KR 102003839B1 KR 1020180002552 A KR1020180002552 A KR 1020180002552A KR 20180002552 A KR20180002552 A KR 20180002552A KR 102003839 B1 KR102003839 B1 KR 102003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ground
space
par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5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84603A (en
Inventor
백승엽
Original Assignee
백승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엽 filed Critical 백승엽
Priority to KR1020180002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839B1/en
Publication of KR20190084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6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8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2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 E04H6/06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with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065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with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using tiltable floors or 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단 주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량을 상측과 하측에 이단으로 주차할 수 있도록 하되, 상측 주차공간과 하측 주차 공간 상호 간의 간섭 없이 상측 및 하측 주차 공간에 개별적으로 차량을 신속하게 편리하게 주차 또는 출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지면으로부터 지하 측으로 하향 경사진 지하측 경사면(11) 상에 차량을 주차 가능하게 하는 하측 주차공간(10)과, 지면으로부터 공중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차량을 주차 가능하게 마련된 상측 주차대(20)를 포함하되, 상기 상측 주차대(20)는 상기 하측 주차공간(10) 위에 배치되고, 상기 하측 주차공간(10)과 상기 상측 주차대(20)의 각 차량 출입구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된 이단 주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wo-stage park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two-stage parking system in which a vehicle can be parke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with two ends, wherein the upper and lower parking spaces A lower parking space 10 for allowing the vehicle to park on an underground side slope 11 inclined downward from the ground to the lower side so as to be conveniently parked or departed from the ground, The upper parking zone 20 is disposed on the lower parking space 10 and is located above the lower parking space 10 and the vehicle doorway 20 of the upper parking zone 20, To a two-way parking system arrang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Description

이단 주자 시스템{DOUBLE PARKING SYSTEM}DOUBLE PARKING SYSTEM

본 발명은 이단 주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량을 상측과 하측에 이단으로 주차할 수 있도록 하되, 상측 주차공간과 하측 주차 공간의 간섭 없이 상측 및 하측 주차 공간에 개별적으로 차량을 신속하게 편리하게 주차 또는 출차할 수 있도록 하는 이단 주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wo-tier park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rking system that allows a vehicle to be parked on both upper and lower sid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wo-level parking system which enables convenient parking or departure.

일반적으로 차량을 주차할 때 공간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차량을 상측과 하측에 이단으로 주차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다수 제안된 바 있으며, 이에 관한 선행기술문헌의 몇 가지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48886호(특허문헌 1)의 '개량 스윙식 주차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95791호(특허문헌 2)의 '주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22779호(특허문헌 3)의 '이단 주차 장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1245호(특허문헌 4)의 '자주식 주차장치' 등이 있다.Generally, in order to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when parking the vehicle, many devices have been proposed for allowing the vehicle to be parke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vehicle. Some examples of related prior art documents include a utility model registered in Korea No. 20-0148886 (patent document 1), "Parking lot" of Korean Patent No. 10-019579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4-0022779), Patent Document 3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 , "Self-parking device" of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81245 (Patent Document 4), and the like.

이와 같은 선행기술문헌들은 차량을 상측과 하측에 이단으로 주차 가능하게 함으로서 주차시의 공간 활용성을 높이도록 한 것인데, 이러한 장치는 대부분 차량이 주차대 위에 올라서면 그 주차대를 공중으로 상승시키고, 주차대 아래에 형성된 공간에 타 차량을 주차할 수 있게 한 것이다.These prior art documents are intended to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parking space by allowing the vehicle to be parke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vehicle. Most of these devices raise the parking space in the air when the vehicle is above the parking space, So that the vehicle can be parked in a space formed in the vehicle.

그러나 이러한 주차 시스템은, 예를 들면 차량이 상측과 하측에 모두 주차된 상태에서 상측 차량을 출차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먼저 하측 차량을 빼낸 다음, 주차대를 지면까지 하향 이동시켜야만 비로소 주차대 상의 차량을 출차할 수 있으므로 항시 주차 관리인이 대기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어 인건비가 과다하게 소요될 뿐 아니라, 차주 역시 차량을 출차 가능한 상태가 되기까지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더욱이 상측 차량을 출차시키기 위해서 하측 차량을 임시 보관할 수 있는 충분한 주차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데, 주차장 공간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혹은 차량이 만차인 경우 이러한 임시 주차 공간을 확보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However, in such a parking system,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is parke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upper vehicle is to be released, the lower vehicle must first be taken out, and then the parking bar must be moved downward to the grou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ecessary to wait for the parking lot to be able to leave the vehicle. In addition,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borrower must wait for the vehicle to be able to leave the vehicle. Further, There is a lot of difficulty in securing such a temporary parking space when the parking space is not sufficient or when the vehicle is full.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72190호(특허문헌 5)의 '자주식 주차장치의 시이소형 경사로'는, 자주식 주차장치의 고정형 경사로를 길이방향으로 2등분하여 상·하로 변환하는 시이소오형 기구로 구성함으로써 상·하 주차면에 차량이 서로 간섭없이 출입 주차하고 난 후에는 경사로의 2/1이 지면과 동일한 평면으로 공간활용이 가능하므로 고정형 경사로를 설치할 수 없는 적은 땅의 주차장치에도 사용 가능한 고 주차효율의 구조를 제안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Seibo type ramp of self parking type parking device' of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72190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5) divides the fixed type ramp of the self parking type parking device into two par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arking space can be utilized in the same plane as the ground surface, so that the parking lot can be parked in a small area where a fixed ramp can not be installed. And a structure of a high parking efficiency which can be used for a device has been proposed.

그러나 특허문헌 5 역시 차량을 상부 주차면에 주차한 상태에서, 하부 주차면에 차량을 진입하거나 진출시키는 경우에 하부 경사로를 아래로 이동시키고 상부 경사도를 위로 이동시켜야만 비로소 하부 주차면으로의 차량 진입 또는 진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경사로가 작동하는 시간을 허비하는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였다. However, in Patent Document 5, when the vehicle is parked on the upper parking surface and the vehicle is entered or advanced on the lower parking surface, only the lower ramp is moved downward and the upper inclination is moved upward, The problem of wasting time on the ramp is still not solved because it is possible to advance.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48886호 (1999.06.15 공고)1.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148886 (published on June 15, 1999)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95791호 (1999.06.15 공고)2. Korean Patent No. 10-0195791 (published on June 15, 1999) 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22779호 (2004.03.18 공개)3.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4-0022779 (published on March 18, 2004) 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1245호 (2002.07.12 공고)4.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81245 (Notice of July 12, 2002) 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72190호 (2004.12.28 공고)5.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72190 (published on December 28, 2004)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기술이 내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을 상측과 하측에 각각 주차하기 위한 이단 주차 시스템에 있어서, 상측 주차공간과 하측 주차 공간을 서로 간섭 없이 독립적으로 배치하여 상측 주차공간 또는 하측 주차공간으로 차량을 주차하거나 출차할 때 타 주차공간의 차량 주차 여부와 관계없이 곧바로 차량을 주차 또는 출차할 수 있게 하는 이단 주차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wo-stage parking system for parking a vehicle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al parking system which allows a vehicle to be parked or departed immediately when the vehicle is parked or departed from a space or a lower parking space regardless of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in another parking spa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단 주차 시스템은,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wo-

지면으로부터 지하 측으로 하향 경사진 지하측 경사면 상에 차량을 주차 가능하게 하는 하측 주차공간과, 지면으로부터 공중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차량을 주차 가능하게 마련된 상측 주차대를 포함하되,A lower parking space for parking the vehicle on an underground slope downwardly inclined from the ground to an underground side, and an upper parking block installed upwardly sloping from the ground toward the air so as to permit parking of the vehicle,

상기 상측 주차대는 상기 하측 주차공간 위에 배치되고, 상기 하측 주차공간과 상기 상측 주차대의 차량 출입구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parking zone is disposed on the lower parking space, and the lower parking space and the vehicle entrance of the upper parking zone are disposed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상측 주차대는 지면과의 연결 부분에 힌지부가 마련되고, 일측에 승강장치 연결됨으로써 상기 힌지부를 축으로 스윙 가능하게 되며, 상측 주차대의 하향 회동시 상기 지면과 동일 수평면을 이루게 할 수 있다.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arking zone is provided with a hinge portion at a connection portion with the ground, and the lifting devic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upper parking bar so that the hinge portion can be swung about the axis. When the upper parking bar is rotated downward, .

또한, 이러한 주차 시스템은 측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는 동시에, 주차 진출입로를 사이에 두고 종방향으로 다수 개가 설치됨으로써 대공원이나 대형 마트 등 대단위의 지상 주차장에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uch parking systems are installed laterally, and a plurality of such parking systems are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the parking entrance / exit path interposed therebetween, so that the parking system can be applied to a large-scale ground parking lot such as a grandstand or a large mart.

또한, 상기 지하측 경사면의 최하부에 지하수 관로와 연결된 배수로가 구비되어 하측 주차공간으로 유입된 우수나 오수를 배수하게 할 수 있다. Further, a drainage passage connected to the ground water duct may be provided at the lowermost part of the underground side slope so as to drain the rainwater or wastewater flowing into the lower parking space.

본 발명에 따른 이단 주차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을 상측 주차공간과 하측 주차공간에 개별적으로 주차할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성이 높을 뿐 아니라, 상측 주차공간과 하측 주차공간이 완전히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타 주차공간의 주차 여부에 구애받지 않고 차량을 곧바로 신속하게 주차하거나 출차 가능하므로, 장치를 전환시키기 위한 대기 시간이 필요하지 않을 뿐 아니라 관리인을 상주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차주 입장에서는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주차 관리자 입장에서는 인건비를 줄일 수 있게 경제적 운용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bicentage park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ehicle can be individually parked in the upper parking space and the lower parking space, not only the space utilization is high but also the upper parking space and the lower parking space are completely separated and arranged independently Since it is possible to quickly park or exit the vehicle without regard to whether or not the parking space of the other parking spaces is available, there is no need for waiting time to switch the apparatus, and there is no need to reside the manager so that the convenience can be maximiz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arking manager can be economically operated so as to reduce labor cost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차 시스템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차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차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주차 시스템의 측단면도이다.
1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park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ark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use state of the park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arking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를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양태에만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tention is not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but on the contrary, the intent and scope of the invention encompass ordinary variations and equivalents of the illustrated forms.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된다는 것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어떠한 요소를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를 포함하며,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닌,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 portion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portion, or "indirectly connected" to any element,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added,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차 시스템의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차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차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FIG. 1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park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ark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par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차 시스템(100)은 하측 주차공간(10)과 상측 주차대(20)를 포함함으로써 차량을 이단으로 주차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1, the park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parking space 10 and an upper parking block 20, have.

상기 하측 주차공간(10)은 지면(GL)으로부터 지하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땅을 굴착하여 형성된 지하측 경사면(11) 상에 차량을 주차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때 지하측 경사면(11)의 최하위에서 지면(GL)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지하측 벽면(12)을 형성함으로써 하측 주차공간(10)의 단면이 직각 삼각형 형태를 이루게 할 수 있다.The lower parking space 10 allows the vehicle to be parked on an underground side slope 11 formed by excavating the ground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ground GL to the underground side. At this time, the lower side of the lower side parking space 10 may have a right triangle shape by forming an underground side wall surface 12 formed vertically to the ground level GL from the lowest level of the lower side slope 11.

상기 상측 주차대(20)는 지면(GL)으로부터 공중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차량을 주차 가능하게 마련된 철재 구조물이다.The upper parking block 20 is a steel structure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park the vehicle by being installed upward from the ground GL to the air.

여기서 상기 상측 주차대(20)는 상기 하측 주차공간(10) 위에 배치하여 2단으로 주차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하측 주차공간(10)과 상기 상측 주차대(20)의 각 차량 출입구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한다.The upper parking zone 20 is disposed on the lower parking space 10 so that the upper parking zone 20 can be parked in two tiers and the vehicle entrance of the lower parking space 10 and the upper parking zone 20 are opposite to each other .

이와 같이 구성하면, 하측 주차공간(10)은 도 1을 기준으로 우측에 형성된 출입구를 통해 주차 혹은 출차할 수 있고, 상측 주차대(20)는 도 1을 기준으로 좌측에 형성된 출입구를 통해 주차 혹은 출차할 수 있으므로 하측 주차공간(10)과 상측 주차대(20)가 개별적으로 주차 혹은 출차 가능하다.1, the lower parking space 10 can be parked or departed through an entrance formed on the right side of FIG. 1, and the upper parking space 20 can be parked or departed through an entrance formed on the left side of FIG. The lower parking space 10 and the upper parking zone 20 can be individually parked or departed.

즉, 하측 주차공간(10)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것과 관계없이 상측 주차대(20)로 차량이 곧바로 주차 혹은 출차할 수 있고, 반대로 상측 주차대(20)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것과 관계없이 하측 주차공간(20)으로 차량이 곧바로 주차 혹은 출차할 수 있다.That is, regardless of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lower parking space 10, the vehicle can immediately park or depart from the upper parking zone 20, and conversely, regardless of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on the upper parking zone 20, The vehicle can be immediately parked or departed into the space 20.

한편, 상기 하측 주차공간(10)은 지면(GL)에서 굴착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빗물이나 눈과 같은 우수나 오수가 지하측 경사면(11)을 타고 아래로 흘러내릴 수 있으므로 지하측 경사면(11)의 최하부 위치에 지하수 관로와 연결된 배수로(13)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lower parking space 10 is formed by being excavated from the ground GL so that rainwater or snow like rainwater or wastewater can flow down through the underground side slope 11, the underground side slope 11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drainage passage 13 connected to the groundwater channel.

이와 같이 구성된 주차 시스템(100)은 예를 들면 넓은 주차대지를 마련한 대형 마트 혹은 공영 주차장 등에 적용시 효율적이다.The parking system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effective when applied to a large-sized shopping mall or a public parking lot having a large parking lot, for example.

즉,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충분한 주차 대지를 확보한 경우, 상기 주차 시스템(100)을 측방으로 다수 개 설치하는 한편, 종방향(주차 혹은 출차 가능한 방향)으로 다수 개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주차 시스템(100)을 종방향으로 다수 개 설치하는 경우, 각 주차 시스템(100)을 주차 진출입로(30)를 사이에 두고 일정 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설치하고, 또한 종방향의 주차 시스템(100)은 상기 주차 진출입로(30)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2 and 3, when a sufficient parking lot is ensured, a plurality of parking systems 100 are installed laterally and a plurality of parking systems 100 are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In this case, when a plurality of parking systems 100 are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ach parking system 100 is installed in a state of keeping a certain distance with the parking entrance / exit path 30 therebetween, 100)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parking entrance / exit path (30).

이 경우 주차 진출입로(30)에 진입한 차량은 양쪽에 형성된 지하측 경사면(11) 상에 주차하거나 혹은 양쪽에 형성된 상측 주차대(20)에 주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entry / exit road 30 can be parked on the underground side slope 11 formed on both sides or on the upper parking zone 20 formed on both sides.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주차 시스템의 측단면도로서, 전술한 도 1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적용하고, 그에 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arking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ppli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FIG. 1,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are omitted.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상측 주차대(20)는 지면(GL)과의 연결 부분에 힌지부(21)를 마련하여 힌지부(21)를 기점으로 스윙 회동 가능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상측 주차대(20)의 일측에 승강장치(22)를 연결할 수 있다.4, the upper parking zone 20 may be provided with a hinge portion 21 at a portion connected to the ground GL so as to swing from the hinge portion 21 as a starting point. Further, The lifting device 22 can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arking block 20.

상기 승강장치(22)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 혹은 랙 앤 피니언(rack & pinion)과 모터 장치 등 상기 상측 주차대(20)를 스윙 회동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공지의 모든 장치를 포함하며, 일 예로서 특허문헌 1 내지 5에 적용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장치(22)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으므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elevating device 22 includes all known devices capable of swinging the upper parking bar 20 such as a hydraulic or pneumatic cylinder or a rack and pinion and a motor device. An apparatus applied to documents 1 to 5 may be applied. Therefor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lifting device 22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승강장치(22)에 의해서 상측 주차대(20)가 힌지부(21)를 기점으로 스윙 회전하면, 필요에 따라 상향 회동시킨 상태에서 차량을 하측 주차공간(10)의 상부에 주차되게 할 수 있고, 또는 하향 회동시켜서 지면(GL)과 동일 수평면을 이루게 하여 차량을 평지에 주차하는 것과 같이 주차되게 할 수 있다.When the upper parking block 20 is swung and rotated from the hinge portion 21 as described above by the elevating device 22, the vehicle can be park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parking space 10 in a state of upward rotation Or downwardly rotated so as to form the same horizontal plane as the ground surface GL, so that the vehicle can be parked as if it is parked on the flat ground.

도 4와 같이 상측 주차대(20)가 지면(GL)과 동일 수평면을 이루는 경우, 하측 주차공간(10)은 폐쇄되고, 상측 주차대(20)는 도 4를 기준으로 좌우 양쪽에 차량 출입구가 형성되므로 차량의 진출입이 용이하다.4, when the upper parking zone 20 forms the same horizontal plane as the floor GL, the lower parking space 10 is closed, and the upper parking block 20 has vehicle entrance opening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 reference to FIG. 4 Vehicle entry and exit are easy.

물론, 도 4의 제2실시예에 따른 주차 시스템(100) 역시 도 2 및 도 3에서 예시한 것과 같이 측방 및 종방향으로 각각 다수 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지하측 경사면(11)의 최하부 위치에 배수로(13)가 설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2 and 3, the park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4 may also b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later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drainage passage 13 may be provided.

이와 같이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인 한정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나 형상 및 수치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 예들의 구성요소 일부를 변경, 혼합하는 등,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not.

10... 하측 주차공간
11... 지하측 경사면
12... 지하측 벽면
13... 배수로
20... 상측 주차대
21... 힌지부
22... 승강장치
30... 주차 진출입로
100... 주차 시스템
10 ... lower parking space
11 ... underground slope
12 ... Underground side wall surface
13 ... drain
20 ... upper parking zone
21 ... hinge
22 ... lifting device
30 ... Parking entry and exit
100 ... Parking system

Claims (5)

지면으로부터 지하 측으로 하향 경사진 지하측 경사면 상에 차량을 주차 가능하게 하는 하측 주차공간과, 지면으로부터 공중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차량을 주차 가능하게 마련된 상측 주차대를 포함하되,
상기 상측 주차대는 상기 하측 주차공간 위에 배치되고, 상기 하측 주차공간과 상기 상측 주차대의 각 차량 출입구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상측 주차대는 지면과의 연결 부분에 힌지부가 마련되고, 일측에 승강장치 연결됨으로써 상기 힌지부를 축으로 스윙 가능하게 되며, 상측 주차대의 하향 회동시 상기 지면과 동일 수평면을 이루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 주차 시스템.
A lower parking space for parking the vehicle on an underground slope downwardly inclined from the ground to an underground side, and an upper parking block installed upwardly sloping from the ground toward the air so as to permit parking of the vehicle,
Wherein the upper parking zone is disposed on the lower parking space, the lower parking space and the vehicle entrance of the upper parking zone are disposed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Wherein the upper parking bar is provided with a hinge portion at a connection portion with the ground and is swingable about an axis of the hinge portion by being connected to a lifting device on one side thereof and has a horizontal plane equal to the ground when the upper parking bar is rotated downward. Parking system.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차 시스템은 측방으로 다수 개 설치되는 동시에, 주차 진출입로를 사이에 두고 종방향으로 다수 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 주차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the parking systems are installed laterally and a plurality of parking systems ar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a parking entrance / exit path interposed therebetween.
청구항 3에 있어서,
종방향으로 설치된 다수 개의 주차 시스템은 상기 주차 진출입로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칭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 주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lurality of parking system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with the parking entrance / exit path interposed therebetween.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측 경사면의 최하부에 지하수 관로와 연결된 배수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 주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3, or 4,
And a drain passage connected to the groundwater channel is provided at the lowermost part of the lower side inclined surface.
KR1020180002552A 2018-01-09 2018-01-09 Double parking system KR1020038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552A KR102003839B1 (en) 2018-01-09 2018-01-09 Double park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552A KR102003839B1 (en) 2018-01-09 2018-01-09 Double park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603A KR20190084603A (en) 2019-07-17
KR102003839B1 true KR102003839B1 (en) 2019-07-25

Family

ID=67468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552A KR102003839B1 (en) 2018-01-09 2018-01-09 Double park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83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64019A (en) * 2019-12-06 2021-04-16 北京苹果知科技有限公司 Stereo garag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8886Y1 (en) 1996-07-08 1999-06-15 이상업 An improved swing type parking apparatus
KR100195791B1 (en) 1997-03-25 1999-06-15 하종식 Parking apparatus
KR200281245Y1 (en) 2001-12-13 2002-07-12 강정일 Mobile type parking system
KR20040022779A (en) 2002-09-07 2004-03-18 황태홍 A double decker parking system
KR200372190Y1 (en) 2004-09-09 2005-01-10 강정일 Seesaw type parking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603A (en)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3839B1 (en) Double parking system
KR101884830B1 (en) multi-story parking device
JP6091234B2 (en)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KR100530423B1 (en) Double parking device for the roadside
JP4391509B2 (en) Parking lot construction method, side gutter lid with car stopper and parking lot
KR900006909Y1 (en) Parking garage
KR101131933B1 (en) Adjusted device a parking garage entrance and exit for height control
CN211622794U (en) Parking equipment capable of lifting above road
US3124258A (en) Smith
JPH0336093B2 (en)
JPH0745717Y2 (en) Large space structure with openable roof with parking lot
CN200952105Y (en) Crossroad unblocked port
US1915973A (en) Motor vehicle parking and storage system
CN109424230A (en) Urban parking lot and its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method
JP4993306B2 (en) Remodeling method of two- and multi-stage parking device and two- and multi-stage parking device modified by this method
CN207469847U (en) Reduce occupation of land parking lot
JP2006052568A (en) Pit type parking device
JPH0423930Y2 (en)
CN207469849U (en) The parking lot being transformed using car lane
JP6847791B2 (en) Roof structure
JPH0229144B2 (en) PITSUTOSHIKINIDANJIDOSHACHUSHASOCHI
KR20220009157A (en) Double parking system
JPH079119B2 (en) Underground parking lot using shield tunnel
US1874649A (en) Garage construction
JPH0412212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