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323B1 - 담배 마감장치 - Google Patents

담배 마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323B1
KR102003323B1 KR1020170121173A KR20170121173A KR102003323B1 KR 102003323 B1 KR102003323 B1 KR 102003323B1 KR 1020170121173 A KR1020170121173 A KR 1020170121173A KR 20170121173 A KR20170121173 A KR 20170121173A KR 102003323 B1 KR102003323 B1 KR 102003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garette
tip
tobacco
sea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2835A (ko
Inventor
서창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렌드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렌드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렌드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70121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323B1/ko
Publication of KR20190032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54Folding the ends of cigarette paper tubes after filling them with tobacco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39Tobacco feeding devices
    • A24C5/399Component parts or details, e.g. feed roller, feed belt

Landscapes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배 선단을 회전하는 마감부의 삽입홈에 삽입하여 자동으로 담배 선단의 담배지를 회전시켜 담배 선단을 밀봉하는 담배 마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담배 선단을 밀봉하기 위하여 조각을 접착하거나 봉인 후 접착할 필요없이 담배 선단을 회전하는 삽입홈에 삽입하여 회전력에 의하여 담배 선단의 담배지가 말려 간편하게 담배 선단을 봉인할 수 있음으로 담배 선단을 마감(밀봉)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담배 마감장치{APPARATUS FOR FORMING A SEALED END OF A CIGARETTE}
본 발명은 담배 마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담배지 내부에 충진된 담배가루가 담배 선단의 개구를 통하여 밖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자동으로 담배 선단을 밀봉하는 담배 마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담배(궐련)은 담배잎을 가루로 분쇄한 담배가루를 얇은 종이인 담배지로 감싼 형태로 이루어져, 필터의 반대쪽 담배 선단으로 담배가루가 외부로 유출되어 담배 특유의 냄새가 옷에 스며드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담배가루가 외부로 유출된 양만큼 흡연자도 흡연시 연기가 잘 발생하지 않아 흡연감이 떨어질 수 있다. 특히 담배값이 인상되어 흡연자 스스로 담배를 손수 제조한 수제담배의 경우에는 담배가루를 담배지로 둘러쌓은 원통형의 내부공간에 충진후 담배가루가 담배선단을 통하여 유출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담배가루가 담배 선단의 개구를 통하여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담배 선단에 절개된 담배지 조각을 접착하거나 외부 캡을 담배 선단에 끼우는 방법이 있으나 조각을 접착한다는 점에서 작업이 불편하고 별도의 외부 캡은 흡연시 외부 캡을 제거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조각을 접착하는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1464호의 선단 밀봉담배는 담배지의 후단에 필터가 부착된 담배의 선단에 밀폐공간부를 형성시키되, 이 밀폐공간부를 밀착시킨 후 밀착된 밀폐공간부의 단부를 접어 봉쇄단을 형성시킴으로써, 담배지 내부에 있는 담배가루가 상기 봉쇄단으로 인해 담배지 밖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선단 밀봉담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도 밀폐공간의 단부를 접어 봉쇄단을 형성하고 접착제로 접착시킨다는 점에서 작업에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특히 수제 담배의 선단을 자동으로 밀봉시킴으로써 담배가루가 담배 내부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간편하게 방지할 수 있는 담배 마감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146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제 담배의 선단을 자동으로 밀봉시킴으로써 담배가루가 담배지 내부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간편하게 방지할 수 있는 담배 마감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담배 마감장치는 담배가루가 충진된 담배가 저장되고, 저장된 상기 담배를 담배 정렬부로 공급하는 담배 투입부, 상기 담배 투입부로부터 투입되는 담배가 담배 안착홈에 안착되고 담배 선단 밀봉홈과 정렬시키는 담배 정렬부, 정렬된 담배 안착홈에 있는 담배 선단을 회전하는 담배 선단 밀봉홈에 삽입시켜 담배 선단을 밀봉시키는 담배 밀봉부 및 상기 담배 정렬부 및 담배 밀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담배 정렬부는 담배 안착홈에 안착된 담배가 이탈되지 않도록 담배 안착홈이 형성된 담배 수용부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원형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담배 안착홈에 안착된 담배를 순차적으로 충진돌기, 담배선단 밀봉홈 및 담배 선단 평탄홈에 정렬시키기 위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 밀봉부는 담배지에 충진된 담배가루를 담배 필터쪽으로 밀어넣는 충진돌기, 담배 선단 밀봉홈에 의하여 밀봉된 담배 선단을 평탄화시키기 위한 담배 선단 평탄홈 및 충진돌기, 담배선단 밀봉홈 및 담배선단 평탄홈을 동시에 담배 선단쪽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담배 밀봉부는 담배 선단 밀봉홈이 회전과 동시에 수평이동하기 위하여 밀봉축은 연결핀에 의하여 제3 모터의 축과 연결됨과 동시에 링크를 통하여 연결되는 충진돌기축이 수평이동함에 따라 밀봉축은 외면에 형성된 장공에 의하여 연결핀과 체결을 유지한 상태로 수평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 투입부는 내부에 제1 진동판 및 제2 진동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진동판 및 제2 진동판은 일단이 회전하는 스프라켓의 톱니와 접촉하여 상하 운동하는 진동 가이드부와 연결되어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담배 선단을 밀봉하기 위하여 조각을 접착하거나 봉인 후 접착할 필요없이 자동으로 담배 선단이 회전하는 밀봉홈에 삽입되고, 회전력에 의하여 담배 선단의 담배지가 말려 간편하게 담배 선단을 밀봉할 수 있음으로 담배 선단 마감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담배에 충진된 담배가루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제 담배제조의 경우, 충진 보조 돌기를 통하여 자동으로 담배가루를 필터 쪽으로 밀어넣은 후 담배 선단을 밀봉함으로써 담배가루가 담배지 내부 공간에 치밀하게 충진되므로 흡연시 담배연기량이 많아져서 흡연감을 상승시킬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 마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 정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 밀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 투입부에 저장된 담배를 담배 투입구에 배출하기 위한 진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 마감장치의 전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 마감장치에 의하여 담배 선단이 밀봉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 마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담배 마감장치(1000)는 담배가루가 충진된 담배가 저장되고, 저장된 담배를 담배 정렬부로 공급하는 담배 투입부(100), 상기 담배 투입부(100)로부터 투입되는 담배가 담배 안착홈에 안착되고 담배 선단 밀봉홈과 정렬시키는 담배 정렬부(200), 정렬된 담배 안착홈에 있는 담배 선단을 회전하는 담배 선단 밀봉홈에 삽입시켜 담배 선단을 밀봉시키는 담배 밀봉부(300) 및 상기 담배 정렬부 및 담배 밀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마이크로컨트롤러(MPU)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제어명령을 해석하여 모터 등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담배 정렬부의 담배 수용부를 회전시키거나 담배 밀봉부의 충진돌기, 담배선단 밀봉홈 및 담배선단 평탄홈을 담배 안착홈에 위치한 담배 선단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 정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 밀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 마감장치의 전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고하면, 담배 투입부(100)에 저장된 담배는 담배 투입구(110)를 통하여 담배 정렬부(200)로 배출될 수 있다. 담배 정렬부(200)는 담배 투입구(110)를 통하여 배출된 담배가 안착되는 담배 안착홈(211)이 형성된 담배 수용부(210), 담배 안착홈에 안착된 담배가 이탈되지 않도록 담배 안착홈이 형성된 담배 수용부(210)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원형 가이드(221) 및 담배 안착홈(211)에 안착된 담배 선단 내부로 담배 충진돌기(320)가 삽입되거나, 담배 선단이 담배선단 밀봉홈(330) 및 담배선단 평탄홈(340)에 삽입되는 경우, 담배 필터와 접촉하여 지지하는 스프라켓(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배 수용부(210) 및 스프라켓(230)은 회전축(250)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250)의 일단은 제2 기어(251)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어(251)는 제1 기어(303)와 기어결합되고, 제1 기어(303)는 제1 모터(301)와 연결되는 회전축(302)에 연결되어, 제1 모터(301)의 회전에 따라 제2 기어(251)를 회전시킬 수 있다(도 3a 참조). 여기서 상기 제1 기어(303)는 기어외주면의 일부에 톱니가 형성되어, 1회전시 제2 기어(251)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킴으로써 담배 안착홈(211)에 안착된 담배를 순차적으로 충진돌기(320), 담배선단 밀봉홈(330) 및 담배 선단 평탄홈(340)에 정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제1 모터(301)를 제어하여 제1 기어(303)의 회전에 따라 제2 기어(251)를 회전시킴으로써 담배 정렬부의 담배 수용부(210) 및 스프라켓(230)를 회전시켜 담배 안착홈에 안착된 담배를 충진돌기(320), 담배 밀봉홈(330) 및 담배 선단 평탄홈(340)에 정렬시킬 수 있다. 여기서 담배 정렬부를 회전시킴에 있어 모터 및 기어결합을 통하여 이루어진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담배 수용부와 연결된 회전축에 모터를 직결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체인, 폴리 등의 기계요소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담배 정렬부에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축(250)의 회전에 따라 담배 수용부(210)의 담배 안착홈(211)에 안착된 담배는 담배이탈 방지부(220)의 원형 가이드(221)에 의하여 회전시 이탈되지 않고, 충진돌기(320), 담배선단 밀봉홈(330) 및 담배선단 평탄홈(340)과 정렬될 수 있으며, 담배 밀봉부(300)에 의하여 담배 선단은 마감될 수 있다(도 5참조).
담배 밀봉부(300)는 담배지에 충진된 담배가루를 담배 필터쪽으로 밀어넣는 충진돌기(320), 담배 선단이 삽입되며 회전에 의하여 담배 선단을 밀봉시키는 담배 선단 밀봉홈(330), 담배 선단 밀봉홈에 의하여 밀봉된 담배 선단을 평탄화시키기 위한 담배 선단 평탄홈(340) 및 충진돌기, 담배선단 밀봉홈 및 담배선단 평탄홈을 동시에 담배 선단쪽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고하면, 구동부는 모터, 축, 베어링, 링크 및 스크류 등을 통하여 모터의 회전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충진돌기(320) 및 담배 선단 평탄홈(340)은 담배선단과 접촉하도록 수평이동시키거나, 모터의 회전을 회전운동 및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담배 선단 밀봉홈(330)은 회전과 동시에 담배선단과 접촉하도록 수평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는 모터의 회전력을 수평운동 또는 회전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다양한 기계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충진돌기(320)는 충진돌기축(323)의 일단에 연결되고, 충진돌기축(323)의 타단은 제2 모터(321)의 스크류(322)과 연결될 수 있다. 충진돌기축(323)은 스크류(322)가 삽입되는 볼스크류 형태일 수 있으며, 제2 모터(321)가 회전함에 따라 스크류(322)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충진돌기축(323)은 수평이동될 수 있다. 한편 충진돌기축(323)은 링크(324)를 통하여 밀봉축(332) 및 평탄축(341)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충진돌기축(323)의 수평운동에 따라 링크를 통하여 연결된 밀봉축(332)과 평탄축(341)이 수평이동함으로써 충진돌기(320), 담배 선단 밀봉홈(330) 및 담배 선단 평탄홈(340)은 담배 안착홈에 안착된 담배 선단과 접촉할 수 있도록 수평이동될 수 있다. 담배 선단 밀봉홈(330)은 회전과 동시에 수평이동하기 위하여 밀봉축(332)은 링크(324)와 베어링(335)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담배 선단 밀봉홈(330)은 밀봉축(332)의 일단에 연결되며, 제3 모터(331)의 회전에 의하여 밀봉축(332) 내부로 제3 모터(331)의 축이 삽입된다. 밀봉축(332)은 외면에 장공(334)이 형성될 수 있다. 밀봉축(332)은 장공(334)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연결핀(333)을 통하여 제3 모터(331)의 축과 체결될수 있다. 따라서 제3 모터(331)의 회전에 따라 밀봉축(332)이 회전함으로써 담배 선단 밀봉홈(330)은 회전되어 삽입된 담배선단을 회전력에 의하여 밀봉시킬 수 있다. 밀봉축(332)은 연결핀(333)에 의하여 제3 모터(331)의 축과 연결된 상태로 회전함과 동시에 링크(324)를 통하여 연결되는 충진돌기축(323)이 수평이동함에 따라 밀봉축(332)은 수평이동 할 수 있다. 즉 장공을 관통하는 연결핀(333)은 밀봉축(332)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시에 장공(334)을 가이드로하여 이동함으로써 밀봉축(332)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담배 선단 밀봉홈(330)은 회전과 동시에 담배선단 쪽으로 수평이동되어 담배 선단을 밀봉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 투입부에 저장된 담배를 담배 투입구에 배출하기 위한 진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진동부는 스프라켓의 톱니와 접촉하여 제1 진동판(510) 및 제2 진동판(540)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 가이드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가이드부(280)는 일단이 갈고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갈고리가 회전하는 스트라켓(230)의 톱니홈을 따라 상하로 진동할 수 있다. 진동 가이드부(280)의 타단은 제1 진동판(510)의 일측(511)과 연결되고, 제2 진동판(540)의 일측과 회전축(281) 및 진동가이드 핀(282)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즉 진동 가이드부(280)는 회전축(281)을 중심으로 회전축과 소정의 거리에 있는 진동 가이드 핀(282,담배 투입부 측판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된 가이드 홈을 따라 왕복함)을 통하여 제1 진동판(510) 및 제2 진동판(540)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담배 투입부(100) 내부에 설치되고, 진동하는 제1 진동판(510) 및 제2 진동판(540)에 의하여 담배 투입부(100) 내부에 저장된 담배가 엉키지 않고 담배 투입구(110)쪽으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담배 투입구(110)로 각각의 담배가 투입되기 위하여 제1 진동판(510) 및 제2 진동판(540)의 각 끝단은 소정의 간격(담배 두께 정도의 간격)을 가지고 진동함으로써 각각의 담배가 담배 투입구(110)로 배출되어 담배 안착홈(211)에 안착될 수 있다.
담배 투입부(100)는 내부로 투입되어 저장되는 담배를 원활하게 담배 투입구(110)쪽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저장된 담배를 정렬시키기 위하여 제1 가이드 블럭(520), 제2 가이드 블럭(531,532) 및 제3 가이드 블럭(5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블럭(520)은 최초 담배 투입부(100)로 투입되는 담배를 양쪽 방향으로 분리시키기 위한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제1 가이드 블럭(520)에 의하여 분산된 담배는 각각 제2 가이드 블럭(531,532)에 의하여 배출경로(화살표 참조)상에 정렬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블록(531,532)를 벗어난 담배는 제2 진동판(540)상에 놓이며, 제2 진동판(540) 및 제1 진동판(510)에 의하여 진동하면서 제2 진동판(540)과 제1 진동판(510)이 형성한 소정의 간격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 마감장치에 의하여 담배 선단이 밀봉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담배가루가 투입된 담배는 담배 마감장치에 의하여 밀봉되어 내부에 있는 담배가루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담배 마감장치는 담배 정렬부에 안착된 담배를 먼저 충진돌기에 의하여 담배가루를 담배필터쪽으로 충진한 다음, 담배 정렬부가 회전하여 다음으로 담배 선단 밀봉홈에 담배 선단이 삽입되어 회전에 의하여 담배 선단이 밀봉된 후, 다시 담배 정렬부가 회전하여 마지막으로 담배 선단 평탄홈에 담배 선단이 삽입되어 밀봉된 담배선단을 수평으로 평탄화시킴으로써 담배를 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50: 담배 100: 담배 투입부
110: 담배 투입구 200: 담배 정렬부
210: 담배 수용부 211: 담배 안착홈
220: 담배이탈 방지부 221: 원형 가이드
230: 스프라켓 250: 회전축
251: 제2기어 280: 진동 가이드부
281: 회전축 282: 진동 가이드 핀
300: 담배 밀봉부
301: 제1 모터 302: 회전축
303: 제1 기어 320: 담배 충진돌기
321: 제2 모터 322: 스크류
323: 충진돌기축 324: 링크
330: 담배 선단 밀봉홈 331:제3 모터
332: 밀봉축 333: 연결핀
334: 장공 335: 베어링
340: 담배 선단 평탄홈 341: 평탄축
360: 축 가이드 510: 제1 진동부
520: 제1 가이드 블럭 531,532: 제2 가이드 블록
533: 제3 가이드 블록 540: 제2 가이드 진동판
1000: 담배 마감장치

Claims (5)

  1. 담배가루가 충진된 담배가 저장되고, 저장된 상기 담배를 담배 정렬부로 공급하는 담배 투입부,
    상기 담배 투입부로부터 투입되는 담배가 담배 안착홈에 안착되고 담배 선단 밀봉홈과 정렬시키는 담배 정렬부,
    담배지에 충진된 담배가루를 담배 필터쪽으로 밀어넣는 충진돌기, 담배 선단이 삽입되며 회전에 의하여 담배 선단을 밀봉시키는 담배 선단 밀봉홈, 담배 선단 밀봉홈에 의하여 밀봉된 담배 선단을 평탄화시키기 위한 담배 선단 평탄홈 및 충진돌기, 담배선단 밀봉홈 및 담배선단 평탄홈을 동시에 담배 선단쪽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담배 선단을 밀봉시키는 담배 밀봉부 및
    상기 담배 정렬부 및 담배 밀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담배 정렬부는
    담배 안착홈에 안착된 담배가 이탈되지 않도록 담배 안착홈이 형성된 담배 수용부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원형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담배 안착홈에 안착된 담배를 순차적으로 충진돌기, 담배선단 밀봉홈 및 담배 선단 평탄홈에 정렬시키기 위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마감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
    상기 담배 밀봉부는 담배 선단 밀봉홈이 회전과 동시에 수평이동하기 위하여 밀봉축은 연결핀에 의하여 제3 모터의 축과 연결됨과 동시에 링크를 통하여 연결되는 충진돌기축이 수평이동함에 따라 밀봉축은 외면에 형성된 장공에 의하여 연결핀과 체결을 유지한 상태로 수평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마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담배 투입부는 내부에 제1 진동판 및 제2 진동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진동판 및 제2 진동판은 일단이 회전하는 스프라켓의 톱니와 접촉하여 상하 운동하는 진동 가이드부와 연결되어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마감장치.
KR1020170121173A 2017-09-20 2017-09-20 담배 마감장치 KR102003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173A KR102003323B1 (ko) 2017-09-20 2017-09-20 담배 마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173A KR102003323B1 (ko) 2017-09-20 2017-09-20 담배 마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835A KR20190032835A (ko) 2019-03-28
KR102003323B1 true KR102003323B1 (ko) 2019-07-24

Family

ID=65908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173A KR102003323B1 (ko) 2017-09-20 2017-09-20 담배 마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32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0333B1 (ko) * 2016-11-21 2017-04-27 한상운 담배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765B1 (ko) * 2010-06-17 2013-01-09 이정수 불량방지 기능을 갖는 담배필터 로드 향 입상 투입장치
KR20170001464U (ko) 2015-10-15 2017-04-25 정경일 선단 밀봉담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0333B1 (ko) * 2016-11-21 2017-04-27 한상운 담배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835A (ko)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7622B2 (en) Refillable device
US11647785B2 (en) Aerosol generation device having structure for preventing liquid leakage
JP3214087U (ja) 喫煙品フィルターおよび喫煙品フィルター用の挿入式フィルターユニット
JP6294461B2 (ja) 模擬タバコの組立て方法
JP6523452B2 (ja) 霧化ユニット
CN203872994U (zh) 雾化装置及电子烟
JP5737771B2 (ja) 香味カートリッジ及び非加熱型香味吸引器
US9265594B2 (en) Dispensing device for a dental substance and method of making such a device
KR101898877B1 (ko) 분말형 충전물의 계량 장치
CN106535675A (zh) 电子烟
KR102003323B1 (ko) 담배 마감장치
KR102188631B1 (ko) 흡연 물품용 필터 요소
US20120192881A1 (en) Method and device for flavouring a cigarette
KR102003325B1 (ko) 담배 마감장치
CN105919163B (zh) 雾化器及其电子烟
JP2013534984A5 (ko)
FR2639236A1 (fr) Appareil generateur d'aerosols perfectionne avec effets soniques
CN216019113U (zh) 储油组件、雾化器及电子烟
WO2020152574A3 (en) Device and method for delivering a flowable ingestible medicament into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a user
JP2011502748A (ja) メンブレンホルダー
CN113647690A (zh) 储油组件、雾化器及电子烟
FR2811576A1 (fr) Disposits ou appareils d'administration de produits actifs pulverurents du type medicaments ou vaccins, par voie pulmonaire
WO2020057381A1 (zh) 电子烟的控制方法、装置、组装方法、电子烟及计算机存储介质
CN111329123B (zh) 一种雾化器及电子烟
US216817A (en) Improvement in devices for making cigaret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