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564B1 - 압축기 - Google Patents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564B1
KR102002564B1 KR1020140144282A KR20140144282A KR102002564B1 KR 102002564 B1 KR102002564 B1 KR 102002564B1 KR 1020140144282 A KR1020140144282 A KR 1020140144282A KR 20140144282 A KR20140144282 A KR 20140144282A KR 102002564 B1 KR102002564 B1 KR 102002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r
gear
body portion
compressor
colla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4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7839A (ko
Inventor
이경택
Original Assignee
한화파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파워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파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4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564B1/ko
Publication of KR20160047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불기어와, 상기 불기어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기어와, 상기 기어의 양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불기어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칼라부와, 상기 기어 및 상기 칼라부에 삽입되며, 임펠러가 연결되는 회전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칼라부는, 2개 이상의 조각으로 형성되어 조립된다.

Description

압축기{Compressor}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압축기는 외부의 기체 또는 유체를 흡입하여 압축한 후 다른 기기 장치에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압축기는 기체 또는 유체를 압축하기 위하여 임펠러와, 임펠러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압축기는 모터의 작동에 따라서 모터의 구동력이 기어유닛을 통하여 임펠러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임펠러의 회전, 모터의 구동,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 등에 의하여 압축기 전체에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은 압축기 시스템의 안정성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압축기의 다양한 요소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압축기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특히 압축기의 다양한 요소의 위치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압축기의 고장이나 파손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축기에는 다양한 형태로 압축기의 요소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압축기는 한국공개특허 제2004-0107230호(발명의 명칭 : 원심력 압축기의 가스누설 저감구조, 출원인 : 주식회사 포스코)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4-0107230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압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불기어와, 상기 불기어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기어와, 상기 기어의 양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불기어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칼라부와, 상기 기어 및 상기 칼라부에 삽입되며, 임펠러가 연결되는 회전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칼라부는, 2개 이상의 조각으로 형성되어 조립되는 압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칼라부는, 제1 칼라바디부와, 상기 제1 칼라바디부와 결합하는 제2 칼라바디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칼라부는, 제1 인너바디부와, 상기 제1 인너바디부와 결합하는 제2 인너바디부와, 상기 제1 인너바디부 및 상기 제2 인너바디부의 외주면에 열박음되는 외측바디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조립이 간편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칼라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칼라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칼라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압축기(100)는 모터(110), 불기어(120), 기어(130), 회전샤프트(140), 칼라부(150), 임펠러(160), 하우징(1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모터(110), 임펠러(160) 및 하우징(170)은 일반적인 압축기의 모터, 임펠러 및 하우징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불기어(120)은 모터(11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불기어(120)는 기어(130)에 연결되어 기어(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불기어(120)와 기어(130)는 스퍼기어 또는 헬리컬기어 등과 같은 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
칼라부(150)는 불기어(120)의 회전 시 모터(110)의 진동, 불기어(120)와 모터(110)의 공진 등으로 인하여 불기어(120)의 경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칼라부(150)는 기어(13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칼라부(150a)와, 제1 칼라부(150a)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칼라부(15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칼라부(150a)와 제2 칼라부(150b)는 회전샤프트(140)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불기어(120)의 끝단을 지지할 수 있다. 즉, 불기어(120)의 끝단은 제1 칼라부(150a)와 제2 칼라부(150b)의 사이로 진입하여 기어(130)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칼라부(150a)와 제2 칼라부(150b)는 서로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칼라부(150a)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칼라부(150a)는 서로 분리 가능한 제1 칼라바디부(151a)와 제2 칼라바디부(152a)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칼라바디부(151a)와 제2 칼라바디부(152a)는 서로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볼트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칼라바디부(151a)는 오일이 배출되는 그루브(151a-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그루부(151a-1)는 기어(130)와 인접한 제1 칼라바디부(151a)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칼라바디부(151a)는 회전샤프트(140)에 삽입되는 삽입돌기(151a-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샤프트(140)에는 삽입돌기(151a-2)가 삽입되는 삽입홈(1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이외에도 삽입돌기(151a-2)가 회전샤프트(140)에 형성되는 경우 삽입홈(141)은 제1 칼라바디부(151a)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칼라바디부(151a) 또는 회전샤프트(140) 중 하나에 삽입홈(141)이 형성되고, 제1 칼라바디부(151a) 또는 회전샤프트(140) 중 다른 하나에는 삽입홈(141)에 삽입되는 볼트 등을 구비하여 제1 칼라바디부(151a)와 회전샤프트(140)가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칼라바디부(151a)에 삽입돌기(151a-2)가 형성되고, 회전샤프트(140)에는 삽입홈(141)이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회전샤프트(140)는 기어박스(180) 등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회전샤프트(140)의 일단에는 임펠러(160)가 설치될 수 있다. 특히 회전샤프트(140)는 기어박스(180)를 관통하여 외부로 끝단이 기어박스(18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으며, 인출된 회전샤프트(140)의 끝단에는 임펠러(160)가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170)음 임펠러(160)를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70)은 기어박스(180)에 고정되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압축기(100)의 조립 공정을 살펴보면, 우선 모터(110)에 불기어(120)를 연결하고, 회전샤프트(140)를 기어박스(180)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회전샤프트(140)에는 제1 기어(130) 및 칼라부(150)가 조립된 상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기어(130)를 회전샤프트(140)에 조립한 후 제1 칼라부(150a)와 제2 칼라부(150b)를 조립할 수 있다. 이때, 제1 칼라부(150a) 또는 제2 칼라부(150b)를 회전샤프트(140)에 조립하는 방법은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제1 칼라부(150a)를 조립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제1 칼라바디부(151a)와 제2 칼라바디부(152a)를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한 후 제1 칼라바디부(151a) 또는 제2 칼라바디부(152a)에 회전샤프트(140)를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칼라바디부(151a) 상에 회전샤프트(140)를 배치하는 경우 제1 칼라바디부(151a)와 대향하도록 제2 칼라바디부(152a)를 배치한 후 제1 칼라바디부(151a)와 제2 칼라바디부(152a)를 서로 접촉시킬 수 있다. 이후 제1 칼라바디부(151a)와 제2 칼라바디부(152a)를 볼트 등과 같은 조립부재를 통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칼라부(150a)와 제2 칼라부(150b)가 조립되면, 제1 칼라부(150a)와 제2 칼라부(150b) 사이에는 기어(1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샤프트(140)의 조립이 완료되면, 회전샤프트(140)에 임펠러(160)를 조립한 후 하우징(170)을 조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압축기(100)는 모터(110)의 구동에 따라서 불기어(120)가 회전하고, 불기어(120)의 회전에 따라 기어(130)가 회전할 수 있다. 또한, 기어(130)의 회전에 따라 회전샤프트(140)가 회전할 수 있으며, 임펠러(160)도 회전샤프트(14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임펠러(160) 및 회전샤프트(140), 불기어(120), 기어(130)가 회전하는 경우 공기흐름 또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 회전하는 물체들의 공진 등의 영향으로 불기어(120)가 진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칼라부(150a)와 제2 칼라부(150b)는 불기어(120)의 회전 시 불기어(120)와 기어(130)의 접촉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불기어(120)가 제1 칼라부(150a) 또는 제2 칼라부(150b)를 가력하는 경우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1 칼라부(150a) 또는 제2 칼라부(150b)가 회전샤프트(140)에 고정됨으로써 불기어(120)에서 전달되는 힘을 지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불기어(120)에서 전달되는 힘에 의하여 제1 칼라부(150a) 또는 제2 칼라부(150b)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임펠러(160), 회전샤프트(140), 기어(130) 및 칼라부(150) 등은 각각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샤프트(140)는 복수개 구비되어 불기어(120)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각 회전샤프트(140)에는 각 임펠러(160), 각 기어(130), 각 칼라부(15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100)는 제1 칼라부(150a)와 제2 칼라부(150b)를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립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압축기(100)는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칼라부(150)를 회전샤프트(140)에 고정시킴으로써 축 방향 하중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압축기(100)는 칼라부(150)의 파손이나 고장 시 칼라부(150)를 쉽게 분리하여 제거가 가능하므로 칼라부(150)의 교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칼라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칼라부(250)는 제1 칼라부(250a)와 제2 칼라부(250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칼라부(250a)와 제2 칼라부(250b)는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칼라부(250a)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칼라부(250a)는 상기와 다른 실시예로써 제1 인너바디부(251a), 제2 인너바디부(252a) 및 외측바디부(253a)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인너바디부(251a)와 제2 인너바디부(252a)는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회전샤프트(14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인너바디부(251a)와 제2 인너바디부(252a)는 회전샤프트(140)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볼트 등을 통하여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인너바디부(251a)와 제2 인너바디부(252a)는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인너바디부(251a)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인너바디부(251a)는 오일이 배출되는 그루브(251a-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그루브(251a-1)는 제1 인너바디부(251a)에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인너바디부(251a)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삽입돌기(251a-2) 또는 삽입홈(141) 중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샤프트(140)에는 삽입돌기(251a-2) 또는 삽입홈(141)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삽입홈(141)과 볼트 등을 통하여 제1 인너바디부(251a)와 회전샤프트(140)가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인너바디부(251a)에 삽입돌기(251a-2)가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외측바디부(253a)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외측바디부(253a)는 링(ring)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측바디부(253a)는 제1 인너바디부(251a)와 제2 인너바디부(252a)의 외면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외측바디부(253a)는 열박음 형태로 제1 인너바디부(251a)와 제2 인너바디부(252a)의 외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칼라부(250a)의 설치 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제1 인너바디부(251a)와 제2 인너바디부(252a)를 분리된 상태로 회전샤프트(140)의 외면에 설치한 후 제1 인너바디부(251a)와 제2 인너바디부(252a)를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1 인너바디부(251a)와 제2 인너바디부(252a)는 삽입돌기(251a-2)를 통하여 회전샤프트(140)의 정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외측바디부(253a)에 열을 가하여 팽창시킨 후 외측바디부(253a)를 제1 칼라부(250a)의 외면에 설치할 수 있다. 이후 외측바디부(253a)를 서서히 냉각시키면 외측바디부(253a)는 직경이 작아지면서 제1 칼라부(250a)의 외면에 안착할 수 있다.
제2 칼라부(250b)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 칼라부(250a)의 설치방법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회전샤프트(14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압축기(100)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칼라부(250b)와 압축기(100)의 조립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칼라부(250)를 사용하는 경우 압축기(100)의 조립 시 공정이 단순해지고 신속한 조립이 가능하다. 또한, 칼라부(250)는 불기어(120)의 회전 시 불기어(120)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압축기(100)의 안정적인 작동을 보조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압축기
110: 모터
120: 불기어
130: 기어
140: 회전샤프트
150,250: 칼라부
160: 임펠러
170: 하우징
180: 기어박스

Claims (3)

  1.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불기어;
    상기 불기어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기어; 및
    상기 기어의 양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불기어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칼라부; 및
    상기 기어 및 상기 칼라부에 삽입되며, 임펠러가 연결되는 회전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칼라부는, 2개 이상의 조각으로 형성되어 조립되며,
    상기 칼라부 또는 상기 회전샤프트 중 하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칼라부 또는 상기 회전샤프트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부는,
    제1 칼라바디부; 및
    상기 제1 칼라바디부와 결합하는 제2 칼라바디부;를 구비하는 압축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부는,
    제1 인너바디부;
    상기 제1 인너바디부와 결합하는 제2 인너바디부; 및
    상기 제1 인너바디부 및 상기 제2 인너바디부의 외주면에 열박음되는 외측바디부;를 구비하는 압축기.
KR1020140144282A 2014-10-23 2014-10-23 압축기 KR102002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282A KR102002564B1 (ko) 2014-10-23 2014-10-23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282A KR102002564B1 (ko) 2014-10-23 2014-10-23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839A KR20160047839A (ko) 2016-05-03
KR102002564B1 true KR102002564B1 (ko) 2019-10-01

Family

ID=56022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4282A KR102002564B1 (ko) 2014-10-23 2014-10-23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5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702B1 (ko) 2018-01-22 2018-09-10 고용운 헬리컬 기어를 이용한 분체 압축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05558A1 (en) * 2009-02-19 2011-12-15 Ihi Corporation Gear-driven turbo compress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1409A (ja) * 1994-08-26 1996-03-08 Tokai Rubber Ind Ltd 摺動型防振ブッシュ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0107230A (ko) 2003-06-13 2004-12-20 주식회사 포스코 원심력 압축기의 가스누설 저감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05558A1 (en) * 2009-02-19 2011-12-15 Ihi Corporation Gear-driven turbo compr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839A (ko) 201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3688B2 (en) Driving device having motor and gearbox
JP5472890B2 (ja) ピニオンシャフト及びキャリアを含む遊星ギヤセット
US8840379B2 (en) Ceiling fan
JP2010174924A (ja) ディファレンシャル装置
EP3249177A3 (en) Bearing damper with external support spring system and corresponding manufacturing method
JP2015086817A (ja) スクリュー圧縮機
JP6496922B2 (ja) 密封装置
US20170234367A1 (en) Rolling bearing
DE502007000007D1 (de) Stabilisatoranordnung
KR102002564B1 (ko) 압축기
TWI486527B (zh) 利用雷射熔化風扇絕緣架與軸筒之結合結構及其方法
JP4593150B2 (ja) 自在継手
JP2008162582A (ja) 自動車両車輪の定速度ジョイントとハブベアリングユニットとの間の結合ゾーン用シール構成
JP4648623B2 (ja) 振り子式往復鋸装置
JP2011089650A (ja) ディファレンシャル装置
US20160273638A1 (en) Method of attaching ring gear to differential case, jig, and differential case
US20170370405A1 (en) Bearing isolator seal with enhanced rotor drive coupling
JP2017053394A (ja) 動力伝達構造
JP2015148331A (ja) シール装置
JP6432078B2 (ja) モータ内蔵ローラ、動力伝達部材及びモータ内蔵ローラの製造方法
WO2016199825A1 (ja) 回転機械
JP2018119520A5 (ko)
JP2012065524A (ja) 回転軸支持構造およびそれを有するマグネット式モータ
JP2006022645A (ja) ターボ形高速回転機器
US20170204955A1 (en) Differential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