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491B1 - 검전기 - Google Patents

검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491B1
KR102002491B1 KR1020180011766A KR20180011766A KR102002491B1 KR 102002491 B1 KR102002491 B1 KR 102002491B1 KR 1020180011766 A KR1020180011766 A KR 1020180011766A KR 20180011766 A KR20180011766 A KR 20180011766A KR 102002491 B1 KR102002491 B1 KR 102002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gnal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referen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광호
Original Assignee
유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광호 filed Critical 유광호
Priority to KR1020180011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4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64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 G01R29/0871Complete apparatus or systems; circuits, e.g. receivers or amplifi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07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29/0814Field measurements related to measuring influence on or from apparatus, components or humans, e.g. in ESD, EMI, EMC, EMP testing, measuring radiation leakage; detecting presence of micro- or radiowave emitters; dosimetry; testing shielding; measurements related to lightning
    • G01R29/085Field measurements related to measuring influence on or from apparatus, components or humans, e.g. in ESD, EMI, EMC, EMP testing, measuring radiation leakage; detecting presence of micro- or radiowave emitters; dosimetry; testing shielding; measurements related to lightning for detecting presence or locat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64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 G01R29/0892Details related to signal analysis or treatment; presenting results, e.g. displays; measuring specific signal features other than field strength, e.g. polarisation, field modes, phase, envelope, maximum val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1Measuring interference from external sources to, or emission from, the device under test, e.g. EMC, EMI, EMP or ESD te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전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전자기파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불필요한 고주파수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1 필터부; 상기 제1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시키는 신호증폭부; 선택 가능한 복수 개의 서로 다른 기준신호값들을 구비한 비교부; 상기 비교부의 기준신호값들 중 임의로 한 개의 기준신호값을 선택하는 선택설정부; 상기 신호증폭부에서 증폭된 입력신호와 상기 비교부의 설정된 한 개의 기준신호값을 비교하여 매칭이 되면 디지털신호를 발생시키고 매칭이 되지 않으면 디지털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는 제어부; 상기 비교부에서 발생된 디지털신호를 필터링하는 제2 필터부; 상기 제2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 및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개의 송전선로에 전력이 흐르는지를 검전하는 것이 정확할 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송전선로들이 배치된 상태에서 그 중 한 개의 송전선로에 전력이 흐르는지를 정확하게 검전한다.

Description

검전기{DEVICE FOR DETECTING ELECTRIC POWER IN ELECTRIC WIRE}
본 발명은 검전기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에서 발전된 전력은 송전선로를 통해 변전소로 송전되고 변전소에서 전력의 전압을 감압시켜 발전소로부터 먼 거리에 있는 가정이나 공장 등에 공급한다. 발전소에서 발전한 전력을 변전소와 변전소로 송전하는 송전선로는 고압의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매우 두껍고 무거워 철로 이루어진 송전탑을 설정된 거리를 두고 설치하고 그 송전탑들에 송전선로가 지지된다. 그리고 변전소에서 감압된 전력을 공장이나 가정으로 송전(배전)하는 송전선로는 상대적으로 저압의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고 무게가 가벼워 그 송전선로는 설정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전봇대에 의해 지지된다.
이와 같은 송전시스템에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전탑(T)의 송전선로(W)를 교체하거나 송전선로에 장애가 발생되어 전기 공사를 할 경우 전기 공사를 할 송전선로(W)에 송전되는 전력을 차단하고 전기 공사를 하게 된다.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송전탑(T)에 올라가 작업을 하기 전 작업할 송전선로(W)가 전력이 공급되는 활선인지 전력이 공급되지 않은 사선인지를 확인한 후 작업을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송전선로에 전력이 흐르는지를 확인하는 장치로 검전기가 사용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41042호(2011. 04. 21. 공개일)(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는 비접촉식 안전용 검전기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은 전력을 공급하는 배선에 전력이 흐를 때 배선의 주변에 형성되는 전자기파에 의해 발생되는 유도기전력을 감지하여 그 배선에 전력이 흐르고 있음, 즉 그 배선이 활선인 것을 알려주게 된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한 개의 배선이 위치한 상태에서 그 배선이 활선인지 사선인지를 검전하는 것은 정확하나, 송전탑이나 전봇대에 서로 다른 송전선로들이 지지된 상태에서 그 중 한 개의 송전선로가 활선인지 사선인지를 검전하게 될 경우 주변의 송전선로들에서 형성되는 전자기파에 의한 유도기전력으로 인하여 그 한 개의 송전선로가 활선인지 사선인지를 검전하는 것이 정확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즉, 복수 개의 송전선로들이 배치된 상태에서 한 개의 송전선로만이 사선인 경우 그 주변의 송전선로들이 활선이므로 사선인 송전선로에 검전기를 위치시켜도 활선인 송전선로들에서 발생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활선인 것으로 검전되어 검전이 정확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 개의 송전선로에 전력이 흐르는지를 검전하는 것이 정확할 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송전선로들이 배치된 상태에서 그 중 한 개의 송전선로에 전력이 흐르는지를 정확하게 검전하는 검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의 착용 부담을 줄일 뿐만 아니라 착용이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한 검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자기파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불필요한 고주파수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1 필터부; 상기 제1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시키는 신호증폭부; 선택 가능한 복수 개의 서로 다른 기준신호값들을 구비한 비교부; 상기 비교부의 기준신호값들 중 임의로 한 개의 기준신호값을 선택하는 선택설정부; 상기 신호증폭부에서 증폭된 입력신호와 상기 비교부의 설정된 한 개의 기준신호값을 비교하여 매칭이 되면 디지털신호를 발생시키고 매칭이 되지 않으면 디지털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는 제어부; 상기 비교부에서 발생된 디지털신호를 필터링하는 제2 필터부; 상기 제2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 및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검전기가 제공된다.
상기 기준신호값들은 네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네 개의 기준신호값은, 220볼트, 440볼트, 6.9킬로볼트, 22.9킬로볼트가 각각 흐르는 송전선로인 전력선에서 전력이 흐를 때 주변의 설정된 거리에서 형성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값들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네 개의 기준신호값은, 220볼트, 3.3킬로볼트, 6.6킬로볼트, 22.9킬로볼트가 각각 흐르는 송전선로인 전력선에서 전력이 흐를 때 주변의 설정된 거리에 형성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값들이 될 수도 있다.
상기 네 개의 기준신호값은, 220볼트, 154킬로볼트, 345킬로볼트, 765킬로볼트가 각각 흐르는 송전선로인 전력선에서 전력이 흐를 때 주변의 설정된 거리에 형성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값들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출력부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쇄회로가 프린팅된 사각 형태의 인쇄회로기판의 상부 가운데 부분에 출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출력부의 우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출력부의 좌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출력부와 감지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제1 필터부가 구비되고, 상기 출력부의 아래쪽인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중간부분에 비교부가 구비되고, 상기 비교부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선택설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선택설정부와 비교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원부가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의 아래쪽에 위치함과 아울러 전원부의 옆에 위치하도록 인쇄회로기판에 제2 필터부가 구비되며,
상기 출력부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메인칩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부는 복수 개의 캐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부는 복수 개의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설정부는 선택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필터부는 복수 개의 레지스터들을 포함하는 검전기가 제공된다.
또한, 사각프레임; 상기 사각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검전기본체; 상기 사각프레임의 양쪽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사각프레임을 손목에 묶어 차거나 그 묶음을 해제하는 손목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검전기본체는 사각프레임에 착탈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장착되며 부품들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돌출된 선택스위치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며 상기 케이싱의 외면에 노출되어 상기 선택스위치의 선택에 따라 발광하는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들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며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돌출되는 전원스위치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검전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전압이 송전되는 복수 개의 송전선로들 중 검전할 지정된 송전선로에서 전력이 흐를 때 발생되는 유도기전력에 해당되는 기준신호값을 선택설정부의 조작에 의해 비교부에서 기준신호값을 선택하고 지정된 송전선로에 인접하게 위치시켜 전력이 흐를 경우 지정된 전송선로의 주변에 발생되는 유도기전력에 의한 전압신호(또는 전류신호)가 비교부의 선택된 기준신호값과 매칭되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지정된 전송선로에 전력이 흐르지 않을 경우 비교부의 선택된 기준신호값과 매칭되는 신호가 없어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하여, 복수 개의 송전선로들이 배치된 상태에서 그 중 한 개의 송전선로에 전력이 흐르는지를 정확하게 검전하게 되며, 아울러 한 개의 송전선로에 전력이 흐르는지를 정확하게 검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인쇄회로기판과 그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구성부품들의 위치가 송전선로에서 감지되어 입력된 신호의 교란 및 상쇄를 최소화하게 되어 송전선로의 주변에 발생되는 유도기전력에 의한 신호를 감지하는 정도를 높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검전기본체를 작업자의 손목에 착용이 가능하게 되어 착용이 간편하고 작업자가 송전탑에서 전기공사를 할 때 착용 부담을 줄이고 사용이 간단하여 전기공사 작업의 위험도를 감소시키게 된다.
도 1은 송전선로들을 지지하는 송전탑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검전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검전기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검전기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부품들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검전기의 또다른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검전기의 또다른 일예를 구성하는 검전기본체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검전기의 또다른 일예를 구성하는 검전기본체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검전기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검전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검전기의 일실시예는, 감지부(10), 제1 필터부(20), 신호증폭부(30), 비교부(40), 선택설정부(50), 제어부(CU), 제2 필터부(60), 신호처리부(70), 출력부(80)를 포함한다.
감지부(10)는 전자기파를 감지한다. 감지부(10)는 송전선로인 전력선에 전력이 흐를 때 그 전력선의 주변에 형성되는 전자기파를 감지한다. 전력이 흐르는 전력선의 주변에 전자기파가 형성되고 감지부(10)가 그 전자기파 내에 위치하게 되면 그 전자기파로 인하여 감지부(10)에 유도 교류전류가 흐르게 된다.
제1 필터부(20)는 감지부(10)에서 감지된 불필요한 고주파수 신호를 필터링한다. 즉, 60Hz 이외의 불필요한 주파수 신호를 필터링하게 된다.
신호증폭부(30)는 제1 필터부(20)에서 필터링된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시킨다.
비교부(40)는 선택 가능한 복수 개의 서로 다른 기준신호값들을 구비한다. 기준신호값들은 네 개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네 개의 기준신호값들은 서로 다르다. 기준신호값들은 각각 미리 입력된 값들이다. 제1 예로, 네 개의 기준신호값은, 220볼트, 440볼트, 6.9킬로볼트, 22.9킬로볼트가 각각 흐르는 송전선로인 전력선에서 전력이 흐를 때 주변의 설정된 거리에서 형성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값들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그 네 개의 기준신호값은 220볼트, 440볼트, 6.9킬로볼트, 22.9킬로볼트가 각각 흐르는 송전선로인 전력선에서 전력이 흐를 때 주변의 설정된 거리에서 형성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값들이 될 수도 있다. 제2 예로, 네 개의 기준신호값은, 220볼트, 3.3킬로볼트, 6.6킬로볼트, 22.9킬로볼트가 각각 흐르는 송전선로인 전력선에서 전력이 흐를 때 주변의 설정된 거리에 형성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값들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그 네 개의 기준신호값은, 220볼트, 3.3킬로볼트, 6.6킬로볼트, 22.9킬로볼트가 각각 흐르는 송전선로인 전력선에서 전력이 흐를 때 주변의 설정된 거리에 형성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값들이 될 수도 있다. 제3 예로, 네 개의 기준신호값은, 220볼트, 154킬로볼트, 345킬로볼트, 765킬로볼트가 각각 흐르는 송전선로인 전력선에서 전력이 흐를 때 주변의 설정된 거리에 형성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값들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그 네 개의 기준신호값은, 220볼트, 154킬로볼트, 345킬로볼트, 765킬로볼트가 각각 흐르는 송전선로인 전력선에서 전력이 흐를 때 주변의 설정된 거리에 형성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값들이 될 수도 있다. 제3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220볼트, 154킬로볼트, 345킬로볼트, 765킬로볼트로 흐르는 송선선로에 대한 기준신호값들을 각각 150오옴, 360킬로오옴, 750킬로오옴, 1.2 메가오옴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거리는 각각 9~11센티미터, 3.5~4.5미터, 5.5~6.5미터, 10.5~11.5미터로 한다.
비교부(40)의 기준신호값들은 세 개가 될 수 있고, 또한 다섯 개가 될 수도 있다.
선택설정부(50)는 비교부(40)의 기준신호값들 중 임의로 한 개의 기준신호값을 선택한다. 비교부(40)에 네 개의 서로 다른 기준신호값들이 구비된 경우 선택설정부(50)에 의해 네 개의 기준신호값들 중 선택적으로 한 개의 기준신호값을 설정한다.
제어부는 신호증폭부에서 증폭된 입력신호와 비교부의 설정된 한 개의 기준신호값을 비교하여 매칭이 되면 디지털신호를 발생시키고 매칭이 되지 않으면 디지털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제2 필터부(60)는 제어부(CU)에서 발생된 디지털신호를 여과한다. 즉, 제어부(CU)에서 발생된 디지털신호를 전달받아 노이즈를 제거한다.
신호처리부(70)는 제2 필터부(60)에서 여과된 신호를 처리한다. 신호처리부(70)는 여과된 디지털신호를 소리신호로 처리하거나 광신호로 처리하거나 또는 소리신호와 광신호로 동시에 처리한다.
출력부(80)는 신호처리부(70)에서 처리된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부(80)의 일예로, 출력부(80)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출력부(80)의 다른 일예로, 출력부(80)는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80)의 또 다른 일예로, 출력부(80)는 스피커와 램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검전기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3,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가 프린팅된 사각 형태의 인쇄회로기판(90)의 상부 가운데 부분에 출력부(80)가 구비되고 그 출력부(80)는 스피커(81)를 포함한다. 출력부(80)의 좌측에 위치하도록 인쇄회로기판(90)에 감지부(10)가 구비되고 그 감지부(10)는 안테나(11)를 포함한다. 출력부(80)의 우측에 위치하도록 인쇄회로기판(90)에 제어부(CU)가 구비되고 그 제어부는 메인칩(91)을 포함한다. 출력부(80)와 감지부(10) 사이에 위치하도록 인쇄회로기판(90)에 제1 필터부(20)가 구비되고 그 제1 필터부(20)는 복수 개의 캐패시터(21)들을 포함한다. 출력부(80)의 아래쪽인 인쇄회로기판(90)의 중간부분에 비교부(40)가 구비되고 그 비교부(40)는 복수 개의 기준신호값들의 기능을 하는 복수 개의 트랜지스터(41)들과 레지스터(42)들을 포함한다. 비교부(40)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인쇄회로기판(90)에 선택설정부(50)가 구비되고 그 선택설정부(50)는 선택스위치(51)를 포함한다. 선택설정부(50)는 비교부(40)의 기준신호값들과 상응하는 수의 발광다이오드(52)들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다이오드(52)들은 각각 비교부(40)의 트렌지스터(41)들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트렌지스터(41)들과 일대일로 대응되게 위치한다. 선택설정부(50)에서 임의의 기준신호값을 설정할 경우 그 설정된 기준신호값과 상응하는 발광다이오드(52)가 발광하게 된다. 선택설정부(50)와 비교부(40) 사이에 위치하도록 인쇄회로기판(90)에 전원부가 구비되고 그 전원부는 배터리(92)를 포함한다. 감지부(10)의 아래쪽에 위치함과 아울러 전원부의 옆에 위치하도록 인쇄회로기판(90)에 제2 필터부(60)가 구비되고, 그 제2 필터부(60)는 복수 개의 레지스터(61)들을 포함한다. 선택설정부(50)의 옆에 위치하도록 인쇄회로기판(90)에 전원스위치(9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검전기의 구현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검전기의 구현된 실시예는, 사각프레임(100), 검전기본체(200), 손목벨트(300)를 포함한다.
사각프레임(100)은 사각액자 형상이며, 내측 테두리에 사각형의 단턱홈(101)이 구비된다. 사각프레임(100)에서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변에 해당되는 부분에 손목벨트(300)가 연결되는 벨트연결부(102)가 구비된다.
검전기본체(200)는 사각프레임(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력선에 인접시 전력선에 전력이 흐르는지를 검전한다. 검전기본체(200)의 일예로, 도 6,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전기본체(200)는 사각프레임(100)에 착탈되는 케이싱(C)과, 케이싱(210)의 내부에 장착되며 부품들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90)과, 그 인쇄회로기판(90)에 장착되어 케이싱(C)의 외부로 돌출되며 네 개의 기준신호값들 중 임의의 한 개 기준값을 선택하는 선택스위치(51)와, 인쇄회로기판(90)에 장착되며 네 개의 기준신호값들과 각각 연결되어 케이싱(C)의 외면에 노출되며 선택스위치(51)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기준신호값에 연결된 발광다이오드가 발광하는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52)들과, 인쇄회로기판(90)에 장착되며 케이싱(C)의 외부로 돌출된 전원스위치(93)와, 인쇄회로기판(90)에 장착된 스피커(81)를 포함한다.
케이싱(C)은 전면케이스(210)와, 그 전면케이스(210)에 결합되는 후면케이스(220)를 포함한다. 전면케이스(210)의 내부에 복수 개의 고정돌기부(211)들이 구비되고 전면케이스(210)의 전면판(212)에 발광다이오드(52)들과 선택스위치(51)와 전원스위치(93)가 각각 노출되도록 복수 개의 구멍(213)이 구비되며, 아울러, 소음방출구멍(214)이 된다. 후면케이스(220)의 내부에 전면케이스(210)의 고정돌기부(211)들과 함께 인쇄회로기판(90)을 고정하는 고정돌기부(221)들이 구비된다.
인쇄회로기판(90)은 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회로기판(90)에 실장된 부품들은 감지부(10), 제1 필터부(20), 신호증폭부(30), 비교부(40), 선택설정부(50), 제2 필터부(60), 신호처리부(70), 출력부(80)에 해당되는 안테나(11), 복수 개의 캐패시터(21)들, 메인칩(91), 복수 개의 트랜지스터(41)들, 선택스위치(51), 스피커(81) 등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배터리(92),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52)들, 전원스위치(93) 등을 포함한다. 발광다이오드(52)들은 비교부(40)의 기준신호값들을 나타내는 트렌지스터(41)들 및 레지스터(42)들과 연결되어 선택스위치(51)에 의해 기준신호값이 설정시 그 설정된 트렌지스터(41)와 연결된 발광다이오드(52)가 발광하게 된다. 발광다이오드(52)들은 네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품들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90)은 케이싱의 전면케이스(210)와 후면케이스(220) 사이에 위치하여 전면케이스(210)와 후면케이스(220)의 고정돌기부들(211)(221)에 의해 지지 고정된다. 그리고 인쇄회로기판(90)에 장착된 스피커(81)는 전면케이스(210)의 소음방출구멍(214)에 대면되고 발광다이오드(52)들과 선택스위치(51)와 전원스위치(93)는 전면케이스(210)의 구멍(213)들에 각각 삽입되어 전면케이스(210)의 외부로 돌출된다. 발광다이오드(52)들의 각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전면케이스(210)의 일부분에 각 발광다이오드(52)들과 각각 연결되는 기준신호값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싱(C)은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커버(230)로 커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목벨트(300)는 사각프레임(100)의 양쪽에 각각 연결되며, 사각프레임(100)을 손목에 묶어 차거나 그 묶음을 해제한다. 손목벨트(300)들의 일예로, 손목벨트(300)들은 두 개의 하프벨트(310)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 개의 하프벨트(310)는 사각프레임(100)의 한쪽 벨트연결부(102)에 연결되고 다른 한 개의 하프벨트(310)는 사각프레임(100)의 다른 한쪽 벨트연결부(102)에 연결된다. 한 개의 하프벨트(310)와 다른 한 개의 하프벨트(310)에 서로 연결하거나 그 연결을 해제하는 연결수단(320)이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검전기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할 송전탑에 지지된 복수 개의 송전선로들 중 전기 공사를 할 지정된 송전선로에서 발생되는 유도기전력에 상응한 비교부(40)의 기준신호값이 설정되도록 선택설정부(50)로 기준신호값을 설정한다. 이와 같이 비교부(40)의 기준신호값을 설정한 후 송전탑에 지지되는 복수 개의 송전선로들 중 전기 공사를 할 지정된 송전선로의 근처에 감지부(10)를 위치시킨다. 지정된 송전선로에 전력이 흐르는 경우 그 지정된 송전선로의 주변에 형성된 전자기파에 의해 유도된 유도기전력이 감지부(10)를 통해 흐르게 된다. 이와 동시에 지정된 송전선로의 주변에 위치한 송전선로들에 의해 발생되는 유도기전력도 함께 감지부(10)를 통해 흐르게 된다. 감지부(10)에서 흐르는 복수 개의 전압신호(또는 전류신호)들은 제1 필터부(20)에서 필요없는 고주파수 신호가 필터링되어 제거되고 그 필터링된 신호는 신호증폭부(30)에서 증폭되어 비교부(40)로 유입된다. 비교부(40)로 유입된 증폭된 전압신호(또는 전류신호)들은 비교부(40)의 복수 개의 기준신호값들 중 설정된 기준신호값을 거치면서 지정된 송전선로에 의해 발생된 유도기전력에 의한 전압신호(또는 전류신호)가 설정된 기준신호값과 매칭이 되면 디지털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지정된 송전선로 이외의 다른 송전선로들에서 유도된 유도기전력에 의한 전압신호(또는 전류신호)들은 설정된 기준신호값과 매칭이 되지 않는다. 비교부(40)에서 디지털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면 제2 필터부(60)에서 필터링하고 신호처리부(70)에서 소리신호로 처리하여 출력부(80)에서 소음을 출력하여 지정된 송전선로에 전력이 흐르는 것을 알려주게 된다. 만일, 지정된 송전선로에 전력이 흐르지 않게 되면 지정된 송전선로에서 유도기전력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감지부(10)로 지정된 송전선로의 유도기전력이 입력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지정된 송전선로의 주변에 위치하는 송전선로들에서 발생되는 주변 유도기전력들이 감지부(10)에서 감지되어 비교부(40)의 설정된 기준신호값들을 거치게 되나 설정된 기준신호값과의 신호가 매칭이 되지 않아 디지털신호를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하여, 지정된 송전선로에 전력이 흐르지 않고 지정된 송전선로의 주변에 위치한 송전선로들에 전력이 흐르게 되더라도 주변에 위치한 송전선로들에 흐르는 전력에 의해 소리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게 되므로 지정된 송전선로에 전력이 흐르지 않는 것을 검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송전탑의 다른 지정된 송전선로에 전력이 흐르는지 검전할 경우 그 다른 지정된 송전선로에서 발생되는 유도기전력에 상응한 비교부(40)의 기준신호값이 설정되도록 선택설정부(50)로 기준신호값을 변경하여 설정하고 감지부(10)를 그 다른 지정된 송전선로의 근처에 위치시켜 전력이 흐르는지 검전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90)에 구성요소들이 실장되되, 인쇄회로기판(90)의 상부 가운데 부분에 출력부(80)가 위치하고 그 출력부(80)의 좌측에 감지부(10)가 위치하고 출력부(80)와 감지부(10) 사이에 제1 필터부(20)가 위치하고 출력부(80)의 우측에 제어부(CU)가 위치하고 출력부(80)의 아래쪽에 비교부(40)가 위치하고 비교부(40)의 아래에 선택설정부(50)가 위치하고 선택설정부(50)와 비교부(40) 사이에 전원부가 위치하고 감지부(10)의 아래쪽에 위치함과 아울러 전원부의 옆에 제2 필터부(60)가 위치하게 되므로 감지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가 구성요소들을 거치면서 신호가 처리될 때 신호 교란 및 신호 감쇠를 최소화하여 검전 감도가 우수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송전선로의 활선 또는 사선을 정확하게 검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송전탑에서 전기공사를 할 때 작업자가 사각프레임(100)에 검전기본체(200)가 장착된 손목벨트(300)를 손목에 착용한 후 송전탑에 올라가 지정된 송전선로에 해당되는 기준신호값에 맞게 선택스위치를 조절하여 기준신호값을 선택한다. 이때, 설정된 기준신호값에 연결된 발광다이오드(52)가 발광한다. 작업자는 발광다이오드(52)의 발광을 확인한 후 지정된 송전선로에 인접하게 검전기본체(200)가 착용된 손목을 위치시켜 지정된 송전선로가 활선인지 사선인지를 검전하게 된다. 한편, 송전탑에 지지되는 다른 송전선로에 전력이 흐르고 있는지를 검전할 경우 그 송전선로에 해당되는 기준선호에 맞게 선택스위치(51)를 조절하여 기준신호값을 선택한다. 이때, 재설정된 기준신호값에 연결된 다른 발광다이오드(52)가 발광한다. 작업자는 그 발광다이오드(52)의 발광을 확인한 후 다른 지정된 송전선로에 검전기본체(200)가 착용된 손목을 위치시켜 재지정된 송전선로가 활선인지 사선인지 검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전압이 송전되는 복수 개의 송전선로들 중 검전할 지정된 송전선로에서 전력이 흐를 때 발생되는 유도기전력에 해당되는 기준신호값을 선택설정부(50)의 조작에 의해 비교부(40)에서 기준신호값을 설정하고 지정된 송전선로에 인접하게 위치시켜 전력이 흐를 경우 지정된 전송선로의 주변에 발생되는 유도기전력에 의한 전압신호(또는 전류신호)가 비교부(40)의 선택된 기준신호값과 매칭되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지정된 전송선로에 전력이 흐르지 않을 경우 비교부(40)의 선택된 기준신호값과 매칭되는 신호가 없어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하여, 복수 개의 송전선로들이 배치된 상태에서 그 중 한 개의 송전선로에 전력이 흐르는지를 정확하게 검전하게 되며, 아울러 한 개의 송전선로에 전력이 흐르는지를 정확하게 검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인쇄회로기판(90)과 그 인쇄회로기판(90)에 장착되는 구성부품들의 위치가 송전선로에서 감지되어 입력된 신호의 교란 및 상쇄를 최소화하게 되어 송전선로의 주변에 발생되는 유도기전력에 의한 신호를 감지하는 정도를 높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검전기본체(200)를 작업자의 손목에 착용이 가능하게 되어 착용이 간편하고 작업자가 송전탑에서 전기공사를 할 때 착용 부담을 줄이고 사용이 간단하여 전기공사 작업의 위험도를 감소시키게 된다.
10; 감지부 20; 제1 필터부
30; 신호증폭부 40; 비교부
50; 선택설정부 60; 제2 필터부
70; 신호처리부 80; 출력부
90; 인쇄회로기판 100; 사각프레임
200; 검전기본체 300; 손목벨트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사각프레임;
    상기 사각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검전기본체;
    상기 사각프레임의 양쪽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사각프레임을 손목에 묶어 차거나 그 묶음을 해제하는 손목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검전기본체는 사각프레임에 착탈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장착되며 부품들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돌출되며 네 개의 기준신호값들 중 임의의 한 개 기준값을 선택하는 선택스위치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며 상기 네 개의 기준신호값들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케이싱의 외면에 노출되며 상기 선택스위치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기준신호값에 연결된 발광다이오드가 발광하는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들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며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돌출되는 전원스위치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검전기.
KR1020180011766A 2018-01-31 2018-01-31 검전기 KR102002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766A KR102002491B1 (ko) 2018-01-31 2018-01-31 검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766A KR102002491B1 (ko) 2018-01-31 2018-01-31 검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2491B1 true KR102002491B1 (ko) 2019-07-23

Family

ID=67439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766A KR102002491B1 (ko) 2018-01-31 2018-01-31 검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4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6131A (ko) * 2021-12-08 2023-06-15 송종환 이동형 비접촉식 직류 고전압 검전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0151A (ja) * 1995-02-10 1996-08-30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手首装着式充電検出器
KR20120074690A (ko) * 2010-12-28 2012-07-06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계를 이용한 활선 검전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0151A (ja) * 1995-02-10 1996-08-30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手首装着式充電検出器
KR20120074690A (ko) * 2010-12-28 2012-07-06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계를 이용한 활선 검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6131A (ko) * 2021-12-08 2023-06-15 송종환 이동형 비접촉식 직류 고전압 검전기
KR102617040B1 (ko) * 2021-12-08 2023-12-21 송종환 이동형 비접촉식 직류 고전압 검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12875C (en) 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current carrying conductor
EP0681706B1 (en) Apparatus for locating buried conductors
CA2613302C (en) A detector for detecting a buried current carrying conductor
US20050264427A1 (en) Electrical injury protection system
US20070290672A1 (en) Detector for detecting a buried current carrying conductor
US4785294A (en) Static monitoring system
JPH03501523A (ja) 事故検出
KR102002491B1 (ko) 검전기
US20190020191A1 (en) Prevention system and process against electric shocks and/or electric arcs
US4423372A (en) Instrument for monitoring the radiation hazard arising from electric and/or magnetic radio-frequency fields
JPH08125574A (ja) ダイナミック最適化用のエキスパートシステム技術を用いる電子物品監視入力構成制御装置
US8754629B2 (en) Electrical hazard warning in audio signal probe
KR100396043B1 (ko) 전기케이블을검출하고식별하기위한방법및장치
US4796012A (en) Perimeter surveillance system with sectional inhibition
US20140035369A9 (en) Power supply appliance and power supply system with an appliance such as this
EP0898173B1 (en) A device for detecting faults in an electric line of a vehicle, in particular a commercial vehicle
KR101908863B1 (ko) 불꽃 감지기의 복수 유효 감지 거리 설정 장치
GB2184851A (en) Alternator phase signal detecting device
JPH0748740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emi検出方式および低減方法
JP2002529888A (ja) 受動送信機および受信機を用いる低コスト電気サーキットブレーカ探知装置
JP2600348B2 (ja) 道路用照明器具絶縁監視装置
JPH0357424B2 (ko)
JPH01126145A (ja) 回転電機の集電火花監視装置
JPS60181636A (ja) 光線式検出装置
EP0423109A1 (en) Radio frequency det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