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409B1 - 폐기물 소각장치 - Google Patents
폐기물 소각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2409B1 KR102002409B1 KR1020170069679A KR20170069679A KR102002409B1 KR 102002409 B1 KR102002409 B1 KR 102002409B1 KR 1020170069679 A KR1020170069679 A KR 1020170069679A KR 20170069679 A KR20170069679 A KR 20170069679A KR 102002409 B1 KR102002409 B1 KR 1020024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bustion
- pipe
- combustion gas
- gas discharge
- combustion furn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8—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 F23G5/1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2/00—Combustion
- F23G2202/10—Combustion in two or more stages
- F23G2202/106—Combustion in two or more stages with recirculation of unburned solid or gaseous matter into combustion chamb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incinerators
- F23G2900/00001—Exhaust gas re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물이 연소되는 연소공간이 마련된 연소로, 연소로에 연결하며, 연소로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배기하는 연도, 일단은 연소로 내측 상부에 배치하며, 타단은 연소로 외부로 연장 배치되고, 연소로 내측에 배치된 일단에는 연소로 내 불완전 연소가스가 유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의 흡입공이 형성된 연소가스배출관, 연소가스배출관의 타단에 연결하며, 연소로 내측의 불완전 연소가스가 연소가스배출관을 통해 연소로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연소가스배출팬, 일단은 연소가스배출관보다 하방에 배치되도록 연소로 내측 하부에 배치하며, 타단은 연소로 외부로 연장 배치되고, 연소로 내측에 배치된 일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의 분사노즐이 형성된 혼합가스공급관, 연소가스배출팬과 혼합가스공급관 타단을 연결하여, 연소가스배출팬을 통해 배출되는 불완전 연소가스를 혼합가스공급관으로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혼합가이드관, 혼합가스공급관의 타단에 연결하며, 혼합가이드관을 통해 혼합가스공급관으로 유입된 불완전 연소가스를 외부에서 흡입되는 공기와 혼합한 후, 혼합가스공급관을 통해 연소로 내부로 공급되게 하는 혼합가스공급팬을 포함하는 폐기물 소각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폐기물을 연소 처리하는 폐기물 소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각장치는 통상 폐기물을 연소시키는 소각로와, 폐기물이 연소되어 배기되는 배기가스 중의 더스트(Dust)를 포집하는 윈심력집진기와, 재차 더스트, 미스트를 집진하며 배기가스의 온도를 낮추는 세정집진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소각장치는 연소방법에서 연소의 성상에 의하여 보조연료인 가스를 이용하여 폐기물을 소각시키는 기체연소법과, 보조연료인 액상연료를 사용하여 폐기물을 소각시키는 액체연소법과, 보통 폐기물 폐타이어, 폐플라스틱 등 고문자계폐기물 등의 보조연료를 사용하여 상향연소방식으로 연소시키는 고체연소법으로 구분되며 연소진행에 따라 상향류 연소방식과 하향류 연소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소각장치에서 폐기물을 연소시키는 소각로의 형식은 로스톨 위에서 연소시키는 화격자소각로와 바닥에서 연소시키는 바닥소각로와 소각로를 회전시키는 로터리소각로로 구분된다.
상기와 같은 종전의 모든 소각장치들은 일반쓰레기를 포함하는 모든 폐기물의 연소를 돕는 보조연료를 사용함으로써 폐기물 소각처리에 전력에너지소비와 더불어 연료비용이 추가되는 경제적인 부담이 크고, 더욱 소각로의 연소온도가 800 ∼ 1000℃로 일반쓰레기의 소각처리에는 환경기준치의 배기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더하여, 폐타이어, 폐플라스틱 등 고분자계물질이 주종을 이루는 산업폐기물을 소각할 시에는 800 ∼ 1000℃의 연소온도에서는 가연한계에 의해 미연소의 발생으로 그을림이 발생되어 복잡한 집진설비를 필요로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폐타이어를 소각하는 소각장치는 소각로의 버너를 통한 1차연소 방식을 채택하므로, 불완전연소로 인하여 연소가스가 많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고열의 연소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폐기물 소각장치에 대한 기술은,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785042호(2007.12.12)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폐타이어와 같은 폐기물의 불완전연소를 최소화하여 연소가스의 배출을 감소시키고, 연소온도를 상승시켜 연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폐기물 소각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폐기물이 연소되는 연소공간이 마련된 연소로, 상기 연소로에 연결하며, 상기 연소로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배기하는 연도, 일단은 상기 연소로 내측 상부에 배치하며, 타단은 상기 연소로 외부로 연장 배치되고, 상기 연소로 내측에 배치된 일단에는 상기 연소로 내 불완전 연소가스가 유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의 흡입공이 형성된 연소가스배출관, 상기 연소가스배출관의 타단에 연결하며, 상기 연소로 내측의 불완전 연소가스가 상기 연소가스배출관을 통해 상기 연소로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연소가스배출팬, 일단은 상기 연소가스배출관보다 하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연소로 내측 하부에 배치하며, 타단은 상기 연소로 외부로 연장 배치되고, 상기 연소로 내측에 배치된 일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의 분사노즐이 형성된 혼합가스공급관, 상기 연소가스배출팬과 상기 혼합가스공급관 타단을 연결하여, 상기 연소가스배출팬을 통해 배출되는 불완전 연소가스를 상기 혼합가스공급관으로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혼합가이드관, 상기 혼합가스공급관의 타단에 연결하며, 상기 혼합가이드관을 통해 상기 혼합가스공급관으로 유입된 불완전 연소가스를 외부에서 흡입되는 공기와 혼합한 후, 상기 혼합가스공급관을 통해 상기 연소로 내부로 공급되게 하는 혼합가스공급팬을 포함하는 폐기물 소각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소가스배출관은, 연직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연소가스배출관 및 제2연소가스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연소가스배출팬은, 상기 제1연소가스배출관과 연결되는 제1연소가스배출팬, 상기 제2연소가스배출관과 연결되는 제2연소가스배출팬을 포함하고, 상기 혼합가이드관은, 상기 제1연소가스배출팬과 상기 혼합가스공급관을 연결하는 제1혼합가이드관과, 상기 제2연소가스배출팬과 상기 혼합가스공급관을 연결하는 제2혼합가이드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소가스배출관의 일단 및 상기 혼합가스공급관의 일단은, 상기 연소로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복수개의 지관으로 나누어진 분기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가스공급관의 일단 외측에는 냉각수가 유입되는 입구 및 냉각수가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된 냉각배관을 삽입 설치하며, 일단이 상기 냉각배관의 입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냉각배관의 출구에 연결되는 냉각수순환배관과, 상기 연소로 외부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냉각수순환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냉각배관으로 냉각수를 공급한 후 배출되도록 펌핑력을 발생시키는 냉각수공급펌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소각장치는, 연소로 내부에서 폐기물을 연소할 때 발생하는 불완전 연소가스가 연소가스배출팬의 작동으로 연소가스배출관 및 혼합가이드관을 통해 혼합가스공급관으로 안정적인 배출 이동이 이루어지고, 혼합가스공급관으로 이동된 불완전 연소가스는 다시 혼합가스공급팬에 의해 연소로 외부의 압축공기와 혼합된 상태로 다시 연소로 내부로 재공급이 이루어지면서 연소가스의 완전 연소가 이루어지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소각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폐기물 소각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폐기물 소각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소각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폐기물 소각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폐기물 소각장치는, 연소로(100), 연도(200), 연소가스배출관(300), 연소가스배출팬(400), 혼합가스공급관(500), 혼합가이드관(600), 혼합가스공급팬(70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연소로(100)는 소각하고자 하는 폐기물을 투입한 후, 상기 폐기물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공간(101)이 마련된 통 구조물이다. 여기서, 상기 연소로(100)는 격벽부재(도면미도시)에 의해 복수개의 연소공간(101)을 일렬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연소로(100)는 내부의 연소온도를 높게 유지함과 더불어 가열효과 및 연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2중벽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연소로(100)는 설치위치나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격벽부재를 통한 상기 연소공간(101)의 구획 설치 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소로(100)의 선단 일측벽부에는 상기 연소로(100) 내 연소공간(101)으로 소각할 폐기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11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소로(100)의 선단 일측벽부에는 상기 투입구(110)를 개폐시키는 개폐도어(111)를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결합 구비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연소로(100) 내부에는 내부로 투입된 폐기물을 연소시킬 수 있도록 연소장치(도면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연도(200)는 상기 연소로(100)에서 상기 폐기물의 연소에 따라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배기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연도(200)는 상기 연소로(100)의 후단에 연결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연도(200) 내측에는 연소가스 내 이물질, 보다 상세하게는 유해한 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하는 필터부재(도면미도시)를 결합 구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도(200) 내부에는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사이클론 집진장치나 습식집진설비를 설치할 수 있으며, 추가로 배출되는 연소가스에 의한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발전장치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연소가스배출관(300)은 상기 연소로(100) 내부에서 연소되면서 발생된 일부의 연소가스를 이후 설명될 연소가스배출팬(400)의 흡입력을 통해 상기 연소로(100) 외부로 배출되게 가이드하는 관 부분이다. 즉, 상기 연소가스배출관(300)은 상기 연소로(100) 내부에서 불완전 연소된 연소가스 일부를 상기 연소로(100) 외부로 이동되게 가이드한다. 이러한, 상기 연소가스배출관(30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연소로(100) 내측 상부에 배치되게 설치하며, 상기 연소가스배출관(300)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연소로(100) 외부로 연장 배치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연소가스배출관(300)의 길이방향 일단, 즉, 상기 연소로(100) 내부에 위치한 부분에는 연소가스배출팬(400)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연소로(100) 내부의 연소가스를 내측으로 흡입되게 할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흡입공(310)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소가스배출관(300)은 상기 연소로(100) 내부의 연소가스를 상기 연소로(100)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게 할 수 있도록 제1연소가스배출관(301) 및 제2연소가스배출관(302)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제1연소가스배출관(301)의 길이방향 일단과 상기 제2연소가스배출관(302)의 길이방향 일단, 즉 상기 연소로(100)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1연소가스배출관(301) 부분과 상기 제2연소가스배출관(302)은 연직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연소로(100) 내부에서 연직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서 발생된 불완전 연소가스가 흡입되게 할 수 있는 바, 상기 연소로(100) 외부로 불완전 연소가스의 배출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연소가스배출관(301)의 길이방향 일단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불완전 연소가스의 흡입을 위해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제1흡입공(311)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소가스배출관(302)의 길이방향 일단에도 불완전 연소가스의 흡입을 위해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제2흡입공(312)이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연소가스배출관(300)의 길이방향 일단,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소로(100) 내측에 배치되는 제1연소가스배출관(301) 길이방향 일단 및 제2연소가스배출관(302)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연소로(100) 내 불완전 연소가스의 흡입 배출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연소로(100)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복수개의 지관으로 나누어진 분기관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소가스배출팬(400)은 상기 연소가스배출관(300)을 통해 상기 연소로(100) 내부의 불완전 연소가스가 상기 연소로(100) 외부로 이동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연소가스배출관(300)으로 흡입력을 발생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연소가스배출팬(400)은 상기 연소로(100) 외부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연소가스배출관(300)의 길이방향 타단에 연결되게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연소가스배출팬(400)은 제1연소가스배출팬(401), 제2연소가스배출팬(402)을 포함한다.
상기 제1연소가스배출팬(401)의 유입구(도면미도시)는 상기 제1연소가스배출관(301)을 통해 상기 연소로(100) 내 불완전 연소가스를 흡입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연소가스배출관(301)의 길이방향 타단에 연결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연소가스배출팬(401)의 배출구(도면미도시)는 이후 설명될 제1혼합가이드관(601)의 길이방향 일단에 연결 설치한다.
상기 제2연소가스배출팬(402)의 유입구(도면미도시)는 상기 제2연소가스배출관(302)을 통해 상기 연소로(100) 내 불완전 연소가스를 흡입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연소가스배출관(302)의 길이방향 타단에 연결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2연소가스배출팬(402)의 배출구(도면미도시)는 이후 설명될 제2혼합가이드관(602)의 길이방향 일단에 연결 설치한다.
이같이, 상기 제1연소가스배출팬(401)은 상기 연소가스배출관(300)의 제1연소가스배출관(301)을 통한 불완전 연소가스가 상기 연소로(100) 외부로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제2연소가스배출팬(402)은 상기 연소가스배출관(300)의 제2연소가스배출관(302)을 통한 불완전 연소가스가 상기 연소로(100) 외부로의 배출이 각각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연소로(100) 내 불완전 연소가스가 혼합가스공급관(500)으로 안정적인 이동 및 상기 연소로(100)로의 안정적인 재유입이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상기 연소로(100)에 인접 배치되도록 제1연소가스배출관(301)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연소가스배출관(301)을 통한 상기 연소로(100) 내 불완전 연소가스의 상기 연소로(100) 외부로의 배출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1보조배출팬(401a)을 구비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연소로(100)에 인접 배치되도록 제2연소가스배출관(302)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2연소가스배출관(302)을 통한 상기 연소로(100) 내 불완전 연소가스의 상기 연소로(100) 외부로의 배출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2보조배출팬(402a)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혼합가스공급관(500)은 상기 연소가스배출관(300)을 통해 배출된 불완전 연소가스 및 이후 설명될 혼합가스공급팬(70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혼합한 상태로 다시 상기 연소로(100) 내부로 유입되게 가이드하는 관 부분이다. 즉, 상기 혼합가스공급관(500)은 상기 연소로(100) 내부를 불완전 연소가스를 외부의 공기와 혼합한 상태로 다시 상기 연소로(100) 내부로 유입되게 하며, 재연소될 수 있게 하여 상기 연소로(100) 내부가 약 3000℃ 의 고열 에너지를 발생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혼합가스공급관(50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연소로(100) 내측 하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소가스배출관(300)보다 하방에 배치되게 설치하며, 상기 혼합가스공급관(500)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연소로(100) 외부로 연장 배치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혼합가스공급관(500)의 길이방향 일단, 즉 상기 연소로(100) 내부에 위치한 부분에는 혼합가스공급팬(700)에 의해 상기 연소로(100) 내부로 불완전 연소가스와 혼합된 외부 공기가 상기 연소로(100) 내부로 분사 배출되게 할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분사노즐(51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혼합가스공급관(500)의 길이방향 일단,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소로(100) 내측에 배치되는 상기 혼합가스공급관(500)의 단부는 상기 연소로(100) 내부로 불완전 연소가스와 혼합된 외부 공기가 상기 연소로(100) 내부에 골고루 분사되면서 안정적인 재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연소로(100)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복수개의 지관으로 나누어진 분기관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가스공급관(500)의 길이방향 일단 외측, 즉 상기 연소로(100) 내부에 위치한 부분 외측에는 상기 연소로(100) 외부에서 냉각수를 공급받은 후 다시 배출되게 하는 입구(801) 및 출구(802)가 형성된 냉각배관(800)을 삽입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소로(100) 외부에 위치한 상태로 냉각수탱크(도면미도시)와 연결되고, 상기 냉각배관(800)의 입구(801)에 길이방향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냉각배관(800)의 출구(802)에 길이방향 타단이 연결되는 냉각수순환배관(81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소로(100) 외부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냉각수순환배관(810)과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순환배관(810)을 통해 상기 냉각배관(800)의 입구(801)를 통해 상기 냉각배관(800) 내측으로 상기 냉각수를 공급되게 한 후, 다시 상기 냉각배관(800)의 출구(802)를 통해 상기 연소로(100) 외부로 배출되는 순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펌핑력을 발생시키는 냉각수공급펌프(9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혼합가이드관(600)은 상기 연소가스배출관(300)을 통해 상기 연소로(100) 내부에서 배출되는 불완전 연소가스를 상기 혼합가스공급관(500)으로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관 부분이다. 즉, 상기 혼합가이드관(600)은 상기 연소가스배출관(300)의 길이방향 타단과 상기 혼합가스공급관(500)의 길이방향 타단을 연결되게 하는 관 부분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혼합가이드관(60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연소가스배출팬(400)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혼합가이드관(600)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혼합가스공급관(500)의 길이방향 타단 일측에 연결한다. 이러한, 상기 혼합가이드관(600)은 제1혼합가이드관(601), 제2혼합가이드관(602)을 포함한다.
상기 제1혼합가이드관(601)은 상기 연소가스배출팬(400)의 제1연소가스배출팬(401)에 의해 상기 제1연소가스배출관(301)의 길이방향 타단으로 배출되는 불완전 연소가스를 상기 혼합가스공급관(500)으로 이동되게 가이드한다. 이러한, 상기 제1혼합가이드관(601)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연소가스배출팬(400)의 제1연소가스배출팬(401) 배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제1혼합가이드관(601)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혼합가스공급관(500)의 길이방향 타단 일측에 연결한다.
상기 제2혼합가이드관(602)은 상기 연소가스배출팬(400)의 제2연소가스배출팬(402)에 의해 상기 제2연소가스배출관(302)의 길이방향 타단으로 배출되는 불완전 연소가스를 상기 혼합가스공급관(500)으로 이동되게 가이드한다. 이러한, 상기 제2혼합가이드관(602)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연소가스배출팬(400)의 제2연소가스배출팬(402) 배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제2혼합가이드관(602)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혼합가스공급관(500)의 길이방향 타단 일측에 연결한다.
상기 혼합가스공급팬(700)은 상기 혼합가이드관(600)을 통해 상기 혼합가스공급관(500)으로 유입된 불완전 연소가스를 외부에서 흡입되는 공기와 혼합되게 한 후, 상기 혼합가스공급관(500)의 길이방향 일단을 통해 상기 연소로(100) 내부로 공급되게 이동시키는 팬이다. 즉, 상기 혼합가스공급팬(700)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연소로(100) 내부로 공급되게 할 때, 상기 연소가스배출관(300)을 통해 배출된 불완전 연소가스도 다시 상기 연소로(100) 내부로 공급되게 이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혼합가스공급팬(700)은 상기 혼합가스공급관(500)의 길이방향 타단 일측에 연결되게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혼합가스공급팬(700)의 기체를 이동시키는 압력은 앞서 설명한 상기 연소가스배출팬(400)의 기체를 이동시키는 압력보다 크도록 함으로써, 상기 혼합가스공급팬(700)의 작동시, 상기 연소로(100) 외부의 공기가 상기 혼합가스공급관(400)을 통해 상기 연소로(100) 내부로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일 실시예의 폐기물 소각장치를 이용한 폐기물 소각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연소로(100)의 투입구(110)를 통해 폐타이어와 같은 폐기물을 상기 제1연소로(100) 내 연소공간(101)으로 투입한다.
그리고, 상기 연소로(100)의 연소장치를 점화시켜 상기 폐기물을 연소되게 한다.
이때, 상기 연소가스배출팬(400)과 상기 혼합가스공급팬(500)을 작동되게 한다. 그러면, 상기 연소로(100)에서 폐기물이 연소되면서 발생된 불완전 연소가스는 상기 연도(200)를 통해 외부로 바로 배기되지 않고, 상기 연소가스배출관(300)을 통해 상기 연소로(100)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상기 연소가스배출관(300)을 통해 배출된 불완전 연소가스는 상기 혼합가이드관(600)을 통해 상기 혼합가스공급관(500)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혼합가스공급관(500)으로 이동된 불완전 연소가스는 상기 혼합가스공급팬(700)에 의해 상기 연소로(100) 외부에서 흡입되는 압축상태의 공기와 혼합된 후, 다시 상기 연소로(100) 내부로 분사된다.
상기 연소로(100) 내부로 상기 불완전 연소가스와 혼합된 공기가 유입되면, 다시 상기 연소로(100) 내부에서 상기 불완전 연소가스의 연소가 이루어지면서, 완전연소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소각장치는, 상기 연소로(100) 내부에서 상기 폐기물을 연소할 때 발생하는 불완전 연소가스가 상기 연소가스배출팬(400)의 작동으로 상기 연소가스배출관(300) 및 상기 혼합가이드관(600)을 통해 상기 혼합가스공급관(500)으로 안정적인 배출 이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혼합가스공급관(500)으로 이동된 불완전 연소가스는 다시 상기 혼합가스공급팬(700)에 의해 상기 연소로(100) 외부의 압축공기와 혼합된 상태로 다시 상기 연소로(100) 내부로 재공급이 이루어지면서 연소가스의 완전 연소가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연소로 200: 연도
300: 연소가스배출관 301: 제1연소가스배출관
302: 제2연소가스배출관 310: 흡입공
400: 연소가스배출팬 401: 제1연소가스배출팬
402: 제2연소가스배출팬 500: 혼합가스공급관
510: 분사노즐 600: 혼합가이드관
601: 제1혼합가이드관 602: 제2혼합가이드관
700: 혼합가스공급팬 800: 냉각팬
810: 냉각수순환배관 900: 냉각수공급펌프
300: 연소가스배출관 301: 제1연소가스배출관
302: 제2연소가스배출관 310: 흡입공
400: 연소가스배출팬 401: 제1연소가스배출팬
402: 제2연소가스배출팬 500: 혼합가스공급관
510: 분사노즐 600: 혼합가이드관
601: 제1혼합가이드관 602: 제2혼합가이드관
700: 혼합가스공급팬 800: 냉각팬
810: 냉각수순환배관 900: 냉각수공급펌프
Claims (4)
- 폐기물이 연소되는 연소공간이 마련된 연소로와;
상기 연소로에 연결하며, 상기 연소로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배기하는 연도와;
일단은 상기 연소로 내측 상부에 배치하며, 타단은 상기 연소로 외부로 연장 배치되고, 상기 연소로 내측에 배치된 일단에는 상기 연소로 내 불완전 연소가스가 유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의 흡입공이 형성된 연소가스배출관과;
상기 연소가스배출관의 타단에 연결하며, 상기 연소로 내측의 불완전 연소가스가 상기 연소가스배출관을 통해 상기 연소로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연소가스배출팬과;
일단은 상기 연소가스배출관보다 하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연소로 내측 하부에 배치하며, 타단은 상기 연소로 외부로 연장 배치되고, 상기 연소로 내측에 배치된 일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의 분사노즐이 형성된 혼합가스공급관과;
상기 연소가스배출팬과 상기 혼합가스공급관 타단을 연결하여, 상기 연소가스배출팬을 통해 배출되는 불완전 연소가스를 상기 혼합가스공급관으로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혼합가이드관; 및
상기 혼합가스공급관의 타단에 연결하며, 상기 혼합가이드관을 통해 상기 혼합가스공급관으로 유입된 불완전 연소가스를 외부에서 흡입되는 공기와 혼합한 후, 상기 혼합가스공급관을 통해 상기 연소로 내부로 공급되게 하는 혼합가스공급팬;을 포함하고,
상기 혼합가스공급관의 일단 외측에는 냉각수가 유입되는 입구 및 냉각수가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된 냉각배관을 삽입 설치하며,
일단이 상기 냉각배관의 입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냉각배관의 출구에 연결되는 냉각수순환배관과,
상기 연소로 외부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냉각수순환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냉각배관으로 냉각수를 공급한 후 배출되도록 펌핑력을 발생시키는 냉각수공급펌프를 구비하는 폐기물 소각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배출관은, 연직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연소가스배출관 및 제2연소가스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연소가스배출팬은, 상기 제1연소가스배출관과 연결되는 제1연소가스배출팬과, 상기 제2연소가스배출관과 연결되는 제2연소가스배출팬을 포함하고,
상기 혼합가이드관은, 상기 제1연소가스배출팬과 상기 혼합가스공급관을 연결하는 제1혼합가이드관과, 상기 제2연소가스배출팬과 상기 혼합가스공급관을 연결하는 제2혼합가이드관을 포함하는 폐기물 소각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배출관의 일단 및 상기 혼합가스공급관의 일단은, 상기 연소로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복수개의 지관으로 나누어진 분기관 구조를 가지는 폐기물 소각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9679A KR102002409B1 (ko) | 2017-06-05 | 2017-06-05 | 폐기물 소각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9679A KR102002409B1 (ko) | 2017-06-05 | 2017-06-05 | 폐기물 소각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3127A KR20180133127A (ko) | 2018-12-13 |
KR102002409B1 true KR102002409B1 (ko) | 2019-07-25 |
Family
ID=64671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9679A KR102002409B1 (ko) | 2017-06-05 | 2017-06-05 | 폐기물 소각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0240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08989B1 (ko) | 2019-05-28 | 2022-06-1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폐수 소각 방법 및 폐수 소각 장치 |
KR102476990B1 (ko) | 2019-05-28 | 2022-12-1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폐수 소각 방법 및 폐수 소각 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1282B1 (ko) * | 2015-04-16 | 2016-08-26 | 오병일 | 보일러 겸용 폐기물 소각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0985B1 (ko) * | 2006-01-23 | 2008-03-10 | 호형철 | 폐기물 소각장치 |
KR20120110938A (ko) * | 2011-03-30 | 2012-10-10 | 에스지티(주) | 보일러 시스템 |
-
2017
- 2017-06-05 KR KR1020170069679A patent/KR10200240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1282B1 (ko) * | 2015-04-16 | 2016-08-26 | 오병일 | 보일러 겸용 폐기물 소각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3127A (ko) | 2018-1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28762B1 (ko) | 하이브리드 고온 사이클론 연소기 | |
ES2694862T3 (es) | Procedimiento para el control de la combustión en un hogar de parrilla | |
KR20120110938A (ko) | 보일러 시스템 | |
KR101772907B1 (ko) | 고체 연료용 버너 및 이를 구비한 고체 연료 열풍기 | |
KR100810985B1 (ko) | 폐기물 소각장치 | |
KR102002409B1 (ko) | 폐기물 소각장치 | |
KR101788165B1 (ko) | 고분자 폐기물 고온소각장치 | |
KR101533604B1 (ko) | 고온 fgr을 이용한 저공해 연소장치 | |
KR101160053B1 (ko) | 수직형연소기 | |
US6453829B1 (en) | Incinerator assembly having waste smoke treating device | |
KR101651282B1 (ko) | 보일러 겸용 폐기물 소각장치 | |
KR101806297B1 (ko) | 녹스 저감용 쓰레기 소각 장치 | |
KR101789463B1 (ko) | 고체 연료 공급장치를 구비한 발열 시스템 | |
KR102293906B1 (ko) | 가연성 물질 연소기 | |
KR101525069B1 (ko) | 화재진압이 가능한 화목보일러 | |
KR20060092320A (ko) | 유기물연소보일러 | |
CN105090978B (zh) | 一种垃圾焚烧炉 | |
KR20010087126A (ko) | 연소용 가스를 생성하도록 폐기물을 태우고 승화시켜 그연소로부터 발생된 열을 사용하는 소각 장치 및 소각 방법 | |
KR100304423B1 (ko) | 폐유연소보일러 | |
KR102598870B1 (ko) | 소각로 및 폐열 재활용 보일러 시스템 | |
KR102462672B1 (ko) | 폐기물의 처리와 열재생을 위한 연소장치 | |
KR102444301B1 (ko) | 가연성 물질 연소기 | |
KR20110119924A (ko) | 폐타이어 소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온수장치 | |
JP4010538B2 (ja) | 焼却炉 | |
KR200442203Y1 (ko) | 보일러의 공기송풍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