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838B1 - 건조대 - Google Patents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838B1
KR102001838B1 KR1020180111946A KR20180111946A KR102001838B1 KR 102001838 B1 KR102001838 B1 KR 102001838B1 KR 1020180111946 A KR1020180111946 A KR 1020180111946A KR 20180111946 A KR20180111946 A KR 20180111946A KR 102001838 B1 KR102001838 B1 KR 102001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olding
main body
fastened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욱
Original Assignee
최동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욱 filed Critical 최동욱
Priority to KR1020180111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D06F57/125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for attachment to, or close to, the cei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세탁물 등의 건조에 사용되는 건조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설치공간의 천장에 장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좌우측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접철부; 및 좌우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접철부에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거치봉;을 포함하되, 상기 접철부는, 상기 본체부에 체결되는 걸림브라켓; 상단이 상기 걸림브라켓(220)에 체결되어 상기 걸림브라켓에 현수된 형태로 지지되는 접철바조립체; 및 상기 접철바조립체 하단에 체결되는 거치봉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접철바조립체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호 교차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접철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접철바는, 최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걸림브라켓과 체결되는 제1, 2상단접철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상단접철바는, 상기 다른 복수의 접철바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대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건조대 {LAUNDRY HANGER}
본 발명은 세탁물 등의 건조에 사용되는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세탁물 등을 거치하여 건조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건조대가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 사용되는 건조대는 크게 2가지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하나는 자립형 구조로 형성되어 바닥면에 소정 구조로 배치되고, 이에 세탁물이 거치되는 방식이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타입의 건조대는 보관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접이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시에는 소정의 링크 구조를 통해 펼침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등록특허공보 제10-0825376호(특허문헌 1)은 이와 같은 타입의 건조대를 개시하고 있다.
다른 하나는 천장에 설치되는 타입으로 아파트의 발코니 등에 주로 설치되고 있다. 이와 같은 타입은 천장에 설치되어 상하로 승하강 가능하게 이뤄지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적절히 건조대를 하강시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앞서의 자립형 타입이 주로 이동 가능한 소형 건조대로 구성되는데 반해, 천장에 설치되는 타입은 발코니 등에 고정형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19980호(특허문헌 2)는 이와 같이 천장에 설치되는 타입의 건조대를 개시하고 있다.
천장에 설치되는 건조대는 통상 수동으로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자가 소정의 링크에 연결된 줄을 당기거나 풀어 건조대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사용이 번거롭고, 경우에 따라서는 과다한 조작력 등에 의해 링크 구조 등이 쉽게 파손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사용이 번거롭고, 건조대에 거치된 세탁물의 무게로 인해 조작이 쉽지 않으며, 사용자가 높낮이 조절을 위해 무리한 힘을 가해야 하는 등의 사용상 불편함이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과다한 조작력에 의해 링크 구조 등이 파손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부 사용자의 경우 이와 같은 천장 거치형 건조대의 사용을 기피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전동식으로 작동되는 건조대가 등장하고 있다. 종래 사용자가 수동으로 높낮이를 조절하던 방식을 개선하여 모터 등의 구동수단을 통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다만 이러한 전동식 건조대 또한 오작동의 가능성, 상대적으로 큰 부피, 내부 구성부품의 증가에 따른 단가 상승 등 다양한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0825376호(2008.04.21) 특허문헌 2: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19980호(2016.10.17)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장치의 외형을 최소화하여 설치공간 및 디자인상의 이점을 가져올 수 있는 건조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성부품을 최소화하고 파손이나 오작동을 보다 방지할 수 있는 건조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건조대의 승하강 구동 제어를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건조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설치공간의 천장에 장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좌우측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접철부; 및 좌우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접철부에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거치봉;을 포함하되, 상기 접철부는, 상기 본체부에 체결되는 걸림브라켓; 상단이 상기 걸림브라켓(220)에 체결되어 상기 걸림브라켓에 현수된 형태로 지지되는 접철바조립체; 및 상기 접철바조립체 하단에 체결되는 거치봉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접철바조립체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호 교차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접철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접철바는, 최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걸림브라켓과 체결되는 제1, 2상단접철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상단접철바는, 상기 다른 복수의 접철바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대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건조대는 절철바를 본체부 외부로 일부 노출시킨 구조를 통해 장치의 외형을 최소화하고, 보다 슬림한 형태로 제품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건조대는 가이드조립체 등을 통해 구성부품의 개수를 줄일 수 있으며, 각 구성부품의 배치나 보강구조 등을 통해 장치의 파손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건조대는 스위치조립체를 통해 통해 건조대의 승하강 구동 제어를 보다 안정적이고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오작동이나 이로 인한 장치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를 하측에서 올려다 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조대를 상측에서 내려다 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방향에서 바라본 건조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방향에서 바라본 건조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사이드가니쉬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걸림브라켓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걸림브라켓의 좌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표시된 C1-C1'선을 따라 취한 걸림브라켓의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접철바조립체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거치봉브라켓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소켓부재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표시된 C2-C2'선을 따라 취한 소켓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4에 도시된 스위치조립체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스위치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스위치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스위치조립체를 C3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스위치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스위치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5에 도시된 슬라이드레버의 확대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C4방향에서 바라본 슬라이드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21는 도 13에 도시된 스위치조립체가 본체부에 장착 조립된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2는 도 3에 도시된 하부커버의 확대도이다.
도 23은 도 4에 도시된 하부커버의 확대도이다.
도 24는 도 3에 도시된 본체부의 확대도이다.
도 25는 도 4에 도시된 본체부의 확대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본체부를 상측에서 내려다 본 평면도이다.
도 27은 도 25에 도시된 가이드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8a 및 28b는 도 27에 도시된 가이드브라켓의 변형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를 하측에서 올려다 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조대를 상측에서 내려다 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좌표축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은 좌우 방향, Y축 방향은 전후 방향, Z축 방향은 상하 방향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건조대(A)는 본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건조대(A)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본체부(100)는 외형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예시되고 있다. 다만, 본체부(100)의 외형은 예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
본체부(100)는 건조대(A)의 각 구성부품들이 장착 배치될 수 있는 기본 골격을 제공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소정의 강성을 가진 것이면 특별히 그 재질이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재질이 혼용될 수 있다. 예컨대, 본체부(100)는 일부 또는 전부에 플라스틱을 재질로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설치 공간의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본체부(100)는 도 2에서 주면으로 도시되고 있는 면(상면)이 천장을 향해 배치되어 소정의 고정수단을 통해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본체부(100)의 설치 형태는 본 실시예의 건조대(A)가 적절히 기능할 수 있는 형태이면 무방하며, 반드시 그 설치 위치가 천장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건조대(A)는 접철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철부(200)는 본체부(100)를 중심으로 좌우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좌우 측의 접철부(200)는 그 설치 위치가 상이할 뿐 상호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한 쪽의 접철부(200)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접철부(200)는 본체부(100)의 하부 측단(좌측단 또는 우측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접철부(200)는 소정의 결합구조에 의해 본체부(100)에 체결되어 본체부(100)에 현수된 형태로 지지될 수 있다.
접철부(200)는 상하 방향으로 전개 및 접힘 구동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접철부(200)가 최상단 위치까지 접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접철부(200)는 도시된 상태에서 하측으로 전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접철부(200) 하단에 체결된 거치봉(300)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건조대(A)는 거치봉(300)을 포함할 수 있다.
거치봉(300)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봉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봉(300)은 세탁물 등의 현수를 위한 지지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세탁물 등은 거치봉(300)에 현수되어 거치 및 건조될 수 있다.
거치봉(300)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도 1 등에서는 도시 편의를 위해 하나의 거치봉(300)만을 예시하여 도시하고 있다. 복수의 거치봉(300)은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거치봉(300)은 일측(좌측) 단부가 일측(좌측)의 접철부(200)에 체결되고, 반대측(우측) 단부가 반대측(우측)의 접철부(200)에 체결되어, 한 쌍의 접철부(200) 사이에 장착 지지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방향에서 바라본 건조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방향에서 바라본 건조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체부(100)는 하부커버(11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커버(110)는 본체부(100)의 내부 구성부품이 노출되지 않도록 본체부(100) 하면에 장착될 수 있다. 하부커버(110)는 내부 구성부품을 차폐시켜 제품 외관을 개선하고, 본체부(100) 내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커버(110)에는 좌우로 한 쌍의 송풍구(111)가 구비될 수 있다. 송풍구(111)는 하측의 세탁물 등을 향해 바람을 송풍시킬 수 있다. 도시가 생략되었으나, 본체부(100)에는 송풍구(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송풍팬이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도 3에서는 송풍팬의 장착을 위한 사각 형상의 브라켓(B)만이 도시되고 있다.
접철부(200)는 사이드가니쉬(210), 걸림브라켓(220), 접철바조립체(230) 및 거치봉브라켓(240)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브라켓(220)은 본체부(100)에 체결되어 이에 결합된 접철바조립체(230) 및 거치봉브라켓(240)을 지지할 수 있다.
사이드가니쉬(210)는 본체부(100)에 장착 지지될 수 있다. 사이드가니쉬(210)는 걸림브라켓(220) 및 접철바조립체(230) 상단 일부를 차폐시켜 제품 외관을 개선할 수 있다.
접철바조립체(230)는 상단이 걸림브라켓(220)에 체결되어 걸림브라켓(220)에 현수된 형태로 지지될 수 있다. 접철바조립체(230)는 상하로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거치봉(300)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접철바조립체(230)는 복수의 접철바(231)가 대략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 조립된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봉브라켓(240)은 거치봉(300)의 체결을 위한 것으로, 접철바조립체(230) 하단에 장착될 수 있다. 거치봉브라켓(240)은 접철바조립체(230)에 현수된 형태로 지지되어 접철바조립체(230)의 상하 방향 신축에 따라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걸림브라켓(220), 접철바조립체(230) 및 거치봉브라켓(240)은 거치된 세탁물 등의 중량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소정의 강성을 가진 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예컨대, 걸림브라켓(220), 접철바조립체(230) 및 거치봉브라켓(240)은 적어도 일부가 강재 또는 금속 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다만, 걸림브라켓(220), 접철바조립체(230) 및 거치봉브라켓(240)의 재질이 예시된 바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거치봉(300)은 소켓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소켓부재(310)는 거치봉(300)의 양측 단부에 각각 체결될 수 있다. 소켓부재(310)는 거치봉(300)과 거치봉브라켓(240) 간의 조립을 위한 것으로, 거치봉브라켓(240)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거치봉(300)은 거치봉브라켓(240)에 장착 지지될 수 있다.
소켓부재(310)는 내측으로 거치봉(300)이 삽입 체결되는 대략 원통형의 조립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소켓부재(310)는 플라스틱을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재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소켓부재(310)는 거치봉브라켓(240)에 장착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소켓부재(310)는 일종의 걸림 결합을 통해 거치봉브라켓(24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는 필요에 따른 소켓부재(310)의 탈착을 용이하게 한다.
본 실시예의 건조대(A)는 스위치조립체(4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조립체(400)는 접철부(200)의 상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치조립체(400)는 접철부(200)의 최상단 및 최하단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접철부(200)의 상하 높이 조절은 스위치조립체(400)에서 감시된 최상단 또는 최하단 위치에 따라 구동 정지될 수 있다.
스위치조립체(400)는 걸림브라켓(22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접철바조립체(230) 상단에 의해 온/오프 동작될 수 있다. 즉, 접철바조립체(230)가 상하로 전개 및 접힘됨에 따라, 접철바조립체(230)의 상단 일측이 스위치조립체(400)에 작동력을 가하고, 이에 의해 온/오프되는 것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사이드가니쉬의 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이드가니쉬(21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커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가니쉬(210)의 전단 및 후단 부위에는 각각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211)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릿(211)은 후술할 걸림브라켓(220)이 본체부(100)에 장착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사이드가니쉬(210)는 제품 외관을 개선하는 기능과 함께, 걸림브라켓(220)이나 접철바조립체(230)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걸림브라켓(220)이나 접철바조립체(230)는 그 상부 측이 사이드가니쉬(210)에 의해 차폐되어, 운반이나 보관 중 외부 장애물과의 충돌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접철바조립체(230) 등은 그 전후 폭이 본체부(110)의 전후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사이드가니쉬(210)를 통한 외부 충격으로부터의 보호가 요구될 수 있다.
사이드가니쉬(210)는 세탁물 등의 하중이 직접적 작용되는 부분은 아니므로, 플라스틱 등 가공성이 좋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그 재질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이드가니쉬(210)는 본체부(100)의 저면 측단에 장착 조립될 수 있다. 본체부(100)로의 장착을 위해 사이드가니쉬(210)에는 장착홀(212)이 구비될 수 있다. 장착홀(212)은 필요에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2개의 장착홀(212)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장착홀(212)에는 볼트, 핀 등의 고정수단이 체결되어 사이드가니쉬(210)를 본체부(100)에 장착 조립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걸림브라켓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걸림브라켓의 좌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표시된 C1-C1'선을 따라 취한 걸림브라켓의 횡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걸림브라켓(220)은 대략 'L'자형의 횡단면을 가지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걸림브라켓(220)의 전후 길이는 후술할 접철바조립체(230)의 전후 길이에 대응된다.
걸림브라켓(220)은 횡방향브라켓(221) 및 종방향브라켓(222)을 포함할 수 있다. 횡방향브라켓(221)은 대략 수평면에 평행한 면을 가지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을 지칭하며, 종방향브라켓(222)은 횡방향브라켓(221)과 직교되도록 배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종방향브라켓(222) 및 횡방향브라켓(221)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브라켓(220)은 걸림돌기(223)를 구비할 수 있다. 걸림돌기(223)는 종방향브라켓(22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후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걸림돌기(223)는 종방향브라켓(222)의 전단 또는 후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편(223a)과, 연장편(223a)의 상단에서 본체부(100)를 향해 절곡된 걸림편(223b)으로 구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223)는 본체부(100)에 걸림 결합되어 하부의 접철바조립체(230) 등을 지지할 수 있다.
걸림브라켓(220)은 상단접철바체결홀(224)을 구비할 수 있다. 상단접철바체결홀(224)은 종방향브라켓(222)의 후단 부위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단접철바체결홀(224)에는 후술할 접철바조립체(230)의 상단 일측에 체결될 수 있다.
걸림브라켓(220)은 상단접철바가이드홀(225)을 구비할 수 있다. 상단접철바가이드홀(225)은 상단접철바체결홀(224)에 대응되도록 종방향브라켓(222)의 전단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단접철바가이드홀(225)은 상단접철바체결홀(224)과는 상이하게 전후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단접철바가이드홀(225)은 전후로 연장된 슬릿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단접철바가이드홀(225)에는 후술할 접철바조립체(230)의 상단 일측이 체결될 수 있다. 상단접철바가이드홀(225)은 접철바조립체(230) 상단의 전후 방향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걸림브라켓(220)은 브라켓고정홀(227)을 구비할 수 있다. 브라켓고정홀(227)은 횡방향브라켓(221)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복수개가 전후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고정홀(227)에는 본체부(100)에 걸림브라켓(220)을 고정시키는 볼트, 핀 등의 결합수단이 체결될 수 있다. 걸림브라켓(220)은 앞서 설명한 걸림돌기(223) 및 브라켓고정홀(227)에 의해 본체부(10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접철바조립체의 확대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접철바조립체(230)는 복수의 접철바(231)가 'X'자 형태로 교차 배치되어 상호 연결 조립된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 접철바(23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각 단부에서 다른 접철바(231)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각 접철바(231)는 다른 접철바(231)와 대략 'X'자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교차 부위에서 다른 접철바(231)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철바조립체(230)는 각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복수의 접철바(231) 중 최상단에 배치되는 2개의 접철바(231a, 231b)는 각각 일측 단부가 전술한 걸림브라켓(220)에 체결될 수 있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최상단에 배치되는 접철바(231a, 231b) 중 하나를 제1상단접철바(231a)로 지칭하고, 다른 하나를 제2상단접철바(231b)로 지칭하기로 한다.
상기에 의하면, 제1상단접철바(231a)는 일단이 제1체결핀(232a)을 통해 상단접철바가이드홀(225)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상단접철바(231a) 일단은 접철바조립체(230)가 상하로 펼침 또는 접힘 동작됨에 따라 상단접철바가이드홀(225) 내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도 6 참조).
제2상단접철바(231b)는 일단이 제2체결핀(232b)을 통해 상단접철바체결홀(224)에 체결될 수 있다. 제2상단접철바(231b)는 접철바조립체(230)가 상하로 펼침 또는 접힘 동작됨에 따라 상단접철바체결홀(224)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도 6 참조).
복수의 접철바(231) 중 최하단에 배치되는 2개의 접철바(231c, 231d)는 각각 일측 단부가 거치봉브라켓(240)에 체결될 수 있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최하단에 배치되는 접철바(231c, 231d) 중 하나를 제1하단접철바(231c)로 지칭하고, 다른 하나를 제2하단접철바(231d)로 지칭하기로 한다.
상기에 의하면, 제1하단접철바(231c)는 일단이 핀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하부의 거치봉브라켓(240)에 체결될 수 있다. 제1하단접철바(231c) 일단은 접철바조립체(230)가 상하로 펼침 또는 접힘 동작됨에 따라 거치봉브라켓(240)에 형성된 하단접철바가이드홀(242) 내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도 10 참조).
제2하단접철바(231d)는 일단이 핀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거치봉브라켓(240)에 형성된 하단접철바체결홀(241)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제2하단접철바(231d)는 접철바조립체(230)가 상하로 펼침 또는 접힘 동작됨에 따라 하단접철바체결홀(241)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도 10 참조).
바람직하게, 제1, 2상단접철바(231a, 231b)는 접철바조립체(230)의 다른 접철바(231)보다 길이가 소정 정도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2상단접철바(231a, 231b)는 하측의 다른 접철바(231) 대비 약 60~80%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로 인해, 제1상단접철바(231a)의 단부(전단)와 제2상단접철바(231b)의 단부(후단) 간의 전후 방향 이격거리(D1)는, 하측의 다른 접철바(231)의 전후 방향 이격거리(D2)보다 소정 정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는 전후 폭(W1)이 제1, 2상단접철바(231a, 231b)가 형성하는 전후 방향 이격거리(D1)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접철바조립체(230)는 전단 및 후단의 일부 영역에 노출부(233)를 구비할 수 있다. 노출부(233)는 접철바조립체(230)에서 본체부(100)의 전후단 외측으로 노출 배치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도 1 참조).
상기와 같은 접철바조립체(230)의 구성은 본체부(100)의 전후 폭(W1)을 최소화하여 건조대(A)의 외형을 슬림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제품의 외형적인 미관을 개선하고, 장치의 사이즈를 줄여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거치봉브라켓의 확대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거치봉브라켓(240)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판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봉브라켓(240)의 후단 일측에는 하단접철바체결홀(241)이 형성될 수 있다. 하단접철바체결홀(241)에는 접철바조립체(230) 하단에 배치된 제2하단접철바(231d)의 일단(후단)이 힌지 결합될 수 있다(도 9 참조).
거치봉브라켓(240)의 전단 일측에는 하단접철바가이드홀(242)이 형성될 수 있다. 하단접철바가이드홀(242)은 앞서의 하단접철바체결홀(241)과 대응된다. 다만, 하단접철바가이드홀(242)은 거치봉브라켓(240)에 전후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하단접철바가이드홀(242)에는 접철바조립체(230) 하단에 배치된 제1하단접철바(231c)의 일단(전단)이 힌지 결합될 수 있다(도 9 참조). 도시가 생략되었으나, 제1하단접철바(231c) 일단과 하단접철바가이드홀(242) 간의 체결을 위해 핀 등의 결합수단이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
제1하단접철바(231c)의 일단은, 접철바조립체(230)가 상하로 높이 가변됨에 따라 하단접철바가이드홀(242) 내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접철바조립체(230)가 상측으로 최대 승강된 경우, 제1하단접철바(231c) 일단은 하단접철바가이드홀(242)의 전단에 위치될 수 있다. 반대로, 접철바조립체(230)가 하측으로 최대 하강된 경우, 제1하단접철바(231c) 일단은 하단접철바가이드홀(242)의 후단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단접철바가이드홀(242)은 제1하단접철바(231c) 일단의 전후 이동을 안내함과 함께, 제1하단접철바(231c) 일단의 전후 방향 최대 이동 범위를 규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접철바조립체(230)는 상하 방향의 최대 승하강 위치가 규제될 수 있다.
거치봉브라켓(240)은 와이어연결부(243)를 구비할 수 있다. 와이어연결부(243)에는 거치봉브라켓(240)에 승하강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와이어(W)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거치봉브라켓(240)은 와이어(W)에 현수된 형태로 지지될 수 있다. 와이어(W)는 본체부(100)에 구비된 구동부(180)에 연결될 수 있으며, 구동부(180)에 의해 거치봉브라켓(240)은 상하로 승하강 이동될 수 있다(도 2 참조).
거치봉브라켓(240)은 소켓체결홀(244)을 구비할 수 있다. 소켓체결홀(244)에는 거치봉(300) 단부에 구비된 소켓부재(310)가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거치봉(300)은 거치봉브라켓(240)에 장착 지지될 수 있다.
소켓체결홀(244)은 원형의 홀을 중심으로 전후에 오목부(244a)가 형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후의 오목부(244a)는 후술할 소켓부재(310)의 걸림후크(313)가 소켓체결홀(244)로 진입되어 걸림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소켓체결홀(244)은 거치봉(30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소켓체결홀(244)은 거치봉브라켓(240)에 전후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하나의 거치봉브라켓(240)에 3개의 소켓체결홀(244)이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다만, 소켓체결홀(244)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 변동될 수 있다.
거치봉브라켓(240) 상단에는 절곡부(245)가 구비될 수 있다. 절곡부(245)는 거치봉브라켓(240)의 상단 일부가 일측(우측 또는 좌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절곡부(245)는 거치봉브라켓(240) 상단에 전후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절곡부(245)는 거치봉브라켓(240)의 강성을 증대시켜 세탁물 등 거치물의 중량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소켓부재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표시된 C2-C2'선을 따라 취한 소켓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소켓부재(31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을 이루는 바디(311)를 구비할 수 있다. 바디(311)의 외주면에는 원형 고리 형태의 리브(312)가 형성될 수 있다. 리브(312)는 바디(311)를 좌우 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다.
리브(312)의 일측(우측) 영역에는 거치봉(300)이 체결되는 거치봉체결부(314)가 마련될 수 있다. 거치봉체결부(314)는 거치봉(300) 일단의 중공으로 삽입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리브(312)는 거치봉(300)의 삽입 위치를 규제하는 일종의 스토퍼로 기능할 수 있다.
소켓부재(310)는 걸림후크(313)를 구비할 수 있다. 걸림후크(313)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한 쌍의 걸림후크(313)는 바디(311)에 전후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걸림후크(313)는 전술한 소켓체결홀(244)로 삽입 체결되어 거치봉브라켓(240)에 소켓부재(310)를 장착 고정시킬 수 있다.
걸림후크(313)는 소켓체결홀(244)로의 삽입 체결이나 걸림 결합을 위해 탄성 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또는, 소켓부재(310)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탄성 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예컨대, 걸림후크(313) 또는 소켓부재(31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도 13은 도 4에 도시된 스위치조립체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스위치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스위치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스위치조립체를 C3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스위치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스위치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스위치조립체(400)는 스위치하우징(410)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하우징(410)은 스위치조립체(4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 부품들이 장착 지지되기 위한 기본 골격을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스위치하우징(410)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의 브라켓 형태로 도시되고 있으나, 스위치하우징(410)의 외관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위치하우징(410)은 상면에 가이드리브(411)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리브(411)는 스위치하우징(410) 상면에 돌출되어 전후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가이드리브(411)는 스위치하우징(410) 상면에서 전후로 연장된 바(bar)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리브(411)는 본체부(100)에 형성된 스위치조립홈(192)으로 삽입 체결될 수 있다(도 21 참조).
필요에 따라, 스위치하우징(410)은 가이드리브(411)와 대략 직교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 스페이서(411a)를 구비할 수 있다. 스페이서(411a)는 스위치하우징(410)의 조립시 스위치하우징(410)과 본체부(100) 간에 소정의 조립 유격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가이드리브(411)보다 소정 정도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411a)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1가이드리브(411)의 전후로 2개의 스페이서(411a)가 이격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스위치하우징(410)은 제1, 2엑세스홀(412a, 412b)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2엑세스홀(412a, 412b)은 각각 스위치하우징(410)에 좌우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1엑세스홀(412a)은 후술할 제1푸시부(42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스위치하우징(4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엑세스홀(412b)은 후술할 제2작용단(432)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스위치하우징(4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2액세스홀(412a, 412b)은 스위치하우징(410)에 전후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엑세스홀(412a)은 스위치하우징(410) 일면(좌측면)에 배치된 슬라이드레버(420)의 제1푸시부(421)가 반대면(우측면)의 제1스위치(440)로 접근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엑세스홀(412b)은 스위치하우징(410) 반대면(우측면)에 배치된 회동레버(430)의 제2작용단(432)이 스위치하우징(410)의 일면(좌측면)으로 노출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스위치하우징(410)은 후술할 슬라이드레버(420)의 체결을 위한 상단걸림돌기(413a) 및 하단걸림돌기(413b)를 구비할 수 있다. 상단걸림돌기(413a)는 스위치하우징(410)의 일면(좌측면)에 배치되어 하방으로 소정 정도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하단걸림돌기(413b)는 상단걸림돌기(413a)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어 상방으로 소정 정도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상단걸림돌기(413a) 및 하단걸림돌기(413b)는 슬라이드레버(420)의 이탈을 제한하기 위해 전후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단걸림돌기(413a)는 하단걸림돌기(413b) 대비 후방에 배치되고, 하단걸림돌기(413b)는 상단걸림돌기(413a)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단걸림돌기(413a) 대비 전방에 배치되고 있다.
필요에 따라, 스위치하우징(410)은 하단 부위에 하단리브(414)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리브(414)에는 케이블홀더(414a)가 구비될 수 있다. 케이블홀더(414a)는 상측이 개방된 복수의 케이블고정홈(414b)을 구비할 수 있으며, 케이블고정홈(414b)을 통해 소정의 케이블을 장착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케이블홀더(414a)에는 후술할 제1, 2스위치(440, 450)를 위한 케이블 등이 장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하단리브(414)는 케이블홀더(414a)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스위치하우징(410)을 본체부(100)로 장착 고정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홀(414c)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스위치조립체(400)는 스위치하우징(410)에 장착되는 슬라이드레버(42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레버(420)는 스위치하우징(410)의 일면(좌측면)에 장착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드레버(42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종의 링크 바(bar)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레버(420)는 스위치하우징(410)에 대해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스위치하우징(4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슬라이드레버(420)는 스위치하우징(410)의 반대면(우측면)에 장착된 제1스위치(440)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도 19는 도 15에 도시된 슬라이드레버의 확대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C4 방향에서 바라본 슬라이드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슬라이드레버(420)는 전후로 연장된 바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전단에는 제1푸시부(421)가 마련될 수 있다. 제1푸시부(421)는 슬라이드레버(420) 전단에서 스위치하우징(410) 측(우측)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푸시부(421)는 제1엑세스홀(412a)을 통해 스위치하우징(410)의 반대면(우측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도 15 참조). 또한, 제1푸시부(421)는 스위치하우징(410) 반대면(우측면)에 배치된 제1스위치레버(441)에 접촉 또는 인접하게 배치되어 슬라이드레버(420)의 이동에 따라 제1스위치(440)를 온/오프시키게 된다(도 17 참조).
슬라이드레버(420)는 제1푸시부(421)의 반대측 단부에 제1작용단(42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작용단(422)은 슬라이드레버(420) 후단에서 스위치하우징(410)의 반대측(좌측)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작용단(422)은 슬라이드레버(420) 후단이 대략 'ㄱ'자형으로 꺾인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제1작용단(422)은 스위치하우징(410)의 일측(좌측) 후방에 배치되어 스위치하우징(410) 외부로 노출 배치될 수 있다(도 13 참조). 또한, 제1작용단(422)은 제2상단접철바(231b) 상측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접철바조립체(230)의 펼침/접힘 동작에 따라 제2상단접철바(231b)에 접촉 가압될 수 있다. 즉, 제1작용단(422)은 접철바조립체(230)의 펼침/접힘 동작에 따라 제2상단접철바(231b)에 접촉되어 작동력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슬라이드레버(420)는 상면에 상단진입홈(4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단진입홈(423)은 슬라이드레버(420) 상면에 좌우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레버(420)는 상단진입홈(423)과 인접하게 상단구속리브(424)를 구비할 수 있다. 상단구속리브(424)는 상단진입홈(423) 후단에서부터 전후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스위치하우징(410)의 상단걸림돌기(413a)는 상단진입홈(423) 및 상단구속리브(424)를 통해 슬라이드레버(420)에 체결될 수 있다. 즉, 상단진입홈(423)을 통해 상단걸림돌기(413a)를 슬라이드레버(420) 측으로 진입시키고, 슬라이드레버(420)를 전방으로 소정 정도 이동시켜 상단구속리브(424)에 상단걸림돌기(413a)가 걸림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드레버(420)가 스위치하우징(410)에 조립될 수 있다(도 15 참조).
또한, 슬라이드레버(420)는 상기의 상단진입홈(423) 및 상단구속리브(424)와 유사하게 하면에 하단진입홈(425) 및 하단구속리브(426)를 구비할 수 있다. 하단진입홈(425)은 슬라이드레버(420) 하면에 좌우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구속리브(426)는 하단진입홈(425) 후단에서부터 전후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하단진입홈(425) 및 하단구속리브(426)는 스위치하우징(410)의 하단걸림돌기(413b)와 체결될 수 있다. 그 체결구조나 방식은 전술한 상단걸림돌기(413a)의 경우와 유사하다. 스위치하우징(410)의 상단걸림돌기(413a) 및 하단걸림돌기(413b)는 그 전후 위치가 각각 상이하게 형성되므로, 슬라이드레버(420)는 상기와 같이 상단걸림돌기(413a) 및 하단걸림돌기(413b) 사이에 끼움 결합된 상태로 스위치하우징(410)에 조립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슬라이드레버(420)에는 상단접촉돌기(427a) 및 하단접촉돌기(427b)가 형성될 수 있다. 상단접촉돌기(427a)는 슬라이드레버(420) 상면에 작은 돌기의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가 전후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2개의 상단접촉돌기(427a)가 예시되고 있다. 하단접촉돌기(427b)는 슬라이드레버(420) 하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가 전후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2개의 하단접촉돌기(427b)가 예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상단접촉돌기(427a) 및 하단접촉돌기(427b)는 스위치하우징(410)에 접촉 슬라이딩되어 슬라이드레버(420)와 스위치하우징(410) 간의 접촉면을 줄이고, 이를 통해 슬라이드레버(420)의 보다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다시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스위치조립체(400)는 스위치하우징(410)에 장착되는 회동레버(430)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레버(430)는 슬라이드레버(420)가 배치된 스위치하우징(410) 일면(좌측면)의 반대면(우측면)에 장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회동레버(430)는 스위치하우징(4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즉, 회동레버(430)는 일면(좌측면)에 힌지핀(433)이 돌출 형성되고, 힌지핀(433)이 스위치하우징(410)에 마련된 힌지홀(416)에 체결되어, 좌우 방향을 축으로 소정 정도 회동 가능하도록 스위치하우징(4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동레버(430)는 스위치하우징(410)에 장착된 제2스위치(450)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회동레버(430)는 제2작용단(432)을 구비할 수 있다. 제2작용단(432)은 회동레버(430)의 후단 부위에서 일측(좌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작용단(432)은 스위치하우징(410)에 마련된 제2엑세스홀(412b)을 통해 스위치하우징(410) 일면(좌측면)으로 노출 배치될 수 있다.
제2작용단(432)은 제1체결핀(232a)의 후방에 배치되어 접철바조립체(230)의 펼침/접힘 동작에 따라 제1체결핀(232a)에 접촉 가압될 수 있다. 즉, 제2작용단(432)은 접철바조립체(230)의 펼침/접힘 동작에 따라 제1체결핀(232a)에 접촉되어 작동력을 인가 받을 수 있다.
또한, 제2작용단(432)은 스위치하우징(410) 일면(좌측면)에 노출 배치되되, 전술한 제1작용단(422)보다 소정 정도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도 13에서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고 있다. 따라서 제2상단접철바(231b) 및 제1체결핀(232a)은 접철바조립체(230)가 펼침/접힘됨에 따라 각각의 영역에서 제1작용단(422) 또는 제2작용단(432)에 의해 작동력을 전달받게 된다.
한편, 회동레버(430)는 제2푸시부(431)를 구비할 수 있다. 제2푸시부(431)는 제2작용단(432)의 반대측(우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푸시부(431)는 스위치하우징(410)에 장착 배치된 제2스위치(450)의 제2스위치레버(451)와 접촉 또는 인접하게 배치되어 회동레버(430)의 회동에 따라 제2스위치(450)를 온/오프시키게 된다.
스위치조립체(400)는 제1, 2스위치(440, 4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2스위치(440, 450)는 슬라이드레버(420)가 배치된 스위치하우징(410) 일면(좌측면)의 반대면(우측면)에 장착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도시 편의상 도 13 등에서는 제1, 2스위치(440, 45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으며, 도 17에서 제1, 2스위치(440, 450)의 장착 위치를 중심으로 개략적 도시하고 있음을 알려둔다.
제1스위치(440)는 스위치하우징(410)에 형성된 제1장착돌기(415a)를 통해 스위치하우징(410)에 장착될 수 있다. 제1장착돌기(415a)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2개의 제1장착돌기(415a)가 상하로 이격 배치된 경우가 예시되고 있다.
제2스위치(450)는 스위치하우징(410)에 형성된 제2장착돌기(415b)를 통해 스위치하우징(410)에 장착될 수 있다. 제2장착돌기(415b)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2개의 제2장착돌기(415b)가 상하로 이격 배치된 경우가 예시되고 있다.
제1스위치(440)는 제1푸시부(421)에 의해 작동되는 제1스위치레버(441)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스위치레버(441)는 스위칭 오프(off)된 초기 상태에서 제1푸시부(421)에 접촉 또는 인접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스위치레버(441)는 제1푸시부(421)가 후방(도 17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1푸시부(421)에 눌려 스위칭 온(on)될 수 있다.
제2스위치(450)는 제2푸시부(431)에 의해 작동되는 제2스위치레버(451)를 구비할 수 있다. 제2스위치레버(451)는 스위칭 오프(off)된 초기 상태에서 제2푸시부(431)에 접촉 또는 인접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스위치레버(451)는 제2푸시부(431)가 전방(도 17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푸시부(431)에 눌려 스위칭 온(on)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스위치조립체(400)는 접철바조립체(230)가 상하 방향으로 펼침 또는 접힘에 따라 제1스위치(440) 또는 제2스위치(450)가 스위칭 온(on)되어 접철바조립치(230)의 최대 펼침 또는 접힘 위치를 규제할 수 있다. 즉, 접철바조립체(230)가 기 설정된 최저 높이까지 하측으로 펼침된 경우, 제1스위치(440)가 스위칭 온(on)되어 와이어(W)를 구동하는 구동부(180)가 정지될 수 있다. 또한, 접철바조립체(230)가 기 설정된 최대 높이까지 상측으로 접힘된 경우, 제2스위치(450)가 스위칭 온(on)되어 와이어(W)를 구동하는 구동부(180)가 정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3을 참조하면, 접철바조립체(230)가 하측으로 펼침되는 경우, 제1체결핀(232a)이 스위치조립체(400)의 후방으로 이동되어 제1작용단(422)을 후방으로 밀게 된다. 이로 인해 슬라이드레버(420)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슬라이드레버(420)가 후방(도 17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1푸시부(421)가 제1스위치레버(441)를 밀어 제1스위치(440)가 스위칭 온(on)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와이어(W)를 구동하는 구동부(180)가 정지될 수 있다.
다시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와 반대로 접철바조립체(230)가 상측으로 접힘되는 경우, 제2상단접철바(231b)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제2작용단(432)을 상방으로 밀게 된다. 이로 인해 회동레버(430)는 힌지핀(433)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회동레버(430)가 회동(도 17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됨에 따라, 제2푸시부(431)가 제2스위치레버(451)를 밀어 제2스위치(450)가 스위칭 온(on)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와이어(W)를 구동하는 구동부(180)가 정지될 수 있다.
한편, 스위치조립체(400)는 전술한 접철바조립체(230) 상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본체부(100)에 장착됨으로써, 접철바조립체(230)의 펼침/접힘 동작에 따라 제1, 2스위치(440, 450)가 선택적으로 온/오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도 9를 참조하면, 제1상단접철바(231a) 단부의 제1체결핀(232a)은 접철바조립체(230)가 펼침/접힘됨에 따라 상단접철바가이드홀(225) 내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된다(도 6 참조). 여기서 스위치조립체(400)는 접철바조립체(230)가 최하방으로 펼침되어 제1체결핀(232a)이 상단접철바가이드홀(225) 후단으로 이동된 경우, 제1체결핀(232a)에 의해 제1작용단(422)에 작동력이 가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도 9를 참조하면, 제2상단접철바(231b)는 접철바조립체(230)가 펼침/접힘됨에 따라 제2체결핀(232b)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여기서 스위치조립체(400)는 접철바조립체(230)가 최상방으로 접힘된 경우, 제2작용단(432)이 제2상단접철바(231b)에 접촉 가압되어 작동력이 가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1은 도 13에 도시된 스위치조립체가 본체부에 장착 조립된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1은 본체부(100) 및 이에 장착 조립되는 스위치조립체(400)를 하방에서 올려다 본 모습을 도시하고 있음을 알려둔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체부(100)의 하면 일측(좌측 또는 우측)에는 스위치조립체(400)가 안착 배치되기 위한 스위치안착홈(191)이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조립체(400)는 하단리브(414)가 스위치안착홈(191)에 안착 배치되고, 고정홀(414c)을 통해 볼트 등의 고정수단이 체결되어 본체부(100)에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 하면에는 스위치조립홈(192)이 전후 방향으로 소정 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조립홈(192)에는 스위치조립체(400) 상단의 가이드리브(411)가 삽입 체결될 수 있다. 즉, 스위치조립체(400)는 상단의 가이드리브(411)가 스위치조립홈(192)으로 삽입 체결되고, 하단리브(414)가 스위치안착홈(191)에 안착 배치된 상태로 본체부(100)에 조립 고정되는 것이다.
도 22는 도 3에 도시된 하부커버의 확대도이다. 도 23은 도 4에 도시된 하부커버의 확대도이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하부커버(110)는 본체부(100)의 하면을 차폐시키기 위한 것으로, 소정 넓이를 가지고 좌우로 연장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커버(110)의 좌우측에는 한 쌍의 송풍구(111)가 구비될 수 있다.
하부커버(110)는 조명창(112)을 구비할 수 있다. 조명창(112)은 하부커버(110)에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송풍구(111) 사이에 배치되어 좌우로 소정 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조명창(112)의 형상이나 위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
하부커버(110)는 조명창커버(113)를 구비할 수 있다. 조명창커버(113)는 조명창(112)을 차폐하도록 하부커버(110)에 장착될 수 있다. 조명창커버(113)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조명창커버(113)는 걸림 결합을 통해 하부커버(110)에 장착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명창커버(113)는 테두리를 따라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113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조명창(112)의 테두리에는 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홈(112a)이 형성될 수 있다. 조명창커버(113)는 걸림돌기(113a)가 걸림홈(112a)에 체결되어 조명창(112) 또는 하부커버(110)에 장착 지지될 수 있다.
하부커버(110)는 좌우 측면에 각각 후크체결홀(114)을 구비할 수 있다. 후크체결홀(114)은 하부커버(110) 측면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후크체결홀(114)은 후술할 본체부(100)의 걸림후크(130)와 체결될 수 있다.
하부커버(110)에 좌우로 배치된 한 쌍의 후크체결홀(114)은 각각 전후 위치가 상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하면, 좌측의 후크체결홀(114)은 하부커버(110)의 좌측면 전방 부위에 배치되고, 우측의 후크체결홀(114)은 하부커버(110)의 우측면 후방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좌우측의 후크체결홀(114)이 하부커버(110)에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 것이다. 이는 하부커버(110)의 장착 고정에 필요한 후크체결홀(114)의 개수를 줄여 제작 및 사용상의 이점을 가져올 수 있다.
하부커버(110)의 좌우 측단에는 와이어안내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안내홈(115)은 하부커버(110) 측단에서 전후 방향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안내홈(115)은 본체부(100)로부터 하부로 인출되는 와이어(W)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W)는 전술할 거치봉브라켓(240)에 체결되어 거치봉브라켓(240)을 지지하고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도 10 참조).
도 24는 도 3에 도시된 본체부의 확대도이다. 도 25는 도 4에 도시된 본체부의 확대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본체부를 상측에서 내려다 본 평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5에서는 본체부(100)에 장착된 가이드조립체(170)를 분해하여 도시하고 있으며, 도 26에서는 가이드조립체(17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음을 알려둔다.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본체부(100)는 좌우로 연장된 사각 함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 하면은 전술한 하부커버(11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본체부(100) 상면은 설치공간의 천장을 향해 배치되어 소정의 고정수단을 통해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본체부(100) 상면은 천장을 향해 배치되므로 별도의 커버부재 등이 생략될 수 있다.
본체부(100)의 하면에는 송풍팬의 장착을 위한 한 쌍의 브라켓(B)이 좌우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체부(100) 하면의 중앙 부위에는 조명수단(120)이 장착 배치될 수 있다. 조명수단(120)은 전술한 하부커버(110)의 조명창(112)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조명수단(120)은 조명창(112)을 통해 본체부(100) 하측을 조명할 수 있다. 조명수단(120)은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좌우로 이격된 한 쌍의 걸림후크(130)를 구비할 수 있다. 걸림후크(130)는 본체부(100) 하면 일측(좌측 또는 우측)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걸림후크(130)는 전술한 하부커버(110)의 후크체결홀(114)에 체결되어 하부커버(110)를 본체부(100)에 장착 지지할 수 있다.
좌우로 배치된 한 쌍의 걸림후크(130)는 각각 전후 위치가 상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하면, 좌측의 걸림후크(130)는 본체부(100)의 전단 부위에 보다 인접하게 배치되고, 우측의 걸림후크(130)는 본체부(100)의 후단 부위에 보다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좌우의 걸림후크(130)가 사각 형상의 본체부(100)에 대각선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것이다. 이는 전술한 하부커버(110)의 후크체결홀(114)에 대응된다. 하부커버(110)는 좌우로 배치된 후크체결홀(114)에 상기의 걸림후크(130)가 체결되어 본체부(100)에 장착 지지될 수 있다.
본체부(100)는 좌우측에 가이드장착홀(140)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장착홀(140)은 본체부(100)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장착홀(140)은 본체부(100)의 좌측 및 우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각 가이드장착홀(140)은 본체부(100)의 전후 방향 중심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부(100)는 좌우측에 설치홀(150)을 구비할 수 있다. 설치홀(150)은 본체부(100)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설치홀(150)은 천장에 설치된 앵커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체부(100) 내지 건조대(A)는 천장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설치홀(150)은 본체부(100)의 좌측 및 우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좌우로 배치된 한 쌍의 설치홀(150)은 전후 위치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좌측의 설치홀(150)은 가이드장착홀(140) 후방에 배치되고, 우측의 설치홀(150)은 가이드장착홀(140) 전방에 배치되어, 각각 전후 위치가 상이하게 배치되고 있다. 이는 설치홀(150) 및 고정수단의 개수를 줄여 제작이나 설치를 용이하게 하면서도, 본체부(100) 등이 안정적으로 장착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설치홀(150)은 대략 원형으로 형성된 삽입홀(151)과, 삽입홀(151)의 일측에서 소정 폭을 가지고 연장된 걸림홀(152)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홀(152)은 본체부(100)의 전후 방향 중심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좌측의 설치홀(150)은 좌측 가이드장착홀(140)을 향해 걸림홀(152)이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있으며, 우측의 설치홀(150)은 우측 가이드장착홀(140)을 향해 걸림홀(152)이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있다.
본체부(100)는 좌우측에 접철바체결홀(160)을 구비할 수 있다. 접철바체결홀(160)은 본체부(100)의 일측에서 전후로 2개가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접철바체결홀(160)은 본체부(100)의 좌우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체부(100)의 좌측단에 전후로 2개의 접철바체결홀(160)이 형성되어 있으며, 반대편인 우측단에 전후로 2개의 접철바체결홀(160)이 형성되어 있다. 접철바체결홀(160)에는 전술한 걸림브라켓(220)의 걸림돌기(223)가 삽입 체결될 수 있다.
본체부(100)의 좌우측에는 가이드조립체(170)가 장착될 수 있다. 가이드조립체(170)를 전술한 가이드장착홀(140)을 통해 본체부(10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좌우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조립체(170)는 접철부(200)를 상하 구동시키기 위한 와이어(W)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와이어(W)는 구동부(180)에 연결되어 가이드조립체(170)를 거쳐 접철부(200)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7은 도 25에 도시된 가이드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가이드조립체(170)는 가이드브라켓(171)과 가이드휠(17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휠(172)은 핀(172a)을 통해 가이드브라켓(17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와이어(W)는 가이드휠(172)의 외면에 접촉되어 이송 안내될 수 있다. 와이어(W)가 접촉 안내되는 가이드휠(172)의 외면에는 가이드홈(172b)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72b)은 가이드휠(172) 외면이 소정 정도 오목하게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휠(172)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와이어(W)와의 사이에서 충분한 마찰력을 가질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브라켓(171)은 소정의 이격공간(171c)을 사이에 두고 전후로 이격 배치된 제1, 2몸체(171a, 171b)를 구비할 수 있다. 이격공간(171c)에는 가이드휠(172)이 장착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1, 2몸체(171a, 171b)에는 핀(172a)이 체결되는 핀홀(171d)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2몸체(171a, 171b)의 일 측단은 연결편(171e)을 통해 연결 형성될 수 있다.
제1몸체(171a)의 상단에는 보강편(171f)이 제1몸체(171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보강편(171f)은 전술한 본체부(100)의 설치홀(150)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도 26 참조). 또한, 보강편(171f)에는 설치홀(150)의 걸림홀(152) 부위에 대응되는 보강홈(171g)이 형성될 수 있다. 보강홈(171g)은 보강편(171f)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인입 형성되어, 가이드브라켓(171)의 조립시 걸림홀(152) 부위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강편(171f)은 걸림홀(152) 부위의 강성을 보완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제2몸체(171b)의 상단에는 보강편(171f)과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편(171h)이 형성될 수 있다. 절곡편(171h)은 보강편(171f)과 함께 가이드조립체(170)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가이드브라켓(171)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의 제1, 2몸체(171a, 171b), 연결편(171e), 보강편(171f) 및 절곡편(171h)은 하나의 부재가 소정 형상으로 절단 및 굽힘 가공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브라켓(171)은 본체부(100)의 중량 등을 지탱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성의 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예컨대, 가이드브라켓(171)은 금속 부재를 소정 형상으로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28a 및 28b는 도 27에 도시된 가이드브라켓의 변형예이다.
도 28a를 참조하면, 가이드브라켓(171-1)의 제1변형예는 이격공간(171c)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1, 2몸체(171a-1, 171b-1)와, 제1, 2몸체(171a-1, 171b-1)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편(171e-1)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2몸체(171a-1, 171b-1)의 상단에는 각각 제1, 2보강편(171f-1, 171h-1)이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제1보강편(171f-1)은 제1보강홈(171g-1)을 구비히고 전술한 실시예의 보강편(171f)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보강편(171h-1)은 전술한 실시예의 절곡편(171h)과 위치상 대응되나,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제1보강편(171f-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보강편(171h-1)은 제2보강홈(171i-1)을 구비하고, 제1보강편(171f-1)과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변형예의 가이드브라켓(171-1)은 이와 같이 제1, 2보강편(171f-1, 171h-1)이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이드브라켓(171-1)의 좌우 장착 위치에 무관하게 하나의 가이드브라켓(171-1)으로 대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28b는 가이드브라켓(171-2)의 제2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 연결편(171e-2)으로 연결된 제1, 2몸체(171a-2, 171b-2), 제1, 2몸체(171a-2, 171b-2)의 상단에 형성된 제1, 2보강편(171f-2, 171h-2), 제1, 2보강편(171f-2, 171h-2)에 형성된 제1, 2보강홈(171g-2, 171i-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제1변형예와 유사하다.
본 변형예의 가이드브라켓(171-2)은 제1, 2보강편(171f-2, 171h-2)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절곡편(171j-2)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2보강편(171f-2, 171h-2)의 강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변형예의 경우 제2보강편(171h-2)의 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절곡편(171j-2)이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제1보강편(171f-2) 또는 제1, 2보강편(171f-2, 171h-2)에 이와 같은 절곡편(171j-2)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건조대(A)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건조대(A)는 본체부(100) 상면이 천장을 향해 배치되어 앵커볼트 등을 통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앵커볼트 등은 설치홀(150)을 통해 본체부(100)와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건조대(A)는 설치홀(150)을 대각 방향으로 배치하여 본체부(100)의 고정에 필요한 앵커볼트나 지지점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건조대(A)는 종래 대비 보다 쉽고 빠른 설치가 가능하다.
사용자는 본체부(100)가 천장에 설치된 상태로 거치봉(300)에 세탁물 등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거치봉(300)은 접철부(200)의 조작에 따라 상하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거치봉(300)의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거치봉(300)의 상하 높이 조절은 구동부(180)를 통해 와이어(W)를 당기거나 풀어주면, 와이어(W) 하단에 장착된 거치봉브라켓(240)이 와이어(W)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방식으로 이뤄질 수 있다.
거치봉브라켓(240)이 상하 이동됨에 따라, 접철바조립체(230)는 상단 일측이 걸림브라켓(220)의 상단접철바가이드홀(225)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도 6 참조). 접철바조립체(230) 하단은 일측이 하단접철바가이드홀(242)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도 10 참조). 여기서 본 실시예의 건조대(A)는 접철바조립체(230)의 상단 및 하단에 있어서 일측만이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반대측은 상단접철바체결홀(224) 또는 하단접철바체결홀(241)에 체결되어 전후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체부(100)의 전후 폭을 종래 대비 줄일 수 있으며, 보다 슬림한 형태로 제품 구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본체부 110: 하부커버
120: 조명수단 130: 걸림후크
140: 가이드장착홀 150: 설치홀
160: 접철바체결홀 170: 가이드조립체
180: 구동부 200: 접철부
210: 사이드가니쉬 220: 걸림브라켓
230: 접철바조립체 240: 거치봉브라켓
300: 거치봉 310: 소켓부재
400: 스위치조립체 410: 스위치하우징
420: 슬라이드레버 430: 회동레버
440: 제1스위치 450: 제2스위치

Claims (6)

  1. 설치공간의 천장에 장착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좌우측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접철부(200); 및
    좌우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접철부(200)에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거치봉(300);을 포함하되,
    상기 접철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에 체결되는 걸림브라켓(220);
    상단이 상기 걸림브라켓(220)에 체결되어 상기 걸림브라켓(220)에 현수된 형태로 지지되는 접철바조립체(230); 및
    상기 접철바조립체(230) 하단에 체결되는 거치봉브라켓(240);을 포함하고,
    상기 접철바조립체(230)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호 교차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접철바(231)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접철바(231)는,
    최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걸림브라켓(220)과 체결되는 제1, 2상단접철바(231a, 231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상단접철바(231a, 231b)는,
    상기 복수의 접철바(231)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브라켓(220)은,
    소정 높이를 가지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종방향브라켓(222); 및
    상기 종방향브라켓(222)의 하단에 절곡 형성되는 횡방향브라켓(221);을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브라켓(222)은,
    상기 본체부(100)에 형성된 접철바체결홀(160)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돌기(223)가 전후로 구비되되,
    상기 걸림돌기(223)는,
    상기 걸림브라켓(220)의 종방향브라켓(222)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편(223a); 및
    상기 연장편(223a) 상단에서 상기 본체부(100)를 향해 절곡 형성된 걸림편(223b);을 포함하고,
    상기 횡방향브라켓(221)은,
    상기 본체부(100)와의 결합을 위해 소정의 결합수단이 체결되는 브라켓고정홀(227)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브라켓(220)은,
    상기 제1상단접철바(231a)가 체결되는 상단접철바가이드홀(225); 및
    상기 제2상단접철바(231b)가 체결되는 상단접철바체결홀(224);을 포함하고,
    상기 상단접철바가이드홀(225)은,
    상기 걸림브라켓(220)에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상단접철바(231a) 일단과 상기 제2상단접철바(231b) 일단 간의 전후방향 이격거리(D1)는,
    상기 본체부(100)의 전후방향 폭(W1)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철바조립체(230)는,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100) 외측으로 노출 배치된 노출부(2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대.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철바(231)는,
    최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거치봉브라켓(240)과 체결되는 제1, 2하단접철바(231c, 231d)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봉브라켓(240)은,
    상기 제1하단접철바(231c)가 체결되는 하단접철바가이드홀(242); 및
    상기 제2하단접철바(231d)가 체결되는 하단접철바체결홀(241);을 포함하고,
    상기 하단접철바가이드홀(242)은,
    상기 거치봉브라켓(240)에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대.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20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커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100)에 체결되어 상기 걸림브라켓(220) 상부를 차폐하는 사이드가니쉬(2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대.
KR1020180111946A 2018-09-19 2018-09-19 건조대 KR102001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946A KR102001838B1 (ko) 2018-09-19 2018-09-19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946A KR102001838B1 (ko) 2018-09-19 2018-09-19 건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1838B1 true KR102001838B1 (ko) 2019-10-01

Family

ID=68207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946A KR102001838B1 (ko) 2018-09-19 2018-09-19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8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71352A (zh) * 2020-01-17 2020-06-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智能晾衣架端盖固定装置及智能晾衣架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688Y1 (ko) * 1985-11-19 1989-04-07 이상옥 천정부착식 세탁물 건조대
KR950001338U (ko) * 1993-06-09 1995-01-04 황대근 천정부착식 빨래건조대
KR100825376B1 (ko) 2007-03-26 2008-04-28 박종만 접이식 빨래건조대
KR200444131Y1 (ko) * 2008-10-30 2009-04-10 남효식 반자동 핸들식 이중자바라 빨래건조대
KR101090089B1 (ko) * 2008-11-20 2011-12-07 주식회사 엠.에스.라이팅 조명 및 건조대 복합장치
KR20160119980A (ko) 2015-04-07 2016-10-17 신성현 천정 고정형 빨래 건조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688Y1 (ko) * 1985-11-19 1989-04-07 이상옥 천정부착식 세탁물 건조대
KR950001338U (ko) * 1993-06-09 1995-01-04 황대근 천정부착식 빨래건조대
KR100825376B1 (ko) 2007-03-26 2008-04-28 박종만 접이식 빨래건조대
KR200444131Y1 (ko) * 2008-10-30 2009-04-10 남효식 반자동 핸들식 이중자바라 빨래건조대
KR101090089B1 (ko) * 2008-11-20 2011-12-07 주식회사 엠.에스.라이팅 조명 및 건조대 복합장치
KR20160119980A (ko) 2015-04-07 2016-10-17 신성현 천정 고정형 빨래 건조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71352A (zh) * 2020-01-17 2020-06-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智能晾衣架端盖固定装置及智能晾衣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1838B1 (ko) 건조대
EP0999335A1 (en) Screen device
EP2754944A2 (en) Pedestal structure of cash register display
US20140092568A1 (en) Display device with height adjustment structure and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2215097B1 (ko) 접이식 정보통신용 케이블 트레이
EP3291660B1 (en) Slide rail assembly and cable management device thereof
KR102001841B1 (ko) 건조대
JP4893377B2 (ja) 電動ベッド
KR102001842B1 (ko) 건조대
US20150069209A1 (en) Foldable support device for a stand lamp
JP5297354B2 (ja) 物干し器
JP7169518B2 (ja) 照明装置
KR850005656A (ko) 조작패널이 덮개에 설치된 전자악기
KR20220131371A (ko) 신축형 조명 기구
KR20080101110A (ko) 디스플레이장치
JP4732859B2 (ja) 家具ユニット
JP2018121932A (ja) 物干し装置
JP2024007307A (ja) 天板昇降式什器
JP7301711B2 (ja) 幕板付き折畳テーブル
CN112449541B (zh) 连接总成及其理线装置
JP7323118B2 (ja) 宅配ボックス
JP7331432B2 (ja) デスク
JP7108233B2 (ja) ばね装置および照明装置
KR200384804Y1 (ko) 파티션용 벨트라인
KR102466925B1 (ko) 파티션 고정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