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661B1 - 수소수 생성기 - Google Patents

수소수 생성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661B1
KR102001661B1 KR1020190027547A KR20190027547A KR102001661B1 KR 102001661 B1 KR102001661 B1 KR 102001661B1 KR 1020190027547 A KR1020190027547 A KR 1020190027547A KR 20190027547 A KR20190027547 A KR 20190027547A KR 102001661 B1 KR102001661 B1 KR 102001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water
storage
spac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석
이신우
Original Assignee
원스타산업 주식회사
이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스타산업 주식회사, 이신우 filed Critical 원스타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7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2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bott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소수 생성기에 관한 것으로서, 무전해 방식의 수소수 생성기에 있어서, 생성된 수소수를 마시는 과정에서 수소수의 일부가 저장부에 잔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소수를 마신 후 새롭게 음용수를 채우는 경우, 잔류하는 수소수와 새롭게 채워지는 음용수가 혼합되며 수소수 생성시간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신속한 수소수 생성에 의한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수소수 생성기{HYDROGEN WATER GENERATOR}
본 발명은 수소수 생성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무전해 방식의 수소수 생성기에 있어서, 생성된 수소수를 마시는 과정에서 수소수의 일부가 저장부에 잔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소수를 마신 후 새롭게 음용수를 채우는 경우, 잔류하는 수소수와 새롭게 채워지는 음용수가 혼합되며 수소수 생성시간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신속한 수소수 생성에 의한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수소수 생성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활성 산소는 각종 질병과 노화 등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체내의 활성 산소를 중화시켜 각종 질병의 치료, 건강의 증진 또는 체질의 개선 등을 도모하기 위하여 체내에 수소를 투여하는 것이 효과가 있다고 알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수소를 체내에 투여하기 위하여, 물에 수소를 용존시켜 제조한 수소수(hydrogen water)가 주목받고 있으며, 이러한 수소수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수소수 제조장치'가 등록특허 제10-1780424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 게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수소수 제조장치'는, 물을 유입하여 수소수를 발생시키는 수소수 발생유닛과, 상기 수소수 발생유닛에서 발생된 수소수를 정화시키는 수소수 정화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수소수 정화유닛은, 원통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유입구가 형성된 상부 캡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유출구가 형성된 하부 캡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본체 상단에 설치되고, 수소수 인입구가 형성된 제1지지부재; 상기 하우징의 본체 하단에 설치되고, 수소수 토출구가 형성된 제2지지부재; 상기 하우징의 본체 내에 설치되되,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사이에 설치된 원통형의 내측 여과 스크린;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내측 여과 스크린의 외측에 설치된 원통형의 외측 여과 스크린; 상기 내측 여과 스크린과 외측 여과 스크린의 사이에 충전되고, 상기 수소수에 포함된 치아염소산염과 금속염을 제거하기 위한 다공성의 세라믹 볼로 구성된 세라믹 볼층; 상기 하우징의 하부 캡 내에 설치되되, 상기 제2지지부재의 하부에 설치된 정화필터; 및 상기 내측 여과 스크린의 내부에 설치된 수직관을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의 세라믹 볼은 규산염 천연 광물 입자 100중량부에 대하여 무기 결합제 0.5 ~ 12중량부를 포함하는 소성체로서, 35% ~ 60%의 기공도와 1.2g/㎤ ~ 1.8g/㎤ 의 밀도를 가지며, 상기 무기 결합제는 실리케이트(silicate)이고, 상기 수직관은 35% ~ 60%의 기공도를 가지는 다공성의 세라믹관인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특허문헌 1은 세라믹 볼에 의해 수소수에 함유된 염 등의 성분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어, 높은 농도를 가지는 수소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수소수 발생유닛이 물의 전기 분해를 통해 생성하는 전해 방식의 경우, 수소수를 빠르게 생성하는 것은 가능하나, 비용적인 부담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소수 발생유닛이 수소보다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을 이용하는 무전해 방식은, 수소수를 마신 후, 새롭게 음용수를 채우는 경우, 수소수 생성을 위해 약 3~4시간이 소요되는데, 수소수 생성 시간이 많이 소요됨에 따라, 하루 권장량인 2ℓ정도의 수소수를 마시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8042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전해 방식의 수소수 생성기에 있어서, 생성된 수소수를 마시는 과정에서 수소수의 일부가 저장부에 잔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소수를 마신 후 새롭게 음용수를 채우는 경우, 잔류하는 수소수와 새롭게 채워지는 음용수가 혼합되며 수소수 생성시간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신속한 수소수 생성에 의한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수소수 생성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생성기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되, 그 상부와 하부에 오버캡 및 받침대가 각각 결합되도록 상부결합부 및 하부결합부가 구비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로 유입되는 물을 이용하여 수소수를 생성하되, 세라믹 볼이 수용되는 카트리지필터와, 상기 카트리지필터의 개방된 상단부 및 하단부를 각각 마감처리하는 상부마감캡 및 하부마감캡을 포함하는 수소수생성부; 상기 저장부의 하부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수소수생성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수소수생성부가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그 바닥면에 상기 수소수생성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구비되는 받침대; 상기 수소수생성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위치하여 상기 수소수생성부를 상기 저장부의 내측 하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체; 상기 고정체의 상부를 둘러싸며 결합되며, 그 외주면이 상기 저장부의 내벽에 밀착 형성되어 상기 저장부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되, 구획된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물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미세홀이 형성되는 구획판; 및 상기 저장부의 상부결합부에 결합되어 상단 개방부를 개폐하는 오버캡;을 포함하되,
상기 저장부를 기울여 저장부에 저장된 수소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구획판에 형성된 미세홀에 의해 상기 상부공간에 저장된 수소수가 배출되는 속도보다 상기 하부공간에 저장된 수소수가 늦게 배출됨에 따라 상기 하부 공간에 수소수가 잔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의 내측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수소수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배출홀이 형성되며, 그 상면에는 탈리를 위한 손잡이가 구비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버캡의 상면에는 외부장비와 연결하여 사용자가 수소를 흡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수소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소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소배출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수소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마개; 및 일측은 상기 배출구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개폐마개와 연결되어 상기 개폐마개를 지지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버캡의 저면부에 결합되어 밸브부재를 지지하며 그 하단에 압력조절홀이 형성되는 밸브지지체와, 상기 밸브지지체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저장부의 내부압력에 따라 상기 압력조절홀을 개폐하는 밸브부재와, 상기 밸브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저장부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오버캡의 상면에는 상기 저장부의 내부압력에 의해 상기 밸브부재가 압력조절홀을 개방하는 경우, 상기 저장부의 내부압력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압력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무전해 방식의 수소수 생성기에 있어서, 생성된 수소수를 마시는 과정에서 수소수의 일부가 저장부에 잔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소수를 마신 후 새롭게 음용수를 채우는 경우, 잔류하는 수소수와 새롭게 채워지는 음용수가 혼합되며 수소수 생성시간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신속한 수소수 생성에 의한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생성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생성기의 구성을 보인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생성기의 압력조절부에 의한 압력조절 과정을 보인 설명도.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생성기의 수소배출부를 통해 수소를 흡입하는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생성기의 사용 방법을 보인 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생성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생성기의 구성을 보인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생성기의 압력조절부에 의한 압력조절 과정을 보인 설명도이고,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생성기의 수소배출부를 통해 수소를 흡입하는 상태를 보인 설명도이며,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생성기의 사용 방법을 보인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생성기는, 저장부(100), 수소수생성부(200), 받침대(300), 고정체(400), 구획판(500), 오버캡(600)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100)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그 상부에는 오버캡(60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상부결합부(110)가 구비되며, 그 하부에는 받침대(30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하부결합부(1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저장부(100)의 내측 상부에는 덮개부(700)가 안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안착턱(130)이 형성되며, 그 내측 하부에는 고정체(400)의 걸림돌기(410) 상단을 가압하는 걸림턱(14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저장부(100)의 내측 상부에는 저장부(100)의 상부 내주면에 밀착되는 덮개부(700)가 저장부(10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덮개부(700)의 일측에는 저장부(100)에 저장된 수소수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배출홀(710)이 형성되며, 그 상면에는 탈리를 위한 손잡이(720)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홀(710)은 저장부(100)를 기울인 상태에서는 수소수의 이동통로 기능을 수행하며, 저장부(100)의 내부압력 변화시에는 수소의 이동통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소수생성부(200)는 상기 저장부(100)로 유입되는 물을 이용하여 수소수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세라믹 볼(B)이 수용되는 카트리지필터(210)와, 상기 카트리지필터(210)의 개방된 상단부를 마감처리하며 물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부이동홀(221)이 형성된 상부마감캡(220)과, 상기 카트리지필터(210)의 개방된 하단부를 마감처리하며 물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부이동홀(231)이 형성된 하부마감캡(2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마감캡(220)과 하부마감캡(230)의 내측에는 상부이동홀(221)과 하부이동홀(231)을 통해 부유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부거름망(240) 및 하부거름망(25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소수생성부(200)를 통해 수소수를 생성하는 방식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받침대(300)는 상기 저장부(100)의 하부결합부(120)에 결합되며, 상기 수소수생성부(20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결합부(120)에 나사결합을 통해 탈착 가능하도록 그 내측 상부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300)의 바닥면에는 수소수생성부(200)가 받침대(3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수소수생성부(20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돌기(31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체(400)는 상기 수소수생성부(200)의 외주면을 감싸며 위치하여 수소수생성부(200)를 저장부(100)의 내측 하부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저장부(100)의 걸림턱(140)에 의해 지지되는 걸림돌기(410)와, 상부마감캡(230)의 상단을 가압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42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체(400)는 상부이동홀(221) 및 하부이동홀(231)을 통해 물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그 상단과 하단이 개방 형성되며, 그 측면은 다수의 지지대(430)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물이 이동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획판(500)은 상기 고정체(400)의 상부를 둘러싸며 결합되는 도넛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그 외주면이 상기 저장부(100)의 내벽에 밀착 형성되어 상기 저장부(100)의 내부 공간을 상부공간(S1)과 하부공간(S2)으로 구획하도록 구성되는데, 구획된 상부공간(S1)과 하부공간(S2)으로 물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미세홀(510)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5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부(100)를 기울여 저장부(100)에 저장된 수소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하부공간(S2)에 저장된 수소수를 소량만 배출시키도록 가이드하는 것이 특징으로서, 구획판(500)에 형성된 미세홀(510)에 의해 상부공간(S1)에 저장된 수소수가 배출되는 속도보다 하부공간(S2)에 저장된 수소수가 늦게 배출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로 인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공간(S1)에 저장된 수소수가 모두 배출된 상태에서 하부공간(S2)에는 대부분의 수소수가 잔류하도록 구성되며, 이때, 저장부(100)에 새롭게 물을 채우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홀(510)을 통해 저장부(100)의 하부공간(S2)에 잔류하는 수소수와 상부공간(S1)에 새롭게 채워지는 물이 혼합됨에 따라 잔류된 수소수를 통해 수소수 생성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시간에 제약받지 않고 하루 권장량인 2ℓ정도의 수소수를 마시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오버캡(600)은 상기 저장부(100)의 상부결합부(110)에 결합되어 저장부(100)의 상단 개방부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오버캡(600)의 상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00)의 내부압력 변화에 의해 밸브부재(820)가 압력조절홀(811)을 개방하는 경우, 저장부(100)의 내부압력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압력배출홀(610)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버캡(600)의 상면에는 저장부(100)에 저장된 수소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소배출부(620)가 구비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수소배출부(620)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수소를 외부로 배출시키되, 그 외주면 하부에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결합홈(621a)이 형성되는 배출구(621)와, 상기 배출구(621)를 개폐하는 개폐마개(622) 및 일측은 상기 배출구(621)의 결합홈(621a)에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개폐마개(622)와 연결되어 개폐마개(622)를 지지하는 연결부재(623)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수소수 생성기는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마개(622)를 개방시 배출구(621)를 통해 수소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데, 배출구(621)에 산소마스크(M)와 같은 외부장비를 연결하여 사용자가 수소를 직접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소수를 마시는 것 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수소 흡입을 통해 몸속에 축적된 유해활성산소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버캡(600)의 저면부에는 상기 저장부(10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800)가 결합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압력조절부(800)는 밸브부재(820)를 지지하며 그 하단에 압력조절홀(811)이 형성되는 밸브지지체(810)와, 상기 밸브지지체(810)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저장부(100)의 내부압력에 따라 상기 압력조절홀(811)을 개폐하는 밸브부재(820)와, 상기 밸브부재(820)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830)으로 구성되는데, 내부 압력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경우, 밸브부재(820)를 지지하는 스프링이 압착되며 압력조절홀(811)이 개방되어 저장부(100) 내부 기체가 외부로 유출됨으로써, 저장부(100) 내부의 압력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분해 방식이 아닌 무전해 방식의 수소수 생성기에 있어서, 생성된 수소수를 마시는 과정에서 수소수의 일부가 저장부(100)의 하부공간(S2)에 잔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소수를 마신 후 저장부(100)에 새롭게 음용수를 채우는 경우, 저장부(100)의 하부공간(S2)에 잔류하는 수소수와 상부공간(S1)에 새롭게 채워지는 음용수가 혼합됨에 따라 수소수 생성시간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B): 세라믹 볼 (M): 산소마스크
(S1): 상부공간 (S2): 하부공간
100: 저장부 110: 상부결합부
120: 하부결합부 130: 안착턱
140: 걸림턱 200: 수소수생성부
210: 카트리지필터 220: 상부마감캡
221: 상부이동홀 230: 하부마감캡
231: 하부이동홀 240: 상부거름망
250: 하부거름망 300: 받침대
310: 지지돌기 400: 고정체
410: 걸림돌기 420: 이탈방지돌기
430: 지지대 500: 구획판
510: 미세홀 600: 오버캡
610: 압력배출홀 620: 수소배출부
621: 배출구 621a: 결합홈
622: 개폐마개 623: 연결부재
700: 덮개부 710: 배출홀
720: 손잡이 800: 압력조절부
810: 밸브지지체 811: 압력조절홀
820: 밸브부재 830: 스프링

Claims (5)

  1.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되, 그 상부와 하부에 오버캡 및 받침대가 각각 결합되도록 상부결합부 및 하부결합부가 구비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로 유입되는 물을 이용하여 수소수를 생성하되, 세라믹 볼이 수용되는 카트리지필터와, 상기 카트리지필터의 개방된 상단부 및 하단부를 각각 마감처리하는 상부마감캡 및 하부마감캡을 포함하는 수소수생성부;
    상기 저장부의 하부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수소수생성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수소수생성부가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그 바닥면에 상기 수소수생성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구비되는 받침대;
    상기 수소수생성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위치하여 상기 수소수생성부를 상기 저장부의 내측 하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체;
    상기 고정체의 상부를 둘러싸며 결합되며, 그 외주면이 상기 저장부의 내벽에 밀착 형성되어 상기 저장부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되, 구획된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물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미세홀이 형성되는 구획판; 및
    상기 저장부의 상부결합부에 결합되어 상단 개방부를 개폐하는 오버캡;을 포함하되,
    상기 저장부를 기울여 저장부에 저장된 수소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구획판에 형성된 미세홀에 의해 상기 상부공간에 저장된 수소수가 배출되는 속도보다 상기 하부공간에 저장된 수소수가 늦게 배출됨에 따라 상기 하부 공간에 수소수가 잔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생성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의 내측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수소수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배출홀이 형성되며, 그 상면에는 탈리를 위한 손잡이가 구비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생성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버캡의 상면에는 외부장비와 연결하여 사용자가 수소를 흡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수소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소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생성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소배출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수소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마개; 및
    일측은 상기 배출구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개폐마개와 연결되어 상기 개폐마개를 지지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생성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오버캡의 저면부에 결합되어 밸브부재를 지지하며 그 하단에 압력조절홀이 형성되는 밸브지지체와, 상기 밸브지지체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저장부의 내부압력에 따라 상기 압력조절홀을 개폐하는 밸브부재와, 상기 밸브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저장부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오버캡의 상면에는 상기 저장부의 내부압력에 의해 상기 밸브부재가 압력조절홀을 개방하는 경우, 상기 저장부의 내부압력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압력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생성기.
KR1020190027547A 2019-03-11 2019-03-11 수소수 생성기 KR102001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547A KR102001661B1 (ko) 2019-03-11 2019-03-11 수소수 생성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547A KR102001661B1 (ko) 2019-03-11 2019-03-11 수소수 생성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1661B1 true KR102001661B1 (ko) 2019-07-18

Family

ID=67469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547A KR102001661B1 (ko) 2019-03-11 2019-03-11 수소수 생성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6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337B1 (ko) 2019-09-27 2020-01-31 주식회사 디에스정공 수소수 제조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1522A (ja) * 2006-05-15 2007-1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酸素水生成容器
JP3175997U (ja) * 2012-03-23 2012-06-07 株式会社日省エンジニアリング ポータブル型飲料用水素水の生成器
KR101442565B1 (ko) * 2014-02-26 2014-09-22 한동하이드로 주식회사 휴대용 기능성 수소수 제조장치
KR200478086Y1 (ko) * 2014-09-30 2015-08-27 김수복 물병
KR20170034654A (ko) * 2015-09-21 2017-03-29 안광호 휴대용 차(茶) 겸용 수소수 용기
KR101780424B1 (ko) 2014-12-02 2017-09-21 안종섭 수소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1522A (ja) * 2006-05-15 2007-1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酸素水生成容器
JP3175997U (ja) * 2012-03-23 2012-06-07 株式会社日省エンジニアリング ポータブル型飲料用水素水の生成器
KR101442565B1 (ko) * 2014-02-26 2014-09-22 한동하이드로 주식회사 휴대용 기능성 수소수 제조장치
KR200478086Y1 (ko) * 2014-09-30 2015-08-27 김수복 물병
KR101780424B1 (ko) 2014-12-02 2017-09-21 안종섭 수소수 제조장치
KR20170034654A (ko) * 2015-09-21 2017-03-29 안광호 휴대용 차(茶) 겸용 수소수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337B1 (ko) 2019-09-27 2020-01-31 주식회사 디에스정공 수소수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4804B1 (ko) 수소수 생성장치
WO2017024969A1 (zh) 气体产生器
KR101746077B1 (ko) 수소수 제조용 수소 발생 유니트
KR20070112267A (ko) 활성 수소 용존수의 생성 방법, 생성기 및 생성용 석고공급 부재 및 활성 수소의 생성성 물질과 그 제조 방법
KR102001661B1 (ko) 수소수 생성기
JP2009022838A (ja) 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方法
JP2013188668A (ja) 気体溶解水浄水器
KR101683109B1 (ko)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JP2009125663A (ja) 浄水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備えた浄水器
KR101748789B1 (ko)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CN105726292A (zh) 用于生成含蒸汽的一氧化氮的设备
KR101120645B1 (ko) 기능성 복합 필터
CN214572268U (zh) 一种集成式no发生装置
WO2011065289A1 (ja) 給水タンク及びそれを備えた電解装置
KR101935568B1 (ko) 수소 함유 화장수 제공장치 및 방법
TW304884B (ko)
JP2010188329A (ja) ガス生成方法及びガス生成装置
KR101771166B1 (ko)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KR20180130279A (ko) 수소함유수 제조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텀블러
JPH11277079A (ja) 水処理装置
KR20150092822A (ko) 수소수 제조를 위한 수소 발생 유니트
KR100311911B1 (ko) 정수및살균수제조장치
JP2013085979A (ja) 次亜塩素酸水の製造装置
JP2005013862A (ja) 水改質器
CN212198800U (zh) 复合富氢水生成器和台式富氢水生成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