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522B1 - 그늘의 세기가 고려된 온실 주향 결정 방법 - Google Patents

그늘의 세기가 고려된 온실 주향 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522B1
KR102001522B1 KR1020170148928A KR20170148928A KR102001522B1 KR 102001522 B1 KR102001522 B1 KR 102001522B1 KR 1020170148928 A KR1020170148928 A KR 1020170148928A KR 20170148928 A KR20170148928 A KR 20170148928A KR 102001522 B1 KR102001522 B1 KR 102001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house
shade
index
inform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2999A (ko
Inventor
류희룡
조명환
유인호
최만권
문두경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70148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522B1/ko
Publication of KR20190052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5004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위치 정보 입력 모듈(10)에, 온실(100)이 설치되는 위치가 입력되는 단계(S100); (b) 온실 모델링 입력 모듈(30)에, 온실(100)의 형태에 관한 정보 및 온실의 내부에 그늘을 형성시키는 차광 부재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어 온실(100)이 모델링 단계(S200); (c) 그늘지수 연산 모듈(50)에서, 임의의 시간에 기상청의 기상데이터베이스(DB1)로부터 위치에 해당하는 태양 고도에 관한 정보를 로딩한 후, 온실(100) 내부에 형성되는 그늘의 세기를 고려하여 그늘지수(X)를 결정하는 단계(S300); (d) 그늘지수 연산 모듈(50)에서, 하루 동안 변하는 태양 고도에 따라 연산되는 그늘지수(X)를 이용하여, 일일 총 그늘지수(Y)를 연산하는 단계(S400); (e) 그늘지수 연산 모듈(50)에서, 온실(100)을, 정북을 기준으로 90도 회전시키면서 소정의 각도마다 (c) 단계 및 (d) 단계가 반복되어, 온실(100)의 회전 각도별 일일 총 그늘지수(Y)를 연산하는 단계(S500); 및 (f) 주향 결정 모듈(70)에서, (e) 단계에서 연산된 일일 총 그늘지수(Y) 중 최소값에 대응되는 특정 각도를 온실(100)의 주향각으로 결정하는 단계(S600); 를 포함하는, 온실 주향 결정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그늘의 세기가 고려된 온실 주향 결정 방법 {Main Direction Determination Method of Greenhouse Considering Shade Intensity}
본 발명은 그늘의 세기가 고려된 온실 주향 결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온실 내부에 형성되는 그늘의 세기가 각각 다름에 따라, 이러한 그늘의 세기가 반영된 그늘지수 및 일일 총 그늘지수를 통해, 온실의 주향을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물의 대사를 유지하는 데에 태양광이 에너지로 요구되는 바, 농가에서는,난지(暖地)의 식물을 재배하고, 평상 이외의 계절에 개화(開花) 및 결실(結實)시킬 목적으로 내부의 온도를 높일 수 있는 온실이 많이 사용된다.
다만, 온실 내로 입사되는 햇볕의 양은 비닐의 재질에 의해 노지(露地)에 직접적으로 입사되는 햇볕의 양보다 적게 입사되기 때문에, 온실 내의 작물은 노지의 작물에 비해 더 적은 양의 햇볕만으로 성장할 수 밖에 없다.
한편, 온실은 통상 골조와 그 골조 위를 빛이 통과할 수 있는 투명한 비닐로 덮어서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온실의 골조는 온실의 구조 유지 및 지지를 위해, 당연히 필요한 구성이나, 이러한 골조로 인해, 온실 내부에는 그늘이 불가피하게 발생된다.
한편, 종래의 농가에서는, 투광량을 최대화 하기 위하여 관례적으로 온실을 동서방향 또는 남북방향으로 설치하였는 바, 온실이 설치되는 방향, 임의의 시간 및 온실의 위치에 따른 그늘량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온실의 최종 목적은, 온실에 재배되는 작물의 재배 환경을 최적화시킴으로써, 작물의 생장을 극대화시키는데 있음에도 불구하고, 온실 골조, 피복 및 작물에 의한 그늘량을 명확하게 알지 못하고, 온실의 골조 구조 및 주향을 결정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더하여, 온실 설치자는 온실의 주향을 온실이 설치되는 공간의 효율성에 따라, 임의로 결정을 하는 경우도 빈번하며, 한번 온실이 설치되면 다시 재설치하는 것이 곤란한 점에 비추어 볼 때, 그늘량이 많은 상태에서 온실 내에 작물이 재배됨에 따라, 재배자가 감수해야되는 피해가 막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기술인, KR 10-2016-0069773 A은, 그늘영역 조명 기능 및 작물별 선택적 조명 기능을 가지는 온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재배되는 작물별로 특정 파장의 빛을 선택하여 조명하는 것에 의해 작물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그늘영역 조명 기능 및 작물별 선택적 조명 기능을 가지는 온실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또한, 종래 기술인, KR 10-2012-0023039 A은, 비닐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비닐 하우스를 보온하는 기술이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미리 온실에 생기는 그늘량을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온실의 골조 구조 및 주향을 결정하는 기술이 전혀 존재하지 않았다.
이에 더하여, 온실 내부에 생기는 그늘은, 온실의 차광막의 위치, 투광률 및 빛의 입사 각도에 따라 상이한 바, 이에 따라, 그늘마다 그 세기가 상이하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그늘의 세기까지 고려하여 온실의 골조 구조 및 주향을 결정하는 기술은 전혀 없었다.
이에 따라, 온실을 설치하기 전에 미리 온실 내부에 발생되는 그늘 및 그늘의 세기를 연산할 수 있고, 온실 내에 재배되는 작물을 고려하여 온실의 골조 구조 및 주향을 결정함으로써, 온실에 재배되는 작물의 생장환경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특허문헌 1) KR 10-2016-0069773 A
(특허문헌 2) KR 10-2012-0023039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온실 내부에 생기는 그늘의 세기가 동일하지 않음에 따라, 그늘의 면적뿐만 아니라, 그늘의 세기까지 고려하여 온실의 주향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그늘의 세기에 영향을 주는, 태양 고도, 입사각, 온실 골조의 형태, 투광률, 차광 부재의 위치 등을 모두 고려하여 그늘의 세기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위치 정보 입력 모듈(10)에, 온실(100)이 설치되는 위치가 입력되는 단계(S100); (b) 온실 모델링 입력 모듈(30)에, 상기 온실(100)의 형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온실의 내부에 그늘을 형성시키는 차광 부재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어 상기 온실(100)이 모델링 단계(S200); (c) 그늘지수 연산 모듈(50)에서, 임의의 시간에 기상청의 기상데이터베이스(DB1)로부터 상기 위치에 해당하는 태양 고도에 관한 정보를 로딩한 후, 상기 온실(100) 내부에 형성되는 그늘의 세기를 고려하여 그늘지수(X)를 결정하는 단계(S300); (d) 상기 그늘지수 연산 모듈(50)에서, 하루 동안 변하는 태양 고도에 따라 연산되는 그늘지수(X)를 이용하여, 일일 총 그늘지수(Y)를 연산하는 단계(S400); (e) 상기 그늘지수 연산 모듈(50)에서, 상기 온실(100)을, 정북을 기준으로 90도 회전시키면서 소정의 각도마다 상기 (c) 단계 및 (d) 단계가 반복되어, 상기 온실(100)의 회전 각도별 일일 총 그늘지수(Y)를 연산하는 단계(S500); 및 (f) 주향 결정 모듈(70)에서, 상기 (e) 단계에서 연산된 일일 총 그늘지수(Y) 중 최소값에 대응되는 특정 각도를 상기 온실(100)의 주향각으로 결정하는 단계(S600); 를 포함하는, 온실 주향 결정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d) 단계에서, 그늘지수 연산 모듈(50)은,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그늘지수(X)를 연산한 후, 상기 시간별 그늘지수(X)들을 모두 더한 값을, 특정 각도에서의 일일 총 그늘지수(Y)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그늘지수(X)는, 상기 온실(100) 내부 바닥면에 가해지는 그늘을 단위 면적(A)으로 나누되, 각각의 단위 면적(A) 별로 해당되는 그늘의 세기가 결정되어 연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온실(100)의 형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온실(100)의 골조의 형태 및 피복재(유리, 비닐 등)의 투광률이며, 상기 차광 부재(200)에 관한 정보는, 상기 차광 부재(200)가 구비되는 위치 및 투광률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그늘지수(X)는, 상기 피복재로 태양광이 입사되는 각도에 따른 투광률에 관한 정보가 더 입력되어 연산되되, (c-1) 상기 태양 고도를 기준으로 상기 (b) 단계에서 모델링된 온실(100)의 외면에 형성된 피복재마다 태양 입사 각도가 각각 연산되는 단계(S310); 및 (c-2) 투광률 데이터베이스(DB2)로부터 태양 입사 각도에 따른 투광률을 로딩한 후, 상기 온실(100)의 외면에 형성된 피복재마다 투광률이 연산되는 단계(S330); 를 포함하며, 상기 그늘의 세기는 상기 (c-2) 단계에서 연산된 투광률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d) 단계는, 상기 그늘지수 연산 모듈(50)에, 상기 온실(100)에 재배되는 작물의 재배 기간이 더 입력되고, 상기 기상청의 기상데이터베이스(DB1)로부터 상기 재배 기간에 해당하는 태양 고도에 관한 정보를 로딩하여, 상기 재배 기간 동안의 상기 일일 총 그늘지수(Y) 합이 총 그늘지수(Z)로 결정되며, 상기 (e) 단계는, 상기 온실(100)의 회전 각도별 총 그늘지수(Z)를 연산하고, 상기 (f) 단계는, 상기 (e) 단계에서 연산된 총 그늘지수(Z) 중 최소값에 대응되는 특정 각도가 상기 온실(100)의 주향으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작물의 생장 높이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작물 데이터 입력 모듈(8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작물 데이터 입력 모듈(80)에, 상기 온실(100)에 재배되는 작물이 입력되고,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온실(100)에 재배되는 작물에 대응되는 가상 작물 객체(190)가 모델링되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그늘지수(X)는, 상기 가상 작물 객체(190)에 가해지는 그늘을 기준으로 연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위치 정보 입력 모듈(10)에 입력되는 상기 온실(100)의 위치는, 상기 위치의 위도 및 경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온실(100)은, 상기 온실(100)의 주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주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양 단부는 지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서까래(110); 및 상기 주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복수 개의 서까래(110)와 결합되어 상기 온실(100)의 골격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도리(130); 를 포함하며, 상기 서까래(110)는, 아치형으로 형성된 제 1 부분(112)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부분(112)은 상기 온실(100)의 지붕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부분(112)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제 2 부분(114)은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 2 부분(114)의 일 단부는 각각 상기 지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온실 모델링 입력 모듈(30)에 입력되는 상기 온실(100) 골조의 형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온실(100)의 길이; 상기 한 쌍의 제 2 부분(114)의 사이의 직선 거리인 바닥폭(d1); 상기 제 1 부분(112)의 양 단부 사이의 직선 거리인 측고폭(d2); 상기 제 1 부분(112)인 아치형의 곡률 반경인 아치 반경;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부분(114)의 높이인 측고(d3); 및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부분(112)의 최고 높이인 동고(d4);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온실 모델링 입력 모듈(30)에 입력되는 상기 온실(100) 골조의 형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서까래(110) 및 도리(130)의 단면의 직경; 상기 복수 개의 서까래(110)의 개수 및 이들의 간격; 상기 복수 개의 도리(130) 중 상기 서까래(110)의 제 1 부분(112)에 결합되는 도리(130)의 개수 및 이들의 간격; 상기 복수 개의 도리(130) 중 상기 서까래(110)의 제 2 부분(114)에 결합되는 도리(130)의 개수 및 이들의 간격; 및 상기 서까래(110)의 제 1 부분(112)을 지면으로부터 고정시키는 보조 기둥(140)의 개수 및 이들의 간격; 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온실 모델링 입력 모듈(30)에 입력되는 상기 온실(100) 골조의 형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온실(100)의 출입구(150, 152)의 개방 여부; 및 상기 출입구(150, 152)가 개방되는 경우에는 상기 출입구(150, 152)의 위치, 폭 및 높이;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온실 주향 결정 방법은, 온실 내부에 생기는 그늘의 면적 및 그늘의 세기가 최소화되는 온실의 주향 및 골조 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온실 내에 재배되는 작물의 생장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작물의 수확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온실 내의 그늘 면적 및 그늘의 세기를 연산함에 있어서, 온실 내부의 바닥 뿐만 아니라, 작물의 생장 높이까지 고려함으로써, 작물의 생장 환경에 더욱 바람직한 온실의 주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온실의 주향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정보 입력에 따라, 자동으로 온실의 형태가 모델링되고, 이에 따른 그늘 환경 및 온실의 주향이 자동으로 결정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실 주향 결정 방법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실 주향 결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실 주향 결정 방법의 (b) 단계에서 모델링되는 온실 및 특정 태양 고도에서 빛의 입사 각도에 따라 투과되는 빛의 양이 달라지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실 모델링 입력 모듈에 의해 온실이 모델링 된 상태에서, 온실 내부에 생기는 그늘의 세기가 동일하지 않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실 모델링 입력 모듈에 의해 온실이 모델링 된 상태에서, 온실 내부의 가상 작물 객체에 생기는 그늘의 세기가 동일하지 않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실 주향 결정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형태 및 구성요소의 개수에 있어서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온실 주향 결정 방법은, "온실"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현재 농가에서 널리 쓰이는, "비닐 하우스"도 그 대상으로 포함될 수 있음을 미리 명시하는 바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실 주향 결정 방법에 있어서, "주향"이란 온실을 구성하는 서까래가 이격하여 배치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이는 온실을 구성하는 각각의 도리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의미하며, 폭 및 길이로 구분되는 온실 내부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길이의 연장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실 주향 결정 방법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온실 주향 결정 방법은, 위치 정보 입력 모듈(10), 온실 모델링 입력 모듈(30), 그늘지수 연산 모듈(50) 및 주향 결정 모듈(70)을 포함한다.
먼저, 위치 정보 입력 모듈(10)에는 온실(100)이 설치되는 위치에 관한 정보들이 입력된다. 바람직하게는, 위치 정보 입력 모듈(10)에는 온실(100)이 설치되는 특정 위치의 위도 및 경도가 입력될 수 있으며, 이는 온실의 태양 고도를 결정하기 위함이다.
또한, 온실(100)이 설치되는 특정 위치의 고도 및 경사 역시 추가로 입력될 수 있으며, 온실의 태양 고도를 좀 더 정밀하게 결정할 수 있는 모든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음을 명시하는 바이다.
온실 모델링 입력 모듈(30)은, 설계자가 직접 온실을 설치하기 전에, 미리 온실을 모델링해주는 것으로써, 온실(100)의 형태에 관한 정보들 및 온실(100) 내부에 그늘을 형성시키는 차광 부재에 관한 정보들이 모두 입력된다.
온실(100)에 재배되는 작물을 직사광선으로부터 차단하기 위해 설치되는 차광 부재는, 소정의 투광률을 갖는 차광막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러한 차광막 이외에도 온실 내부의 그늘의 면적 및 그늘의 세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부재들을 포함한다.
그늘지수 연산 모듈(50)은, 온실(100) 바닥면에 생기는 그늘의 면적 및 그늘의 세기를 고려하도록 형성되며, 기상청의 데이터베이스(DB1) 및 투광률 데이터베이스(DB2)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로부터 필요한 정보들을 로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때, 기상청의 데이터베이스(DB1)에는 특정 위치의 태양 고도에 관한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투광률 데이터베이스(DB2)에는, 온실로 입사되는 태양광의 입사 각도에 따른 반사율, 투광률 및 굴절률이 저장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비닐 및 유리의 재료 고유의 투광률, 다중 비닐로 형성될 때의 투광률 등이 모두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상청의 데이터베이스(DB1)으로부터 온실(100)의 위치에 따른 태양 고도에 관한 정보를 로딩함과 동시에, 투광률 데이터베이스(DB2)로부터 태양 입사 각도에 따른 투광률을 로딩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온실 모델링 입력 모듈(30)에 의해 모델링된 온실(100)의 내부에 생기는 그늘의 위치 및 면적이 결정된다.
또한, 상기 그늘의 위치마다 그늘의 세기가 결정되며, 상기 그늘의 위치, 면적 및 세기가 모두 고려된 그늘지수(X)가 연산된다.
바람직하게, 그늘지수(X)는, 그 값이 클수록 온실 내부의 그늘량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온실 내부로 투과되어 들어오는 태양광의 양이 작음을 의미한다.
이 때, 상기 그늘지수(X)는, 특정 시간일 때의 태양 고도를 기준으로 온실 내부에 생기는 그늘을 모델링하여 연산되며, 태양 고도는 하루 동안 변하는 바, 이에 따라, 온실 내부에 생기는 그늘 역시 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루 동안 변하는 태양 고도를 반영하여 온실(100)의 주향을 결정하기 위해, 그늘지수 연산 모듈(50)은,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그늘지수(X)를 연산한 후, 시간별 그늘지수(X)들을 모두 더한 값을, 특정 각도에서의 일일 총 그늘지수(Y)로 결정하도록 형성된다.
일일 총 그늘지수(Y)는, 하루 동안의 변하는 태양 고도가 반영하기 위한 파라미터로써, 일일 총 그늘지수(Y)가 클수록 하루동안 온실 내부에 생기는 그늘의 면적 및 세기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향 결정 모듈(70)은 그늘지수 연산 모듈(50)에서 연산된 일일 총 그늘지수(Y) 중 최소값에 대응되는 특정 각도를 온실(100)의 주향각으로 결정하며, 이 때, 특정 각도는 정북 및 온실(100)의 주향 사이의 각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실 주향 결정 방법은, 온실(100)의 주향이 특정 각도일 때, 온실 내부에 생기는 그늘의 면적 및 세기의 척도인 그늘지수(X) 및 일일 총 그늘지수(Y)를 연산함으로써, 온실(100) 내부로 투과되는 태양광의 양이 최대가 되는 주향각을 결정하는 것이다.
다만, 온실(100) 내에 재배되는 작물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그늘 환경이 상이할 수 있는 바, 작물의 종류에 따라, 최적 그늘지수(X) 및 이에 따른 최적 일일 총 그늘지수(Y)가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작물의 최적 그늘지수(X) 및 최적 일일 총 그늘지수(Y) 값에 가장 근접한 특정 각도를 온실(100)의 주향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실 주향 결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S100)은, 위치 정보 입력 모듈(10)에, 온실(100)이 설치되는 위치가 입력되는 단계로써, 온실(100)이 설치되는 위치의 위도 및 경도에 관한 정보가 입력된다.
이와 같이, 온실(100)이 설치되는 위치의 위도 및 경도에 관한 정보가 입력됨으로써, 기상청의 기상데이터베이스(60)로부터 상기 위도 및 경도에 따른 태양 고도에 관한 정확한 값을 정보로 로딩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 입력 모듈(10)에는, 온실(100)이 설치되는 위치의 위도 및 경도에 관한 정보 이외에도, 온실(100)이 설치되는 지면의 경사각 등이 추가로 입력될 수 있으며, 기타 온실(100) 내부에 생기는 그늘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치에 관한 정보들이 추가로 더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위치에 관한 추가적인 정보들과 관련하여, 위치 정보 입력 모듈(10)에는, 온실(100) 내부에 생기는 그늘량에 영향을 주는 인접 온실, 구조물 및 조경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여 고정 그늘이 연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인접 온실, 구조물 및 조경에 관한 정보는, 상기 인접 온실, 구조물과 조경의 형태 및 상기 온실(100)로부터 떨어져 있는 위치 및 이들의 높이가 입력됨에 따라, 고정 그늘이 연산될 수 있다.
상기 단계(S200)에서는, 온실 모델링 입력 모듈(30)에, 온실(100)의 형태 및 차광부재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고, 바람직하게, 온실(100)의 형태는 온실(100)의 골조를 의미한다.
온실(100)의 골조는, 서까래 및 도리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보조 기둥 및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온실(100)에 설치되는 차광 부재는, 바람직하게, 재배되는 작물을 직사광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차광막(170)이며, 이 때, 차광막(170)이 설치되는 위치 및 면적이 온실 모델링 입력 모듈(30)에 입력된다.
상기 단계(S300)는, 그늘지수 연산 모듈(50)에서, 기상청의 기상데이터베이스(60)로부터 상기 위치에 해당하는 태양 고도에 관한 정보를 로딩하여, 온실(100) 내부에 형성되는 그늘의 세기를 고려하여 그늘지수(X)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이 때, 상기 단계(S300)에서, 그늘지수(X)는, 상기 피복재로 태양광이 입사되는 각도에 따른 투광률에 관한 정보가 더 입력되어 연산되되, 태양 고도를 기준으로 단계(S200)에서 모델링된 온실(100)의 외면에 형성된 유리마다 태양 입사 각도가 각각 연산되는 단계(S310) 및 투광률 데이터베이스(DB2)로부터 태양 입사 각도에 따른 투광률을 로딩한 후, 온실(100)의 외면에 형성된 피복재마다 투광률이 연산되는 단계(S330)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온실(100)의 골조는 태양광을 전혀 통과시키지 못하는 바, 투광률이 0으로 자동 입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광을 확산시키는 피복재가 설치될 경우 그 투광률이 자동 보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실 주향 결정 방법의 (b) 단계에서 모델링되는 온실 및 특정 태양 고도에서 빛의 입사 각도에 따라 투과되는 빛의 양이 달라지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온실로 입사하는 태양광이 온실의 외면에서 반사 또는 투과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 때, 온실 외면에 형성된 유리 및 온실로 입사하는 태양광의 각도에 따라, 반사 및 투과의 비율이 상이하며, 차광막(170)에 의해, 태양광의 입사량이 작아질 수 있다.
도 4 및 5에는, 오전을 기준으로 온실(100) 내부에 생기는 그늘이 도시되어 있으며, 태양의 위치가 오전에서 오후까지 변해가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고, 참고로, 도 4 및 5에는 태양의 위치가 오전일 때 생긴 그늘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한편, 정오가 태양 고도가 가장 높은 때인 바, 그늘이 가장 짧게 형성되며, 오전 및 오후는 태양 고도가 낮은 때이므로, 정오일 때보다 그늘이 길게 형성된다.
오전 및 오후에 생기는 그늘과 관련하여, 태양 고도가 90도일 때를 기준으로, 태양고도가 동일한 각도차를 갖고 있다면, 상호 방향을 달리할 뿐, 대칭으로 그늘이 발생된다.
도 4 및 5를 함께 참조하면, 온실(100) 내부의 바닥면에 생기는 그늘의 세기는 그늘의 위치마다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정밀하게 그늘지수(X)를 연산하기 위해, 그늘지수(X)는, 온실(100) 내부 바닥면에 가해지는 그늘을 단위 면적(A)으로 나누되, 단위 면적 별로 해당되는 그늘의 세기가 결정되어 연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과정은 온실(100) 내부 바닥면에 가해지는 그늘을 단위 면적(A)으로 잘게 구획하는 과정으로써, 단위 면적(A)의 크기는 골조 설계 과정에서 결정되며, 하나의 단위 면적(A) 내의 그늘의 세기는 동일하게 간주되는 바, 단위 면적(A)의 크기를 작게 세팅할수록, 좀 더 그늘의 세기를 정밀하게 구분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단계(S400)는, 그늘지수 연산 모듈(50)에서, 하루 동안 변하는 태양 고도에 따라 연산되는 그늘지수(X)를 이용하여, 일일 총 그늘지수(Y)를 연산하는 단계이다.
이 때, 그늘지수 연산 모듈(50)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하루의 상기 온실(100) 내부의 그늘량을 측정한 후, 상기 시간별 측정 값들을 모두 더한 값을, 특정 각도에서의 일일 그늘량으로 결정된다.
또한,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24시간 동안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그늘지수(X)를 연산하도록 형성되며, 이들을 모두 더한값을 일일 총 그늘지수(Y)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시간 간격을 1분이라고 가정하면, 24시간 동안 총 1,440번 그늘지수(X)를 연산하며, 그늘지수는, X1 내지 X1440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일일 총 그늘지수(Y)는, X1 내지 X1440를 합산한 값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일일 총 그늘지수(Y)가 클수록 온실(100) 내로 투과되는 태양광의 양이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단계(S400)은, 그늘지수 연산 모듈(50)에, 온실(100)에 재배되는 작물의 재배 기간이 더 입력되고, 기상청의 기상데이터베이스(DB1)로부터 재배 기간에 해당하는 태양 고도에 관한 정보를 로딩하여, 재배 기간 동안의 일일 또는 재배 기간 누적 총 그늘지수(Y) 합이 총 그늘지수(Z)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배 기간이 입력되며, 재배 기간은, 재배 시작일 및 수확일을 입력함으로써, 자동으로 연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실(100)이 설치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계절이 변해감에 따라, 매일 태양 고도가 변화하는 것을 반영할 수 있으며, 작물의 재배 기간이 1년인 경우에는 연간 총 그늘지수가 연산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는, 과거의 기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의 과거 기상 상태를 반영함으로써, 특정 일자의 구름에 의해 태양광의 세기를 반영할 수 있는 바, 온실(100) 내에 생기는 그늘량에 관한 정확한 값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온실(100) 내부의 일일 그늘량을 연산하는 방식은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로, 온실(100) 내부의 그늘지수(X)는, 온실(100) 내부 바닥면에 가해지는 그늘의 면적을 기준으로 연산될 수 있다.
둘재로, 온실(100)에 재배되는 작물 또는 재배용 벤치 등에 대응되어 모델링되는 가상 작물 객체(190)에 가해지는 그늘의 면적을 기준으로 연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실 주향 결정 방법은, 작물의 생장 높이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작물 데이터 입력 모듈(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물 데이터 입력 모듈(80)에, 상기 온실(100)에 재배되는 작물이 입력되면, 단계(S200)에서는, 상기 온실(100)에 재배되는 작물 또는 재배용 벤치 등에 대응되는 가상 작물 객체(190)가 모델링된다.
이 때, 재배용 벤치는 수경 재배에 사용되는 것으로써, 일정량의 배양액을 저장하고, 상기 배양액을 통해 작물을 재배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작물 또는 재배용 벤치 데이터 입력 모듈(80)에는, 재배되는 작물의 생장 높이 또는 재배용 벤치 형상 및 제원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그늘지수(X)는, 상기 재배되는 작물의 전체 높이 중 생장 높이에 가해지는 그늘을 기준으로 연산된다.
이와 같이, 온실(100) 내부의 바닥면이 아니라, 가상 객체(190)에 가해지는 그늘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바, 온실(100) 내부에 재배되는 작물 또는 재배용 벤치 등 의 특성을 고려될 수 있다.
단계(S500)은, 그늘지수 연산 모듈(50)에서, 온실(100)을, 정북을 기준으로 90도 회전시키면서 소정의 각도마다 단계(S300) 및 단계(S400)를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온실(100)의 회전 각도별 일일 총 그늘지수(Y)를 연산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지면 상의 상기 온실(100)의 기준점을 결정한 후, 그늘지수 연산 모듈(50)에서, 기준점을 중심으로 상기 온실(100)을 정북을 기준으로 90도 회전시키면서 그늘지수(X)를 연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기준점은, 지면 상의 온실(100)의 임의의 점을 선택할 수 있으며, 기준점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되, 정북을 기준으로 90도 회전시킨다.
이는, 태양광에 의해 발생되는 그늘 역시, 대칭인 점을 고려한 것이며, 구체적인 예를 들면, 온실(100)의 주향이 정북을 기준으로 +30도일 때, 발생되는 그늘은 온실(100)의 주향이 정북을 기준으로 -30도일 때, 발생되는 그늘과 동일하므로, 기준점을 중심으로 온실(100)을 90도만 회전하더라도, 온실의 전 방위 주향에 따른 그늘지수(X)가 연산될 수 있다.
도 4 및 5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온실 모델링 입력 모듈(30)에 입력되는 상기 온실(100) 골조의 형태에 관한 정보는, 온실(100)의 길이, 한 쌍의 제 2 부분(114)의 사이의 직선 거리인 바닥폭(d1), 제 1 부분(112)의 양 단부 사이의 직선 거리인 측고폭(d2), 제 1 부분(112)인 아치형의 곡률 반경인 아치 반경,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부분(114)의 높이인 측고(d3) 및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부분(112)의 최고 높이인 동고(d4)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온실(100)의 외면에는, 차광막(170)이 더 포함되어 있고, 온실(100)의 내부에는, 가상 작물 객체(19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온실(100)에 그늘(A)을 발생시키는 가장 큰 요인인 골조와 관련하여, 온실(100)의 주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주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양 단부는 지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서까래(110) 및 주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복수 개의 서까래(110)와 결합되어 상기 온실(100)의 골격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도리(130)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서까래(110)는, 아치형으로 형성된 제 1 부분(112)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부분(112)은 상기 온실(100)의 지붕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부분(112)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제 2 부분(114)은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 2 부분(114)의 일 단부는 각각 상기 지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정보들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됨에 따라, 온실이 모델링될 수 있으며, 전술한 정보들 이외에도 사용자가 좀 더 정밀하게 온실을 모델링하도록 추가적으로 온실의 골조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온실 모델링 입력 모듈(30)에는, 서까래(110) 및 도리(130)의 단면의 직경, 복수 개의 서까래(110)의 개수 및 이들의 간격, 복수 개의 도리(130) 중 상기 서까래(110)의 제 1 부분(112)에 결합되는 도리(130)의 개수 및 이들의 간격, 복수 개의 도리(130) 중 상기 서까래(110)의 제 2 부분(114)에 결합되는 도리(130)의 개수 및 이들의 간격 및 서까래(110)의 제 1 부분(112)을 지면으로부터 고정시키는 보조 기둥(140)의 개수 및 이들의 간격을 더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보다 정밀한 그늘량 연산을 위해, 상기 온실 모델링 입력 모듈(30)에는 온실(100)의 출입구(150, 152)의 개방 여부; 및 상기 출입구(150, 152)가 개방되는 경우에는 상기 출입구(150, 152)의 위치, 폭 및 높이;가 더 입력될 수 있다.
한편, 본원발명에 따른 온실(100)은, 단동형 온실뿐만 아니라, 연동형 온실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서까래(110)는 아치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아치형 이외에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는 제작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설계 변경이 가능함을 명시한다.
도 5는 도 4와 달리, 가상 작물 객체(19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이며, 도 5를 참조하면, 가상 작물 객체(190)의 소정의 부분이 확대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때, 가상 작물 객체(190)는, 온실(100)의 골조에 의해 생기는 그늘(A) 및 그늘이 생기지 않는 부분(B)으로 구분되며, 온실(100) 내부의 바닥에 생기는 그늘이 아닌, 상기 가상 작물 객체(190)에 생기는 그늘을 기준으로, 그늘지수(X)가 결정된다.
이와 같이, 가상 작물 객체(190)에 생기는 그늘을 기준으로, 일일 그늘량 및 총 그늘량을 결정하는 것 이외의 나머지는 전술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위치 정보 입력 모듈
30: 온실 모델링 입력 모듈
50: 그늘지수 연산 모듈
60: 기상데이터베이스
70: 주향 결정 모듈
100: 온실
110: 서까래
130: 도리
150, 152: 출입구

Claims (11)

  1. (a) 위치 정보 입력 모듈(10)에, 온실(100)이 설치되는 위치가 입력되는 단계(S100);
    (b) 온실 모델링 입력 모듈(30)에, 상기 온실(100)의 형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온실의 내부에 그늘을 형성시키는 차광 부재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어 상기 온실(100)이 모델링 단계(S200);
    (c) 그늘지수 연산 모듈(50)에서, 임의의 시간에 기상청의 기상데이터베이스(DB1)로부터 상기 위치에 해당하는 태양 고도에 관한 정보를 로딩한 후, 상기 온실(100) 내부에 형성되는 그늘의 세기를 고려하여 그늘지수(X)를 결정하는 단계(S300);
    (d) 상기 그늘지수 연산 모듈(50)에서, 하루 동안 변하는 태양 고도에 따라 연산되는 그늘지수(X)를 이용하여, 일일 총 그늘지수(Y)를 연산하는 단계(S400);
    (e) 상기 그늘지수 연산 모듈(50)에서, 상기 온실(100)을, 정북을 기준으로 90도 회전시키면서 소정의 각도마다 상기 (c) 단계 및 (d) 단계가 반복되어, 상기 온실(100)의 회전 각도별 일일 총 그늘지수(Y)를 연산하는 단계(S500); 및
    (f) 주향 결정 모듈(70)에서, 상기 (e) 단계에서 연산된 일일 총 그늘지수(Y) 중 최소값에 대응되는 특정 각도를 상기 온실(100)의 주향각으로 결정하는 단계(S600); 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온실(100)의 형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온실(100)의 골조의 형태 및 피복재의 투광률이며,
    상기 차광 부재(200)에 관한 정보는, 상기 차광 부재(200)가 구비되는 위치 및 투광률이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그늘지수(X)는,
    유리로 태양광이 입사되는 각도에 따른 투광률에 관한 정보가 더 입력되어 연산되되,
    (c-1) 상기 태양 고도를 기준으로 상기 (b) 단계에서 모델링된 온실(100)의 외면에 형성된 피복재마다 태양 입사 각도가 각각 연산되는 단계(S310); 및
    (c-2) 투광률 데이터베이스(DB2)로부터 태양 입사 각도에 따른 투광률을 로딩한 후, 상기 온실(100)의 외면에 형성된 피복재마다 투광률이 연산되는 단계(S330); 을 포함하며,
    상기 그늘의 세기는 상기 (c-2) 단계에서 연산된 투광률에 의해 결정되는,
    온실 주향 결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그늘지수 연산 모듈(50)은,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그늘지수(X)를 연산한 후, 시간별 그늘지수(X)들을 모두 더한 값을, 특정 각도에서의 일일 총 그늘지수(Y)로 결정하는,
    온실 주향 결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그늘지수(X)는,
    온실(100) 내부 바닥면에 가해지는 그늘을 단위 면적(A)으로 나누되, 단위 면적(A) 별로 해당되는 그늘의 세기가 결정되어 연산되는,
    온실 주향 결정 방법.
  4. 삭제
  5. 삭제
  6. (a) 위치 정보 입력 모듈(10)에, 온실(100)이 설치되는 위치가 입력되는 단계(S100);
    (b) 온실 모델링 입력 모듈(30)에, 상기 온실(100)의 형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온실의 내부에 그늘을 형성시키는 차광 부재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어 상기 온실(100)이 모델링 단계(S200);
    (c) 그늘지수 연산 모듈(50)에서, 임의의 시간에 기상청의 기상데이터베이스(DB1)로부터 상기 위치에 해당하는 태양 고도에 관한 정보를 로딩한 후, 상기 온실(100) 내부에 형성되는 그늘의 세기를 고려하여 그늘지수(X)를 결정하는 단계(S300);
    (d) 상기 그늘지수 연산 모듈(50)에서, 하루 동안 변하는 태양 고도에 따라 연산되는 그늘지수(X)를 이용하여, 일일 총 그늘지수(Y)를 연산하는 단계(S400);
    (e) 상기 그늘지수 연산 모듈(50)에서, 상기 온실(100)을, 정북을 기준으로 90도 회전시키면서 소정의 각도마다 상기 (c) 단계 및 (d) 단계가 반복되어, 상기 온실(100)의 회전 각도별 일일 총 그늘지수(Y)를 연산하는 단계(S500); 및
    (f) 주향 결정 모듈(70)에서, 상기 (e) 단계에서 연산된 일일 총 그늘지수(Y) 중 최소값에 대응되는 특정 각도를 상기 온실(100)의 주향각으로 결정하는 단계(S600); 를 포함하며,
    상기 (d) 단계는, 상기 그늘지수 연산 모듈(50)에, 상기 온실(100)에 재배되는 작물의 재배 기간이 더 입력되고, 상기 기상청의 기상데이터베이스(DB1)로부터 상기 재배 기간에 해당하는 태양 고도에 관한 정보를 로딩하여, 상기 재배 기간 동안의 상기 일일 총 그늘지수(Y) 합이 총 그늘지수(Z)로 결정되며,
    상기 (e) 단계는, 상기 온실(100)의 회전 각도별 총 그늘지수(Z)를 연산하고,
    상기 (f) 단계는, 상기 (e) 단계에서 연산된 총 그늘지수(Z) 중 최소값에 대응되는 특정 각도가 상기 온실(100)의 주향으로 결정되는,
    온실 주향 결정 방법.
  7. (a) 위치 정보 입력 모듈(10)에, 온실(100)이 설치되는 위치가 입력되는 단계(S100);
    (b) 온실 모델링 입력 모듈(30)에, 상기 온실(100)의 형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온실의 내부에 그늘을 형성시키는 차광 부재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어 상기 온실(100)이 모델링 단계(S200);
    (c) 그늘지수 연산 모듈(50)에서, 임의의 시간에 기상청의 기상데이터베이스(DB1)로부터 상기 위치에 해당하는 태양 고도에 관한 정보를 로딩한 후, 상기 온실(100) 내부에 형성되는 그늘의 세기를 고려하여 그늘지수(X)를 결정하는 단계(S300);
    (d) 상기 그늘지수 연산 모듈(50)에서, 하루 동안 변하는 태양 고도에 따라 연산되는 그늘지수(X)를 이용하여, 일일 총 그늘지수(Y)를 연산하는 단계(S400);
    (e) 상기 그늘지수 연산 모듈(50)에서, 상기 온실(100)을, 정북을 기준으로 90도 회전시키면서 소정의 각도마다 상기 (c) 단계 및 (d) 단계가 반복되어, 상기 온실(100)의 회전 각도별 일일 총 그늘지수(Y)를 연산하는 단계(S500); 및
    (f) 주향 결정 모듈(70)에서, 상기 (e) 단계에서 연산된 일일 총 그늘지수(Y) 중 최소값에 대응되는 특정 각도를 상기 온실(100)의 주향각으로 결정하는 단계(S600); 를 포함하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그늘지수(X)는,
    온실(100) 내부 바닥면에 가해지는 그늘을 단위 면적(A)으로 나누되, 단위 면적(A) 별로 해당되는 그늘의 세기가 결정되어 연산되고,
    작물의 생장 높이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작물 데이터 입력 모듈(8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작물 데이터 입력 모듈(80)에, 상기 온실(100)에 재배되는 작물이 입력되고,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온실(100)에 재배되는 작물에 대응되는 가상 작물 객체(190)가 모델링되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그늘지수(X)는, 상기 가상 작물 객체(190)에 가해지는 그늘을 기준으로 연산되는,
    온실 주향 결정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위치 정보 입력 모듈(10)에 입력되는 상기 온실(100)의 위치는, 상기 위치의 위도 및 경도인,
    온실 주향 결정 방법.
  9. (a) 위치 정보 입력 모듈(10)에, 온실(100)이 설치되는 위치가 입력되는 단계(S100);
    (b) 온실 모델링 입력 모듈(30)에, 상기 온실(100)의 형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온실의 내부에 그늘을 형성시키는 차광 부재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어 상기 온실(100)이 모델링 단계(S200);
    (c) 그늘지수 연산 모듈(50)에서, 임의의 시간에 기상청의 기상데이터베이스(DB1)로부터 상기 위치에 해당하는 태양 고도에 관한 정보를 로딩한 후, 상기 온실(100) 내부에 형성되는 그늘의 세기를 고려하여 그늘지수(X)를 결정하는 단계(S300);
    (d) 상기 그늘지수 연산 모듈(50)에서, 하루 동안 변하는 태양 고도에 따라 연산되는 그늘지수(X)를 이용하여, 일일 총 그늘지수(Y)를 연산하는 단계(S400);
    (e) 상기 그늘지수 연산 모듈(50)에서, 상기 온실(100)을, 정북을 기준으로 90도 회전시키면서 소정의 각도마다 상기 (c) 단계 및 (d) 단계가 반복되어, 상기 온실(100)의 회전 각도별 일일 총 그늘지수(Y)를 연산하는 단계(S500); 및
    (f) 주향 결정 모듈(70)에서, 상기 (e) 단계에서 연산된 일일 총 그늘지수(Y) 중 최소값에 대응되는 특정 각도를 상기 온실(100)의 주향각으로 결정하는 단계(S600); 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온실(100)은,
    상기 온실(100)의 주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주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양 단부는 지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서까래(110); 및 상기 주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복수 개의 서까래(110)와 결합되어 상기 온실(100)의 골격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도리(130); 를 포함하며,
    상기 서까래(110)는,
    아치형으로 형성된 제 1 부분(112)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부분(112)은 상기 온실(100)의 지붕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부분(112)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제 2 부분(114)은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 2 부분(114)의 일 단부는 각각 상기 지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온실 모델링 입력 모듈(30)에 입력되는 상기 온실(100) 골조의 형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온실(100)의 길이;
    상기 한 쌍의 제 2 부분(114)의 사이의 직선 거리인 바닥폭(d1);
    상기 제 1 부분(112)의 양 단부 사이의 직선 거리인 측고폭(d2);
    상기 제 1 부분(112)인 아치형의 곡률 반경인 아치 반경;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부분(114)의 높이인 측고(d3); 및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부분(112)의 최고 높이인 동고(d4); 를 포함하는,
    온실 주향 결정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온실 모델링 입력 모듈(30)에 입력되는 상기 온실(100) 골조의 형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서까래(110) 및 도리(130)의 단면의 직경;
    상기 복수 개의 서까래(110)의 개수 및 이들의 간격;
    상기 복수 개의 도리(130) 중 상기 서까래(110)의 제 1 부분(112)에 결합되는 도리(130)의 개수 및 이들의 간격;
    상기 복수 개의 도리(130) 중 상기 서까래(110)의 제 2 부분(114)에 결합되는 도리(130)의 개수 및 이들의 간격; 및
    상기 서까래(110)의 제 1 부분(112)을 지면으로부터 고정시키는 보조 기둥(140)의 개수 및 이들의 간격; 을 더 포함하는,
    온실 주향 결정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온실 모델링 입력 모듈(30)에 입력되는 상기 온실(100) 골조의 형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온실(100)의 출입구(150, 152)의 개방 여부; 및
    상기 출입구(150, 152)가 개방되는 경우에는 상기 출입구(150, 152)의 위치, 폭 및 높이; 를 더 포함하는,
    온실 주향 결정 방법.
KR1020170148928A 2017-11-09 2017-11-09 그늘의 세기가 고려된 온실 주향 결정 방법 KR102001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928A KR102001522B1 (ko) 2017-11-09 2017-11-09 그늘의 세기가 고려된 온실 주향 결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928A KR102001522B1 (ko) 2017-11-09 2017-11-09 그늘의 세기가 고려된 온실 주향 결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999A KR20190052999A (ko) 2019-05-17
KR102001522B1 true KR102001522B1 (ko) 2019-07-19

Family

ID=66678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928A KR102001522B1 (ko) 2017-11-09 2017-11-09 그늘의 세기가 고려된 온실 주향 결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5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2348B1 (ko) * 2021-07-19 2022-01-18 김성원 베란다 설치형 태양광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00627B (zh) * 2021-02-19 2024-02-02 中国农业科学院农业环境与可持续发展研究所 一种立体栽培模式下栽培层直射光进光率分析方法及装置
CN115152483A (zh) * 2022-06-24 2022-10-11 北京市农林科学院智能装备技术研究中心 一种玻璃温室的屋面倾角计算方法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529B1 (ko) * 1999-01-07 2001-09-26 이정국 실시간 일조환경 시뮬레이션 방법 및 기록매체
JP2003167065A (ja) * 2001-12-04 2003-06-13 Asahi Kasei Corp 日照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791B1 (ko) * 2012-06-15 2014-06-02 대한민국 온실 골조율 계산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529B1 (ko) * 1999-01-07 2001-09-26 이정국 실시간 일조환경 시뮬레이션 방법 및 기록매체
JP2003167065A (ja) * 2001-12-04 2003-06-13 Asahi Kasei Corp 日照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동주택의 입면 변화에 따른 일조 현상 분석", 광운대학교대학원 건축공학과, 2005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2348B1 (ko) * 2021-07-19 2022-01-18 김성원 베란다 설치형 태양광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999A (ko) 2019-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1522B1 (ko) 그늘의 세기가 고려된 온실 주향 결정 방법
Gijzen Simulation of photosynthesis and dry matter production of greenhouse crops
Brunner A light model for spatially explicit forest stand models
Pieters et al. Modelling solar energy input in greenhouses
Grant et al. Crop water relations under different CO2 and irrigation: testing of ecosys with the free air CO2 enrichment (FACE) experiment
Oyarzun et al. A simple approach to modeling radiation interception by fruit-tree orchards
Gitelson et al. Convergence of daily light use efficiency in irrigated and rainfed C3 and C4 crops
Kozai et al. Light transmission and photosynthesis in greenhouses
Rey et al. Using a 3-D virtual sunflower to simulate light capture at organ, plant and plot levels: contribution of organ interception, impact of heliotropism and analysis of genotypic differences
Kahlen et al. Modelling leaf phototropism in a cucumber canopy
Olchev et al. Effects of land-use changes on evapotranspiration of tropical rain forest margin area in Central Sulawesi (Indonesia): Modelling study with a regional SVAT model
Abraha et al. Validation of a three-dimensional solar radiation interception model for tree crops
Impron et al. Effects of cover properties, ventilation rate, and crop leaf area on tropical greenhouse climate
IT201900020196A1 (it) Metodo per ottenere almeno un'informazione predittiva relativa ad un tappeto erboso
KR101985656B1 (ko) 방위, 시기 및 시간에 따라 그늘량을 연산하는 온실 주향 결정 방법
Singels et al. The Canesim® sugarcane model: Scientific documentation
Bonachela et al. How mulching and canopy architecture interact in trapping solar radiation inside a Mediterranean greenhouse
JP5589524B2 (ja) 芝の生長の予測システムおよび予測方法
Zellweger et al. Microclimate mapping using novel radiative transfer modelling
CN106535621A (zh) 太阳光利用型玻璃温室
Hernández et al. Radiation transmission differences in east-west oriented plastic greenhouses
KR102387391B1 (ko) 온실 최적 치수 결정 방법
Villegas et al. CASUPRO: An industry-driven sugarcane model
Hemming et al. Numerical model to estimate the radiometric performance of net covered structures (AGRONETS)(published on the Conference Proceedings CD)
Garcin et al. The importance of 3D models to calculate shading rati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