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333B1 - 내연 엔진의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 밸브의 압전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내연 엔진의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 밸브의 압전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333B1
KR102001333B1 KR1020177036818A KR20177036818A KR102001333B1 KR 102001333 B1 KR102001333 B1 KR 102001333B1 KR 1020177036818 A KR1020177036818 A KR 1020177036818A KR 20177036818 A KR20177036818 A KR 20177036818A KR 102001333 B1 KR102001333 B1 KR 102001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actuator
control unit
temperature
stroke height
internal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6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3622A (ko
Inventor
니콜라스 노즈란
타니 가기조
한스-요르그 위호프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03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8Controlling each cylinder individu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0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 F02D41/2096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for controlling piezoelectric 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02D41/06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 F02D41/06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at cold st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D41/240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essentially read only memories
    • F02D41/2425Particular ways of programming the data
    • F02D41/2429Methods of calibrating or learning
    • F02D41/2451Methods of calibrating or learning characterised by what is learned or calibrated
    • F02D41/2464Characteristics of actuators
    • F02D41/2467Characteristics of actuators for 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8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 F02D41/40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with means for controlling injection timing or d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4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having a cyclic delivery of specific time/pressure or time/quantity relationship
    • F02M45/12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having a cyclic delivery of specific time/pressure or time/quantity relationship providing a continuous cyclic delivery with variabl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1/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electrically
    • F02M51/06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 F02M51/0603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piezoelectric or magnetostrictive oper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0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 F02D2041/202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f the circuit
    • F02D2041/2065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f the circuit the control being related to the coil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21Engine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6Fuel or fuel supply system parameters
    • F02D2200/063Lift of the valve nee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21Fuel-injection apparatus with piezoelectric or magnetostrictive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 Y02T10/4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 엔진의 연료 분사 시스템의, 압전 액추에이터 및 노즐 니들을 갖는 분사 밸브를 작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어 유닛은, 연속적인 분사 사이클에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설정점 행정 높이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실제 행정 높이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온도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커패시턴스의 온도 의존성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설정점 행정 높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연 엔진의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 밸브의 압전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내연 엔진의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 밸브의 압전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 밸브는 미리 정해진 양의 가압 연료를 내연 엔진의 실린더 내로 가능한 한 정확히 분사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시점에서 가능한 한 정확히 다시 개폐되도록 작동되는 것으로 이미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또한 가능하게는 분사 사이클 내의 주 분사에 더하여 추가적인 사전 분사 및/또는 사후 분사를 사용함으로써, 내연 엔진의 효율이 증가될 수 있고, 배기 가스 및 소음 배출이 동시에 감소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사기(injector)라고도 지칭되는 분사 밸브는 분사기를 개폐시키기 위해 구동부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폐쇄 부재를 갖는다. 분사가 수행되지 않는 분사기의 폐쇄된 상태에서, 폐쇄 부재는 분사기의 모든 분사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된 위치에 위치된다. 구동부에 의해, 폐쇄 부재는 그 폐쇄된 위치로부터 진행하여 상승됨으로써 적어도 일부의 분사 개구를 개방하여 분사를 개시할 수 있다.
폐쇄 부재는 일반적으로 노즐 니들(nozzle needle)을 갖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노즐 니들로 설계된다. 그 폐쇄된 위치에서, 상기 노즐 니들은 분사기의 니들 안착부(needle seat)에 안착된다. 분사기의 구동부는, 폐쇄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이 액추에이터는, 제어 신호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폐쇄 부재를 폐쇄된 위치로부터 행정 높이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폐쇄 부재를 상기 행정 높이에 유지하고, 및/또는 폐쇄 부재를 폐쇄된 위치로 다시 이동시키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상기 액추에이터는 전기 충전 또는 방전 공정으로 인해 팽창 또는 수축하여 폐쇄 부재의 행정 또는 폐쇄 운동을 개시하는 압전 소자(piezo element)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압전 액추에이터라고도 지칭되는 이러한 액추에이터는 특히 폐쇄 부재를 정밀하고 지연 없는 이동시키는데 매우 적합하다. 이것은 특히 압전 액추에이터와 폐쇄 부재 사이에 힘을 직접 및 지연 없이 전달할 수 있는 소위 직접 구동 압전 분사기의 경우이다.
DE 10 2011 075 732 A1은 분사 밸브 및 분사 시스템을 조절하는 방법을 개시했다. 상기 알려진 방법에서, 분사 사이클을 반복할 때 및 분사 밸브의 폐쇄 부재의 설정점 행정 높이(setpoint stroke height)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각 경우에 분사 밸브의 구동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신호가 생성되고, 상기 구동부는 폐쇄 부재를 설정점 행정 높이까지 상승시키기 위해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되고, 폐쇄 부재는 구동부에 의해 실제 행정 높이까지 상승되고, 여기서 실제 행정 높이와 상관성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 변수가 검출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정 변수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상기 실제 행정 높이가 결정되며, 상기 제어 신호는, 설정점 행정 높이로부터 실제 행정 높이의 편차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후속 분사 사이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분사 사이클에서 생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연 엔진의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 밸브의 압전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고, 본 방법은 실제 동작시 발생하는 조건에 더 적합하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제시된 특징을 갖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 및 개선은 종속 청구항에 제시된다.
본 발명에서,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 밸브의 압전 액추에이터의 작동은 일반적으로 엔진 온도로부터 추론될 수 있는 분사기 온도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고온 분사기(hot injector)로 동작하는 경우, 최대 니들 행정이 달성되어 밸브 니들을 완전히 디스로틀링(dethrottling)하여 최대 연료 관통 흐름(fuel throughflow)을 달성하도록 압전 액추에이터가 작동된다. 저온 분사기(cold injector)로 동작하는 경우, 니들 행정이 최대가 아니어서 밸브 니들을 완전히 디스로틀링하는 것이 달성되지 않아 연료 관통 흐름이 감소되도록 압전 액추에이터가 작동된다. 상기 감소된 연료 관통 흐름은 압전 액추에이터의 작동 지속 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보상된다.
이러한 접근법의 장점은 특히, 연료 분사 시스템의 작동 하드웨어가, 고온 동작 동안, 완전한 디스로틀링을 위해 최대 니들 행정을 보장하여 최대 연료 관통 흐름을 보장할 수 있도록 설계되면 된다는 것이다. 저온 동작 동안, 연료 분사 시스템의 작동 하드웨어에 대한 요구 조건이 감소된다. 그 결과, 이러한 접근법은 연료 분사 시스템의 작동 하드웨어에 대한 전기적 요구 조건이 감소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관련된 출력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연료 분사 시스템의 전자 제어 유닛이 작동 하드웨어인 저비용의 작동 하드웨어를 연료 분사 시스템에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유리한 특성은 이하의 도면에 기초하여 아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드러날 것이다.
도 1은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 밸브의 개략도;
도 2는 압전 액추에이터의 커패시턴스 대 온도의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
도 3은 압전 액추에이터의 작동 전압 대 온도의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 및
도 4는 밸브 니들의 폐쇄 단계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
도 1은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 밸브의 개략도이다. 예시된 분사 밸브(1)는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다중 부재로 구성된 형태인 분사기 몸체(2)를 갖는다. 분사기 몸체(2)는 상부 부분에 액추에이터 리세스(2a)를 갖고, 이 액추에이터 리세스 내에 압전 액추에이터(3)가 배열된다. 더욱이, 분사기 몸체(2)는 전달 핀 리세스(2b)를 갖고, 이 전달 핀 리세스를 통해 전달 핀(4)이 안내된다. 전달 핀(4)은 압전 액추에이터(3)를, 분사기 몸체(2)의 제어 피스톤 리세스(6)에 배열된 제어 피스톤(5)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고, 제어 피스톤 리세스(6)의 제1 부분(6a)은 제어 피스톤(5) 위에 배열되고, 제어 피스톤 리세스(6)의 제2 부분(6b)은 제어 피스톤(5) 아래에 배열된다. 제어 피스톤 아래에 배열된, 제어 피스톤 리세스(6)의 제2 부분(6b)에는 제어 피스톤 스프링(7)이 배열되고, 이 제어 피스톤 스프링은 제어 피스톤 리세스(6)를 하향 획정하는, 분사기 몸체(2)의 표면에서 지지된다. 제어 피스톤 스프링(7)의 상부 단부는 제어 피스톤(5)의 바닥 측에서 지지된다.
제어 피스톤(5) 아래에 제공된, 제어 피스톤 리세스(6)의 제2 부분(6b)은 연결 보어(8)를 통해 고압 연료 라인(9)에 연결되고, 이 고압 연료 라인을 통해 매우 가압된 연료가 분사 밸브(1)로 공급되어 분사기 몸체를 통해 분사기 몸체(2)의 노즐 챔버(10)로 안내된다. 상기 노즐 챔버(10)에는 노즐 니들(11)이 위치되고, 이 노즐 니들은 노즐 챔버(10)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압전 액추에이터(3)의 비-작동 상태에서, 분사기 몸체(2)에 제공된 분사 개구(12)는 노즐 니들(11)에 의해 폐쇄된다. 압전 액추에이터(3)의 작동 상태에서, 분사기 몸체(2)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분사 개구(12)가 개방된다.
노즐 니들(11)은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웹(web)(13)을 갖는다. 상기 웹(13)과 노즐 챔버(10)의 상부 종단 벽 사이에는 노즐 스프링(14)이 배열되고, 이 노즐 스프링의 힘에 의해 노즐 니들이, 압전 액추에이터(3)의 비-작동 상태에서, 분사 개구(12)를 신뢰성 있게 폐쇄하기 위해 하향으로 푸시된다.
노즐 니들(11)의 상부 단부 구역은, 노즐 챔버(10)보다 더 좁은, 분사기 몸체(2) 내의 추가적인 리세스(15)에 의해 안내된다.
압전 액추에이터(3)가 작동될 때, 노즐 니들(11)의 상부 단부 구역은 상기 추가적인 리세스(15) 내에서 상향 이동되고, 상기 이동의 결과, 노즐 니들의 하부 단부 구역은 밀봉 안착부로부터 상승되어 분사 개구(12)를 개방한다.
노즐 챔버(10) 및 추가적인 리세스(15)의 치수는, 모든 분사 개구(12)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도, 노즐 니들의 상부 종단 표면이 분사기 몸체(2)의 정지부에 접촉하지 않도록, 다시 말해, 분사 개구들이 개방된 동안 노즐 니들(12)이 정지부에 충돌하지 않고 상향 이동되도록 선택된다.
추가적인 리세스(15)는, 상부 단부 구역에서, 제어 피스톤(5) 위에 제공된, 제어 피스톤 리세스(6)의 제1 부분(6a)에, 추가적인 연결 보어(16)를 통해 결합된다. 상기 결합으로 인해 제어 피스톤 리세스(6)의 제1 부분(6a)과 추가적인 리세스(15)는 등화 챔버를 형성하며, 이 등화 챔버를 통해 유압 등화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제어 유닛(17)이 도시되고, 이 제어 유닛은 이 제어 유닛에 공급되는 센서 신호(se)를 평가하고, 저장된 동작 프로그램 및 저장된 특성 맵, 테이블 및/또는 특성 곡선을 사용하여, 분사 밸브(1)의 작동 가능한 구성 부재(component)에 대한 제어 신호(s)를 출력한다.
테스트 결과, 압전 액추에이터의 커패시턴스는 온도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압전 액추에이터는 고온이 존재하는 경우보다 저온이 존재하는 경우에 더 낮은 커패시턴스를 갖는다. 그 결과, 밸브 니들이 동일한 행정을 달성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고온이 존재하는 경우보다 저온이 존재하는 경우에 압전 액추에이터에 인가되는 전압이 더 높을은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도 2 및 도 3에 기초하여 아래에서 논의될 것이다.
도 2는 2개의 상이한 유형의 압전 액추에이터에 대해 온도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압전 액추에이터의 커패시턴스의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여기서, 커패시턴스는 각 경우에 밸브 니들의 행정이 80㎛인 경우에 적용된다.
여기서, 프로파일(V1)은 온도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제1 유형의 압전 액추에이터의 제1 예의 커패시턴스의 프로파일을 나타내고, 프로파일(V2)은 제1 유형의 압전 액추에이터의 제2 예의 커패시턴스의 프로파일을 나타내고, 프로파일(V3)은 온도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제2 유형의 압전 액추에이터의 제1 예의 커패시턴스의 프로파일을 나타내고, 프로파일(V4)은 제2 유형의 압전 액추에이터의 제2 예의 커패시턴스의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커패시턴스의 차이로 인해, 상이한 작동 전압이 적용된다. 여기서, 상대적으로 최고 전압이 동일한 레일 압력과 저온에서 필요하다.
도 3은 2개의 상이한 유형의 압전 액추에이터에 대해 온도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전압의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전압은 각 경우에 80㎛의 밸브 니들의 행정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전압이다. 여기서, 프로파일(U1)은 온도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제1 유형의 압전 액추에이터의 제1 예의 전압의 프로파일을 나타내고, 프로파일(U2)은 제1 유형의 압전 액추에이터의 제2 예의 전압의 프로파일을 나타내고, 프로파일(U3)은 제2 유형의 압전 액추에이터의 제1 예의 전압의 프로파일을 나타내고, 프로파일(U4)은 제2 유형의 압전 액추에이터의 제2 예의 전압의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각 압전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술한 전압은 각각 적절한 작동 하드웨어에 의해 제공되어야 한다. 이것은 상대적으로 높은 하드웨어 비용과 관련되므로, 저온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필요하다.
압전 분사기의 직접 구동부에 대해 일부 이전에 사용된 개념의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 압전 액추에이터의 작동 전압이 210 V의 최대 허용 가능한 한계 값을 초과할 수 있기 때문에 저온이 존재하는 경우 최대 레일 압력을 2000 바(bar)로 설정할 수 없었다. 그 결과, 분사기가 액추에이터 커패시턴스의 증가와 상관성이 있는 예상 동작 온도에 도달될 때까지 레일 내 연료의 최대 압력이 온도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제한되는 것이 필요하였다.
이전에 사용된 개념에서 대안적인 해결책은 압전 분사기의 작동 하드웨어를 필요한 고전압을 제공하는 데 적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고전압은 저온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요구되기 때문에, 작동 하드웨어는 이 경우 과도하게 치수가 정해져 비교적 높은 하드웨어 비용을 발생시킨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경우, 현재 온도와 독립적으로 항상 동일한 니들 행정을 달성하는 것이 더 이상 추구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의 경우에, 압전 액추에이터의 설정점 행정 높이는 현재 온도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변한다. 여기서, 분사 시스템의 작동 하드웨어에 대한 전기적 요구 조건을 감소시키기 위해 특히 저온이 존재하는 경우 밸브 니들을 디스로틀링하는 정도가 감소되는 것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압전 액추에이터는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으로 작동되고 이는 원하는 상대적으로 작은 니들 행정을 초래한다. 이 감소된 니들 행정은 더 작은 최대 관통 흐름을 초래한다. 이러한 더 작은 최대 관통 흐름은 작동 지속 시간을 대응하여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보상된다. 상대적으로 저온이 존재하는 경우, 종래 기술과 관련하여 변경된 이러한 접근법은 전체적으로 연소 공정 및 연료 분사 시스템에 매우 작은 영향만을 미친다.
이와 달리, 고온이 존재하는 경우, 특히 분사 시스템의 정상 동작 온도가 존재하는 경우, 밸브 니들을 완전히 디스로틀링하는 것을 가능한 한 달성하기 위해 최대 니들 행정이 구현되는 것으로 제공된다.
도 4는 밸브 니들의 폐쇄 단계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상기 다이어그램은 니들 행정의 프로파일(k1), 제어 피스톤의 행정의 프로파일(k2), 압전 힘의 프로파일(k3), 커패시턴스의 프로파일(k4), 전류의 프로파일(k5), 전압의 프로파일(k6), 및 압전 액추에이터의 행정의 프로파일(k7)을 나타낸다. 특히, 도 4로부터, 니들의 행정은 에너지와 상관성이 있고 또한 니들의 행정은 폐쇄 시간과 상관성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의해, 더 작은 니들 행정은 또한 더 적은 에너지를 수반하는 것이 보장된다. 폐쇄 시간이 검출될 수 있기 때문에, 검출된 폐쇄 시간에 기초하여 니들 행정이 모니터링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보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에는, 설정점 니들 행정이 현재 온도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변하는 것에 의해 연료 분사 시스템의 작동 하드웨어에 대한 요구 조건이 감소되고, 특히 저온이 존재하는 경우 압전 액추에이터의 최대 작동 전압을 감소시키기 위해 설정점 니들 행정이 감소되는 것으로 제공된다.

Claims (6)

  1. 내연 엔진의 연료 분사 시스템의, 압전 액추에이터 및 노즐 니들을 갖는 분사 밸브를 작동시키는 방법으로서,
    제어 유닛은, 연속적인 분사 사이클에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설정점 행정 높이(setpoint stroke height)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실제 행정 높이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온도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커패시턴스의 온도 의존성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상기 설정점 행정 높이를 변화시키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대적으로 고온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저온의 경우에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설정점 행정 높이를 더 작게 미리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밸브를 작동시키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 엔진의 정상 동작 온도의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노즐 니들을 완전히 디스로틀링(dethrottling)하는 것이 달성되도록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상기 설정점 행정 높이를 미리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밸브를 작동시키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 엔진의 정상 동작 온도 아래의 온도의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노즐 니들을 부분적으로 디스로틀링하는 것이 달성되도록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상기 설정점 행정 높이를 미리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밸브를 작동시키는 방법.
  5.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대적으로 고온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저온의 경우에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작동 지속 시간을 더 길게 미리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밸브를 작동시키는 방법.
  6. 내연 엔진의 연료 분사 시스템의, 압전 액추에이터 및 노즐 니들을 갖는 분사 밸브를 작동시키는 장치로서,
    연속적인 분사 사이클에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설정점 행정 높이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실제 행정 높이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17)은 온도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온도 의존성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상기 설정점 행정 높이를 변경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대적으로 고온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저온의 경우에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설정점 행정 높이를 더 작게 미리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밸브를 작동시키는 장치.
KR1020177036818A 2015-07-02 2016-06-15 내연 엔진의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 밸브의 압전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1020013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212378.2 2015-07-02
DE102015212378.2A DE102015212378B4 (de) 2015-07-02 2015-07-02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ines Piezoaktors eines Einspritzventils eines Kraftstoffeinspritzsystems einer Brennkraftmaschine
PCT/EP2016/063791 WO2017001198A1 (de) 2015-07-02 2016-06-15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ines piezoaktors eines einspritzventils eines kraftstoffeinspritzsystems einer brennkraft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622A KR20180003622A (ko) 2018-01-09
KR102001333B1 true KR102001333B1 (ko) 2019-07-17

Family

ID=56148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6818A KR102001333B1 (ko) 2015-07-02 2016-06-15 내연 엔진의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 밸브의 압전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19583B2 (ko)
KR (1) KR102001333B1 (ko)
CN (1) CN107709741B (ko)
DE (1) DE102015212378B4 (ko)
WO (1) WO2017001198A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7395A (ja) * 2000-04-01 2001-11-16 Robert Bosch Gmbh 圧電式のアクチュエータを用いて噴射弁を作動制御するための方法
WO2002050413A1 (de) 2000-12-18 2002-06-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Aktorsteuerung und zugehöriges verfahren
US20020117149A1 (en) * 2000-12-28 2002-08-29 Toshihiko Igashira Hydraulic control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tuator device
WO2003091559A1 (de) 2002-04-23 2003-11-06 Volkswagen Mechatronic Gmbh & Co.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nsteuerung des piezo-aktuators eines steuerventils einer pumpe-düse-einheit
DE10238241A1 (de) 2002-08-21 2004-03-0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329617A1 (de) 2003-06-24 2005-01-1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Ansteuern eines Piezoaktors einer Vorrichtung, insbesondere einer Kraftstoff-Einspritzvorrichtung einer Brennkraftmaschine
US20080017173A1 (en) 2006-07-21 2008-01-24 Denso Corporation Fuel injection control system
DE102007059115A1 (de) 2007-12-07 2009-06-10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piezoelektrischen Aktors
DE102009003176A1 (de) 2009-05-18 2010-11-2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Steuergerät zum Betreiben eines piezoelektrischen Aktor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6390B1 (en) * 1999-08-20 2004-08-17 Robert Bosch Gmbh Valve for controlling fluids
DE10318647B4 (de) 2003-04-24 2005-04-28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stellen einer Einspritzeitdauer von Kraftstoff durch ein Einspritzventil
DE102004028612B4 (de) * 2004-06-12 2017-03-0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sowie Computerprogramm, Steuer- und/oder Regeleinrichtung, sowie Brennkraftmaschine
JP2007192227A (ja) * 2006-01-20 2007-08-02 Delphi Technologies Inc 圧電アクチュエータの改善
JP4535032B2 (ja) * 2006-07-04 2010-09-01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噴射制御装置
EP2037109B1 (en) * 2007-09-14 2010-06-16 Delphi Technologies Holding S.à.r.l. Injection control system
DE102008029799A1 (de) * 2008-06-24 2009-12-3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Ansteuerverfahren für Einspritzinjektoren bei direkteinspritzenden Brennkraftmaschinen
DE102011075732B4 (de) 2011-05-12 2021-02-11 Vitesco Technologies GmbH Regelverfahren für ein Einspritzventil und Einspritzsystem
DE102011079468A1 (de) * 2011-07-20 2013-01-2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Piezoinjektor
DE102012204278A1 (de) * 2012-03-19 2013-09-19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raftstoffeinspritzsystems und Kraftstoffeinspritzsystem mit Einspritzventil mit Regelung der Bewegung des Verschlusselementes
DE102012212195A1 (de) * 2012-07-12 2014-01-1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12222097A1 (de) 2012-12-03 2014-06-0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raftstoffeinspritzventils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JP5462387B1 (ja) * 2013-04-18 2014-04-02 三菱電機株式会社 車載エンジン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7395A (ja) * 2000-04-01 2001-11-16 Robert Bosch Gmbh 圧電式のアクチュエータを用いて噴射弁を作動制御するための方法
WO2002050413A1 (de) 2000-12-18 2002-06-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Aktorsteuerung und zugehöriges verfahren
US20020117149A1 (en) * 2000-12-28 2002-08-29 Toshihiko Igashira Hydraulic control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tuator device
WO2003091559A1 (de) 2002-04-23 2003-11-06 Volkswagen Mechatronic Gmbh & Co.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nsteuerung des piezo-aktuators eines steuerventils einer pumpe-düse-einheit
DE10238241A1 (de) 2002-08-21 2004-03-0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329617A1 (de) 2003-06-24 2005-01-1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Ansteuern eines Piezoaktors einer Vorrichtung, insbesondere einer Kraftstoff-Einspritzvorrichtung einer Brennkraftmaschine
US20080017173A1 (en) 2006-07-21 2008-01-24 Denso Corporation Fuel injection control system
DE102007059115A1 (de) 2007-12-07 2009-06-10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piezoelektrischen Aktors
DE102009003176A1 (de) 2009-05-18 2010-11-2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Steuergerät zum Betreiben eines piezoelektrischen Ak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622A (ko) 2018-01-09
US20180187616A1 (en) 2018-07-05
WO2017001198A1 (de) 2017-01-05
DE102015212378B4 (de) 2021-08-05
DE102015212378A1 (de) 2017-01-05
CN107709741A (zh) 2018-02-16
CN107709741B (zh) 2020-11-10
US10619583B2 (en) 202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8947B1 (ko) 커먼레일 인젝터의 조절 방법
KR101554863B1 (ko) 분사 밸브, 연료 분사 시스템 및 내연기관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US8863727B2 (en) Piezoelectric fuel injector system, method for estimating timing characteristics of a fuel injection event
US9932947B2 (en) Actuator with residual magnetic hysteresis reset
EP1321660B1 (en) Measuring check motion through pressure sensing
CN103649519B (zh) 压电式喷油器
US20170179865A1 (en) Optimum current drive for actuator control
US72755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alv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ump-nozzle apparatus with the valve
KR20140017628A (ko) 직접 구동식 피에조 분사기의 노즐 니들에서의 힘 조건들의 결정 방법
US10253712B2 (en) Method for operating a piezo servo injector
US7353806B2 (en) Fuel injector with pressure balancing valve
US9856843B2 (en) Fluid injector
KR20070062417A (ko) 내연기관 엔진용 연료 주입 시스템 및 연료 주입을제어하기 위한 방법
US9316190B2 (en) High-pressure fuel injection valv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130105599A (ko) 내연 기관용 연료 분사 이온 시스템
US9945338B2 (en) Method for operating a fuel injection system with pressure reduction, and a fuel injection system comprising a fuel injection valve with a servo valve
KR20140017594A (ko) 직접 작동식 노즐 니들을 갖춘 피에조-분사기의 공회전 주행의 결정 방법
ITBO20100208A1 (it) Metodo di controllo di un iniettore elettromagnetico di carburante
KR101933702B1 (ko) 내연 기관용 분사 밸브의 로크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JP6203159B2 (ja) 燃料噴射装置
KR102001333B1 (ko) 내연 엔진의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 밸브의 압전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20170087833A (ko) 솔레노이드 밸브 인젝터의 제어 방법
JP2010190178A (ja) 燃料噴射装置
US9559286B2 (en) Positioning device
US9429119B2 (en) Injection valve with direct and servo dr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