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249B1 - 교류손실 저감형 초전도 모듈 - Google Patents

교류손실 저감형 초전도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249B1
KR102001249B1 KR1020130035846A KR20130035846A KR102001249B1 KR 102001249 B1 KR102001249 B1 KR 102001249B1 KR 1020130035846 A KR1020130035846 A KR 1020130035846A KR 20130035846 A KR20130035846 A KR 20130035846A KR 102001249 B1 KR102001249 B1 KR 102001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erconducting
plate
superconducting wire
wires
superconducting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5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0131A (ko
Inventor
임성우
박병철
정연태
김양주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30035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249B1/ko
Publication of KR20140120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2/00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60Superconducting electric elements or equipment; Power systems integrating superconducting elements or equipment

Abstract

본 발명은 교류손실 저감형 초전도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레이트의 상면에 동심원을 이루며 배열된 복수의 초전도선재가 구비되며, 복수의 초전도선재 중 서로 이웃하는 초전도선재에 흐르는 전류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흐르게 하여 자계의 영향으로 인한 교류손실을 저감할 수 있는 교류손실 저감형 초전도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상기 관통홀의 외주연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동심원을 형성하도록 배열되는 초전도선재 및 상기 복수의 동심원을 형성하는 초전도선재 중 서로 이웃하는 초전도선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접속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초전도선재는 상기 접속단자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동심원을 형성하는 초전도선재 중 최외각에 위치하는 초전도선재의 일단에 구비되는 입력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전류가 흐르는 방향이 서로 이웃하는 초전도선재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흘러서 상기 복수의 동심원을 형성하는 초전도 선재 중 최내각에 위치하는 초전도선재의 타단에 구비되는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Description

교류손실 저감형 초전도 모듈{SUPERCONDUCTING MODULE FOR REDUCE OF ALTERNATING CURRENT LOSS}
본 발명은 교류손실 저감형 초전도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레이트의 상면에 동심원을 이루며 배열된 복수의 초전도선재가 구비되며, 복수의 초전도선재 중 서로 이웃하는 초전도선재에 흐르는 전류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흐르게 하여 자계의 영향으로 인한 교류손실을 저감할 수 있는 교류손실 저감형 초전도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계통의 어느 한 곳에 단락과 같은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사고지점에서 인접한 차단기가 동작하여 상위 측의 건전한 전력선과 단락이 발생한 선로를 차단함으로써 과전류 누설로 인한 전력 손실을 줄이고 주변 전력용 기기를 보호하며, 전체 계통시스템의 다운현상을 방지하여 다른 건전한 선로에 전력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초전도체를 이용하여 전류제한기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차단기시스템의 차단속도와 전류제한 능력은 전력계통 시스템의 안정성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종래에 있어서는 전력계통을 분리하여 운전하거나, GTO(gate turn-off thyristor) 등의 전력용 반도체 스위칭 소자를 사용하여 차단속도를 증가시킨 차단기와 일반적인 인피던스 회로로 구성하여 과전류 누설을 억제하는 전류제한소자와, 과전류를 검출하여 반도체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는 전류 검출부로 구성되는 차단기 시스템을 설치하여 차단속도의 성능향상 및 계통의 안정성을 도모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차단기 시스템은 전류 검출부에서 과전류를 검출하고 이에 따라 차단기 스위칭소자를 제어한 후 차단기와 병렬로 연결된 전류제한소자를 통해 전류를 흐르게 하여 누설 과전류를 억제하게 되는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약 5 내지 6 사이클의 시간이 경과되기 때문에 그사이 과도한 전류가 전력 계통을 흐르기 때문에 전력계통에 다운을 유발하기도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시스템의 안정을 위해 신속하게 과전류를 억제할 수 있는 전류제한기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로, 국내공개특허 제2012-0088327호(초전도 케이블, 2012.08.08. 공개)가 있다.
본 발명은 플레이트의 상면에 동심원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초전도선재를 배열하되, 서로 이웃하는 초전도선재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하여 상기 초전도선재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발생하는 자계의 영향을 감소하여 교류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교류손실 저감형 초전도 모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플레이트 상면에 동심원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초전도선재가 모두 일체로 연결되지 않고 각각의 초전도선재가 개별적으로 구성되어 접속단자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초전도 모듈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교류손실 저감형 초전도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플레이트 상면에 동심원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초전도선재가 서로 절연을 유지하고 있어 각각의 초전도선재 사이에서 최소 전압을 유지할 수 있는 교류손실 저감형 초전도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복수의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상기 관통홀의 외주연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동심원을 형성하도록 배열되는 초전도선재; 및 상기 복수의 동심원을 형성하는 초전도선재 중 서로 이웃하는 초전도선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접속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초전도선재는 상기 접속단자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동심원을 형성하는 초전도선재 중 최외각에 위치하는 초전도선재의 말단에 구비되는 입력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전류가 흐르는 방향이, 서로 이웃하는 초전도선재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흘러서 상기 복수의 동심원을 형성하는 초전도선재 중 최내각에 위치하는 초전도선재의 말단에 구비되는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외주연에 장착되어 복수의 플레이트를 서로 이격된 상태로 적층하여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지지바;가 더 구비되며, 적층되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중 서로 이웃하는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각 층의 초전도선재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초전도선재는, 상기 플레이트의 외주연으로부터 관통홀의 외주연까지 n 개의 초전도선재로 이루어지고, 그 중 상기 플레이트의 외주연에 근접한 초전도선재의 일단에 상기 입력단자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n 번째와 n+1 번째의 초전도선재 타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n+1 번째와 n+2 번째의 초전도선재 일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초전도선재는, 상기 플레이트의 외주연으로부터 관통홀의 외주연까지 n 개의 초전도선재로 이루어지고, 그 중 상기 플레이트의 외주연에 근접한 초전도선재의 타단에 상기 입력단자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n 번째와 n+1 번째의 초전도선재 일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n+1 번째와 n+2 번째의 초전도선재 타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복수의 동심원을 형성하는 각각의 초전도선재의 외면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카트리지가 더 구비된다.
동심원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초전도선재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고, 일단과 타단은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되고 중앙부는 상기 초전도선재의 상부에 밀착되게 구비되는 고정바가 더 구비된다.
삭제
상기 수직지지바는, 상기 수직지지바의 일면에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정홈과, 상기 고정홈이 형성된 반대면에서 상기 고정홈으로 이어지게 형성되는 체결홀 및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측부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적층되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중 상부층에 위치하는 플레이트에 배열된 초전도선재의 출력단자는 가장 근접한 하부층의 플레이트에 배열된 초전도선재의 입력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여,
본 발명은, 플레이트의 상면에 동심원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초전도선재를 배열하되, 서로 이웃하는 초전도선재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하여 상기 초전도선재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발생하는 자계의 영향을 감소시킴으로서 교류손실을 감소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 상면에 동심원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초전도선재가 모두 일체로 연결되지 않고 각각의 초전도선재가 개별적으로 구성되어 접속단자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초전도 모듈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 상면에 동심원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초전도선재가 서로 절연을 유지하고 있어 각각의 초전도선재 사이에서 최소 전압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류손실 저감형 초전도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단일한 초전도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류손실 저감형 초전도 모듈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따른 교류손실 저감형 초전도 모듈에서 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류손실 저감형 초전도 모듈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과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류손실 저감형 초전도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단일한 초전도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류손실 저감형 초전도 모듈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류손실 저감형 초전도 모듈(10)을 설명하면, 중앙에 관통홀(110)이 형성된 플레이트(100)와, 상기 플레이트(100)의 상면에서 상기 관통홀(110)의 외주연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도 4의 b에 해당)된 복수의 동심원을 형성하도록 배열되는 초전도선재(200) 및 상기 복수의 동심원을 형성하는 초전도선재(200) 중 서로 이웃하는 초전도선재(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접속단자(300)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초전도선재(200)는 상기 접속단자(30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동심원을 형성하는 초전도선재(200) 중 최외각에 위치하는 초전도선재(200)의 말단에 구비되는 입력단자(400)를 통해 인가되는 전류가 흐르는 방향이, 서로 이웃하는 초전도선재(20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흘러서 상기 복수의 동심원을 형성하는 초전도선재(200) 중 최내각에 위치하는 초전도선재(200)의 말단에 구비되는 출력단자(50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 플레이트(100)는 상면에 구비되는 초전도선재(200)의 절연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써, 중앙에는 상기 관통홀(110)을 형성하여 상기 초전도선재(200)의 영저항 특성을 유지하기 위한 액체질소의 순환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플레이트(10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플레이트(100)를 도넛 형상으로 제작하여 상기 초전도선재(200)의 배열 및 고정을 용이하게 하였다.
상기 초전도선재(200)는 특정 온도에서 저항이 발생하지 않는 초전도체로 제작되는 통전선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플레이트(100) 상면에 동심원으로 배열되는 초전도선재(200) 전체가 일체로 이루어지지 않고, 각각의 동심원을 형성하는 단일한 초전도선재(200)를 복수 개를 배열함으로서 형성된다.
상기 접속단자(300)는 전류의 통전이 가능한 것으로, 각각의 단일한 초전도선재(200)를 동심원을 이루도록 복수 개를 배열한 후 서로 이웃하는 초전도선재(20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교류손실 저감형 초전도 모듈에서 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열된 복수의 초전도선재(200)가 서로 이웃하는 초전도선재(20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도 4의 a 방향과 a'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바, 이를 위하여 상기 초전도선재(200)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초전도선재(200)는 상기 플레이트(100)의 외주연으로부터 관통홀(110)의 외주연까지 n 개의 초전도선재(200)로 이루어지고, 그 중 상기 플레이트(100)의 외주연에 근접한 최외각의 초전도선재(200)의 일단에 상기 입력단자(40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n 번째와 n+1 번째의 초전도선재(200) 타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n+1 번째와 n+2 번째의 초전도선재(200) 일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총 5개의 단일한 초전도선재(200)를 상기 관통홀(110) 주위에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열하고, 플레이트(100)의 외주연에 근접한 최외각의 초전도선재(200)를 1번 선재로 하고, 상기 관통홀(110)의 외주연 방향으로 갈수록 1 씩 증가하여 관통홀(110)의 외주연에 근접한 초전도선재(200)를 5번 선재라고 한다.
그러면, 1번 선재의 일단에 입력단자(400)가 구비되어 1번 선재의 일단을 시작으로 전류가 입력되어 a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그리고, 1번 선재와 1번 선재와 이웃하고 있는 2번 선재의 타단이 상기 접속단자(30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계속하여, 2번 선재와 3번 선재의 일단, 3번 선재와 4번 선재의 타단, 4번 선재와 5번 선재의 일단이 각각 접속단자(30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5번 선재의 타단에는 출력단자(500)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기접속에 의하여, 1번 선재 내지 5번 선재에 전류가 인가되면 홀수 번 선재와 짝수 번 선재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도 4의 a 방향과 a' 방향)이 됨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초전도선재(200)에서 전류가 흐르는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이 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상기 플레이트(100)의 외주연에 근접한 초전도선재(200)의 타단에 상기 입력단자(40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n 번째와 n+1 번째의 초전도선재(200) 일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n+1 번째와 n+2 번째의 초전도선재(200) 타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단일한 초전도선재(200) 복수 개를 동심원을 이루면서 서로 이격되게 배열하고, 각각의 초전도선재(200)에서 전류가 반대방향으로 흐름으로써 상기 초전도선재(200)에 전류 인가시 발생하는 자기장이 서로 상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초전도선재(200) 중 서로 이웃하는 초전도선재(200) 사이의 전압차가 감소하여 퀀치(quench) 발생시 복수의 초전도선재(200) 사이의 절연이 쉽게 파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초전도 모듈에 대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초전도 모듈(10)은 상기 복수의 초전도선재(200) 사이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서로 상쇄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초전도선재(200)에 교류전류가 통전될 때 자기장에 의한 교류 통전 손실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교류손실 저감형 초전도 모듈(10)에는, 상기 플레이트(100)의 상면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복수의 동심원을 형성하는 각각의 초전도선재(200)의 외면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카트리지(12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카트리지(120)는 복수의 초전도선재(200)에 대하여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구비되며, 복수의 초전도선재(200)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생긴 경우에는 이상이 발생한 초전도선재(200)를 커버하고 있는 카트리지(120)를 탈거하여 신품의 초전도선재(200)를 교환설치하여 간편하게 보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110)의 외주연에서 상기 플레이트(100)의 외주연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며, 그 양단이 상기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고정되고 중앙부는 상기 복수의 초전도선재(200)의 상부에 밀착되게 구비되는 고정바(1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는, 상기 고정바(130)는 복수의 초전도선재(200) 외면을 커버하고 있는 각각의 카트리지(120)의 상부에 밀착되어 상기 플레이트(100)의 상면에서 초전도선재(20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류손실 저감형 초전도 모듈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플레이트(100)와 초전도선재(200) 및 접속단자(300)를 포함하고 있는 초전도 모듈(10)을 여러 개 적층하여 각각의 초전도 모듈(10)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하나의 초전도 한류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플레이트(100)의 외주연에 장착되어 복수의 플레이트(100)를 서로 이격된 상태로 적층하여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지지바(600)가 구비된다.
상기 수직지지바(600)의 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고정홈(61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610)이 형성된 반대면에서 상기 고정홈(610)으로 이어지게 체결홀(620)이 형성되며, 체결부재(630)가 상기 체결홀(620)에 삽입되어 상기 플레이트(100)의 측부를 체결하게 된다.
상기 고정홈(610)의 간격은 적층되는 상기 플레이트(100)의 간격을 결정하게 되는데, 상기 플레이트(100)의 상면에는 상기 초전도선재(200)와 초전도선재(200)의 상면을 커버하는 카트리지(120) 및 복수의 초전도선재(200)를 고정하는 고정바(130)를 포함한 높이를 고려하여 복수의 초전도 모듈(10)이 서로 간에 충분한 이격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초전도 한류기의 가동 및 설치 중 서로 이격되게 적층되는 초전도 모듈(1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플레이트(100)의 외주면에 적어도 3개 이상의 수직지지바(600)를 배치하여 각각의 초전도 모듈(10)을 견고히 고정하였다.
이처럼, 여러 층으로 적층된 복수의 초전도 모듈(10)로 구성된 초전도 한류기는 각 층의 초전도 모듈(10)이 개별적으로 한류기 역할을 수행하거나, 또는 적층되는 상기 플레이트(100) 중 상부층에 위치하는 플레이트(100)에 배열된 초전도선재(200)의 출력단자(500)를 가장 근접한 하부층의 플레이트(100)에 배열된 초전도선재(200)의 입력단자(4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법으로 적층된 복수의 초전도 모듈(10)을 직렬로 연결하여 단일한 한류기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층된 복수의 초전도 모듈(10)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초전도 모듈(10) 사이에서 각각에 구비된 초전도선재(20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하여 동일한 초전도 모듈(10) 내에서 뿐만 아니라, 적층된 초전도 모듈(10) 사이에도 전류의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류손실 저감형 초전도 모듈(10)을 이용함으로써, 복수의 초전도선재(200) 사이에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발생하는 교류 손실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복수의 초전도선재(200)가 각각의 단일한 통전선으로 이루어져 있어 초전도 모듈(10)의 보수가 용이한 효과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10 : 초전도 모듈
100 : 플레이트
110 : 관통홀
120 : 카트리지
130 : 고정바
200 : 초전도선재
300 : 접속단자
400 : 입력단자
500 : 출력단자
600 : 수직지지바
610 : 고정홈
620 : 체결홀
630 : 체결부재

Claims (9)

  1.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복수의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상기 관통홀의 외주연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동심원을 형성하도록 배열되는 초전도선재; 및
    상기 복수의 동심원을 형성하는 초전도선재 중 서로 이웃하는 초전도선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접속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초전도선재는 상기 접속단자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동심원을 형성하는 초전도선재 중 최외각에 위치하는 초전도선재의 말단에 구비되는 입력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전류가 흐르는 방향이, 서로 이웃하는 초전도선재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흘러서 상기 복수의 동심원을 형성하는 초전도선재 중 최내각에 위치하는 초전도선재의 말단에 구비되는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외주연에 장착되어 복수의 플레이트를 서로 이격된 상태로 적층하여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지지바;가 더 구비되며,
    적층되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중 서로 이웃하는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각 층의 초전도선재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감형 초전도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초전도선재는, 상기 플레이트의 외주연으로부터 관통홀의 외주연까지 n 개의 초전도선재로 이루어지고, 그 중 상기 플레이트의 외주연에 근접한 초전도선재의 일단에 상기 입력단자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n 번째와 n+1 번째의 초전도선재 타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n+1 번째와 n+2 번째의 초전도선재 일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손실 저감형 초전도 모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초전도선재는, 상기 플레이트의 외주연으로부터 관통홀의 외주연까지 n 개의 초전도선재로 이루어지고, 그 중 상기 플레이트의 외주연에 근접한 초전도선재의 타단에 상기 입력단자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n 번째와 n+1 번째의 초전도선재 일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n+1 번째와 n+2 번째의 초전도선재 타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손실 저감형 초전도 모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복수의 동심원을 형성하는 각각의 초전도선재의 외면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카트리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손실 저감형 초전도 모듈.
  5. 청구항 1에 있어서,
    동심원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초전도선재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고, 일단과 타단은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되고 중앙부는 상기 초전도선재의 상부에 밀착되게 구비되는 고정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손실 저감형 초전도 모듈.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바는,
    상기 수직지지바의 일면에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정홈;
    상기 고정홈이 형성된 반대면에서 상기 고정홈으로 이어지게 형성되는 체결홀; 및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측부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손실 저감형 초전도 모듈.
  8.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층되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중 상부층에 위치하는 플레이트에 배열된 초전도선재의 출력단자는 가장 근접한 하부층의 플레이트에 배열된 초전도선재의 입력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감형 초전도 모듈.
  9. 삭제
KR1020130035846A 2013-04-02 2013-04-02 교류손실 저감형 초전도 모듈 KR102001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846A KR102001249B1 (ko) 2013-04-02 2013-04-02 교류손실 저감형 초전도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846A KR102001249B1 (ko) 2013-04-02 2013-04-02 교류손실 저감형 초전도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131A KR20140120131A (ko) 2014-10-13
KR102001249B1 true KR102001249B1 (ko) 2019-07-18

Family

ID=51992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5846A KR102001249B1 (ko) 2013-04-02 2013-04-02 교류손실 저감형 초전도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2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283A (ko) * 2020-07-17 2022-01-25 한국전력공사 초전도 선재의 권선용 보빈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5648A (ja) * 2001-02-01 2002-08-14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および該プロテクタを用いたワイヤハーネスの取付方法および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0305A (ja) * 1987-12-08 1989-06-13 Kaoru Umeya 超伝導磁石用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52791B1 (ko) * 2000-03-03 2002-09-16 한국전력공사 무 유도성 초전도 사고 전류제한기
US8809237B2 (en) * 2008-02-19 2014-08-19 Superpower, Inc. Method of forming an HTS art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5648A (ja) * 2001-02-01 2002-08-14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および該プロテクタを用いたワイヤハーネスの取付方法および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131A (ko) 2014-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0752B1 (ko) 균일한 병렬 스위치 특성을 갖는 파워모듈용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파워모듈
TW201513515A (zh) 固態故障電流限制裝置、用於限制故障電流的方法和系統
US20120262884A1 (en) Power converter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a power converter arrangement
EP3068008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vdc power converters
CN102217013B (zh) 具有功率转换部件的环形电容器
KR102001249B1 (ko) 교류손실 저감형 초전도 모듈
KR102094223B1 (ko) 무효전력보상장치의 스위치어셈블리
US3460022A (en) Three-phase power pack for welding
KR102571959B1 (ko) 전력 공급 서비스 네트워크에 통합될 수 있는 전류 제한 장치
US20180175572A1 (en) Device for establishing a multi-phase electric connection and an arrangement comprising corresponding devices
KR101266629B1 (ko) 전력변환장치
US3289068A (en) Bus arrangement for semiconductor rectifiers
RU2733535C1 (ru) Инверт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2009095152A (ja) 電力変換装置
CN106711132B (zh) 功率半导体装置
EP3794913B1 (en) Shielding of high voltage equipment
KR101494599B1 (ko) 전철 급전용 단권 몰드변압기
JP6139023B2 (ja) 限流器の超電導限流素子および限流器の超電導限流素子を作製する方法
CN108962534B (zh) 一种一体化组合参数可调式超大功率换流装置
CN109417070B (zh) 具有半导体电路的电气设备
US11145634B2 (en) Power converter
US20140144671A1 (en) Multi-phase cable
JP2006331984A (ja) 放射状集合導体
KR20110127941A (ko) 대전류 통전용 도체 단말부 및 대전류 통전장치
JP3559550B2 (ja) 超電導限流モジュールおよび超電導限流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