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629B1 -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 - Google Patents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629B1
KR102000629B1 KR1020170147176A KR20170147176A KR102000629B1 KR 102000629 B1 KR102000629 B1 KR 102000629B1 KR 1020170147176 A KR1020170147176 A KR 1020170147176A KR 20170147176 A KR20170147176 A KR 20170147176A KR 102000629 B1 KR102000629 B1 KR 102000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opening
closing
valve
blowby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1468A (ko
Inventor
하동현
임종대
강성민
오병옥
오광호
이현석
Original Assignee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7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629B1/ko
Priority to CN201820013750.6U priority patent/CN207813688U/zh
Publication of KR20190051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72Special valve constructions adapted to filters or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8Separating lubricant from air or fuel-air mixture before entry into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F01M2013/0438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with a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는, 내연기관으로부터 발생된 블로바이 가스의 유로 상에 마련되어, 내부에 블로바이 가스가 유입되는 밸브 유로가 마련되는 몸체부, 밸브 유로에 마련되어 블로바이 가스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및, 밸브 유로내의 블로바이 가스의 차압에 연동하여 밸브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블로바이 가스에 대한 오일 입자의 필터링이 가능함과 아울러, 블로바이 가스로 인한 차압 발생시에도 블로바이 가스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VENTILATION PRESSURE REGURATING VALVE DEVIC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A FILTER FUNCTION}
본 발명은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연기관의 행정에 의해 발생되는 블로바이 가스 내의 오일 입자를 필터를 이용해 분리시키고, 필터가 오일 입자 또는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등의 이유로 차압이 발생하여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내부 유동 흐름이 막히는 경우에도 원활히 블로바이 가스를 벤틸레이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텔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경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면서, 자동차업계에서도 블로바이(Blow-by) 가스 내의 오일 입자를 분리시키고 미연소 연료를 연소실로 재순환시키는 방법을 통한 배기가스 저감을 실현하고 있다. 이때, 블로바이 가스에 포함된 오일 및 증기 상태의 오일입자가 여과되지 않고 연소실로 유입되면, 연소 효율 저하 및 불순물 발생의 문제가 야기된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블로바이 가스가 연소실로 유입되기 이전에, 오일입자를 여과시키기 위한 세퍼레이터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주로 사용되는 내연기관의 세퍼레이터 기술은 블로바이 가스와 연소실 사이의 유로를 복잡하게 형성하여 오일 입자를 분리하는 라비린스(Labyrinth) 타입, 멀티홀이라는 다수의 오리피스에서 블로바이 가스를 가속시켜 벽에 충돌시킴으로써 오일 입자를 분리하는 멀티 임팩터 타입 및, 필터링 매체를 이용해 오일 입자를 필터링하는 필터 타입 등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세퍼레이터 기술들 중 필터 타입은 타 세퍼레이터 방법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오일 입자의 분리가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근래에는, 블로바이 가스의 오일 입자 분리 효율을 향상시키면서도 블로바이 가스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는 세퍼레이터 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등록특허 제10-1544727호(등록일: 2015년 08월 10일) 국내등록특허 제10-1317516호(등록일: 2013년 10월 04일)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내부에서 블로바이 가스로 인한 차압이 발생되어도 블로바이 가스를 벤틸레이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어 벤틸레이션 내부 유동 흐름을 저해하지 않는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로바이 가스가 통과 가능하여 오일 입자를 필터링할 수 있는 필터부를 탄성 지지하여 차압 발생시 블로바이 가스 배출을 위해 내부를 개방시켜 압력을 해소할 수 있는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는, 내연기관으로부터 발생된 블로바이 가스의 유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블로바이 가스가 유입되는 밸브 유로가 마련되는 몸체부, 상기 밸브 유로에 상기 블로바이 가스가 통과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블로바이 가스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밸브 유로를 커버 가능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밸브 유로내의 상기 블로바이 가스의 차압에 연동하여 상기 밸브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필터부는 상기 밸브 유로의 내주면에 밀착 설치되어 상기 밸브 유로를 커버하며, 상기 블로바이 가스가 통과 가능한 섬유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필터부는 상기 밸브 유로를 커버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필터부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밸브 유로내의 차압에 의해 상기 블로바이 가스의 배출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필터부가 상기 밸브 유로를 벗어나 상기 밸브 유로를 개방시키며, 상기 밸브 유로내의 차압이 해제되면 초기 위치로 원복되어 상기 밸브 유로를 폐쇄시키는 판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개폐부는 유연한 판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필터부와 중첩되는 영역에는, 상기 필터부가 상기 밸브 유로를 커버하는 경우에, 상기 블로바이 가스의 통과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는, 상기 필터부가 상기 밸브 유로를 벗어나 상기 밸브 유로가 개방된 경우에 상기 블로바이 가스의 통과를 가이드하기 위한 보조 가이드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개폐부는 상기 필터부를 지지하는 필터 지지부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테두리부와, 상기 필터 지지부와 상기 테두리부를 연결하고 차압 발생시에 탄성 변형되는 탄성 변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지지부와, 상기 테두리부와, 상기 탄성 변형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필터 지지부는 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대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 변형부는 상기 필터 지지부와 상기 테두리부 사이에서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필터부는 상기 블로바이 가스가 통과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섬유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밸브 유로와 마주하는 상기 개폐부의 일면에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홀에는 상기 필터부의 면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어 상기 필터부를 면방향으로 간섭하는 간섭날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필터부는, 상기 개폐부의 상기 밸브 유로와 마주하는 일면에 마련되며 적어도 일부가 섬유재질로 형성되는 제1필터 및 상기 개폐부의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마련되며 적어도 일부가 섬유재질로 형성되는 제2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필터부는 상기 개폐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필터홀을 포함하여 상기 개폐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몸체부는 상기 필터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개폐부와 결합을 위한 복수의 설치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밸브 유로가 관통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설치돌기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복수의 결합홈을 구비하여 상기 몸체부에 후크 결합되거나, 상기 설치돌기가 상기 개폐부의 외주를 지지한 상태로 가열 및 가압되어 상기 개폐부를 상기 몸체부에 접합시킬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필터부는, 적어도 일부가 섬유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의 상기 밸브 유로와 마주하는 일면 및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필터 및 상기 필터와 중첩된 상기 개폐부 영역에 복수개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필터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몸체부는 상기 개폐부의 외주를 지지하도록 돌출된 설치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설치돌기가 가열 및 가압되어 상기 몸체부에 대해 상기 개폐부의 외주가 접합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개폐부의 외주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몸체부에 체결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개폐부는 상기 몸체부에 대해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필터부는 섬유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에는 상기 필터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톱니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걸림돌기가 마련되어, 상기 필터부가 상기 개폐부에 대해 고정 가능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개폐부에 필터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는 필터 체결부재가 관통되어 상기 필터 체결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는, 내연기관으로부터 발생된 블로바이 가스의 유로 상에 마련되어, 내부에 상기 블로바이 가스의 유로와 연통하여 상기 블로바이 가스가 유입되는 밸브 유로가 마련되는 몸체부, 상기 밸브 유로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블로바이 가스가 통과하여 필터링되는 필터부 및, 상기 블로바이 가스의 차압에 연동하여, 상기 밸브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필터부가 움직임 가능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유연한 재질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개폐부는 상기 필터부를 지지한 상태로 탄성 변형 가능한 플레이트 형상의 판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와 함께 상기 밸브 유로를 커버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개폐부의 상기 필터부와 중첩되는 영역에는, 상기 필터부가 상기 밸브 유로를 커버하는 경우에, 상기 블로바이 가스의 통과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의 상기 필터부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는, 상기 필터부가 상기 밸브 유로를 벗어나 상기 밸브 유로가 개방된 경우에 상기 블로바이 가스의 통과를 가이드하기 위한 보조 가이드 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개폐부는, 상기 필터부를 지지하는 필터 지지부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테두리부와, 상기 필터 지지부와 상기 테두리부를 연결하고, 차압 발생시에 탄성 변형되는 탄성 변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지지부와, 상기 테두리부와, 상기 탄성 변형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필터 지지부는 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대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 변형부는 상기 필터 지지부와 상기 테두리부 사이에서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필터부는 상기 블로바이 가스가 통과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섬유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밸브 유로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밸브 유로와 마주하는 상기 개폐부의 일면 및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필터부는 상기 블로바이 가스가 통과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섬유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밸브 유로와 마주하는 상기 개폐부의 일면에 마련되며, 상기 개폐부에는 상기 블로바이 가스의 통과를 가이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홀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홀에는 상기 필터부의 면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어 상기 필터부를 면방향으로 간섭하는 간섭날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필터부는 상기 개폐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필터홀을 포함하는 상기 개폐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몸체부는 상기 필터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개폐부와 결합을 위한 복수의 설치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밸브 유로가 관통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설치돌기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복수의 결합홈을 구비하여 상기 몸체부에 후크 결합되거나, 상기 설치돌기가 상기 개폐부의 외주를 지지한 상태로 가열 및 가압되어 상기 개폐부를 상기 몸체부에 접합시킬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몸체부는 상기 개폐부의 외주를 지지하도록 돌출된 설치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설치돌기가 가열 및 가압되어 상기 몸체부에 대해 상기 개폐부의 외주가 접합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개폐부는 상기 몸체부에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결합되거나 후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필터부는 섬유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에는 상기 필터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톱니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걸림돌기가 마련되어, 상기 필터부가 상기 개폐부에 대해 고정 가능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개폐부에 필터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는 필터 체결부재가 관통되어 상기 필터 체결홀에 결합 가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커버로부터 배출되는 블로바이 가스가 통과 가능한 필터부를 마련하여, 배출되는 블로바이 가스로부터 오일 입자의 분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블로바이 가스의 오일 입자를 필터링하는 필터부가 막히거나 여과성능이 저하됨에 따른 차압이 발생하더라도 벤틸레이션 커버의 밸브 유로를 개방함으로써, 벤틸레이션 내부 유동 흐름을 저해하지 않도록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셋째, 블로바이 가스를 섬유재질을 포함하는 필터부를 통해 오일 입자를 필터링함으로써, 극소 사이즈의 오일 입자까지도 블로바이 가스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필터링 품질이 우수하다.
넷째, 간단한 구조를 통해 필터링과 함께 차압 발생시의 벤틸레이션 내부 유동 흐름까지도 향상시킬 수 있어, 경제성 및 제조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의 필터부와 개폐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블로바이 가스의 차압 발생시 밸브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필터부와 개폐부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필터부와 개폐부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필터부와 개폐부의 다른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설치돌기에 의해 몸체부에 대해 개폐부가 결합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9는 개폐부가 몸체부에 대해 체결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개폐부가 몸체부에 대해 후크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의한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개폐부가 몸체부에 대해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의한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의 개폐부가 몸체부에 결합되는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5는 도 11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의한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의 개폐부가 몸체부에 결합되는 다른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의한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간섭날개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의한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1)는 몸체부(10), 필터부(20) 및 개폐부(30)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1)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으로부터 발생되는 블로바이 가스(Blow-by Gas)(G)의 유로가 형성되는 벤틸레이션 커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블로바이 가스(G)로부터 오일 입자를 분리하기 위한 세퍼레이터 장치(미도시)에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1)가 적용되는 내연기관의 구성은 공지의 기술로부터 이해 가능하므로, 자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즉, 본 발명의 요지인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1)의 구성에 대해서만 하기와 같이 기술한다.
몸체부(10)는 내연기관으로부터 발생된 블로바이 가스(G)의 유로 상에 마련되어, 내부에 블로바이 가스(G)의 유로와 연통하여 블로바이 가스(G)가 유입되는 밸브 유로(11)가 마련된다. 이러한 몸체부(10)는 블로바이 가스(G)로부터 오일 입자를 분리하기 위한 벤틸레이션 커버의 세퍼레이터에 장착되는 일종의 밸브 몸체이다.
필터부(20)는 몸체부(10)의 밸브 유로(11)에 마련되어, 밸브 유로(11)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며, 블로바이 가스(G)를 필터링한다. 필터부(20)는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밸브 유로(11)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고 밸브 유로(11)를 커버함으로써, 밸브 유로(11)를 기체 즉, 블로바이 가스(G)만 통과 가능하도록 폐쇄시킬 수 있다. 즉, 필터부(20)는 밸브 유로(11)의 내주면에 밀착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필터부(20)는 도 3과 같이 후술할 개폐부(30)에 의해 밸브 유로(11)로부터 벗어나, 밸브 유로(11)를 개방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필터부(20)는 밸브 유로(11)로 유입된 블로바이 가스(G)가 통과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섬유재질로 형성됨이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필터부(20)가 소정 두께를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부직포 섬유인 것으로 예시하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참고로, 몸체부(10)는 내부에 원기둥 형상의 부직포 섬유인 필터부(20)가 밀착되어 지지될 수 잇도록, 소정 두께를 가지는 일종의 캡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 및 예시한다.
개폐부(30)는 밸브 유로(11)내의 블로바이 가스(G)의 차압에 연동하여, 필터부(20)를 밸브 유로(11)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이러한 개폐부(30)는 밸브 유로(11)내의 차압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밸브 유로(11)를 개방시킨 후, 차압이 해제되면 초기 위치로 원복 가능하다. 즉, 개폐부(30)는 밸브 유로(11)내의 차압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부재로 구성된다.
참고로, 몸체부(10)를 통과하는 블로바이 가스(G)의 오일 입자는 필터부(20)에 의해 지속적으로 필터링됨에 따라, 섬유재질로 형성되는 필터부(20)가 오일 입자에 의해 막힘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부(20)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의 막힘 현상으로 인해 밸브 유로(11) 내부와 외부에 차압이 발생된다.
개폐부(30)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밸브 유로(11)와 마주하는 일면에 필터부(20)를 지지한 상태로 밸브 유로(11)를 커버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진다. 즉, 개폐부(30)는 몸체부(10)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 및 예시한다. 이러한 개폐부(30)에는 블로바이 가스(G)의 통과를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홀(31)이 관통 형성된다.
한편, 개폐부(30)는 탄성 변형이 용이하도록 유연한 얇은 플레이트로 형성됨이 좋다. 또한, 개폐부(30)는 탄성 변형이 용이하면서 쉽게 파손되지 않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개폐부(30)는 탄성 변형이 용이하도록 유연한 얇은 플레이트로 형성됨이 좋다. 아울러, 개폐부(30)에 관통 형성된 가이드홀(31)은 필터부(20)와 중첩되는 개폐부(30)의 대략 중심 영역상에 원기둥 형상의 필터부(20)의 테두리를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원형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그러나, 가이드홀(31)의 형상은 도시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블로바이 가스(G)의 가속을 유도할 수 있도록 나선형으로 복수개 관통 형성되는 것과 같은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아울러, 개폐부(30)는 필터부(20)를 주로 지지하는 필터 지지부(33), 밸브장치(1)에 의해 밸브 유로(11)의 개방 시에 주로 변형이 발생하는 탄성 변형부(34) 및 몸체부(10)와 결합되는 테두리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지지부(33)는 개폐부(30)의 내측 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블로바이 가스(G)의 흐름에 대하여 필터부(20)를 지지할 수 있으며, 가이드홀(3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필터 지지부(33)는 필터부(20)의 일면에 결합되어 필터부(20)와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탄성 변형부(34)는 필터 지지부(33)와 테두리부(35)의 사이에 형성되고, 필터 지지부(33)와 테두리부(35)를 서로 연결한다. 탄성 변형부(34)는 필터부(20)의 막힘 현상으로 인해 밸브 유로(11) 내부와 외부에 차압이 발생하였을 때, 밸브장치(1)가 개방되도록 밸브 유로(11) 외측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블로바이 가스(G)의 차압에 의해 밸브 유로(11)가 개방된 위치로 개폐부(30)가 탄성 변형되었을 경우, 도 3과 같이 블로바이 가스(G)가 통과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부(34)에는 보조 가이드홀(32)(도 4 참고)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보조 가이드홀(32)의 구체적인 형상은, 일례로 도 4 및 도 5와 같이 도시될 수 있다. 탄성 변형부(34)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테두리부(35)는 개폐부(30)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몸체부(10)에 결합될 수 있다. 테두리부(35)는 탄성 변형부(34)가 변형되는 경우에도 항상 몸체부(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테두리부(35)가 몸체부(10)에 결합되는 방식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개폐부(30)는 형성하는 필터 지지부(33), 탄성 변형부(34) 및 테두리부(35)가 일체로 형성되어 한 몸체를 형성할 수 있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1)의 동작을 도 1 내지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의 도시와 같이, 몸체부(10)의 내부에 마련된 밸브 유로(11)로 블로바이 가스(G)가 유입되면, 블로바이 가스(G)는 부직포로 형성된 필터부(2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블로바이 가스(G)의 오일 입자가 필터부(20)에 의해 필터링된다.
한편, 오일 입자에 의한 막힘과 같은 필터부(20)의 이상 요인으로 인해, 밸브 유로(11) 내에 블로바이 가스(G)의 차압이 작용하면 도 3과 같이, 블로바이 가스(G)의 차압으로 인해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개폐부(30)가 블로바이 가스(G)의 배출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그로 인해, 개폐부(30)의 일면에 마련되어 밸브 유로(11)를 폐쇄하는 필터부(20)도 함께 블로바이 가스(G)의 배출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밸브 유로(11)가 개방된다.
밸브 유로(11)가 개방됨으로써, 밸브 유로(11)내에 차압을 발생시키는 블로바이 가스(G)가 밸브 유로(11)로부터 배출되게 된다. 그로 인해, 벤틸레이션 내부의 블로바이 가스(G)의 유동 흐름이 막히지 않고 순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블로바이 가스(G)의 지속적인 필터링으로 인해 막힘이 발생된 필터부(20)는 작업자에 의해 교체되거나 필터 유로(11)의 개방에 의해 오일 입자가 필터부(20)로부터 분리 또는 기화됨으로써, 필터 성능이 회복될 수 있다. 이렇게 필터부(20)의 필터 성능이 회복되어 블로바이 가스(G)의 필터링이 가능해지면, 밸브 유로(11)내의 차압이 해제될 수 있게 된다. 밸브 유로(11) 내의 차압이 해제됨에 연동하여 개폐부(30)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원복된다.
그로 인해, 도 1과 같이, 개폐부(30)에 연동하는 필터부(20)는 밸브 유로(11)를 다시 폐쇄시켜 기체인 블로바이 가스(G)만을 밸브 유로(11)로부터 배출시키게 된다. 아울러, 필터부(20)를 통과하는 블로바이 가스(G)는 필터부(20)에 필터링된 상태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필터부(20)와 개폐부(30)의 변형예가 도시된다. 도 4의 도시와 같이, 필터부(20)는 부직포와 같은 섬유재질로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개폐부(30)에 필터 체결부재(21)에 의해 체결되어 결합된다. 이때, 필터 체결부재(21)는 필터부(20)를 관통하여, 필터부(20)와 마주하는 개폐부(30)의 필터 지지부(33)에 관통 형성된 필터 체결홀(30a)에 삽입된다. 일례로, 필터 체결부재(21)는 리벳, 볼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4의 도시와 같이, 개폐부(30)에는 필터부(20)를 통과하는 블로바이 가스(G)의 통과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홀(31)과 함께, 보조 가이드홀(32)이 탄성 변형부(34)에 복수개 관통 형성된다. 보조 가이드홀(32)은 도 3과 같이, 블로바이 가스(G)의 차압에 의해 밸브 유로(11)가 개방된 위치로 개폐부(30)가 탄성 변형되었을 경우, 블로바이 가스(G)가 통과될 수 있도록 개폐부(30)의 탄성 변형부(34)에 관통 형성된다. 이때, 보조 가이드홀(32)은 도 5의 도시와 같이, 필터부(20)와 중첩되지 않은 테두리 영역에 유선형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가이드홀(32)의 형상 및 개수는 도시된 예로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아울러, 개폐부(30)는 필터부(20)를 주로 지지하는 필터 지지부(33)와, 밸브 장치(1)의 개방 시에 주로 변형이 발생하는 탄성 변형부(34)와, 몸체부(10)와 결합되는 테두리부(35)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은 상술한 실시예와 같다.
필터 지지부(33)는 개폐부(30)의 중앙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블로바이 가스(G)의 흐름에 대하여 필터부(20)를 지지할 수 있다. 필터 지지부(33)는 필터부(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개폐부(30)의 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지지대는 필터부(20)와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다수의 지지대 사이의 각도는 같은 각도로 형성될 수 있고, 일례로 도 4에는 3개의 지지대가 12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도시된다. 지지대들의 사이에 블로바이 가스(G)의 통과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홀(31)이 마련된다. 또한, 필터 지지부(33)는 필터 체결부재(21) 등에 의하여 필터부(20)와 결합되어 필터부(20)와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탄성 변형부(34)는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필터 지지부(33)와 테두리부(35)의 사이에 형성되고, 필터 지지부(33)와 테두리부(35)를 서로 연결한다. 탄성 변형부(34)는 필터부(20)의 막힘 현상으로 인해 밸브 유로(11) 내부와 외부에 차압이 발생하였을 때 밸브 장치(1)가 개방되도록 밸브 유로(11) 외측으로 변형될 수 있다.
탄성 변형부(34)는 필터부(20)가 막히지 않는 경우에는 변형이 발생되지 않아서, 테두리부(35)와 같은 평면상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필터부(20)가 밸브 유로(1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필터부(20)가 막힌 경우에는 블로바이 가스(G)가 필터부(20)를 밸브 유로(11) 외부로 밀어내면서 밸브 유로(11) 외측으로 휘어지도록 변형될 수 있으며, 필터부(20)의 막힘 현상이 해소되는 경우에는 탄성에 의하여 변형 이전의 형상으로 복원되어 필터부(20)가 밸브 유로(11) 내부에 배치할 수 있다.
탄성 변형부(34)는 이와 같이 탄성 변형이 용이하게 발생할 수 있도록 필터 지지부(33)와 테두리부(35) 사이에서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변형부(34)에 상술한 보조 가이드홀(32)이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테두리부(35)는 개폐부(30)의 최외곽을 형성하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몸체부(10)에 결합될 수 있다. 개폐부(30)는 형성하는 필터 지지부(33)와, 탄성 변형부(34)와, 테두리부(35)는 일체로 형성되어 한 몸을 형성할 수 있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한편,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의한 필터부(20)와 개폐부(30)가 도시된다. 다른 변형예의 경우, 섬유재질로 형성된 필터부(20)가 개폐부(30)의 일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의 걸림돌기(36)에 걸림 고정된다. 이때, 복수의 걸림돌기(36)는 톱니 형상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개폐부(30)의 일면에 톱니와 같이 단부가 뾰족한 걸림돌기(36)가 돌출되고, 대략 가로 및 세로가 2mm의 크기를 가지며 대략 0.1mm의 두께를 가짐이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개폐부(30)에 대해 돌출된 걸림돌기(36)는 필터부(20)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필터부(20)와 개폐부(30) 사이를 결합시킨다.
도 7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몸체부(10)에 대한 개폐부(30)가 조립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우선,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설치돌기(12)를 이용한 몸체부(10)에 대한 개폐부(30)의 결합이 도시된다. 도 7과 같이, 몸체부(10)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개폐부(30)의 외주에 형성된 테두리부(35)를 지지하도록 돌출된 설치돌기(12)가 마련된다. 이때, 설치돌기(12)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개폐부(30)의 형상에 대응되어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가지고 몸체부(10)에 대해 돌출될 수 있다. 그러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설치돌기(12)가 개폐부(30)의 외주를 지지하도록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설치돌기(12)는 개폐부(30)의 외주 즉, 테두리부(35)를 지지한 상태로 도 8과 같이, 가열 및 가압된다. 그로 인해, 설치돌기(12)는 개폐부(30)의 외주를 감싸 지지한 형태로 용착됨으로써, 몸체부(10)에 대해 개폐부(30)의 외주가 접합되게 된다.
도 9의 도시에서는 개폐부(30)의 외주가 몸체부(10)에 대해 체결되어 조립되는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9와 같이, 개폐부(30)의 외주인 테두리부(35)를 관통하여 몸체부(10)에 대해 볼트와 같은 개폐 체결부재(37)가 결합된다. 이때, 개폐 체결부재(37)의 설치 개수는 도 9의 도시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플레이트 형상의 개폐부(30)의 외주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30)가 개폐 체결부재(37)를 통해 몸체부(10)로 결합됨에 있어서, 결합력을 고정시키기 위해 개폐 체결너트(38)가 개폐부(30)를 관통하는 필터 체결부재(21)와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0에는 후크방식에 의해 개폐부(30)가 몸체부(10)에 결합되는 결합 방법이 도시된다. 도 10을 참고하면, 몸체부(10)에는 후크(13)가 돌출되어 마련되며, 후크(13)에 대응되도록 개폐부(30)에 후크홀(39)이 관통 형성된다. 그로 인해, 도 10과 같이, 개폐부(30)의 후크홀(39)에 후크(13)가 삽입된 후,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몸체부(10)에 대해 개폐부(30)가 결합되어 자세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의한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100)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제2실시예에 의한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100) 또한, 몸체부(110)(도 12 참고), 필터부(120) 및 개폐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몸체부(110)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자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의한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100)는 도 11과 같이, 필터부(120)가 개폐부(130)를 관통하는 복수의 필터홀(121)을 포함한다. 즉, 필터부(120)가 개폐부(13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필터홀(121)의 크기는 1mm 이하의 직경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개폐부(130)에 대해 필터홀(121)을 포함하는 필터부(120)가 한 몸체로 형성되어 블로바이 가스(G)과 투과되어 오일 입자를 필터링한다. 아울러, 반복된 필터링으로 인해 필터홀(121)의 막힘이 발생됨으로써 블로바이 가스(G)의 차압이 발생되면,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개폐부(130)는 블로바이 가스(G)의 차압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밸브 유로(11)(도 1 참고)를 개방시킨다. 그로 인해, 블로바이 가스(G)는 보조 가이드홀(131)과 필터홀(121)을 통해 몸체부(10)의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벤틸레이션 커버 내부의 유동 흐름을 저해하지 않게 된다.
참고로, 필터부(120)의 필터홀(121)의 개수, 크기 및 형상을 도 11에 도시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를 참고하면, 몸체부(110)에 대한 필터부(120)와 일체로 형성되는 개폐부(130)의 결합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11 및 도 12와 같이, 몸체부(110)와 중첩되는 개폐부(130)의 외주에는 복수의 결합홀(132)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개폐부(130)의 복수의 결합홀(132)에 몸체부(110)에 돌출 형성된 설치돌기(112)가 삽입되어 회전됨으로써, 몸체부(110)에 대해 개폐부(130)가 후크 결합된다.
또한, 도 13 및 도 14를 참고하면, 필터부(120)와 일체로 형성된 개폐부(130)가 몸체부(110)에 대해 결합되는 변형예가 도시된다. 도 13의 도시와 같이, 개폐부(130)의 외주는 몸체부(110)로부터 돌출 형성된 설치돌기(112)에 의해 지지되며, 설치돌기(112)는 가열 및 가압된다. 그로 인해, 도 14와 같이, 설치돌기(112)는 개폐부(130)의 외주를 감싸 지지한 형태로 용착됨으로써, 몸체부(110)에 대해 필터부(120)와 일체로 마련되는 개폐부(130)의 외주가 접합된다.
참고로,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몸체부(110)는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의한 캡 형상의 몸체부(10)와 달린 밸브 유로(111)가 관통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 및 예시한다. 즉, 제2실시예에 의한 필터부(120)가 개폐부(130)에 복수개 관통 형성된 필터홀(121)을 포함함으로써, 제1실시예와 같이 필터부(20)를 내부에 지지하기 위한 몸체부(10)의 형태가 불필요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의 경우, 필터부(120)와 일체로 형성되며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개폐부(130)만을 지지하도록 몸체부(110)도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15의 도시에서는 제1실시예와 같은 캡 형상을 가지는 몸체부(110)에 필터부(120)와 일체로 형성된 개폐부(130)의 외주가 설치돌기(112)에 의해 가열 및 가압되어 용착되는 다른 변형예도 도시된다. 이상과 같이, 몸체부(110)의 형상은 플레이트 형상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의한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200)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16과 같이, 제3실시예에 의한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200)는 몸체부(미도시), 필터부(220) 및 개폐부(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몸체부(미도시)는 도 1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자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의 도시와 같이, 제3실시예에 의한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200)의 필터부(220)는 섬유재질로 형성되는 필터(221)와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개폐부(230)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필터홀(222)을 포함한다. 여기서, 필터홀(222)들은 개폐부(230)의 일면에 마련된 필터(221)와 중첩된 영역상에 마련됨이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블로바이 가스(G)는 섬유재질의 필터(221)를 통과하여 1차 필터링된 후, 개폐부(230)에 마련된 필터홀(222)을 통과하여 2차 필터링된다.
참고로, 필터(221)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 의한 필터부(20)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며, 필터홀(222)은 상술한 제2실시예에 의한 필터부(120)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개폐부(230)는 필터부(220)를 지지한 상태로 몸체부(미도시)(도 1 참고)에 설치되며, 블로바이 가스(G)가 통과 가능한 가이드홀(231)이 복수개 관통 형성된다. 이때, 블로바이 가스(G)가 필터부(220)를 통과할 때의 압력에 의해 필터부(220)의 필터(221)가 개폐부(230)의 가이드홀(231)로 유입됨을 차단하기 위한 간섭날개(232)가 가이드홀(231)에 돌출 형성된다. 즉, 간섭날개(232)는 필터(221)의 면방향으로 가이드홀(231)로부터 돌출됨으로써, 필터(221)를 면방향으로 간섭하여 블로바이 가스(G)의 압력에 의해 변형됨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간섭날개(232)는 도 16에 도시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 17에 도시된 간섭날개(232')와 같이, 가이드홀(231)로부터 필터(221)의 면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복수개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간섭날개(232)(232')는 블로바이 가스(G)가 가이드홀(231)을 통과함을 간섭하지 않으면서 필터(221)를 면방향으로 간섭하여 가이드홀(231)을 통해 돌출 변형되지 않도록 간섭한다.
도 1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의한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300)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18의 도시에서도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인 몸체부(미도시)의 도시는 생략된다.
도 18과 같이, 제4실시예에 의한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300)는 필터부(320)가 섬유재질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필터(321)(322)를 포함한다. 이때, 제1 및 제2필터(321)(322)는 개폐부(330)를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하도록 설치된다. 즉, 제1필터(321)는 개폐부(330)의 일면에 마련되고, 제2필터(322)는 개폐부(330)의 타면에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블로바이 가스(G)는 제1 및 제2필터(321)(32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2단계로 오일 입자가 필터링된다.
한편, 제1 및 제2필터(321)(322)는 상호 동일한 사이즈 및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 및 예시하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개폐부(330)에는 상술한 제2 및 제3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필터홀(미도시)이 마련되는 변형예도 가능하며, 이 경우 블로바이 가스(G)는 3단계로 오일 입자가 필터링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개폐부(330)는 상술한 제1 내지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밸브 유로(11)(도 1 참고) 개방시의 블로바이 가스(G)의 통과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홀(331)이 복수개 관통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100, 200, 300: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
10, 110: 몸체부
20, 120, 220, 320: 필터부
30, 130, 230, 330: 개폐부
G: 블로바이 가스

Claims (29)

  1. 내연기관으로부터 발생된 블로바이 가스의 유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블로바이 가스가 유입되는 밸브 유로가 마련되는 몸체부;
    상기 밸브 유로에 상기 블로바이 가스가 통과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밸브 유로의 내주면에 밀착 설치되어 상기 밸브 유로를 커버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블로바이 가스가 통과 가능한 부피를 가지는 기둥형상의 섬유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블로바이 가스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밸브 유로를 커버 가능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밸브 유로내의 상기 블로바이 가스의 차압에 연동하여 상기 밸브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부;
    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몸체부에 대해 후크 결합되고, 상기 개폐부에는 상기 필터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톱니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걸림돌기가 마련되어 상기 필터부가 상기 개폐부에 대해 고정 가능하며,
    상기 개폐부에 필터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는 필터 체결부재가 관통되어 상기 필터 체결홀에 결합되며,
    상기 개폐부의 상기 필터부와 중첩되는 영역에는, 상기 필터부가 상기 밸브 유로를 커버하는 경우에 상기 블로바이 가스의 통과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에는 상기 필터부의 면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어 상기 필터부를 면방향으로 밀착되어 간섭하는 간섭날개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가 상기 블로바이 가스의 압력에 의해 변형됨을 차단하는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필터부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밸브 유로내의 차압에 의해 상기 블로바이 가스의 배출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필터부가 상기 밸브 유로를 벗어나 상기 밸브 유로를 개방시키며, 상기 밸브 유로내의 차압이 해제되면 초기 위치로 원복되어 상기 밸브 유로를 폐쇄시키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유연한 판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필터부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는, 상기 필터부가 상기 밸브 유로를 벗어나 상기 밸브 유로가 개방된 경우에 상기 블로바이 가스의 통과를 가이드하기 위한 보조 가이드홀이 관통 형성되는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필터부를 지지하는 필터 지지부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테두리부와, 상기 필터 지지부와 상기 테두리부를 연결하고 차압 발생시에 탄성 변형되는 탄성 변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지지부와, 상기 테두리부와, 상기 탄성 변형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지지부는 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대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 변형부는 상기 필터 지지부와 상기 테두리부 사이에서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
  7. 삭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개폐부의 상기 밸브 유로와 마주하는 일면에 마련되는 제1필터; 및
    상기 개폐부의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마련되는 제2필터;
    를 포함하는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개폐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필터홀을 포함하여 상기 개폐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필터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개폐부와 결합을 위한 복수의 설치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밸브 유로가 관통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설치돌기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복수의 결합홈을 구비하여 상기 몸체부에 후크 결합되거나,
    상기 설치돌기가 상기 개폐부의 외주를 지지한 상태로 가열 및 가압되어 상기 개폐부를 상기 몸체부에 접합시키는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개폐부의 상기 밸브 유로와 마주하는 일면 및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필터; 및
    상기 필터와 중첩된 상기 개폐부 영역에 복수개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필터홀;
    을 포함하는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개폐부의 외주를 지지하도록 돌출된 설치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설치돌기가 가열 및 가압되어 상기 몸체부에 대해 상기 개폐부의 외주가 접합되는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의 외주가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몸체부에 체결되는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내연기관으로부터 발생된 블로바이 가스의 유로 상에 마련되어, 내부에 상기 블로바이 가스의 유로와 연통하여 상기 블로바이 가스가 유입되는 밸브 유로가 마련되는 몸체부;
    상기 밸브 유로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밸브 유로의 내주면에 밀착 설치되어 상기 밸브 유로를 커버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블로바이 가스가 통과 가능한 부피를 가지는 기둥형상의 섬유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블로바이 가스가 통과하여 필터링되는 필터부; 및
    상기 블로바이 가스의 차압에 연동하여, 상기 밸브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필터부가 움직임 가능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유연한 재질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개폐부;
    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몸체부에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결합되거나 후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개폐부에는 상기 필터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톱니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걸림돌기가 마련되어, 상기 필터부가 상기 개폐부에 대해 고정 가능하며,
    상기 개폐부에 필터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는 필터 체결부재가 관통되어 상기 필터 체결홀에 결합되며,
    상기 개폐부의 상기 필터부와 중첩되는 영역에는, 상기 필터부가 상기 밸브 유로를 커버하는 경우에 상기 블로바이 가스의 통과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에는 상기 필터부의 면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어 상기 필터부를 면방향으로 밀착되어 간섭하는 간섭날개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가 상기 블로바이 가스의 압력에 의해 변형됨을 차단하는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필터부를 지지한 상태로 탄성 변형 가능한 플레이트 형상의 판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필터부와 함께 상기 밸브 유로를 커버하는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의 상기 필터부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는, 상기 필터부가 상기 밸브 유로를 벗어나 상기 밸브 유로가 개방된 경우에 상기 블로바이 가스의 통과를 가이드하기 위한 보조 가이드홀이 관통 형성되는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필터부를 지지하는 필터 지지부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테두리부와, 상기 필터 지지부와 상기 테두리부를 연결하고, 차압 발생시에 탄성 변형되는 탄성 변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지지부와, 상기 테두리부와, 상기 탄성 변형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지지부는 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대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 변형부는 상기 필터 지지부와 상기 테두리부 사이에서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밸브 유로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밸브 유로와 마주하는 상기 개폐부의 일면 및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
  23. 삭제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개폐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필터홀을 포함하는 상기 개폐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필터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개폐부와 결합을 위한 복수의 설치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밸브 유로가 관통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설치돌기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복수의 결합홈을 구비하여 상기 몸체부에 후크 결합되거나,
    상기 설치돌기가 상기 개폐부의 외주를 지지한 상태로 가열 및 가압되어 상기 개폐부를 상기 몸체부에 접합시키는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개폐부의 외주를 지지하도록 돌출된 설치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설치돌기가 가열 및 가압되어 상기 몸체부에 대해 상기 개폐부의 외주가 접합되는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KR1020170147176A 2017-11-07 2017-11-07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 KR102000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176A KR102000629B1 (ko) 2017-11-07 2017-11-07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
CN201820013750.6U CN207813688U (zh) 2017-11-07 2018-01-05 具有过滤功能的内燃机的通风系统压力调节阀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176A KR102000629B1 (ko) 2017-11-07 2017-11-07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468A KR20190051468A (ko) 2019-05-15
KR102000629B1 true KR102000629B1 (ko) 2019-07-16

Family

ID=63325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176A KR102000629B1 (ko) 2017-11-07 2017-11-07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00629B1 (ko)
CN (1) CN207813688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638B1 (ko) * 2019-12-30 2021-09-28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
CN113833548B (zh) * 2020-06-23 2023-02-21 北京汽车动力总成有限公司 一种发动机油气分离结构和具有其的车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7880A1 (de) * 2010-05-26 2011-12-01 Hengst Gmbh & Co. Kg Druckbegrenzungsventil einer vorrichtung zum entlüften des kurbelgehäuses einer brennkraftmaschine und vorrichtung mit einem solchen druckbegrenzungsventil
US20130032115A1 (en) * 2010-01-20 2013-02-07 Francesco Zitarosa Valve for controlling a gas flow, liquid separator, ventilation system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mprising such a valv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5006A (ko) * 2003-11-10 2005-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일 필터 여과 엘리먼트 지지대의 구조
KR101317516B1 (ko) 2012-08-29 2013-10-15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내연기관용 엔진오일 세퍼레이터
KR101544727B1 (ko) 2014-06-17 2015-08-17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내연기관용 세퍼레이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32115A1 (en) * 2010-01-20 2013-02-07 Francesco Zitarosa Valve for controlling a gas flow, liquid separator, ventilation system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mprising such a valve
WO2011147880A1 (de) * 2010-05-26 2011-12-01 Hengst Gmbh & Co. Kg Druckbegrenzungsventil einer vorrichtung zum entlüften des kurbelgehäuses einer brennkraftmaschine und vorrichtung mit einem solchen druckbegrenzungsvent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468A (ko) 2019-05-15
CN207813688U (zh) 201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09300B2 (ja) 流体濾過用フィルタシステム
US10639575B2 (en) Air filter with balanced seal
EP1754525B1 (en) Air cleaner having anti-rotational arrangement and method
US9435236B2 (en) Valve for controlling a gas flow, liquid separator, ventilation system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mprising such a valve
EP3164205B1 (en) Fuel filter with water separator
USRE46593E1 (en) Filter element especially for filtering liquids or gases
US8152876B2 (en) Filter element having V-seal
US8920648B2 (en) No filter no run fluid filtration systems
US9598992B2 (en) Separation device for an aerosol stream
US10105630B2 (en) Hollow filter element of a filter for filtering fluid, filter, filter housing, and seal of a hollow filter element
KR102000629B1 (ko)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
US7927393B2 (en) Air cleaner element
CN115569464A (zh) 过滤元件、空气滤清器组件、以及使用和组装的方法
CN109803745B (zh) 空气过滤元件
US10105629B2 (en) Filter, hollow filter element, and filter housing of a filter, and seal of a hollow filter element
US20060283326A1 (en) Air cleaner and fuel adsorbent member
EP3315185A1 (en) Tubular air cleaner
EP2280775B1 (en) Filter seal
US20180147525A1 (en) Cylindrical air clean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0066586B2 (en) Air clean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1400392B2 (en) Filter element
US8246729B2 (en) Fuel vapour adsorbing device
US11117077B2 (en) Filter assembly
CN114810280A (zh) 用于内燃机的曲轴箱通风的油分离装置
KR102305638B1 (ko)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