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837B1 - 탄성 마운트 - Google Patents

탄성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837B1
KR101999837B1 KR1020170072409A KR20170072409A KR101999837B1 KR 101999837 B1 KR101999837 B1 KR 101999837B1 KR 1020170072409 A KR1020170072409 A KR 1020170072409A KR 20170072409 A KR20170072409 A KR 20170072409A KR 101999837 B1 KR101999837 B1 KR 101999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
wire
pair
buri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2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4551A (ko
Inventor
문석준
정종안
김병현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72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837B1/ko
Publication of KR20180134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7/00Details of attaching or adjusting engine beds, frames, or supporting-legs on foundation or base; Attaching non-moving engine parts, e.g. cylinder blocks

Abstract

탄성 마운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마운트는 상, 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마운트 바디 및 상, 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하여 탄성이 작용하도록 곡률을 가지며 양 측 말단부가 한 쌍의 상기 마운트 바디에 각각 매립됨으로써 한 쌍의 상기 마운트 바디를 연결하는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탄성 마운트{Resilient Mount}
본 발명은 탄성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비가 진동 및 충격을 견딜 수 있도록 장비 하부에 마련되는 장비 받침대의 일종인 탄성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탄성 마운트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마운트 바디 사이를 탄성을 갖는 와이어로 연결함으로서 일측의 마운트 바디로 진동 및 충격이 전달되면 전달된 충격을 와이어로 흡수하여 타측의 마운트바디에는 진동 및 충격의 전달이 최소가 되도록 함으로서 타측의 마운트바디에 고정된 기기를 진동 및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진동 및 충격 흡수기구로서 통신장비나 시험기구 등 진동 및 충격에 취약한 장비를 보호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탄성 마운트는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마주하는 한 쌍의 마운트바디 사이에 다수의 와이어가 마운트바디의 테두리를 연결하도록 형성하여 일측의 마운트바디는 벽체나 바닥에 고정하고 타측의 마운트바디에는 진동 및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장비를 고정시켜 벽체나 바닥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와이어로 흡수하여 마운트바디에 부착된 장비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이 최소화시켜 장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차량이나 선박 등 유동시 심한 장치에 설치되는 장비에 탄성 마운트를 형성할 경우에는 유동에 따라 발생한 충격 및 진동은 한 쌍의 마운트바디 사이로 연결된 와이어가 전후좌우 및 상하로 동작하면서 충분히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할 수 있게 되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탄성 마운트는 와이어가 단순히 C형 커브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반복되는 충격 및 진동에 의해 와이어가 비대칭적으로 변형되거나, 와이어가 마운트 바디로부터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탄성 마운트가 일측으로 기울어져 장비도 함께 기울어지거나, 탄성 마운트가 충격 및 진동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여 장비의 손상 및 고장을 야기하는 추가적인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장비가 진동 및 충격을 견딜 수 있도록 장비 하부에 마련되어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 마운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본 발명은 반복되는 진동 및 충격에도 와이어가 변형되거나 마운트 바디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탄성 마운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마운트는 한 쌍의 마운트 바디 및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한다.
한 쌍의 상기 마운트 바디는 상, 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와이어는 상, 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하여 탄성이 작용하도록 곡률을 가지며, 양 측 말단부가 한 쌍의 상기 마운트 바디에 각각 매립됨으로써 한 쌍의 상기 마운트 바디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는 C형 커브를 가지며, 상, 하 방향으로 탄성을 발생시키는 커브부 및 상기 커브부의 양 측 말단부에 형성되어 한 쌍의 상기 마운트 바디에 매립되어 상기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매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커브부가 상기 마운트 바디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매립부가 상기 마운트 바디의 가장자리 부분에 매립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커브부의 양 측 말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매립부가 상기 와이어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되, 양 측의 상기 매립부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양 측 말단부가 한 쌍의 상기 마운트 바디에 각각 매립될 수 있다.
양 측의 상기 매립부는 상기 커브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절곡되되,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매립부는 상기 매립부의 말단 부분에 상기 와이어에서 단면이 확장된 형태로 결합 또는 형성되는 이탈방지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매립부가 상기 마운트 바디에 매립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매립부는 상기 매립부의 말단 부분에 결합되는 별도의 이탈방지 클립을 포함하여 상기 매립부가 상기 마운트 바디에 매립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마운트 바디는 서로 결합되는 한 쌍의 마운트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한 쌍의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매립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매립홈이 형성되어, 상기 매립부가 상기 매립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마운트에 의하면 와이어의 양 끝단부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는 매립부가 형성되며, 매립부가 마운트 바디에 매립됨으로써 반복되는 진동 및 충격에도 와이어가 변형되거나 마운트 바디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마운트에 의하면 와이어의 양 끝단부에 이탈방지 부재 또는 이탈방지 클립 또는 이 둘을 모두 포함하는 매립부가 형성되며, 매립부가 마운트 바디에 매립됨으로써 반복되는 진동 및 충격에도 와이어가 변형되거나 마운트 바디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마운트에 의하면 와이어가 서로 평행하지 않게 배치되어 상, 하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도 마운트 바디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으며, 쉽게 변형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탄성 마운트에 의하면 C형 커브를 가지는 커브부가 한 쌍의 마운트 바디 사이에서 마운트 바디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상, 하 방향으로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장비의 파손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탄성 마운트가 장비 하부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마운트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마운트 중 와이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마운트 중 마운트 바디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마운트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마운트의 와이어와 마운트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마운트의 와이어와 마운트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마운트의 마운트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탄성 마운트(100, 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마운트가 장비 하부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탄성 마운트(100, 200)는 장비(10)들이 진동 및 충격을 견딜 수 있도록 장비(10) 하부에 마련되는 장비(10) 받침대의 일종으로, 본 실시예의 탄성 마운트(100, 200)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노출되어 있는 선박, 함정, 차량 등에 설치되는 주요 장비(10)의 하부에 배치되거나, 통신장비나 시험기구 등 진동에 취약한 장비(10)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의 장비(10) 하부에 배치되어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마운트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의 탄성 마운트(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트 바디(120) 및 와이어(110)를 포함한다.
마운트 바디(120)는 한 쌍이 마련되며, 한 쌍의 마운트 바디(120)는 상, 하 방향으로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하부에 위치하는 마운트 바디(120)는 장비(10)가 설치되는 설치면과 접하고, 상부에 위치하는 마운트 바디(120)는 장비(10)의 저면과 접할 수 있다.
마운트 바디(120)는 큰 하중을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강성 및 내구성이 높은 금속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마운트 바디가 육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마운트 바디의 형상은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원형, 사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마운트 바디(120) 사이에는 탄성을 가지는 복수의 와이어(110)가 마련되어 상, 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마운트 중 와이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와이어(110)는 상, 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하여 탄성이 작용하도록 곡률을 가진다. 그리고, 와이어(110)의 양 측 말단부는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되, 양 측 말단부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양 측 말단부가 한 쌍의 마운트 바디(120)에 각각 매립됨으로써 한 쌍의 마운트 바디(120)를 연결한다.
와이어(110)의 재질로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이 적용될 수 있다. 와이어(110)는 상, 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하여 탄성이 작용하도록 형성되기는 하나, 금속 재질의 자체적인 탄성으로 좌, 우 방향으로도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와이어(11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와이어(110)는 C형 커브를 가지며, 상, 하 방향으로 탄성을 발생시키는 커브부(112)와, 커브부(112)의 상, 하 말단부에 형성되며 커브부(112)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절곡되되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는 매립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와이어(110)는 커브부(112)가 마운트 바디(12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와이어(110)는 매립부(114)가 마운트 바디(120)의 가장자리 부분에 매립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와이어(110) 말단에 형성된 매립부(114)의 매립을 위하여 마운트 바디(120)의 측면에는 매립부(114)가 수용되는 매립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마운트 중 마운트 바디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마운트 바디(12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마운트 바디(120)는 서로 결합되는 한 쌍의 마운트 플레이트(122)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마운트 플레이트(122)에는 연통되는 체결홀(126)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재(미도시)가 체결홀(126)에 삽입 체결됨으로써 한 쌍의 마운트 플레이트(122)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마운트 플레이트(122)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와이어(110)의 말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매립홈(124)이 형성되어, 와이어(110)의 말단부가 매립홈(124)에 수용될 수 있다.
와이어(110)의 말단에 커브부(112)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매립부(114)가 형성되고, 한 쌍의 마운트 플레이트(122)에 매립부(114)와 대응되는 형상의 매립홈(124)을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마운트 플레이트(122)에 형성된 매립홈(124)에 매립부(114)를 위치시킨 후, 나머지 하나의 마운트 플레이트(122)를 포개어 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한 쪽의 매립부(114)에도 이와 같이 마운트 플레이트(122)를 결합하여 본 실시예의 탄성 마운트(100)를 조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탄성 마운트(100)는 매립부(114)가 커브부(112)와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되, 상, 하에 위치한 매립부(114)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고, 또한 매립부(114)가 매립홈(124)에 매립됨으로써 반복되는 진동 및 충격에도 와이어(110)가 변형되거나 마운트 바디(12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마운트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마운트(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마운트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마운트(200)는 마운트 바디(220) 및 와이어(210)를 포함한다.
마운트 바디(220)는 큰 하중을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강성 및 내구성이 높은 금속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마운트 바디(220)가 일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마운트 바디(220)의 형상은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정사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마운트 바디(220)의 다양한 형상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한 쌍의 마운트 바디(220) 사이에는 탄성을 가지는 복수의 와이어(210)가 마련되어 상, 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마운트의 와이어와 마운트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마운트의 와이어와 마운트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210)는 상, 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하여 탄성이 작용하도록 곡률을 가진다. 그리고, 와이어(210)의 양 측 말단부는 한 쌍의 마운트 바디(220)에 각각 매립됨으로써 한 쌍의 마운트 바디(220)를 연결한다.
와이어(210)의 재질로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이 적용될 수 있다. 와이어(210)는 상, 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하여 탄성이 작용하도록 형성되기는 하나, 금속 재질의 자체적인 탄성으로 좌, 우 방향으로도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210)의 외측은 고무나 수지 등으로 피복될 수도 있다.
와이어(21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와이어(210)는 C형 커브를 가지며, 상, 하 방향으로 탄성을 발생시키는 커브부(212)와, 커브부(212)의 상, 하 말단부에 형성되는 매립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와이어(210)는 커브부(212)가 마운트 바디(22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와이어(210)는 매립부(214)가 마운트 바디(220)의 가장자리 부분에 매립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매립부(214)는 이탈방지 부재(214a)를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 부재(214a)는 매립부(214)의 말단에 와이어(210)에서 단면이 확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매립부(214)의 말단에는 구형의 이탈방지 부재(214a)가 마련될 수 있다. 이탈방지 부재(214a)는 와이어(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와이어(210)와 별도로 형성되어 서로 체결될 수도 있다. 전자는 와이어(210)의 말단을 합성수지나 고무 등이 채워진 몰드에 삽입하여 경화시켜 이탈방지 부재(214a)를 와이어(210)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후자는 와이어(210)의 말단 및 이탈방지 부재(214a)의 내부에 나사결합부 등을 형성하여 서로 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이탈방지 부재(214a)는 도면에 도시된 형성 및 상술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와이어(210)의 말단부가 확장된 형태를 가진다면 어떤 식으로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매립부(214)는 이탈방지 클립(214b)을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 클립(214b)은 와이어(210)와 별도로 형성되어 매립부(214)의 말단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이탈방지 클립(214b)은 매립부(214) 말단 부분의 외측에 결합되어 매립부(214)의 단면을 외측으로 확장하면 역할을 할 수 있다. 도면에는 이탈방지 부재(214a)와 이탈방지 클립(214b)이 모두 마련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둘 중 하나만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탈방지 부재(214a) 또는 이탈방지 클립(214b)이 마련됨으로써 매립부(214)가 마운트 바디(220)에 매립된 상태에서 와이어(210)의 탄성 변형이 일어나는 경우에도 와이어(210)가 마운트 바디(22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호 인접한 와이어(210)는 서로 수평하게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매립부(214)가 서로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와이어(210)가 서로 예각을 가지도록 배치되며, 이와 같이 서로 예각을 가지도록 배치된 한 쌍의 와이어(210)가 복수의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와이어(210)가 배치된 방향이 힘이 작용하는 방향과 어긋남으로써 와이어(2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마운트의 마운트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도 8을 참조하여 마운트 바디(22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마운트 바디(220)는 서로 결합되는 한 쌍의 마운트 플레이트(222, 224)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마운트 플레이트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져, 서로 포개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하나의 마운트 플레이트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마운트 플레이트(222)에는 연통되는 체결홀(222d)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재(226)가 체결홀(222d)에 삽입 체결됨으로써 한 쌍의 마운트 플레이트(222)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마운트 플레이트(222)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와이어(210)의 매립부(214)와 대응되는 형상의 매립홈(222a, 222b, 222c)이 형성되어, 매립부(214)가 매립홈(222a, 222b, 222c)에 수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매립홈(222a, 222b, 222c)은 매립부(214)의 와이어(210) 부분이 수용되는 와이어 수용홈(222a), 이탈방지 부재(214a)가 수용되는 제 1 이탈방지홈(222b), 이탈방지 클립(214b)이 수용되는 제 2 이탈방지홈(222c)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210)의 말단에 상술한 이탈방지 부재(214a) 또는 이탈방지 클립(214b) 또는 이 둘이 동시에 마련되는 매립부(214)가 형성되고, 한 쌍의 마운트 플레이트(222)에 매립부(214)와 대응되는 형상의 매립홈(222a, 222b, 222c)을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마운트 플레이트(222)에 형성된 매립홈(222a, 222b, 222c)에 매립부(214)를 위치시킨 후, 나머지 하나의 마운트 플레이트(222)를 포개어 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한 쪽의 매립부(214)에도 이와 같이 마운트 플레이트(222)를 결합하여 본 실시예의 탄성 마운트(200)를 조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운트 바디(220)가 상, 하 두 개가 마련되어 서로 마주보는 복수 쌍의 와이어(210)가 한 쌍의 마운트 바디(220)에 모두 연결되도록 마운트 바디(220)가 긴 길이를 가지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한 쌍의 와이어(210)에 의해서만 상, 하 마운트 바디가 연결되도록 마운트 바디의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와 같이 짧은 길이로 형성된 복수의 마운트 바디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미도시)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는, 짧은 길이로 형성된 복수의 마운트 바디의 서로 마주보는 부분에 체결부가 형성되어 끼움결합, 나사결합, 슬라이드결합 등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탄성 마운트(200)는 매립부(214)가 이탈방지 부재(214a) 또는 이탈방지 클립(214b) 또는 이 둘을 모두 포함하며, 매립부(214)의 형상에 대응되는 매립홈(222a, 222b, 222c)에 매립됨으로써 와이어(2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호 인접한 와이어(210)가 서로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됨으로써 반복되는 진동 및 충격에도 와이어(210)가 변형되거나 마운트 바디(22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마운트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장비 100: 탄성 마운트
110: 와이어 112: 커브부
114: 매립부 120: 마운트 바디
122: 마운트 플레이트 124: 매립홈
126: 체결홀 200: 탄성 마운트
210: 와이어 212: 커브부
214: 매립부 220: 마운트 바디
222, 224: 마운트 플레이트 226: 체결부재

Claims (9)

  1. 서로 결합되는 한 쌍의 마운트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 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마운트 바디; 및
    상, 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하여 탄성이 작용하도록 곡률을 가지며, 양 측 말단부가 한 쌍의 상기 마운트 바디에 각각 매립됨으로써 한 쌍의 상기 마운트 바디를 연결하는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는 C형 커브를 가지며, 상, 하 방향으로 탄성을 발생시키는 커브부 및 상기 커브부의 양 측 말단부에 형성되어 한 쌍의 상기 마운트 바디에 매립되어 상기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매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립부가 상기 커브부로부터 상기 마운트바디와 수평한 방향으로 절곡되되, 양 측의 상기 매립부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각 매립부는 한 쌍의 마운트 플레이트 사이에 매립됨으로써 상기 마운트 바디에 가해지는 수직 방향의 힘이 매립부 측으로 분산되는 탄성 마운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커브부가 상기 마운트 바디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탄성 마운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매립부가 상기 마운트 바디의 가장자리 부분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는 탄성 마운트.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는,
    상기 매립부의 말단 부분에 상기 와이어에서 단면이 확장된 형태로 결합 또는 형성되는 이탈방지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매립부가 상기 마운트 바디에 매립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탄성 마운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는,
    상기 매립부의 말단 부분에 결합되는 별도의 이탈방지 클립을 포함하여 상기 매립부가 상기 마운트 바디에 매립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탄성 마운트.
  9. 삭제
KR1020170072409A 2017-06-09 2017-06-09 탄성 마운트 KR101999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409A KR101999837B1 (ko) 2017-06-09 2017-06-09 탄성 마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409A KR101999837B1 (ko) 2017-06-09 2017-06-09 탄성 마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551A KR20180134551A (ko) 2018-12-19
KR101999837B1 true KR101999837B1 (ko) 2019-07-12

Family

ID=65009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409A KR101999837B1 (ko) 2017-06-09 2017-06-09 탄성 마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8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9790A (en) 1993-02-22 1996-03-19 Socitec - Societe Pour Le Commerce International Et Les Echanges Techniques Antivibration/antishock device and the process for the fabrication of such a device
JP2004183903A (ja) * 2004-02-02 2004-07-02 Tatsuji Ishimaru 制振ダンパー
CN206072712U (zh) * 2016-10-09 2017-04-05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无人机用激光扫描仪挂载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004Y1 (ko) * 1991-06-05 1993-09-13 주식회사 유일산업 방진구의 와이어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9790A (en) 1993-02-22 1996-03-19 Socitec - Societe Pour Le Commerce International Et Les Echanges Techniques Antivibration/antishock device and the process for the fabrication of such a device
JP2004183903A (ja) * 2004-02-02 2004-07-02 Tatsuji Ishimaru 制振ダンパー
CN206072712U (zh) * 2016-10-09 2017-04-05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无人机用激光扫描仪挂载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551A (ko) 2018-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4922B1 (ko) 케이블 트레이용 방진형 행거장치 및 이를 포함한 케이블 트레이
US9954206B2 (en) Battery holder and isolation assembly
KR101455292B1 (ko) 내진 스토퍼
US20140356678A1 (en) Battery holder and isolation assembly
KR101714716B1 (ko) 방진 및 내진 장치가 설치된 전기 판넬
US20140036451A1 (en) Heat sink assembly
KR101999837B1 (ko) 탄성 마운트
KR101705885B1 (ko) 낙석방지 유동형 완충구 및 시공방법
US20160017591A1 (en) Concrete-structure connecting assembly
CA2974267A1 (en) Mounting bracket for fall arrest device
CN110925165B (zh) 一种减震压缩机
KR101552053B1 (ko) 의탄성 형상기억합금 메쉬 와셔를 적용한 다축 진동 절연 장치
KR20170044480A (ko) 진자 고무 면진 장치
KR101201957B1 (ko) 슬라이딩 탄성 받침
KR100475127B1 (ko) 스토퍼를 구비한 방진 장치
EP3539811A1 (en) Tank holding device and a vehicle having the same
JP6406925B2 (ja) 耐震機構及び防振装置
KR101906307B1 (ko) 충격 완충 장치
CN219936109U (zh) 一种多重供电结构的车载gps定位器
KR102261515B1 (ko) 제진용 경량 마운트
KR101643155B1 (ko) 방폭 커버 장치
KR101361827B1 (ko)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방진패드
JP2005076787A (ja) 耐震用防振ゴム装置
KR200266327Y1 (ko) 교좌장치
CN217591406U (zh) 一种固定装置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