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699B1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699B1
KR101999699B1 KR1020110141573A KR20110141573A KR101999699B1 KR 101999699 B1 KR101999699 B1 KR 101999699B1 KR 1020110141573 A KR1020110141573 A KR 1020110141573A KR 20110141573 A KR20110141573 A KR 20110141573A KR 101999699 B1 KR101999699 B1 KR 101999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ight
light source
user
light sources
illumi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1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3620A (ko
Inventor
박성진
김시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1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699B1/ko
Publication of KR20130073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조명 공간 내 사용자의 위치 및 위치 이동을 기초로 LED광원의 온/오프 및 조도를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를 향하여 집중 조명하거나 사용자의 눈부심 및 블랙 아웃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명 장치{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조명 공간 내 사용자의 위치 및 위치 이동을 기초로 LED광원의 온/오프 및 조도를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를 향하여 집중 조명하거나 사용자의 눈부심 및 블랙 아웃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에 주로 사용되는 광원으로는 백열전구, 방전등, 형광등이 주로 쓰이고 있으며, 가정용, 경관용, 산업용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중 백열전구 등의 저항성 광원은 효율이 낮고 발열 문제가 크며, 방전등의 경우 고가격, 고전압의 문제가 있으며, 형광등의 경우 수은 사용에 의한 환경문제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광원들의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효율, 색의 다양성, 디자인의 자율성 등 많은 장점을 가지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이하 LED) 조명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LED는 순방향으로 전압을 가했을 때 발광하는 반도체 소자로서, 수명이 길고, 소비 전력이 낮으며, 대량 생산에 적합한 전기적, 광학적, 물리적 특성들을 갖는다.
최근 빌딩 등의 대형 건물에는 실내 공간의 조명을 위하여 LED조명이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LED조명은 조명 공간의 천장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이를 위하여 천장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LED조명을 배치시키기 위한 리세스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LED조명은 LED광원의 직진성이 매우 강하여 사용자에게 LED광원이 직접 관찰될 경우 사용자에게 눈부심을 발생시키거나 심할 경우 블랙 아웃 현상을 유발시키고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LED광원을 직접 관찰할 수 있는 각도를 컷 오프 앵글(Cut off angle)이라고 하며, 천장에 설치된 LED조명은 상기 리세스의 깊이 등에 의해 고정된 컷 오프 앵글을 가지며, 상기 컷 오프 앵글은 사용자가 느끼는 불쾌감과 직접 연결된다.
상기 컷 오프 앵글이 큰 경우, 사용자가 직접 LED광원을 볼 수 있는 영역이 많아지고, 반대로 상기 컷 오프 앵글이 작은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눈부심에 의한 불쾌감을 줄일 수는 있지만 조명 공간으로 조사되는 빛의 양이 감소하게 되어 전체적인 밝기가 감소하게 된다. 즉, 사용자의 위치가 컷 오프 앵글 외부에 위치하게 되면 사용자는 충분한 빛을 제공받지 못하게 된다.
또한, 사무 공간 내에서 사용자의 위치는 지속적으로 변하게 되는바, 상기 LED조명은 고정된 위치에서 일정하게 빛을 조사하므로 경우에 따라 불필요한 영역으로 빛을 조사하게 되며 이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을 낭비하게 되고, 경우에 따라 필요한 영역으로 빛을 조사하지 못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유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조명 공간 내 사용자의 위치 및 위치 이동을 기초로 LED광원의 온/오프 및 조도를 제어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를 향하여 집중 조명하거나 사용자의 눈부심 및 블랙 아웃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영역 내지 제N (N>1)영역으로 구획되는 조명 공간에 있어서, 특정 영역으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제1 내지 제K LED광원을 포함하는 발광 유닛과 상기 조명 공간의 각 영역에서의 사용자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광센서 및 사용자의 위치가 감지되면, 사용자가 위치된 조명 공간의 해당 영역으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해당 LED광원의 온/오프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위치가 제1 영역으로 감지되면 제1 LED광원을 작동시키거나 제1 LED광원이 작동 중인 경우 제1 LED광원의 조도를 증가시키고, 사용자의 위치가 제2 영역으로 감지되면 제2 LED광원을 작동시키거나 제2 LED광원이 작동 중인 경우 제2 LED광원의 조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제1 영역에서 감지된 후 제2 영역에서 감지되면, 제2 LED광원을 작동시키거나, 제2 LED광원이 작동 중인 경우 제2 LED광원의 조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1 LED광원을 소등시키거나, 제1 LED광원의 조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 유닛은 조명 공간의 천장에 마련된 리세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리세스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복수의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세스의 바닥면에 어느 한 LED광원이 배치되고, 상기 리세스의 각 측면에 나머지 LED광원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세스의 바닥면 및 각 측면에 배치된 LED광원들은 조명 공간의 각 해당 영역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조명 공간의 천장에 위치되고,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복수의 측면을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 및 각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LED광원을 포함하는 발광 유닛과 각 LED광원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조명 공간의 각 영역에서의 사용자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광센서 및 상기 프레임 내부에 배치된 특정 LED광원을 볼 수 있는 조명 공간의 특정 영역에서 사용자의 위치가 감지되면, 사용자의 눈부심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해당 LED광원 및 다른 LED광원의 온/오프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레임 내부에 배치된 특정 LED광원을 볼 수 있는 조명 공간의 특정 영역에서 사용자의 위치가 감지되면, 해당 LED광원을 소등시키거나 해당 LED광원의 조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다른 LED광원을 작동시키거나 다른 LED광원의 조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LED광원들을 관찰할 수 없는 위치에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모든 광원을 작동시킨 후, 상기 프레임 내부에 배치된 특정 LED광원을 볼 수 있는 특정 영역에서 사용자의 위치가 감지되면, 해당 LED광원을 소등시키거나 해당 LED광원의 조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다른 LED광원의 조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는 조명 공간 내 사용자의 위치 및 위치 이동을 기초로 LED광원의 온/오프 및 조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는 사용자를 향하여 집중 조명하거나 사용자의 눈부심 및 블랙 아웃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의 일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조명 장치를 구성하는 발광 유닛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조명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의 또 다른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의 일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의 일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조명 장치를 구성하는 발광 유닛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3은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조명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조명 장치(1)는 발광유닛(20)과 광센서(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한다.
이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에 공통되는 각 구성부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발광유닛은 조명 공간의 특정 영역으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제1 내지 제K LED광원(21 내지 29)을 포함한다. 즉, 제1 내지 제K LED광원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조명 공간은 제1 영역 내지 제N (N>1)영역(S1 내지 S3)으로 구획된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제1 LED광원(21)이 단독으로 작동하는 경우 조명 공간 특히, 조명 공간의 바닥면(S)을 기준으로 제1 영역(S1)이 밝아지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LED광원(22)이 단독으로 작동하는 경우 조명 공간, 특히 조명 공간의 바닥면(S)을 기준으로 제2 영역(S2)이 밝아지게 되며, 제3 LED광원(23)이 단독으로 작동하는 경우 조명 공간 특히 조명 공간의 바닥면(S)을 기준으로 제3 영역(S3)이 밝아지게 된다.
또한, 제1 내지 제3 LED조명(21 내지 23)이 모두 작동하는 경우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S1 내지 S3)이 모두 밝아지게 되며, 각 LED광원(21 내지 23)은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실장된 하나 이상의 LED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ED광원들의 개수(K)는 조명 공간의 면적, 특성 및 요구되는 조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는 3개의 LED광원(21 내지 23)이 설치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9개의 LED광원(21 내지 29)이 설치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LED광원들의 개수(K)는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K LED광원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조명 공간은 제1 영역 내지 제N (N>1)영역(S1 내지 S3)으로 다양하게 구획될 수 있으며, 구획되는 영역의 개수 N은 LED광원의 개수 K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도 있고, LED광원의 개수 K보다 크게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조명 공간의 각 영역(S1 내지 S3)은 명확히 구분되지 않을 수 있고, 복수의 LED광원(21 내지 23)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임의로 구획되는 공간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LED광원(21 내지 23, 21 내지 29)들은 조명 공간의 각 해당 영역(S1 내지 S3)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발광 유닛(20)은 조명 공간의 천장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조명 공간의 천장(W)에는 천장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함몰된 리세스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는 천장(W)의 일부 영역이 함몰된 상태로 마련될 수도 있고, 별도의 프레임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LED광원(21 내지 23)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시키기 위하여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리세스 또는 프레임(10)은 바닥면(11)과 상기 바닥면(11)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복수의 측면(12 내지 19, 도 2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각 측면들(12 내지 19)은 상기 바닥면(11)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90°보다 큰 각도로 경사질 수도 있다.
이때, 어느 한 LED광원(23)은 상기 리세스 또는 프레임(10)의 바닥면(11)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리세스 또는 프레임(10)의 각 측면(12 내지 19)에 나머지 LED광원(21, 22, 24 내지 29)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하나의 리세스 또는 프레임(10)에 상기 발광 유닛(20)의 각 LED광원(21 내지 29)이 배치될 경우 각 LED광원(21 내지 29)은 서로 다른 컷 오프 앵글을 갖는다. 또한, 각 LED광원(21 내지 29)과 마주보는 조명 공간의 해당 영역(S1 내지 S3)은 해당 LED광원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나머지 영역과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세스 또는 프레임(10)의 형상 및 측면의 개수는 조명 공간의 특성 및 외관 품질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고, LED광원의 개수 및 상기 LED광원에 의하여 구획된 조명 공간 영역의 개수도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센서(30)는 상기 조명 공간의 천장(W)의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광센서(30)는 제1 광센서 내지 제 4광센서(31 내지 34)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 광센서(31 내지 34)는 전술한 조명 공간의 각 영역(S1 내지 S3)에서의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1)는 제1 영역 내지 제N (N>1)영역으로 구획되는 조명 공간에 있어서, 특정 영역(S1 내지 S3)으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제1 내지 제K LED광원(21 내지 23)을 포함하는 발광 유닛(20)과 상기 조명 공간의 각 영역(S1 내지 S3)에서의 사용자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광센서(31 내지 34) 및 사용자의 위치가 감지되면, 사용자가 위치된 조명 공간의 해당 영역(S1, S2 또는 S3)으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해당 LED광원(21 내지23)의 온/오프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0)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각 LED광원(21 내지 24)에는 온/오프 제어를 위한 스위치(51 내지 54)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40)는 사용자의 위치가 제1 영역(S1)으로 감지되면 제1 LED광원(21)을 작동시키거나 제1 LED광원(21)이 작동 중인 경우 제1 LED광원(21)의 조도를 증가시키고, 사용자의 위치가 제2 영역(S2)으로 감지되면 제2 LED(22)광원을 작동시키거나 제2 LED광원(22)이 작동 중인 경우 제2 LED광원(22)의 조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40)는 사용자의 위치가 감지된 영역(S1 내지 S3)으로 빛을 조사하는 LED광원(21 내지 23)을 작동시키거나, 해당 LED광원의 조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위치로 집중 조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의 또 다른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제어부(40)는 사용자가 제1 영역(S1)에서 감지된 후 제2 영역(S2)에서 감지되면, 사용자의 위치가 이동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2 LED광원(22)을 작동시키거나, 제2 LED광원(22)이 작동 중인 경우 제2 LED광원(22)의 조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는 제1 영역(S1)으로 빛을 조사하는 제1 LED광원(21)을 소등시키거나, 제1 LED광원(21)의 조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0)는 사용자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여 변경된 사용자의 위치로 빛을 조사하는 해당 LED광원(21 내지 23)을 작동시키거나, 해당 LED광원의 조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위치로 집중 조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불필요한 영역을 조명함으로써 낭비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의 일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1)는 조명 공간의 천장에 위치되고, 바닥면(11)과 상기 바닥면(11)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복수의 측면(12 내지 19)을 갖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바닥면(11) 및 각 측면(12 내지 19)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LED광원(21 내지 29)을 포함하는 발광 유닛(20)과 각 LED광원(21 내지 29)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조명 공간의 각 영역(S1 내지 S3)에서의 사용자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광센서 (31 내지 34) 및 상기 프레임(10) 내부에 배치된 특정 LED광원을 볼 수 있는 조명 공간의 특정 영역에서 사용자의 위치가 감지되면, 사용자의 눈부심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해당 LED광원 및 다른 LED광원의 온/오프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0)를 포함한다.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를 구성하는 발광 유닛과 광센서 및 프레임은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재와 동일하며,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에서는 제어부(40)의 구성이 제1 실시예의 제어부와 차이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LED조명은 LED광원의 직진성이 매우 강하여 사용자에게 LED광원이 직접 관찰될 경우 사용자에게 눈부심을 발생시키거나 심할 경우 블랙 아웃 현상을 유발시키고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LED광원을 직접 관찰할 수 있는 각도를 컷 오프 앵글(Cut off angle)이라고 하며, 천장에 설치된 LED조명은 상기 리세스 또는 프레임의 깊이 또는 형상 등에 의해 고정된 컷 오프 앵글을 가지며, 상기 컷 오프 앵글은 사용자가 느끼는 불쾌감과 직접 연결된다.
한편, 상기 컷 오프 앵글이 큰 경우, 사용자가 직접 LED광원을 볼 수 있는 영역이 많아지고, 반대로 상기 컷 오프 앵글이 작은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눈부심에 의한 불쾌감을 줄일 수는 있지만 조명 공간으로 조사되는 빛의 양이 감소하게 되어 전체적인 밝기가 감소하게 된다. 즉, 사용자의 위치가 컷 오프 앵글 외부에 위치하게 되면 사용자는 충분한 빛을 제공받지 못하게 된다.
또한, 사무 공간 내에서 사용자의 위치는 지속적으로 변하게 되는바, 상기 LED조명이 사용자에게 직접 노출되는 경우 눈부심 및 심할 경우 블랙 아웃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프레임(10) 내부에 배치된 특정 LED광원(예를 들어 21)을 볼 수 있는 조명 공간의 특정 영역(예를 들어 S1)에서 사용자의 위치가 감지되면, 해당 LED광원(21)을 소등시키거나 해당 LED광원의 조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눈부심 현상이나 블랙 아웃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다른 LED광원(22 내지 29)을 작동시키거나 다른 LED광원의 조도를 증가시켜, 전체 조도를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40)는 사용자가 LED광원들을 관찰할 수 없는 위치에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모든 LED 광원을 작동시킨 후, 상기 프레임(10) 내부에 배치된 특정 LED광원을 볼 수 있는 특정 영역에서 사용자의 위치가 감지되면, 해당 LED광원을 소등시키거나 해당 LED광원의 조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눈부심 현상이나 블랙 아웃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다른 LED광원의 조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를 통해 전체 조도를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는 조명 공간 내 사용자의 위치 및 위치 이동을 기초로 LED광원의 온/오프 및 조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는 사용자를 향하여 집중 조명하거나 사용자의 눈부심 및 블랙 아웃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프레임
20: 발광유닛
21: 제1 LED광원
22: 제2 LED광원
23: 제3 LED광원
30: 광센서
40: 제어부
51 내지 54: 스위치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조명 공간의 천장에 위치되고,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복수개의 측면을 갖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 및 각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개의 LED광원을 포함하는 발광 유닛;
    상기 복수개의 LED광원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조명 공간의 각 영역에서의 사용자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광센서; 및
    상기 프레임 내부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LED광원 중 특정 LED광원을 볼 수 있는 조명 공간의 특정 영역에서 사용자의 위치가 감지되면, 사용자의 눈부심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특정 LED광원 및 상기 특정 LED광원을 제외한 다른 LED광원의 온/오프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조명 공간의 천장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를 가지고 상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측면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하방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LED 광원은 서로 다른 컷 오프 앵글을 갖고,
    상기 컷 오프 앵글은 사용자가 상기 특정 LED광원을 직접 관찰할 수 있는 각도이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컷 오프 앵글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특정 LED광원을 소등시키거나 상기 특정 LED광원의 조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특정 LED광원을 제외한 다른 LED광원을 작동시키거나 상기 특정 LED 광원을 제외한 나머지 LED광원의 조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복수개의 LED광원들을 관찰할 수 없는 위치에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복수개의 광원을 모두 작동시킨 후,
    사용자가 상기 컷 오프 앵글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특정 LED광원을 소등시키거나 상기 특정 LED광원의 조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LED광원을 제외한 다른 LED광원의 조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금속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14. 삭제
  15. 삭제
KR1020110141573A 2011-12-23 2011-12-23 조명 장치 KR101999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573A KR101999699B1 (ko) 2011-12-23 2011-12-23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573A KR101999699B1 (ko) 2011-12-23 2011-12-23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620A KR20130073620A (ko) 2013-07-03
KR101999699B1 true KR101999699B1 (ko) 2019-07-12

Family

ID=48988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1573A KR101999699B1 (ko) 2011-12-23 2011-12-23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6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14788B (zh) * 2017-08-02 2024-01-26 惠科股份有限公司 光学检查设备及光学检查方法
US11363701B2 (en) 2017-12-11 2022-06-14 Ma Lighting Technology Gmbh Method for controlling a lighting system using a lighting control console
KR102225708B1 (ko) * 2020-07-21 2021-03-09 김유성 조명 제어를 위한 모션 감지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2860B2 (ja) * 1995-03-22 2001-04-03 株式会社東芝 直交周波数分割多重変調方式を適用した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JP2011154946A (ja) * 2010-01-28 2011-08-11 Sanyo Electric Co Ltd 照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2860U (ja) * 2009-06-05 2009-08-13 曾 世宗 スマート型発光ダイオード照明具
KR101136003B1 (ko) * 2010-04-09 2012-04-17 주식회사 아모럭스 아치형 하우징 및 그를 이용한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2860B2 (ja) * 1995-03-22 2001-04-03 株式会社東芝 直交周波数分割多重変調方式を適用した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JP2011154946A (ja) * 2010-01-28 2011-08-11 Sanyo Electric Co Ltd 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620A (ko)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4579B2 (en) Edge-lit lighting device
JP5525595B2 (ja) 周囲照明光と作業光とを兼ね備えた照明器具
EP2122235B1 (en) Lighting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lamp and at least one oled
US9683721B2 (en) Lighting system with angled LED arrays
US9404646B2 (en) Lighting system with angled LED arrays
US9810410B1 (en) LED light having LED cluster arrangements
WO2007127104A3 (en) Solid state luminaires for general illumination
JP2009289709A (ja) 天井直付け形照明装置及び照明装置
JP6293052B2 (ja) 自動設定型省エネルギー照明システム
JP2009104923A (ja) 照明装置
JP6422951B2 (ja) 適応型の天井輝度分布を備える埋め込み式照明天井タイル
KR101999699B1 (ko) 조명 장치
KR20180024597A (ko) 자동 조명 제어기법을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스마트 스탠드
JP2010071085A (ja) シーリングファン
KR20110076399A (ko) Led 조명장치
JP2016106373A (ja) 照明装置
US20140146531A1 (en) Illumination device with combination of discrete light emitting diod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omponents
JP2012204175A (ja) 照明装置及びこの照明装置を用いた照明制御システム
JP6300073B2 (ja) 照明システム
KR101427509B1 (ko) 능동 배광 제어 조명 기구 및 그 제어 방법
KR100920019B1 (ko) 확산형 엘이디 조명 기구
JP6288693B2 (ja) 照明器具および照明装置
KR101772924B1 (ko) 시간지연 소등시스템
KR101657225B1 (ko) 레이스웨이형 엘이디 조명기구
KR102372993B1 (ko) 스마트 평판조명을 이용한 조명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