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275B1 - 단독주택 및 상가에 적용가능한 지하매립형 스마트 리사이클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사이클링 방법 - Google Patents

단독주택 및 상가에 적용가능한 지하매립형 스마트 리사이클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사이클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275B1
KR101999275B1 KR1020180116528A KR20180116528A KR101999275B1 KR 101999275 B1 KR101999275 B1 KR 101999275B1 KR 1020180116528 A KR1020180116528 A KR 1020180116528A KR 20180116528 A KR20180116528 A KR 20180116528A KR 101999275 B1 KR101999275 B1 KR 101999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chip
unit
collected
charco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익
안한근
김성수
양경진
Original Assignee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토지주택공사 filed Critical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to KR1020180116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2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275B1/ko
Priority to PCT/KR2019/012778 priority patent/WO202006785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B09B1/008Subterranean disposal, e.g. in boreholes or subsurface fra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으로는 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한 폐기물 배출장치를 구성하고, 지하로는 폐기물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관로를 구성함으로써 가정 및 상가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의 이송-집하-처리의 과정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여, 폐기물 적재로 인한 도시미관 저해, 악취 및 미세먼지의 발생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폐기물 배출장치를 폐기물의 종류별로 구분하여 구성하며, 각각의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전처리 과정을 통하여 자원화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폐기물 집하시설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단독주택 및 상가에 적용가능한 지하매립형 스마트 리사이클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사이클링 방법{SMART RECYCLING APPARATUS FOR UNDERGROUND RECLAMATION APPLICABLE TO DETACHED HOUSE AND COMMERCIAL AREA AND RECYCL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독주택 및 상가에 적용가능한 지하매립형 스마트 리사이클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사이클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지하 내부에 폐기물 전처리시설 및 폐기물 이송관을 구비함으로써, 지상에서 폐기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차량과 함께 별도의 폐기물 처리시설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한 단독주택 및 상가에 적용가능한 지하매립형 스마트 리사이클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사이클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독주택 단지나 상가가 밀집된 지역에서는 일반쓰레기, 재활용쓰레기 및 음식물쓰레기를 포함하는 폐기물을 버리기 위한 별도의 구역과 함께 쓰레기 수거일을 지정하여 배출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각 가정 및 상가에서 배출된 폐기물은 수거일이 되면 수거차량에 의해 폐기물이 수거된 후, 별도의 처리장소로 이송되어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소각, 매립, 재활용 등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폐기물 배출방식은 각종 폐기물 등이 외부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주변 환경의 미관이 저해되며, 폐기물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 및 여름철에는 벌레 및 악취가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폐기물이 배출된 배출구역은 폐기물로 인하여 도로오염과 함께 미세먼지 및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지상으로부터 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한 폐기물 투입장치를 설치하여 폐기물을 배출하게 되며, 투입장치로부터 투입되는 폐기물은 지하에 매설된 이송관로를 따라 별도의 장소에 마련된 집하장으로 이송된 후,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재분류 작업을 실시하여 처리하는 이른바 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은 지하에 매설된 이송관로를 따라 폐기물이 이송되기 때문에, 수거차량을 이용한 이송과정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송과정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 악취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며, 배출구역에 폐기물이 쌓이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도시미관 및 위생이 향상되어지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은 수거 및 이송과정을 생략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이송된 폐기물을 집하시키기 위한 집하장소를 별도로 마련해야하며, 집하된 폐기물을 대상으로 다시 재분류하여 소각, 매립, 재활용 등의 처리과정을 다시 진행해야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가정 및 상가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을 신속하여 수거함과 동시에 전처리함으로써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것이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단독주택 및 상가에 적용가능한 지하매립형 스마트 리사이클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사이클링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69014호 (2018.06.12.) 한국등록특허 제10-1625332호 (2016.05.23.)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상의 폐기물 투입장치로부터 투입되는 폐기물을 수거함과 동시에 전처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별도의 폐기물 집하시설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며, 각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자원화하는 것이 가능한 단독주택 및 상가에 적용가능한 지하매립형 스마트 리사이클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사이클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상으로는 단독주택 및 상가로부터 발생되는 음식물 폐기물을 수거하는 음식물 폐기물 수거장치와, 가연성 폐기물을 수거하는 가연성 폐기물 수거장치로 구성된 폐기물 수거장치와, 지하에는 음식물 폐기물을 전처리하는 음식물 폐기물 전처리시설과, 가연성 폐기물을 전처리하는 가연성 폐기물 전처리시설로 구성된 전처리 시설과, 소정의 장소에 구성된 집하시설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전처리된 음식물 폐기물을 이송시키는 음식물 폐기물 이송관로와, 전처리된 가연성 폐기물을 이송시키는 가연성 폐기물 이송관로로 구성된 이송관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주택 및 상가에 적용가능한 지하매립형 스마트 리사이클링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폐기물 수거장치로부터 폐기물이 수거되는 수거단계와, 상기 폐기물 수거장치와 연결된 전처리 시설로 폐기물이 집하되는 집하단계와, 상기 전처리 시설에 폐기물을 소정의 크기만큼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상기 폐기물을 음식물 폐기물로 분류하여 미생물칩과 교반하는 미생물칩 교반단계와, 상기 미생물칩과 교반된 폐기물을 기설정된 시간만큼 발효하는 발효단계와, 상기 전처리 시설과 연결된 이송관로로 폐기물을 투출하는 투출단계와, 이송관로를 따라 폐기물이 이송되어 별도의 집하장소로 이송되어 처리되는 집하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주택 및 상가에 적용가능한 지하매립형 스마트 리사이클링 장치를 이용한 리사이클링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지상으로는 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한 폐기물 배출장치를 구성하고, 지하로는 폐기물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관로를 구성함으로써 가정 및 상가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의 이송-집하-처리의 과정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여, 폐기물 적재로 인한 도시미관 저해, 악취 및 미세먼지의 발생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폐기물 배출장치를 폐기물의 종류별로 구분하여 구성하며, 각각의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전처리 과정을 통하여 자원화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폐기물 집하시설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독주택 및 상가에 적용가능한 지하매립형 스마트 리사이클링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독주택 및 상가에 적용가능한 지하매립형 스마트 리사이클링 장치의 전체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독주택 및 상가에 적용가능한 지하매립형 스마트 리사이클링 장치의 폐기물 수거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독주택 및 상가에 적용가능한 지하매립형 스마트 리사이클링 장치의 음식물 폐기물 전처리시설을 도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독주택 및 상가에 적용가능한 지하매립형 스마트 리사이클링 장치의 가연성 폐기물 전처리시설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독주택 및 상가에 적용가능한 지하매립형 스마트 리사이클링 장치의 리사이클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선호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매립형 스마트 리사이클링 장치의 상세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 및 도 2에 따른 본 발명은 폐기물 수거장치(A), 전처리 시설(B) 및 이송관로(C)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폐기물 수거장치(A), 전처리 시설(B) 및 이송관로(C)는 폐기물(W)의 종류에 따라 분리되어 구성되며, 상기 폐기물(W)은 음식물 폐기물과 가연성 폐기물로 구분되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음식물 폐기물을 대상으로 수거-처리-이송하기 위하여 음식물 폐기물 수거장치(100), 음식물 폐기물 전처리시설(300) 및 음식물 폐기물 이송관로(500)와, 가연성 폐기물을 대상으로 수거-처리-이송하기 위하여 가연성 폐기물 수거장치(200), 가연성 폐기물 전처리시설(400) 및 가연성 폐기물 이송관로(600)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폐기물 수거장치(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 210), 투입부(120, 220) 및 제어표시부(130, 230)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몸체부(110, 210)는 속이 빈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상으로 돌출되어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110, 210)의 소정의 위치에는 내부로 폐기물(W)이 투입되어지도록 개폐되는 투입부(120, 220)가 구성되어진다.
상기 제어표시부(130, 230)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폐기물 수거장치(A)의 작동제어 및 전처리 시설(B)의 진행상황이 표시되어진다.
사용자가 제어표시부(130, 230)의 조작부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투입부(120, 220)가 자동제어되어 개방되며, 상기 몸체부(110, 210) 내부로 폐기물(W)을 투입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전처리 시설(B)로 폐기물(W)을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몸체부(110, 210)는 내부에 폐기물(W)이 수거되어지기 위한 중공의 관 형상으로 구성된 수거부(111, 211)와, 상기 수거부(111, 211)의 하측단부에는 제어표시부(130, 230)의 제어장치에 의해 자동개폐되어지는 제1 개폐부(112, 212) 및 상기 제1 개폐부(112, 212)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 개폐부(113, 213)가 구성되어진다.
상기 제1 개폐부(112, 212)는 폐기물(W)의 무게를 감지하며, 제2 개폐부(113, 213)는 전처리 시설(B)로부터 발생되는 악취 및 해충의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 개폐부(112, 212)와 제2 개폐부(113, 213)는 제어표시부(130, 230)의 제어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어진다.
제1 개폐부(112, 212)의 상면에 폐기물(W)이 안착되어지면 폐기물(W)의 무게가 감지되며 제어장치에 의해 제1 개폐부(112, 212)가 개방되어진다.
상기 제1 개폐부(112, 212)의 개방에 의해 제2 개폐부(113, 213)의 상면으로 폐기물(W)이 이동되면, 상기 제1 개폐부(112, 212)는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상기 제2 개폐부(113, 213)는 제1 개폐부(112, 212)가 닫히게 되는 시간으로부터 제어장치에 미리 기설정된 시간간격 만큼 지연되어 자동으로 개방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제1 개폐부(112, 212)와 제2 개폐부(113, 213)가 기설정된 시간간격 만큼 지연되어 개폐되어짐으로써, 몸체부(110, 210)의 외부로는 전처리 시설(B)로부터 발생되는 악취 및 해충의 유입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투입부(120, 220)는 상기 몸체부(110, 210) 내부로 폐기물(W)을 투입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표시부(130, 230)의 제어장치에 의해 폐기물 개폐부(121, 221)가 자동으로 개폐되어진다.
이때 제어장치가 상기 폐기물 개폐부(121, 221)의 개폐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개폐감지부(122, 222)가 구성되어진다.
상기 개폐감지부(122, 222)는 두 개가 한쌍으로 구성되며, 폐기물 개폐부(121, 221)의 하측단부와, 상기 폐기물 개폐부(121, 221)의 하측단부와 접촉되는 상기 몸체부(110, 210)의 내측면에 각각 구성된다.
상기 제어장치는 한쌍의 개폐감지부(122, 222)가 접촉시할 시에는 폐기물 개폐부(121, 221)가 닫힌 상태로 판단하게 되며, 한쌍의 개폐감지부(122, 222)가 비접촉할 시에는 폐기물 개폐부(121, 221)가 개방 상태로 판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어장치가 폐기물 개폐부(121, 221)의 상태를 개방 상태로 판단하게 되면, 제1 개폐부(112, 212)와 제2 개폐부(113, 213)가 개방되지 못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개폐부(112, 212)의 하측단부에는 안전장치부(123, 223)가 추가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안전장치부(123, 223)는 제1 개폐부(112, 212)의 하측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개폐부(112, 212)의 상면에 안착된 폐기물(W)의 무게가 감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전장치부(123, 223)로부터 무게가 감지되면, 제어장치에 기설정된 무게의 미만일 경우에만 상기 안전장치부(123, 223)가 작동되며, 이와 동시에 제1 개폐부(112, 212)가 함께 개방되어진다.
제어장치에 기설정된 무게는 일반적으로 50kg을 기준으로 설정되며, 필요에 따라 제어장치를 통해 더 작거나 높은 수치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일 상기 안전장치부(123, 223)가 기설정된 무게를 초과하는 수치가 감지되어지면, 상기 안전장치부(123, 223)와 함께 제1 개폐부(112, 212)의 작동이 정지되며, 추가적으로 폐기물 개폐부(121, 221)는 개방된 상태로 작동이 정지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한쌍의 개폐감지부(122, 222) 및 안전장치부(123, 223)의 구성을 통하여 몸체부(110, 210) 내부로 사람이 떨어졌을 경우, 이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추락사고와 같은 인명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음식물 폐기물 전처리시설(300)은 도 4와 같이 음식물 폐기물 수거장치(100)가 위치한 지중에 매입되도록 구성되며, 집하부(310), 분쇄배출부(320), 교반부(330) 및 바이오칩 공급부(340)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집하부(3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층 구조로 구성되어지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그 보다 적은 층이나 더 많은 층으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하부(310)가 2층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상층에 구성된 상층 집하부(310)는 내부에 음식물 폐기물 수거장치(100)로부터 수거되는 폐기물(W)이 집하(集荷)되도록 소정의 공간으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기울기(311)가 형성되어 음식물 폐기물이 일정한 장소로 모이도록 유도하게 된다.
상기 상층 집하부(310)에 집하된 폐기물(W)은 분쇄배출부(320)에 의해 소정의 크기만큼 분쇄되어지며, 배출부(312)에 의해 하층에 구성된 하층 집하부(310)로 배출되어진다.
상기 분쇄배출부(320)는 기어형상이나 스크류(screw)로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2개가 한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단일 또는 3개 이상으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집하부(310)의 내부에는 교반부(330)가 구성되며, 360도 회전되는 교반날개(331)가 레일가이드(332)에 의해 이동되어 집하된 폐기물(W)을 교반하게 된다.
상기 하층 집하부(310)의 외부에는 바이오칩 공급부(340)가 구성되어 집하부(310)의 내부로 미생물칩이 공급되어진다.
상기 바이오칩 공급부(340)는 제어장치에 의해 감지된 폐기물(W)의 무게에 따라 대응되는 양만큼의 미생물칩이 공급되며, 상기 분쇄된 폐기물(W)은 교반부(330)에 의해 미생물칩과 교반하게 된다.
상기 바이오칩 공급부(3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하부(310)의 외부에 구성되어진다.
상기 바이오칩 공급부(340)는 미생물칩을 보관하기 위하여 중공의 보관부(341)와, 상기 보관부(341)의 하측단부에는 구동모터(343)에 의해 회전되는 공급스크류(342)가 구성된다.
상기 공급스크류(342)는 집하부(310)의 내부로 연장형성되며, 제어장치의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343)가 작동되며, 상기 구동모터(343)의 회전과 연동되어 미생물칩이 공급스크류(342)에 의해 집하부(310) 내부로 공급되어진다.
추가적으로 중공의 관으로 구성된 연결관(345)은 하측단부가 보관부(341)와 연결되고 상측단부가 지상으로 형성된 바이오칩 공급부(344)와 연장형성되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보관부(341)에 보관된 미생물칩이 없을 경우, 상기 바이오칩 공급부(344)로 미생물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미생물칩과 교반된 폐기물(W)은 제어장치에 의해 기설정된 시간만큼 하부 집하부(310)에 머무르게 되며, 이때 미생물칩에 의해 폐기물(W)이 발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폐기물(W)이 발효되면, 제어장치는 하부 집하부(310)의 배출부(312)에 구성된 분쇄배출부(320)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배출부(312)와 연결된 음식물 폐기물 이송관로(500)로 폐기물(W)을 투출하게 된다.
상기 음식물 폐기물 이송관로(500)은 소정의 압력에 의해 폐기물(W)을 이송시키게 되며, 음식물 폐기물 이송관로(500)를 따라 별도의 장소에 구성된 집하장소로 이송된다.
상기 집하장소로 이송된 폐기물(W)은 후처리 시설로 보내져 재처리를 거쳐 바이오자원으로 재사용된다.
다음으로 도 6은 가연성 폐기물에 따른 가연성 폐기물 수거장치(200), 가연성 폐기물 전처리시설(400) 및 가연성 폐기물 이송관로(600)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가연성 폐기물 전처리시설(400)은 집하부(410), 분쇄배출부(420), 압축장치(430) 및 목탄칩 공급부(440)로 구성된다.
상기 집하부(410)는 내부에 가연성 폐기물 수거장치(200)로부터 수거되는 폐기물(W)이 집하(集荷)되도록 소정의 공간으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기울기(411)가 형성되어 가연성 폐기물이 일정한 장소로 모이도록 유도하게 된다.
상기 기울기(411)가 모이는 지점으로는 집하된 폐기물(W)의 분쇄 및 다음 처리단계로 배출시키기 위한 분쇄배출부(420)가 구성된다.
상기 집하부(410)의 외부에는 목탄칩 공급부(440)가 구성되어 집하부(410)의 내부로 목탄칩이 공급되어진다.
상기 목탄칩 공급부(4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탄칩을 보관하기 위하여 중공의 보관부(441)와, 상기 보관부(441)의 하측단부에는 구동모터(443)에 의해 회전되는 공급스크류(442)가 구성된다.
상기 공급스크류(442)는 집하부(410)의 내부로 연장형성되며, 제어장치의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443)가 작동되며, 상기 구동모터(443)의 회전과 연동되어 목탄칩이 공급스크류(442)에 의해 집하부(410) 내부로 공급되어진다.
상기 목탄칩 공급부(440)에 의해 목탄칩이 공급된 집하부(410)는 상기 목탄칩과 폐기물(W)이 분쇄배출부(420)에 의해 분쇄됨과 동시에 교반되어진다.
상기 폐기물(W)은 압축장치(430)에 의해 소정의 크기만큼 압축되어진 후, 가연성 폐기물 이송관로(600)를 따라 별도의 장소에 구성된 집하장소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443)와 압축장치(430)는 제어표시부(130, 230)에 구성된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며, 투입되는 폐기물(W)의 양에 따라 회전속도가 제어된다.
상기 집하장소로 이송된 폐기물(W)은 후처리 시설로 보내져 재처리를 거쳐 연료자원으로 재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단독주택 및 상가에 적용가능한 지하매립형 스마트 리사이클링 장치는 도 8에 도시된 순서도와 같은 처리과정을 통하여 리사이클링 된다.
상기와 같은 리사이클링 방법은 음식물 폐기물과 가연성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방법으로 처리된다.
음식물 폐기물은 폐기물 수거장치(A)로부터 폐기물(W)이 수거되는 수거단계(S100), 상기 폐기물 수거장치(A)와 연결된 전처리 시설(B)로 폐기물이 이동되어 집하되는 집하단계(S110), 상기 전처리 시설(B)에 집하된 폐기물(W)을 소정의 크기만큼 분쇄하기 위한 분쇄단계(S120), 상기 폐기물(W)이 음식물 폐기물일 경우에는 바이오칩 공급부(340)를 통하여 미생물을 공급하고, 공급된 미생물과 음식물 폐기물이 교반되는 미생물칩 교반단계(S130a), 상기 미생물칩과 교반된 폐기물(W)은 제어장치에 기설정된 시간만큼 집하부(310)에 머물러 발효되는 발효단계(S140a), 상기 전처리 시설(B)과 연결된 이송관로(C)로 상기 폐기물(W)이 투출되어지는 투출단계(S150) 및 상기 이송관로(C)를 따라 폐기물이 이송되며, 별도의 집하장소로 이송되어 처리되는 집하처리단계(S160)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폐기물(W)이 가연성 폐기물일 경우에는, 상기 분쇄단계(S120)이후, 폐기물(W)이 목탄칩과 교반하는 목탄칩 교반단계(S130b), 상기 목탄칩과 교반된 폐기물(W)을 대상으로 하여, 압축장치(430)를 이용하여 압축하는 압축단계(S140b)의 처리단계를 거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폐기물 수거장치(A), 전처리 시설(B) 및 이송관로(C)를 구성함으로써, 폐기물(W)의 처리에 따른 이송-집하-처리과정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며, 지상 별도의 공간에 폐기물(W)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공간을 생략함으로써 폐기물(W)로부터 발생되는 악취 및 해충의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버려지는 폐기물(W)을 대상으로 음식물 폐기물은 바이오자원으로 재가공하며, 가연성 폐기물은 연료자원으로 재가공함으로써 폐자원(W)의 리사이클링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행할 수 있을 것이다.
A : 폐기물 수거장치 B : 전처리 시설
C : 이송관로

Claims (6)

  1. 지상에 구성되어 음식물 폐기물과 가연성 폐기물로 구성되는 폐기물(W)을 수거하는 음식물 폐기물 수거장치(100)와, 가연성 폐기물 수거장치(200)로 구성되는 폐기물 수거장치(A)와; 지하에 구성되어 수거된 폐기물(W)을 전처리하는 전처리 시설(B); 및 상기 전처리 시설(B)과 연결되어 전처리된 폐기물(W)을 이송하여 수거-처리-이송이 가능한 단독주택 및 상가에 적용가능한 지하매립형 스마트 리사이클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리사이클링 장치는
    상기 폐기물 수거장치(A)는
    중공의 몸체부(110, 210)와, 상기 몸체부(110, 210)의 내부로 폐기물(W) 투입되도록 개폐되는 투입부(120, 220)와,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투입부(120, 220)가 개방되도록 자동제어가 가능하며, 폐기물 수거장치(A)의 작동제어 및 전처리 시설(B)의 진행상황이 표시되는 제어표시부(130, 23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110, 210)는
    내부에 폐기물(W)이 수거되기 위한 중공 관 형상의 수거부(111, 211)와, 상기 수거부(111, 211)의 하측단부에는 제어표시부(130, 230)의 제어장치에 의해 자동개폐되며, 상면에 안착되는 폐기물(W)의 무게를 감지하는 제1 개폐부(112, 212) 및 상기 제1 개폐부(112, 212)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며, 제1 개폐부(112, 212)가 닫히게 되는 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간격 만큼 지연되어 자동으로 개방되는 제2 개폐부(113, 213)를 포함하며,
    상기 투입부(120, 220)는
    상기 몸체부(110, 210)의 내부로 폐기물(W)이 투입되어지도록 제어표시부(130, 230)의 제어장치에 의해 자동개폐되는 폐기물 개폐부(121, 221)와, 한쌍으로 구성되어 접촉 또는 비접촉 상태에 따라 상기 폐기물 개폐부(121, 221)의 개폐상태가 감지되는 개폐감지부(122, 222)와, 상기 제1 개폐부(112, 212)의 하측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며, 제1 개폐부(112, 212)의 상면에 안착되는 폐기물(W)의 무게가 감지되며, 기설정된 무게 미만일 경우에만 작동되는 안전장치부(123, 223)를 포함하며,
    상기 전처리 시설(B)은
    수거된 음식물 폐기물을 분쇄, 미생물칩과 교반 및 미생물칩에 의한 발효과정을 거처 전처리하는 음식물 폐기물 전처리 시설(300)과, 수거된 가연성 폐기물을 분쇄, 목탄칩과 교반, 목탄칩과 분쇄된 폐기물을 압축하는 가연성 폐기물 전처리 시설(400)을 포함하며,
    이송관로(C)는
    전처리 시설(B)에 의해 전처리된 폐기물(W)이 별도의 집하장소로 이송되는 음식물 폐기물 이송관로(500) 및 가연성 폐기물 이송관로(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주택 및 상가에 적용가능한 지하매립형 스마트 리사이클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폐기물 전처리시설(300)은
    음식물 폐기물 수거장치(100)로부터 수거되는 폐기물(W)이 내부에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기울기(311)로 인해 일정한 장소로 모이도록 유도되어 배출부(312)로 배출되는 집하부(310)와, 상기 집하부(310)에 집하된 폐기물(W)이 소정의 크기만큼 분쇄되어지도록 기어형상 또는 스크류(screw)로 구성되는 분쇄배출부(320)와, 상기 집하부(310)의 내부에 구성되어 레일가이드(332)를 따라 이동되며 360도 회전되는 교반날개(331)에 의해 집하된 폐기물(W)을 교반하는 교반부(330)와, 제어장치에 의해 감지된 폐기물(W)의 무게에 따라 대응되는 양만큼의 미생물칩이 집하부(310)의 내부로 공급되어지는 바이오칩 공급부(340)을 포함하며,
    상기 바이오칩 공급부(340)는
    미생물칩이 보관되는 보관부(341)와, 상기 보관부(341)의 하측단부에 구성되어 집하부(310) 내부로 연장형성되어 미생물칩이 상기 집하부(310)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급스크류(342)와, 제어장치의 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공급스크류(342)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43)와,상기 보관부(341)의 내부로 미생물칩을 공급하는 바이오칩 공급부(344) 및 중공의 관으로 구성되어 하측단부는 보관부(341)와 연결되며, 상측단부는 상기 바이오칩 공급부(344)와 연결되어 상기 보관부(341)의 내부로 미생물칩이 이동되며,
    상기 미생물칩에 의해 폐기물(W)이 발효되면 제어장치가 분쇄배출부(320)을 작동시키도록 제어하여 음식물 폐기물 이송관로(500)로 폐기물(W)을 투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주택 및 상가에 적용가능한 지하매립형 스마트 리사이클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폐기물 전처리시설(400)은
    가연성 폐기물 수거장치(200)로부터 수거되는 폐기물(W)이 집하되며 내부에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기울기(411)로 인해 일정한 장소로 모이도록 유도하는 집하부(410)와, 집하된 폐기물(W)의 분쇄 및 다음 처리단계로 배출시키는 분쇄배출부(420)와, 상기 배출된 폐기물(W)을 소정의 크기만큼 압축하는 압축장치(430)와, 상기 집하부(410)의 내부로 목탄칩을 공급하는 목탄칩 공급부(440)를 포함하며,
    상기 목탄칩 공급부(440)는
    목탄칩이 보관되는 보관부(441)와, 상기 보관부(441)의 하측단부에는 집하부(410)의 내부로 연장형성되어 목탄칩을 집하부(410) 내부로 공급하는 공급스크류(442)와, 제어장치의 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공급스크류(442)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443)를 포함하며, 상기 목탄칩 공급부(440)로부터 공급된 목탄칩과 집하부(410)에 집하된 폐기물(W)이 분쇄배출부(420)에 의해 분쇄됨과 동시에 교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주택 및 상가에 적용가능한 지하매립형 스마트 리사이클링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단독주택 및 상가에 적용가능한 지하매립형 스마트 리사이클링 장치를 이용한 리사이클링 방법은
    폐기물 수거장치(A)로부터 폐기물(W)이 수거되는 수거단계(S100)와,
    폐기물 수거장치(A)와 연결되어 전처리 시설(B)로 폐기물(W)이 이동되어 집하되는 집하단계(S110)와,
    전처리 시설(B)에 집하된 폐기물(W)을 분쇄하는 분쇄단계(S120)와,
    상기 폐기물(W)이 음식물 폐기물일 경우에는 바이오칩 공급부(340)로부터 미생물칩을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미생물칩과 음식물 폐기물이 교반되는 미생물칩 교반단계(S130a)와,
    미생물칩과 교반된 음식물 폐기물이 제어장치의 기설정된 시간만큼 집하부(310)에 머물러 발효되는 발효단계(S140a)와,
    전처리 시설(B)와 연결된 이송관로(C)를 통하여 상기 음식물 폐기물이 투출되는 투출단계(S150) 및
    이송관로(C)를 따라 폐기물이 이송되어 별도의 집하장소로 이송되어 처리되는 집하처리단계(S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용가능한 지하매립형 스마트 리사이클링 장치를 이용한 리사이클링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W)이 가연성 폐기물일 경우에는 상기 분쇄단계(S120)를 통하여 분쇄된 폐기물이 목탄칩 공급부(440)로부터 공급받은 목탄칩과 교반되는 목탄칩 교반단계(S130b)와,
    상기 목탄칩과 교반된 가연성 폐기물은 압축장치(430)로 인해 압축되는 압축단계(S140b)의 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용가능한 지하매립형 스마트 리사이클링 장치를 이용한 리사이클링 방법.
  6. 삭제
KR1020180116528A 2018-09-28 2018-09-28 단독주택 및 상가에 적용가능한 지하매립형 스마트 리사이클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사이클링 방법 KR101999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528A KR101999275B1 (ko) 2018-09-28 2018-09-28 단독주택 및 상가에 적용가능한 지하매립형 스마트 리사이클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사이클링 방법
PCT/KR2019/012778 WO2020067851A1 (ko) 2018-09-28 2019-09-30 단독주택 및 상가에 적용가능한 지하매립형 스마트 리사이클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사이클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528A KR101999275B1 (ko) 2018-09-28 2018-09-28 단독주택 및 상가에 적용가능한 지하매립형 스마트 리사이클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사이클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275B1 true KR101999275B1 (ko) 2019-07-11

Family

ID=67254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528A KR101999275B1 (ko) 2018-09-28 2018-09-28 단독주택 및 상가에 적용가능한 지하매립형 스마트 리사이클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사이클링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99275B1 (ko)
WO (1) WO202006785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7851A1 (ko) * 2018-09-28 2020-04-02 한국토지주택공사 단독주택 및 상가에 적용가능한 지하매립형 스마트 리사이클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사이클링 방법
CN113060437A (zh) * 2021-03-13 2021-07-02 定州康拓科技有限公司 城市社区的智能垃圾分类回收系统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391Y1 (ko) * 2004-12-16 2005-03-18 권상동 음식물 쓰레기 소멸화 처리 시설
KR101031403B1 (ko) * 2010-12-27 2011-04-26 한국토지주택공사 음식물쓰레기 2상 복합 바이오 처리장치
KR101208374B1 (ko) * 2010-06-29 2012-12-05 주식회사 이메닉스 관로형 쓰레기 이송 시스템의 종량 수거 장치 및 방법
KR101316712B1 (ko) * 2012-07-13 2013-10-10 (주)녹색환경 생활폐기물을 이용한 고효율 고체연료의 제조방법
KR101546769B1 (ko) * 2014-12-05 2015-08-24 주식회사 멈스전자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119713A (ko) * 2014-04-16 2015-10-26 코웨이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전처리부 및 그 동작 방법
KR101625332B1 (ko) 2015-07-30 2016-06-07 정택종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화 처리기기를 이용한 쓰레기 자동집하 장치
KR101869014B1 (ko) 2017-12-11 2018-06-20 브니엘 네이처 주식회사 응축수 자동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275B1 (ko) * 2018-09-28 2019-07-11 한국토지주택공사 단독주택 및 상가에 적용가능한 지하매립형 스마트 리사이클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사이클링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391Y1 (ko) * 2004-12-16 2005-03-18 권상동 음식물 쓰레기 소멸화 처리 시설
KR101208374B1 (ko) * 2010-06-29 2012-12-05 주식회사 이메닉스 관로형 쓰레기 이송 시스템의 종량 수거 장치 및 방법
KR101031403B1 (ko) * 2010-12-27 2011-04-26 한국토지주택공사 음식물쓰레기 2상 복합 바이오 처리장치
KR101316712B1 (ko) * 2012-07-13 2013-10-10 (주)녹색환경 생활폐기물을 이용한 고효율 고체연료의 제조방법
KR20150119713A (ko) * 2014-04-16 2015-10-26 코웨이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전처리부 및 그 동작 방법
KR101546769B1 (ko) * 2014-12-05 2015-08-24 주식회사 멈스전자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625332B1 (ko) 2015-07-30 2016-06-07 정택종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화 처리기기를 이용한 쓰레기 자동집하 장치
KR101869014B1 (ko) 2017-12-11 2018-06-20 브니엘 네이처 주식회사 응축수 자동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7851A1 (ko) * 2018-09-28 2020-04-02 한국토지주택공사 단독주택 및 상가에 적용가능한 지하매립형 스마트 리사이클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사이클링 방법
CN113060437A (zh) * 2021-03-13 2021-07-02 定州康拓科技有限公司 城市社区的智能垃圾分类回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67851A1 (ko) 2020-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uran et al. Municipal solid waste management strategies in Turkey
KR101999275B1 (ko) 단독주택 및 상가에 적용가능한 지하매립형 스마트 리사이클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사이클링 방법
CN103318582B (zh) 自动分类垃圾桶
CN105436188B (zh) 垃圾分类处理系统及其使用方法
CN101332465A (zh) 城市生活垃圾综合处理并生产rdf的方法及装置
CN111069242A (zh) 厨余垃圾处理装置
KR101765139B1 (ko) 볼밸브를 이용한 주방용 음식물쓰레기 종량 투입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
CN110436073A (zh) 一种厨余垃圾粉碎回收再利用机构
KR101464347B1 (ko) 음식물류폐기물의 종량제 수거장치
CN103624061B (zh) 生活厨余垃圾收集处理系统
CN215440260U (zh) 一种社区厨余垃圾处理发酵装置
CN110002141A (zh) 一种智能垃圾分类与回收装置
KR102358780B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 시스템
KR101999269B1 (ko) 폐자원 스마트리사이클링 통합관리시스템
KR20090106032A (ko) 음식물 쓰레기 저장 호퍼
KR102132793B1 (ko) 재순환 방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07983496A (zh) 基于生活垃圾使用的粉碎设备
CN213376840U (zh) 一种建筑场地用垃圾处理装置
KR102132787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재순환 방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08554489U (zh) 一种新型生活垃圾回收装置
CN205341482U (zh) 农村垃圾分类处理装置
KR101946897B1 (ko) 일반폐기물 대용량 저류조
CN104525548B (zh) 一种高效微生物菌群处理垃圾的设备和方法
CN107971114A (zh) 一种加快对垃圾处理速度的实现方法
KR20040026452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