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189B1 - 소구경 추진공법 - Google Patents

소구경 추진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189B1
KR101999189B1 KR1020180087020A KR20180087020A KR101999189B1 KR 101999189 B1 KR101999189 B1 KR 101999189B1 KR 1020180087020 A KR1020180087020 A KR 1020180087020A KR 20180087020 A KR20180087020 A KR 20180087020A KR 101999189 B1 KR101999189 B1 KR 101999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ulsion
casing
support
vertical
exca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택규
윤홍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평
Priority to KR1020180087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1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00Sinking shafts
    • E21D1/03Sinking shafts mechanically, e.g. by loading shovels or loading buckets, scraping devices, conveying screw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1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 E01C23/12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with power-driven tools, e.g. oscillated hammer apparatu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00Sinking shafts
    • E21D1/08Sinking shafts while moving the lining downward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5/00Lining shafts; Linings therefor
    • E21D5/04Lining shafts; Linings therefor with brick, concrete, stone, or similar build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03Arrangement of measur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use during driving of tunnels, e.g. for guiding machines
    • E21D9/004Arrangement of measur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use during driving of tunnels, e.g. for guiding machines using light beams for direction or position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0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 E21D9/1006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with rotary cutting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2Devices for removing or hauling away excavated material or spoil; Working or loading platforms
    • E21D9/124Helical convey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구경 추진공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수직굴착이 이루어지면서 수직케이싱이 삽입되도록 하여 지반침하가 방지되는 추진구 및 도달구의 작업공정이 단축되고, 추진구에서 도달구로의 굴진작업시 추진부에 의해 신설관이 연속 압입되어 관로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소구경 추진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직굴착기의 굴착부에 수직케이싱이 거치되는 케이싱 거치단계; 굴착부에 의해 지반이 수직굴착되면서 수직홀이 형성됨과 동시에, 수직홀내로 수직케이싱이 굴착부와 함께 하강이동되는 굴착단계; 굴착단계 후, 굴착부로부터 수직케이싱이 수직홀내에 분리안착되어 수직케이싱이 압입된 추진구 및 도달구가 형성되는 케이싱 설치단계; 케이싱 설치단계 후, 수직케이싱을 통해 굴착부가 지상으로 인양되고, 추진구내에는 수직케이싱의 하단에 버림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버림콘크리트 타설단계; 추진구에서 도달구 방향으로 추진기의 추진력발생부에 연결된 추진부가 추진압입되는 추진단계; 추진단계 후, 추진기의 추진력발생부와 추진부 사이에 신설관 및 배토부가 연결설치되고, 신설관 및 배토부가 연결설치된 추진부가 추진되어 추진구에서 도달구까지 신설관이 압입설치되는 재추진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구경 추진공법{Driving method}
본 발명은 소구경 추진공법에 관한 것으로, 수직케이싱이 거치된 굴착부에 의해 수직홀이 형성되면서 수직케이싱이 삽입설치되어 추진구 및 도달구가 형성되고, 추진구에서 도달구 방향으로 신설관이 연결설치된 추진부의 압입에 의해 관로내로 신설관이 압입설치되어, 작업성을 개선시킨 소구경 추진공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인구 및 경제거점의 집중현상이 대도시를 중심으로 가속화되고 국내 행정구역 분류가 광역화되면서 상 하수도, 통신, 전력, 도시가스 등 경제생활과 직접 관련된 각종 관로들에 대해 지하공간의 입체적 이용의 필요성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상 하수도, 통신, 전력, 도시가스등의 관로 공사는 개착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도심 시가지내를 개착 공법으로 굴착하여 관로를 매설 하는데 교통장해가 클 뿐 아니라 각종 민원 발생 등의 이유로 도로를 개착하여 시공하는 공법에 많은 규제가 발생되고 있다.
특히 교통량이 많은 도로나 번화가, 주택 밀집지역 및 인접지역을 비롯하여 차량 전용도로와 고속도로, 철로, 제방 및 하천 횡단등과 같은 관로 부설공사시에는 개착공법에 많은 규제가 발생되고 있어, 최근에는 비굴착 추진공법에 대한 관로시공이 증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비굴착 추진공법이란 도로 및 철도 터널, 지하도, 공동구(共同溝), 도수(導水)터널, 배수구 등 각종 지하구조물의 시공시, 공사구간의 개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구조물 종단의 시점 또는 종점에 토류벽(土留壁) 및 반력벽(反力壁)이 설치된 발진작업구와 도달작업구를 구성하고 유압실린더 등의 추진장치를 통하여 강제(鋼製) 관체인 추진관을 압입 추진하며 추진관 내부의 토사를 굴착하는 공법을 말한다.
종래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추진공법은 추진구내에 설치된 추진장치의 모터 회전력을 샤프트축을 이용해 전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추진거리가 길어질수록 지반과 신설관, 스크류등 각종장치와 신설관 등의 여러 저항과 편심을 가지게 되어 큰 힘이 필요하게 되므로, 결국 추진거리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의 비굴착 추진공법은 추진구 및 도달구의 형성시, 지반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추진구 및 도달구에 시트파일(가시설)을 항타설치하고, 이에 띠장과 버팀보를 용접설치한 후, 외부에는 차수용 그라우팅을, 내부에는 소정두게의 반력벽을 콘크리트로 형성하고 있어, 추진구 및 도달구의 형성에 많은 인력과 작업시간 및 건설자재가 소요되어 전체 공사비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비굴착 추진공법은 굴착된 흙을 일단 공사현장에 쌓아놓아야 하기 때문에 그 쌓아놓은 흙이 도로를 점거하게 되어 차량 통행을 방해하게 될 뿐만 아니라 굴착된 흙이 공사현장 주변에 사방으로 흩어지게 되고, 또 굴토된 흙에 물기가 있을 경우에는 진흙탕물이 도로로 흘러서 공사현장 주변을 더욱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종래의 비굴착식 추진공법은 가시설물이 설치된 추진구 및 도달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되어 있어, 공사기간 동안 차량의 통행이 거의 불가능하게 되며, 이로 인해 공사가 끝날때까지 도로차선이 차단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476907(2005.03.07)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814711(2008.03.12)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869932(2008.11.17)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57117(2010.05.03)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굴착이 이루어지면서 수직케이싱이 삽입되도록 하여 지반침하가 방지되는 추진구 및 도달구의 작업공정이 단축되고, 추진구에서 도달구로의 굴진작업시 추진부에 의해 신설관이 연속 압입되어 관로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소구경 추진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직굴착기의 굴착부에 수직케이싱이 거치되는 케이싱 거치단계; 굴착부에 의해 지반이 수직굴착되면서 수직홀이 형성됨과 동시에, 수직홀내로 수직케이싱이 굴착부와 함께 하강이동되는 굴착단계; 굴착단계 후, 굴착부로부터 수직케이싱이 수직홀내에 분리안착되어 수직케이싱이 압입된 추진구 및 도달구가 형성되는 케이싱 설치단계; 케이싱 설치단계 후, 수직케이싱을 통해 굴착부가 지상으로 인양되고, 추진구내에는 수직케이싱의 하단에 버림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버림콘크리트 타설단계; 추진구에서 도달구 방향으로 추진기의 추진력발생부에 연결된 추진부가 추진압입되는 추진단계; 추진단계 후, 추진기의 추진력발생부와 추진부 사이에 신설관 및 배토부가 연결설치되고, 신설관 및 배토부가 연결설치된 추진부가 추진되어 추진구에서 도달구까지 신설관이 압입설치되는 재추진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시트파일에 의해 조성되는 추진구와 도달구가 수직케이싱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추진구와 도달구의 형성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추진구 및 도달구의 형성시, 굴토부에 의한 굴토작업이 이루어지면서 수직케이싱이 굴토부에 의해 삽입되도록 되어 있어, 시트파일, 버팀목 및 띠장 설치가 불필요하며, 이로 인해 작업시간이 단축될 뿐 아니라,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추진구 및 작업구내에 설치된 수직케이싱에 의해 지반침하가 방지됨과 동시에, 추진구내에 콘크리트에 의한 반력벽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고, 수직케이싱에 의해 차수가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그라우팅 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추진구에서 도달구로의 굴진작업시, 추진부에 신설관이 연결되어 자동추진되므로, 천공 후 별도로 신설관을 삽입하는 공정이 없으며, 굴진작업시 추진부에 연결된 신설관이 회전되지 않아, 신설관의 파손이나 마모가 거의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배토부의 스크류 케이싱 및 스크류가 스페이스 롤러에 의해 신설관내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어, 신설관내로의 배토부 투입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페이스 롤러의 롤러 크기변경에 의해 신설관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신설관내로 배토부를 투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직케이싱의 상단에 복공판을 설치할 수 있어, 야간이나 작업이 업는 경우, 공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차량의 통행을 재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추진구 및 도달구내에 수직케이싱이 설치되어 있어, 수직케이싱을 맨홀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데오라이트 및 데오라이트 타켓을 구비하고 있어, 현재 시공중인 굴진각도가 모니터를 통해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자가 굴진각도를 인식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굴착기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노면 절단상태를 보인 예시도(커터형 절단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싱 거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홀 굴착상태을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싱 안착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버림콘크리트 타설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복공판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절단기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체형 절단기에 의한 포장노면 절단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굴착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지지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굴착부의 상단부분 상세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굴착부의 하단부분 상세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굴착부의 내면지지대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내면지지대의 평면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버컷컨베이어의 일부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8는 본 발명에 따른 배토판 및 배토스크류의 연결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파쇄기 및 측면파쇄기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0은 본 발명 측면파쇄기 및 파쇄기 슬라이드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터형 절단기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절단기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절단기의 평면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조절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배토스크류 및 신설관의 결합관계를 보인 예시도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굴착기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노면 절단상태를 보인 예시도(커터형 절단기)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싱 거치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홀 굴착상태을 보인 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싱 안착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버림콘크리트 타설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과정을 보인 예시도를,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복공판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절단기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10 은 본 발명의 일체형 절단기에 의한 포장노면 절단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굴착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지지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굴착부의 상단부분 상세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굴착부의 하단부분 상세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굴착부의 내면지지대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내면지지대의 평면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버컷컨베이어의 일부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8 는 본 발명에 따른 배토판 및 배토스크류의 연결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9 는 본 발명에 따른 파쇄기 및 측면파쇄기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0 은 본 발명 측면파쇄기 및 파쇄기 슬라이드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1 은 본 발명에 따른 커터형 절단기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2 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절단기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3 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절단기의 평면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4 는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5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조절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6 은 본 발명에 따른 배토스크류 및 신설관의 결합관계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지반을 소정깊이로 수직굴착함과 동시에 수직케이싱이 압입되어 추진구 및 도달구가 형성되고, 추진부 및 추진기에 의해 굴착작업이 이루어지면서 신설관이 함께 압입되어 굴진과 관로설치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공법이 도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은 수직굴착기(100)의 굴착부(200)에 수직케이싱(400)이 거치되는 케이싱 거치단계; 굴착부(200)에 의해 지반이 수직굴착되면서 수직홀(910)이 형성됨과 동시에, 수직홀(910)내로 수직케이싱(400)이 굴착부(200)와 함께 하강이동되는 굴착단계; 굴착단계 후, 굴착부(200)로부터 수직케이싱(400)이 수직홀(910)내에 분리안착되어 수직케이싱(400)이 압입된 추진구(920) 및 도달구(930)가 형성되는 케이싱 설치단계; 케이싱 설치단계 후, 수직케이싱(400)을 통해 굴착부(200)가 지상으로 인양되고, 추진구(920)내에는 수직케이싱(400)의 하단에 버림콘크리트(940)가 타설되는 버림콘크리트 타설단계; 추진구(920)에서 도달구(930) 방향으로 추진기(500)의 추진력발생부(600)에 연결된 추진부(700)가 추진압입되는 추진단계; 추진단계 후, 추진기의 추진력발생부(600)와 추진부(700) 사이에 신설관(980) 및 배토부(580)가 연결설치되고, 신설관(980) 및 배토부(580)가 연결설치된 추진부(700)가 추진되어 추진구(920)에서 도달구(930)까지 신설관(980)이 압입설치되는 재추진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재추진단계 후, 추진기의 추진부(700)는 도달구(930)를 통해 지상으로 인양되고, 추진기의 추진력발생부(600)는 추진구(920)를 통해 지상으로 인양되는 인양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 거치단계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구 설치지점 및 도달구 설치지점에 위치하도록 지면에 수직굴착기(100)가 각각 설치되고, 수직굴착기의 굴착부(200)에 수직케이싱(400)이 거치된다.
상기 수직케이싱(400)은 원통형상의 강관타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직홀내에 설치되어 차수기능 및 버팀 기능을 구비할 뿐 아니라, 추진기의 추진반력벽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수직케이싱(400)은 굴착부(200)에 거치되어, 수직굴착을 위한 하중을 굴착부(200)에 전달하는 기능도 함께 구비한다.
또한, 상기 수직케이싱(400)은 공사완료후, 맨홀로 사용되거나, 추진구 및 도달구로부터 인양되어 재활용될 수 있다.
상기 수직굴착기(100)는,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형 승하강구동부(300)와, 이동형 승하강구동부(300)에 연결설치되고, 수직케이싱(400)이 거치되며, 파쇄기(290) 및 측면파쇄기(290`)에 의해 지반을 수직굴착하면서 거치된 수직케이싱(400)을 하강이동시키는 굴착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승하강 구동부(300)는 도 1 내지 도 6 및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부(200) 및 수직케이싱(400)을 승하강시킴과 동시에, 굴착부(200)에 하중을 부여하여 굴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굴착부(200)가 일측에 연결설치되고, 유압실린더 등의 구동수단(310)에 의해 굴착부(200)를 상하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하강 구동부(300)는 일측에 수직케이싱을 지지하는 가압지지부(33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압지지부(330)는 도 11 및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 구동부(300)에 일측단이 탈장착되는 지지프레임(331)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수직케이싱의 외면에 접촉지지되는 복수의 가압롤러부(332)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롤러부(332)는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지지롤러(333)가 수직케이싱의 외면에 접촉지지되도록 구성되거나, 지지롤러(333)가 탄성력에 의해 수직케이싱의 외면에 접촉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331)은 볼트/너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승하강 구동부(300) 일측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331)은 승하강 구동부(300)에 연결설치된 가압실린더(334)에 의해 수직케이싱(400)방향으로 가압되어, 지지롤러(333)가 수직케이싱(400)에 유격없이 밀착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압지지부(330)는 수직케이싱(400)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승하강 구동부(300)에 2개가 대칭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승하강 구동부(300)는 그 구성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굴착부(200)에 의한 굴착이 가능할 정도의 하중을 부여하고, 굴착부(200)와 수직케이싱(400)을 상하이동시킬 수 있는 힘을 구비하는 공지의 장비가 사용되어질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승하강 구동부(300)는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체인이 회전되어 체인에 연결된 상부 수평지지대가 승하강되는 보링장비 및 오거장비가 사용되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승하강 구동부(300)는 바퀴, 무한퀘도 등의 이동수단(32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굴착부(200)는, 도 1 내지 도 6 및,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되는 상단수평지지대(210)와, 상단수평지지대(210)의 중앙에 회전가능하도록 수직케이싱(400)을 관통하여 연결설치되고 구동모터(221)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중심회전축(220)과, 중심회전축(220)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설치되어 중심회전축(220)과 함께 회전되는 하단수평지지대(230)와, 하단수평지지대(230)에 연결설치되고 유압에 의해 수평작동되어 수직케이싱의 하단(420)을 받침지지하는 케이싱 지지대(240)와, 하단수평지지대(230)에 연결설치되고 수직케이싱의 내면(410)에 밀착 접촉되는 내면지지대(250)와, 수직케이싱(400)의 상측 외부에 위치하도록 중심회전축(220)에 일체로 연결설치되는 배토판(260)과, 배토판(260)과 하단수평지지대(230)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파쇄토를 배토판(260)으로 이송시키는 버킷컨베이어(270)와, 상단수평지지대(210)에 연결설치되어 배토판(260)으로 배출된 파쇄토를 외부로 이송배출시키는 배토스크류(216)와, 하단수평지지대(230)의 하측에 일체로 연결설치되는 원통형상의 파쇄하우징(280)과, 파쇄하우징(280)에 양단이 회전가능하도록 파쇄하우징내에 설치되는 파쇄기(290)와, 파쇄하우징(280)의 중심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단수평지지대(230)에 연결설치되는 측면파쇄기(290`)를 포함한다.
즉, 상기 굴착부(200)는 승하강 구동부(300)에 연결설치된 상단수평지지대(210)에 중심회전축(220)이 연결설치되고, 상기 중심회전축(220)에 배토판(260), 내면지지대(250), 하단수평지지대(230)가 연결되며, 배토판(260)과 하단수평지지대(230)에 버킷컨베이어(270)가 연결설치되고, 하단수평지지대(230)에 케이싱 지지대(240)와 측면파쇄기(290) 및 파쇄하우징(280)이 연결설치되며, 파쇄하우징(280)에 파쇄기(290)가 연결설치되어, 구동모터(221)에 의한 중심회전축(220)의 회전구동시, 배토판(260), 내면지지대(250), 하단수평지지대(230), 버킷컨베이어(270), 케이싱 지지대(240), 파쇄기(290), 파쇄하우징(280) 및 측면파쇄기(290`)가 일체로 회전되고, 승하강 구동부(300)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단수평지지대(210)는 도 11 및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단이 승하강 구동부(300)에 연결설치되고 구동모터(221)가 설치된 상단수평지지축(211)과, 상단수평지지축(211)에 일체로 연결설치되어 배토스크류(216)가 연결설치되는 수직지지체(212)를 포함한다.
상기 중심회전축(220)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의 구동축(222)에 상단이 연결설치되고, 하단이 하단수평지지대(230)에 연결설치되며, 외부 일측면에 평기어(223)가 소정길이를 구비하며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심회전축(220)은 상단이 구동축(222)에 탈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예로, 상기 중심회전축(220)은 구동모터(221)에 의한 회전작동방향의 역회전방향으로 탈부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구동모터(221)의 역회전에 의해 중심회전축(220)과 구동축(222)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평기어(223)는 내면지지대(250)의 일측이 치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배토판(260)과 하단수평지지대(230)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단수평지지대(230)는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중심회전축(220)의 하단에 다수개가 일체로 연결설치는 하단수평지지축(231)과, 상기 하단수평지지축(231)을 지지하도록 하단수평지지축(231)과 중심회전축(220)에 양단이 연결설치되는 보조지지축(232)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 지지대(240)는 수직케이싱의 하단(420)을 받침지지하는 것으로,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수평지지대의 하단수평지지축(231)에 고정설치되는 유압실린더(241)와, 상기 유압실린더(241)에 의해 수평작동되어 수직케이싱 하단(420)을 받침지지하는 받침대(242)를 포함한다.
상기 내면지지대(250)는 수직케이싱(400)의 전도를 방지하고 회전을 보조해주는 것으로, 도 14 내지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회전축(220)이 관통설치되는 이동하우징(251)과, 중심회전축의 평기어(223)에 치합되도록 이동하우징(251)에 연결설치되고 이동모터(252)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회전기어(253)와, 이동하우징(251)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밀착지지대(254)와, 밀착지지대(254)의 끝단에 스윙회전가능하도록 핀연결되는 밀착대(255)와, 밀착지지대(254)에 연결설치되어 수직케이싱의 내면(410)에 밀착대(255)가 밀착되도록 회전이동시키는 작동실린더(256)를 포함한다.
즉, 상기 내면지지대(250)는 작동실린더(256)의 작동에 의해 핀(255a)을 중심으로 밀착대(255)가 스윙되어 수직케이싱의 내면(410)에 일측이 밀착접촉되며, 작동실린더(256)의 작동력에 의해 수직케이싱의 내면(410)에 대한 접촉지지력이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내면지지대(250)는 회전기어(253)와 평기어(223)의 결합에 의해 밀착지지대(254)가 설치된 이동하우징(251)이 중심회전축(220)을 따라 승하강되고, 밀착지지대(254)에 설치된 작동실린더(256)에 의해 수직케이싱의 내면(410)에 밀착대(255)가 밀착접촉됨으로써, 케이싱 지지대(240)에 거치된 수직케이싱(400)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버킷컨베이어(270)는 도 11, 도 13 내지 도 15 및,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풀리기어(271)에 의해 2줄의 환상체인(272)이 순환되고, 그 사이에 위치하도록 장착된 버킷(273)이 연속순환되어 파쇄기(290) 및 측면파쇄기(290`)에 의해 파쇄된 파쇄토를 배토판(260)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버킷컨베이어(270)는 파쇄토를 수직이송시키는 수직이송라인(274)과, 수직이송라인(274)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일체로 연결설치되어 이송된 파쇄토를 배토판으로 공급하여 낙하시키는 경사이송라인(275)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버킷컨베이어(270)는 풀리기어(271)와 환상체인(272)의 작동에 의해 파쇄토가 담겨진 복수의 버킷(273)이 수직이동라인(274)을 따라 상승이동되고, 경사이송라인(275)을 따라 배토판(260) 상측으로 버킷(273)이 상승이동된 후, 경사이송라인의 최상단을 지나면서 버킷(273)내의 파쇄토가 배토판(260)으로 자유낙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풀리기어(271)는 복수개가 모터에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풀리기어가 모터(276)에 의해 회전구동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버킷컨베이어의 기본 작동구성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버킷컨베이어(270)는 도 14 및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이동부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풀리기어(271a)의 기어축(271b)에 걸림지지턱(271c)이 구비된 회전판(271d)이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판의 걸림지지턱(271c)은 버킷의 일측에 돌출형성된 걸림턱(273a)에 접촉되어 버킷(273)에 의해 파쇄토를 담아올릴 시, 버킷(273)이 뒤로 제껴지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파쇄토의 퍼올림 효율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회전판(271d)에 구비된 걸림지지턱의 회전운동거리(L1)는 일측 버킷의 걸림턱)과 이에 이웃하는 또다른 버킷의 걸림턱 사이거리(L2)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토사를 담아올리는 버킷의 걸림턱(273a)에 회전판의 걸림지지턱(271c)이 지속적으로 접촉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배토판(260)은 버킷컨베이어(270)에 의해 수직이송된 파쇄토가 적재되는 것으로, 도 11, 도 13 및 도 1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이 유지되도록 중심회전축(220)에 연결설치되는 상단배토판(261)과, 상기 상단배토판(261)과 단차를 구비하며 일체로 형성되어 파쇄토가 적재되는 하단배토판(262)을 포함하며, 상기 상단배토판(261)에는 버킷컨베이어(270)가 연결지지되고, 하단배토판(262)에는 배토스크류(216)가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배토판(260)은 원판형상 상단배토판(261)의 둘레를 따라 하단배토판(262)이 단차를 구비하며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단배토판(262)에 적재되는 파쇄토는 상단수평지지대(210)의 일측 즉, 수직지지체(212)에 연결설치된 복수개의 수평고르개(213)에 의해 적재된 파쇄토의 높이가 균일하게 펴지게 된다.
즉, 상기 상단수평지지대(210)에는 도 11 및 도 1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배토판(262)에 적재된 파쇄토의 높이를 균일하게 조절하여 배토스크류(216)에 의한 파쇄토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수평고르개(213)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수평고르개(213)는 하단배토판(262)으로부터 일정높이를 구비하도록 수직지지체(212)에 고정설치되거나, 하단배토판(262)으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를 구비하도록 수직지지체(212)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토스크류(216)는 배토판의 하단배토판(262)에 적재된 파쇄토를 배출컨베이어(800)로 이송하는 것으로, 도 11 및 도 1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수평지지대의 일측 즉, 수직지지체(212)에 스크류모터(217)가 연결설치된 스크류축(218)이 베어링 지지되고, 스크류축(218)의 외부면 둘레를 따라 나선형 스크류(219)가 형성되어 하단배토판(262)에 적재되어 있는 파쇄토를 배출컨베이어(800)로 이송배출시킨다. 이때, 상기 베토스크류(216)는 하단배토판(262)에서 배출컨베이어(800)에 연결되도록 소정길이를 구비하며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토스크류(216)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수직지지체(212)에 칸막이패널(214)이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칸막이패널(214)은 배토판(260)의 회전에 의해 배토스크류(216)로 이송된 파쇄토가 배토판(260)을 따라 더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즉, 상기 칸막이패널(214)은 배토판의 회전방향(A)에 대하여 배토스크류(216)의 후단에 위치하도록 또한 하단배토판(262)에 근접되도록 수직지지체(212)에 설치되어, 배토스크류(216)로 이송된 파쇄토가 배토스크류(216)측에 모이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배출컨베이어(800)는 추진구 또는 도달구의 외측 지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토스크류(216)로부터 이송된 파쇄토를 적재차량(M)으로 이송공급한다.
상기 배출컨베이어(800)는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부(200)의 승하강에 대응하여 기울기가 조절되도록 각도조절부(810)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도조절부(810)는 이동바퀴를 구비하는 조절몸체(820)와, 조절몸체(820)의 일측에 배출컨베이어(800)와 연결설치되는 선단실린더(830)와, 선단실린더(830)와 이격되도록 조절몸체(820)에 설치되고 배출컨베이어(800)에 연결설치되는 후단실린더(840)를 포함하여, 선단실린더(830)와 후단실린더(840)의 높이조절에 의해 배출컨베이어(800)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파쇄하우징(280)은 도 11, 도 14 및 도 1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을 구비하며 하단수평지지대(230)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하단수평지지대(230)에 연결설치되어 있는 긁개(281)에 의해 파쇄기(290) 및 측면파쇄기(290`)에 의한 파쇄토를 파쇄하우징(280)의 중앙으로 긁어모아 버킷컨베이어(270)에 의한 이송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파쇄하우징(280)은 측면파쇄기(290`)가 관통되도록 관통홀(28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쇄기(290)는 도 11, 도 14 및 도 1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파쇄하우징(280)에 양측이 회전가능하도록 지름방향으로 연결설치되어 있으며, 로울러(291)의 외부면에 설치된 복수의 절삭핀(292)에 의해 굴착작업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파쇄기(290)는 내부에 설치된 모터(도시없음)에 의해 회전구동되어 굴착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측면파쇄기(290`)는 도 11, 도 14, 도 20 및 도 2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기 슬라이드부(295)에 의해 하단수평지지대(230)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로울러(291`)의 외부면에 설치된 복수의 절삭핀(292`)에 의해 굴착작업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측면파쇄기(290`) 역시 내부에 설치된 모터에 의해 회전구동되어 굴착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파쇄기 슬라이드부(295)는 하단수평지지대의 하단수평지지축(231)을 따라 측면파쇄기(290`)를 슬라이딩시키는 것으로, 도 20 및 도 2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파쇄기(290`)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상측에 슬라이드돌기(297)가 돌출형성된 지지슬라이드(296)와, 지지슬라이드의 슬라이드돌기(297)가 결합되어 이동되도록 하단수평지지축(231)의 길이방향으로 고정설치된 슬라이드레일(298)과, 하단수평지지축(231)의 일측에 설치되어 지지슬라이드(296)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실린더(299)를 포함한다.
즉, 상기 파쇄기 슬라이드부(295)는 슬라이드 실린더(299)의 작동에 의해 지지슬라이드의 슬라이드돌기(297)가 슬라이드레일(298)을 따라 수평이동되어 측면파쇄기(290`)가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굴착부(200)는 도 14 에 도시된바와 같이, 하단수평지지대(230)에 하단내면지지대(235)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단내면지지대(235)는 수직케이싱의 내면(410)에 접촉지지되어 수직케이싱(400)의 위치를 지지하는 것으로, 로드끝단에 밀착접촉대(236)를 구비하는 지지실린더(237)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굴착부(200)는 수직케이싱(400)의 거치작업시, 굴착부(200)를 수직케이싱(400)내로 삽입하고, 크레인 등에 의해 수직케이싱을 들어올리면서 굴착부의 케이싱 지지대(240)를 작동시켜, 수직케이싱의 하단(420)이 케이싱 지지대의 받침대(242)에 받침지지되도록 한 후, 내면지지대(250) 또는 내면지지대(250) 및 하단내면지지대(235)를 작동시켜 수직케이싱의 내면(410)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측면파쇄기(290`)는 파쇄하우징(280)내에 위치하도록 파쇄기 슬라이드부(295)에 의해 슬라이드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굴착단계는 수직굴착기(100)에 의해 추진구(920) 및 도달구(930)를 굴착하는 단계로,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굴착기의 승하강 구동부(300)에 의한 굴착부(200)의 하강 및, 굴착부(200)에 설치된 파쇄기(290)와 측면파쇄기(290`)의 회전구동에 의해 지반이 수직굴착된다.
이때, 파쇄기(290) 및 측면파쇄기(290`)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파쇄토는, 회전되는 파쇄하우징의 긁개(281)에 의해 버킷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있는 파쇄하우징의 중심방향으로 이동되어 버킷컨베이어(270)에 의해 배토판(260)으로 수직이동된 후, 배토스크류(216)를 통해 배출컨베이어(800)로 이송배출된다.
또한, 상기 측면파쇄기(290`)는 파쇄기 슬라이드부(295)에 의해 파쇄하우징의 관통홀(282)을 통해 수직케이싱(400) 하측에 위치하도록 슬라이드된 상태에서 작동된다. 즉, 상기 파쇄기(290)는 수직홀의 중앙부분을 파쇄하고, 측면파쇄기(290`)는 수직홀의 테두리 부분을 파쇄하여, 수직케이싱(400)이 삽입될 수 있는 소정직경을 구비하는 수직홀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굴착단계시, 수직케이싱(400)은 굴착부(200)와 함께 수직홀(910)내로 삽입되게 된다.
또한, 상기 굴착단계는 포장노면을 절단하는 노면절단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노면절단단계는 도 1, 도 2, 도 9 및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굴착기의 굴착부(200) 하단에 포장노면 절단기(350)가 설치되는 절단기 설치단계; 포장노면 절단기(350)에 의해 포장노면이 절단되는 노면절단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포장노면 절단기(350)는 굴착부의 측면파쇄기(290`)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커터형 절단기(360) 또는, 굴착부의 파쇄하우징(280)에 연결설치되어 작동되는 일체형 절단기(370)를 포함한다.
상기 커터형 절단기(360)는 측면파쇄기(290`)와 함께 구동되는 것으로, 도 1, 도 2, 도 2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파쇄기의 롤러축(293`)에 회전기어(361)가 연결설치되어 일체로 작동되고, 회전기어(361)의 구동력이 작동기어(362)에 전달되며, 작동기어(362)의 회전에 의해 커터(363)가 회전구동되어 포장노면(900)이 파쇄절단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회전기어(361) 및 작동기어(362)는 기어지지대(364)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어지지대(364)는 파쇄기 슬라이드부(295)의 지지슬라이드(296) 일측에 볼트 등에 의해 고정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커터형 절단기(360)는 측면파쇄기(290`) 및 파쇄기 슬라이드부(295)에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굴착부의 작동시, 측면파쇄기(290`)가 설치된 하단수평지지대(230)와 일체로 회전되어 포장노면(900)을 절단하게 된다.
상기 일체형 절단기(370)는 도 9, 도 10, 도 22 및 도 2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하우징(280)에 암수결합되어 굴착부의 작동시, 파쇄하우징(280)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일체형 절단기(370)는 상단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돌기(371)가 파쇄하우징(280)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홈(283)내로 끼움결합되며, 하단에 커터 또는 초경(372)이 구비된 원통형상의 절단본체(373)와, 절단본체(373)의 지름방향으로 교차되어 설치되는 본체지지대(374)와, 절단본체(373)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본체지지대(374)의 교차부위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중심핀(375)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단본체(373)는 중심핀(375)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체형 절단기(370)는 중심핀(375)에 의해 포장노면(900)에 위치가 설정되고, 파쇄하우징(280)에 암수결합되어 맞물림된 후, 굴착부(200)의 작동에 의한 파쇄하우징(280)의 회전에 의해 중심핀(375)을 중심으로 파쇄하우징과 일체로 회전되어 포장노면(900)을 절단하게 된다.
상기 케이싱 설치단계는 굴착부(200)에 의해 수직굴착된 수직홀(910)내로 수직케이싱(400)이 안착되는 단계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기 슬라이드부(295)에 의해 측면파쇄기(290`)를 파쇄하우징(280) 내측으로 슬라이딩 시키고, 내면지지대(250) 및 하단 내면지지대(235)를 수직케이싱 내면(410)으로부터 이격시킴과 동시에, 케이싱 지지대(240)의 받침대(242)를 수직케이싱 하단(420)으로부터 이격시켜 수직케이싱(400)을 수직홀(910)내에 안착시킨다.
또한, 상기 케이싱 설치단계는 추진기(500)에 의한 굴진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추진구(920) 및 도달구(930)내에 설치된 수직케이싱(400)에 작업홀(430)을 형성하는 작업홀 형성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작업홀(430)에는 방수를 위한 방수패드가 더 부착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버림콘크리트 타설단계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구(920)의 바닥면을 평편하게 만들어 추진기의 안정적인 지지력 확보 및, 추진구에서 도달구까지의 수평추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추진구내에 버림콘크리트(940)가 타설된다.
상기 추진단계는 도 7 및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구의 버림콘크리트(940)에 추진기의 추진력발생부(600)가 안착설치되고, 상기 추진력발생부(600)에 비트(710)를 구비하는 추진부(700)가 연결설치되며, 추진력발생부(600)의 추진력 및 추진기의 비트(710)에 의해 추진구(920)에서 도달구(930) 방향으로 추진부(700)가 추진되어 관로 굴진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 추진기(500)는 도 2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발생부(600)와, 상기 추진발생부(600)에 연결되어 관로를 굴착하는 추진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추진부(700)는 도 2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설관(980) 및 배토부(580)가 후단에 연결설치되는 추진본체(720)와, 상기 추진본체(720)의 선단에 연결설치되어 굴착을 수행하는 비트(710)를 포함하며, 상기 비트(710)는 추진본체(720)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도시없음)에 의해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추진부(700)는 추진본체(720) 및 비트(710)의 중앙에 굴착토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토홀(7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추진부(700)는 내부에 고압수의 이송을 위한 워터젯관(760)과, 압축공기의 이송을 위한 압축공기관(750)이 추진본체(720) 및 비트(710)에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워터젯관(760) 및 압축공기관(750)은 배토부(580)를 통해 지상에 설치되어 있는 펌프(970) 및 에어컴프레셔(980)에 각각 연결설치되어 있다.
상기 워터젯관(760)은 배토부의 이송스크류내에 구비된 워터젯 내관(582a)을 통해 추진본체 방향으로 연결되며, 굴진 및 배토를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압축공기관(750)은 배토부의 이송스크류내에 구비된 압축공기 내관(582b)을 통해 추진본체 방향으로 연결되며, 굴진 및 배토를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추진부(700)는 추진본체(720)의 직경이 신설관(980)의 외경보다 크도록 형성되고, 비트(710)의 직경이 추진본체(720)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추진부(700)의 구성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추진부(700)는 추진본체(720)의 외부면에 다수개의 방향조절부(740)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방향조절부(740)는 도 2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본체의 외부면에 형성된 설치홈(722)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방향조절실린더(741)와, 방향조절실린더의 로드 끝단에 일체로 설치되는 작동블록(742)과, 설치홈(722)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작동블록(742)과의 접촉에 의해 추진본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회전되는 방향조절블레이드(743)를 포함한다. 즉, 상기 작동블록(742)과 방향조절블레이드(743)는 경사면(742a,743a)에 의해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방향조절실린더에 의해 설치홈(722)내에서 작동블록(742)이 수평이동될 시, 작동블록의 경사면(742a)에 방향조절실린더의 경사면(743a)이 접촉되어 방향조절블레이드(743)가 힌지핀(744)을 중심으로 추진본체(72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회전되어, 지반에 접촉됨으로써, 관로굴직 작업시 비트의 진행방향을 변경시키게 된다.
상기 방향조절부(740)는 추진본체(720)에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4개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신설관(980)은 도 24 및 도 2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에 수나사부(981)가 형성되고, 후단에 암나사부(982)가 형성되어 있으며, 선단에 형성된 수나사부(981)가 추진부의 추진본체 후단에 나사결합되어 추진본체(720)와 일체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신설관(980)은 암나사부(982)와 수나사부(981)의 상호 나사결합에 의해 복수의 신설관이 일렬로 연결된다.
상기 배토부(580)는 추진부에 의해 발생된 굴착토를 추진구 방향으로 이송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신설관(980)내에 위치하도록 추진본체(720)의 후단에 연결설치된다.
상기 배토부(580)는 도 24 및 도 2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부의 추진본체(720)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 케이싱(581)과, 상기 스크류 케이싱(581)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송스크류(582)와, 스크류 케이싱(581)의 외부면에 설치되어 신설관(980)내에서 스크류 케이싱(581)의 위치를 지지하는 복수의 스페이스 롤러(583)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류 케이싱(581)은 도 2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에 수나사부(581a)가 형성되고, 후단에 암나사부(581b)가 형성되어 있으며, 선단에 형성된 수나사부(581a)가 추진본체의 후단에 구비된 케이싱 연결구(721)에 결합되어 추진본체(720)와 일체로 추진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크류 케이싱(581)은 내부가 추진부의 배토홀(730)에 연통된다.
또한, 상기 스크류 케이싱(581)은 암나사부(581b)와 수나사부(581a)의 상호 나사결합에 의해 복수의 스크류 케이싱(581)이 일렬로 연결설치된다.
상기 이송스크류(582)는 도 2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케이싱(581)내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설치되고, 추진구(920)내에 위치하는 로터리부(510)에 축결합되어 로터리부(510)의 회전력에 의해 스크류 케이싱(581)내에서 회전구동된다. 이때, 상기 이송스크류(582)는 일자 또는 십자형상의 지지체(도시없음)에 의해 스크류 케이싱(581)내 중앙에 위치하도록 또한 회전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로터리부(510)는 유압모터 등등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공지의 것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이송스크류(582)는 스플라인 및 핀결합에 의해 복수의 이송스크류가 일렬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송스크류(582)는 내부에 워터젯내관(582a) 및 압축공기내관(582b)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스페이스 롤러(583)는 신설관(980)내에서 스크류 케이싱(581)의 위치를 지지함과 동시에, 신설관(980)내로 스크류 케이싱(581)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으로, 도 2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설관의 내면(981)에 접촉지지되는 롤러(584)와, 상기 롤러(584)를 지지하고 스크류 케이싱(581)의 외면에 설치되는 롤러브래킷(585)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페이스 롤러(583)는 스크류 케이싱(581)의 외면을 감싸도록 복수의 롤러브래킷(585)이 연결설치되고, 각각의 롤러브래킷(585)에는 신설관 내면(981)에 접촉되는 롤러(583)가 설치되어 있어, 신설관(980)내에서 복수의 스페이스 롤러(583)에 의해 스크류 케이싱(581)이 지지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페이스 롤러(583)는 스크류 케이싱의 선단 및 후단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페이스 롤러(583)는 롤러(584)의 크기를 변경교체하는 것에 의해 다양한 관경의 신설관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신설관내에 설치되어 배토작업을 수행하는 종래의 스크류 케이싱 및 스크류는 단일 직경의 신설관에만 적용될 수 있었으나, 본 발명은 롤러의 크기변경을 통해 다양한 직경의 신설관에 쉽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추진기(500)는 도 2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력발생부(600) 일측에 연결되도록 데오라이트(520)가 더 설치되고, 추진부의 추진본체(720) 후단에 데오라이트 타켓(530)이 더 설치되어, 추진부(700)의 직진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데오라이트(520)에서 데오라이트 타켓(530)으로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해 외부에 설치된 모니터(540)를 통해 직진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이저는 스페이스 롤러(583)에 간섭되지 않도록 신설관(980)과 스크류 케이싱(581) 사이로 조사된다.
또한, 상기 데오라이트(520)는 추진력발생부(600) 일측에 위치하도록 추진구(920)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추진기(500)는 추진부의 비트회전력 및 추진력발생부의 추진력에 추진구(920)에서 도달구(930) 방향으로 관로굴착이 이루어지게 되며, 비트를 통해 고압수 및 압축공기가 분사어 있어, 관로굴진작업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재추진단계는 추진부(700)에 의한 굴진작업이 완료되면, 추진력발생부(600)와 추진부(700)를 분리하고, 추진력발생부(600)와 추진부(700) 사이에 위치하도록 신설관(980) 및 배토부(580)의 양단을 추진력발생부(600) 및 추진부(700)에 각각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신설관(980) 및 배토부(580) 추진력발생부(600) 및 추진부(700)에연결설치되면, 추진력발생부의 추진력 및 추진부의 비트회전력에 의해 추진구(920)에서 도달구(930)방향으로 재추진이 이루어지고, 신설관(980) 및 배토부(580)는 추진부(700)와 함께 도달구(930) 방향으로 압입된다.
또한, 신설관(980)의 압입이 완료되면, 또따른 신설관(980a)과 배토부(580a)를 추진력발생부(600) 및 압입되어 있는 신설관(980)과 배토부(580)에 연결한 후, 재추진하는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추진구(920)에서 도달구(930)까지 복수의 신설관이 압입설치된다.
이때, 추진부의 굴진에 의해 발생되는 굴착토는 압축공기 및 고압수와 함께 추진부의 배토홀(730)을 통해 배토부(580)로 이송되고, 배토부의 이송스크류(582)에 의해 추진구(920) 방향으로 이송되어 배토관(951)을 통해 추진구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임 처리부(950)로 배출된다.
상기 인양단계는, 추진구(920)에서 도달구(930)로 신설관(980)이 압입설치가 완료되면, 추진력발생부(600)를 신설관(980) 및 배토부(580)와 분리하여 추진구 외부로 인양하고, 추진부(700)를 신설관(980) 및 배토부(580)와 분리하여 도달구 외부로 인양한다. 또한, 신설관(980)내에 위치하는 배토부(580)는 스페이스 롤러(583)에 의해 추진구(920) 또는 도달구(930) 방향으로 이동시켜 지상으로 인양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설치단계 후, 야간 또는, 추진구에서 도달구로의 굴진작업 중 외부 영향에 의해 작업이 중단될 경우, 추진구 및 도달구에 설치된 수직케이싱의 상측에 복공판(990)을 설치하는 복공판 설치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복공판(990)은 안전사고 방지 및 차량 통행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차량이 통행하여도 케이싱이 충격이나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케이싱과 이격설치되는 무진동 복공판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0) : 수직굴착기 (200) : 굴착부
(210) : 상단수평지지대 (211) : 상단수평지지축
(212) : 수직지지체 (213) : 수평고르개
(214) : 칸막이 패널 (216) : 배토스크류
(217) : 스크류모터 (278) : 스크류축
(219) : 나선형 스크류 (220) : 중심회전축
(221) : 구동모터 (222) : 구동축
(223) : 평기어 (230) : 하단수평지지대
(231) : 하단수평지지축 (232) : 보조지지축
(235) : 하단내면지지대 (236) : 밀착접촉대
(237) : 지지실린더 (240) : 케이싱 지지대
(241) : 유압실린더 (242) : 받침대
(250) : 내면지지대 (251) : 이동하우징
(252) : 이동모터 (253) : 회전기어
(254) : 밀착지지대 (255) : 밀착대
(255a): 핀 (256) : 작동실린더
(260) : 배토판 (261) : 상단배토판
(262) : 하단배토판 (270) : 버킷컨베이어
(271) : 풀리기어 (271a): 풀리기어
(271b): 기어축 (271c): 걸림지지턱
(271d): 회전판 (272) : 환상체인
(273) : 버킷 (273a): 걸림턱
(274) : 수직이송라인 (275) : 경사이송라인
(276) : 모터 (280) : 파쇄하우징
(281) : 긁개 (282) : 관통홀
(283) : 결합홈 (290) : 파쇄기
(291) : 로울러 (292) : 절삭핀
(295) : 파쇄기 슬라이드부 (296) : 지지슬라이드
(297) : 슬라이드돌기 (298) : 슬라이드레일
(299) : 슬라이드 실린더 (290`): 측면파쇄기
(291`): 로울러 (292`): 절삭핀
(293`): 롤러축 (300) : 승하강 구동부
(310) : 구동수단 (320) : 이동수단
(330) : 가압지지부 (331) : 지지프레임
(332) : 가압롤러부 (333) : 지지롤러
(334) : 가압실린더 (350) : 포장노면 절단기
(360) : 커터형 절단기 (361) : 회전기어
(362) : 작동기어 (363) : 커터
(364) : 기어지지대 (370) : 일체형 절단기
(371) : 결합돌기 (372) : 커터 또는 초경
(373) : 절단본체 (374) : 본체지지대
(375) : 중심핀 (400) : 수직케이싱
(410) : 내면 (420) : 하단
(430) : 작업홀 (500) : 추진기
(510) : 로터리부 (520) : 데오라이트
(530) : 데오라이트 타켓 (580) : 배토부
(581) : 스크류 케이싱 (581a): 수나사부
(581b): 암나사부 (582) : 이송스크류
(582a): 워터젯내관 (582b): 압축공기내관
(583) : 스페이스 롤러 (584) : 롤러
(585) : 롤러브래킷 (600) : 추진력발생부
(700) : 추진부 (710) : 비트
(720) : 추진본체 (721) : 케이싱 연결구
(730) : 배토홀 (740) : 방향조절부
(741) : 방향조절실린더 (742) : 작동블록
(742a): 경사면 (743) : 방향조절블레이드
(743a): 경사면 (744) : 힌지핀
(750) : 압축공기관 (760) : 워터젯관
(800) : 배출컨베이어 (810) : 각도조절부
(820) : 조절몸체 (830) : 선단실린더
(840) : 후단실린더 (900) : 포장노면
(910) : 수직홀 (920) : 추진구
(930) : 도달구 (940) : 버림콘크리트
(950) : 슬러리 처리부 (960) : 펌프
(970) : 에어컴프레셔 (980) : 신설관
(981) : 수나사부 (982) : 암나사부
(983) : 신설관 내면 (990) : 복공판

Claims (20)

  1. 수직굴착기(100)의 굴착부(200)에 수직케이싱(400)이 거치되는 케이싱 거치단계;
    굴착부(200)에 의해 지반이 수직굴착되면서 수직홀(910)이 형성됨과 동시에, 수직홀(910)내로 수직케이싱(400)이 굴착부(200)와 함께 하강이동되는 굴착단계;
    굴착단계 후, 굴착부(200)로부터 수직케이싱(400)이 수직홀(910)내에 분리안착되어 수직케이싱(400)이 압입된 추진구(920) 및 도달구(930)가 형성되는 케이싱 설치단계;
    케이싱 설치단계 후, 수직케이싱(400)을 통해 굴착부(200)가 지상으로 인양되고, 추진구(920)내에는 수직케이싱(400)의 하단에 버림콘크리트(940)가 타설되는 버림콘크리트 타설단계;
    추진구(920)에서 도달구(930) 방향으로 추진기(500)의 추진력발생부(600)에 연결된 추진부(700)가 추진압입되는 추진단계;
    추진단계 후, 추진기의 추진력발생부(600)와 추진부(700) 사이에 신설관(980) 및 배토부(580)가 연결설치되고, 신설관(980) 및 배토부(580)가 연결설치된 추진부(700)가 추진되어 추진구(920)에서 도달구(930)까지 신설관(980)이 압입설치되는 재추진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굴착단계는 포장노면을 절단하는 노면절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면절단단계는 수직굴착기의 굴착부(200) 하단에 포장노면 절단기(350)가 설치되는 절단기 설치단계; 포장노면 절단기(350)에 의해 포장노면이 절단되는 노면절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구경 추진공법.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수직굴착기(100)는, 이동형 승하강구동부(300)와, 이동형 승하강구동부(300)에 연결설치되고, 수직케이싱(400)이 거치되며, 파쇄기(290) 및 측면파쇄기(290`)에 의해 지반을 수직굴착하면서 거치된 수직케이싱(400)을 하강이동시키는 굴착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구경 추진공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있어서;
    승하강 구동부(300)는 일측에 수직케이싱을 지지하는 가압지지부(330)가 더 설치되되,
    상기 가압지지부(330)는 승하강 구동부(300)에 일측단이 탈장착되는 지지프레임(331)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수직케이싱의 외면에 접촉지지되는 복수의 가압롤러부(3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구경 추진공법.
  4.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굴착부(200)는,
    승하강되는 상단수평지지대(210)와, 상단수평지지대(210)의 중앙에 회전가능하도록 수직케이싱(400)을 관통하여 연결설치되고 구동모터(221)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중심회전축(220)과, 중심회전축(220)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설치되어 중심회전축(220)과 함께 회전되는 하단수평지지대(230)와, 하단수평지지대(230)에 연결설치되고 유압에 의해 수평작동되어 수직케이싱의 하단(420)을 받침지지하는 케이싱 지지대(240)와, 하단수평지지대(230)에 연결설치되고 수직케이싱의 내면(410)에 밀착 접촉되는 내면지지대(250)와, 수직케이싱(400)의 상측 외부에 위치하도록 중심회전축(220)에 일체로 연결설치되는 배토판(260)과, 배토판(260)과 하단수평지지대(230)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파쇄토를 배토판(260)으로 이송시키는 버킷컨베이어(270)와, 상단수평지지대(210)에 연결설치되어 배토판(260)으로 배출된 파쇄토를 외부로 이송배출시키는 배토스크류(216)와, 하단수평지지대(230)의 하측에 일체로 연결설치되는 원통형상의 파쇄하우징(280)과, 파쇄하우징(280)에 양단이 회전가능하도록 파쇄하우징내에 설치되는 파쇄기(290)와, 파쇄하우징(280)의 중심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단수평지지대(230)에 연결설치되는 측면파쇄기(2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구경 추진공법.
  5. 청구항 4 에 있어서;
    케이싱 지지대(240)는,
    하단수평지지대의 하단수평지지축(231)에 고정설치되는 유압실린더(241)와, 상기 유압실린더(241)에 의해 수평작동되어 수직케이싱 하단(420)을 받침지지하는 받침대(2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구경 추진공법.
  6. 청구항 4 에 있어서;
    내면지지대(250)는,
    중심회전축(220)이 관통설치되는 이동하우징(251)과, 중심회전축의 평기어(223)에 치합되도록 이동하우징(251)에 연결설치되고 이동모터(252)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회전기어(253)와, 이동하우징(251)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밀착지지대(254)와, 밀착지지대(254)의 끝단에 스윙회전가능하도록 핀연결되는 밀착대(255)와, 밀착지지대(254)에 연결설치되어 수직케이싱의 내면(410)에 밀착대(255)가 밀착되도록 회전이동시키는 작동실린더(2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구경 추진공법.
  7. 청구항 4 에 있어서;
    버킷컨베이어(270)는, 파쇄토를 수직이송시키는 수직이송라인(274)과, 수직이송라인(274)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일체로 연결설치되어 이송된 파쇄토를 배토판으로 공급하여 낙하시키는 경사이송라인(275)을 구비하되,
    상기 버킷컨베이어(270)는, 풀리기어(271)와 환상체인(272)의 작동에 의해 파쇄토가 담겨진 복수의 버킷(273)이 수직이동라인(274)을 따라 상승이동되고, 경사이송라인(275)을 따라 배토판(260) 상측으로 버킷(273)이 상승이동된 후, 경사이송라인의 최상단을 지나면서 버킷(273)내의 파쇄토가 배토판(260)으로 자유낙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구경 추진공법.
  8. 청구항 7 에 있어서;
    버킷컨베이어(270)는, 수직이동부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풀리기어(271a)의 기어축(271b)에 걸림지지턱(271c)이 구비된 회전판(271d)이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판의 걸림지지턱(271c)은 버킷의 일측에 돌출형성된 걸림턱(273a)에 접촉되어 버킷(273)에 의해 파쇄토를 담아올릴 시, 버킷(273)이 뒤로 제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구경 추진공법.
  9. 청구항 4 에 있어서;
    배토판(260)은,
    수평이 유지되도록 중심회전축(220)에 연결설치되는 상단배토판(261)과, 상기 상단배토판(261)과 단차를 구비하며 일체로 형성되어 파쇄토가 적재되고 배토스크류부(216)가 배치되는 하단배토판(2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구경 추진공법.
  10.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단수평지지대(210)에는 하단배토판(262)에 적재된 파쇄토의 높이를 균일하게 조절하는 복수개의 수평고르개(21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구경 추진공법.
  11. 청구항 4 에 있어서;
    파쇄하우징(280)은, 원통형상을 구비하며 하단수평지지대(230)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하단수평지지대(230)에 연결설치되어 있는 긁개(281)에 의해 파쇄기(290) 및 측면파쇄기(290`)에 의해 파쇄된 파쇄토를 파쇄하우징(280)의 중앙으로 긁어모아 버킷컨베이어(270)에 의한 이송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구경 추진공법.
  12.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 에 있어서;
    측면파쇄기(290`)는 파쇄기 슬라이드부(295)에 의해 하단수평지지대를 따라 수평이동되되,
    상기 파쇄기 슬라이드부(295)는,
    측면파쇄기(290`)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상측에 슬라이드돌기(297)가 돌출형성된 지지슬라이드(296)와, 지지슬라이드의 슬라이드돌기(297)가 결합되어 이동되도록 하단수평지지대의 하단수평지지축(231)에 길이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슬라이드레일(298)과, 하단수평지지축(231)의 일측에 설치되어 지지슬라이드(296)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실린더(29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구경 추진공법.
  13. 청구항 4 에 있어서;
    굴착부(200)는, 하단수평지지대(230)에 하단내면지지대(235)가 더 설치되며,
    상기 하단내면지지대(235)는 로드끝단에 밀착접촉대(236)를 구비하는 지지실린더(23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구경 추진공법.

  14. 삭제
  15. 청구항 1 에 있어서;
    포장노면 절단기(350)는, 굴착부의 측면파쇄기(290`)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커터형 절단기(360) 또는, 굴착부의 파쇄하우징(280)에 연결설치되어 작동되는 일체형 절단기(370)를 포함하고,
    상기 커터형 절단기(360)는, 측면파쇄기의 롤러축(293`)에 회전기어(361)가 연결설치되어 일체로 작동되고, 회전기어(361)의 구동력이 작동기어(362)를 통해 커터(363)에 전달되어 측면파쇄기(290`)의 구동시, 커터(363)에 의해 포장노면(900)이 파쇄절단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일체형 절단기(370)는, 상단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돌기(371)가 파쇄하우징(280)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홈(283)내로 끼움결합되며, 하단에 커터 또는 초경(372)이 구비된 원통형상의 절단본체(373)와, 절단본체(373)의 지름방향으로 교차되어 설치되는 본체지지대(374)와, 절단본체(373)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본체지지대(374)의 교차부위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중심핀(375)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구경 추진공법.
  16. 청구항 1 에 있어서;
    배토부(580)는, 추진부의 추진본체(720)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 케이싱(581)과, 상기 스크류 케이싱(581)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송스크류(582)와, 스크류 케이싱(581)의 외부면에 설치되어 신설관(980)내에서 스크류 케이싱(581)의 위치를 지지하는 복수의 스페이스 롤러(58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구경 추진공법.
  17. 청구항 16 에 있어서;
    스페이스 롤러(583)는, 신설관의 내면(981)에 접촉지지되는 롤러(584)와, 상기 롤러(584)가 탈장착되도록 연결설치되고 스크류 케이싱(581)의 외면에 접촉되는 롤러브래킷(585)을 포함하여,
    스크류 케이싱(581)의 외면을 감싸도록 복수의 롤러브래킷(585)이 연결설치되고, 각각의 롤러브래킷(585)에 구비된 롤러(584)가 신설관 내면(981)에 접촉지지되어 신설관(980)내에서 스크류 케이싱(581)이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구경 추진공법.
  18. 청구항 1 에 있어서;
    추진기(500)는, 추진력발생부(600) 일측에 연결되도록 데오라이트(520)가 더 설치되고, 추진부의 추진본체(720) 후단에 데오라이트 타켓(530)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구경 추진공법.
  19. 청구항 1 에 있어서,
    추진부(700)는 추진본체(720)의 외부면에 다수개의 방향조절부(740)가 더 설치되되,
    상기 방향조절부(740)는 추진본체의 외부면에 형성된 설치홈(722)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방향조절실린더(741)와, 방향조절실린더의 로드 끝단에 일체로 설치되는 작동블록(742)과, 설치홈(722)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작동블록(742)과의 접촉에 의해 추진본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회전되는 방향조절블레이드(7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구경 추진공법.
  20. 청구항 1 에 있어서;
    케이싱 설치단계 후, 추진구 및 도달구에 설치된 수직케이싱의 상측에 복공판(990)이 설치되는 복공판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구경 추진공법.
KR1020180087020A 2018-07-26 2018-07-26 소구경 추진공법 KR101999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020A KR101999189B1 (ko) 2018-07-26 2018-07-26 소구경 추진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020A KR101999189B1 (ko) 2018-07-26 2018-07-26 소구경 추진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189B1 true KR101999189B1 (ko) 2019-10-01

Family

ID=68208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020A KR101999189B1 (ko) 2018-07-26 2018-07-26 소구경 추진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1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93837A (zh) * 2023-06-07 2023-09-22 中国科学院力学研究所 用于软黏土海床环境下的管道的动态受力模拟装置和方法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972A (ja) * 1993-07-02 1995-01-20 Shimizu Corp トンネル掘削機の方向制御装置
JPH09235987A (ja) * 1996-03-04 1997-09-09 Airec Giken Kk 小口径管内排土管支持装置及び小口径管埋設装置
JPH10176478A (ja) * 1996-12-19 1998-06-30 Taisei Corp 立坑刃口掘削機
KR100476907B1 (ko) 2003-09-23 2005-03-18 건양씨엔이 (주) 가변식 보링 머신 추진공법 및 그 장치
JP2005336878A (ja) * 2004-05-27 2005-12-08 Copros Co Ltd 推進管施工方法
JP2008038485A (ja) * 2006-08-07 2008-02-21 Sanwa Kizai Co Ltd 既設埋設管の改築推進工法および装置
KR100814711B1 (ko) 2006-08-11 2008-03-18 건양씨엔이 (주) 초소구경관 추진공법 및 그 장치
KR100869932B1 (ko) 2007-02-05 2008-11-24 건양씨엔이 (주) 가변식 워터제트 마이크로 쉴드 추진장치와 그를 이용한관로추진공법
JP2010019046A (ja) * 2008-07-14 2010-01-28 Takemura:Kk 縦穴掘削装置及び縦穴掘削工法
KR100947080B1 (ko) * 2009-01-30 2010-03-12 국부호 수압과 진공을 이용한 수직갱 굴착장치 및 굴착방법
KR100957117B1 (ko) 2009-10-30 2010-05-13 (주)케이지엔지니어링 활재 분리 압송형 지중 추진관을 통한 추진공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972A (ja) * 1993-07-02 1995-01-20 Shimizu Corp トンネル掘削機の方向制御装置
JPH09235987A (ja) * 1996-03-04 1997-09-09 Airec Giken Kk 小口径管内排土管支持装置及び小口径管埋設装置
JPH10176478A (ja) * 1996-12-19 1998-06-30 Taisei Corp 立坑刃口掘削機
KR100476907B1 (ko) 2003-09-23 2005-03-18 건양씨엔이 (주) 가변식 보링 머신 추진공법 및 그 장치
JP2005336878A (ja) * 2004-05-27 2005-12-08 Copros Co Ltd 推進管施工方法
JP2008038485A (ja) * 2006-08-07 2008-02-21 Sanwa Kizai Co Ltd 既設埋設管の改築推進工法および装置
KR100814711B1 (ko) 2006-08-11 2008-03-18 건양씨엔이 (주) 초소구경관 추진공법 및 그 장치
KR100869932B1 (ko) 2007-02-05 2008-11-24 건양씨엔이 (주) 가변식 워터제트 마이크로 쉴드 추진장치와 그를 이용한관로추진공법
JP2010019046A (ja) * 2008-07-14 2010-01-28 Takemura:Kk 縦穴掘削装置及び縦穴掘削工法
KR100947080B1 (ko) * 2009-01-30 2010-03-12 국부호 수압과 진공을 이용한 수직갱 굴착장치 및 굴착방법
KR100957117B1 (ko) 2009-10-30 2010-05-13 (주)케이지엔지니어링 활재 분리 압송형 지중 추진관을 통한 추진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93837A (zh) * 2023-06-07 2023-09-22 中国科学院力学研究所 用于软黏土海床环境下的管道的动态受力模拟装置和方法
CN116793837B (zh) * 2023-06-07 2024-04-05 中国科学院力学研究所 用于软黏土海床环境下的管道的动态受力模拟装置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9534B1 (en) Deep basement excavation system and truck loader
KR101999189B1 (ko) 소구경 추진공법
CN115263315A (zh) 竖井向下盾构施工方法及装置
CN113446008A (zh) 竖井挖掘装置及其施工方法
JP4486766B2 (ja) 縦穴掘削装置
CN113047843B (zh) 大直径桩或竖井成孔土体开挖装置
KR101953192B1 (ko) 케이싱 재활용이 가능한 직진유지성 세미쉴드 공법
CN110761347A (zh) 流动化土施工设备
JP4997793B2 (ja) 掘削装置及び掘削方法
US2221226A (en) Shaft sinking and excavating device
CN109653277B (zh) 一种掘支锚联合机组水沟挖掘装置及方法
KR101237749B1 (ko) 쉴드공법에 사용되는 추진장치의 헤드
CN109653266B (zh) 一种耙斗链式成槽机
CN113653112A (zh) 建筑施工用地基快速挖掘设备
CN112160754B (zh) 大直径桩或竖井成孔施工方法
CN112483118A (zh) 一种自由断面硬岩挖掘装备
CN112779942A (zh) 快速路渠一体成型机
WO2005085536A1 (en) Setting utility access covers
CN212405175U (zh) 一种全套管咬合桩的套管施工设备
JP3187326B2 (ja) 縦穴掘削機
AU20032445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cavating soil material
CN213654852U (zh) 一种水利管道顶管掘土装置
JPH0261289A (ja) 立坑の堀削方法
CN210315712U (zh) 一种用于土建基坑的多工位带装载斗的挖掘装置
CN118187035A (zh) 一种嵌岩地下连续墙高效入岩施工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