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753B1 -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753B1
KR101998753B1 KR1020190016213A KR20190016213A KR101998753B1 KR 101998753 B1 KR101998753 B1 KR 101998753B1 KR 1020190016213 A KR1020190016213 A KR 1020190016213A KR 20190016213 A KR20190016213 A KR 20190016213A KR 101998753 B1 KR101998753 B1 KR 101998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terview
virtual
examinee
m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재진
윤수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에프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에프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에프엠
Priority to KR1020190016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7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중앙 관제서버와 통신 가능한 것으로, 일 측에 마이크 및 스피커가 구비되며 수험생의 두부(頭部)에 착용된 상태에서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를 실행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수험생으로부터 목표대학정보를 포함하는 학생정보를 입력받는 학생가입부 및, 전문가로부터 합격대학정보를 포함하는 전문가정보를 입력받는 전문가가입부를 포함하는 가입모듈과, 복수의 상기 전문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수험생을 매칭하는 매칭처리부 및, 상기 수험생과 매칭 처리된 상기 전문가를 가상 입학사정관으로 설정하는 면접관설정부를 포함하는 매칭모듈 및,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 상에 접속한 상기 가상 입학사정관과 상기 수험생을 연결 처리하여 면접을 수행하는 면접수행모듈과, 상기 면접이 종료됨에 따라 상기 가상 입학사정관으로부터 평가정보를 입력받는 평가정보입력부 및, 상기 평가정보를 상기 수험생에게 제공하는 결과제공부를 포함하는 면접결과안내모듈을 구비한 중앙관제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The System Providing Educational Service Platform Based on Virtual Reality}
본 발명은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으로서, 수험생으로 하여금 가상 입학사정관을 매칭하고 가상현실 플랫폼 상에서의 면접 및 입학사정 프로세스를 현실감 있게 경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험생으로 하여금 보다 현실감 있는 입시 면접 연습과 함께 장소나 지역, 시공간의 제한 없이 입시 준비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국내 수시전형(입학사정관제)는 크게 서류 단계(학생부, 비교과활동, 자기소개서 등)와 면접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서류 단계는 지원자의 정성적 · 정량적 요소를 평가하고, 면접 단계에서 검증 및 해당 대학 적합성을 판단하게 되며, 따라서 면접 단계는 대학 입시에 있어 최종적인 관문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면접 단계는 1:1 지도가 필요하므로 학원비가 매우 고가이며, 온라인 1:1 수업은 찾아보기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더군다나 대학들은 보안 이유로 합격생 데이터를 공개하지 않고, 고가의 사교육에 의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서 시공간의 제약 없이, 특히 온라인 상에서도 가능한 면접 준비 관련 교육 서비스의 필요성이 급부상되고 있으며 그에 대한 선행기술이 일부 제시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에 대한 선행기술로서, 한국 공개특허 10-2017-0128946호에 '발표 및 면접 훈련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프리젠테이션, 연설, 면접 등과 같은 말하기 상황을 연습할 수 있도록 실제 가상공간을 시각화하고, 제스처나 음성등을 평가하여 발표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표 및 면접 훈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발명에 따른 발표 및 면접 훈련 시스템은 발표 또는 면접 훈련을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착용하며,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와, 가상현실 화면에 대응하는 청각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헤드셋과, 상기 헤드셋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음량과 속도를 분석하고 분석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이터처리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발명에 따른 발표 및 면접 훈련 시스템은 발표나 면접 상황에 맞는 가상현실을 선택하여 해당 상황을 직접 시각적으로 보면서 발표 및 면접을 수행하며, 청중 또는 면접관의 다양한 반응을 예상하고, 몸짓이나 음량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서 학습자의 발표 및 면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의 경우 수험생에 대한 전문가의 정확한 피드백을 제공하기에는 역부족이며, 단순히 가상으로 구현된 면접관을 통해 면접을 수행하는 기술만을 제공할 뿐 실제 전문가의 피드백이나 면접 답안 분석이 불가능하며, 또한 일대다 또는 다대다 면접 등을 수행할 수는 없다는 한계성이 있었다.
따라서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으로서, 수험생으로 하여금 가상 입학사정관을 매칭하고 가상현실 플랫폼 상에서의 면접 및 입학사정 프로세스를 현실감 있게 경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험생으로 하여금 보다 현실감 있는 입시 면접 연습과 함께 장소나 지역, 시공간의 제한 없이 입시 준비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험생으로 하여금 가상 입학사정관을 매칭하고 가상현실 플랫폼 상에서의 면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간의 제약 없이 현실감있는 가상 면접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고, 실시간으로 면접 수행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가상 면접에 있어 일대일 면접, 일대다 면접, 다대일 면접, 다대다 면접 등 다양한 면접 방식을 가상 면접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험생이 보다 다양한 가상 면접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더하여, 수험생과 전문가의 매칭에 있어 대학정보, 전공정보, 입시방법 등의 다양한 팩터를 통해 수험생과 전문가 사이의 유사도를 비교하고 그를 기반으로 하여 수험생 및 전문가의 매칭을 가능케 함으로써 수험생에게 가장 최적화된 전문가가 매칭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수험생이 가상 면접 시 입력하는 음성신호를 분석하고 분석값을 점수로 환산하여 제공함으로써 수험생이 면접 시 보다 면접관에게 잘 인식될 수 있는 음성으로 면접을 연습할 수 있도록 독려할 수 있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수험생의 흉식호흡, 복식호흡 등의 호흡 방법을 분석하고 이를 음성신호 분석값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험생이 면접 시 보다 명확하고 큰 발성을 이용할 수 있도록 독려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사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으로서, 중앙 관제서버와 통신 가능한 것으로, 일 측에 마이크 및 스피커가 구비되며 수험생의 두부(頭部)에 착용된 상태에서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를 실행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수험생으로부터 목표대학정보를 포함하는 학생정보를 입력받는 학생가입부 및, 전문가로부터 합격대학정보를 포함하는 전문가정보를 입력받는 전문가가입부를 포함하는 가입모듈과, 복수의 상기 전문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수험생을 매칭하는 매칭처리부 및, 상기 수험생과 매칭 처리된 상기 전문가를 가상 입학사정관으로 설정하는 면접관설정부를 포함하는 매칭모듈 및, 상기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 상에 접속한 상기 가상 입학사정관과 상기 수험생을 연결 처리하여 면접을 수행하는 면접수행모듈과, 상기 면접이 종료됨에 따라 상기 가상 입학사정관으로부터 평가정보를 입력받는 평가정보입력부 및, 상기 평가정보를 상기 수험생에게 제공하는 결과제공부를 포함하는 면접결과안내모듈을 구비한 중앙관제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가상 입학사정관 및 상기 수험생 각각에 대해 상기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 접속 여부를 판단하는 접속판단부 및, 상기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 상에 상기 가상 입학사정관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면접시작부와, 상기 가상 입학사정관으로부터 면접질문사항을 입력받는 질문입력부 및, 상기 면접질문사항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수험생에게 출력하는 질문전달부와, 상기 마이크를 기반으로 상기 면접질문사항을 전달받은 상기 수험생으로부터 면접답안을 입력받는 답안입력부 및, 상기 면접답안을 상기 가상 입학사정관에게 제공하는 답안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 매칭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문가를 포함하는 면접관그룹을 생성하는 면접관그룹생성파트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험생을 포함하는 응시생그룹을 생성하는 응시생그룹생성파트를 포함하는 그룹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칭처리부는, 복수의 상기 면접관그룹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응시생그룹 중 어느 하나를 매칭 처리하며, 상기 면접관설정부는, 상기 응시생그룹과 매칭 처리된 상기 면접관그룹에 포함된 전문가를 상기 가상 입학사정관으로 설정하고, 상기 면접시작부는, 상기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가상 입학사정관의 이미지를 출력하며, 상기 질문전달부는, 상기 면접질문사항을 상기 응시생그룹에 포함된 모든 상기 수험생에게 출력하고, 상기 답안제공부는, 상기 면접답안을 상기 가상 입학사정관 및 같은 상기 응시생그룹에 포함된 다른 상기 수험생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중앙 관제서버는, 상기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 상에 출력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상 입학사정관의 캐릭터인 가상면접관을 생성하는 캐릭터생성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면접시작부는, 상기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 상에 상기 가상면접관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1) 수험생으로 하여금 가상 입학사정관을 매칭하고 가상현실 플랫폼 상에서의 면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간의 제약 없이 현실감있는 가상 면접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고, 실시간으로 면접 수행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였으며,
2) 가상 면접에 있어 일대일 면접, 일대다 면접, 다대일 면접, 다대다 면접 등 다양한 면접 방식을 가상 면접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험생이 보다 다양한 가상 면접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고,
3) 수험생과 전문가의 매칭에 있어 대학정보, 전공정보, 입시방법 등의 다양한 팩터를 통해 수험생과 전문가 사이의 유사도를 비교하고 그를 기반으로 하여 수험생 및 전문가의 매칭을 가능케 함으로써 수험생에게 가장 최적화된 전문가를 매칭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4) 수험생이 가상 면접 시 입력하는 음성신호를 분석하고 분석값을 점수로 환산하여 제공함으로써 수험생이 면접 시 보다 면접관에게 잘 인식될 수 있는 음성으로 면접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5) 수험생의 흉식호흡, 복식호흡 등의 호흡 방법을 분석하고 이를 음성신호 분석값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험생이 면접 시 보다 명확하고 큰 발성을 이용할 수 있도록 독려하는 기능을 겸비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의 예시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흉복부밴드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40)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에 접속하는 수험생(20)과, 상기 수험생(20)에 대해 가상 면접을 진행하는 전문가(30), 그리고 시스템의 관리 주체 및 컨텐츠 생성 주체인 중앙관제서버(1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수험생(20)이라 함은 대학 입학을 준비하고 있는 자로서,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 구현되는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를 이용하여 대학 입시 및 면접을 연습하는 주체이다. 이를 위해 수험생(20)은 본인의 목표대학정보 및, 목표전공정보, 그리고 다양한 대학 입시 방법 중 해당 수험생(20)이 준비하고 있는 입시 방법에 대한 정보인 목표입시정보 등을 입력해야 한다. 더불어 수험생(20)은 본 발명의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 이용을 위해 제공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40)를 착용하여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에 접속하게 되며,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 접속을 통해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한 가상 면접 및 캠퍼스 투어 등을 진행할 수 있어 시공간의 제약 없이 현실감 있는 모의면접 및 캠퍼스 투어를 진행할 수 있다. 이는 해외 대학 진학을 준비하는 수험생(20)에 있어 보다 이점이 강할 수 있다. 해외 대학 준비 시에는 일반적으로 해당 국가에 직접 방문해야만 캠퍼스 투어가 가능하며, 이를 위해선 막대한 시간 뿐 아니라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시공간의 제약 뿐 아니라 비용의 부담 없이 입시를 위한 다양한 컨텐츠를 경험할 수 있다.
전문가(30)는 입시를 전문으로 하는 입시 전문가(30)인데, 특히 사교육을 조장하는 일선 학원 강사 등의 전문가이기보다는 값비싼 사교육비를 절감하기 위하여 해당 수험생(20)이 목표로 하는 대학의 재학생 또는 졸업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문가(30)는 수험생(20)이 입력한 다양한 자료를 검토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 아니라 수험생(20)의 자기소개서 첨삭을 진행하며, 나아가 가상 면접을 진행하는 면접관, 즉 가상 입학사정관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수험생(20)의 대학 입시를 위해 다양한 도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중앙관제서버(10)는 수험생(20)과 전문가(30) 사이의 중개 역할을 기본적으로 수행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중앙관제서버(10)는 수험생(20)에게 가장 적절한 전문가(30)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함과 더불어, 수험생(20)으로부터 입력된 자료를 필터링하여 전문가(30)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중앙관제서버(10)는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를 생성하고 해당 컨텐츠에 수험생(20) 뿐 아니라 전문가(30)(가상 입학사정관)을 접속 및 연결 처리하여 가상 면접을 중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불어 해당 교육 서비스 플랫폼에 대한 요금 결제에 있어서도 중앙관제서버(10)를 통해 수험생(20)으로부터 서비스 이용료를 결제받고, 서비스에 참여한 전문가(30)에게 수수료를 중앙관제서버(10)가 지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개인 간의 거래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기, 서비스 결과에 대한 불만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중앙관제서버(10)는 기본적으로 정보 처리 및 전달 기능을 기본적으로 포함함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의 예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의 세부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수험생(20)이 두부에 착용하여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40)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이러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40)는 주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VR제공을 위한 헤드셋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를 기본으로 포함한 상태에서 내부에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구비되거나 혹은 외부의 프로세서 장치와 무선 혹은 유선으로 연결된 장치이며, 이를 통해 무선 혹은 유선을 통해 중앙관제서버(10)와 통신할 수 있음을 기본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등을 통한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중앙관제서버(10)와 통신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더불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40)는 각종 센서와 컨트롤러(56) 및 두부에 착용할 수 있는 끈이나 모자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하여 본 발명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40)의 경우 가상 면접 수행을 위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는 스피커(42) 및 마이크(41)가 일 측에 구비된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마이크(41)는 수험생(20)의 두부 중에서도 입술에 가까운 일 측에 구비되며, 스피커(42)의 경우 수험생(20)의 귀에 가까운 일 측에 구비되도록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의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중앙관제서버(10)를 포함하는데, 중앙관제서버(10)는 상술한 내용에서 다룬 기능을 포함할 뿐 아니라 본 발명의 플랫폼을 생성, 관리하는 주체이다. 따라서 세부적인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을 구현해낼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중앙관제서버(10)의 세부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중앙관제서버(10)는 데이터베이스(300)를 포함하여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를 생성 및 저장한다. 이 때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를 생성하는 주체는 본 발명의 중앙관제서버(10)를 관리하는 시스템 관리자이다. 이러한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는 기본적으로 자기소개서 첨삭을 위한 자기소개서 첨삭 수행 및 첨삭 자기소개서 제공 웹페이지나, 가상 캠퍼스 투어를 위한 가상현실 기반 캠퍼스 투어 컨텐츠, 나아가 가장 바람직하게는 가상현실 기반의 면접 수행을 위한 가상 면접 컨텐츠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더불어 본 설명에서 나타난 실시예를 제외하더라도 입시를 위해 제공될 수 있는 다양한 VR 기반 컨텐츠들이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로서 생성 및 저장될 수 있으며 그에 있어서는 별도의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중앙관제서버(10)에 기본적으로 포함되는 가입모듈(100)은 수험생(20)과 전문가(30) 각각의 정보를 입력받아 중앙관제서버(10)에 등록 처리하는 모듈로서, 학생가입부(110)및 전문가가입부(120)를 포함하여 수험생(20) 및 전문가(30) 각각에 대한 정보 입력 및 가입처리를 수행한다.
학생가입부(110)는 대학에 입학하고자 하는 수험생(20)의 이름, 학교, 나이, 성별과 같은 기본적인 정보를 입력받아야 함은 당연하며, 나아가 목표하는 대학에 대한 이름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목표대학정보를 학생정보로서 입력받는다. 나아가 목표로 하는 전공인 목표전공정보, 합격하고자 하는 입시 방법에 대한 정보(수시/정시, 혹은 수시일 경우 다양한 수시 입학전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목표입시정보를 학생정보로써 함께 입력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 나아가 학생정보로서 보다 포괄적으로 대학 진학을 위해 필요한 정보, 즉 교과성적, 수상경력, 비교과활동, 생활기록부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때 교과성적 및 수상경력, 비교과활동, 생활기록부 등은 수험생(20)으로부터 직접 입력받을 수도 있으나 수험생(20)이 다니고 있는 학교의 데이터베이스(300)와 연동 처리되어 자동으로 전송받는 것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혹은 직접 학생정보를 입력하는 것뿐만 아니라 교과성적이나 수상경력, 비교과활동, 생활기록부 등은 해당 관련 문서를 스캐닝하여 본 발명의 학생가입부(110)를 통해 중앙관제서버(10)에 전송 처리하는 것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때 앞서 언급하였듯이, 수험생(20)이 업로딩한 정량적/정성적 정보 및 자기소개서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별도로 구비된 수험생DB에 저장되는데, 본 발명의 수험생DB는 수많은 수험생(20)들의 학생정보를 취합하여 하나의 빅데이터를 구축하게 되며 이와 같이 구축된 빅데이터를 통하여 수험생(20)의 성향은 물론 각 수험생(20)들 간의 비교 판단, 빅데이터 분석에 따라 비슷한 수험생(20)들끼리 그룹 처리를 하여 후술할 매칭모듈(200)에서 보다 객관적이자 합리적인 매칭을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수행할 수 있다.
전문가가입부(120)는 입시를 전문으로 담당하는 전문가(30)로부터 전문가(30) 개인이 기존에 합격했던 대학의 정보인 합격대학정보를 포함하는 전문가정보를 입력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나아가 합격한 대학의 전공정보인 합격전공정보 뿐 아니라, 해당 전문가(30)가 해당 대학에 입학한 입시방법(수시/정시, 혹은 수시일 경우 다양한 수시 입학전형에 대한 정보)을 합격입시정보로써 전문가정보에 포함하여 입력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전문가가입부(120) 역시 전문가(30)의 이름, 나이, 성별과 같은 기초정보를 입력받아야 함은 물론이며, 전문가가입부(120)에서는 해당 출신대학정보에 대한 입증을 위해 재학증명서나 졸업증명서, 성적증명서 등을 함께 업로드 하도록 전문가(30)에게 요구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과정에서, 전문가가입부(120)는 전문가정보를 자동으로 인증할 수 있는 공지의 프로그램(예를 들어, Coalition 내지 Naviance 등)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중앙관제서버(10)에 포함되는 매칭모듈(200)은 기본적으로 매칭처리부(210)를 포함하여 복수의 상기 전문가(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수험생(20)을 매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수험생(20)의 자기소개서를 첨삭하고, 캠퍼스 투어 및 멘토링, 나아가 가상 면접을 진행하는 전문가(30)를 지정하는 역할이라고 가정해도 된다. 이 때 중앙관제서버(10)에서 자동적으로 해당 수험생(20)과 가장 적절한 전문가(30), 예를 들어 상기 수험생(20)이 목표대학명으로 입력한 해당 학교의 성적, 전공, 비교과활동을 가진 재학생이나 졸업생, 다시 말해 수험생(20)과 비슷한 범주의 전문가(30)를 찾아 자동 매칭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며, 혹은 수험생(20)으로 하여금 여러 전문가(3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에 대해선 후술하기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의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의 경우 가상 면접을 중개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수험생(20)과 매칭된 전문가(30)는 일종의 면접관으로서의 기능을 겸비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매칭모듈(200)은 면접관설정부(220)를 통해 상기 수험생(20)과 매칭 처리된 상기 전문가(30)를 가상 입학사정관으로 설정하게 된다. 따라서 가상 입학사정관으로 설정된 전문가(30)는 해당 수험생(20)의 입시자료 등을 전달받아 이에 대한 복합적인 판단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나아가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진행되는 가상 면접에서의 면접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더불어 가상 면접의 실행을 위해 본 발명의 중앙관제서버(10)는 면접수행모듈(400)을 포함하여야 한다. 이러한 면접수행모듈(400)은 상기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 상에 접속한 상기 가상 입학사정관과 상기 수험생(20)을 연결 처리하여 면접을 수행하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한다. 이 때 면접의 경우 일대일면접, 일대다면접, 다대일면접, 다대다면접 중 기존의 면접에서 진행되는 다양한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면접수행모듈(400)의 구성을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300)에 구현되는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로서 가상의 면접공간을 구성하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40)를 착용하고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에 접속한 수험생(20)으로 하여금 가상으로 해당 면접실에 입장한 체험을 진행하도록 수행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면접공간이 수험생(20)의 목표대학정보와 일치하는 대학의 면접장과 유사하도록 모델링되는 것이 보다 현실감 있는 면접 진행을 위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가상 입학사정관의 경우 별도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40) 착용 없이도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 혹은 별도의 프로그램 접속을 통해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에 접속하여 가상 면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면접의 경우 상술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40)에서 마이크(41) 및 스피커(42)가 구현된 바, 실제 면접과 같이 음성을 기반으로 한 현실감 있는 가상 면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 상에서 이미지로 노출되는 가상 입학사정관은 해당 가상 입학사정관의 실제 이미지일 수도 있으나, 별도로 생성된 캐릭터일 수도 있다. 더불어 가상 입학사정관의 경우 다양한 성별, 나이, 그리고 성향 등을 가지고 있을 수 있어 다양한 가상 면접에 대한 경험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가상 입학사정관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문가(30)가 직접 가상 입학사정관이 될 수도 있으나, 중앙관제서버(10) 상에서 3D의 형태로 캐릭터화된 가상 입학사정관을 생성 및 구현해내어 AI(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3D 캐릭터 입학사정관이 가상 면접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3D 캐릭터 입학사정관이 제공하는 질문들의 경우 중앙관제서버(10)에서 별도의 DB에 저장된 질문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면접질문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면접수행모듈(400)에서 진행되는 가상 면접이라 함은 가상 입학사정관이 제시한 면접질문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40)를 통해 스피커(42)를 매개로 수험생(20)에게 전달되고, 해당 면접질문에 대해 수험생(20)이 대답한 응답정보가 마이크(41)를 기반으로 입력되어 가상 입학사정관에게 전달된다. 따라서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에 접속한 가상 입학사정관은 별도의 마이크(41)를 기반으로 면접질문을 입력하거나 면접질문을 타이핑하여 입력하게 되며, 그에 대해 수험생(20)이 입력한 응답정보를 음성신호 또는 텍스트의 형태로서 전달받아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면접수행모듈(400)은 상기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 상에 접속한 상기 가상 입학사정관과 상기 수험생(20)을 연결 처리하여 가상 면접을 수행하는 기본적 기능을 수행한다 하였는데, 면접수행모듈(400)은 세부 구성으로서 접속판단부(410), 면접시작부(420), 질문입력부, 질문전달부(430), 답안입력부(440), 답안제공부(450)를 기본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접속판단부(410)는 상기 가상 입학사정관 및 상기 수험생(20) 각각에 대해 상기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 접속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 가상 입학사정관은 수험생(20)과 매칭 처리된 전문가(30)라고 하였다. 이러한 가상 입학사정관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40) 착용 없이도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 혹은 별도의 프로그램 접속을 통해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다. 왜냐하면 가상 입학사정관의 경우 질문 제공 및 질문에 대한 응답을 수취할 수 있으면, 별도의 가상현실 공간이 구현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면접을 중개해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수험생(20)의 접속 여부는 수험생(20)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40)를 착용하고 전원을 실행하여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에 접속하였는지를 파악함으로써 판단해낼 수 있다.
면접시작부(420)는 상기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 상에 상기 가상 입학사정관의 이미지를 출력한다. 이는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 상에 구현된 가상 면접실에 가상 입학사정관의 이미지가 출력되어 가상 면접을 위해 면접관이 면접실에 입장한 듯한 현장감을 수험생(20)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가상 입학사정관의 이미지는 실제 전문가(30)의 3D 이미지를 입력받아 이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며, 혹은 전문가(30)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별도로 캐릭터화된 이미지, 즉 가상면접관 캐릭터를 출력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 중앙관제서버(10)에 캐릭터생성모듈(600)을 별도로 포함하여 상기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 상에 출력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상 입학사정관의 캐릭터인 가상면접관을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아 한다. 이 때 가상면접관 캐릭터의 경우 3D를 기반으로 한 사실적인 캐릭터로 생성되는 것이 보다 사실감 및 현장감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가상면접관이 캐릭터화되어 생성되는 경우 면접시작부(420)는 상기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 상에 상기 가상면접관을 출력할 수 있으며, 혹은 가상 입학사정관의 이미지를 직접 출력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질문입력부는 상기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에 접속한 가상 입학사정관으로부터 수험생(20)에게 질문하고자 하는 사항인 면접질문사항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면접질문사항은 텍스트의 형태로서 입력될 수도 있으며, 혹은 별도의 마이크(41)를 통해 음성신호의 형태로서 입력될 수도 있다.
질문전달부(430)는 상기 면접질문사항을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40)에 구비된 스피커(42)를 통해 수험생(20)에게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스피커(42)를 통해 출력되는 만큼 면접질문사항은 음성신호의 형태로 출력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면접질문사항이 음성신호가 아닌 텍스트 형태로 입력된 경우, 텍스트를 음성신호의 형태로 변환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이는 종래의 텍스트음성변환(TTS) 기능을 참조하면 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답안입력부(440)는 상기 면접질문사항을 전달받은 상기 수험생(20)으로부터 상기 마이크(41)를 기반으로 면접답안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마이크(41)를 기반으로 면접답안을 입력함에 따라 음성신호의 형태로 면접답안이 입력된다. 즉 수험생(20)은 전달받은 면접질문사항에 대해 마이크(41)에 대고 면접답안을 입력하는 것이다.
답안제공부(450)는 상기 면접답안을 상기 가상 입학사정관에게 제공한다. 이 때 면접답안은 음성신호 또는 텍스트의 형태로 가상 입학사정관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텍스트의 형태로 면접답안이 가상 입학사정관에게 제공되기 위해서는 음성신호를 텍스트로 자동 변환하는 프로세스가 더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면접수행모듈(400)을 통해 면접이 진행되는 경우 진행된 면접에 대한 결과 평가가 가능해야 함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중앙관제서버(10)는 면접결과안내모듈(500)을 포함해야 하는데, 면접결과안내모듈(500)은 기본적으로 평가정보입력부(510) 및 결과제공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평가정보입력부(510)는 상기 면접수행모듈(400)을 통해 진행된 가상 면접이 종료됨에 따라 상기 가상 입학사정관으로부터 상기 수험생(20)에 대한 평가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평가정보의 경우 텍스트의 형태로 입력될 수도 있으며, 혹은 가상 입학사정관에게 미리 제공된 질문지에 응답한 형식, 혹은 100점 만점 등의 객관적 점수로서 평가정보가 입력될 수도 있다.
입력된 평가정보는 결과제공부(520)를 통해 수험생(20)에게 제공된다. 이 때 평가정보를 수험생(20)에게 제공하는 방법으로서는 웹페이지를 통한 제공,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을 통한 제공, 혹은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 상에서의 평가정보 제공 등 그 방법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더하여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 상에서 평가정보를 수험생(20)에게 제공하는 경우 평가정보 안내를 위한 별도의 캐릭터 등이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 내에서 구비되고, 해당 캐릭터가 평가정보를 수험생(20)에게 안내하고 그에 곁들여 부가적인 해설을 덧붙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수험생(20)으로 하여금 가상 입학사정관을 매칭하고 가상현실 플랫폼 상에서의 면접 및 입학사정 프로세스를 현실감 있게 경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험생(20)으로 하여금 보다 현실감 있는 입시 면접 연습과 함께 장소나 지역, 시공간의 제한 없이 입시 준비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한 기본적 기능을 수행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를 통한 가상 면접은 일대일 면접 뿐 아니라 다대일, 일대다, 다대다 면접이 모두 가능하다고 하였는데, 이를 위해서는 매칭모듈(200)에서 전문가(30) 및 수험생(20) 간의 매칭 시 일대일 매칭 뿐 아니라 다대일, 일대다, 다대다 매칭이 가능해야 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전문가(30) 및 수험생(20) 각각을 그룹화하고 그룹 간 매칭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를 구현해내기 위해 상기 매칭모듈(200)은 그룹생성부(230)를 더 포함하여 전문가(30) 및 수험생(20) 각각을 그룹화할 수 있는데, 이 때 그룹생성부(230)는 면접관그룹생성파트와 응시생그룹생성파트를 포함하여 전문가(30) 및 수험생(20) 각각을 그룹화한다. 먼저 면접관그룹생성파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문가(30)를 포함하는 면접관그룹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하나의 면접관그룹에 포함된 전문가(30)의 수는 가상 면접에 참여하는 가상 입학사정관의 인원수라고도 할 수 있는데, 면접관그룹에 한 명의 전문가(30)가 포함되는 경우 1회의 가상 면접 시 1명의 가상 입학사정관이 참여하게 되는 것이며, 면접관그룹에 3 명의 전문가(30)가 포함되는 경우 1회의 가상 면접 시 3명의 가상 입학사정관이 참여하게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응시생그룹생성파트의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험생(20)을 포함하는 응시생그룹을 생성한다. 이는 면접관그룹생성파트와 그 기능이 유사하다. 즉 하나의 응시생그룹에 포함된 수험생(20)의 수는 가상 면접에 참여하는 수험생(20)의 인원수라고도 할 수 있는데, 하나의 응시생그룹에 한 명의 수험생(20)가 포함되는 경우 1회의 가상 면접 시 1명의 수험생(20)이 참여하게 되는 것이며, 응시생그룹에 3 명의 수험생(20) 포함되는 경우 1회의 가상 면접 시 3명의 수험생(20)이 참여하게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나아가 이렇게 면접관그룹 및 응시생그룹이 각각 생성되는 경우 상기 매칭처리부(210)는, 복수의 상기 면접관그룹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응시생그룹 중 어느 하나를 매칭 처리하게 된다. 즉 그룹 간 매칭을 수행하여 1회의 가상 면접에 참여하는 인원수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매칭 처리된 면접관그룹에 1명의 전문가(30), 응시생그룹에 3명의 수험생(20)이 포함된 경우라면 가상 면접이 1:3 면접이 되며, 매칭 처리된 면접관그룹에 2명의 전문가(30), 응시생그룹에 2명의 수험생(20)이 포함된 경우라면 가상 면접이 2:2 면접이 되는 것이다. 더불어 면접관설정부(220)에 있어서도 해당 응시생그룹과 매칭된 면접관그룹의 전문가(30) 모두가 가상 입학사정관으로서 설정된다. 즉 응시생그룹과 매칭된 면접관그룹에 속한 모든 전문가(30)가 가상 입학사정관으로 설정되는 것이다.
더불어 가상 면접이 일대일 면접이 아닌 경우, 가상 면접에 참여한 다른 수험생(20)의 질문답안 역시 본인의 답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나아가 다른 수험생(20)의 질문답안을 통해 수험생(20) 개개인의 면접 연습 효과 및 입시 학습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질문전달부(430)의 경우 가상 입학사정관으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면접질문사항을 상기 응시생그룹에 포함된 모든 상기 수험생(20)에게 출력하며, 이에 대해 각각의 수험생(20)이 면접답안을 입력하는 경우 답안제공부(450)를 통해 상기 면접답안을 상기 가상 입학사정관 뿐 아니라 면접답안을 입력한 수험생(20)과 같은 상기 응시생그룹에 포함된 다른 상기 수험생(20)에게 제공하도록 하여 다른 수험생(20)이 입력한 면접답안을 응시생그룹에 속한 모든 수험생(20)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인의 면접답안과 타인의 면접답안을 비교해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다 현실감 있는 가상 면접을 가능케 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의 경우 수험생(20)과 전문가(30) 사이의 올바르고 최적화된 매칭이 이루어져야 보다 수험생(20)에게 도움되는 면접 및 입시 관련 정보 제공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매칭모듈(200), 그 중에서도 실제 매칭을 수행하는 매칭처리부(210)의 구성이 핵심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매칭처리부(210)는 수험생(20)이 직접 전문가(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중앙관제서버(10), 즉 본 발명의 시스템 상에서 개개인의 수험생(20)에 최적화된 전문가(30)를 매칭 처리 하도록 한다. 따라서 매칭처리부(210)를 통해 상기 학생정보 및 전문가정보를 비교 처리하여 비교값을 산출하고, 해당 비교값의 고저에 따라 상기 전문가(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험생(20)에게 자동 매칭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칭처리부(210)는 대학DB(211), 그룹화파트(212), 1차비교파트(213), 2차비교파트(214), 3차비교파트(215), 매칭점수산출파트(216), 매칭처리파트(217)를 포함할 수 있다.
대학DB(211)는 복수의 대학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대학정보라 함은 특정 대학 및 해당 대학에 어떠한 전공이 포함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대학정보는 한국 뿐 아니라 해외 대학에 대해서도 생성될 수 있으며, 대학정보의 경우 다양한 대학의 이름정보 및 해당 대학에 개설된 전공정보 파악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대학정보가 빅데이터로서 대학DB(211)에 저장되는 것이다.
그룹화파트(212)는 복수의 상기 대학정보를 그룹화하여 그룹별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그룹화로서는 국가별 그룹화 뿐 아니라 세부적으로 전공별 그룹화, 혹은 입시성적별 그룹화가 가능하다. 한국의 경우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가 하나의 그룹별정보로써 생성될 수 있으며, 혹은 서울대, 포스텍, 카이스트가 하나의 그룹별정보로써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빅데이터화된 복수의 대학정보를 전공별, 국가별, 성적별 그룹화를 수행하여 현존하는 대학정보에 대한 세부적 분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1차비교파트(213)는 상기 그룹별정보와 상기 목표대학정보 및 상기 합격대학정보의 비교 처리를 통해 대학매칭지수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목표대학정보와 합격대학정보가 완전히 일치하는 경우, 100% 즉 1의 값으로 대학매칭지수가 생성된다. 그러나 목표대학정보가 합격대학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는 해당 전문가(30)의 합격대학정보가 어떠한 그룹별정보에 속해있는지 판단하고, 해당 그룹별정보와 목표대학정보의 비교 처리를 통해 대학매칭지수를 생성한다. 이 때 예시로 수험생(20)의 목표대학정보가 서울대이고, 합격대학정보가 연세대이며, 그룹별정보로서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가 하나의 그룹별정보로 설정되어 있다 가정하자. 이 경우 목표대학정보가 합격대학정보와 일치하지는 않으나, 합격대학정보가 속한 그룹별정보에 포함된 대학 중 어느 하나가 목표대학정보이다. 이 경우 대학매칭지수를 80&, 즉 0.8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대학매칭지수의 경우 기 설정된 규칙에 의해 변동될 수 있으며 0 초과 1 이하의 값으로 조절이 가능하다. 이 때 대학매칭지수의 설정 방법에 대해서는 한정을 두지 않는다.
2차비교파트(214)는 상기 목표전공정보와 상기 합격전공정보의 비교 처리를 통해 전공매칭지수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역시 상기 목표전공정보와 상기 합격전공정보가 완전히 일치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100%, 즉 1의 값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목표전공정보와 상기 합격전공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사도를 판단하여 전공매칭지수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목표전공정보가 신소재공학과이고, 합격전공정보가 전자공학과일 경우 전공매칭지수가 85%, 즉 0.85의 값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목표전공정보가 신소재공학과이고, 합격전공정보가 성악과일 경우 전공매칭지수가 1%, 즉 0.01의 값으로 생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전공매칭지수의 경우 기 설정된 규칙에 의해 변동될 수 있으며 0 초과 1 이하의 값으로 조절이 가능하다. 이 때 전공매칭지수의 설정 방법에 대해서는 한정을 두지 않는다.
3차비교파트(215)는 상기 목표입시정보와 상기 합격입시정보의 비교 처리를 통해 입시매칭지수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목표입시정보 및 합격입시정보라 함은 수시/정시 여부, 수시라면 어떠한 입학전형으로 입학했는지의 비교 판단이라 할 수 있다 이 역시 1차비교파트(213), 2차비교파트(214)와 유사하게 상기 목표입시정보와 상기 합격입시정보가 완전히 일치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100%, 즉 1의 값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목표입시정보와 상기 합격입시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사도를 판단하여 입시매칭지수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목표입시정보가 수시 자기추천전형이고, 합격입시정보가 수시 글로벌인재전형인 경우 50%, 0.5의 값이 산출된다 할 수 있다. 이 때 입시매칭지수의 경우 기 설정된 규칙에 의해 변동될 수 있으며 0 초과 1 이하의 값으로 조절이 가능하다. 이 때 입시매칭지수의 설정 방법에 대해서는 한정을 두지 않는다.
이와 같이 1차비교파트(213), 2차비교파트(214), 3차비교파트(215)를 통해 대학매칭지수, 전공매칭지수, 입시매칭지수가 생성된다. 따라서 해당 지수들만으로도 충분히 매칭점수를 산출할 수 있을 것이나, 전문가(30)가 얼마나 베테랑인가, 즉 전문가(30)가 그동안 가상 면접을 수행한 면접수행수가 매칭점수 산출에 반영될 수 있다. 그말인 즉 가상 면접을 많이 수행한 베테랑 전문가(30)일수록 높은 매칭점수를 얻어 수험생(20)과 매칭처리될 확률이 높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면접수행모듈(400)의 세부 구성으로서 횟수판단부(460)가 더 포함되어 가상 입학사정관의 면접수행수를 카운트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상기 가상 입학사정관 및 상기 수험생(20)의 가상 면접이 종료됨에 따라 해당 가상 면접에 참여한 상기 가상 입학사정관의 면접수행수를 카운트하도록 하여 본 발명의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를 통해 다수의 가상 면접을 진행한 전문가(30)로 하여금 보다 높은 매칭점수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매칭처리부(210)에 포함된 매칭점수산출파트(216)는 상기 대학매칭지수, 상기 전공매칭지수, 상기 입시매칭지수에 상기 면접수행수를 반영하여 매칭점수를 산출하게 되며, 이 때 매칭점수는 상기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산출된다.
수학식 1,
Figure 112019014737321-pat00001
(
Figure 112019014737321-pat00002
는 상기 전문가(30)
Figure 112019014737321-pat00003
와 상기 수험생(20) 사이에 산출된 매칭점수,
Figure 112019014737321-pat00004
는 상기 전문가(30)
Figure 112019014737321-pat00005
와 상기 수험생(20) 사이에 산출된 입시매칭지수,
Figure 112019014737321-pat00006
는 상기 전문가(30)
Figure 112019014737321-pat00007
와 상기 수험생(20) 사이에 산출된 대학매칭지수,
Figure 112019014737321-pat00008
는 상기 전문가(30)
Figure 112019014737321-pat00009
와 상기 수험생(20) 사이에 산출된 전공매칭지수,
Figure 112019014737321-pat00010
는 상기 전문가(30)
Figure 112019014737321-pat00011
의 면접수행수로부터 산출된 가중치)
이 때
Figure 112019014737321-pat00012
는 상기 전문가(30)
Figure 112019014737321-pat00013
의 면접수행수로부터 산출된 가중치는 1 이상의 값을 갖는 것으로서, 면접수행수가 증가할수록 가중치 역시 증가하는 경향을 갖는다. 이 때 가중치 값의 설정 뿐 아니라 가중치 설정 규칙은 중앙관제서버(10)를 관리하는 관리자를 통해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별도의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문가(30) a와 수험생(20) 사이의 각각의 지수의 예를 들어 매칭점수를 산출한다고 하면, 입시매칭지수가 0.6, 대학매칭지수가 0.95, 전공매칭지수가 0.8, 그리고 가중치가 1.24라고 하자. 이 경우 매칭점수는
매칭점수 =
Figure 112019014737321-pat00014
의 값이 산출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객관화된 매칭점수 판단을 통해 해당 전문가(30)가 수험생(20)과 얼마나 높은 매칭도를 보이는 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이와 같이 매칭점수가 산출되면, 매칭처리파트(217)의 경우 상기 매칭점수의 고저에 따라 복수의 상기 전문가(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수험생(20)을 매칭하게 된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수험생(20)과의 매칭점수가 가장 높은 전문가(30)가 수험생(20)과 매칭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한 명의 수험생(20)과 여러 명의 전문가(30)가 매칭되는 경우 매칭점수가 가장 높은 전문가(30)부터 차례대로 매칭 처리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의 경우 가상 면접을 진행하는 것이 핵심적인 기능이라 할 수 있다. 이 때 가상 면접을 진행하는 면접수행모듈(400)은 그 세부구성인 답안입력부(440)에서, 마이크(41)를 통해 음성신호의 형태로 면접답안을 입력받는다. 따라서 해당 음성신호를 분석하여 가상 면접 시 수험생(20)이 얼마나 긴장하고 있는지에 대한 긴장상황을 판단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나아가 수험생(20)의 음성신호 뿐 아니라 발성 시 흉식호흡, 복식호흡을 하는지의 여부를 함께 분석 처리함으로써 보다 분명한 발성, 즉 복식발성을 하여 수험생(20) 본인이 의도하는 바를 가상 입학사정관에게 정확하고 명확히 전달하도록 독려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중앙관제서버(10)는 음성분석모듈(70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음성분석모듈(700)은 마이크(41)를 통해 입력 처리된 음성신호를 분석 처리하는 음성분석부(710) 및, 분석된 음성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수험생(20)의 발성능력을 수치화된 결과점수로서 산출해내는 결과산출부(7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음성분석부(710)는 마이크(41)를 통해 입력된 상기 수험생(20)의 음성신호를 분석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 때 기본적으로 입력된 음성신호를 종래의 음성 분석 프로그램 등을 통해 분석 처리함으로써 주파수, 진동수, 파장, 진폭 등의 기본적 파장정보를 분석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수험생(20)의 음성신호의 기본적 특성 등을 분석해냄은 기본이며 보다 세부적인 분석 역시 수행해낼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질파악파트(711), 피크파악파트(712), 주파수변동율산출파트(713), 유효음성파악파트(714)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음질파악파트(711)는 입력된 음성신호로부터 파악된 잡음 및 배음(배음이라 함은 원래 소리보다 큰 진동수를 가지는 소리를 의미한다.)을 기반으로 잡음 대 배음 비율을 산출하여 음성 신호의 음질을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피크파악파트(712)는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잡음 대 배음 비율을 가지는 음성 신호의 피크를 파악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이때 기준값은 본 발명의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본 발명의 시스템 자체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기준값이 설정되는 방법에는 그 제한이 없다.) 더불어 주파수변동율산출파트(713)는 상기 피크에 해당하는 상기 음성신호의 주기를 기반으로 주파수 변동율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주파수 변동율은 다음의 수학식 2를 통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2.
Figure 112019014737321-pat00015
(여기서,
Figure 112019014737321-pat00016
은 주파수 변동율,
Figure 112019014737321-pat00017
Figure 112019014737321-pat00018
번째 피크일 때 상기 음성신호 의 주기,
Figure 112019014737321-pat00019
은 상기 피크의 개수)
다음의 수학식 2는 음성신호의 주기 및 피크의 개수를 기반으로 수험생(20)의 음성신호에 대한 주파수 변동율을 산출하는 식으로서, 이렇게 산출된 주파수 변동율을 통해 수험생(20)의 음성신호가 유효한 음성인지를 파악하는 지표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주파수 변동율을 통해 수험생(20)의 음성 신호가 유효한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유효음성파악파트(714)는 주파수 변동율의 고저에 따라 상기 음성신호를 유효음성으로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유효음성파악파트(714)는 미리 설정된 기준 주파수 변동율 미만일 경우 음성 신호를 무효한 것으로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음성분석모듈(700)에 포함되는 결과산출부(720)는 분석된 상기 음성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수험생(20)의 발성능력을 수치화한 결과점수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발성능력이라 함은 기본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수험생(20)의 주파수, 진동수, 파장, 진폭 등의 기본적 파장정보를 분석하여 수치화한 값을 의미한다. 이 때 결과점수의 수치화 방법에 있어서는 별도의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음성평가에 이용되던 기존의 다양한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만약 분석된 음성신호의 파장정보가 또렷한 음색 및 상대방에게 인식되기 좋은 진폭 및 주파수를 지닌 음색인 경우, 결과점수가 높게 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와 반대되는 경우 (웅얼거리며 목소리가 작음, 상대방이 쉽게 알아들을 수 없는 음색) 결과점수가 낮게 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결과점수가 산출되는 경우 상술한 결과제공부(520)는 상기 면접을 종료한 상기 수험생(20)에게 상기 평가정보 뿐 아니라 분석된 결과점수를 함께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음성분석모듈(700)은 보완점수산출부(730)를 포함할 수 있어 상술한 주파수변동율산출파트(713)를 통해 산출된 주파수 변동율을 결과점수에 반영 처리할 수 있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주파수 변동율은 결과점수에 곱해져 보완점수로서 산출된다. 더불어 보완점수산출부(730)는 상기 음성신호가 유효음성일 시 상기 유효음성에 해당하는 상기 주파수 변동율을 상기 결과점수에 더 반영하여 보완점수를 산출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흉복부밴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여기서 더 나아가, 일반적으로 면접 시 복식호흡으로 발성을 수행하여 면접에 응하는 것이 보다 웅얼거리지 않고 명확한 소리로서 본인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수험생(20)은 본인의 호흡방식이 흉식호흡인지, 복식호흡인지를 판단하고 보다 명확하고 큰 발성인 복식호흡을 연습하는 것이 본인의 의사를 보다 명확히 표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시스템은 흉복부밴드(50)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수험생(20)의 흉부 및 복부 둘레를 감싸 상기 흉부 및 상기 복부의 팽창과 수축에 따른 전압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흉복부밴드(50)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흉복부밴드(50)는 기본적으로 흉부측정부(51) 및 복부측정부(52)를 포함하여 흉부와 복부 각각의 팽창 및 수축에 따른 전압 변화량을 측정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먼저 흉부측정부(51)는 상기 수험생(20)의 흉부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재질에 제한을 두지 않으나 탄성 재질의 밴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흉부측정부(51)의 내주면 일 측에는 제1전압센서(54)가 구비되어 상기 흉부의 팽창 및 수축에 따른 전압 변화량을 측정하도록 한다. 이 때 전압 변화량을 측정하는 제1전압센서(54)는 기존의 아두이노 전압센서 등이 응용될 수 있다.
복부측정부(52)의 경우 흉부측정부(51)와 그 기능이 유사하나 상기 수험생(20)의 복부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다는 차이가 있다. 더불어 내주면 일 측에 제2전압센서(55)를 구비하여 상기 복부의 팽창 및 수축에 따른 전압 변화량을 측정하는 특징이 있다. 이 때 제1전압센서(54) 및 제2전압센서(55)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더불어 흉부측정부(51)와 복부측정부(52)는 탄성재의 연결부(53)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데, 연결부(53)는 상기 수험생(20)의 흉부 및 복부 일 측을 감싸며 상기 흉부측정부(51) 및 상기 복부측정부(52)를 연결한다. 더불어 연결부(53)는 탄성계수가 낮은 탄성재로 구성되어 쉽게 탄성변형이 가능한 특성이 있어 다양한 수험생(20)의 상체 길이에 적용될 수 있다. 동시에 연결부(53)는 컨트롤러(56)를 내장하고 있다. 컨트롤러(56)는 상기 제1전압센서(54) 및 제2전압센서(5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1전압센서(54) 및 제2전압센서(55)의 동작을 제어할 뿐 아니라, 상기 제1전압센서(54) 및 상기 제2센서를 통해 측정된 전압 변화량을 상기 중앙관제서버(1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컨트롤러(56)는 비콘이나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을 통해 중앙관제서버(10)와 통신할 수 있어야 하며, 그를 위해서는 별도의 통신부 및 전원공급부 등이 컨트롤러(56)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흉복부밴드(50)를 통해 수험생(20)이 소리를 낼 때 흉식 호흡을 하는지 혹은 복식 호흡을 하는지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흉복부밴드(50)를 통해 상기 흉부 및 상기 복부의 팽창과 수축에 따른 전압 변화량이 측정되며, 이는 음성분석모듈(700)의 세부 구성인 호흡량입력부(740) 및 ㅂ고식비율산출부를 통해 분석 및 정보로서 이용될 수 있다.
호흡량입력부(740)는 기준시간 동안의 상기 전압 변화량으로부터 산출된 흉식 호흡량 및 복식 호흡량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기준시간은 중앙관제서버(10) 관리자를 통해 설정될 수 있는 값이며, 1초, 5초, 10초 등 초 단위 내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호흡량입력부(740)는 흉복부밴드(50)를 통해 생성된 흉부, 복부 각각의 전압 변화량을 통해 흉식 호흡량 및 복식 호흡량을 입력받을 수 있다.
복식비율산출부(740)는 상기 흉식 호흡량 및 상기 복식 호흡량을 기반으로 상기 수험생(20)의 복식호흡 능력인 복식비율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식비율이 다음의 수학식 3을 통해 산출된다.
수학식 3.
Figure 112019014737321-pat00020
(여기서,
Figure 112019014737321-pat00021
는 복식 비율,
Figure 112019014737321-pat00022
는 상기 호흡시간 동안의 복식 호흡량(L),
Figure 112019014737321-pat00023
는 상기 호흡시간 동안의 흉식 호흡량(L))
다음의 수학식 3은 복식 호흡량 및 흉식 호흡량을 기반으로 수험생(20)이 호흡을 할 때 복식 호흡을 얼마나 하는지를 의미하는 복식 비율을 산출하는 식으로서, 복식 호흡량 과 흉식 호흡량의 합 대비 복식 호흡량을 기반으로 복식 비율을 산출함으로써 수험생(20)이 호흡할 시 복식 호흡으로 하는 경우를 수치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식비율이 산출되는 경우, 상기 보완점수산출부(730)는, 상기 보완점수에 상기 복식비율을 더 반영하여 추가보완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보완점수에 복식비율을 곱하는 것만으로도 추가보완점수의 산출이 가능하며, 혹은 그 외의 다양한 방법으로 보완점수에 복식비율을 더 반영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이와 같이 추가보완점수가 산출되는 경우, 상기 결과제공부(520)는, 상기 면접을 종료한 상기 수험생(20)에게 상기 평가정보 및 상기 추가보완점수를 제공하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중앙관제서버 20 : 수험생
30 : 전문가 40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41 : 마이크 42 : 스피커
50 : 흉복부밴드 51 : 흉부측정부
52 : 복부측정부 53 : 연결부
54 : 제1전압센서 55 : 제2전압센서
56 : 컨트롤러 100 : 가입모듈
110 : 학생가입부 120 : 전문가가입부
200 : 매칭모듈 210 : 매칭처리부
211 : 대학DB 212 : 그룹화파트
213 : 1차비교파트 214 : 2차비교파트
215 : 3차비교파트 216 : 매칭점수산출파트
217 : 매칭처리파트 220 : 면접관설정부
230 : 그룹생성부 300 : 데이터베이스
400 : 면접수행모듈 410 : 접속판단부
420 : 면접시작부 430 : 질문전달부
440 : 답안입력부 450 : 답안제공부
460 : 횟수판단부 500 : 면접결과안내모듈
510 : 평가정보입력부 520 : 결과제공부
600 : 캐릭터생성모듈 700 : 음성분석모듈
710 : 음성분석부 711 : 음질파악파트
712 : 피크파악파트 713 : 주파수변동율산출파트
714 : 유효음성파악파트 720 : 결과산출부
730 : 보완점수산출부 740 : 호흡량입력부
750 : 복식비율산출부

Claims (13)

  1.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으로서,
    중앙관제서버와 통신 가능한 것으로, 일 측에 마이크 및 스피커가 구비되며 수험생의 두부(頭部)에 착용된 상태에서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를 실행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수험생으로부터 목표대학정보를 포함하는 학생정보를 입력받는 학생가입부 및, 전문가로부터 합격대학정보를 포함하는 전문가정보를 입력받는 전문가가입부를 포함하는 가입모듈과,
    복수의 상기 전문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수험생을 매칭하는 매칭처리부 및, 상기 수험생과 매칭 처리된 상기 전문가를 가상 입학사정관으로 설정하는 면접관설정부를 포함하는 매칭모듈 및,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 상에 접속한 상기 가상 입학사정관과 상기 수험생을 연결 처리하여 가상 면접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상기 수험생의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답안입력부를 포함하는 면접수행모듈과,
    상기 수험생의 음성신호를 분석 처리하는 음성분석부 및 분석된 상기 음성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수험생의 발성능력을 수치화한 결과점수를 산출하는 결과산출부를 포함하는 음성분석모듈과, 상기 가상 면접이 종료됨에 따라 상기 가상 입학사정관으로부터 상기 수험생에 대한 평가정보를 입력받는 평가정보입력부 및 상기 평가정보 및 상기 결과 점수를 상기 수험생에게 제공하는 결과제공부를 포함하는 면접결과안내모듈을 구비한 중앙관제서버;
    상기 수험생의 흉부 및 복부 둘레를 감싸 상기 흉부 및 상기 복부의 팽창과 수축에 따른 전압 변화량을 측정하는 흉복부밴드;를 포함하되,
    상기 음성분석부는,
    상기 음성신호로부터 파악된 잡음 및 배음을 기반으로 잡음 대 배음 비율을 산출하여 상기 음성신호의 음질을 파악하는 음질파악파트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잡음 대 배음 비율을 가지는 상기 음성신호의 피크를 파악하는 피크파악파트 및, 상기 피크에 해당하는 상기 음성신호의 주기를 기반으로 주파수 변동율을 산출하는 주파수변동율산출파트와, 상기 주파수 변동율의 고저에 따라 상기 음성신호를 유효음성으로 파악하는 유효음성파악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분석모듈은,
    기준시간 동안의 상기 전압 변화량으로부터 산출된 흉식 호흡량 및 복식 호흡량을 입력받는 호흡량입력부 및, 상기 흉식 호흡량 및 상기 복식 호흡량을 기반으로 상기 수험생의 복식호흡 능력인 복식비율을 산출하는 복식비율산출부와, 상기 음성신호가 유효음성일 시 상기 유효음성에 해당하는 상기 주파수 변동율을 상기 결과점수에 반영하여 보완점수를 산출하되 상기 보완점수에 상기 복식비율을 반영하여 추가보완점수를 산출하는 보완점수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면접을 종료한 상기 수험생에게 상기 추가보완점수를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면접수행모듈은,
    상기 가상 입학사정관 및 상기 수험생 각각에 대해 상기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 접속 여부를 판단하는 접속판단부 및,
    상기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 상에 상기 가상 입학사정관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면접시작부와,
    상기 가상 입학사정관으로부터 면접질문사항을 입력받는 질문입력부 및,
    상기 면접질문사항을 음성신호의 형태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수험생에게 출력하는 질문전달부와,
    상기 면접질문사항을 전달받은 상기 수험생으로부터 상기 마이크를 기반으로 면접답안을 입력받는 답안입력부 및,
    상기 면접답안을 상기 가상 입학사정관에게 제공하는 답안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문가를 포함하는 면접관그룹을 생성하는 면접관그룹생성파트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험생을 포함하는 응시생그룹을 생성하는 응시생그룹생성파트를 포함하는 그룹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칭처리부는,
    복수의 상기 면접관그룹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응시생그룹 중 어느 하나를 매칭 처리하며,
    상기 면접관설정부는,
    상기 응시생그룹과 매칭 처리된 상기 면접관그룹에 포함된 전문가를 상기 가상 입학사정관으로 설정하고,
    상기 질문전달부는,
    상기 면접질문사항을 상기 응시생그룹에 포함된 모든 상기 수험생에게 출력하고,
    상기 답안제공부는,
    상기 면접답안을 상기 가상 입학사정관 및 같은 상기 응시생그룹에 포함된 다른 상기 수험생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 상에 출력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상 입학사정관의 캐릭터인 가상면접관을 생성 및 저장하는 캐릭터생성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면접시작부는,
    상기 가상현실 교육 컨텐츠 상에 상기 가상면접관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학생정보는,
    목표대학정보 및 목표전공정보와 목표입시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문가정보는,
    합격대학정보 및 합격입시정보와 합격전공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매칭처리부는,
    상기 학생정보 및 전문가정보를 비교 처리하고 비교값의 고저에 따라 복수의 상기 전문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수험생을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면접수행모듈은,
    상기 가상 입학사정관 및 상기 수험생의 가상 면접이 종료됨에 따라 상기 가상 입학사정관의 면접수행수를 카운트하는 횟수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매칭처리부는,
    복수의 대학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대학DB와,
    복수의 상기 대학정보를 그룹화하여 그룹별정보를 생성하는 그룹화파트와,
    상기 그룹별정보와 상기 목표대학정보 및 상기 합격대학정보의 비교 처리를 통해 대학매칭지수를 생성하는 1차비교파트 및,
    상기 목표전공정보와 상기 합격전공정보의 비교 처리를 통해 전공매칭지수를 생성하는 2차비교파트와,
    상기 목표입시정보와 상기 합격입시정보의 비교 처리를 통해 입시매칭지수를 생성하는 3차비교파트 및,
    상기 대학매칭지수, 상기 전공매칭지수, 상기 입시매칭지수에 상기 면접수행수를 반영하여 매칭점수를 산출하는 매칭점수산출파트 및,
    상기 매칭점수의 고저에 따라 복수의 상기 전문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수험생을 매칭하는 매칭처리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점수산출파트는,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매칭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
    수학식 1,
    Figure 112019045353239-pat00024

    (
    Figure 112019045353239-pat00025
    는 상기 전문가
    Figure 112019045353239-pat00026
    와 상기 수험생 사이에 산출된 매칭점수,
    Figure 112019045353239-pat00027
    는 상기 전문가
    Figure 112019045353239-pat00028
    와 상기 수험생 사이에 산출된 입시매칭지수,
    Figure 112019045353239-pat00029
    는 상기 전문가
    Figure 112019045353239-pat00030
    와 상기 수험생 사이에 산출된 대학매칭지수,
    Figure 112019045353239-pat00031
    는 상기 전문가
    Figure 112019045353239-pat00032
    와 상기 수험생 사이에 산출된 전공매칭지수,
    Figure 112019045353239-pat00033
    는 면접수행수로부터 산출된 가중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변동율은,
    다음의 수학식 2를 통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
    수학식 2.
    Figure 112019045353239-pat00034

    (여기서,
    Figure 112019045353239-pat00035
    은 주파수 변동율,
    Figure 112019045353239-pat00036
    Figure 112019045353239-pat00037
    번째 피크일 때 상기 음성신호 의 주기,
    Figure 112019045353239-pat00038
    은 상기 피크의 개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흉복부밴드는,
    상기 수험생의 흉부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내주면 일 측에 상기 흉부의 팽창 및 수축에 따른 전압 변화량을 측정하는 제1전압센서가 구비된 흉부측정부 및,
    상기 수험생의 복부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내주면 일 측에 상기 복부의 팽창 및 수축에 따른 전압 변화량을 측정하는 제2전압센서가 구비된 복부측정부 및,
    탄성 재질로서 상기 흉부측정부 및 상기 복부측정부를 연결하여 상기 수험생의 흉부 및 복부 일 측을 감싸는 것으로서, 상기 제1전압센서 및 상기 제2전압센서를 통해 측정된 전압 변화량을 상기 중앙관제서버에 전송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90016213A 2019-02-12 2019-02-12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1998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213A KR101998753B1 (ko) 2019-02-12 2019-02-12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213A KR101998753B1 (ko) 2019-02-12 2019-02-12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753B1 true KR101998753B1 (ko) 2019-07-10

Family

ID=67255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213A KR101998753B1 (ko) 2019-02-12 2019-02-12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7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30219A (zh) * 2020-12-14 2021-03-19 北京高途云集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教学信息展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3222549A (zh) * 2021-05-18 2021-08-06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信息交互方法、装置、系统和电子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38073A (ja) * 2009-12-29 2011-07-14 Masatsugu Yajima 模擬面接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30044637A (ko) * 2011-10-24 2013-05-03 주식회사 아인픽춰스 모의 면접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07824A (ko) * 2013-07-12 2015-01-2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논술 첨삭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41879A (ko) * 2016-03-30 2016-04-18 리치앤타임(주) 다중 접속을 통하여 다수의 훈련자의 개별적인 가상훈련공간의 인식과 공유된 가상작업공간에서 집단적이며 조직적인 협력훈련이 가능한 몰입식 네트워크 가상훈련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가상훈련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몰입식 네트워크 가상훈련 방법.
KR101759335B1 (ko) * 2016-10-05 2017-07-19 주식회사 지엔아이씨티 뇌파 측정을 이용한 발표 및 면접 훈련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38073A (ja) * 2009-12-29 2011-07-14 Masatsugu Yajima 模擬面接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30044637A (ko) * 2011-10-24 2013-05-03 주식회사 아인픽춰스 모의 면접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07824A (ko) * 2013-07-12 2015-01-2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논술 첨삭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41879A (ko) * 2016-03-30 2016-04-18 리치앤타임(주) 다중 접속을 통하여 다수의 훈련자의 개별적인 가상훈련공간의 인식과 공유된 가상작업공간에서 집단적이며 조직적인 협력훈련이 가능한 몰입식 네트워크 가상훈련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가상훈련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몰입식 네트워크 가상훈련 방법.
KR101759335B1 (ko) * 2016-10-05 2017-07-19 주식회사 지엔아이씨티 뇌파 측정을 이용한 발표 및 면접 훈련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30219A (zh) * 2020-12-14 2021-03-19 北京高途云集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教学信息展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3222549A (zh) * 2021-05-18 2021-08-06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信息交互方法、装置、系统和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unroe et al. The Munroe multicultural attitude scale questionnaire: A new instrument for multicultural studies
KR20180099403A (ko) 온라인 심리상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심리상담 방법
US20210117925A1 (en) Method for teaching management, blockchain node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De Pablos-Pons et al. Teacher well-being and innovation wit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proposal for a structural model
KR101998753B1 (ko)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 교육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
Van Eeden et al. Cognitive ability, learning potential, and personality traits as predictors of academic achievement by engineering and other science and technology students
Betz et al.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CAPA and FOCUS online: Career assessment systems with undecided college students
KR102004188B1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강의서비스 제공장치
KR102186936B1 (ko) 지원자 매칭을 위한 평가 시스템 및 방법
Gwelo Determinants of career choice among university students
McClain et al. Using outcomes assessment: A case study in institutional change
KR100937923B1 (ko) 예체능 실기 모의고사 시행시스템
KR20000063641A (ko) 인성 및 적성검사에 의한 진학진로 안내 시스템
Bradham et al. The listening and spoken language data repository: Design and project overview
KR20120078242A (ko) 대학진학분석시스템
Ngussa et al. Perception of students regarding the role of teachers and parents on career choice preparedness: A case of secondary schools in Meru District, Tanzania
Johnson Relationships between female and male interest scales for the same occupations
Lewis et al. Multiattribute evaluation of program alternatives within special education
Al-Kindi et al. Exploring factors and indicators for measuring students’ performance in moodle learning environment
Dimitrova Educational policy, specialised staff, innovations and recreational industry
CN111985793A (zh) 一种学生网上评教方法
Amanah et al. An evaluation of Islamic moral teaching for students of Madrasah Aliyah Negeri (MAN)
Montgomery Virtual high schools versus brick and mortar high schools: An analysis of graduation rates for low socio-economic students in South Carolina
Halpern Developmental assessment in EPSDT.
Ratanakosol et al. Development of a learning process for creating community identity: Results from Rayong, Thail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