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918B1 - 오존수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오존수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918B1
KR101997918B1 KR1020170021855A KR20170021855A KR101997918B1 KR 101997918 B1 KR101997918 B1 KR 101997918B1 KR 1020170021855 A KR1020170021855 A KR 1020170021855A KR 20170021855 A KR20170021855 A KR 20170021855A KR 101997918 B1 KR101997918 B1 KR 101997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zone
pipe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9428A (ko
Inventor
이면규
이석원
Original Assignee
이면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면규 filed Critical 이면규
Priority to KR1020170021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918B1/ko
Publication of KR20170089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1Aerating, i.e. introducing oxygen containing gas in liquids
    • B01F23/237613Ozone
    • B01F3/04099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10Preparation of ozone
    • C01B13/11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 discharge
    • B01F2003/0488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01F2215/0052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2Ozone gen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4Treatment of water in water supply networks, e.g. to prevent bacterial growt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용수공급부; 용수공급부로부터 전달되는 용수가 이동되고, 용수를 제1용수와 제2용수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액로분리부, 제1용수와 제2용수가 합류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액로합류부 및 이송부를 포함하는 용수이송관; 오존을 생산할 수 있는 방전관을 포함하고, 제1액로분리부, 제2액로합류부, 및 이송부와 각각 연결되어 제2용수에 의해 방전관을 냉각시킬 수 있으며 이송부로 오존을 공급할 수 있는 오존발생부; 및 용수이송관과 연결되고, 용수이송관 내부에 흐르는 용수에 오존이 용해되도록 상기 오존을 공급하는 배오존공급부를 포함하는 오존수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오존수 공급장치{OZONIC WATER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오존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의 비위생적 처리로 인한 식중독 사고와 지하수, 심층수 등을 이용하는 가공업체 및 취급자의 손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한 오염으로 인하여 식중독 사고가 발생되기도 한다. 그리고, 살균소독이 필요한 식자재의 처리에 있어서도 효율적인 세정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수돗물은 정수장에서 여러 단계를 걸쳐 살균 및 이물질 제거와 함께 정수처리하고 있지만, 염소 등 기타 처리를 통해 2차 오염의 발생율이 높고, 정수장에서 각 가정으로 이송되는 시간과 기존의 수도관이 노화로 인해 2차오염에 기인한 세균번식이 문제될 수 있다.
한편, 오존은 오래전부터 유럽, 미국 증에서 대규모 정수장을 필두로 여러 분야에서 안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오존은 염소등과 달리 산화제로 쓰일 때 유해 잔유물(2차 오염물)이 생성되지 않고, 살균력이 강하여 박테리아와 바이러스 균을 제거하고 강력한 표백력을 지니고 있다. 생활에 사용하는 물에 대한 오염문제를 극복하고 더욱 건강에 이로운 물질을 얻기 위해 오존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오존이 용존된 살균수를 생활 시설에서 쉽게 얻기 위해 제공되고 있는 기술이 미흡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2-000059032 호 (2002. 07. 12)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방전관을 이용하여 생성한 오존을 살균수기에 공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방전과정에서 방전관에 발열되는 열을 공급되는 용수를 이용하여 냉각시키는 것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 개의 오존공급수단에 의하여 충분한 오존이 공급되는 오존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용존 농도조절표시창을 통하여 살균수의 용존농도를 시각정보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탈부착이 가능한 오존공급부와 배오존공급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수공급부; 용수공급부로부터 전달되는 용수가 이동되고, 용수를 제1용수와 제2용수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액로분리부, 제1용수와 제2용수가 합류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액로합류부 및 이송부를 포함하는 용수이송관; 오존을 생산할 수 있는 방전관을 포함하고, 제1액로분리부, 제2액로합류부, 및 이송부와 각각 연결되어 제2용수에 의해 방전관을 냉각시킬 수 있으며 이송부로 오존을 공급할 수 있는 오존발생부; 및 용수이송관과 연결되고, 용수이송관 내부에 흐르는 용수에 오존이 용해되도록 상기 오존을 공급하는 배오존공급부를 포함하는 오존수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오존수 공급장치는 오존이 용해된 용수가 저장되는 살균수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배오존공급부는 살균수저장부에 저장된 용수로부터 기액분리된 오존을 용수이송관에 재공급할 수 있다.
또한, 용수가 흐르는 유체통과단면적이, 제1액로분리부보다 제2액로합류부가 더 좁게 형성되어 발생한 압력차에 의하여, 제1액로분리부로부터 제2액로합류부로 제2용수가 이동되는, 오존수 공급장치.
또한, 제1액로분리부 및 제2액로합류부는 삼방밸브 또는 T형 관일 수 있다.
또한, 방전관은 제1액로분리부와 냉각수공급관에 의하여 연결되고, 방전관으로 공급되는 제2용수의 양은 용수이송관을 통과하는 용수의 1/5 이상 2/3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오존발생부는 방전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오존수 공급장치.
또한, 방전관은 방전관을 나선형으로 감고 있는 냉각로에 제2용수가 통과하면서 냉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방전관을 이용하여 생성한 오존을 살균수기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방전과정에서 방전관에 발열되는 열을 공급되는 용수를 이용하여 냉각시키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 개의 오존공급수단에 의하여 충분한 오존이 공급되는 오존수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용존 농도조절표시창을 통하여 살균수의 용존농도를 시각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탈부착이 가능한 오존공급부와 배오존공급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존수 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액로분리부에 의하여 분리되는 용수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그리고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연결관(110), 용수이송관(300), 환류관(210), 오존이송관(420), 공급부(500), 이송부(700) 및 공급공(701)은 원형임을 가정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체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다양한 실시예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1에서는 제1이송부(710)에 공급부(500)가 한 개 결합되어있지만 제1이송부(710)에 다수 개의 공급부(500)가 결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하에서도 제1이송부(710)에 두 개의 공급부(500)가 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이송부(710)에 1개(도 1 참조) 또는 3개 이상(미도시)의 오존공급부가 결합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도 1에는 제2이송부(720)에 한 개의 공급부(500)가 결합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의 공급부(500)가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제1이송부(710)와 공급부(500)가 2개 결합되는 경우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며 제2이송부(720)에 공급부(500)가 결합되는 구조는 그 구체적인 기재를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존수 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오존수 공급장치는 용수공급부(100), 용수저장부(200), 용수이송관(300), 살균수저장수(400), 공급부(500), 오존발생부(600) 및 이송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용수공급부(100)는 예를 들어 용수(1)가 물일 때, 수도꼭지 또는 물탱크 등이 될 수 있으며, 용수저장부(200)로 용수(1)를 공급하기 위하여 연결관(110)에 의하여 연결되고, 연결관(110)을 경유한 용수는 용수저장부(200)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관(110)에는 밸브(111)가 위치될 수 있고, 밸브(111)조작에 의하여 연결관(110)의 개폐가 제어될 수 있다.
연결관(110)을 통하여 용수저장부(200)로 공급되는 용수(1)는 용수이송관(300)을 통하여 이송될 수 있다. 용수이송관(300)을 통하여 이송되는 용수(1)는 이송부(700)를 경유할 수 있다. 여기서, 이송부(700)는 제1이송부(710)와 제2이송부(720)를 포함하며, 용수(1)는 제1이송부(710)에 먼저 경유될 수 있다.
또한, 제1이송부(710)는 공급부(500)와 연결될 수 있다. 공급부(500)는 오존공급부(510)와 배오존공급부(520)를 포함할 수 있고, 제1이송부(710)와 연결되는 공급부(500)가 오존공급부(510)로 지칭되고, 제2이송부(720)와 연결되는 공급부(500)는 배오존공급부(520)로 지칭된다.
이러한 구조와 같이 이송부(700)와 공급부(500)는 각각 서로 대응하여 연결되므로 각각의 수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 개의 이송부(710, 720)와 2 개의 공급부(510, 520)를 예시하고 있지만 그 개수는 다양한 실시예로 변형될 수 있다.
제1이송부(710)는 오존공급부(510)의 일측과 연결되고, 오존공급부(510)의 타측은 오존공급관(62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오존공급부(510)는 촉매제를 투입가능한 흡입구(511)가 형성될 수 있다. 오존공급관(620)은 방전관(610)과 오존공급부(510)를 연결하고 오존공급관(620)을 통해 방전관(610)에서 생성되는 오존(2)을 오존공급부(510)로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오존발생부(600)는 전기방전을 통하여 오존(2)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써, 전극 사이에 방전관(유리, 세라믹)을 끼우고 그 방전관 안에 고압을 가함으로써 +와 - 전기 사이에 수많은 전기적 에너지들의 충돌을 인위적으로 유도하여 그 사이에 공기나 산소를 통과시키면 산소(O2)가 전기적 에너지와의 충돌에 의해 2개의 O로 나누어지며 일부 나누어지지 않은 산소와 합쳐져서 오존(2)을 생성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방전관(610)에서 생성된 오존(2)은 오존공급관(620)을 따라 오존공급부(510)로 전달될 수 있다. 오존공급부(510)는 제1이송부(71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오존공급부(510)로 전달된 오존(2)은 제1이송부(710)로 전달된다. 오존공급부(510)에서 제1이송부(710)로 전달되는 과정은 벤츄리 효과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벤츄리 효과에 의한 오존(2)의 이동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오존(2)의 공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방전관(610)에 고압을 반복적으로 가해야 하므로 오존(2) 발생 과정에서 방전관(610)이 가열될 수가 있다. 그러므로 가열된 방전관(610)을 냉각하기 위해서 용수이송관(300)에 흐르는 제2용수(20)를 방전관(61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용수공급부(100)에 의하여 공급된 용수(1)가 용수이송관(300)으로 이송되면 기 결정된 양의 제2용수(20)가 벤츄리 효과에 의하여 방전관(61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용수(20)는 냉각수로 이용됨으로써, 방전관(610) 내부 또는 외부에서 예를 들면, 코일과 같은 형태로 형성된 냉각로(613)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냉각로(613)를 따라 이동하면서 가열된 방전관(613)의 높은 열과 상대적으로 낮은 제2용수(20)의 온도가 열교환하는 과정에서 방전관(613)의 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냉각로(613)를 따라 이동되는 용수(1)는 냉각수배출관(612)을 통하여 제2액로합류부(640)로 이송될 수 있다. 이송된 용수(1)는 용수이송관(300)을 따라 살균수저장부(400)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여기서, 냉각수로 이용되기 위하여 이송되는 제2용수(20)의 기 결정된 양은 벤츄리 효과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오존발생부(600)는 냉각수와 관련하여 냉각수공급관(611) 및 냉각수배출관(612)에 의하여 용수이송관(300)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벤츄리 효과에 의하여 유입되는 제2용수(20)의 양은 냉각수배출관(612)과 연결된 제2액로합류부(640) 내부의 제1용수(10) 이동 속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용수이송관(300)에 대하여 오존발생부(600)는 예를 들어, T자형 관 또는 삼방밸브를 통하여 바이패스(by pass) 구조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 주(main) 유로에 대하여 바이패스 구조로 연결된 입구측과 출구측에 해당되는 부분에서 유체의 속도 차에 따른 압력차가 발생하면, 바이패스 구조로 연결되는 관 내부의 유체는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가 형성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냉각수 공급구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제1액로분리부(630)에서 냉각수공급관(611)으로 이동한 만큼 용수이송관(300) 내의 제1용수(10)의 양이 감소하고, 감소한 양만큼의 이후 흐름에 있어서 속도도 함께 저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압력차에 따른 냉각수 순환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2액로합류부(640) 측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2액로합류부(640)의 용수이송관(300) 방향의 지름은 제1액로분리부(630)의 용수이송관(300) 방향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감소한 양의 제2용수(20) 때문에 느려진 속도를 보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방전관(610)에서 생성된 오존(2)이 오존공급부(510)로 이동되고 제1용수(10)에 용해되기 위하여 용수이송관(300)으로 유입될 때, 흡입구(511)로 투입된 촉매제와 함께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촉매제는 염소, 이산화염소, 망간산칼륨, 과산화수소 및 PH조절촉매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촉매제와 함께 오존(2)이 용해되는 제2용수(20)는 제2액로분리기(640)를 통해 제2이송부(720)로 이송될 수 있다. 제2이송부(720)로 이송된 용수(1)는 제2이송부(720)와 연결된 배오존공급부(520)로부터 오존(2)을 공급받을 수 있다.
배오존공급부(520)는 제2이송부(72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배오존공급부(520)로 전달된 오존(2)은 제2이송부(720)로 전달된다. 배오존공급부(520)에서 제2이송부(720)로 전달되는 과정은 벤츄리 효과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벤츄리 효과에 의한 오존(2)의 이동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오존(2)이 배오존공급부(520)로 이동되고 용수(1)에 용해되기 위하여 용수이송관(300)으로 유입될 때, 배오존공급부(520)는 오존공급부(510)와 용수이송관(300)의 축을 기준으로 서로 각도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벤츄리 효과에 의해 유입되는 오존(2)의 공급방향의 불균일성을 유발하여, 용수이송관(300) 내부의 용수(1)에서 와류 또는 난류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오존(2)과 용수(1)의 원활한 혼합을 유도할 수 있다.
이어서, 오존(2)이 혼합된 용수(1)는 별도의 와류교반부(340)를 지나 살균수저장부(400)로 유입된다. 살균수저장부(400)는 사용자에게 살균수(1a)를 제공하기 위해 살균수(1a)가 배출되는 배출관(460), 살균수(1a)가 환류되는 환류관(210) 및 오존(2)이 이송되는 오존이송관(420)과 연결될 수 있다. 배출관(460)은 배출관밸브(461)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배출관밸브(461)를 조작하여 배출관(46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살균수저장부(400)는 사용자에게 살균수저장부(400) 내부에 있는 살균수(1a)의 오존용해농도를 시각정보로 전달할 수 있는 농도표시창(41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농도표시창(410)을 확인하고 오존용해농도가 낮으면 오존용해과정을 반복할 수 있도록, 살균수저장부(400) 내부의 살균수(1a)를 용수저장부로(200) 환류시킬 수 있다.
여기서, 환류되는 살균수(1a)는 살균수저장부(400)와 용수저장부(200)를 연결하는 환류관(210)을 통하여 용수저장부(200)로 이송될 수 있다. 용수저장부(200)로 유입된 살균수(1a)는 용수(1)와 섞여서 용수이송관(300)의 안내에 따라 살균수저장부(400)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살균수(1a)의 이송은 사용자가 농도표시창(410)을 확인하고 환류관(210)에 위치한 환류관밸브(211)를 조작하여 환류관(210)의 개폐를 제어하여 가능할 수 있다.
반면에, 살균수저장부(400) 내부의 살균수(1a)가 오존(2)이 충분히 용해된 상태이고 잔여 오존(2)이 살균수저장부(400) 내부의 공기 중에 존재하면, 잔여 오존(2)을 배오존공급부(520)로 안내하는 오존이송관(420)을 통해 잔여 오존(2)이 이송될 수 있다.
다만, 잔여 오존(2)은 오존수 공급장치가 운전 중일 경우, 오존이송관(420)을 통하여 배오존공급부(520)로 이송될 수 있고, 오존수 공급장치가 운전 중이 아닐 경우, 배오존파괴기(미도시)로 유입되어 오존상태가 분해되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오존수 공급장치의 운전 또는 미운전시의 잔여 오존(2)의 흐름은 오존이송관(420)에 위치하는 삼방밸브(미도시)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오존수 공급장치의 운전 시에는 잔여 오존(2)이 오존이송관(420)에 위치하는 기액분리기(440)를 경유할 수 있다. 따라서, 오존수 공급장치가 운전 중에는, 잔여 오존(2)이 오존이송관(420)을 통해 배오존공급부(520)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로에서 삼방밸브(미도시)와 기액분리기(440)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이동될 수 있다.
오존이송관(420)에 안내되어 이동된 잔여 오존(2)은 배오존공급부(520)로 전달되고 용수이송관(300)에 흐르는 용수(1)에 의하여 제2이송부(720)로 유입되면서 오존(2)과 용수(1)의 2차 용해가 이루어질 수 있다. 2차 용해가 이루어진 용수(1)는 다시 와류교반부(340)에 의하여 원활한 혼합이 된 후에 살균수저장부(400)로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와류교반부(340)는 앞서 오존(2)과 혼합된 용수(1)에 와류를 발생시켜서 혼합을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오존발생부(600)와 용수이송관(300)의 바이패스 연결구조를 도시하여 제2용수(20)가 냉각수로 공급되고 배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냉각수의 출입과 관계없는 구조는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용수이송관(300)은 제1용수(10)가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전측과 후측에 각각 오존발생부(6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측에는 냉각수공급관(611)이 연결되고 후측에는 냉각수배출관(612)이 연결될 수 있다. 냉각수공급관(611)을 통해 용수이송관(300)에 흐르는 제1용수(10)는 방전관(61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냉각수공급관(611)의 일측은 용수이송관(300)과 연결되고 타측은 냉각로(613)와 연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용수(20)는 냉각수공급관(611)에 의하여 냉각로(613)를 경유하여 용수이송관(300)의 상기 후측에 연결되는 냉각수배출관(612)에 의하여 용수이송관(3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용수(10, 20)의 흐름은 펌프와 같은 강제대류를 유발할 수 있는 수단에 의하여 강제대류될 수가 있지만, 벤츄리 효과에 의하여 흐름이 형성된다. 이는, 용수이송관(300)과 연결되는 제1액로분리부(630)와 제2액로합류부(640)의 용수이송관 방향에 해당하는 내부 직경의 차이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액로분리부(630)의 내부직경인 제1액로지름(D1)이 기 결정되면 제2액로합류부(640)의 내부직경인 제2액로지름(D2)이 결정될 수 있다. 이는 제1액로지름(D1)보다 제2액로지름(D2)이 작게 형성되어 유체통과 단면적이 좁아지고 그에 따른 유체통과 속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구조이다. 예를 들어, 제2액로합류부(640)에는 내부에 교축부(750a)가 형성되어 내부의 유체통과 면적을 좁게 형성되도록 할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제2액로지름(D2) 위치의 제1용수(10)가 증가된 통과 속도를 형성하면 제1액로지름(D1) 위치보다 압력이 낮아지게 된다. 높은 압력에서 낮은 압력으로 유체가 흐르므로 제2용수(20)는 제1액로분리부(630)로부터 바이패스 구조 상으로 제2액로합류부(640)로 이송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액로분리부(630)에 의하여 분리되는 용수(1)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용수이송관(300)에서 흐르는 용수(1)의 일부가 냉각수공급관(611)에 의하여 분산되는데, 이 때의 각 용수량은 예를 들어, 용수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전체 용수(1) 중 1/5 ~ 2/3 사이의 양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압력의 차를 조절한다.
전체 용수(1)의 1/5 미만의 양이 냉각수로 이용되기 위하여 냉각로(613)로 흐르게 될 경우에는 냉각효율이 감소하여 방전관(610)이 과열될 수가 있고 전체 용수의 2/3 초과되는 양이 냉각수로 이용되기 위하여 냉각로(613)로 흐르게 될 경우에는 오존(2) 용해 과정에서 제1용수(10)에 의한 오존(2) 용해율이 감소될 수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용수
1a : 살균수
2 : 오존
100 : 용수공급부
110 : 연결관
111 : 연결관밸브
200 : 용수저장부
210 : 환류관
300 : 용수이송관
302 : 이송관플랜지
304 : 이송관나사
340 : 와류교반부
400 : 살균수저장부
410 : 농도표시창
420 : 오존이송관
440 : 기액분리기
460 : 배출관
500 : 공급부
510 : 오존공급부
511 : 흡입구
520 : 배오존공급부
600 : 오존발생부
610 : 방전관
611 : 냉각수공급관
612 : 냉각수배출관
613 : 냉각로
620 : 오존공급관
630 : 제1액로분리부
640 : 제2액로합류부
700 : 이송부
701 : 공급공
702 : 이송관플랜지
704 : 이송부나사
710 : 제1이송부
720 : 제2이송부
750, 750a : 교축부
D1 : 제1액로지름
D2 : 제2액로지름

Claims (5)

  1. 용수공급부;
    상기 용수공급부로부터 전달되는 용수가 이동되고, 상기 용수를 제1용수와 제2용수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액로분리부, 상기 제1용수와 상기 제2용수가 합류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액로합류부 및 이송부를 포함하는 용수이송관;
    오존을 생산할 수 있는 방전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액로분리부, 상기 제2액로합류부, 및 상기 이송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2용수에 의해 상기 방전관을 냉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이송부로 상기 오존을 공급할 수 있는 오존발생부;
    상기 용수이송관과 연결되고, 상기 용수이송관 내부에 흐르는 상기 용수에 상기 오존이 용해되도록 상기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공급부; 및
    상기 오존이 용해된 상기 용수가 저장되는 살균수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존 공급부는 하나 이상의 공급공을 가지고,
    상기 오존 공급부는 상기 용수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제1액로분리부와 상기 제2액로합류부의 사이에 위치되는, 오존수 공급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존수 공급장치의 작동상태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기로 제어되는, 오존수 공급장치.
KR1020170021855A 2017-02-17 2017-02-17 오존수 공급장치 KR101997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855A KR101997918B1 (ko) 2017-02-17 2017-02-17 오존수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855A KR101997918B1 (ko) 2017-02-17 2017-02-17 오존수 공급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418A Division KR101712995B1 (ko) 2016-01-26 2016-01-26 오존수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428A KR20170089428A (ko) 2017-08-03
KR101997918B1 true KR101997918B1 (ko) 2019-07-08

Family

ID=59655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855A KR101997918B1 (ko) 2017-02-17 2017-02-17 오존수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9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393B1 (ko) * 2020-07-17 2021-02-03 데솔 주식회사 친환경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생성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9508A (ja) 1998-11-25 2000-06-13 Toshiba Corp オゾン発生装置
JP2008068218A (ja) * 2006-09-15 2008-03-27 Hamanetsu:Kk オゾン水生成装置
JP2013063396A (ja) 2011-09-19 2013-04-11 Hitachi Ltd 液体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509B1 (ko) 2000-12-30 2003-07-22 정원산전 주식회사 오존방전관 및 이를 이용한 오존발생장치
KR101024658B1 (ko) * 2008-10-07 2011-03-25 (주)종합엔텍 오존수 제조장치
KR20120062289A (ko) * 2010-12-06 2012-06-14 박정해 오존을 이용한 정수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9508A (ja) 1998-11-25 2000-06-13 Toshiba Corp オゾン発生装置
JP2008068218A (ja) * 2006-09-15 2008-03-27 Hamanetsu:Kk オゾン水生成装置
JP2013063396A (ja) 2011-09-19 2013-04-11 Hitachi Ltd 液体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428A (ko) 2017-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3794B2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JP2009000687A (ja) 流体混合装置
JP4293829B2 (ja) オゾン水供給装置と流体混合装置
KR101997918B1 (ko) 오존수 공급장치
KR101712995B1 (ko) 오존수 공급장치
KR102002781B1 (ko) 플라즈마 오존 살균장치
JP2004267940A (ja) 気液混合反応方法及び気液混合反応装置
CN100441517C (zh) 一种制冰水消毒灭菌方法
JP2001187326A (ja) 気水混合器
CN106745667A (zh) 一种医院污水处理装置
US20080164422A1 (en) Non-heating type fluid sterilizing apparatus
CN214059992U (zh) 疾控实验室废水消毒装置
CN101254014A (zh) 一种高密度二氧化碳杀菌处理反应器
KR101632640B1 (ko) 배오존 재활용 장치
JP2021037502A (ja) 感染性廃棄物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CN206253028U (zh) 一种高效气液混合设备
WO2010142655A1 (en) System for purification of microbiologically contaminated water through the use of ozono
KR101632639B1 (ko) 배오존 재활용 장치
CN111592162B (zh) 一种水处理超滤膜组件
JP2019048274A (ja) 酸素水の製造装置および酸素水の製造方法
CN107596935A (zh) 一种高效高浓度溶气装置
CN209906538U (zh) 用于游泳池的无极紫外杀菌装置
CN211770501U (zh) 一种环流式污水处理装置
KR200208109Y1 (ko) 오존수 생성장치
KR20170037494A (ko) 배오존 재활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