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639B1 -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의 고장표시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의 고장표시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639B1
KR101997639B1 KR1020180010779A KR20180010779A KR101997639B1 KR 101997639 B1 KR101997639 B1 KR 101997639B1 KR 1020180010779 A KR1020180010779 A KR 1020180010779A KR 20180010779 A KR20180010779 A KR 20180010779A KR 101997639 B1 KR101997639 B1 KR 101997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lt
failure
current
line
fault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남선
이익로
Original Assignee
피앤씨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앤씨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앤씨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0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6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6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networks, i.e. with interconnected condu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Indicating direction of current; Indicating polarity of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13Arrangements for monitoring electric power systems, e.g. power lines or loads; Log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04S10/52Outage or fault management, e.g. fault detection or lo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의 고장표시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의 고장표시 관리 장치는, 기 설정된 기준값에 대해 선로전류를 비교함에 따라 고장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고장전류 검출부; 상기 고장전류가 상기 기준값 미만으로 감소됨에 따라 기 설정된 지연시간 만큼 고장경험을 유지시키기 위한 지연부; 분산전원 차단에 따른 선로전압의 상태를 확인하여 사선 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사선검출부; 및 상기 지연시간 내에 상기 판정된 사선 상태에 따라 고장표시(Fault Indication)를 설정하여 전달하기 위한 고장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의 고장표시 관리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THE FAULT INDICATIONS OF DISTRIBUTION LINE WITH DISTRIBUTED GENERATION}
본 발명은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의 고장표시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 고장검출 해소 시점(즉, 변압기측 전원 차단 시점)과 배전선로 사선 시점(즉, 분산전원 차단 시점)이 서로 일치하지 않은 상태일 때 고장경험 유지 시간을 지연시켜 고장검출 및 고장표시를 수행함으로써, 사후 고장분석을 가능하게 고장표시를 관리하기 위한,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의 고장표시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변전소로부터 수용가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전선로는 송전선로와는 달리 수많은 수용가에 각각 전력을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그 구성은 복잡한 간선 및 지선들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배전선로 상에 지락(전선이 끊어져 땅에 붙어 접지되는 경우) 또는 단락(서로 다른 상의 전선들이 붙는 경우) 사고가 발생하여 고장전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사고가 발생한 고장발생구간을 찾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변전소 차단장치를 동작시켜 가면서 현장의 조작자와 변전소 관리자가 사고 지점에 관한 정보를 서로 교환하여 사고가 발생한 고정점의 위치를 찾는 방식이 보편적이었다. 이러한 방식은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며 복구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정전 시간이 길어져 전력 소비자의 큰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배전지능화시스템(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DAS)은 배선 선로의 사고 발생시 고장발생구간을 신속히 파악하고 복구하여 정전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전력 공급의 신뢰성과 수용가에 대한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도입되었다.
이러한 배전지능화시스템은 배전선로의 사고 발생시 고장발생구간을 다음과 같이 판별한다.
일반적으로, 배전선로에서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고장전류를 공급하는 전원이 오직 변전소측 전원이기 때문에, 변전소로부터 고장점까지 단방향으로 고장전류가 공급된다. 이때, 배전지능화시스템에서는 기본적으로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는 방식을 이용하여 고장발생구간을 판별한다.
그러나,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에서의 고장전류 공급원은 변전소 이외에 분산전원이 추가된다. 이 경우, 배전지능화시스템에서는 고장전류가 양방향으로 분포하게 되기 때문에, 기존과 같이 분산전원이 연계되지 않은 배전선로에 대한 고장발생구간을 판별하는 방식을 그대로 적용할 경우에 사후 고장 분석을 하거나 개폐기의 이력을 관리하기 곤란하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배전지능화시스템에서는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에서의 고장을 표시할 때, 고장전류가 양방향으로 분포하게 되는 특성을 고려하여 사후 고장 분석 또는 개폐기의 이력 관리에 반영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9637호 (2011.09.27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 고장검출 해소 시점(즉, 변압기측 전원 차단 시점)과 배전선로 사선 시점(즉, 분산전원 차단 시점)이 서로 일치하지 않은 상태일 때 고장경험 유지 시간을 지연시켜 고장검출 및 고장표시를 수행함으로써, 사후 고장분석을 가능하게 고장표시를 관리하기 위한,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의 고장표시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의 고장표시 관리 장치는, 기 설정된 기준값에 대해 선로전류를 비교함에 따라 고장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고장전류 검출부; 상기 고장전류가 상기 기준값 미만으로 감소됨에 따라 기 설정된 지연시간 만큼 고장경험을 유지시키기 위한 지연부; 분산전원 차단에 따른 선로전압의 상태를 확인하여 사선 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사선검출부; 및 상기 지연시간 내에 상기 판정된 사선 상태에 따라 고장표시(Fault Indication)를 설정하여 전달하기 위한 고장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장전류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고장전류의 정상분에 대한 선로전류와 선로전압에 대한 위상각을 확인하여 상기 고장전류의 고장방향을 판정하기 위한 고장방향 판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장전류가 상기 기준값 미만으로 감소됨에 따라 상기 고장전류의 고장방향과 고장파형을 기록하기 위한 고장기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장표시부는, 기 선택된 고장방향과 상기 고장기록부에 의해 기록된 고장방향과 일치하는 상기 고장표시를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지연시간은, 분산전원 가압구간 시간과 같거나 크게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장기록부는, 상기 선로전류가 상기 기준값 이상이 되는 시점인 고장검출 시작 시점부터 상기 고장전류가 상기 기준값 미만이 되는 시점인 고장검출 해소 시점까지 기록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장표시부는, 고장방향이 정방향인 경우에, 상기 고장표시를 주장치로 전달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의 고장표시 관리 방법은, 기 설정된 기준값에 대해 선로전류를 비교함에 따라 고장전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고장전류가 상기 기준값 미만으로 감소됨에 따라 기 설정된 지연시간 만큼 고장경험을 유지시키는 단계; 분산전원 차단에 따른 선로전압의 상태를 확인하여 사선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지연시간 내에 상기 판정된 사선 상태에 따라 고장표시를 설정하여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장전류를 검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고장전류의 정상분에 대한 선로전류와 선로전압에 대한 위상각을 확인하여 상기 고장전류의 고장방향을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장방향을 판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고장전류가 상기 기준값 미만으로 감소됨에 따라 상기 고장전류의 고장방향과 고장파형을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장표시 전달 단계는, 기 선택된 고장방향과 상기 기록된 고장방향과 일치하는 상기 고장표시를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록 단계는, 상기 선로전류가 상기 기준값 이상이 되는 시점인 고장검출 시작 시점부터 상기 고장전류가 상기 기준값 미만이 되는 시점인 고장검출 해소 시점까지 기록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장표시 전달 단계는, 고장방향이 정방향인 경우에, 상기 고장표시를 주장치로 전달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기 설정된 기준값에 대해 선로전류를 비교함에 따라 고장전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고장전류가 상기 기준값 미만으로 감소됨에 따라 기 설정된 지연시간 만큼 고장경험을 유지시키는 단계; 분산전원 차단에 따른 선로전압의 상태를 확인하여 사선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지연시간 내에 상기 판정된 사선 상태에 따라 고장표시를 설정하여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장전류를 검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고장전류의 정상분에 대한 선로전류와 선로전압에 대한 위상각을 확인하여 상기 고장전류의 고장방향을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 고장검출 해소 시점(즉, 변압기측 전원 차단 시점)과 배전선로 사선 시점(즉, 분산전원 차단 시점)이 서로 일치하지 않은 상태일 때 고장경험 유지 시간을 지연시켜 고장검출 및 고장표시를 수행함으로써, 사후 고장분석을 가능하게 고장표시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산전원 차단에 따라 배전선로가 차단되었을 때, 고장경험이 해소되어 고장표시가 되지 않거나, 고장표시가 되더라도 지연시 기록되는 고장정보가 실제 고장전류가 차단되는 시점과 다르게 되어 사후 고장 분석에 줄 수 있는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역방향 고장전류가 방향요소에 의해 고장표시가 억제되기 때문에 고장기록이 남지 않는 것을 해결하여 해당 개폐기의 설비 이력관리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지능화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변전소만 연계된 배전선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순간고장일 때 선로전류 및 선로전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일시고장일 때 선로전류 및 선로전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 일시고장일 때 선로전류 및 선로전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의 고장표시 관리 장치에 대한 도면,
도 8은 상기 도 6에서 상기 도 7의 고장표시 관리 장치에 의한 고장표시 관리 동작을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의 고장표시 관리 방법에 대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지능화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지능화시스템(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DAS)은, 중앙의 주장치(10), 주장치(10)와 단말장치(Feeder Remote Terminal Unit, FRTU)(31) 사이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신장치(21, 22), 배전선로에 설치되어 있는 단말장치(31)와 개폐기(Load Break Switch, LBS)(32)로 구분된다.
주장치(10)는 배전선로에 위치한 단말장치(31)의 원격감시 및 원격제어, 원격계측, 원격정정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컴퓨터와 통신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또한, 주장치(10)는 전압 전류 등 운전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여 고장시에 고장발생구간(즉, 정전구간)을 확인함으로써 고장발생구간을 축소하고 정전시간을 단축시켜 주는 등 여러 가지 응용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내재하고 있다.
이러한 주장치(10)는 전단처리기(Front End Processor, FEP)(11)와 HMI(12)를 포함한다.
전단처리기(11)는 주장치(10)의 전단에 위치하여 통신장치(21, 22)를 통해 단말장치(31)에 의해 계측된 현장기기 상태정보를 수집 및 처리한다.
이때, 전단처리기(11)는 통신장치(21, 22)를 통해 단말장치(31)와 주기적으로 통신하고, 단말장치(31)에 의해 계측된 현장기기 상태정보는 주장치(10)에 연동된 각종 서버(예를 들어, 이력서버, 실시간 서버 등)로 제공한다. 이러한 전단처리기(11)는 기본 통신 프로토콜로 DNP(Distributed. Network Protocol) 3.0을 적용할 수 있다.
HMI(12)는 현장기기 상태정보를 관리자에게 그래픽 형태로 표현하여 제공한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배선선로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장치(21, 22)는 주장치(10)의 명령을 통신방식에 따라 각 단말장치(31)로 전송하거나, 단말장치(31)에 의해 계측된 현장기기 상태정보를 주장치(10)로 제공한다. 이러한 통신장치(21, 22)는 DNP(Distributed. Network Protocol) 3.0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모뎀 등으로 구성되며, 광통신, 무선데이터통신, TRS(Trunked Radio System) 등으로 통신한다.
또한, 단말장치(31)는 개폐기(32)와 함께 가공 배전선로에 설치되어, 주장치(10)의 전단처리기(11)와 개폐기(32) 간의 연결장치 역할을 담당한다. 즉, 단말장치(31)는 주장치(10)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개폐기(32)에 전달하여 개폐기(32)에 대한 원격조작, 원격제어, 원격정정 기능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주장치(10)에 보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처럼 단말장치(31)는 개폐기(32)의 선로 개폐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개폐기(32)를 통한 선로 개폐를 스스로 판단하여 매커니즘을 제어하는 것이 아니고, 통신 기능을 통해 주장치(10)로부터 명령을 받아서 메커니즘을 제어한다.
그리고, 개폐기(32)는 단말장치(31)에 설치되어 배전선로에 고장이 발생시 고장전류를 감지하는 기능이 있으며, 직렬로 연결된 개폐기 2대 이상에서 감지된 고장전류를 비교하여 고장발생구간을 추정할 수 있다.
한편, 개폐기(32)는 배전선로에 사고가 발생하여 고장전류가 감지되는 경우, 고장전류가 발생한 고장발생구간을 분리하여 차단시키는 장치로서, 이외에 배전선로에 차단기(Circuit Breaker, CB)와 리클로저(Recloser, RC)가 설치되어 있다.
먼저, 차단기(CB)는 배전선로로부터 매우 큰 크기의 고장전류가 감지될 때 선로를 개방(Open) 또는 폐로(Close)할 수 있다. 또한, 차단기(CB)는 필요에 따라 정상 전류가 흐르는 평소에도 선로를 개폐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개폐기(32)는 차단기(CB)와 달리, 전류가 흐르지 않거나 정상 전류가 흐를 경우에만 선로 개폐가 가능하고, 고장전류가 발생하는 경우에 선로 개폐를 할 수 없다. 즉, 개폐기(32)는 고장전류 차단 기능이 없고, 부하전류 개폐 기능만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개폐기(32)는 간선과 3상으로 공급되는 분기선에 설치되는 후비보호장치로서, 단독으로 설치하지 않고 리클로저(RC)와 조합하여 사용한다.
그래서, 개폐기(32)는 부하측에서 고장이 발생하면, 리클로저(RC)의 차단동작횟수를 감지하여 기 설정된 횟수에 도달시 배전선로의 무전압상태에서 접점을 먼저 개방하여 고장발생구간을 분리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때, 개폐기(32)는 단말장치(31)에 의해 선로 개폐 동작이 제어된다.
다음으로, 리클로저(RC)는 선로의 재폐로를 수행하는 특수한 형태의 차단기이다. 즉, 리클로저(RC)는 배전선로로부터 고장전류가 감지되고 일정 범위 이상 지속되면 선로를 개방하고,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선로를 다시 폐로한다. 여기서, 리클로저(RC)는 선로 폐로 후에도 고장전류가 계속 감지되면, 전술한 선로의 재폐로 과정을 미리 설정된 회수만큼 반복하고, 그 후에도 고장전류가 지속되면 선로를 완전히 개방시키고 더 이상 재폐로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도 2는 변전소만 연계된 배전선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순간고장일 때 선로전류 및 선로전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일시고장일 때 선로전류 및 선로전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방사상 선로(radial line)에서 전원측에 위치하는 제1 개폐기(LBS1)와 부하측에 위치하는 제2 개페기(LBS2) 사이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순간고장'이라 함은, 조류/수목에 의한 접촉, 강풍, 낙뢰 등에 의한 가공 배전선로 사고로 인해 부하상태에서 흐르는 전류보다 휠씬 큰 과전류가 흐르는 상태가 발생된 경우로서, 리클로저(RC)의 재폐로 동작에 의해 정상상태로 복귀하는 순간적인 고장 상태를 의미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배전선로에 '순간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정상 상태의 선로전류(I1)가 기준값(Pickup) 이상인 과전류 상태의 선로전류(I2) 즉, 고장전류가 발생하는 경우에 고장이 감지된다. 그러면, 과전류 상태의 선로전류(I2)는 리클로저(RC)의 재폐로 동작에 따라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사선 상태의 선로전류(I3)로 변경된다. 그리고, 사선 상태의 선로전류(I3)는 리클로저(RC)의 재폐로 시간 동안에 배전선로가 정상 상태로 복귀하면 다시 정상 상태의 선로전류(I1)로 복귀한다.
아울러, 정상 상태의 선로전압(V1)은 리클로저(RC)의 재폐로 동작에 따라 사선 상태의 선로전압(V2)로 변경된다.
그런데, 사선 상태의 선로전압(V2)은 리클로저(RC)의 재폐로 시간 동안에 배전선로가 정상 상태로 복귀하면 다시 정상 상태의 선로전압(V1)으로 복귀한다.
그리고, '일시고장'이라 함은, 배전선로 상에 지락 또는 단락 사고로 인해 부하상태에서 흐르는 전류보다 휠씬 큰 과전류가 흐르는 상태가 발생된 경우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클로저(RC)의 재폐로 동작에 의해 정상상태로 복귀하지 않는 일시적인 고장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일시고장은 적극적인 사후 유지 보수가 필요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배전선로에 '일시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정상 상태의 선로전류(I1)가 기준값(Pickup) 이상인 과전류 상태의 선로전류(I2)가 발생하는 경우에 고장이 감지된다. 그러면, 과전류 상태의 선로전류(I2)는 리클로저(RC)의 재폐로 동작에 따라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사선 상태의 선로전류(I3)로 변경된다. 그리고, 사선 상태의 선로전류(I3)는 리클로저(RC)의 재폐로 시간 동안에 배전선로가 정상 상태로 복귀하지 않으면, 개폐기(32)에 의해 고장발생구간으로 구분됨에 따라 사선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아울러, 정상 상태의 선로전압(V1)은 리클로저(RC)의 재폐로 동작에 따라 사선 상태의 선로전압(V2)로 변경된다. 그런데, 사선 상태의 선로전압(V2)은 리클로저(RC)의 재폐로 시간 동안에 배전선로가 정상 상태로 복귀하지 않으면, 개폐기(32)에 의해 고장발생구간으로 구분됨에 따라 사선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제1 개폐기(LBS1)는 고장전류를 경험한 후 배전선로가 사선되면, 배전선로의 고장정보인 고장표시(Fault Indication, FI)를 설정하여 주장치(10)로 전달한다. 즉, 제1 개폐기(LBS1)는 고장전류를 검출하여 고장전류를 기록한 다음 고장표시(FI)를 주장치(10)로 전달한다. 이때, 주장치(10)는 제1 개폐기(LBS1)로부터 전달된 고장표시(FI)에 따라 고장을 검출하고, 고장전류의 이력을 기록한다.
먼저, 주장치(10)는 도 3과 같이, 재폐로에 의한 선로 가압을 통해 순간고장 검출시간 동안 정상 상태로의 복귀를 확인하면 '순간고장'으로 고장유형을 판정한다. 그리고, 주장치(10)는 도 4와 같이, 재폐로에 의한 선로 가압을 하더라도 일시고장 검출시간 동안 정상 상태로의 복귀하지 않음을 확인하면 '일시고장'으로 고장유형을 판정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배전선로에 '일시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1 개폐기(LBS1)와 제2 개폐기(LBS2) 사이에 '일시고장'이 발생하면(즉, 과전류 상태의 선로전류가 발생하면), 과전류 상태의 선로전류 즉, 고장전류는 제1 개폐기(LBS1)를 통해 흐르다 리클로저(RC)의 재폐로 동작을 진행함에 따라 차단기(CB)에 의해 선로가 차단되어 사선 상태가 된다.
그러면, 제1 개폐기(LBS1)는 전원측 리클로저(RC)와 차단기(CB)가 동작함에 따라 고장전류를 경험한 후 사선이 되었으므로, 배전선로의 고장정보인 고장표시(FI)를 주장치(10)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2 개폐기(LBS2)는 고장표시(FI)를 주장치(10)로 전달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주장치(10)는 제1 개폐기(LBS1)로부터 고장표시(FI)가 수신됨에 따라 고장 이벤트가 발생되고, 제2 개폐기(LBS2)로부터 고장표시(FI)가 수신되지 않음에 따라 고장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로써, 주장치(10)는 제1 개폐기(LBS1)와 제2 개폐기(32) 사이를 고장발생구간으로 판정한다.
도 5는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 일시고장일 때 선로전류 및 선로전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 변전소측에 위치하는 제1 개폐기(LBS1)와 부하측에 위치하는 제2 개페기(LBS2) 사이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부하측에는 분산전원(Distributed Generation, DG)이 연계되어 있다.
제1 개폐기(LBS1)는 변전소측 전원에 의한 정방향의 고장전류를 경험한 후 배전선로가 사선이 되면, 고장표시(FI)를 주장치(10)로 전달한다. 그런데, 제2 개폐기(LBS2)는 분산전원에 의한 역방향의 고장전류를 경험하지만 방향요소에 의해 고장표시가 억제되므로 고장기록이 남지 않는다.
이처럼, 제1 개폐기(LBS1)와 제2 개폐기(LBS2)는 모두 고장전류를 경험하지만, 제1 개폐기(LBS1)만 고장표시(FI)를 주장치(10)로 전달하고, 제2 개폐기(LBS2)의 고장기록이 남지 않기 때문에, 주장치(10)에서 기존 방식과 같이 고장전류 크기만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고장원인 해석이 곤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개폐기(LBS1)와 제2 개폐기(LBS2) 각각은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 고장방향(정방향 또는 역방향)이 반영된 고장기록을 남기고, 고장발생구간 판정을 위해 선택된 고장방향(즉, 정방향)에 대해서만 고장표시(FI)를 주장치(10)로 전달한다. 여기서, 제1 개폐기(LBS1)와 제2 개폐기(LBS2)는 기준값과 작동값으로 구성되는 두개의 성분이 이루는 각을 기준으로 고장방향을 판별할 수 있다.
한편, 변전소측 차단기(CB)는 제1 개폐기(LBS1)와 제2 개폐기(LBS2) 사이에 고장이 발생할 때 곧바로 동작하더라도, 분산전원 내 차단기(CB)는 지연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개폐기(LBS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장전류가 차단된 이후라도, 선로전압이 부하측 분산전원에 의해 가압되기 때문에 사선 상태가 곧바로 되지 않는다. 여기서, 선로전압은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분산전원 내 차단기(CB)가 차단될 때 비로서 사선 상태가 된다. 이처럼, 고장검출 해소 시점(즉, 변압기측 전원 차단 시점)과 배전선로 사선 시점(즉, 분산전원 차단 시점)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
이하, 후술할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 고장을 검출하여 고장을 기록하고, 고장을 표시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의 고장표시 관리 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의 고장표시 관리 장치(이하 '고장표시 관리 장치'라 함, 100)는,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 고장검출 해소 시점(즉, 변압기측 전원 차단 시점)과 배전선로 사선 시점(즉, 분산전원 차단 시점)이 서로 일치하지 않은 상태에 대해, 고장경험 유지 시간을 지연시켜 고장검출 및 고장표시를 수행함으로써 사후 고장분석을 가능하게 고장표시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고장경험'이라 함은, 변압기측 전원 차단 시점과 분산전원 차단 시점이 서로 일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분산전원 차단 시점 이전에 기준값으로 검출된 변압기측 전원 차단 시점에 검출된 고장에 해당하고, '고장경험을 유지시키는 것'은 사선시점인 분산전원 차단 시점에서 변압기측 전원 차단 시점에 대한 고장검출 및 고장표시를 유효하게 판단할 수 있게 지연시간이 필요하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또한, 고장표시 관리 장치(100)는 고장방향에 따른 고장검출 및 고장표시를 관리하여 고장발생구간을 분리하고, 설비의 고장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고장표시 관리 장치(100)는 개폐기 또는 단말장치에 탑재될 수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5에서 제1 개폐기(LBS1)를 제어하는 단말장치(FRTU)에 탑재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고장표시 관리 장치(100)는 고장전류 검출부(110), 지연부(120), 고장방향 판정부(130), 고장기록부(140), 사선검출부(150), 고장표시부(160)를 포함한다.
고장전류 검출부(110)는 상 전류가 단락 고장의 기준값(pickup) 이상이거나, 영상전류가 지락 고장의 기준값(pickup) 이상일 때 고장으로 판정한다. 즉, 고장전류 검출부(110)는 선로전류가 기준값(pickup) 이상일 때 고장으로 판정하여 고장전류를 검출한다.
지연부(120)는 고장전류 검출부(110)에 의해 고장전류가 검출되고 해당 고장전류가 기준값 미만으로 감소된 다음, 기 설정된 지연시간 만큼 고장경험을 유지시킨다. 이는 고장검출 해소 시점(즉, 변압기측 전원 차단 시점)과 배전선로 사선 시점(즉, 분산전원 차단 시점)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고장표시(FI)를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기 설정된 지연시간은 제1 개폐기(LBS1)의 고장경험을 적어도 배전선로 사선 시점까지 유지시키는 시간으로서, 적어도 '고장검출 해소 시점'과 '배전선로 사선 시점' 사이 구간에 해당되는 시간 즉, '분산전원 가압구간 시간'과 같거나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지연시간은 1초일 수 있다.
이러한 지연시간은 분산전원 내 차단기(CB)와 보호 협조 즉, 분산전원 차단을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에 해당된다.
고장방향 판정부(130)는 고장전류의 정상분(positive sequence)에 대한 선로전류와 선로전압에 대한 위상각을 확인하여 고장방향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인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정방향은 변압기측 전원에 의한 고장전류의 방향이며, 역방향은 분산전원에 의한 고장전류의 방향이다.
고장기록부(140)는 선로전류가 기준값(pickup) 이상인 고장전류가 흐르다가 기준값(pickup) 미만으로 감소할 때, 고장전류의 고장방향과 고장파형을 기록한다. 즉, 고장기록부(140)는 고장검출 시작 시점(즉, 고장발생 시점)부터 고장검출 해소 시점(즉, 변압기측 전원 차단 시점)까지 기록한다.
사선검출부(150)는 분산전원 내 차단기(CB)의 차단에 따라 선로전압의 상태를 확인하여 사선 상태를 판정한다. 이로써, 배전선로 사선 시점은 분산전원 차단 시점에 해당된다.
고장표시부(160)는 지연부(120)에 의해 기 설정된 지연시간 내에 사선검출부(150)에 의해 사선이 검출되면, 기 선택된 고장방향과 고장기록부(140)에 의해 기록된 고장방향과 일치하는 고장표시(FI)를 설정하여 주장치(10)로 전달한다. 이때, 고장표시부(160)는 정방향 고장표시(FI)를 주장치(10)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고장표시부(160)는 고장검출 해소시점(즉, 변압기 전압 차단 시점)과 배전선로 사선 시점(즉, 분산전원 차단 시점)이 서로 일치하지 않더라도, 제1 개폐기(LBS1)의 고장경험을 유지시켜 분산전원 내 차단기(CB)와 보호 협조를 진행함으로써 고장표시를 확실히 가능하게 한다.
도 8은 상기 도 6에서 상기 도 7의 고장표시 관리 장치에 의한 고장표시 관리 동작을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도 6의 경우에 고장기록 및 고장표시를 진행하는 선로전압 차단 시점은 실제로 변압기측 전원 차단 시점이지만 부하측 분산전원에 의해 선로 사선이 지연되므로 분산전원 차단 시점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는 고장해석에 있어서 분산전원 차단 시점을 변압기측 전원 차단 시점인 선로전압 차단 시점으로 해석상 혼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고장해석을 수행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반면에, 도 8의 경우에 고장기록은 고장검출 시작 시점부터 고장검출 해소 시점까지 기록하고, 고장표시는 선로전압 차단 시점이 되는 분산전원 차단 시점(③)에 이루어진다. 즉, 고장검출 시작 시점(①)은 고장발생 시점이고, 고장검출 해소 시점(②)은 변전소측 전원 차단 시점이며, 고장표시 시점(③)은 분산전원 차단 시점이다.
이처럼, 고장검출 시작 시점(①), 고장검출 해소 시점(②), 고장표시 시점(③)은 명확히 구분 가능하므로 명확한 고장해석이 수행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의 고장표시 관리 방법에 대한 도면이다.
고장표시 관리 장치(100)는 선로전류가 기설정된 기준값(pickup) 이상일 때 고장전류로 검출한다(S101). 이때, 고장표시 관리 장치(100)는 고장발생 시점에 해당하는 고장검출 시작 시점부터 변압기측 전압 차단 시점에 해당하는 고장검출 해소 시점까지 기록한다.
그리고, 고장표시 관리 장치(100)는 정상분 전류와 전압의 위상각에 따라 고장이 정방향인지 역방향인지를 판단한다(S102).
이후, 고장표시 관리 장치(100)는 고장전류가 기준값(pickup) 미만으로 감소할 때 고장전류 및 고장파형을 기록하여 고장기록을 진행하면서, 지연시간 만큼 고장경험을 유지한다(S103). 이때, 고장표시 관리 장치(100)는 변압기측 전원 차단 시점에 해당하는 고장검출 해소를 기록한다. 그런데, 여기서는 변압기측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선로전압이 분산전압이 가압되는 상태이므로 곧바로 사선 상태를 나타내지 않는다. 이에 따라, 고장표시 관리 장치(100)는 지연시간 만큼 고장경험을 유지한다.
그런 다음, 고장표시 관리 장치(100)는 지연시간 이내에 분산전원이 차단됨에 따라 선로전압의 사선이 검출된다(S104). 이때는 분산전원 차단 시점에 해당된다.
이와 같이, 고장표시 관리 장치(100)는 지연시간 이내에 사선이 검출되고 선택된 고장방향과 일치하면(S105), 고장표시를 하여 고장표시(FI)를 주장치(10)로 전달한다(S106). 이때, 고장표시 관리 장치(100)는 정방향의 경우에 고장표시(FI)를 주장치(10)로 전달하고, 역방향의 경우에 고장기록(고장전류 및 고장파형)을 기록한다.
일부 실시 예에 의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비록 상기 설명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들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 분야에 숙달된 기술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상기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의 형태 및 세부 사항에서 다양한 삭제, 대체, 및 변경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에서보다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안의 모든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섭된다.
10 : 주장치 11 : 전단처리기
12 : HMI 21, 22 : 통신장치
31 : 단말장치(FRTU) 32 : 개폐기
110 : 고장전류 검출부 120 : 지연부
130 : 고장방향 판정부 140 : 고장기록부
150 : 사선검출부 160 : 고장표시부

Claims (15)

  1. 기 설정된 기준값에 대해 선로전류를 비교함에 따라 고장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고장전류 검출부;
    상기 고장전류가 상기 기준값 미만으로 감소됨에 따라 기 설정된 지연시간 만큼 고장경험을 유지시키기 위한 지연부;
    분산전원 차단에 따른 선로전압의 상태를 확인하여 사선 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사선검출부; 및
    상기 지연시간 내에 상기 판정된 사선 상태에 따라 고장표시(Fault Indication)를 설정하여 전달하기 위한 고장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장전류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고장전류의 정상분에 대한 선로전류와 선로전압에 대한 위상각을 확인하여 상기 고장전류의 고장방향을 판정하기 위한 고장방향 판정부;를 더 포함하는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의 고장표시 관리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전류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고장전류가 상기 기준값 미만으로 감소됨에 따라 상기 고장전류의 고장방향과 고장파형을 기록하기 위한 고장기록부;
    를 더 포함하는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의 고장표시 관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표시부는,
    기 선택된 고장방향과 상기 고장기록부에 의해 기록된 고장방향과 일치하는 상기 고장표시를 설정하는 것인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의 고장표시 관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시간은,
    분산전원 가압구간 시간과 같거나 크게 설정되는 것인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의 고장표시 관리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기록부는,
    상기 선로전류가 상기 기준값 이상이 되는 시점인 고장검출 시작 시점부터 상기 고장전류가 상기 기준값 미만이 되는 시점인 고장검출 해소 시점까지 기록하는 것인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의 고장표시 관리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표시부는,
    고장방향이 정방향인 경우에, 상기 고장표시를 주장치로 전달하는 것인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의 고장표시 관리 장치.
  8. 기 설정된 기준값에 대해 선로전류를 비교함에 따라 고장전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고장전류가 상기 기준값 미만으로 감소됨에 따라 기 설정된 지연시간 만큼 고장경험을 유지시키는 단계;
    분산전원 차단에 따른 선로전압의 상태를 확인하여 사선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지연시간 내에 상기 판정된 사선 상태에 따라 고장표시를 설정하여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장전류를 검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고장전류의 정상분에 대한 선로전류와 선로전압에 대한 위상각을 확인하여 상기 고장전류의 고장방향을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의 고장표시 관리 방법.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방향을 판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고장전류가 상기 기준값 미만으로 감소됨에 따라 상기 고장전류의 고장방향과 고장파형을 기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의 고장표시 관리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표시 전달 단계는,
    기 선택된 고장방향과 상기 기록된 고장방향과 일치하는 상기 고장표시를 설정하는 것인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의 고장표시 관리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시간은,
    분산전원 가압구간 시간과 같거나 크게 설정되는 것인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의 고장표시 관리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단계는,
    상기 선로전류가 상기 기준값 이상이 되는 시점인 고장검출 시작 시점부터 상기 고장전류가 상기 기준값 미만이 되는 시점인 고장검출 해소 시점까지 기록하는 것인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의 고장표시 관리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표시 전달 단계는,
    고장방향이 정방향인 경우에, 상기 고장표시를 주장치로 전달하는 것인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의 고장표시 관리 방법.
  15.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기 설정된 기준값에 대해 선로전류를 비교함에 따라 고장전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고장전류가 상기 기준값 미만으로 감소됨에 따라 기 설정된 지연시간 만큼 고장경험을 유지시키는 단계;
    분산전원 차단에 따른 선로전압의 상태를 확인하여 사선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지연시간 내에 상기 판정된 사선 상태에 따라 고장표시를 설정하여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장전류를 검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고장전류의 정상분에 대한 선로전류와 선로전압에 대한 위상각을 확인하여 상기 고장전류의 고장방향을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의 고장표시 관리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KR1020180010779A 2018-01-29 2018-01-29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의 고장표시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997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779A KR101997639B1 (ko) 2018-01-29 2018-01-29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의 고장표시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779A KR101997639B1 (ko) 2018-01-29 2018-01-29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의 고장표시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7639B1 true KR101997639B1 (ko) 2019-07-08

Family

ID=67255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779A KR101997639B1 (ko) 2018-01-29 2018-01-29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의 고장표시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6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002A (ko) * 1997-06-11 1999-01-15 이해규 배전 선로 고장 지점 감식기
KR20080040940A (ko) * 2006-11-06 2008-05-09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배전선로의 고장을 검출하는 방법
KR101069637B1 (ko) 2010-09-20 2011-10-04 한국전력공사 과전류 보호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002A (ko) * 1997-06-11 1999-01-15 이해규 배전 선로 고장 지점 감식기
KR20080040940A (ko) * 2006-11-06 2008-05-09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배전선로의 고장을 검출하는 방법
KR101069637B1 (ko) 2010-09-20 2011-10-04 한국전력공사 과전류 보호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7321B2 (en) Fault control and restoration in a multi-feed power network
KR102218268B1 (ko) 고장판단 및 고장복구 시나리오 자동생성 기능을 탑재한 변전소 자동화시스템 운영장치
KR101621653B1 (ko) 양방향통신 기반 자동복구 전문가 시스템을 적용한 배전반 및 그의 동작 방법
US6867958B2 (en) Loop restoration scheme for distribution feeders
CN103490392A (zh) 含分布式电源或微网的配电网的故障处理方法
CN104901284A (zh) 距离保护装置三相pt断线检测方法和防误动方法
CN101752909B (zh) 操作回路远程校验方法
KR100920946B1 (ko) 부하 기기의 영향을 고려한 배전 선로의 고장 검출 및위치를 판단하는 장치 및 방법
CN102636705B (zh) 一种远程漏电保护器故障及交流接触器堵塞或故障判断装置及其分析方法
CN103675520A (zh) 一种远程漏电保护器故障及交流接触器堵塞或故障判断的分析方法
KR101997639B1 (ko) 분산전원 연계 배전선로에서의 고장표시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Uluski Using distribution automation for a self-healing grid
CN111781465A (zh) 用于不接地电网的故障定位系统及方法
JP6917513B1 (ja) 三相交流の零相電流に基づく絶縁現状把握と遮断動作予測装置
CN111781464A (zh) 用于消弧线圈和小电阻接地电网的故障定位系统及方法
CN111766472A (zh) 用于小电阻接地电网的故障定位系统及方法
Teo A computer aided system to automate the restoration of electrical power supply
CN111781466A (zh) 用于消弧线圈接地电网的故障定位系统及方法
KR20200091977A (ko) 수용가 구내 정전 판단 장치 및 방법
US11431161B2 (en) Electric power distribution sectionalizing in high-risk areas using wireless fault sensors
CN114899944B (zh) 通讯管理机
JP3141806B2 (ja) 配電線自動区分開閉装置
KR102387198B1 (ko)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H0783564B2 (ja) 配電線の地絡点認識装置
JP3221342B2 (ja) 配電線自動区分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