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591B1 - 접이식 겸용자 - Google Patents

접이식 겸용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591B1
KR101997591B1 KR1020170085759A KR20170085759A KR101997591B1 KR 101997591 B1 KR101997591 B1 KR 101997591B1 KR 1020170085759 A KR1020170085759 A KR 1020170085759A KR 20170085759 A KR20170085759 A KR 20170085759A KR 101997591 B1 KR101997591 B1 KR 101997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ody portion
angle
binding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4726A (ko
Inventor
김종덕
Original Assignee
김종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덕 filed Critical 김종덕
Publication of KR20180134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7/00Straightedges
    • B43L7/10Plural straightedges relatively movable
    • B43L7/12Square and pivoted straight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3/00Drawing instruments, or writing or drawing appliance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L13/001Mathematical drawing instruments
    • B43L13/002Angle intersec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7/00Straightedges
    • B43L7/10Plural straightedges relatively movable
    • B43L7/14Square and sliding straight ed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2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athematics
    • G09B23/04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athematics for geometry, trigonometry, projection or perspective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ome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lgebra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접이식 겸용자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겸용자는 몸체부, 일측이 상기 몸체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부와 상기 몸체부 및 상기 회동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기 회동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 방향에 형성되는 제1결속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 방향에 형성되는 제2결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부의 상기 일측은 상기 몸체부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동부의 상기 일측은 상기 제1결속부와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거나, 상기 제2결속부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동부의 상기 일측의 결합위치를 조정하는 것만으로도 직선, 사선, 서로 평행한 선, 서로 교차하는 사선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겸용자{foldable ruler}
본 발명은 대체로 직각, 빗변을 포함하는 다양한 각도의 작도가 가능한 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도 조절이 자유롭고 이동 시에 접을 수 있어 휴대 및 수납이 용이한 접이식 겸용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는 직선, 사선을 긋거나 다양한 도형의 작도 및 제도를 위하여 사용된다. 특히, 삼각자는 직선 이외에 사선을 효과적으로 작도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일선 학교에서 학습용으로 많이 활용되며, 건설현장에서 건물 외벽에 장식물을 부착하거나 도색을 하는 과정에서 바탕 기준선을 마련하는 용도로 많이 활용된다.
하지만 기존의 자, 특히 삼각자의 경우에는 그 형상이 고정되어 있어 휴대하기에는 면적이 넓다는 단점과 함께 이송과정에서 모서리가 파손되거나 뾰족한 모서리로 인하여 주위 물품에 생채기를 내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다양한 도형의 작도가 가능하고 휴대하기 편리한 접이식 자가 등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휴대하기 편리한 접이식 자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KR 10-2010-0095167 “수평선 긋기가 용이한 보조 도구가 결합된 눈금자” 등이 있다.
종래기술은 한쪽 끝이 몸체에 고정되어 회전 가능하고, 몸체에 형성된 수용 홈에 수용이 가능한 보조 도구를 구비함으로써 직선, 직각을 작도할 수 있고, 휴대나 보관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수평선을 설정한 상태에서 직각에 대한 사선을 작도하거나 반대 방향에 직각 또는 사선을 작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몸체부, 일측이 상기 몸체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와 상기 몸체부 및 상기 회동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기 회동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연결부를 통하여 일반 선, 직각선, 사선, 서로 평행한 선, 서로 교차하는 사선 등을 손쉽게 그릴 수 있고, 접을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한 접이식 겸용자를 제공한다.
접이식 겸용자가 개시(disclosure)된다. 상기 접이식 겸용자는 몸체부, 일측이 상기 몸체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부와 상기 몸체부 및 상기 회동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기 회동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 방향에 형성되는 제1결속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 방향에 형성되는 제2결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부의 상기 일측은 상기 몸체부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동부의 상기 일측은 상기 제1결속부와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거나, 상기 제2결속부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동부의 상기 일측의 결합위치를 조정하는 것만으로도 직선, 사선, 서로 평행한 선, 서로 교차하는 사선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도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동부의 상기 일측이 상기 몸체부의 일측과 타측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동부의 상기 일측은 상기 제2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몸체부의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 사이를 이동할 수 있어 상기 제2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회동부의 상기 일측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도 직선, 사선, 서로 평행한 선, 서로 교차하는 사선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 연결되고, 상기 회동부에 슬라이딩하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동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에 슬라이딩하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가 상기 몸체부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1가이드부의 일단에 밀착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기 회동부 사이에 제1각도를 형성하거나, 상기 제1가이드부의 타단에 밀착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기 회동부 사이에 제2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제1가이드부의 상기 일단 및 상기 타단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는 상기 걸림부에 밀착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기 회동부 사이에 제3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가 작도할 대상체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접이식 겸용자는 몸체부, 일측이 상기 몸체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부와 상기 몸체부 및 상기 회동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기 회동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연결부를 통하여 일반 선, 직각선, 사선, 서로 평행한 선, 서로 교차하는 사선 등을 손쉽게 그릴 수 있고, 접을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한 접이식 겸용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접이식 겸용자는 몸체부에 형성되는 제1결속부와 제2결속부에 회동부의 일측을 번갈아가며 결합할 수 있어 몸체부를 뒤집거나 움직이지 아니하고 회동부의 상기 일측의 결합위치를 조정하는 것만으로도 직선, 사선, 서로 평행한 선, 서로 교차하는 사선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접이식 겸용자는 몸체부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부를 통하여 회동부의 일측이 몸체부의 일측과 타측 사이를 이동하도록 할 수 있어 제2가이드부를 따라 회동부의 일측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도 직선, 사선, 서로 평행한 선, 서로 교차하는 사선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접이식 겸용자는 연결부가 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 연결되고 회동부에 슬라이딩하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회동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 연결되고 몸체부에 슬라이딩하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다양한 각도를 가지는 사선의 작도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접이식 겸용자는 연결부가 몸체부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고, 연결부가 제1가이드부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밀착되는 과정에서 미리 설정된 각도인 제1각도 및 제2각도를 가지는 사선의 작도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접이식 겸용자의 사용자는 자신이 많이 사용하는 제1각도와 제2각도를 미리 설정해둠으로써 별도의 셋팅 없이 연결부를 제1가이드부의 일단 및 타단에 밀착시키는 것만으로 원하는 각도를 가지는 사선의 작도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접이식 겸용자의 사용자는 제1가이드부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통하여 자신이 많이 사용하는 제3각도를 미리 설정해 둘 수 있어, 별도의 셋팅없이 연결부를 걸림부에 밀착시키는 것만으로 원하는 각도를 가지는 사선의 작도가 가능한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접이식 겸용자는 몸체부에 형성되는 지지부를 통하여 몸체부가 작도할 대상체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 경우, 지지부는 연결부에 배치되는 손잡이를 작업자가 쥐고 작도를 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과도한 힘을 인가하더라도 몸체부가 대상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함께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지지부는 평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대상체가 평면을 구비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지지부의 평면을 대상체의 평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지지부를 대상체의 평면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접이식 겸용자의 사용자는 지지부를 대상체의 평면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어, 서로 평행한 사선, 직선 등의 작도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몸체부 또는 지지부에 눈금을 표기함으로써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접이식 겸용자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간격을 가지는 서로 평행한 사선, 직선 등의 작도를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접이식 겸용자는 몸체부에 형성되는 추가적인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지지부는 작도할 대상체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몸체부에 회동부 또는 연결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접이식 겸용자를 평면에 놓인 작도할 대상체의 측면에 지지부를 밀착시켜 작도하는 과정에서 회동부 또는 연결부의 이동에 따른 몸체부의 무게중심의 이동으로 인하여 접이식 겸용자 즉, 몸체부가 중력방향으로 기우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도 2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부(120)의 일측(120a)이 몸체부(110)의 제1결속부(114)에 위치하고, 연결부(130)가 제1가이드부(112)의 타단(112b)에 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중력에 의하여 몸체부(110)의 제2결속부(116)를 포함하는 부분은 아래로 기울게 된다. 상기 추가적인 지지부를 통하여 몸체부(110)가 중력방향으로 기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접이식 겸용자의 구조 및 제1각도를 제공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접이식 겸용자가 제2각도를 제공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걸림부를 통하여 접이식 겸용자가 제3각도를 제공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제1결속부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 회동부의 일측을 제2결속부에 연결한 모습과 이 경우에 몸체부와 회동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제2가이드부를 통하여 회동부의 일측의 위치를 변경하는 과정을 통하여 몸체부와 회동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지지부를 통하여 몸체부가 작도할 대상체에 안정적으로 밀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37,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어지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결합"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결합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밀착"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밀착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없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접이식 겸용자의 구조 및 제1각도를 제공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접이식 겸용자가 제2각도를 제공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걸림부를 통하여 접이식 겸용자가 제3각도를 제공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제1결속부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 회동부의 일측을 제2결속부에 연결한 모습과 이 경우에 몸체부와 회동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제2가이드부를 통하여 회동부의 일측의 위치를 변경하는 과정을 통하여 몸체부와 회동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지지부를 통하여 몸체부가 작도할 대상체에 안정적으로 밀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접이식 겸용자(100)는 몸체부(110), 회동부(120) 및 연결부(130)를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접이식 겸용자(100)는 선택적으로(optionally) 손잡이(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예로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plate)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는 평면 형상의 외면을 적어도 하나 가질 수 있다. 일례로, 몸체부(110)는 평면 형상의 외면을 적어도 하나 가지는 플레이트(plate)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회동부(120)를 향하거나 회동부(120)를 등지는 방향을 향하는 몸체부(110)의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는 평면 형상의 외면을 가지는 몸체부(110)로서 회동부(120)를 향하거나 회동부(120)를 등지는 방향을 향하는 몸체부(110)의 외면이 평면 형상을 가지는 경우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한편, 평면 형상을 가지는 몸체부(110)의 외면을 통하여 실제 또는 가상의 직선을 설정하거나 작도할 수 있다. 이하 평면 형상을 가지는 몸체부(110)의 외면을 통하여 설정되는 직선을 기준선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선과 직접 교차하거나 가상의 연장선이 교차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을 작도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 이하 상기 기준선과 직접 교차하거나 상기 기준선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이 교차하는 선을 교차선이라 칭하기로 한다. 이 경우, 상기 교차선은 복수 개 작도될 수 있으며, 복수 개 작도되는 상기 교차선은 서로 평행하거나 서로 교차될 수 있다.
회동부(120)는 일측(120a)이 몸체부(11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회동부(12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예로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또한, 회동부(120)는 평면 형상의 외면을 적어도 하나 가질 수 있다. 일례로, 회동부(120)는 평면 형상의 외면을 적어도 하나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몸체부(110)를 향하거나 몸체부(110)를 등지는 방향을 향하는 회동부(120)의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는 평면 형상의 외면을 가지는 회동부(120)로서 몸체부(110)를 향하거나 몸체부(110)를 등지는 방향을 향하는 회동부(120)의 외면이 평면 형상을 가지는 경우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한편, 작도할 대상체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대상체를 향하는 회동부(120)의 외면은 평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평면 형상을 가지는 회동부(120)의 외면을 통하여 앞서 서술한 교차선을 작도할 수 있다.
연결부(130)는 몸체부(110) 및 회동부(120)와 각각 연결되어 몸체부(110)와 회동부(12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한다. 연결부(13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예로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연결부(130)는 평면 형상의 외면을 적어도 하나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연결부(130)는 평면 형상의 외면을 적어도 하나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몸체부(110)를 향하거나 몸체부(110)를 등지는 방향을 향하는 연결부(130)의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는 평면 형상의 외면을 가지는 연결부(130)로서 몸체부(110)를 향하거나 몸체부(110)를 등지는 방향을 향하는 연결부(130)의 외면이 평면 형상을 가지는 경우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한편, 작도할 상기 대상체에 회동부(120)가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대상체를 향하는 연결부(130)의 외면은 상기 대상체와 소정 간격 이격되거나 상기 대상체에 밀착되는 평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평면 형상을 가지는 회동부(120)의 외면을 통하여 상기 기준선과 직접 교차하거나 상기 기준선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이 교차하는 선을 추가적인 교차선을 작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추가적인 교차선은 복수 개 작도될 수 있으며, 복수 개 작도되는 상기 추가적인 교차선은 서로 평행하거나 서로 교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도면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10)는 몸체부(110)의 일측 방향에 형성되는 제1결속부(114) 및 몸체부(110)의 타측 방향에 형성되는 제2결속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부(120)의 일측(120a)은 몸체부(11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 내지 도 4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부(120)의 일측(120a)은 제1결속부(114)와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다르게는, 도 5 및 도 6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부(120)의 일측(120a)은 제2결속부(116)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몸체부(110)를 뒤집는 등과 같이 몸체부(110)를 이동시키지 않더라도 회동부(120)의 일측(120a)의 결합위치를 조정하는 것만으로도 직선, 사선, 서로 평행한 선, 서로 교차하는 사선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도할 수 있다.
건물외벽 등에서 직선, 사선, 평행선, 서로 교차하는 사선 등을 작업하는 과정에서 삼각자 등에는 사용자의 휴대 및 작업 편의를 위한 손잡이 등이 달릴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접이식 겸용자(100)는 회동부(120)의 일측(120a)을 제1결속부(114)와 제2결속부(116)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어 몸체부(110)의 움직임 없이도 회동부(120)의 일측(120a)의 이동만으로 직선, 사선, 서로 교차하는 사선, 서로 평행한 선 등을 효과적으로 제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종래 기술의 삼각자의 경우에는 서로 교차하는 사선 즉, 다른 방향의 경사를 가지는 사선을 제도하기 위해서는 삼각자를 뒤집어야 하는데, 이때 손잡이가 달려 있을 경우에는 손잡이가 장애요인으로 작용하여 뒤집어서 작업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나 본 기술은 그러한 문제 없이 손쉬운 제도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다시 말하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접이식 겸용자(100)는 회동부(120)의 일측(120a)을 제1결속부(114)와 결합하거나 제2결속부(116)와 결합하는 것 만으로도 직선, 사선, 서로 교차하는 사선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도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몸체부(110)를 상기 기준선에 평행하게 이동시킬 경우에 서로 평행한 선을 작도할 수도 있다.
일례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130)는 회동부(12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 연결되고, 몸체부(110)에 슬라이딩하면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몸체부(110)는 몸체부(110)의 길이방향으로 몸체부(110)에 형성되며, 연결부(130)가 몸체부(110)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130)는 제1가이드부(11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1가이드부(112)의 일단(112a)에 밀착되어 몸체부(110)와 회동부(120) 사이에 제1각도(θ1)를 형성하거나, 제1가이드부(112)의 타단(112b)에 밀착되어 몸체부(110)와 회동부(120) 사이에 제2각도(θ2)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연결부(130)를 제1가이드부(112)의 일단(112a) 또는 제1가이드부(112)의 타단(112b)에 밀착하는 것만으로도 몸체부(110)와 회동부(120)는 제1각도(θ1) 또는 제2각도(θ2)의 사잇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후, 평면 형상을 가지는 회동부(120)의 외면을 통하여 제1각도(θ1) 또는 제2각도(θ2)를 가지는 앞서 서술한 교차선을 작도할 수 있다. 도면에는 제1각도(θ1) 및 제2각도(θ2)로서 각각 약 45도 및 약 90도의 각도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제1가이드부(122)의 길이조절, 회동부(120)에 연결되는 연결부(130)의 위치 조정 등을 통하여 제1각도(θ1) 및 제2각도(θ2)는 다른 각도를 가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연결부(130)는 제1가이드부(11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가이드부(112)의 일단(112a) 및 제1가이드부(112)의 타단(112b)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서 멈출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몸체부(110)와 회동부(120)는 제1각도(θ1)와 제2각도(θ2) 사이의 사잇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후, 평면 형상을 가지는 회동부(120)의 외면을 통하여 제1각도(θ1)와 제2각도(θ2) 사이의 사잇각을 가지는 앞서 서술한 교차선을 작도할 수 있다.
한편, 연결부(130)가 제1가이드부(112)를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부(130)는 연결부(130)에 돌출 형성되거나 돌출 배치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130)는 상기 돌기를 통하여 제1가이드부(112)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30)는 상기 돌기와 결합하는 고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돌기와 결합하여 상기 돌기 또는 상기 연결부(130)를 제1가이드부(112)의 일단(112a), 제1가이드부(112)의 타단(112b) 또는 제1가이드부(112)의 일단(112a) 및 제1가이드부(112)의 타단(112b)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 한편, 제1가이드부(112)는 제1가이드부(112)의 일단(112a) 및 제1가이드부(112)의 타단(112b)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부(112c)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3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부(112c)는 회동부(120)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제1가이드부(112)에 돌출형성 될 수 있다. 다르게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달리, 걸림부(112c)는 회동부(120)를 등지는 방향으로 제1가이드부(112)에 돌출형성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결부(130)는 걸림부(112c)에 밀착되어 몸체부(110)와 회동부(120) 사이에 제3각도(θ3)를 형성할 수 있다. 도면에는 하나의 걸림부(112c)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으나, 도면에 도시한 바와 달리 걸림부(112c)는 제1가이드부(112)에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연결부(130)는 몸체부(11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 연결되고, 회동부(120)에 슬라이딩하면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회동부(120)는 회동부(120)의 길이방향으로 회동부(120)에 형성되며, 연결부(130)가 회동부(120)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제3가이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130)는 상기 제3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3가이드부의 일단(미도시)에 밀착되어 몸체부(110)와 회동부(120) 사이에 제4각도(미도시)를 형성하거나, 상기 제3가이드부의 타단(미도시)에 밀착되어 몸체부(110)와 회동부(120) 사이에 제5각도(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연결부(130)를 상기 제3가이드부의 상기 일단 또는 상기 제3가이드부의 상기 타단에 밀착하는 것만으로도 몸체부(110)와 회동부(120)는 상기 제4각도 또는 상기 제5각도의 사잇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후, 평면 형상을 가지는 회동부(120)의 외면을 통하여 상기 제4각도 또는 상기 제5각도를 가지는 앞서 서술한 교차선을 작도할 수 있다.
물론, 연결부(130)는 상기 제3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3가이드부의 상기 일단 및 상기 제3가이드부의 상기 타단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서 멈출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몸체부(110)와 회동부(120)는 상기 제4각도와 상기 제5각도 사이의 사잇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후, 평면 형상을 가지는 회동부(120)의 외면을 통하여 상기 제4각도와 상기 제5각도 사이의 사잇각을 가지는 앞서 서술한 교차선을 작도할 수 있다.
한편, 연결부(130)가 상기 제3가이드부를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부(130)는 연결부(130)에 돌출 형성되거나 돌출 배치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130)는 상기 돌기를 통하여 상기 제3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30)는 상기 돌기와 결합하는 고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돌기와 결합하여 상기 돌기 또는 상기 연결부(130)를 상기 제3가이드부의 상기 일단, 상기 제3가이드부의 상기 타단 또는 상기 제3가이드부의 상기 일단 및 상기 제3가이드부의 상기 타단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제3가이드부는 상기 제3가이드부의 상기 일단 및 상기 제3가이드부의 상기 타단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걸림부는 몸체부(110)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3가이드부에 돌출형성 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걸림부는 몸체부(110)를 등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3가이드부에 돌출형성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결부(130)는 상기 걸림부에 밀착되어 몸체부(110)와 회동부(120) 사이에 제6각도(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112c)는 상기 제3가이드부에 하나 또는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도 7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접이식 겸용자(100’)의 몸체부(110)는 몸체부(110)의 길이방향으로 몸체부(110)에 형성되며, 회동부(120)의 일측(120a)이 몸체부(110)의 일측과 타측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부(120)의 일측(120a)은 제2가이드부(118)를 따라 몸체부(110)의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 사이를 이동할 수 있어 제2가이드부(118)를 따라 회동부(120)의 일측(120a)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도 직선, 사선, 서로 평행한 선, 서로 교차하는 사선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도할 수 있다.
건물외벽 등에서 직선, 사선, 평행선, 서로 교차하는 사선 등을 작업하는 과정에서 삼각자 등에는 사용자의 휴대 및 작업 편의를 위한 손잡이 등이 달릴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접이식 겸용자(100’)는 회동부(120)의 일측(120a)을 제2가이드부(118)를 따라 몸체부(110)의 일측과 타측 사이를 이동시킬 수 있어 제2가이드부(118)를 따라 회동부(120)의 일측(120a)의 위치변경만으로 직선, 사선, 서로 교차하는 사선, 서로 평행한 선 등을 효과적으로 제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종래 기술의 삼각자의 경우에는 서로 교차하는 사선 즉, 다른 방향의 경사를 가지는 사선을 제도하기 위해서는 삼각자를 뒤집어야 하는데, 이때 손잡이가 달려 있을 경우에는 손잡이가 장애요인으로 작용하여 뒤집어서 작업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나 본 기술은 그러한 문제 없이 손쉬운 제도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다시 말하면, 도 7에서 예로서 도시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접이식 겸용자(100’)는 회동부(120)의 일측(120a)을 제2가이드부(118)를 따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도 직선, 사선, 서로 평행한 선, 서로 교차하는 사선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도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몸체부(110)를 상기 기준선에 평행하게 이동시킬 경우에 서로 평행한 선을 작도할 수도 있다.
일례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130)는 회동부(12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 연결되고, 몸체부(110)에 슬라이딩하면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몸체부(110) 또는 제1가이드부(112)를 통한 연결부(130)의 이동에 따른 몸체부(110)와 회동부(120) 사이의 다양한 각도 형성과 이를 통한 교차선의 작도 등은 앞서 접이식 겸용자(100)와 관련하여 상술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연결부(130)는 몸체부(11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 연결되고, 회동부(120)에 슬라이딩하면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회동부(120) 또는 제3가이드부(미도시)를 통한 연결부(130)의 이동에 따른 몸체부(110)와 회동부(120) 사이의 다양한 각도 형성과 이를 통한 교차선의 작도 등은 앞서 접이식 겸용자(100)와 관련하여 상술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즉, 제2가이드부(118)를 따라 이동하는 회동부(120)를 포함하는 접이식 겸용자(100’)는 회동부(120)의 일측(120a)을 제2가이드부(118)의 일단 또는 타단에 각각 밀착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술한 제1결속부(114) 또는 제2결속부(116)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120)를 포함하는 접이식 겸용자(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상술한 접이식 겸용자(100)의 경우에는 회동부(120)의 일측(120a)을 제1결속부(114) 또는 제2결속부(116)에 결합한 후에는 연결부(130)의 몸체부(110) 또는 회동부(120)를 따른 슬라이딩 이동이라는 1개의 자유도를 통하여 기준선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교차하는 교차선 또는 추가적인 교차선을 작도할 있다.
이와 달리, 도 7과 관련하여 상술한 접이식 겸용자(100’)의 경우에는 몸체부(110)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부(118)을 포함함으로써 연결부(130)의 몸체부(110) 또는 회동부(120)를 따른 슬라이딩 이동과 함께 회동부(120)의 일측(120a)의 제2가이드부(118)를 따른 이동이라는 2개의 자유도를 통하여 기준선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교차하는 교차선 또는 추가적인 교차선을 작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몸체부(110)를 이동하지 아니하더라도 직선, 사선, 서로 평행한 선, 서로 교차하는 사선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손쉽게 작도할 수 있다.
한편, 회동부(120)의 일측(120a)이 제2가이드부(118)를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회동부(120)의 일측(120a)에는 회동부(120)의 일측(120a)에 돌출 형성되거나 돌출 배치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회동부(120)의 일측(120a)은 상기 돌기를 통하여 제2가이드부(118)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또한, 회동부(120)는 상기 돌기와 결합하는 고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돌기와 결합하여 상기 돌기 또는 상기 회동부(120)의 일측(120a)을 제2가이드부(118)의 일단, 제2가이드부(118)의 타단 또는 제2가이드부(118)의 일단 및 제2가이드부(118)의 타단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 한편, 도 7과 관련하여 상술한 접이식 겸용자(100’)의 경우에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110)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부(118)을 포함함으로써 연결부(130)의 몸체부(110) 또는 회동부(120)를 따른 슬라이딩 이동과 함께 회동부(120)의 일측(120a)의 제2가이드부(118)를 따른 이동이라는 2개의 자유도를 통하여 기준선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교차하는 교차선 또는 추가적인 교차선을 작도할 수 있다. 이를 보다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회동부(120) 또는 연결부(130)는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재질 또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다르게는, 접이식 겸용자(100’)의 연결부(130)는 회동부(120)의 일측(120a)이 제2가이드부(118)를 따라 이동할 경우에 필요에 따라 제1가이드부(112)와 분리되었다가 다시 결합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또 다르게는, 접이식 겸용자(100’)의 회동부(120)의 일측(120a)은 연결부(130)가 몸체부(110) 또는 회둥부(120)를 따라 이동할 경우에 필요에 따라 제2가이드부(118)와 분리되었다가 다시 결합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또 한편, 도 7과 관련하여 상술한 접이식 겸용자(100’)의 경우에, 회동부(120)에 앞서 상술한 제3가이드부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연결부(130)는 상기 제3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되거나 돌출 배치되는 돌기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130)는 상기 돌기를 통하여 상기 제3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30)는 상기 돌기와 결합하는 고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연결부(130)의 몸체부(110) 즉, 제1가이드부(112)를 따른 슬라이딩 이동, 연결부(130)의 회동부(120) 즉, 상기 제3가이드부를 따른 슬라이딩이동, 회동부(120)의 일측(120a)의 제2가이드부(118)를 따른 이동이라는 3개의 자유도를 통하여 기준선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교차하는 교차선 또는 추가적인 교차선을 작도할 수도 있다.
지지부(119)는 몸체부(110)에 형성되며, 몸체부(110)가 작도할 대상체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지지부(119)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예로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지지부(119)는 평면 형상의 외면을 적어도 하나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지지부(119)는 평면 형상의 외면을 적어도 하나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119)의 평면 형상의 외면은 회동부(120)를 향하거나 회동부(120)를 등지는 방향을 향하는 몸체부(110)의 외면과 평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9에는 지지부(119)로서 회동부(120)을 향하는 몸체부(110)의 평행한 형상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몸체부(110)의 평행한 형상의 외면과 평행한 형상을 가지는 지지부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이를 통하여, 몸체부(110)는 지지부(119)를 작도할 대상체에 밀착시킴으로써 작도할 대상체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몸체부(110)의 평행한 형상의 외면과 평행한 지지부(119)의 외면이 작도할 대상체에 밀착됨으로써 작도할 대상체에 작도를 할 경우에 기준이 되는 기준선도 자연스럽게 설정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한 바와 달리, 도 7과 관련하여 상술한 접이식 겸용자(100’)의 경우에는 제2가이드부(118)를 통한 회동부(120)의 자유로운 이동을 위하여 지지부(119)는 회동부(120)로부터 제2가이드부(118)보다 더 먼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지지부(119)는 기준선을 형성하는 몸체부(110)의 평행한 형상의 외면과 평행한 형상을 가지는 외면이 회동부(120) 방향을 향하도록 몸체부(1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몸체부(110)는 지지부(119)를 작도할 대상체에 밀착시킴으로써 작도할 대상체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몸체부(110)의 평행한 형상의 외면과 평행한 지지부(119)의 외면이 작도할 대상체에 밀착됨으로써 작도할 대상체에 작도를 할 경우에 기준이 되는 기준선도 자연스럽게 설정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손잡이(140)는 몸체부(110), 회동부(120) 또는 연결부(130)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연결부(130)에 배치된 손잡이(14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손잡이(140)는 사용자의 휴대 및 작업 편의를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손잡이(140)는 접이식 겸용자(100, 100’)의 휴대시 사용될 뿐 아니라 작도할 대상체에 접이식 겸용자(100, 100’)를 밀착시키는 과정에서 힘을 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140)는 연결부(130) 또는 회동부(120)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부(130) 또는 회동부(120)에 힘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지지부(119)는 작업자가 손잡이(140)를 쥐고 작도하는 과정에서 과도한 힘을 인가하더라도 몸체부(110)가 작도할 대상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함께 제공해 줄 수 있다.
한편, 몸체부(110) 또는 지지부(119)에 눈금을 표기함으로써 회동부(120) 또는 연결부(130)의 평행한 외면을 통하여 선을 작도한 후 눈금을 활용하여 몸체부(110)를 수평으로 소정간격 이동시킨 후 추가적인 선을 작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접이식 겸용자(100, 100’)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간격을 가지는 서로 평행한 사선, 직선 등의 작도를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몸체부(110)에는 작도할 대상체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몸체부에 회동부(120) 또는 연결부(130)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거나 배치되는 추가적인 지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적인 지지부는 도 8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 놓인 작도할 대상체의 측면에 지지부(119)를 밀착시켜 작도하는 과정에서 회동부(120) 또는 연결부(130)의 이동에 따른 몸체부(110)의 무게중심의 이동으로 인하여 접이식 겸용자(100, 100’) 즉, 몸체부(110)가 중력방향으로 기우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도 2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부(120)의 일측(120a)이 몸체부(110)의 제1결속부(114)에 위치하고, 연결부(130)가 제1가이드부(112)의 타단(112b)에 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중력에 의하여 몸체부(110)의 제2결속부(116)를 포함하는 부분은 아래로 기울게 된다. 상기 추가적인 지지부를 통하여 몸체부(110)가 중력방향으로 기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100, 100' : 접이식 겸용자
110 : 몸체부
112 : 제1가이드부
112a : 제1가이드부의 일단
112b : 제1가이드부의 타단
112c : 걸림부
114 : 제1결속부
116 : 제2결속부
118 : 제2가이드부
119 : 지지부
120 : 회동부
120a : 회동부의 일측
130 : 연결부
140 : 손잡이
θ1 : 제1각도
θ2 : 제2각도
θ3 : 제3각도

Claims (8)

  1. 몸체부;
    일측이 상기 몸체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부; 및
    상기 몸체부 및 상기 회동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기 회동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동부의 상기 일측이 상기 몸체부의 일측과 타측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동부의 상기 일측은 상기 제2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몸체부의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 사이를 이동할 수 있어 상기 제2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회동부의 상기 일측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도 직선, 사선, 서로 평행한 선, 서로 교차하는 사선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도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동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에 슬라이딩하면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가 상기 몸체부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1가이드부의 일단에 밀착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기 회동부 사이에 제1각도를 형성하거나, 상기 제1가이드부의 타단에 밀착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기 회동부 사이에 제2각도를 형성하는 접이식 겸용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 방향에 형성되는 제1결속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 방향에 형성되는 제2결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부의 상기 일측은 상기 몸체부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회동부의 상기 일측은 상기 제1결속부와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거나, 상기 제2결속부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동부의 상기 일측의 결합위치를 조정하는 것만으로도 직선, 사선, 서로 평행한 선, 서로 교차하는 사선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도할 수 있는 접이식 겸용자.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 연결되고, 상기 회동부에 슬라이딩하면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이식 겸용자.
  5. 삭제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제1가이드부의 상기 일단 및 상기 타단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걸림부에 밀착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기 회동부 사이에 제3각도를 형성하는 접이식 겸용자.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가 작도할 대상체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제2가이드부를 통한 상기 회동부의 자유로운 이동을 위하여 상기 회동부로부터 상기 제2가이드부보다 더 먼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접이식 겸용자.
KR1020170085759A 2017-06-09 2017-07-06 접이식 겸용자 KR1019975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622 2017-06-09
KR20170072622 2017-06-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726A KR20180134726A (ko) 2018-12-19
KR101997591B1 true KR101997591B1 (ko) 2019-07-08

Family

ID=65009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759A KR101997591B1 (ko) 2017-06-09 2017-07-06 접이식 겸용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5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85715B (zh) * 2019-03-22 2021-01-29 西安文理学院 一种旋转式磁性立体几何图形展示装置
CN112622495B (zh) * 2021-01-05 2024-06-25 顾礼敬 一种几何绘图工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092205Y (zh) * 2007-09-05 2008-07-30 牛余鹏 多功能三角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794U (ko) * 1995-06-15 1997-01-21 신전균 다각형 작도용 자
KR20040052876A (ko) * 2004-05-11 2004-06-23 조선아 도형각도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092205Y (zh) * 2007-09-05 2008-07-30 牛余鹏 多功能三角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726A (ko) 2018-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2341B2 (en) Apparatus to support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other devices or objects
US9185954B2 (en) Shell with kickstand
KR101997591B1 (ko) 접이식 겸용자
EP2421231B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US8520377B2 (en) Electronic device adjustable display member
US8534619B2 (en) Support stand for electronic device
US8537533B2 (en)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assembly
US6430038B1 (en) Computer with articulated mechanism
US8833716B2 (en) Tablet mounting systems and methods
US7646593B2 (en) Adjustable laptop monitor apparatus
US2011020537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use
US8792237B2 (en)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mechanism
CN113188027B (zh) 手持云台
WO2018166058A1 (zh) 支架附件、支架组件及遥控器
CN211046986U (zh) 云台
CN103174736B (zh) 双轴式枢转机构及其电子装置
JP2008508105A (ja) 圧縮工具のジョーアーム
JP6905622B2 (ja) 巻き折り引張位置決め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装置
JP4173185B1 (ja) 携帯端末
KR20080014588A (ko) 이축 회전 폴더 타입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힌지 장치
JP5252567B2 (ja) 可動機器のロック機構、及び折り畳み式機器のロック機構
TWM430812U (en) May perform various operating modes of electronic device and sliding / rotating module
JP6216036B2 (ja) 開口補助具
CN210870363U (zh) 一种便携式笔记本电脑桌
CN219066295U (zh) 一种折叠式演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