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508B1 - 사용후핵연료 캐스크 상태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후핵연료 캐스크 상태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508B1
KR101997508B1 KR1020170085212A KR20170085212A KR101997508B1 KR 101997508 B1 KR101997508 B1 KR 101997508B1 KR 1020170085212 A KR1020170085212 A KR 1020170085212A KR 20170085212 A KR20170085212 A KR 20170085212A KR 101997508 B1 KR101997508 B1 KR 101997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ommunication module
canister
cask
nuclear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4888A (ko
Inventor
김형철
한삼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에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에스이
Priority to KR1020170085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508B1/ko
Priority to PCT/KR2017/008770 priority patent/WO2019009462A1/ko
Publication of KR20190004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5/00Transportable or portable shielded containers
    • G21F5/005Containers for solid radioactive wastes, e.g. for ultimate disposal
    • G21F5/008Containers for fuel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사용후핵연료 캐스크 상태 감시 시스템은 캐스크의 캐니스터 표면에 부착되어 표면온도를 측정하는 복수개의 온도 센서,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온도 신호를 수집하여 송신하는 송신단 통신모듈, 상기 송신단 통신모듈로부터 온도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단 통신모듈, 및 상기 수신단 통신모듈로부터 온도 신호를 수신하며, 온도와 감시대상변수 간의 상관관계 알고리즘을 내장하며, 상관관계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감시대상변수를 산출하는 감시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용후핵연료 캐스크 상태 감시 시스템은 캐니스터의 압력경계를 관통하는 측정계기가 없이 표면온도를 측정하여 핵연료 온도 및 내부 압력 등의 내부 변수를 감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사용후핵연료 캐스크 상태 감시 시스템{A status watchdog system for spent nuclear fuel storage casks}
본 발명은 사용후핵연료 캐스크 상태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용후핵연료 캐스크의 장기적 관리를 위하여 온도 기반으로 사용후핵연료 캐스크의 이상 상태 발생을 탐지 및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에서 소정 기간 연소된 후 배출되는 핵연료를 사용후핵연료(spent nuclear fuel)라 한다. 사용후핵연료는 냉각 과정을 거쳐 재처리 시설이나 영구저장소에서 영구처분 되는데, 사용후핵연료는 방사선과 붕괴열을 방출하는 방사성 물질이므로, 이를 영구처분 전에 운반 및 중간 저장하기 위해서는 사용후핵연료를 안전하게 격납하여 방사선을 차폐하고 붕괴열을 원활히 방출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사용후핵연료 캐스크(보관용기; storage cask)를 사용한다.
이들 사용후핵연료 보관용기의 구조는 국내 등록특허 10-1333066호, 국내 등록특허 10-1303085호, 국내 등록특허 10-0449792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도1은 콘크리트 차폐구조물을 포함하는 사용후핵연료 캐스크의 구조를 도시한다. 캐스크는 내부에 사용후 핵연료를 격납하는 캐니스터(canister; 14)를 구비하고 그 외부를 콘크리트 구조체로 둘러싸 방사선 차폐를 한다. 캐니스터(14)는 통상 원통형상의 금속제 용기로 제작되며, 내부에 헬륨 등의 충진 가스를 채워 전도, 복사, 대류에 의하여 사용후핵연료의 붕괴열이 캐니스터 외부로 전달되도록 한다. 콘크리트 구조체와 캐니스터 사이에는 환상(annular)의 공기 냉각 유로(22,24)가 형성되어, 입구(26)로 유입된 공기가 캐니스터 외벽을 냉각하고 출구(28)를 통하여 배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통상 콘크리트 구조체에는 금속 라이너(30), 캐니스터 하부를 지지하는 리브(31) 및 상부 덮개(20)가 구비된다.
국내 공개특허 10-2015-0076452호에서는 캐스크(보관용기)의 뚜껑(lid)에 온도 센서를 수평 방향으로 다수 배치하는 사용후핵연료 캐스크를 공개하고 있다. 그러나 통상 캐스크의 뚜껑에는 방사선 차폐를 위하여 상부에 덮개가 존재할 뿐 아니라 가열된 충진 가스가 대류에 의하여 캐니스터 상부 공간으로 유동되어 확산하므로 단순히 뚜껑에 다수의 온도 센서를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는 것만으로 캐스크의 내부 상태를 파악하기는 곤란하다.
사용후핵연료 캐스크는 수십년 이상 장기간에 걸쳐서 지속적인 냉각과 방사선 차폐를 보장하기 위한 장기적인 관리가 요구되므로, 캐스크의 건전성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이상이 감지되면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보다 신뢰성 있는 상태 감시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사용후핵연료 캐스크의 장기적 상태 감시를 목적으로 하며, 캐니스터 표면 온도에 근거하여 캐니스터 내부 변수를 산출하여 사용후핵연료 캐스크의 상태를 감시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후핵연료 캐스크 상태 감시 시스템은 캐스크의 캐니스터 표면에 부착되어 표면온도를 측정하는 복수개의 온도 센서,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온도 신호를 수집하여 송신하는 송신단 통신모듈, 상기 송신단 통신모듈로부터 온도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단 통신모듈, 및 상기 수신단 통신모듈로부터 온도 신호를 수신하며, 온도와 감시대상변수 간의 상관관계 알고리즘을 내장하며, 상관관계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감시대상변수를 산출하는 감시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후핵연료 캐스크 상태 감시 시스템의 송신단 통신모듈은 설치구역에 설치된 복수의 사용후핵연료 캐스크에 각각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구성되며, 수신단 통신모듈은 하나의 설치구역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후핵연료 캐스크 상태 감시 시스템의 송신단 통신모듈은 고유번호가 할당되며, 감시서버는 고유번호에 의하여 송신단 통신모듈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후핵연료 캐스크 상태 감시 시스템의 송신단 통신모듈은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며, 수신단 통신모듈은 직접배선에 의한 전원을 사용하며, 수신단 통신모듈과 송신단 통신모듈은 무선통신하며, 수신단 통신모듈과 감시서버는 유선통신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후핵연료 캐스크 상태 감시 시스템의 감시 서버는 하나의 설치구역에 설치된 복수의 송신단 통신모듈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거동을 상호 비교하여 사용후핵연료 캐스크의 이상 상태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후핵연료 캐스크 상태 감시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온도 센서는 캐니스터 표면의 사전에 정해진 위치에 부착되며, 감시서버에 내장된 상관관계 알고리즘은 사용후핵연료 캐스크에 대한 사전분석결과에 근거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구축된 반응표면 모델 또는 신경회로망 알고리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후핵연료 캐스크 상태 감시 시스템의 감시서버에 내장된 상관관계 알고리즘은 사용후핵연료 캐스크의 형태별로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후핵연료 캐스크 상태 감시 시스템의 온도 센서는 캐니스터의 표면에 축 방향으로 배열 부착되어 감시서버가 축방향 표면온도 분포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후핵연료 캐스크 상태 감시 시스템은 캐스크 냉각을 위하여 공급되는 입구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며, 송신단 통신모듈이 수집하는 온도 신호에 입구 공기 온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후핵연료 캐스크 상태 감시 시스템의 복수개의 온도 센서는 캐니스터의 표면에 축 대칭으로 배열되고, 감시서버는 대칭 위치의 신호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신호의 건전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후핵연료 캐스크 상태 감시 시스템은 캐니스터의 압력경계를 관통하는 측정계기가 없이 표면온도를 측정하여 핵연료 온도 및 내부 압력 등의 내부 변수를 감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다중의 신호 채널을 확보함으로써 감시 시스템의 신호 전송의 안정성을 도모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설치구역에서 사용후핵연료 캐스크의 원격지 배치 작업에 자유도가 높고, 설치 또는 이전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유번호에 의하여 중앙 관제방식의 감시서버를 사용하므로 전국적인 캐스크 관리 및 보수 계획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취득된 신호의 거동을 상호 비교하여 캐스크의 이상 상태를 판정하고 적절한 확인 및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캐스크 형태 별로 최적의 상관관계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감시변수 산출이 가능하며, 원전 운영자에게 캐스크의 선택 폭을 넓게 해 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태 감시 시스템은 주변 공기의 온도 변화에 따른 감시대상변수의 영향을 고려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상태 감시 시스템은 온도센서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1은 사용후핵연료 캐스크 구조를 나타내는 간략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후핵연료 캐스크 상태 감시 시스템의 구성 개념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상관관계 알고리즘의 개념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캐니스터 축대칭 위치의 온도센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가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간략화 되었으며,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후핵연료 캐스크 상태 감시 시스템의 실시예는 도2에 개념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후핵연료 캐스크의 캐니스터(100) 표면에 부착되어 표면온도를 측정하는 복수개의 온도 센서(Temperature Sensor; 110), 온도 센서(110)로부터 온도 신호를 수집하여 송신하는 송신단 통신모듈(Communication Transmitter Module; 120), 송신단 통신모듈(120)로부터 온도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단 통신모듈(Communication Receiver Module; 130), 그리고 수신단 통신모듈(140)로부터 온도 신호를 수신하며, 온도와 감시대상변수 간의 상관관계 알고리즘을 내장하며, 상관관계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감시대상변수를 산출하여 표출하는 감시서버(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캐스크 상태 감시 시스템에 적용되는 감시대상변수는 캐니스터의 내부 변수인 압력 또는 사용후핵연료 온도일 수 있다. 감시대상변수는 물리적 변수가 아닌 측정 변수로부터 처리된 처리 변수(processed parameter)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후핵연료 캐스크 상태 감시 시스템은 캐니스터의 압력경계를 관통하는 측정계기가 없이도 표면온도를 측정하여 핵연료 온도 및 내부 압력 등의 내부 변수를 감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2에서 사용후핵연료 캐스크의 상세 구조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캐스크는 통상 사용후핵연료가 수납되는 원통 형상의 금속제 캐니스터를 포함하며, 온도 센서(110)는 캐니스터의 표면에 부착되어 캐니스터의 표면온도를 측정하여 송신단 통신모듈(120)로 보낸다. 온도센서로는 통상 열전대(Thermocouple)나 측온저항계(RTD, Resistance Temperature Detecto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송신단 통신모듈(120)은 정해진 설치구역(Site)에 설치된 복수의 사용후핵연료 캐스크에 각각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구성되어 각 캐스크의 캐니스터 표면온도 정보를 수집한다. 송신단 통신모듈(120)은 캐스크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신단 통신모듈(130)은 하나의 설치구역을 커버하도록 설치하여 그 설치구역에 설치된 모든 캐스크의 캐니스터 표면온도 정보를 수집한다. 통상 하나의 설치구역에 대하여 수신단 통신모듈(130)을 한 개 설치할 수 있지만 복수의 수신단 통신모듈(130)을 설치하여 다중의 신호 채널을 확보함으로써 감시 시스템의 신호 전송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2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두 개의 설치구역(Site-A, Site-B)을 예시하여 도시 하고 있으며, 설치구역 A에 n개의 캐스크가 도시되고 이에 대응되는 n개의 송신단 통신모듈(120)이 도시되어 있다. 감시서버(140)는 원자력발전소에 운영되는 다수의 설치구역으로부터 수신단 통신모듈(130)을 통하여 전송되는 모든 캐스크의 캐니스터 표면온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각 송신단 통신모듈(120)은 고유번호가 할당되며, 감시서버(140)는 고유번호에 의하여 각 캐스크에 할당된 송신단 통신모듈(120)을 식별할 수 있다.
송신단 통신모듈(120)은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고, 수신단 통신모듈(130)은 직접배선에 의한 교류 또는 직류 전원을 사용하며, 수신단 통신모듈(130)과 송신단 통신모듈(120)은 무선통신하며, 수신단 통신모듈(130)과 감시서버(140)는 유선통신(wired communication)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유신통신은 도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을 통한 통신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송신단 통신모듈(120)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화기(ADC), 마이컴, 송신용 무선 모듈, 전원회로,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수신단 통신모듈(130)은 예를 들어 수신용 무선모듈, AP(Access Point) 보드 및 제어기, LTE 모뎀, 저장장치, 220V 전원회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설치구역은 통상 원자력발전소의 부지내 특정 구역을 지정하여 운영된다. 사용후핵연료를 발전소 저장조로부터 인출하여 캐스크에 격납 밀봉하고 온도 센서(110)와 고유번호가 할당된 송신단 통신모듈(120)을 장착하고 지정된 설치구역에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감시서버를 통하여 고유번호를 등록하고 고유번호에 의하여 해당 캐스크의 상태를 감시한다.
본 발명은 송신단 통신모듈(120)에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고, 수신단 통신모듈(130)과 무선통신 하고 고유번호에 의하여 캐스크를 관리함으로써 설치구역에서 사용후핵연료 캐스크의 원격지 배치 작업에 자유도가 높고, 설치 또는 이전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유번호에 의하여 중앙 관제방식의 감시서버를 사용하므로 전국적인 캐스크 관리 및 보수 계획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사용후핵연료 캐스크에 보관된 사용후핵연료는 수십 년간의 기간 내에서는 거의 일정하게 붕괴열을 방출하므로 캐스크는 규정 조건내의 사용후핵연료가 보관될 경우 무동력의 자연 냉각에 의하여 허가조건이 유지되도록 열설계 된다. 그러므로 사용후핵연료 캐스크의 설계조건이 충족되는 건전한 상태일 경우, 감시 시스템이 산출하는 감시대상변수는 일정한 주변 공기 조건에 대하여 정상 상태(steady-state) 값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상태 감시 시스템은 감시대상변수의 정확한 값을 취득하는 것이 주목적이 아니라, 감시대상변수가 이상(abnormal) 거동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탐지하여 이상 상태를 감시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동일한 설치구역에 설치된 캐스크들은 동일한 주변 공기 냉각 조건에 놓여지고, 온도 및 습도 등 공기 조건의 일간(daily) 및 계절적 변화에 따라 해당 설치구역의 캐스크 캐니스터 표면온도로부터 처리된 신호의 거동은 평균적 추세(trend)를 나타낼 것이므로, 평균적 거동으로부터 설정 범위 이상 차이를 나타내는 캐스크는 비정상 상태로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감시 서버(140)는 하나의 설치구역에 설치된 복수의 송신단 통신모듈(120)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거동을 상호 비교하여 사용후핵연료 캐스크의 이상 상태를 판정하고 적절한 확인 및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후핵연료 캐스크 상태 감시 시스템은 감시서버(140)에 내장된 상관관계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내부 온도나 압력 등의 감시대상변수를 산출한다. 이 알고리즘 구축을 위하여 캐스크에 대하여 사전에 분석한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이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하여 표면온도와 감시대상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한다. 온도 센서는 캐니스터 표면의 사전에 정해진 위치에 부착되며, 사전 분석은 이 위치에 대하여 수행한다. 알고리즘은 복수의 정해진 위치의 표면 온도와 감시대상변수 간의 반응표면 모델(response surface model)의 함수 형태 또는 신경회로망(neural network)을 사용할 수 있다. 반응표면 모델 함수 및 신경회로망 구축을 위하여 잘 알려진 일반적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한 제한은 없다. 신경회로망 구축에 대하여는 Y.-H. Pao, Adaptive Pattern Recognition and Neural Networks. Reading, MA: Addison-Wesley, 1989 등을 참고할 수 있다. 도3은 캐니스터(300) 표면에 축방향으로 일렬로 배열 부착된 3개의 센서 온도를 입력으로 하는 함수(fT, fP)에 의하여 최고 핵연료 온도(T-PCT) 및 압력(Press)을 산출하는 상관관계 알고리즘(310)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또한 도3에는 상관관계를 도출하기 위하여 사용된 열분석 데이터베이스(320)를 나타내었으며, 이 데이터베이스는 최고 핵연료 온도 및 압력 산출 시에는 직접 사용되지는 않으므로 점선 연결선으로 표시되었다.
감시서버(140)가 감시하는 사용후핵연료 캐스크는 설계가 다른 복수개의 다양한 형태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감시서버(140)는 각 캐스크의 형태별로 상관관계 알고리즘을 별도로 형성하여 내장하고, 감시서버(140)에 캐스크를 추가 등록할 때 송신단 통신모듈(120) 고유번호에 대응되는 캐스크에 대하여 해당되는 캐스크 형태를 입력한다. 이와 같이 캐스크 형태 별로 최적의 상관관계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감시변수 산출이 가능하며, 원전 운영자에게 캐스크의 선택 폭을 넓게 해 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캐스크 상태 감시 시스템에서 감시대상변수는 통상 캐니스터의 내부 압력 및 사용후핵연료 온도일 수 있다.
캐니스터 내부의 충진 가스는 헬륨, 질소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열전도도가 높은 헬륨이 바람직하다. 통상 캐스크 캐니스터의 축은 중력방향으로 세워서 동작되므로, 전도, 대류, 복사 등의 캐니스터 내 열전달 메커니즘 중에서 대류 부분의 영향이 클수록 핵연료 최대온도 위치는 축방향 상부로 편향되는 경향을 갖게 된다. 따라서 충진 가스가 누설되어 압력이 낮아지면 대류 메커니즘이 약화되어 핵연료 최대온도 위치는 점차 중앙부로 내려오며 최대온도 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는 축방향 온도 분포로부터 압력이나 온도를 예측할 수 있는 상관관계(correlation)가 존재함을 의미하며,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은 사전 분석을 통하여 상관관계 알고리즘을 구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온도 센서를 캐니스터의 표면에 축 방향으로 배열 부착하여 감시서버가 축방향 표면온도 분포 정보를 취득하면 이를 입력으로 하여 사전에 구축된 상관관계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캐니스터의 내부 압력이나 핵연료 온도를 산출할 수 있다.
캐스크의 캐니스터가 결함이나 부식 등으로 인하여 건전성이 훼손되면 충진 가스가 누출되어 캐니스터 내부 압력이 감소하게 되며, 이러한 압력 감소는 본 발명에 따른 상태 감시 시스템의 상관관계 알고리즘에 의하여 탐지가 가능하다. 또한, 공기 입구 막힘 등의 이유로 냉각 기능이 저하되어 핵연료 온도가 증가되는 경우도 본 발명의 상태 감시 시스템 의하여 탐지가 가능하다.
감시서버(140)에 내장된 상관관계 알고리즘에 포함되는 온도 변수에 캐니스터 표면온도 외에 입구 공기 온도를 추가하여 상관관계 알고리즘을 보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후핵연료 캐스크 냉각을 위하여 공급되는 입구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며, 송신단 통신모듈이 수집하는 온도 신호에 입구 공기 온도가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주변 공기의 온도 변화에 따른 감시대상변수의 영향을 반영하여 상관관계 알고리즘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니스터(400) 내부에 격납되는 사용후핵연료 다발(410)들은 통상 축대칭의 배열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온도 센서(431,432,433,434)가 캐니스터 표면의 축대칭 위치에 부착되면, 대칭위치의 표면온도는 서로 근사한 값을 갖게 된다. 도4에서 온도센서 431과 433, 432와 434는 각각 대칭위치의 온도센서 쌍을 도시한다. 따라서 복수개의 온도 센서가 캐니스터의 표면에 축 대칭으로 배열되고, 감시서버가 대칭 위치의 신호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신호의 건전성을 판단할 수 있다. 즉, 대칭 위치의 온도 측정값이 설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온도센서의 고장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위에서 개시된 발명은 기본적인 사상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위의 실시예들은 모두 예시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실시예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에 따라 정해진다. 첨부된 청구항의 균등물로의 치환은 첨부된 청구항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300, 400: 캐니스터
110, 431, 432, 433, 434: 온도센서
120: 송신단 통신모듈
130: 수신단 통신모듈
140: 감시서버
310: 상관관계 알고리즘
320: 데이터베이스
410: 사용후핵연료 다발

Claims (10)

  1. 사용후핵연료가 수납되는 금속제 캐니스터를 포함하는 사용후핵연료 캐스크의 캐니스터 표면에 적어도 3개 이상 축방향으로 배열되고 그 축대칭 위치에도 쌍을 이루도록 배열 부착되어 표면온도를 측정하여 캐니스터 축방향 표면온도 분포 정보를 제공하는 복수개의 온도 센서;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온도 신호를 수집하여 송신하는 송신단 통신모듈;
    상기 송신단 통신모듈로부터 온도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단 통신모듈; 및
    상기 수신단 통신모듈로부터 캐니스터 축방향 표면 온도 분포 신호를 수신하며, 사용후핵연료 캐스크에 대한 사전분석결과에 근거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구축된 캐니스터 표면 온도와 감시대상변수 간의 상관관계 알고리즘을 내장하며, 상관관계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감시대상변수를 산출하며, 상기 감시대상 변수는 상기 복수개의 온도 센서로부터 얻어지는 캐니스터 축방향 표면 온도 분포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상관관계 알고리즘에 의하여 산출되는 캐니스터 압력을 포함하며, 대칭 위치의 센서 신호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온도 센서 신호의 건전성을 판단하는 감시서버;를 포함하는 사용후핵연료 캐스크 상태 감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 통신모듈은 설치구역에 설치된 복수의 사용후핵연료 캐스크 에 각각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수신단 통신모듈은 하나의 설치구역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핵연료 캐스크 상태 감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 통신모듈은 고유번호가 할당되며, 감시서버는 고유번호에 의하여 송신단 통신모듈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핵연료 캐스크 상태 감시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 통신모듈은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며,
    상기 수신단 통신모듈은 직접배선에 의한 전원을 사용하며,
    수신단 통신모듈과 송신단 통신모듈은 무선통신하며,
    수신단 통신모듈과 감시서버는 유선통신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핵연료 캐스크 상태 감시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서버는 하나의 설치구역에 설치된 복수의 송신단 통신모듈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거동을 상호 비교하여 사용후핵연료 캐스크의 이상 상태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핵연료 캐스크 상태 감시 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서버에 내장된 상관관계 알고리즘은 사용후핵연료 캐스크의 형태별로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핵연료 캐스크 상태 감시 시스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사용후핵연료 캐스크 냉각을 위하여 공급되는 입구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며, 송신단 통신모듈이 수집하는 온도 신호에 입구 공기 온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핵연료 캐스크 상태 감시 시스템.
  10. 삭제
KR1020170085212A 2017-07-05 2017-07-05 사용후핵연료 캐스크 상태 감시 시스템 KR101997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212A KR101997508B1 (ko) 2017-07-05 2017-07-05 사용후핵연료 캐스크 상태 감시 시스템
PCT/KR2017/008770 WO2019009462A1 (ko) 2017-07-05 2017-08-11 사용후핵연료 캐스크 상태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212A KR101997508B1 (ko) 2017-07-05 2017-07-05 사용후핵연료 캐스크 상태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888A KR20190004888A (ko) 2019-01-15
KR101997508B1 true KR101997508B1 (ko) 2019-07-08

Family

ID=64950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212A KR101997508B1 (ko) 2017-07-05 2017-07-05 사용후핵연료 캐스크 상태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97508B1 (ko)
WO (1) WO20190094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049B1 (ko) * 2019-01-08 2020-10-28 한국과학기술원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의 열적 안정적인 심층 처분을 위한 최적의 처분장 초기 조건 설계 방법 및 장치
KR102185295B1 (ko) 2019-04-15 2020-12-0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사용후핵연료 저장용 금속 캐니스터의 응력부식균열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CN113514665A (zh) * 2021-05-28 2021-10-19 成都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乏燃料组件运输容器加速度监测系统及方法
FR3137786B1 (fr) * 2022-07-05 2024-05-24 Orano Nuclear Packages And Services Dispositif de mesure d’une temperature maximale d’un composant place dans une enceinte de confinement d’un emballage charge d’un ensemble de matieres radioactives
CN116792671A (zh) * 2023-05-11 2023-09-22 中国科学院空天信息创新研究院 一种多路温度分布测量浮空器充气量测量系统及核算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7978A (ja) * 2003-02-27 2004-09-16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使用済原子燃料貯蔵容器の異常監視方法及び装置
JP2005308419A (ja) 2004-04-16 2005-11-04 Mitsubishi Heavy Ind Ltd 放射性物質容器用状態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4091A (ja) * 2001-09-13 2003-03-19 Hitachi Ltd 使用済燃料管理システム
KR101250750B1 (ko) * 2011-09-08 2013-04-04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사용후핵연료 저장조 실시간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38168B1 (ko) * 2012-12-12 2014-09-1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스마트 센서를 이용한 원전 기기 성능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7978A (ja) * 2003-02-27 2004-09-16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使用済原子燃料貯蔵容器の異常監視方法及び装置
JP2005308419A (ja) 2004-04-16 2005-11-04 Mitsubishi Heavy Ind Ltd 放射性物質容器用状態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888A (ko) 2019-01-15
WO2019009462A1 (ko) 2019-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7508B1 (ko) 사용후핵연료 캐스크 상태 감시 시스템
KR101158459B1 (ko) 원자로 노심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FI79199B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styrning av ett komplext olinjaert processreglersystem.
US7739067B2 (en) In-service calibration of temperature measurement devices using plant monitoring system data
KR100665914B1 (ko) 스팀 트랩을 검사하는 방법 및 장치, 및 스팀 트랩을 관리하기위한 관리 시스템
EP0030459A1 (en) System for monitoring steam condenser performance
EP3521789B1 (en) System for monitoring leaks of liquid from a spent fuel pool
CN109841289A (zh) 用于安全壳热量非能动导出系统的试验装置
JP5621659B2 (ja) 蒸気管の損失計測システム及び計測方法
CN115440400A (zh) 一种核电站反应堆压力容器的监测方法及系统
KR101457266B1 (ko) 사용 후 핵연료 건전성 평가 종합시험장치
US883116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 temperature of coolant in a reactor core,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reactor core
CN108538005A (zh) 危险品货位火灾监测方法及系统
CN111562450B (zh) 一种用于监测电抗器寿命的系统及方法
CN113465777A (zh) 一种电缆温度监控平台及方法
US20200027599A1 (en) Nuclear fuel failure protection method
CN110853781B (zh) 一种核电站乏燃料水池综合监测系统和方法
US4521371A (en) Vessel liquid level indication
JP3780476B2 (ja) 光ファイバ温度計測装置および熱媒体漏洩検出装置
CA1334859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etection of leaks of metallurgical vessels
GB253096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ssing the state of a spent-fuel facility
JP2000137093A (ja) 原子炉の固定式炉内核計装システムおよび核計装処理方法、出力分布算出装置および算出方法、ならびに出力分布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方法
KR101488614B1 (ko) 사용후 핵연료 용기 열시험장치
CN216954909U (zh) 一种板坯结晶器热电偶离线检测装置
US5426677A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a liquid contained in a pressurizer ves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