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590B1 - 유연탄 야적장 내부열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유연탄 야적장 내부열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590B1
KR101996590B1 KR1020170112571A KR20170112571A KR101996590B1 KR 101996590 B1 KR101996590 B1 KR 101996590B1 KR 1020170112571 A KR1020170112571 A KR 1020170112571A KR 20170112571 A KR20170112571 A KR 20170112571A KR 101996590 B1 KR101996590 B1 KR 101996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pipe
insertion tube
base plat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2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6168A (ko
Inventor
김현석
한국환
박태진
강신혁
박상용
조한영
박성연
Original Assignee
피티씨테크 주식회사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티씨테크 주식회사,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티씨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2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590B1/ko
Publication of KR20190026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00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 B65G3/02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in the open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75Arrangements for coupling heat-pipes together or with other structures, e.g. with base blocks; Heat pipe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2Heat or fire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야적탄의 내부에서 발생된 열을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방열 처리하여 내부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개의 방열기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기는 일측 선단이 야적물 내부로 삽입되어 야적물 내부의 열을 외부로 전달하는 열전달부, 상기 열전달부의 타측 선단에 설치되어 전달된 열을 냉각하는 냉각부를 포함하는 유연탄 야적장 내부열 저감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연탄 야적장 내부열 저감장치{APPARATUS FOR COOLING INSIDE OF COAL PILE IN YARD}
야적장에 쌓여 있는 유연탄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열시키기 위한 유연탄 야적장 내부열 저감장치를 개시한다.
예를 들어, 발전소에서 사용되는 연료인 석탄은 여러 지역에서 수입되어 원료 처리 설비에 의해 야드에 쌓아 보관한다. 대략 야드에 쌓여진 하나의 야적탄은 그 길이가 수백미터에 이르며 높이 역시 수십미터에 이를 정도로 대단히 많은 양으로 한 곳에 쌓여 있게 된다.
많은 양의 석탄이 한 곳에 쌓인 상태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석탄의 휘발성분에 의해 야적탄 내부에서 온도가 상승하면서 자연발화로 인한 화재의 위험이 높다.
종래의 경우 석탄 내부 온도를 감시하고 물을 뿌려주거나 산소 공급을 차단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뿐이어서, 근본적으로 화재 발생의 위험을 낮추는 데 미흡하였다.
따라서, 야적탄의 자연발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석탄더미의 내부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보다 개선된 방안이 요구된다.
야적장에 쌓여있는 유연탄의 내부에서 발생된 열을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방열 처리하여 내부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된 유연탄 야적장 내부열 저감장치를 제공한다.
보다 간단한 구조로 제조와 사용이 용이한 유연탄 야적장 내부열 저감장치를 제공한다.
본 구현예의 저감장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개의 방열기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기는 일측 선단이 야적물 내부로 삽입되어 야적물 내부의 열을 외부로 전달하는 열전달부, 상기 열전달부의 타측 선단에 설치되어 전달된 열을 냉각하는 냉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부를 감싸며 상기 베이스판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베이스판 상단에 설치되는 이동용 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달부는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야적물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관, 상기 삽입관 내부에 수용되는 복수개의 히트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관 선단에 연결설치되고 표면에는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홀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연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관 또는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고 선단부는 끝으로 갈수록 뾰족한 구조의 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부재는 선단의 팁부를 포함하며, 상기 팁부는 콘부재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부는 상기 열전달부 선단에 설치되는 방열판, 상기 방열판의 적어도 일면에 설치되어 방열판에 냉기를 가하는 열전소자, 상기 열전소자 외측면에 설치되어 열전소자를 방열하는 방열부, 및 상기 열전소자와 방열부에 연결되어 열전소자와 방열부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부는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 또는 냉각수가 유통되는 냉각자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트파이프는, 양단이 밀봉되고 내부 공간에 작동유체가 수용되며 양 단부가 각각 흡열부와 응축부를 이루는 외관, 및 상기 외관 내부에 자유롭게 유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외관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양단이 개방되어 작동유체가 이동되는 통로를 이루는 내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야적장에 쌓인 유연탄 내부에서 발생된 열을 신속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외부로 전달하여 방열처리함으로써, 야적장에서 적재된 유연탄의 자연 발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보다 단순한 구조로 제조가 용이하며, 필요한 곳에 자유롭게 이동하여 간단하게 야적장에 쌓여있는 석유연탄에 꽂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다.
하나의 장치에 복수개의 방열기가 배열 설치되어 있어, 유연탄 내부 열 제거 효율을 보다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유연탄 야적장 내부열 저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유연탄 야적장 내부열 저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유연탄 야적장 내부열 저감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유연탄 야적장 내부열 저감장치의 열전달부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유연탄 야적장 내부열 저감장치의 히트파이프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실시예는 야적물로써 야적장에 쌓인 유연탄(이하 간단히 야적탄라 한다)를 일예로 설명한다. 본 저감장치는 유연탄의 내부 방열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부 열 제거가 필요한 다양한 야적물에 대해 모두 적용가능하다.
도 1과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유연탄 야적장 내부열 저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3은 유연탄 야적장 내부열 저감장치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저감장치(10)는 베이스판(12) 하단에 복수개의 방열기(14)가 배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도 1에서와 같이, 4개의 방열기(14)가 하나의 베이스판(12) 하단에 배열 설치되어 하나의 저감장치(10)를 이루는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4개의 방열기(14)가 구비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2개나 3개의 방열기 또는 5개 이상의 방열기가 구비된 구조 모두 적용가능하다. 복수개의 방열기(14)는 베이스판(12) 하단에 일렬로 배치되거나 복수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판(12)은 넓은 면적을 갖는 판상의 구조물이다. 베이스판(12)은 방열기(14)의 설치 개수나 배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판(12)은 후술하는 하우징(50)의 공통 상판을 이룬다. 하우징 구조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한다. 베이스판(12)의 상부에는 본 저감장치(10)를 필요한 곳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용 고리(52)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필요시 이동용 고리(52)를 이용하여 복수의 방열기(14)를 용이하게 들어올려 필요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각 방열기(14)는 일측 선단이 야적탄 내부로 삽입되어 야적탄 내부의 열을 외부로 전달하는 열전달부, 상기 열전달부의 타측 선단에 설치되어 전달된 열을 냉각하는 냉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방열기(14)는 모두 동일한 구조를 이루며, 하나의 방열기에 대해 설명하며 나머지 방열기에 대한 설명은 이에 갈음한다.
이에, 각 방열기가 석탄더비에 삽입되어, 야적탄 내부에서 발생된 열은 신속하게 열전달부를 통해 외부로 전달된 후 냉각부를 통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열전달부는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야적탄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관(20), 상기 삽입관(20) 내부에 수용되는 복수개의 히트파이프(30)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관(20)은 복수의 히트파이프(30)를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하며, 복수의 히트파이프(30)를 야적탄 내부에 위치시키게 된다. 삽입관(20)은 길게 연장되고 상하단이 개방되며 내부가 빈 파이프 구조물이다. 개방된 삽입관(20)의 내부에 히트파이프(30)가 채워진다. 이하 설명에서 상, 상부는 도 3에서 y축 방향을 따라 위쪽을 의미하고, 하, 하부는 y축 방향을 따라 아래쪽을 의미한다. 삽입관(20)은 원통형 단면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삽입관(20)의 단면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삽입관(20)은 열전도 및 강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관(20)은 스테인레스나 알루미늄, 구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관(20)의 하단은 야적탄 내부로 삽입되어, 야적탄 내부의 고열과 접촉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삽입관(20)의 하단에는 연결관(22)이 설치되고, 연결관(22)의 하단에 콘부재(24)가 설치될 수 있다.
연결관(22)은 삽입관(20)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필요시 삽입관(20)에서 연결관(22)만을 분리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연결관(22)의 측면에는 슬릿 형태의 홀(26)이 외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홀(26)을 통해 삽입관(20) 내부에 구비된 히트파이프(30)로 야적탄 내부의 열이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콘부재(24)는 야적탄에 삽입되는 열전달부의 선단을 이룬다. 콘부재(24)는 야적탄 내부로 보다 용이하게 꽂아질 수 있도록 선단부는 끝으로 갈수록 뾰족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삽입관(20)이 야적탄에 손쉽고 용이하게 박혀 삽입될 수 있다.
콘부재(24)의 끝부분은 야적탄과 접촉되어 다른 부위보다 빨리 마모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의 콘부재(24)는 선단을 이루는 팁부(28)를 별도로 구비하며, 팁부(28)는 콘부재(24)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팁부(28)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콘부재(24)에는 수나사가 체결되는 암나사홈이 형성되어, 팁부(28)가 나사체결 방식으로 콘부재(24)에 착탈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빈번한 사용으로 인해 콘부재(24)의 선단부가 마모된 경우, 마모된 팁부(28)만을 새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관(20) 내부에는 복수의 히트파이프(heat pipe)(30)가 설치된다. 히트파이프(30)는 삽입관(20) 내부에 유동되지 않도록 촘촘히 채워질 수 있다. 삽입관(20) 내에 설치되는 히트파이프(30)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히트파이프(30)는 밀폐된 내부 공간에 작동유체를 수용한 구조로, 작동유체의 연속적인 상변화를 통해 열을 전달한다. 히트파이프(30)는 내부에서 작동유체의 증발 잠열을 이용함으로써, 작은 온도차에서도 무동력으로 열을 효과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히트파이프(3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냉각부는 삽입관(20) 상단에 설치되는 방열판(40), 방열판(40)의 적어도 일면에 설치되어 방열판(40)에 냉기를 가하는 열전소자(42), 열전소자(42) 외측면에 설치되어 열전소자(42)를 방열하는 방열부(44), 및 열전소자(42)와 방열부(44)에 연결되어 열전소자(42)와 방열부(44)를 구동하는 제어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방열판(40)은 삽입관(20) 상단을 덮는 커버(41) 상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41)는 삽입관(20)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필요시 삽입관(20)에서 커버(41)를 분리하여 삽입관(20)에서 방열판(40)은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방열판(40)은 넓은 면적을 갖는 판상의 구조물이다. 히트파이프(30) 상부로 전달된 열은 삽입관(20) 또는 커버(41)를 통해 방열판(40)으로 전도된다. 방열판(40)의 크기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방열판(40)은 열전도율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열판(40)은 스테인리스나 알루미늄, 구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방열판(40)의 일면 또는 양면에 열전소자(42)가 설치될 수 있다. 열전소자는 이극형 반도체를 조합했을 때에 생기는 냉각효과를 이용한 소자로, 직류 전원의 공급만으로 열에너지를 빼앗기거나 열에너지를 방출한다. 이에 열전소자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하는 것으로 전면을 냉각 또는 가열하게 된다. 열전소자에 대해서는 많은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열전소자(42)는 방열판(40)에 냉기를 가하여 방열판(40)을 냉각한다. 이에, 히트파이프(30) 상단으로 전달된 열은 방열판(40)을 통해 열전소자(42)의 냉기와 열교환되어 신속하게 방열처리된다.
따라서, 야적탄 내부의 고열이 히트파이프(30)를 통해 상부로 전달되어 방열판(40)에 설치된 열전소자(42)를 통해 제거되어, 야적탄 내부 온도를 신속하게 낮출 수 있게 된다.
열전소자(42)의 일면은 방열판(40)에 접하여 설치되고, 그 반대쪽인 후면에는 방열부(44)가 접하여 설치된다. 이에, 열전소자(42)는 방열판(40)에 냉기를 가하고 후면에서 발생되는 열은 방열부(44)를 통해 신속하여 방열 처리된다.
방열부(44)는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 또는 냉각수가 유통되는 냉각자켓을 포함할 수 있다. 방열부(44)가 송풍팬을 포함한 구조인 경우, 송풍팬이 구동되면 열전소자(42)에 공기가 강제 송풍되어 열전소자(42)에서 발생된 열을 방열시키게 된다. 방열부(44)가 냉각자켓을 포함한 구조인 경우, 냉각자켓으로 냉각매체가 순환 공급되면서 열전소자(42)에서 발생된 열을 방열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삽입관(20)의 상부에는 냉각부를 감싸는 하우징(5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냉각부를 구성하는 방열판(40), 열전소자(42) 등은 하우징(5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50)은 적어도 일면이 개방되어 내부로 외기가 유통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에, 하우징(50)은 내부에 위치한 냉각부를 감싸 보호하면서, 외기가 하우징 내부로 자유롭게 유통되어 방열부(44)에 의한 방열 효과는 적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50)의 상부에는 베이스판(12)이 설치된다. 즉, 베이스판(12)은 하우징(50)의 상판을 이룬다. 베이스판에 의해 하우징의 상부가 차단되어 비나 우박 등으로부터 하우징 내부 구성부가 보호된다.
열전소자(42)와 방열부(44)는 제어부(46)에 연결되어 제어부(46)의 구동에 의해 작동된다. 제어부(46)는 열전소자(42)와 방열부(44)에 필요한 전력 또는 냉각매체를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46)는 예를 들어 본 장치의 하우징(50) 일측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 본 장치를 야적탄에 삽입하여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46)는 하우징에서 분리되어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6)는 삽입관(20) 이동을 위해 필요한 굴삭기 등에 구비된 전력계통을 이용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 크레인으로 삽입관(20)을 이동하여 야적탄에 삽입한 후 크레인에 구비된 전력계통을 이용하여 열전소자(42)와 방열부(44)를 제어 구동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히트파이프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히트파이프(30)는 양단이 밀봉되고 내부 공간에 작동유체가 수용되며 양 단부가 각각 흡열부와 응축부를 이루는 외관(32), 외관(32) 내부에 자유롭게 유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외관(32)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양단이 개방되어 작동유체가 이동되는 통로를 이루는 내관(34)을 포함할 수 있다.
외관(32)은 예를 들어, 축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내부가 빈 원형 단면 구조의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관(32)의 양단은 막혀져 내부를 밀봉한다. 외관(32)의 내부에는 작동유체가 구비된다. 외관(32)은 원형 단면 구조 외에 다양한 형태로 변형가능하다. 외관(32)의 일측 선단부는 작동유체가 열을 흡수하여 증발되는 흡열부를 이룬다. 외관(32)의 반대쪽 선단부는 증발된 작동유체가 응축되는 응축부를 이룬다.
외관(32)은 열전도율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관(32)은 구리 등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관(32)의 내면에는 윅(WICK)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윅은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응축부에서 응축된 작동유체를 증발부로 이동시키게된다. 윅은 예를 들어, 그루브(GROOVE) 형태를 이루거나, 매쉬(MESH) 또는 신터(SINTER) 구조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 형태는 외관(32)의 내면에 미세한 홈을 형성한 구조로 이해할 수 있다. 매쉬 형태는 외관(32)의 내면에 격자 형태의 망 구조물이 설치된 구조로 이해할 수 있다. 신터 구조는 외관(32)의 내면에 금속분말을 일정 두께로 피복소결한 구조로 이해할 수 있다.
작동유체는 외관(32) 내부에서 액체와 증기로 상변화되면서 빠른 속도로 열을 전달한다. 작동유체는 예를 들어 기화성이 우수한 프레온, 물, 암모니아, 나트륨 금속, 아세톤이나 실리콘 오일 등의 유기성 액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히트파이프(30)는 외관(32)의 내부에 내관(34)이 더 구비된다. 내관(34)은 외관(32) 내부에 배치되어 작동유체의 이동 통로를 이룬다. 이에, 본 실시예의 히트파이프(30)는 외관(32) 내부에서 작동유체가 두 개의 유로를 따라 분리 이동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34)은 축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내부가 빈 원형 단면 구조의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관(34)은 외관(32)의 단면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내관(34)은 내부로 작동유체가 이동되도록 양단이 개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내관(34)은 외관(32)과 동일하게 열전도율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내관(34)은 구리 등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관(34)은 외관(32)의 축방향 길이보다 짧아 외관(32)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유동되는 구조일 수 있다. 내관(34)의 외경 역시 외관(32)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내관(34)은 외관(32) 내부에서 자유롭게 유동가능하다. 이에, 본 실시예의 히트파이프(30) 제조시 외관(32) 내부에 내관(34)을 단순하게 삽입하여 히트파이프(30)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히트파이프(30)의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내관(34)의 축방향 길이는 외관(32) 내부에서 상하로 유동되어 내관(34) 선단과 외관(32) 내측 선단 사이에 틈새를 형성할 수 있는 정도면 충분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외관(32) 내부에 수용된 작동유체의 기화 과정에서 내관(34)이 작동유체에 의해 외관(32) 내부에서 유동된다. 이 과정에서 외관(32)과 내관(34)의 상하단 사이 틈새를 통해 작동유체가 내관(34) 내부로 순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히트파이프(30)는 외관(32) 내부에 내관(34)이 구비되어 작동유체가 이동되는 유로가 이중구조로 구성된다. 이에, 흡열부에서 액체상태로 상변화된 증기 상태의 작동유체는 내관(34) 하단을 통해 내측으로 유입되어 내관(34)을 통해 신속하게 응축부로 이동될 수 있다. 내관(34)을 따라 응축부로 이동된 작동유체는 내관(34) 상단을 통해 배출되어 응축되면서 액화되고, 내관(34)과 외관(32) 사이를 통해 응축부에서 증발부로 신속하게 복귀된다. 히트파이프(30) 내부에서 작동유체가 응축부와 증발부 사이에 이동하는 과정에서 서로 분리된 유로를 통해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에, 작동유체의 신속한 이동을 통해 열전달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저감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굴삭기 등을 이용하여 후크를 베이스판(12) 상단의 고리(52)에 걸어 본 장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장치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되면 삽입관(20) 하단이 야적탄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외력을 가함으로써, 각 방열기의 삽입관(20)을 야적탄 내부로 깊게 삽입시킬 수 있다.
삽입관(20)이 야적탄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본 장치가 구동되어 야적탄 내부의 고열을 신속하게 외부로 방열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야적탄 내부의 고열은 삽입관(20) 내부에 수용된 히트파이프(30)로 전달된다. 히트파이프(30)는 야적탄의 내부 고열을 신속하게 상부로 전달한다. 히트파이프(30)의 상부로 전달된 열은 방열판(40)을 통해 방열되어 제거된다. 방열판(40)에는 열전소자(42)가 설치되어 있어서, 열전소자(42)는 방열판(40)에 냉기를 가하게 된다. 이에, 히트파이프(30) 상부로 전달된 열이 방열판(40)으로 전달된 냉기와 열교환되면서 제거된다.
이와 같이, 야적탄 내부의 고열이 삽입관(20)에 수용된 히트파이프(30)를 통해 신속하게 상부로 이동되어 방열판(40)에서 열교환됨으로써, 야적탄 내부 온도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장치를 통해 야적탄 내부 고열을 방열하여 온도를 낮춤으로써, 야적탄의 자연발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 저감장치 12 : 베이스판
14 : 방열기 20 : 삽입관
22 : 연결관 24 : 콘부재
26 : 홀 28 : 팁부
30 : 히트파이프 32 : 외관
34 : 내관 40 : 방열판
42 : 열전소자 44 : 방열부
46 : 제어부 50 : 하우징
52 : 고리

Claims (9)

  1.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개의 방열기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기는 일측 선단이 야적물 내부로 삽입되어 야적물 내부의 열을 외부로 전달하는 열전달부, 상기 열전달부의 타측 선단에 설치되어 전달된 열을 냉각하는 냉각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부는 상기 열전달부 선단에 설치되는 방열판, 상기 방열판의 적어도 일면에 설치되어 방열판에 냉기를 가하는 열전소자, 상기 열전소자 외측면에 설치되어 열전소자를 방열하는 방열부, 및 상기 열전소자와 방열부에 연결되어 열전소자와 방열부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연탄 야적장 내부열 저감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 또는 냉각수가 유통되는 냉각자켓을 포함하는 유연탄 야적장 내부열 저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방열판을 감싸며 상기 베이스판 하부에 설치되어 외기가 유통되는 하우징, 및 상기 베이스판 상단에 설치되는 이동용 고리를 더 포함하는 유연탄 야적장 내부열 저감장치.
  5.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는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야적물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관, 및 상기 삽입관 내부에 수용되는 복수개의 히트파이프를 포함하는 유연탄 야적장 내부열 저감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 선단에 연결설치되고 표면에는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홀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유연탄 야적장 내부열 저감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에 설치되고 선단부는 끝으로 갈수록 뾰족한 구조의 콘부재를 더 포함하는 유연탄 야적장 내부열 저감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콘부재는 선단의 팁부를 포함하며, 상기 팁부는 콘부재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유연탄 야적장 내부열 저감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파이프는, 양단이 밀봉되고 내부 공간에 작동유체가 수용되며 양 단부가 각각 흡열부와 응축부를 이루는 외관, 및 상기 외관 내부에 자유롭게 유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외관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양단이 개방되어 작동유체가 이동되는 통로를 이루는 내관을 포함하는 유연탄 야적장 내부열 저감장치.
KR1020170112571A 2017-09-04 2017-09-04 유연탄 야적장 내부열 저감장치 KR101996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571A KR101996590B1 (ko) 2017-09-04 2017-09-04 유연탄 야적장 내부열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571A KR101996590B1 (ko) 2017-09-04 2017-09-04 유연탄 야적장 내부열 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168A KR20190026168A (ko) 2019-03-13
KR101996590B1 true KR101996590B1 (ko) 2019-07-04

Family

ID=65761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2571A KR101996590B1 (ko) 2017-09-04 2017-09-04 유연탄 야적장 내부열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5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61917B (zh) * 2023-04-28 2024-04-05 山东亚特尔集团股份有限公司 煤堆散热阻燃器及其选型设计方法和布设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55337A (ja) 2012-09-18 2012-12-27 Kume Sekkei:Kk 熱交換杭の設置方法
JP2015150520A (ja) 2014-02-17 2015-08-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不活性化処理装置
KR101659942B1 (ko) * 2016-04-08 2016-09-26 (주)대우건설 비대칭 격벽형 실내 저탄장용 자연발화 방지 장치
CN106787951A (zh) 2016-12-26 2017-05-31 中国矿业大学 一种新型热管煤田火区热能提取发电系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55337A (ja) 2012-09-18 2012-12-27 Kume Sekkei:Kk 熱交換杭の設置方法
JP2015150520A (ja) 2014-02-17 2015-08-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不活性化処理装置
KR101659942B1 (ko) * 2016-04-08 2016-09-26 (주)대우건설 비대칭 격벽형 실내 저탄장용 자연발화 방지 장치
CN106787951A (zh) 2016-12-26 2017-05-31 中国矿业大学 一种新型热管煤田火区热能提取发电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168A (ko) 201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0454B2 (en) Vapor chamber heat spreaders with engineered vapor and liquid flow paths
TW200643362A (en) Loop-type heat exchange apparatus
US20190331432A1 (en) Loop heat pipe having condensation segment partially filled with wick
US20180087843A1 (en) Heat pipe having a wick with a hybrid profile
US20060218926A1 (en) Fuel conveying member with heat pipe
KR101984859B1 (ko) 유연탄 야적장 내부열 저감장치
CN101876427A (zh) Led灯具散热装置
KR101996590B1 (ko) 유연탄 야적장 내부열 저감장치
CN101566748A (zh) 散热模组及采用该散热模组的背光模组
KR20100132212A (ko) 이중관 구조의 히트파이프
CN104329868A (zh) 半导体制冷冰箱及其冷端换热装置
KR102005339B1 (ko) 곡면 다공판을 구비한 열사이펀
KR20190082000A (ko) 바이패스 루프를 갖는 히트 파이프
JP2011142298A (ja) 沸騰冷却装置
KR100371388B1 (ko)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유니트 난방기
KR101570734B1 (ko) 얼음과 물의 잠열을 이용한 전력구 냉각시스템
CN104812206A (zh) 自力循环式均温散热装置
JP2008261589A (ja) ヒートパイプ式暖房装置
KR101466254B1 (ko) 핀형 히트 파이프모듈을 통한 터빈 복수기 폐열회수장치
KR101593892B1 (ko) 빙점 이하의 온도에서 작동 가능한 히트파이프 및 그를 포함하는 냉각시스템
JP2016133287A (ja) ループ型ヒートパイプ
KR20190081998A (ko) 축열 시스템
KR102219184B1 (ko) 3차원 환상형 히트싱크
KR101217075B1 (ko) 온도조절시스템
CN107741171B (zh) 一种散热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