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498B1 - 미술 치료를 위한 입체 색칠 교구 - Google Patents

미술 치료를 위한 입체 색칠 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498B1
KR101996498B1 KR1020180139592A KR20180139592A KR101996498B1 KR 101996498 B1 KR101996498 B1 KR 101996498B1 KR 1020180139592 A KR1020180139592 A KR 1020180139592A KR 20180139592 A KR20180139592 A KR 20180139592A KR 101996498 B1 KR101996498 B1 KR 101996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ing
polygonal
art therapy
guide lin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남지
Original Assignee
조남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남지 filed Critical 조남지
Priority to KR1020180139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4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09B11/10Teaching pai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면 형상을 포함하는 입체 모형으로서, 상기 곡면 형상은 다수의 폴리곤면이 상호 연결된 형태를 갖고, 상기 폴리곤면에 색칠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곡면 형상을 포함하는 입체 모형에 다수의 색칠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높일 수 있고, 치매환자들도 쉽게 색칠을 할 수 있어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미술 치료를 위한 입체 색칠 교구{A Solid Painting Figure For Art Therapy}
본 발명은 미술 치료를 위한 입체 색칠 교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곡면을 포함하는 입체 형상의 동물 또는 사물에 다수의 면 기반 색칠영역을 형성하여 고령자나 치매 노인들도 쉽게 색칠 치료를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미술 치료 효과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만다라(Mandala)의 문양 색칠하기 기법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색칠하기 미술치료 기법은 심리적, 정신적 상태의 진단과 치료에 널리 효과를 보고 있는 미술 치료 기법으로 입증되어 있다. 색칠하기 작업은 작업자의 정신을 집중하게 함으로써 자기를 돌아보며, 내면의 질서를 세우고 조화롭게 하며, 고유한 자신을 찾아나가는 도구로 알려져 왔다. 색칠하기 작업 동안 작업자의 내면이 표현된다는 사실만으로도 내면의 긴장이 완화되고 따라서 치유된다는 사실이 실험적으로 증명되었다.
색칠하기 작업은 불안, 죄책감, 무기력, 변덕, 악몽, 무관심, 그리고 여러 종류의 사회적 기피증 치료 및 심리 치료에 유용하며,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ADHD: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환자의 주의력을 향상시키고 충동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색칠하기 미술치료 기법은 사람의 심리가 반영된다. 예를 들면 적색이나 흑색은 초조, 불안, 폭력적 등의 감정을 시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러한 색채 심리의 관점은 심리 치료를 위해 활용되고 있다.
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0492호에는 임의의 색칠된 문양이 주어지면 요인을 분석하고 그에 해당되는 지식을 탐색하여 제공하는 방법과 프로그램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한국등록특허 제1000492호는 만다라 등의 무늬색상에 색칠을 하는 방식으로서, 아무런 의미를 가지지 않는 기하학모양에 착색하는 것이기 때문에 고령자나 치매 환자가 흥미를 가지고 임할 수 있는 색칠용 선그림 소재로서 적합하지 않다.
한편,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잘 알려진 자연 환경이나 동물, 사물 등이 그려진 도안에 색칠을 하도록 하는 교재들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잘 알려진 동물이나 사물이 그려진 색칠용 교구의 경우에는 그림을 그리는 사람이 이미 해당 그림에 적용되는 색상을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풍경화의 경우 사람은 하늘이나 바다는 파란색으로, 산은 녹색으로, 장미꽃은 빨간색으로 색칠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색칠을 통한 사람의 심리 치유에는 효과가 있으나 그 사람의 심리 상태나 감정 상태를 알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개념적으로 정해진 기본색이 존재하는 도안을 색칠용 선그림 도안으로서 채용하면, 대부분의 사람이 자신의 고정 개념에 영향을 받아 언제나 같은 색상을 선택해 바를 가능성이 높고 색칠용 선그림자의 심리 무늬가 색상으로서 표현되기 어렵기 때문에 색채 심리를 진단하기 위한 색칠용 선그림 소재로서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또한, 대부분의 색칠하기 미술치료 기법은 종이에 그려진 문양에 색칠을 하는 방식으로서 평면적 색칠작업만이 이루어져 쉽게 흥미가 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치료의 효과가 상대적으로 낮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0432542호에는 채색되지 않은 상태로 제작되는 입체 모형을 제공하여 유아가 색채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교구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입체 모형은 유아를 위해 만들어진 단순한 형상으로서 미술 치료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본 출원인은 치매 노인 치료를 위해 사용할 경우 치매 노인들은 색칠을 위한 구획이 정해져 있지 않은 입체 도형이 주어지면 색칠을 하지 못하는 사람이 상당히 많다는 중요한 사실을 알게 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0432542호 : 색채학습용 교구 한국등록특허 제1000492호 : 미술치료의 문양 색칠 분석에 따른 심리 증상 진단 장치,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일본등록특허 제5996144호 : 색칠용 선그림 색채 심리 진단 시스템, 색칠용 선그림 색채 심리 진단 방법 및 색칠용 선그림 색채 심리 진단 프로그램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심리 치유나 치료가 필요한 대상자 특히, 고령자나 치매 노인들이 쉽게 색칠 치료를 수행할 수 있고, 치료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색칠 교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측면에 따르면,
곡면 형상을 포함하는 입체 모형으로서, 상기 곡면 형상은 다수의 폴리곤면이 상호 연결된 형태를 갖고, 상기 폴리곤면에 색칠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 치료용 색칠 교구가 제공된다.
상기 폴리곤면 간 경계선 영역에는 일정 폭을 갖는 가이드라인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라인부는 상광하협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곤면은 상기 가이드라인부에 인접한 부분에서 내측으로 구배면이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이웃한 상기 폴리곤면들은 각각 서로 다른 표면 조도를 갖도록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라인부의 상면은 다수의 다공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기술될 본 발명에 따르면, 곡면 형상을 포함하는 입체 모형에 다수의 색칠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높일 수 있고, 치매환자들도 쉽게 색칠을 할 수 있어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술 치료를 위한 입체 색칠 교구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폴리곤면 간에 형성된 가이드라인부를 확대 도시한 그림이다.
도 3은 가이드라인부의 단면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라인부의 단면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실시예의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인접한 폴리곤면 간에 표면 조도가 다르게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표면에 다공이 형성된 가이드라인부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술 치료를 위한 입체 색칠 교구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폴리곤면 간에 형성된 가이드라인부를 확대 도시한 그림, 도 3은 가이드라인부의 단면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입체 색칠 교구(1)는 동물의 형상으로 제작된 사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인체, 동물, 식물, 사물 등 입체를 갖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본 발명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대부분의 생물이나 사물들은 다수의 곡면을 갖는 복잡한 형태를 이루고 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곡면들을 다수의 폴리곤면(10)으로 분할하여 형성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다수의 폴리곤면(10)은 색칠 미술 치료를 위한 색칠 면이 될 수 있다.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은 다수의 실험을 통해 평면적인 색칠 작업보다 입체 모형에 색칠을 하는 것이 심리 치료나 치매 치료 등에 있어 훨씬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일반 심리 치료에서는 큰 문제가 없으나 고령의 치매 환자들은 단순 입체 도형이 주어졌을 때 어떻게 색칠을 할 것인지를 결정하지 못하여 미술 치료가 제대로 진행이 되지 못하는 것을 경험하였다.
이에 출원인은 입체 모형의 곡면들을 다수의 폴리곤면(10)으로 분할하였고, 이러한 경우 고령의 치매환자도 색칠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놀라운 사실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과 같은 폴리곤면(10)의 분할은 또 다른 이점들을 갖는다. 이는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람들은 자신이 이미 그 색상을 알고 있는 사물의 경우 본인이 알고 있는 색상을 색칠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대상자가 사용한 색상을 통해 그 사람의 심리 상태를 알아내는 것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모형에 다수의 폴리곤면(10)을 형성함으로써 대상자는 대상에 대한 사전 지식에 구속되지 않고 자유롭게 각 폴리곤면(10)에 원하는 색상을 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대상자들에게 익숙한 생물이나 사물을 대상으로 하므로 흥미를 잃지 않고 작업을 할 수 있으며, 다수의 색칠 면이 존재하므로 미술 치료 동안 상당한 끈기와 집중을 요하여 단순 평면 색칠 작업에 비해 치료 효과가 매우 높을 수밖에 없다.
또한, 매우 많은 색칠 면에 입혀지는 색상들을 분석하면 보다 정확한 심리 진단이 가능하게 된다.
고령의 치매 노인들은 일반인에 비해 정확한 색칠 작업이 쉽지 않아 본 발명과 같이 다수의 폴리곤면(10)을 형성하는 경우 색칠 면이 넓지 않고 이웃한 폴리곤면(10)과의 경계선이 많아 해당 폴리곤면(10)에 칠한 물감이 이웃한 폴리곤면(10)에 칠해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곤면(10) 간 경계선 영역에 일정 폭을 갖는 가이드라인부(20)가 돌출 형성되도록 하였다. 가이드라인부(20)는 상면(21)과 측벽(22)을 갖는 구조로 형성된다. 대상자들이 붓으로 어느 한 폴리곤면(10-1)의 가장자리 부분을 색칠을 할 때 붓이 가이드라인부(20)에 걸려 인접한 폴리곤면(10-2)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라인부(20)의 단면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실시예는 가이드라인부(20)는 상광하협(上廣下狹)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즉, 가이드라인부(20)의 측벽(22)이 하방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도 4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붓(B)이 폴리곤면(10-1)의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할 때 붓(B)이 인접한 폴리곤면(10-2)과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붓(B)이 인접한 폴리곤면(10-2)로 넘어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4의 실시예의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실시예는 가이드라인부(20)를 상광하협 단면 형상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폴리곤면(20) 중에서 가이드라인부(20)에 인접한 부분에 내측으로 구배면(11)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도 5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붓(B)이 폴리곤면(10-1)의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할 때 붓(B)이 구배면(11)을 따라 자연스럽게 가이드라인부(20)의 측벽(22)에 자연스럽게 인입되면서 붓(B)의 선단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붓(B)이 인접한 폴리곤면(10-2)로 넘어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인접한 폴리곤면 간에 표면 조도가 다르게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폴리곤 면들에 각기 다른 표면 조도를 갖도록 형성하면 사용자들이 붓질을 할 때 다른 촉감을 느낄 수 있어 지루함을 방지하고 흥미감을 높일 수 있다.
도 7은 표면에 다공이 형성된 가이드라인부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의 실시예는 가이드라인부(20)의 표면에 다공(多孔)을 형성하여 사용자들이 폴리곤면(20)을 색칠할 때 붓(B)이 가이드라인부(20)의 상면(21)으로 넘어온 경우 물감이 다공을 통해 흡수되어 가이드라이부(20)의 표면에 물감이 최대한 인식되지 않도록 하여 작품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가이드라인부(20)의 표면에 다공(多孔)을 형성하는 방법은 바인더에 다양한 종류 또는 다양한 크기의 필러나 실리카 입자를 혼합하여 코팅하여 코팅층에 수많은 공극을 형성하는 마이크로 포러스 코팅(Microporous Coating)을 하거나, 가이드라인부의 상면(21)의 표면에 물리적인 다수의 미세홀을 가공하는 방법, 다공성 수지를 재료로 이용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색칠 입체 모형 10 : 폴리곤면
11 : 구배면 20 : 가이드라인부
21 : 가이드라인부 상면 22 : 가이드라인부 측벽

Claims (6)

  1. 곡면 형상을 포함하는 입체 모형으로서,
    상기 곡면 형상은 다수의 폴리곤면이 상호 연결된 형태를 갖되,
    상기 폴리곤면은, 상기 입체 모형이 제작된 후에, 미술 치료를 위한 색칠작업을 위한 색칠면으로 사용되고,
    상기 폴리곤면 간 경계선 영역에는 일정 폭을 갖고 상광하협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면에 다수의 다공을 갖는 가이드라인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라인부에 인접한 부분에서 내측으로 구배면이 형성되며,
    이웃한 상기 폴리곤면들은 각각 서로 다른 표면 조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 치료용 색칠 교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139592A 2018-11-14 2018-11-14 미술 치료를 위한 입체 색칠 교구 KR101996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592A KR101996498B1 (ko) 2018-11-14 2018-11-14 미술 치료를 위한 입체 색칠 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592A KR101996498B1 (ko) 2018-11-14 2018-11-14 미술 치료를 위한 입체 색칠 교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6498B1 true KR101996498B1 (ko) 2019-07-04

Family

ID=67259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592A KR101996498B1 (ko) 2018-11-14 2018-11-14 미술 치료를 위한 입체 색칠 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49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010A (ko) 2020-01-15 2021-07-2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지향상 픽셀아트 지압판
KR102322041B1 (ko) 2021-04-27 2021-11-04 주식회사 꿈꾸는사람들 채색교습기구
KR20220148486A (ko) 2021-04-29 2022-11-07 주식회사 아트플라이 입체 미술 교구
KR20230070635A (ko) 2021-11-15 2023-05-23 김영식 네모게임용 미술 연습교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6144A (ja) 1982-11-26 1984-06-02 Yokohama Rubber Co Ltd:The 導電ゴム組成物
JP3034650U (ja) * 1996-07-15 1997-02-25 俊六 浜島 立体の塗り絵及び容易に分離できるモデル群
KR100432542B1 (ko) 2002-02-05 2004-05-27 이해석 색채학습용 교구
KR100897910B1 (ko) * 2007-09-13 2009-05-18 이원구 어린이용 감각놀이 세트
KR101000492B1 (ko) 2008-01-29 2010-12-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술치료의 문양 색칠 분석에 따른 심리 증상 진단 장치,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2015142689A (ja) * 2014-01-31 2015-08-06 独立行政法人国立高等専門学校機構 帽子型被り面及び帽子型被り面の装飾システム
KR20180002651U (ko) * 2017-02-14 2018-09-06 정찬회 색칠 팔레트 교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6144A (ja) 1982-11-26 1984-06-02 Yokohama Rubber Co Ltd:The 導電ゴム組成物
JP3034650U (ja) * 1996-07-15 1997-02-25 俊六 浜島 立体の塗り絵及び容易に分離できるモデル群
KR100432542B1 (ko) 2002-02-05 2004-05-27 이해석 색채학습용 교구
KR100897910B1 (ko) * 2007-09-13 2009-05-18 이원구 어린이용 감각놀이 세트
KR101000492B1 (ko) 2008-01-29 2010-12-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술치료의 문양 색칠 분석에 따른 심리 증상 진단 장치,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2015142689A (ja) * 2014-01-31 2015-08-06 独立行政法人国立高等専門学校機構 帽子型被り面及び帽子型被り面の装飾システム
KR20180002651U (ko) * 2017-02-14 2018-09-06 정찬회 색칠 팔레트 교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010A (ko) 2020-01-15 2021-07-2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지향상 픽셀아트 지압판
KR102322041B1 (ko) 2021-04-27 2021-11-04 주식회사 꿈꾸는사람들 채색교습기구
KR20220148486A (ko) 2021-04-29 2022-11-07 주식회사 아트플라이 입체 미술 교구
KR20230070635A (ko) 2021-11-15 2023-05-23 김영식 네모게임용 미술 연습교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498B1 (ko) 미술 치료를 위한 입체 색칠 교구
DE60236127D1 (d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mindestens einem Bild von mindestens einem Gesichtsteil oder den Haaren einer Person
Roberts Complexity and aesthetic preference for diverse visual stimuli
Trombin Working with fractals: a resource for practitioners of biophilic design
Kuhlewind et al. Stages of Consciousness: Meditations on the Boundaries of the Soul
Weiss Cézanne’s Technique and Scoptophilia
Schawelka Wilhelm Ostwald’s „Harmony of Colours “(1918) and Its Mixed Reception-a Reassessment
Reissenweber The use of modified block designs in the evaluation and training of the brain-injured.
Durão Colour in the built environment
Akishina et al. Decorative Effect in the Solution of Children's Drawings on Historical Topics
Bathje A mosaic of creativity in occupational therapy
Tononi Ernst Gombrich and the concept of ‘ill-defined area’: perception and filling-in
McConachie The Staging of the Mystère d'Adam
Gorini Geometry for the Artist: An Interdisciplinary Consciousness-Based Course
Pounders Her “Symbols of the Desert”:: An Emerging Alchemical Impression in the Bone Paintings of Georgia O’Keeffe
Bottoli et al. Colours for SLAncio. Project of the scene for a service and care facility in Monza
Vañó et al. The Role of Curvature in Preference for Visual Artworks
McCloskey The Third Moment—The Form of Finality
Nadal Roberts Complexity and aesthetic preference for diverse visual stimuli
Geary A Defence of the Study of Visual Perception in art
Winfield Painting as Paradigmatic Graphic Fine Art
Hiiop et al. The Story of the Altarpiece of St Peter’s Church in Kõpu
Jacobi Mimesis, Materiality and The Shadow of Death
Cohen Art with heart in a transitional space
Biggs Polemics:'AN HONOURABLE OCCUP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