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224B1 - 버튼식 기표도구 및 버튼식 기표 세트 - Google Patents

버튼식 기표도구 및 버튼식 기표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224B1
KR101996224B1 KR1020180018673A KR20180018673A KR101996224B1 KR 101996224 B1 KR101996224 B1 KR 101996224B1 KR 1020180018673 A KR1020180018673 A KR 1020180018673A KR 20180018673 A KR20180018673 A KR 20180018673A KR 101996224 B1 KR101996224 B1 KR 101996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stamp
tool
type
type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학
박용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피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피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피앤에스
Priority to KR1020180018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2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3/00Voting apparatus
    • G07C13/005Voting apparatus operating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003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36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튼식 기표도구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몸체; 몸체의 내부 중앙 부분에 설치되며 하면에는 표식이 표시된 스탬프; 하부에 스탬프의 상부가 연결된 상태에서 몸체의 상부측에 설치되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버튼; 및 스탬프의 상하방향 이동동작을 위해 몸체의 내측에 마련된 수용공간에 스탬프와 버튼이 상호 탄력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가동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버튼식 기표도구 및 버튼식 기표 세트{Stamp for voting}
이 발명은 버튼식 기표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식이 설치된 몸체와 표식의 상하방향 이동을 위한 버튼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육안으로 스탬프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보다 안정되게 기표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식 기표도구에 관한 것이다.
선거 또는 어떤 안건을 결정하기 위한 투표에서는 투표용지에 의사표시를 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투표용지에 의사표시를 하는 과정에서는 부정투표 방지를 위해서 사전에 정해진 기표도구가 사용되는데, 대부분의 기표도구는 사람이 펜을 잡듯이 쥘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지는 한편 그 하단에는 해당 투표에서 공식적으로 정해진 표식이 표시되어 있다.
그런데 손의 사용이 불가능하거나 불편한 장애인의 경우는 손으로 기표도구를 펜처럼 쥘 수 없기 때문에 보조자의 도움을 받거나 특수하게 제작된 기표도구를 사용하여 투표에 참여하게 된다.
한편, 이 발명의 출원인은 손의 사용이 불편한 장애인의 투표가 가능하도록 팔에 기표용구를 결속시킨 후 기표할 수 있도록 하는 장애인용 기표용구를 개발한 바 있다. 예의 기표용구는 기표도장이 팔에 결속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결속 밴드를 사용됨에 따라서 손의 사용이 불편한 경우라도 어느 정도 수준의 투표는 가능하도록 해줄 수 있었다.
그러나 인간의 팔은 손과는 달리 정밀한 움직임이나 방향조절의 측면에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예의 기표용구를 사용하여 기표를 하는 과정에서 투표용지의 정확한 부분에 날인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무효표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게 된다.
또한, 거동이 자연스럽지 못할 정도로 연로한 사람들은 펜 형태의 기표도구를 사용하여 투표하는 과정에서 손을 떨게 되는 등 안정되게 기표하지 못함에 따라 무효표로 처리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곤 한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1775384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1647003호
이 발명은 표식이 설치된 몸체와 스탬프가 동작하도록 하는 버튼이 모두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일반 투표자, 거동이 불편한 투표자, 손의 사용이 불편한 투표자 등이 기표를 하는 과정에서 손이나 다를 신체 부분을 이용하여 기표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식 기표도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발명은 투표자가 기표에 의해 투표용지에 표식이 안정되고 일정한 품질로 표시되어 무효표 또는 미분류표 등의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버튼식 기표도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투명한 재질로 몸체와 버튼이 구성된 기표도구를 사용하여 기표를 하는 과정에서 투표용지가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플레이트가 함께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버튼식 기표 세트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튼식 기표도구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몸체; 몸체의 내부 중앙 부분에 설치되며 하면에는 표식이 표시된 스탬프; 하부에 스탬프의 상부가 연결된 상태에서 몸체의 상부측에 설치되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버튼; 및 스탬프의 상하방향 이동동작을 위해 몸체의 내측에 마련된 수용공간에 스탬프와 버튼이 상호 탄력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가동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튼식 기표도구에서 몸체의 저면은 테두리에 비하여 상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스탬프의 하단은 몸체의 저면 테두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튼식 기표도구에서 버튼은 상면과 하면이 볼록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튼식 기표도구에서 몸체에는 스탬프의 하단부를 확대하는 확대경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튼식 기표 세트에서 투명한 몸체의 내부에 스탬프가 설치되는 한편 몸체의 상부에는 스탬프의 상하방향 동작을 조정하는 투명한 버튼이 설치된 버튼식 기표도구; 및 한쪽 측면에는 투표용지를 수용을 위한 슬롯이 마련되며, 슬롯에 끼워진 투표용지의 기표란에 대응하는 위치상에 가이드 레일이 마련되며, 가이드 레일에는 버튼식 기표도구가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버튼식 기표 세트에서 버튼식 기표도구의 외측 표면에는 가이드 레일과의 조립을 위한 레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버튼식 기표 세트에서 가이드 플레이트의 측면에는 슬롯이 마련되도록 베이스와 커버가 일정 간격을 두고 체결 조립되되 커버는 투명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출원에 따른 버튼식 기표도구는 투표용지 위에 몸체 저면의 테두리가 밀착이 된 상태에서 기표를 위한 버튼이 눌려지게 되고 고정된 각도에서 스탬프의 표식이 안정되게 찍혀 좋은 날인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다.
이 출원에 따른 버튼식 기표도구는 기표란의 위치로 위치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몸체와 버튼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서 스탬프 하단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이 출원에 따른 버튼식 기표도구는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나 손의 사용이 불편한 사람들이 사용하는 과정에서는 팔, 다리, 입, 혀, 턱 등 신체를 사용하여 기표를 하더라도 안정된 기표가 가능하여 무효표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다.
나아가 이 출원에 따른 버튼식 기표도구가 가이드 레일이 구비된 가이드 플레이트와 함께 사용될 경우는 더 안정되고 더 정확한 위치에 기표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이 출원에 따른 버튼식 기표도구의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이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버튼식 기표도구의 단면도.
도 3은 이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버튼식 기표도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이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기표도구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이 출원에 따른 버튼식 기표도구가 사용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 및 도 7은 이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8은 이 출원에 따른 버튼식 기표도구의 또 다른 실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9 내지 11은 이 출원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튼식 기표 세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 출원에 따른 버튼식 기표도구 및 버튼식 기표 세트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이 출원에 따른 버튼식 기표도구의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이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버튼식 기표도구의 단면도, 도 3은 이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버튼식 기표도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이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기표도구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00은 이 출원에 따른 버튼식 기표도구를 지시하는 것이며, 도면부호 300은 투표용지를 지시하는 것이다.
이 출원에 따른 버튼식 기표도구(100)는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몸체(110), 몸체(110)의 내부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며 하면에는 표식(140)이 표시된 스탬프(130), 스탬프(130)의 상부가 하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버튼(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버튼식 기표도구(100)에는 몸체(110)의 상부에 설치된 버튼(150)을 사용자가 눌렀을 경우에 스탬프(130)의 표식이 하강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가동수단(160)이 포함될 수 있다. 가동수단(160)은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스프링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프링이 적용될 때에는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서 구성요소들이 이탈하지 않도록 이탈방지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버튼식 기표도구(100)의 몸체(110)와 버튼(150)은 투명 아크릴을 포함한 투명한 재질로 성형이 되거나 가공이 되어 이루어짐에 따라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몸체(110) 내부에 조립된 스탬프(130)의 외형이 육안으로 확인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투표용지(300)에 버튼식 기표도구(100)를 올려놓았을 때에는 버튼(150)과 몸체(110)를 통해 스탬프(130)의 하단이 기표란(310)에 위치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몸체(110)의 저면(112)은 저면 테두리(112a)에 비하여 상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한, 스탬프(130)의 하단은 몸체(110)의 저면 테두리(112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놓이게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식 기표도구(100)를 투표용지(300)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어느 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키더라도 스탬프(130)의 하단이 투표용지(300)에 닿지 않게 된다. 특히, 이 출원에 따른 버튼식 기표도구(100)는 손의 사용이 불편한 사람이 투표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투표용지(300)에 버튼식 기표도구(310)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팔이나 머리 등의 신체를 사용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다시 머리 등의 신체를 사용하여 버튼(150)을 눌러 기표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기 무효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스탬프(130)의 하단은 저면 테두리(112a)에 비하여 높은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출원에 따른 버튼식 기표도구(100)에서 버튼(150)은 사용자가 스탬프(130)에 마련된 표식(140)이 하강 동작하도록 누르기 위한 것으로, 스프링을 포함한 가동수단(160)을 매개로 몸체(110)의 내부에 일정 구간이 수용되나 나머지 구간은 상부로 노출이 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스탬프(130)는 내부 케이스(132)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표식(140)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표식(140)에 공급되는 잉크가 보관되는 잉크 케이스(142)가 내부 케이스(132)의 상부에 마련된다. 도 2에 도시된 스탬프(130)의 구성은 이 출원에 따른 버튼식 기표도구(100)가 적용되는 한 예에 불과한 것으로, 기표를 위한 스탬프의 구성이라면 일부 세부적인 구성을 달리하더라도 이 출원에 따른 스탬프(130)의 구성에 포함될 것이다.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투표용지(300) 상에 이 출원에 따른 버튼식 기표도구(10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화살표의 방향으로 버튼(150)을 누르게 되면 몸체(110) 내에서 스탬프(130)가 고정된 각도에서 하강하는 가운데 투표용지에는 표식(140)의 표식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이 출원에 따른 버튼식 기표도구가 사용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버튼식 기표도구(100)는 분실방지 스트랩(172)이 스탬프 플레이트(170)와 연결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이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들이다. 도 6은 버튼(150)의 상면과 하면이 볼록한 구조로 이루어진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몸체(110)의 하부 또는 도중에 별도의 확대경(180)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버튼(150)을 돋보기 구조로 하게 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기표하는 과정에서 기표란의 위치를 보다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8은 이 출원에 따른 버튼식 기표도구(100)의 또 다른 실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버튼식 기표도구(100)의 몸체(110)는 사각형, 원통형 등 그 높이가 가로의 길이 및 세로의 길이와 비슷한 사이즈로 안정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 내지 10은 이 출원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튼식 기표 세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부호 200은 버튼식 기표 세트를 지시하는 것이다.
버튼식 기표 세트(10)는 전술한 버튼식 기표도구(100)가 조립되는 가이드 플레이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튼식 기표 세트(10)에 적용되는 버튼식 기표도구(100)에 대한 구성은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서 전술한 구성으로 대신한다.
버튼식 기표 세트(10)의 가이드 플레이트(200)는 도 9 및 도 1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한쪽 측면에는 투표용지(300)를 끼워 넣기 위한 슬롯(230)이 형성되는데, 이 슬롯(230)은 베이스(210) 상에 커버(22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베이스(210)와 커버(220) 사이에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간격유지수단(232)이 마련된다.
한편, 전술한 슬롯(230)을 통해 끼워진 투표용지(300)의 기표란(310)들이 대응하는 위치에는 가이드 레일(240)이 마련되고, 이 가이드 레일(240)에 전술한 버튼식 기표도구(100)가 조립된다. 가이드 레일(240)에 조립될 수 있도록 버튼식 기표도구(100)의 외측 표면 상에는 레일홈(190,192)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1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투표용지(300)를 슬롯(230)을 통해 끼워 정해진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버튼식 기표도구(100)의 위치를 조정하고, 버튼식 기표도구(100)의 몸체(110) 및 버튼(150)을 통해 원하는 기표란(310)의 위치에 스탬프(130)의 하단이 위치된 것을 확인하면서 버튼(150)을 누르게 된다. 이때, 버튼식 기표도구(100)의 몸체(110) 및 버튼(150)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스탬프(130)의 하단 위치가 본인이 원하는 기표란(310) 상에 위치된 상태인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버튼식 기표 세트(10)는 일반인뿐만 아니라 손의 사용이 불편한 사람, 연로하여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기표 과정에서 사용하더라도 날인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즉, 투표용지(300) 상에 버튼식 기표도구(100)의 몸체 저면 테두리가 밀착된 상태에서 스탬프(130)의 표식이 투표용지의 기표란에 닿게 되면서 표식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는 등의 상황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기존의 펜 형태의 기표도구를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펜 형태의 기표도구를 잡은 방식의 차이(손에 가하는 힘 또는 기표도구를 쥔 각도 등)에 따라서 날인 품질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었으나 이 발명에 따른 버튼식 기표도구(100)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노인, 손의 사용은 불편한 사람들의 경우는 손을 대신하여 팔, 다리, 입, 혀, 턱 등의 신체 일부를 사용하여 스스로 기표할 수 있으며, 기표 과정에서의 실수로 인하여 무효표가 발생하게 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물론, 거동이 불편한 노인, 손의 사용의 불편한 투표자가 기표하는 과정에서 손 또는 다른 신체 부위를 사용하여 버튼을 누르는 과정에서는 버튼의 상부중앙에 집중되기 어려우나 이 출원에 따른 버튼식 기표도구(100)의 경우에는 버튼(150)이 눌러지면 몸체(110) 내에서 스탬프(130)가 하강 동작하여 날인이 됨으로서 균일한날인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기표도구의 여러 실시 예를 설명하였다. 이러한 여러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한정 해석해서는 아니 된다.
100 : 버튼식 기표도구 110 : 몸체
112a : 저면 테두리 130 : 스탬프
132 : 내부 케이스 140 : 표식
142 : 잉크 케이스 150 : 버튼
160 : 가동수단 170 : 스탬프 플레이트
180 : 확대경 190, 192 : 레일홈
200 : 가이드 플레이트 210 : 베이스
220 : 커버 230 : 슬롯
240 : 가이드 레일 300 : 투표용지

Claims (7)

  1. 투명한 몸체의 내부에 스탬프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스탬프의 상하방향 동작을 조정하는 투명한 버튼이 설치된 버튼식 기표도구; 및
    투표용지 수용을 위한 슬롯이 마련되며, 상기 슬롯에 끼워진 상기 투표용지의 기표란에 대응하는 위치상에 가이드 레일이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상기 버튼식 기표도구가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기표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식 기표도구의 상기 몸체의 저면은 테두리에 비하여 상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스탬프의 하단은 상기 몸체의 저면 테두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기표 세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면과 하면이 볼록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기표 세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식 기표도구의 상기 몸체에는 상기 스탬프의 하단부를 확대하는 확대경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기표 세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식 기표도구의 상기 몸체의 내측에는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기 스탬프와 상기 버튼이 상호 탄력지지되도록 가동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기표 세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식 기표도구의 외측 표면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과의 조립을 위한 레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기표 세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측면에는 상기 슬롯이 마련되도록 베이스와 커버가 일정 간격을 두고 체결 조립되되 상기 커버는 투명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기표 세트.
KR1020180018673A 2018-02-14 2018-02-14 버튼식 기표도구 및 버튼식 기표 세트 KR101996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673A KR101996224B1 (ko) 2018-02-14 2018-02-14 버튼식 기표도구 및 버튼식 기표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673A KR101996224B1 (ko) 2018-02-14 2018-02-14 버튼식 기표도구 및 버튼식 기표 세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488A Division KR102074693B1 (ko) 2019-04-22 2019-04-22 버튼식 기표도구 및 버튼식 기표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6224B1 true KR101996224B1 (ko) 2019-07-04

Family

ID=67259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673A KR101996224B1 (ko) 2018-02-14 2018-02-14 버튼식 기표도구 및 버튼식 기표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22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854U (ja) * 1992-09-25 1994-04-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スタンプ装置
KR101647003B1 (ko) 2015-12-23 2016-08-10 주식회사 그린 피앤에스 장애인용 기표용구
KR101775384B1 (ko) 2016-07-15 2017-09-06 주식회사 그린 피앤에스 장애인용 기표용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854U (ja) * 1992-09-25 1994-04-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スタンプ装置
KR101647003B1 (ko) 2015-12-23 2016-08-10 주식회사 그린 피앤에스 장애인용 기표용구
KR101775384B1 (ko) 2016-07-15 2017-09-06 주식회사 그린 피앤에스 장애인용 기표용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장애인 투표 쉬워진다. 1층에 임시기표소 마련(KTV 방송자료, http://www.ktv.go.kr/news/ministry/c004007/view?content_id=536124, 2017.05.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04603A1 (en) Punch device
EP2490902B1 (en) A drawing device for creating mandala
KR101996224B1 (ko) 버튼식 기표도구 및 버튼식 기표 세트
AU2002353179A1 (en) Embossing system
WO2016135358A1 (es) Dispositivo de trazado y pintado de dibujos en relieve para ciegos y personas con dificultad motora manual
KR102074693B1 (ko) 버튼식 기표도구 및 버튼식 기표 세트
KR101775384B1 (ko) 장애인용 기표용구
KR101647003B1 (ko) 장애인용 기표용구
US11373549B2 (en) Braille writing device
US6453573B1 (en) Rubber stamp positioning device
KR101876288B1 (ko) 투표용 기표용구
US4687390A (en) Engrav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bearing and pattern
US4415326A (en) Tactile sensibility testing equipment
KR101887746B1 (ko) 장애인을 위한 투표로봇
JP3148067U (ja) 眉書定規
JP3185339U (ja) 鍵盤楽器練習用補助具
US4504841A (en) Marking device
WO2024084944A1 (ja) 入力デバイス
WO2024084945A1 (ja) 入力デバイス及び操作ボタン
WO2024084946A1 (ja) 入力デバイス及び操作ボタン
JP7016194B1 (ja) しわ形成具
JP2011171267A (ja) シートスイッチ
KR20170110280A (ko) 기표 보조용구
JP2007304513A (ja) 点字打刻用受体、点字打刻具、及び製品打抜装置
JP2004318569A (ja) 情報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