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178B1 - 과유량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과유량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178B1
KR101996178B1 KR1020180083095A KR20180083095A KR101996178B1 KR 101996178 B1 KR101996178 B1 KR 101996178B1 KR 1020180083095 A KR1020180083095 A KR 1020180083095A KR 20180083095 A KR20180083095 A KR 20180083095A KR 101996178 B1 KR101996178 B1 KR 101996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ipes
power generating
generating unit
shi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윤
유일용
김민희
이동혁
하상준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3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1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9/00Emergency protection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reactor, e.g. safety valves provided with pressure equalisation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tructure Of Emergency Protection For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상이한 설계 압력을 가지는 배관계통 간의 격리장치에 고장이 발생된 경우 압력차에 의해 발생하는 과유량을 차단할 수 있는 과유량 차단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원전 환경에서 서로 상이한 설계압력을 가지는 제1 및 제2 배관 사이에 배치되는 과유량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배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배관 사이의 유체 흐름이 증가할 때에 상기 증가된 유체 흐름을 기반으로 회전 운동하는 동력발생유닛 및 상기 동력발생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동력발생유닛의 회전력을 기반으로 선형 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배관 사이를 차단하는 차폐유닛을 포함한다. 설계압력이 상이한 두 계통 간의 격리장치에 고장이 발생될 경우에도 별도의 운전원 조치 및 전력 사용없이 두 계통 간을 차단하여 냉각재 상실 및 노심 손상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과유량 차단장치{OVERFLOW SHUT OFF APPARATUS}
본 발명은 과유량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자로 배관내 설치되는 과유량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압경수형 원전의 원자로냉각재계통(RCS: Reactor Coolant System)은 높은 고압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다. 다만, 원자로냉각재계통과 연결된 부가적인 계통 중에는 이러한 고압에서 작동되도록 설계되지 않은 부가 계통이 존재한다. 이에, 원자로냉각재계통과 부가 계통 사이에는 차단장치 및 압력강하장치 등과 같은 격리장치가 설치된다.
그러나 설계압력이 다른 두 배관계통 간의 격리장치에 고장이 발생되면, 상대적으로 낮은 설계압력을 가지는 배관계통에 높은 압력이 작용하고 유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조건에서 두 배관계통을 차단하는 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설계압력의 초과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상대적으로 낮은 설계압력을 가지는 배관계통에 파단이 발생되고, 원자로냉각재의 상실이 발생되어 노심손상 및 중대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064878호(유량조절이 가능한 이중 체크밸브, 2017.06.12.)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상이한 설계 압력을 가지는 배관계통 간의 격리장치에 고장이 발생된 경우 압력차에 의해 발생하는 과유량을 차단할 수 있는 과유량 차단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과유량 차단장치는 원전 환경에서 서로 상이한 설계압력을 가지는 제1 및 제2 배관 사이에 배치되는 과유량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배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배관 사이의 유체 흐름이 증가할 때에 상기 증가된 유체 흐름을 기반으로 회전 운동하는 동력발생유닛 및 상기 동력발생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동력발생유닛의 회전력을 기반으로 선형 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배관 사이를 차단하는 차폐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과유량 차단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배관이 각각 연통되는 게이트를 포함하며, 내부에 상기 동력발생유닛과 상기 차폐유닛의 설치 공간을 형성하고, 내부 높이가 상기 제1 및 제2 배관의 내부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배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발생유닛은 상기 유체 흐름에 교차하는 상기 배관유닛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배관유닛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지지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배관 사이의 유체 흐름이 증가할 때에 회동되며 상기 회전축이 축 회전되도록 하는 상기 구동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축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제1 동력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플레이트는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상부가 상기 회전축에 지지되어 하측에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유로의 크기보다 큰 유체의 흐름이 발생될 때에 상기 유체의 흐름을 기반으로 하단이 상승하며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동력 전달부는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동력발생유닛과 상기 게이트 사이에서 상기 배관유닛의 상부벽을 관통하여 상기 배관유닛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승강축과, 상기 게이트 상측에서 상기 승강축에 연결되는 차폐 플레이트와, 상기 동력발생유닛과 상기 차폐 플레이트를 연결하여 상기 동력발생유닛이 회전 운동할 때에 상기 차폐 플레이트가 하강되도록 하는 상기 제2 동력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동력 전달부는 상기 동력발생유닛에 마주하는 상기 차폐 플레이트의 일면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관유닛의 측벽에는 상기 차폐 플레이트의 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과유량 차단장치는 상호 연결된 제1 및 제2 배관 사이에 배치되는 과유량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배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배관 사이의 유체 흐름이 증가할 때에 상기 증가된 유체 흐름을 기반으로 회전 운동하는 동력발생유닛 및 상기 동력발생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동력발생유닛의 회전력을 기반으로 선형 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배관 사이를 차단하는 차폐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유량 차단장치는 설계압력이 상이한 두 계통 간의 격리장치에 고장이 발생될 경우에도 별도의 운전원 조치 및 전력 사용없이 두 계통 간을 차단하여 냉각재 상실 및 노심 손상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유량 차단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유량 차단장치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유량 차단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유량 차단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과유량 차단장치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 요소를 의미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유량 차단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유량 차단장치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유량 차단장치(100, 이하, 차단장치라 칭한다.)는 상이한 설계 압력을 가지는 제1 및 제2 배관(11, 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배관(11, 12)은 유체 흐름에 교차하는 단면이 사각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배관(11, 12) 사이에 배치되는 차단장치(100)는 격리장치(미도시)에 고장이 발생된 경우에 제1 및 제2 배관(11, 12) 사이를 차단하여 과유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차단장치(100)는 배관유닛(110), 동력발생유닛(130) 및 차폐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배관유닛(110)은 제1 및 제2 배관(11, 12) 사이에 위치하며, 함체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배관유닛(110)의 전단과 후단에는 각각의 하부영역에 제1 및 제2 배관(11, 12)이 연통되는 게이트(G)가 형성되어, 제1 및 제2 배관(11, 12)이 상호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동력발생유닛(130)은 배관유닛(110) 내부에 배치된다. 동력발생유닛(130)은 유체 흐름에 따른 유로 저항을 기반으로 동력을 발생시켜, 발생된 동력에 따라 차폐유닛(150)이 제1 및 제2 배관(11, 12) 사이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동력발생유닛(130)은 회전축(131), 구동 플레이트(132) 및 제1 동력 전달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회전축(131)은 외부로부터 배관유닛(110)의 측벽을 관통하여 배관유닛(110) 내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회전축(131)은 유체 흐름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측에 마련되는 회전축(131)의 일단에는 제1 손잡이(131a)가 마련된다. 제1 손잡이(131a)는 핸들 형태로 마련되어, 필요에 따라 작업자가 회전축(131)을 회전시킬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구동 플레이트(132)는 회전축(131)에 연결되어 회전축(131)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구동 플레이트(132)는 관로의 단면 형태에 따라 사각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플레이트(132)는 상단이 회전축(131)에 지지될 수 있으며,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되어 구동 플레이트(132)의 타단과 배관유닛(110)의 바닥면 사이에 유체가 이송되는 유로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동 플레이트(132)는 관로 내에서 과유량이 발생될 경우 회전축(131)을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다. 즉, 구동 플레이트(132)의 타단과 배관유닛(110)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유로의 크기보다 큰 유량이 발생될 경우, 구동 플레이트(132)는 유로 저항에 의해 타단이 제1 배관(11) 방향으로 상승하며 회동하게 된다. 이에, 회전축(131)은 구동 플레이트(132)의 회동에 연계되어 축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1 동력 전달부(133)는 회전축(131)에 마련된다. 제1 동력 전달부(133)는 회전축(131)의 축 회전에 따라 발생된 동력을 차폐유닛(150)에 전달한다. 여기서, 제1 동력 전달부(133)는 피니언 기어 형태로 마련되어 회전축(131)의 회전과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한편, 차폐유닛(150)은 평소 제2 배관(12)이 연결된 게이트(G) 상측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 배관(11, 12) 사이가 개방되도록 한다. 그리고 동력발생유닛(130)이 작동할 경우, 제1 동력 전달부(133)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따라 게이트(G)가 폐쇄되도록 한다. 이러한 차폐유닛(150)은 승강축(151), 차폐 플레이트(152) 및 제2 동력 전달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승강축(151)은 외부로부터 배관유닛(110)의 상부벽을 관통하여 배관유닛(110)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외측에 마련되는 승강축(151)의 상단에는 제2 손잡이(151a)가 마련된다. 제2 손잡이(151a)는 핸들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작업자가 승강축(151)을 승강시킬 수 있게 한다.
차폐 플레이트(152)는 제2 배관(12)이 연결된 게이트(G) 상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차폐 플레이트(152)는 제1 동력 전달부(133)와 배관유닛(110)의 상부 측벽 사이에 지지되어, 소정의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차폐 플레이트(152)는 관로의 단면 형태에 따라 사각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단이 승강축(15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동력 전달부(153)는 차폐 플레이트(152)에 마련되어 제1 동력 전달부(133)의 회전에 따라 차폐 플레이트(152)가 하강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2 동력 전달부(153)는 랙 기어 형태로 마련되며, 제1 동력 전달부(133)에 마주하는 차폐 플레이트(152)의 일면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차폐 플레이트(152)는 평소 게이트(G) 상부에 배치되어, 하측의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동력발생유닛(130)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될 경우에, 하강하여 게이트(G)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이때, 차폐 플레이트(152)는 차폐 플레이트(152)의 양 측벽에 대응되도록 배관유닛(110)에 형성된 가이드슬릿(S)을 따라 안정적으로 하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단장치(100)는 격리장치에 고장이 발생된 경우에, 제1 및 제2 배관(11, 12) 사이를 차단하여 과유량에 따라 배관에 파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차단장치(100)가 배관유닛(110)을 포함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차단장치(100)는 배관유닛(110)을 배제한 상태로 일반 배관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과유량 차단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상술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유량 차단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유량 차단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유량 차단장치(100, 이하, 차단장치라 칭한다.)는 원전 환경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차단장치(100)는 상호 상이한 설계압력을 가지는 제1 및 제2 배관(11, 12)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차단장치(100)는 구동 플레이트(132)가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되어 구동 플레이트(132) 하측에 유체가 이송되는 유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차폐 플레이트(152)는 제2 배관(12)이 연결된 게이트(G) 상측에 위치하여 제1 및 제2 배관(11, 12)이 상호 연통되도록 한다. 이에, 제1 및 제2 배관(11, 12) 사이에서는 원활한 유체 흐름이 이루어진다.
다만, 제1 및 제2 배관(11, 12)의 격리장치에 고장이 발생하면, 상대적으로 낮은 설계압력을 가지는 배관계통에 높은 압력이 작용하며 유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배관(12)으로부터 제1 배관(11)으로의 유체 흐름이 증가하게 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배관(11, 12) 사이가 차단되지 않으면, 배관의 설계압력에 초과가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원자로냉각재의 상실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차단장치(100)는 별도의 작업자 조작이나 전력의 제공없이 제1 및 제2 배관(11, 12) 사이가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먼저, 격리장치의 고장이 발생하면, 제2 배관(12)으로부터 제1 배관(11)으로의 유체 흐름이 증가하게 된다. 이때, 구동 플레이트(132)는 유체 흐름에 따라 타단이 제1 배관(11) 측으로 회동하며 회전축(131)에 축 회전을 발생시킨다(S100). 이때, 구동 플레이트(132)는 하단의 두께가 플레이트의 몸체 두께보다 두껍게 마련되어 자중에 의해 구동 플레이트(132)가 용이하게 올려 지도록 한다.
이에, 회전축(131)에 연결된 제1 동력 전달부(133)가 회전하게 되고, 제1 동력 전달부(133)에 계합된 제2 동력 전달부(153)는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제2 동력 전달부(153)의 하강과 함께 차폐 플레이트(152)가 가이드슬릿(S)을 따라 하강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게이트(G)를 폐쇄시키게 된다(S200). 이에, 차단장치(100)는 배관에 과유량이 발생되어 파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배관(11, 12)을 차단시킨 이후 격리장치의 수리가 완료된다면, 게이트(G)의 개방이 요구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제2 손잡이(151a)를 상승시킨다. 이에, 제2 손잡이(151a)에 연결된 차폐 플레이트(152)의 상승에 의해 유로가 개방되며 제1 및 제2 배관(11, 12)이 다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동력 전달부(153)의 상승에 따라 제1 동력 전달부(133)가 역회전하게 되고, 구동 플레이트(132)는 최초 기울기를 갖도록 역회전된다. 다만, 구동 플레이트(132)가 설정된 기울기로 가지질 못할 경우 작업자는 제1 손잡이(131a)를 회전시켜 구동 플레이트(132)가 최초 기울기를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차단장치(100)가 초기 설정으로 복구되도록 할 수 있다(S300).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유량 차단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상술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과유량 차단장치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과유량 차단장치(100, 이하, 차단장치라 칭한다.)는 상이한 설계 압력을 가지는 제1 및 제2 배관(11, 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배관(11, 12)은 유체 흐름에 교차하는 단면이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배관유닛(110)은 제1 및 제2 배관(11, 12) 사이에 위치한다. 배관유닛(110)은 유체 흐름에 교차하는 단면이 타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배관유닛(110)의 전단과 후단에는 각각의 하부영역에 제1 및 제2 배관(11, 12)이 각각 연통되는 게이트(G)가 형성된다.
한편, 동력발생유닛(13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동력발생유닛(130)과 동일하게 유체 흐름에 따른 유로 저항을 기반으로 동력을 발생시킨다. 이에, 발생된 동력에 따라 차폐유닛(150)이 제1 및 제2 배관(11, 12) 사이를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실시예에 따른 동력발생유닛(130)의 회전축(131)과 제1 동력 전달부(133)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131) 및 제1 동력 전달부(133)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2 실시예에 따른 구동 플레이트(132)는 관로의 단면 형태에 따라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차폐유닛(150)은 평소 제2 배관(12)이 연결된 게이트(G) 상측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 배관(11, 12) 사이가 개방되도록 한다. 그리고 격리장치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제1 동력 전달부(133)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따라 게이트(G)가 폐쇄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2 실시예에 따른 차폐유닛(150)의 승강축(151)과 제2 동력 전달부(153)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축(151) 및 제2 동력 전달부(153)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2 실시예에 따른 차폐 플레이트(152)는 관로의 다면 형태에 따라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단장치(100)는 격리장치에 고장이 발생된 경우에,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는 제1 및 제2 배관(11, 12) 사이를 차단하여 과유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과유량 차단장치는 설계압력이 상이한 두 계통 간의 격리장치에 고장이 발생될 경우에도 별도의 운전원 조치 및 전력 사용없이 두 계통 간을 차단하여 냉각재 상실 및 노심 손상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1 : 제1 배관 12 : 제2 배관
100 : 과유량 차단장치 110 : 배관유닛
130 : 동력발생유닛 131 : 회전축
132 : 구동 플레이트 133 : 제1 동력 전달부
150 : 차폐유닛 151 : 승강축
152 : 차폐 플레이트 153 : 제2 동력 전달부

Claims (9)

  1. 원전 환경에서 서로 상이한 설계압력을 가지는 제1 및 제2 배관 사이에 배치되는 과유량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배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배관 사이의 유체 흐름이 증가할 때에 상기 증가된 유체 흐름을 기반으로 회전 운동하는 동력발생유닛;
    상기 동력발생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동력발생유닛의 회전력을 기반으로 선형 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배관 사이를 차단하는 차폐유닛; 및
    상기 제1 및 제2 배관이 각각 연통되는 게이트를 포함하며, 내부에 상기 동력발생유닛과 상기 차폐유닛의 설치 공간을 형성하고, 내부 높이가 상기 제1 및 제2 배관의 내부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배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발생유닛은
    상기 유체 흐름에 교차하는 상기 배관유닛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배관유닛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지지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배관 사이의 유체 흐름이 증가할 때에 회동되며 상기 회전축이 축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축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제1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플레이트는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상부가 상기 회전축에 지지되어 하측에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유로의 크기보다 큰 유체의 흐름이 발생될 때에 상기 유체의 흐름을 기반으로 하단이 상승하며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유량 차단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력 전달부는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유량 차단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동력발생유닛과 상기 게이트 사이에서 상기 배관유닛의 상부벽을 관통하여 상기 배관유닛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승강축과,
    상기 게이트 상측에서 상기 승강축에 연결되는 차폐 플레이트와,
    상기 동력발생유닛과 상기 차폐 플레이트를 연결하여 상기 동력발생유닛이 회전 운동할 때에 상기 차폐 플레이트가 하강되도록 하는 제2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유량 차단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력 전달부는
    상기 동력발생유닛에 마주하는 상기 차폐 플레이트의 일면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랙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유량 차단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유닛의 측벽에는
    상기 차폐 플레이트의 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유량 차단장치.
  9. 제1 및 제2 배관 사이에 배치되는 과유량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배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배관 사이의 유체 흐름이 증가할 때에 상기 증가된 유체 흐름을 기반으로 회전 운동하는 동력발생유닛;
    상기 동력발생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동력발생유닛의 회전력을 기반으로 선형 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배관 사이를 차단하는 차폐유닛; 및
    상기 제1 및 제2 배관이 각각 연통되는 게이트를 포함하며, 내부에 상기 동력발생유닛과 상기 차폐유닛의 설치 공간을 형성하고, 내부 높이가 상기 제1 및 제2 배관의 내부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배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발생유닛은
    상기 유체 흐름에 교차하는 상기 배관유닛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배관유닛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지지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배관 사이의 유체 흐름이 증가할 때에 회동되며 상기 회전축이 축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축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제1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플레이트는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상부가 상기 회전축에 지지되어 하측에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유로의 크기보다 큰 유체의 흐름이 발생될 때에 상기 유체의 흐름을 기반으로 하단이 상승하며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유량 차단장치.
KR1020180083095A 2018-07-17 2018-07-17 과유량 차단장치 KR101996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095A KR101996178B1 (ko) 2018-07-17 2018-07-17 과유량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095A KR101996178B1 (ko) 2018-07-17 2018-07-17 과유량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6178B1 true KR101996178B1 (ko) 2019-10-01

Family

ID=68207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095A KR101996178B1 (ko) 2018-07-17 2018-07-17 과유량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1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506Y1 (ko) * 2000-04-10 2000-09-01 정회성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1543261B1 (ko) * 2014-08-21 2015-08-11 한국원자력연구원 파단유량 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KR101581034B1 (ko) * 2014-05-13 2015-12-29 주식회사 에프씨코리아 사이트 인디게이트 유량계
KR20170064878A (ko) 2015-12-02 2017-06-1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량조절이 가능한 이중 체크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506Y1 (ko) * 2000-04-10 2000-09-01 정회성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1581034B1 (ko) * 2014-05-13 2015-12-29 주식회사 에프씨코리아 사이트 인디게이트 유량계
KR101543261B1 (ko) * 2014-08-21 2015-08-11 한국원자력연구원 파단유량 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KR20170064878A (ko) 2015-12-02 2017-06-1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량조절이 가능한 이중 체크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18037437A1 (ja) 水門
KR101996178B1 (ko) 과유량 차단장치
KR20170064878A (ko) 유량조절이 가능한 이중 체크밸브
KR101986456B1 (ko) 배관 차단장치
KR101332779B1 (ko) 수문 개폐장치
JP6388175B2 (ja) 無動力逆流防止装置
KR101180455B1 (ko) 부단수 모듈 장치를 이용한 부단수 시공방법
CN210069463U (zh) 一种市政用的管道疏水装置
KR20180007217A (ko) 누설방지용 밸브 구동조립체
KR101070462B1 (ko) 양면 2중 웜 감속기 부착형 버터플라이밸브
KR102007609B1 (ko) 과유량 차단장치
KR101491558B1 (ko) 수동식 밸브 개폐장치
KR101989131B1 (ko) 일체형 펌프 수문 유압식 개폐 장치
KR20140083576A (ko) 밸브
KR101199002B1 (ko) 부단수 모듈 장치
KR20120138130A (ko)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JP6562700B2 (ja) 流路形成方法
US1574435A (en) Valve
KR200308598Y1 (ko) 플로우트를 이용한 슬루스 게이트 개폐시스템
CN109654231B (zh) 一种用于阀门的保护装置
KR200160437Y1 (ko) 수문 개폐장치의 수문추락방지장치
CN203335940U (zh) 一种超高压差回流阀
CN205155234U (zh) 取样阀
CN204253897U (zh) 一种蝶阀及其阀杆提升装置
WO2020049204A1 (es) Válvula pivotante para regular el flujo de un fluido y procedimiento para regular el flujo de un flui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