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609B1 - 과유량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과유량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609B1
KR102007609B1 KR1020180087408A KR20180087408A KR102007609B1 KR 102007609 B1 KR102007609 B1 KR 102007609B1 KR 1020180087408 A KR1020180087408 A KR 1020180087408A KR 20180087408 A KR20180087408 A KR 20180087408A KR 102007609 B1 KR102007609 B1 KR 102007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flow rate
pipe
rate contro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희
김세윤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7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6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9/00Emergency protection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reactor, e.g. safety valves provided with pressure equalisation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 내 서로 상이한 설계압력을 나타내는 배관 사이에 설치되는 과유량 차단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냉각수 유동이 발생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배관; 상기 냉각수 흐름방향의 하류에 위치하는 제1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기 배관의 내면과 이격된 제1위치와 상기 배관의 내면에 접근한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유량흐름제어부; 및 상기 유량흐름제어부에 적어도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수 유량에 따라 상기 유량흐름제어부의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간의 이동을 결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 내 상기 냉각수 흐름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상기 유량흐름제어부의 타단이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는 과유량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과유량 차단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OVERFLOW}
본 발명은 과유량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자로 고압-저압계통 사이에 설치되는 과유량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는 격납건물 내부에 주요 기기들을 배치시키고 있으며 격납건물내부는 원자로냉각재압력인 전압력(full pressure)으로 설계되었고, 외부는 전압력보다 낮은 압력으로 설계되어 있다. 이에 계통간 냉각재상실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원자로냉각재계통과 연결부속계통 사이에 압력격리밸브를 설치하여 운용하고 있다.
만약, 원자로냉각재압력경계에 연결되어 있는 저압계통과 원자로냉각재압력경계 사이를 격리하는 기기의 고장이 발생하게 되면 저압계통에 과압이 발생하고, 이러한 과압에 의해 유량이 과도하게 유입될 경우 저압계통 배관의 누설 또는 파단으로 인하여 냉각재가 상실되는 문제점이 발생 할 수 있다.
따라서 원자력 발전소의 고압-저압 계통간 냉각재상실사고를 방지하고, 별도의 작동신호 또는 능동밸브의 도움 없이 과유량을 차단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77398호 (2007년 11월 12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상이한 설계 압력을 가지는 배관 계통 간의 사이를 격리하는 기기의 고장에 따른 과압(압력차)에 의해 발생하는 과유량을 차단할 수 있는 과유량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 내 서로 상이한 설계압력을 나타내는 배관 사이에 설치되는 과유량 차단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냉각수 유동이 발생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배관; 상기 냉각수 흐름방향의 하류에 위치하는 제1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기 배관의 내면과 이격된 제1위치와 상기 배관의 내면에 접근한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유량흐름제어부; 및 상기 유량흐름제어부에 적어도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수 유량에 따라 상기 유량흐름제어부의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간의 이동을 결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 내 상기 냉각수 흐름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상기 유량흐름제어부의 타단이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는 과유량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배관은, 상기 냉각수 흐름방향의 상류에 위치하는 제1부분; 상기 냉각수 흐름방향의 하류에 위치하며 상기 제1부분에 비해 직경이 감소한 제2부분; 및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을 연결하는 제3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3부분은 테이퍼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3부분의 배관 내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유량흐름제어부와 자력 접촉하는 접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배관에 고정된 힌지축이며, 상기 제1고정부에 상기 유량흐름제어부가 힌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유량흐름제어부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배치되는 제1유량흐름제어판 및 제2유량흐름제어판을 포함하며, 상기 배관 내 상기 냉각수 흐름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상기 유체의 흐름을 기반으로 상기 접촉부재와 자력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량흐름제어판 및 제2유량흐름제어판은, 상기 힌지축과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3부분의 유로를 차단할 수 있는 유로 밀폐부; 및 상기 유로 밀폐부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접촉부재와 자력 접촉하는 부착 밀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재 및 상기 부착 밀폐부 중 적어도 하나는 영구자석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복수의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유량흐름제어판과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기 제2유량흐름제어판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냉각수 흐름방향의 상류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배관의 내면과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되어 있는 제2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는 십자형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십자형 구조물은 상기 배관 내면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유량흐름제어부와 연결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압 계통 및 저압 계통 배관 사이에 배치되는 과유량 차단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냉각수 유동이 발생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배관; 상기 냉각수 흐름방향의 하류에 위치하는 제1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기 배관의 내면과 이격된 제1위치와 상기 배관의 내면에 접근한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유량흐름제어부; 및 상기 유량흐름제어부에 적어도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수 유량에 따라 상기 유량흐름제어부의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간의 이동을 결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 내 상기 냉각수 흐름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상기 유량흐름제어부의 타단이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는 과유량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탄성부재와 영구자석을 이용한 과유량 차단장치를 사용하여, 압력이 다른 두 계통 간의 격리장치에 고장이 발생될 때 과압(압력차)에 의한 과유량이 배관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별도의 운전원 조치 및 전력 사용 없이 두 계통 간을 과유량을 차단하여 냉각재 상실 및 노심 손상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과유량 차단장치는 과압에 의한 과도한 유량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발전소의 건전성을 유지하고, 방사선물질의 방출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과유량 차단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량흐름제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량흐름제어부의 작동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과유량 차단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고정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 요소를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과유량 차단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과유량 차단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량흐름제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량흐름제어부의 작동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과유량 차단장치(10, 이하, 차단장치라 칭한다.)는 상이한 설계압력을 나타내는 배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이한 설계압력을 나타내는 배관(미도시)은 고압 계통의 배관과 저압 계통의 배관을 의미하며, 유체 흐름에 교차하는 단면이 사각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는 한정되지 않고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이한 설계압력을 나타내는 배관(미도시) 사이에 배치되는 차단장치(10)는 격리장치(미도시)에 고장이 발생된 경우에 나타나는 과압(압력차)에 따라 발생되는 배관 내 과유량을 차단한다.
차단장치(10)는 배관(100), 제1고정부(200), 유량흐름제어부(300), 및 탄성부재(400)를 포함한다.
배관(100)은 내부에 냉각수 유동이 발생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100)의 상류에서 유입된 냉각수가 하류를 통해 유동될 수 있다.
배관(100)은 함체로 마련될 수 있으며, 단면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바람직하지만, 사각형이 아닌 원형, 다각형 또는 적어도 일부에 곡선을 포함하는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배관(100)은 냉각수 흐름방향의 상류에 위치하는 제1부분(110), 냉각수 흐름방향의 하류에 위치하며 제1부분(110)에 비해 직경이 감소한 제2부분(120) 및 제1부분(110)과 제2부분(120)을 연결하는 제3부분(130)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3부분(130)은 테이퍼져 있다.
서로 상이한 설계압력을 나타내는 계통 사이에 설치되는 배관(100)은 냉각수 흐름이 자연적으로 유동하기 위해, 제1부분(110)의 직경에 따른 면적 보다는 제2부분의 직경에 따른 면적이 작은 면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배관(100)에 연결되는 계통들 간의 냉각수 흐름이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정도의 충분한 크기(면적)이면 충분하다.
테이퍼져 있는 제3부분(130)의 배관 내면에는 유량흐름제어부(300)와 자력 접촉하는 접촉부재(140)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량흐름제어부(300)와 접촉부재(140) 사이의 자력 접촉은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접촉부재(140)는 영구자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부재(140)의 크기는 테이퍼져 있는 제3부분(130)의 테이퍼진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제3부분(130)의 단면적에 따라 부착될 수 있는 접촉부재(140)의 개수도 달라질 수 있다.
제1고정부(200)는 냉각수 흐름방향의 하류에 위치하며, 배관(100)에 고정된 힌지축이다. 이러한 제1고정부(200)에 유량흐름제어부(300)가 힌지 연결되어 있다. 즉, 힌지축은 배관(100)을 관통하여 유량흐름제어부(300)를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제1고정부(200)로 힌지를 사용하여 유량흐름제어부(300)와 고정하는 연결방식을 나타내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힌지를 사용한 연결방식 대신에 경첩과 같은 회전운동이 가능한 물품을 사용한 연결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량흐름제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량흐름제어부의 작동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흐름제어부(300)는, 힌지를 중심으로 배치되는 제1유량흐름제어판(310) 및 제2유량흐름제어판(320)을 포함한다.
제1유량흐름제어판(310)과 제2유량흐름제어판(320)은, 힌지축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3부분(130)의 유로를 차단할 수 있는 유로 밀폐부(311, 321)와 유로 밀폐부(311, 321)로부터 연결되어, 접촉부재(140)와 자력 접촉하는 부착 밀폐부(312, 322)를 포함한다.
제1유량흐름제어판(310)과 제2유량흐름제어판(320)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배관(100)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그 크기 및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유로 밀폐부(311, 321)는 제1고정부(20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일단이 탄성부재(400)와 연결되어 있다.
부착 밀폐부(312, 322)는 유로 밀폐부(311, 321)로부터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되는 형태는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부착 밀폐부(312, 322)가 유로 밀폐부(311, 321)에 연장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유로 밀폐부(311, 321)에 부착 부위가 따로 마련되어 있어 부착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배관(100) 내 냉각수 흐름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부착 밀폐부(312, 322)는 접촉부재(140)와 자력 접촉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부착 밀폐부(312, 322)는 영구자석 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흐름제어부(300)는 배관(100) 내 냉각수 흐름이 일정 수준 이상일 때에 유체의 흐름을 기반으로 유량흐름제어부(300)가 접촉부재(140)와 자력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유량흐름제어부(300)는 배관(100) 제3부분(130)의 내면과 이격된 제1위치와 배관(100) 제3부분(130)의 내면에 접근한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압력이 다른 두 계통 간의 격리장치(미도시)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과압(압력차)에 의한 과유량이 배관(100)에 발생되며, 이 때 유량흐름제어부(300)를 유량흐름 방향으로 미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위와 같은 힘에 의해 유량흐름제어부(300)와 연결되어 있는 탄성부재(400)가 신장하게 되며, 힌지를 중심으로 배치되어 있는 제1유량흐름제어판(310) 및 제2유량흐름제어판(320)이 이격하여 제2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제2위치로 이동한 제1유량흐름제어판(310) 및 제2유량흐름제어판(320)은 자력접촉에 의해 접촉부재(140)와 접촉하게 된다.
만약, 과압(압력차)에 의한 과유량 상태가 중지되더라도, 접촉부재(140)와 접촉되어 있는 제1유량흐름제어판(310) 및 제2유량흐름제어판(320)은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접촉부재(140)와 접촉되어 있는 폐쇄상태로 있을 수 있다.
이는 접촉부재(140)와 유량흐름제어부(300)가 서로 자력 접촉에 의해 당기는 힘이 유량흐름제어부(300)가 탄성부재(400)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는 힘보다 매우 커질 경우 일 수 있다.
과도한 압력(과압)이 발생되지 않은 평상시에는 유량흐름제어부(300)가 배관(100) 제3부분(130)의 내면과 이격된 제1위치에 위치하게 되며, 사고에 따른 과압(압력차)이 발생하게 되면, 배관(100) 제3부분(130)의 내면에 접근한 제2위치로 이동하여 접촉부재(140)와 접촉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400)는 복수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탄성부재(400)의 일단은 제1유량흐름제어판(310)과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제2유량흐름제어판(320)과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400)는 과도한 압력(과압)이 발생되지 않은 평상시에는 제1유량흐름제어판(310)과 제2유량흐름제어판(320)이 제1위치에서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유량흐름제어부(30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배관 내 과압(압력차)이 발생하게 되면, 탄성부재(400)가 신장되어 제1유량흐름제어판(310)과 제2유량흐름제어판(320)이 제2위치로 이동하여 접촉부재(140)와 접촉하게 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과유량 차단장치에 대하여 상세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상술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과유량 차단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고정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과유량 차단장치(10, 이하, 차단장치라 칭한다.)는 상이한 설계압력을 나타내는 배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서 과유량 차단장치는 냉각수 흐름방향의 상류에 위치하며, 양단이 배관(100) 내면과 연결되어 있고, 탄성부재(400)가 중간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2고정부(500)를 더 포함한다.
제2고정부(500)는 배관(100) 제1부분(110)에 위치하여, 일단이 유량흐름제어부(300)와 연결되어 있는 탄성부재(400)를 고정시킨다.
제2고정부(500)는 십자형 구조물이며, 십자형 구조물은 배관(100) 내면에 각각 고정되고, 탄성부재(400)가 유량흐름제어부(30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4개의 탄성부재(400)가 제2고정부(500)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이는 한정되지 않으며, 제2고정부(500)에 연결되는 탄성부재(400)의 위치 및 개수는 배관(100) 내면에 각각 고정되는 제2고정부(500)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연결 부위 및 연결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의 유량흐름제어부(300)의 작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배관(100) 내 냉각수 흐름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될 때, 유체의 흐름을 기반으로 유량흐름제어부(300)가 접촉부재(140)와 자력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유량흐름제어부(300)는 배관(100) 제3부분(130)의 내면과 이격된 제1위치와 배관(100) 제3부분(130)의 내면에 접근한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이는 배관(100) 내 냉각수 흐름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발생하게 된다.
배관(100) 내 과압(압력차)에 의한 과유량이 발생하게 되면, 유량흐름제어부(300)를 미는 힘이 발생한다. 여기서 접촉부재(140)와 유량흐름제어부(300)가 서로 자력 접촉에 의해 당기는 힘은 유량흐름제어부(300)가 탄성부재(400)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는 힘보다 매우 커질 경우일 수 있다.
과도한 압력(과압)이 발생되지 않은 평상시에는 제2고정부(500)에 연결되어 있는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에 의해 유량흐름제어부(300)가 배관(100) 제3부분(130)의 내면과 이격된 제1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 후 사고에 따른 배관 내 과압(압력차)이 발생하게 되고, 제2고정부(500)에 연결되어 있는 탄성부재(400)의 탄성력 보다는 접촉부재(140)와 유량흐름제어부(300)간의 자력 접촉에 의해 당기는 힘이 커지게 되며, 이 때 유량흐름제어부(300)가 배관(100) 제3부분(130)의 내면에 접근한 제2위치로 이동하여 접촉부재(140)와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과유량 차단장치는, 탄성부재와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압력이 다른 두 계통 간의 격리장치에 고장이 발생될 때 과압(압력차)에 의한 과유량이 배관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별도의 운전원 조치 및 전력 사용 없이 두 계통 간의 과유량을 차단하여 냉각재 상실 및 노심 손상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과유량 차단장치는 과압에 의한 과도한 유량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발전소의 건전성을 유지하고, 방사선물질의 방출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10)

  1. 원자력 발전소 내 서로 상이한 설계압력을 나타내는 배관 사이에 설치되는 과유량 차단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냉각수 유동이 발생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배관;
    상기 냉각수 흐름방향의 하류에 위치하는 제1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기 배관의 내면과 이격된 제1위치와 상기 배관의 내면에 접근한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유량흐름제어부; 및
    상기 유량흐름제어부에 적어도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수 유량에 따라 상기 유량흐름제어부의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간의 이동을 결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 내 상기 냉각수 흐름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상기 유량흐름제어부의 타단이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배관은, 상기 냉각수 흐름방향의 상류에 위치하는 제1부분; 상기 냉각수 흐름방향의 하류에 위치하며 상기 제1부분에 비해 직경이 감소한 제2부분; 및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을 연결하는 제3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3부분은 테이퍼져 있고, 상기 제3부분의 배관 내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유량흐름제어부와 자력 접촉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배관에 고정된 힌지축이며, 상기 제1고정부에 상기 유량흐름제어부가 힌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량흐름제어부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배치되는 제1유량흐름제어판 및 제2유량흐름제어판을 포함하며, 상기 배관 내 상기 냉각수 흐름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상기 유체의 흐름을 기반으로 상기 접촉부재와 자력 접촉하며, 상기 제1유량흐름제어판 및 제2유량흐름제어판은, 상기 힌지축과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3부분의 유로를 차단할 수 있는 유로 밀폐부; 및 상기 유로 밀폐부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접촉부재와 자력 접촉하는 부착 밀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재 및 상기 부착 밀폐부 중 적어도 하나는 영구자석인 과유량 차단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서,
    상기 탄성부재는 복수의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유량흐름제어판과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기 제2유량흐름제어판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유량 차단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87408A 2018-07-26 2018-07-26 과유량 차단장치 KR102007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408A KR102007609B1 (ko) 2018-07-26 2018-07-26 과유량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408A KR102007609B1 (ko) 2018-07-26 2018-07-26 과유량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7609B1 true KR102007609B1 (ko) 2019-08-05

Family

ID=67616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408A KR102007609B1 (ko) 2018-07-26 2018-07-26 과유량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6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979B1 (ko) * 2020-12-09 2021-10-2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안전 주입 배관의 유량 조절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398B1 (ko) 2007-06-12 2007-11-19 하지공업(주) 신축성 오리피스 튜브를 구비한 과유량 방지밸브 및 이를이용한 과유량 방지시스템
KR101543261B1 (ko) * 2014-08-21 2015-08-11 한국원자력연구원 파단유량 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KR101581034B1 (ko) * 2014-05-13 2015-12-29 주식회사 에프씨코리아 사이트 인디게이트 유량계
KR20170064878A (ko) * 2015-12-02 2017-06-1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량조절이 가능한 이중 체크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398B1 (ko) 2007-06-12 2007-11-19 하지공업(주) 신축성 오리피스 튜브를 구비한 과유량 방지밸브 및 이를이용한 과유량 방지시스템
KR101581034B1 (ko) * 2014-05-13 2015-12-29 주식회사 에프씨코리아 사이트 인디게이트 유량계
KR101543261B1 (ko) * 2014-08-21 2015-08-11 한국원자력연구원 파단유량 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KR20170064878A (ko) * 2015-12-02 2017-06-1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량조절이 가능한 이중 체크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979B1 (ko) * 2020-12-09 2021-10-2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안전 주입 배관의 유량 조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7609B1 (ko) 과유량 차단장치
EP1509717A1 (en) Control valve
CN103470804B (zh) 一种安全级电动球阀
CN107461541B (zh) 管道关断设备
US9845898B1 (en) Magnetically retained relief valve
CN102822581A (zh) 具有带有泄漏口和独立的第二密封件的动载荷密封垫压圈的控制阀
US2927604A (en) Check valve having closed internal circuit hydraulic system
JP2015528896A (ja) 原子炉冷却材ポンプセットの軸封止システムのための受動停止封止装置
US3809126A (en) Combined emergency stop and governor valve for controlling fluid flow to a turbo-machine
EA031610B1 (ru) Система повышенной надежности для защиты от превышения давления (hipps) для линии подачи текучей среды
KR101543261B1 (ko) 파단유량 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CN103899806A (zh) 带有导向阀盘的紧急切断安全装置
Sapra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innovative passive valves for Nuclear Power Plant applications
KR200451933Y1 (ko) 웨지 게이트 밸브 시트의 폭 측정 장치
BR102019020633A2 (pt) cilindro de atuação, sistema hidráulico, sistema, máquina hidráulica do tipo turbina, bomba ou bomba-turbina e método para operar um cilindro de atuação
CN210600384U (zh) 一种电磁动截止阀
KR101388176B1 (ko) 캐비테이션-수충격 방지구를 구비하는 컨트롤 밸브
KR200386948Y1 (ko) 솔레노이드 액튜에이터의 이물질 유입 방지구조
US5799681A (en) Safety shut off valve and method of automatic flow restoration
CN216692295U (zh) 磁控流体遮断器
RU2667595C1 (ru) Энергонезависимый защитный клапан для дрейфовой камеры, работающей в вакууме
KR101042315B1 (ko) 충격 방지용 밸브 디스크 구조
KR20180031919A (ko) 닫힌 배관에서 신속히 손상을 탐지하고 이를 차단할 수 있는 스마트 밸브의 작동방법
KR101996178B1 (ko) 과유량 차단장치
KR20200003672A (ko) 고온, 고압 적용을 위한 정지 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