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920B1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920B1
KR101995920B1 KR1020130042364A KR20130042364A KR101995920B1 KR 101995920 B1 KR101995920 B1 KR 101995920B1 KR 1020130042364 A KR1020130042364 A KR 1020130042364A KR 20130042364 A KR20130042364 A KR 20130042364A KR 101995920 B1 KR101995920 B1 KR 101995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ping layer
light emitting
layer
subpixel
c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2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4615A (ko
Inventor
장상억
이성수
남은경
김세일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2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920B1/ko
Priority to US14/169,368 priority patent/US9165983B2/en
Priority to TW103112100A priority patent/TWI617020B/zh
Priority to CN201410131101.2A priority patent/CN104112761B/zh
Publication of KR20140124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Abstract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복수의 부화소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과, 기판 상의 복수의 부화소 영역 각각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복수의 화소 전극과, 복수의 화소 전극 상에 형성되는 백색 발광층과, 백색 발광층을 덮는 공통 전극과, 공통 전극 상에서 복수의 부화소 영역 각각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복수의 캡핑층과, 복수의 부화소 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필터층을 구비한 색 필터층을 포함한다. 복수의 캡핑층 가운데 적어도 두 개의 캡핑층은 굴절률과 두께 중 어느 하나가 서로 상이하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본 기재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백색 발광층과 색 필터층을 구비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적색(R)과 녹색(G) 및 청색(B)의 부화소들로 이루어진 복수의 화소를 구비하며, 각 부화소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와 화소 회로가 위치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두 개의 전극(애노드 및 캐소드)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며, 화소 회로는 적어도 두 개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통상의 경우 유기 발광층은 적색 부화소와 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 각각에 위치하는 적색 발광층과 녹색 발광층 및 청색 발광층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극히 미세한 크기를 갖는 부화소 영역에 색상별로 유기 발광층을 따로 증착해야 하므로 복잡한 미세 패터닝 기술이 요구된다.
이를 극복하고자 모든 부화소들에 백색 발광층을 공통으로 형성하고, 봉지 기판에 색 필터층을 배치한 구조(이하, 편의상 '백색 OLED'라 한다)가 제안되었다. 이 경우 유기 발광층을 색상별로 따로 형성하기 위한 미세 패터닝 기술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제조가 용이해지고, 고해상도 구현에 유리해진다.
한편, 광학적인 측면에서 유기 발광층은 R, G, B 빛의 파장별로 특정 두께(원하는 파장의 1/4 파장을 구현하는 두께)에서 최대 보강 간섭이 일어나므로, 이 특성을 이용하면 발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런데 백색 OLED의 경우에는 모든 부화소들에서 유기 발광층의 두께가 동일하므로 전술한 최대 보강 간섭 효과를 이용할 수 없다. 또한, 백색 OLED에서는 넓은 파장 범위를 갖는 백색 광이 방출되므로 관찰 각도에 따른 색 변화가 비교적 크다.
본 기재는 백색 발광층과 색 필터층을 구비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적색과 녹색 및 청색의 부화소별로 발광 효율을 높이며, 관찰 각도에 따른 색 변화를 줄일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기재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복수의 부화소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과, 기판 상에서 복수의 부화소 영역 각각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복수의 화소 전극과, 복수의 화소 전극 상에 형성되는 백색 발광층과, 백색 발광층을 덮는 공통 전극과, 공통 전극 상에서 복수의 부화소 영역 각각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복수의 캡핑층과, 복수의 부화소 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필터층을 구비한 색 필터층을 포함한다. 복수의 캡핑층 가운데 적어도 두 개의 캡핑층은 굴절률과 두께 중 어느 하나가 서로 상이하다.
복수의 부화소 영역은 적색 부화소 영역과 녹색 부화소 영역 및 청색 부화소 영역을 포함하며, 캡핑층은 적색 부화소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캡핑층과, 녹색 부화소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캡핑층과, 청색 부화소 영역에 대응하는 제3 캡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캡핑층과 제2 캡핑층 및 제3 캡핑층 가운데 적어도 두 개는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제1 캡핑층은 2.7 내지 3.6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제2 캡핑층과 제3 캡핑층은 2 내지 3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제1 캡핑층과 제2 캡핑층 및 제3 캡핑층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캡핑층은 95Å 내지 135Å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 캡핑층은 50Å 내지 90Å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3 캡핑층은 40Å 내지 80Å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캡핑층과 제2 캡핑층 및 제3 캡핑층은 같은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부화소 영역은 백색 부화소 영역을 더 포함하며, 백색 부화소 영역에는 캡핑층이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색 필터층을 통과한 적색 광과 녹색 광 및 청색 광의 발광 효율을 최적화하여 화질을 향상시키고, 관찰 각도에 따른 색 변화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백색 발광층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캡핑층의 굴절률에 따른 발광 효율의 모의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캡핑층의 두께에 따른 발광 효율을 모의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 상에” 또는 “~ 위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백색 발광층의 확대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제1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기판(10),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20), 캡핑층(30), 봉지 기판(40), 및 색 필터층(50)을 포함한다.
기판(10)은 유리, 석영, 세라믹, 고분자 필름, 및 금속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10) 상에는 복수의 화소 영역이 설정되며, 각 화소 영역은 다시 적색 부화소 영역과 녹색 부화소 영역 및 청색 부화소 영역으로 구분된다. 각 부화소 영역마다 화소 회로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20)가 위치한다.
화소 회로는 적어도 두 개의 박막 트랜지스터(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및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와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는 발광시키고자 하는 부화소를 선택하는 스위칭 소자로 사용되고,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는 선택된 부화소를 발광시키기 위한 구동 전원을 해당 부화소로 인가한다.
도 1에서는 세 개의 부화소 영역을 포함하는 하나의 화소 영역을 도시하였으며, 편의상 화소 회로는 생략하였다. 같은 구성의 화소들이 기판(10) 상의 열 방향 및 행 방향을 따라 나란히 위치하고, 복수의 화소에서 방출되는 빛들이 조합되어 화상을 구현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20)는 화소 전극(21)과 백색 발광층(22) 및 공통 전극(23)을 포함한다. 화소 전극(21)은 부화소 영역마다 개별로 형성되며, 해당 부화소 영역의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반면 공통 전극(23)은 부화소별 구분 없이 기판(10) 전체에 형성된다.
화소 전극들(21) 사이로 격자 모양의 화소 정의막(25)이 위치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25)은 화소 전극들(21) 각각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형성하며 부화소 영역을 구획한다. 화소 정의막(25)은 폴리이미드(polyimide)와 같은 유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백색 발광층(22)은 화소 전극들(21) 위에 공통으로 형성된다. 백색 발광층(22)을 증착으로 형성할 때 기판(10) 상의 표시 영역 전체에 대응하는 단일 개구부가 형성된 오픈 마스크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부화소별 미세 패터닝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공정이 용이해진다. 오픈 마스크를 이용하여 증착된 백색 발광층(22)은 화소 정의막(25) 위에도 형성된다.
백색 발광층(22)은 적색 발광층(22R)과 녹색 발광층(22G) 및 청색 발광층(22B)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2 참조). 적색 발광층(22R)과 녹색 발광층(22G) 및 청색 발광층(22B)의 적층 순서는 도 2에 도시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백색 발광층(22)은 백색 광을 방출하는 단일 물질층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화소 전극(21)은 정공 주입 전극인 애노드(anode)일 수 있고, 공통 전극(23)은 전자 주입 전극인 캐소드(cathode)일 수 있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화소 전극(21)이 애노드인 경우, 화소 전극(21)과 백색 발광층(22) 사이에 정공 주입층과 정공 수송층 가운데 적어도 하나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백색 발광층(22)과 공통 전극(23) 사이에 전자 수송층과 전자 주입층 가운데 적어도 하나가 위치할 수 있다.
애노드로 기능하는 화소 전극(21)은 예를 들어 4.2eV 이상의 일함수를 가지는 은(Ag), 니켈(Ni), 몰리브덴(Mo), 금(Au), 백금(Pt), 텅스텐(W), 및 구리(Cu) 중 하나 이상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캐소드로 기능하는 공통 전극(23)은 화소 전극(21)보다 낮은 일함수, 예를 들어 4.2eV 미만의 일함수를 가지는 리튬(Li), 마그네슘(Mg), 칼슘(Ca), 아연(Zn), 및 알루미늄(Al) 중 어느 하나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전극(21)으로부터 주입된 정공과 공통 전극(23)으로부터 주입된 전자가 백색 발광층(22)에서 결합하여 여기자(exciton)를 생성하고, 여기자가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백색 광이 방출된다.
이때 화소 전극(21)은 반사막으로 형성되며, 공통 전극(23)은 반투과막 또는 투명 도전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백색 발광층(22)에서 방출된 빛은 화소 전극(21)에서 반사되고, 공통 전극(23)과 색 필터층(50) 및 봉지 기판(40)을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이러한 발광 구조를 전면 발광형이라 하며, 주로 대형 표시 장치에 적용된다.
봉지 기판(40)은 도시하지 않은 실런트(sealant)에 의해 기판(10)에 일체로 접합된다. 봉지 기판(40)은 수분과 산소를 포함하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유기 발광 다이오드(20)를 밀봉시켜 수분과 산소에 의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20)의 열화를 억제한다. 봉지 기판(40)은 유리 또는 고분자 필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10)과 봉지 기판(40)이 모두 고분자 필름으로 형성되는 경우,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휘어지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색 필터층(50)은 기판(10)을 향한 봉지 기판(40)의 일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색 필터층(50)은 적색 부화소 영역에 위치하는 적색 필터층(51R)과, 녹색 부화소 영역에 위치하는 녹색 필터층(51G)과, 청색 부화소 영역에 위치하는 청색 필터층(51B)을 포함한다. 백색 발광층(22)에서 방출된 백색 광은 색 필터층(50)을 통과하면서 적색 부화소 영역에서 적색 광으로, 녹색 부화소 영역에서 녹색 광으로, 청색 부화소 영역에서 청색 광으로 변환된다.
이때 각각의 필터층(51R, 51G, 51B) 사이로 흑색층(52)이 위치하여 화면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봉지 기판(40)의 외면에는 외광 반사를 줄이기 위한 광학 필름(도시하지 않음)이 위치할 수 있다.
캡핑층(30)은 공통 전극(23) 위에 형성되며, 색 필터층(50)을 향하는 백색 광의 경로 상에 위치한다. 캡핑층(30)은 유기물, 무기물,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단층막 또는 다층막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캡핑층(30)은 공기보다 높은 굴절률을 가진다.
캡핑층(30)을 통과하는 백색 광은 캡핑층(30)과 그 상부에 위치하는 공기층의 경계면에서 반사되어 공통 전극(23)을 향하고, 공통 전극(23)의 표면에서 재반사되어 캡핑층(30)을 거쳐 외부로 나오면서 경로 차이로 인한 간섭 현상을 일으킨다. 이로써 전반사로 소실되는 빛의 양이 감소하고, 투과되는 빛의 양이 증가하여 발광 효율이 높아진다.
이때 캡핑층(30)은 적어도 두 개의 부화소에서 상이한 굴절률을 가짐으로써 부화소들의 광 추출 효율을 최적화한다. 캡핑층(30)은 적색 부화소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캡핑층(31)과, 녹색 부화소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캡핑층(32)과, 청색 부화소 영역에 대응하는 제3 캡핑층(33)을 포함한다. 제1 캡핑층(31)과 제2 캡핑층(32) 및 제3 캡핑층(33) 가운데 적어도 두 개는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진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캡핑층의 굴절률에 따른 발광 효율의 모의실험(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의 그래프에서 왼쪽 세로축은 녹색 부화소와 청색 부화소의 발광 효율을 나타내고, 오른쪽 세로축은 적색 부화소의 발광 효율을 나타낸다.
도 1과 도 3을 참고하면, 적색 부화소에 대응하는 제1 캡핑층(31)은 2.7 내지 3.6의 굴절률을 가지며, 이 조건을 만족할 때 적색 부화소는 최대의 발광 효율을 나타낸다. 녹색 부화소에 대응하는 제2 캡핑층(32)과 청색 부화소에 대응하는 제3 캡핑층(33)은 2 내지 3의 굴절률을 가지며, 이 조건을 만족할 때 녹색 부화소와 청색 부화소는 최대의 발광 효율을 나타낸다.
제1 캡핑층(31)과 제2 캡핑층(32) 및 제3 캡핑층(33)은 같은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전술한 굴절률 범위를 만족하는 유기물, 무기물, 유기금속 화합물, 및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모의실험에 적용된 캡핑층(30)은 모두 700Å의 두께를 가진다.
백색 발광층(22)에서 방출된 백색 광이 제1 캡핑층(31)과 제2 캡핑층(32) 및 제3 캡핑층(33)을 투과하는 과정에서, 제1 캡핑층(31)은 백색 광 중 적색 광의 추출 효율을 높이고, 제2 캡핑층(32)은 백색 광 중 녹색 광의 추출 효율을 높이며, 제3 캡핑층(33)은 백색 광 중 청색 광의 추출 효율을 높인다.
그 결과, 본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색 필터층(50)을 통과한 적색 광과 녹색 광 및 청색 광의 발광 효율을 최적화하여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전술한 캡핑층(30)에 의해 관찰 각도에 따른 색 변화를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제2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는 각 화소 영역에 백색 부화소 영역(WSP)이 추가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제1 실시예와 같은 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아래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백색 부화소 영역(WSP)에도 화소 회로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20)가 위치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20)는 화소 전극(21)과 백색 발광층(22) 및 공통 전극(23)을 포함한다. 캡핑층(30)은 백색 부화소 영역에 위치하지 않으며, 색 필터층(501) 가운데 백색 부화소 영역(WSP)에는 투명층(51W)이 위치한다. 백색 부화소는 색이 있는 다른 부화소와 달리 광량의 조절만 가능하다.
제2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는 백색 부화소를 더 구비함으로써 색 표현력과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제3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300)는 캡핑층(301)이 부화소별로 상이한 두께를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제1 실시예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아래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캡핑층(301)은 적색 부화소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캡핑층(35)과, 녹색 부화소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캡핑층(36)과, 청색 부화소 영역에 대응하는 제3 캡핑층(37)을 포함한다. 제1 캡핑층(35)과 제2 캡핑층(36) 및 제3 캡핑층(37)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진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캡핑층의 두께에 따른 발광 효율의 모의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와 도 6을 참고하면, 적색 부화소에 대응하는 제1 캡핑층(35)은 95Å 내지 135Å의 두께를 가지며, 이 조건을 만족할 때 적색 부화소는 최대의 발광 효율을 나타낸다. 녹색 부화소에 대응하는 제2 캡핑층(36)은 50Å 내지 90Å의 두께를 가지며, 이 조건을 만족할 때 녹색 부화소는 최대의 발광 효율을 나타낸다. 청색 부화소에 대응하는 제3 캡핑층(37)은 40Å 내지 80Å의 두께를 가지며, 이 조건을 만족할 때 청색 부화소는 최대의 발광 효율을 나타낸다.
제1 캡핑층(35)과 제2 캡핑층(36) 및 제3 캡핑층(37)은 같은 굴절률을 가질 수 있으며, 유기물, 무기물, 유기금속 화합물, 및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모의실험에 적용된 캡핑층(301)은 모두 1.9의 굴절률을 가진다.
백색 발광층(22)에서 방출된 백색 광이 제1 캡핑층(35)과 제2 캡핑층(36) 및 제3 캡핑층(37)을 투과하는 과정에서, 제1 캡핑층(35)은 백색 광 중 적색 광의 추출 효율을 높이고, 제2 캡핑층(36)은 백색 광 중 녹색 광의 추출 효율을 높이며, 제3 캡핑층(37)은 백색 광 중 청색 광의 추출 효율을 높인다.
전술한 제1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 300)에서 제1 캡핑층(31, 35)과 제2 캡핑층(32, 36) 및 제3 캡핑층(33, 37)은 증착법 또는 레이저 열 전사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증착법의 경우 특정 색의 부화소 영역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개구부를 가진 증착 마스크를 사용한다. 레이저 열 전사법은 베이스 필름과 광-열 변환층 및 전사층을 포함하는 도너 필름을 준비하고, 도너 필름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광-열 변환층의 일부 및 이와 접하는 전사층의 일부를 팽창시켜 공통 전극 위에 전사층을 전사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제4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400)는 각 화소 영역에 백색 부화소 영역(WSP)이 추가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3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제3 실시예와 같은 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아래에서는 제3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백색 부화소 영역(WSP)에도 화소 회로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20)가 위치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20)는 화소 전극(21)과 백색 발광층(22) 및 공통 전극(23)을 포함한다. 캡핑층(301)은 백색 부화소 영역(WSP)에 위치하지 않으며, 색 필터층(501) 가운데 백색 부화소 영역(WSP)에는 투명층(51W)이 위치한다. 백색 부화소는 색이 있는 다른 부화소와 달리 광량의 조절만 가능하다.
제4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400)는 백색 부화소를 더 구비함으로써 색 표현력과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200, 300, 40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기판 20: 유기 발광 다이오드
21: 화소 전극 22: 백색 발광층
23: 공통 전극 30, 301: 캡핑층
40: 봉지 기판 50: 색 필터층

Claims (8)

  1. 복수의 부화소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복수의 부화소 영역 각각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복수의 화소 전극;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 상에 형성되는 백색 발광층;
    상기 백색 발광층을 덮는 공통 전극;
    상기 공통 전극 상에서 상기 복수의 부화소 영역 각각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복수의 캡핑층; 및
    상기 복수의 부화소 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필터층을 구비한 색 필터층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부화소 영역은 적색 부화소 영역과 녹색 부화소 영역, 청색 부화소 영역 및 백색 부화소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캡핑층은 상기 적색 부화소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캡핑층과, 상기 녹색 부화소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캡핑층과, 상기 청색 부화소 영역에 대응하는 제3 캡핑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캡핑층 가운데 적어도 두 개의 캡핑층은 굴절률과 두께 중 어느 하나가 서로 상이하고,
    상기 백색 부화소 영역에는 상기 캡핑층이 위치하지 않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핑층과 상기 제2 캡핑층 및 상기 제3 캡핑층 가운데 적어도 두 개는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핑층은 2.7 내지 3.6의 굴절률을 가지며,
    상기 제2 캡핑층과 상기 제3 캡핑층은 2 내지 3의 굴절률을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핑층과 상기 제2 캡핑층 및 상기 제3 캡핑층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핑층은 95Å 내지 135Å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2 캡핑층은 50Å 내지 90Å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3 캡핑층은 40Å 내지 80Å의 두께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핑층과 상기 제2 캡핑층 및 상기 제3 캡핑층은 동일한 굴절률을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8. 삭제
KR1020130042364A 2013-04-17 2013-04-17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995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364A KR101995920B1 (ko) 2013-04-17 2013-04-17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4/169,368 US9165983B2 (en) 2013-04-17 2014-01-31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TW103112100A TWI617020B (zh) 2013-04-17 2014-04-01 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
CN201410131101.2A CN104112761B (zh) 2013-04-17 2014-04-02 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364A KR101995920B1 (ko) 2013-04-17 2013-04-17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615A KR20140124615A (ko) 2014-10-27
KR101995920B1 true KR101995920B1 (ko) 2019-10-02

Family

ID=51709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2364A KR101995920B1 (ko) 2013-04-17 2013-04-17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65983B2 (ko)
KR (1) KR101995920B1 (ko)
CN (1) CN104112761B (ko)
TW (1) TWI6170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50362B1 (en) * 2014-05-26 2021-03-24 LG Display Co., Ltd.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N104299982A (zh) * 2014-10-20 2015-01-2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彩色显示器件
CN104485429B (zh) * 2014-12-31 2017-08-08 北京维信诺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光学谐振层的oled器件及其制备方法、显示器
KR102608421B1 (ko) * 2016-02-23 2023-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7706207B (zh) * 2016-08-09 2021-05-07 颜崇纹 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
KR102404572B1 (ko) * 2017-08-04 2022-06-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9411506B (zh) * 2017-08-18 2021-04-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Oled背板及制备方法、oled显示装置及驱动方法
US11003287B2 (en) * 2018-03-30 2021-05-11 Sharp Kabushiki Kaisha Touch sensor for display with improved viewing angle uniformity
CN109713164A (zh) * 2018-12-29 2019-05-03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WO2020212777A1 (en) * 2019-04-18 2020-10-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with color-correction component
KR102554038B1 (ko) * 2020-05-13 2023-07-11 주식회사 랩토 유기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210141824A (ko) * 2020-05-13 2021-11-23 주식회사 랩토 벤즈아졸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210141825A (ko) * 2020-05-13 2021-11-23 주식회사 랩토 벤즈아졸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한 유기전계발광소자
CN111816684A (zh) * 2020-07-16 2020-10-23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CN112289953B (zh) * 2020-10-28 2023-04-1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20083333A (ko) * 2020-12-11 2022-06-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CN113241361B (zh) * 2021-05-28 2023-02-0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Oled显示面板
CN115274796A (zh) * 2022-07-22 2022-11-01 长沙惠科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和显示面板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322B1 (ko) * 2003-04-07 2005-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623696B1 (ko) 2004-08-30 2006-09-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고효율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8521165A (ja) * 2004-11-16 2008-06-19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有機発光デバイス、それ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複数の有機発光デバイスを備えるアレイ
TW201041435A (en) * 2006-09-18 2010-11-16 Au Optronics Corp White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s and display using the same
JP2010518557A (ja) * 2007-02-05 2010-05-27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発光効率に優れた有機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227978B2 (en) 2007-10-10 2012-07-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color display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TWI367684B (en) * 2007-11-02 2012-07-01 Chimei Innolux Corp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8258511B2 (en) * 2008-07-02 2012-09-04 Applied Materials, Inc. Thin film transistors using multiple active channel layers
KR100968886B1 (ko) 2008-10-14 2010-07-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기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JP5453952B2 (ja) * 2009-06-23 2014-03-26 ソニー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94287B1 (ko) * 2009-10-09 2011-12-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20119100A (ko) * 2011-04-20 2012-10-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US8940568B2 (en) * 2012-08-31 2015-01-27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Patterning method for OLE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12761A (zh) 2014-10-22
CN104112761B (zh) 2018-11-16
US9165983B2 (en) 2015-10-20
US20140312325A1 (en) 2014-10-23
TWI617020B (zh) 2018-03-01
KR20140124615A (ko) 2014-10-27
TW201448205A (zh) 201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92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95699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62966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rray substrate with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on a pixel electrode layer and an electrode layer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with the same
US1027683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990116B1 (ko) 유기발광장치 및 그것의 제조방법
US10038097B2 (en)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substrate,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KR101990312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930548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CN108172600B (zh) 用于woled显示器的彩膜基板及woled显示器
KR20150042367A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74652B1 (ko) 발광 소자, 표시 장치 및 조명 장치
KR20090087273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35049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80145115A1 (en) Light emitting element and display device
KR20090087274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36840A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CN110459586B (zh) 一种阵列基板和显示面板
KR102096887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WO2020065963A1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09119438B (zh) 显示基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CN109638037B (zh) 一种全彩化显示模块及其制作方法
KR102286361B1 (ko)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6929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5514137B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
WO2020049742A1 (ja) 表示デバイス及び表示デバイス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