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818B1 - Forming divice - Google Patents

Forming di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818B1
KR101995818B1 KR1020170150691A KR20170150691A KR101995818B1 KR 101995818 B1 KR101995818 B1 KR 101995818B1 KR 1020170150691 A KR1020170150691 A KR 1020170150691A KR 20170150691 A KR20170150691 A KR 20170150691A KR 101995818 B1 KR101995818 B1 KR 101995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lded product
roll
air
inj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06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54446A (en
Inventor
배진철
Original Assignee
배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진철 filed Critical 배진철
Priority to KR1020170150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818B1/en
Publication of KR20190054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4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8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70/261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involving transversely folding, i.e. along a lin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006Controlling; Regulating; Measuring; Safety mea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70/10Feeding or position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50/00Flexible containers made from sheets or blanks, e.g. from flattened tubes
    • B31B2150/10Flexible containers made from sheets or blanks, e.g. from flattened tubes the longitudinal axes of the containers being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heets or blanks are f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55/00Flexible containers made from webs
    • B31B2155/001Flexible containers made from webs by folding webs longitudinally

Landscapes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비닐재질로 이루어지는 쇼핑백의 내부공간에 공기를 주입한 다음, 쇼핑백의 양측을 M자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으며, 쇼핑백의 내부공간에 항상 적정량의 공기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성형 과정에서 쇼핑백에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는, 내부 일정구간에 공기가 주입된 성형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성형물 중 공기가 주입된 부분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가압하여 폴딩시키는 폴딩부, 상기 성형물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성형물의 감지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의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이송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ing apparatus, in which air can be injected into an inner space of a shopping bag made of a vinyl material, and then both sides of the shopping bag can be formed into an M shape, So that defects are not generated in the shopping bag during the molding process.
The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veying unit for conveying a molded article to which air is injected in an internal predetermined section; a folding unit for pressing and fold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air-injected part of the molded article conveyed through the conveyance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nveyance unit depending on whether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molded article.

Description

성형장치{FORMING DIVICE}[0001] FORMING DIVICE [0002]

본 발명은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쇼핑백의 양측을 M자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는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lding apparatus capable of forming both sides of a shopping bag in an M-shape.

일반적으로 한번 사용되고 버려지는 일회용 용기는 주 원료가 스치로풀(Styropor) 이나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In general, once used and discarded disposable containers, the main raw material is extruded with styropor or synthetic resin and widely used.

이러한 제품들은 일회용으로서 한번 사용되면 그대로 버려지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제품은 자연환경에 방치되거나 땅속에 묻혀있더라도 쉽게 섞지 않는 것으로서, 반듯이 사용이 완료된 제품을 수거시켜 준 상태에서 버려야만 하는 것으로 이들은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특성에 따라 야외에서 많이 사용됨으로서 한번 사용된 제품을 완전히 수거하기가 매우 어렵다.These products are discarded as they are once used as a disposable product. Such products are those that are left in a natural environment or do not mix easily even when they are buried in the ground. They must be discarded in a state of collecting used products. It is very difficult to collect used products completely.

즉, 유원지나 해변가에 버려진 제품은 그래도 수거가 용이하나, 산에 버려진 제품은 일일이 수거하기가 매우 어려워 버려진 제품을 수거할 수 없어 그대로 방치됨에 따라 자연환경을 오염시키는 주범이 되었고, 상기와 같이 버려진 제품을 일일이 수거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이 동원 됨으로서 인력낭비 및 경제적 손실을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products discarded in amusement parks or beaches are still easy to collect, but products discarded in the mountains can not be picked up because it is very difficult to pick up the products. As they are left untreated, they become a main cause of polluting the natural environment. In order to collect the products one by on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ot of labor is mobilized, resulting in waste of manpower and economic loss.

한편, 종래에도 상기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목재를 주원료로 하는 종이를 용기화 되도록 제작하여 사용이 이루어진 일회용 용기가 그대로 버려지더라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자연 분해됨과 동시에 거름(퇴비)화 되어 자연환경에 버려진 일회용 용기를 일일이 수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제거되도록 함으로서, 자연환경이 일회용 용기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억제되도록 하고 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paper made of wood as a main material is made to be in a container, and even if the used disposable container is discarded as it is, it decomposes when natural time passes, The inconvenience of collecting disposable containers abandoned in the environment is eliminated so that the natural environment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the disposable container.

그러나 이 역시도 종이를 이용해 종이용기를 성형시 종이의 특성에 의한 피드백(Feedback)현상이 발생함은 물론, 종이가 갈라지는 등의 크랙(Crack)현상이 발생하게 됨으로서, 종이를 이용해 용기를 성형시 불량률이 증가하여 제작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is case, when the paper container is formed by using paper, a feedback phenomenon occur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per, and a crack occurs such as cracking of the paper.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아울러, 종래에는 다수개의 종이를 컨베이어밸트 등을 통해 한장씩 이송하고, 주름성형기와 절단기 및 성형기를 통해 용기용기를 제조하였으나, 컨베이어밸트 자체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기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종이가 유동되어 정밀한 성형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ly, a plurality of papers have been conveyed one by one through a conveyor belt, etc., and container vessels have been manufactured through a corrugating machine, a cutter and a molding machine. However, due to vibrations or various other factors generated in the conveyor belt itself, This is an impossible problem.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5027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15027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닐재질로 이루어지는 쇼핑백의 내부공간에 공기를 주입한 다음, 쇼핑백의 양측을 M자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으며, 쇼핑백의 내부공간에 항상 적정량의 공기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성형 과정에서 쇼핑백에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opping bag,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lding apparatus in which a proper quantity of air can be always maintained to prevent defects in a shopping bag during a molding process.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는, 내부 일정구간에 공기가 주입된 성형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성형물 중 공기가 주입된 부분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가압하여 폴딩시키는 폴딩부, 상기 성형물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성형물의 감지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의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이송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veying unit for conveying a molded article to which air is injected in an internal predetermined section; a folding unit for pressing and fold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air-injected part of the molded article conveyed through the conveyance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nveyance unit depending on whether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molded article.

또한, 상기 검출부는,In addition,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를 포함한다.A light emitting portion for emitting light,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그리고, 상기 이송부에 설치되고, 상기 검출부가 성형물을 감지하지 않을 경우 시각적으로 경보하는 시각알림부, 및 청각적으로 경보하는 청각알림부를 더 포함한다.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visual notifying unit installed at the conveying unit and visually alarming when the detecting unit does not detect the molded article, and an auditory notifying unit audibly alarming.

또한, 상기 검출부를 이송부 상에서 이동시켜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더 포함하며,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nterval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interval by moving the detecting unit on the conveying unit,

상기 간격조절부는,Wherein the interval adjusting unit comprises:

상기 이송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측에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슬라이드부, 상기 슬라이드부의 체결홀에 체결되며, 끝단이 상기 이송부를 가압하여 상기 슬라이드부를 고정시키는 가압고정부를 포함한다.A slide part having a fastening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veying part so as to be slidable and having a fastening hole formed therein, a fastening part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slide part, and an end pressurizing the conveying part to fix the slide part do.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는, 비닐재질로 이루어지는 쇼핑백의 내부공간에 공기를 주입한 다음, 쇼핑백의 양측을 M자 형상으로 성형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쇼핑백 내에 공기량이 적정량을 유지하고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성형이 완료된 쇼핑백에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ir is injected into an inner space of a shopping bag made of a vinyl material, and then, when forming both sides of the shopping bag into an M shape, the air bag is kept in a proper amount Can be checked in real time, thereby preventing defects from occurring in the molded shopping ba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에 적용된 틀부와 폴딩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에 적용된 틀부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에 적용된 폴딩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에 적용된 검출부와 시각알림부와 청각알림부 및 간격조절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에 적용된 제어부와 검출부와 시각 알림부와 청각 알림부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1 is a front view showing a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frame part and a folding part applied to the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howing a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ld part applied to the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showing a folding unit applied to the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 detection unit, a visual notification unit, an audible notification unit, and a gap control unit applied to the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control unit, a detection unit, a visual notification unit, and an audible notification unit applied to the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Like parts are designated with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에 적용된 틀부와 폴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에 적용된 틀부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에 적용된 폴딩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에 적용된 검출부와 시각알림부와 청각알림부 및 간격조절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에 적용된 제어부와 검출부와 시각 알림부와 청각 알림부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frame part and a folding part applied to a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a folding unit applied to the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ectional view of a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control unit, a detection unit, a visual notification unit, and an audible notification unit applied to the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1)는 전,후 또는 상,하로 대칭되는 2겹 구조로 이루어지고, 양측이 길이방향을 따라 접착되며, 선단과 후단이 개방되어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는 쇼핑백, 포대 등(이하 '성형물'이라 함.)의 양측을 기계적인 장치를 통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연쇄적으로 폴딩시키기 위한 것이다.A mold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lding apparatus (1) having a double layer structure symmetrically arranged before, after, or up and down, and having both sides attach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front end and a rear end opened to form a tube, (Hereinafter referred to as "molded article") through a mechanical device.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1)는, 내부 일정구간에 공기가 주입된 성형물(P)을 이송시키는 이송부(10), 상기 성형물(P) 중 공기가 주입된 부분의 양측을 가압하여 폴딩시키는 폴딩부(20), 상기 성형물(P)의 팽창 정도를 검출하여 상기 성형물(P)의 내부에 기 설정된 양의 공기가 주입되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부(30), 상기 검출부(30)의 감지 여부에 따라 이송부(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mold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fer unit 10 for transferring a molded product P into which air is injected in a predetermined interval, A detecting unit 30 for detecting the degree of expansion of the molded product P and detecting whether a predetermined amount of air is injected into the molded product P, And a control unit (4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unit (10).

상기 이송부(10)는 외주연에 상기 성형물(P)이 두루마리 휴지와 동일한 방식으로 권취되는 풀림롤(12), 상기 풀림롤(12)과 소정간격 이격되고, 폴딩 성형이 완료된 성형물(P)을 두리마리 휴지와 동일한 방식으로 권취하는 권취롤(13), 상기 풀림롤(12)과 권취롤(13)의 사이에 배치되며 권취롤(13)에 권취되는 성형물(P)을 지지하는 지지부(11)를 포함한다.The transfer unit 10 includes a release roll 12 on which an outer periphery of the mold P is wound in the same manner as a roll of a roll, a molded product P spaced apart from the release roll 1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support portion 11 disposed between the release roll 12 and the take-up roll 13 and supporting the formed product P wound around the take-up roll 13; a take-up roll 13 wound in the same manner as the do- ).

상기 풀림롤(12)과 권취롤(13)은 드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안내부(11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된 상태에서 양측이 상기 지지부(11)에 축 고정되어 제자리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The release roll 12 and the take-up roll 13 may be formed in a drum shape. Both sides of the take-up roll 12 and the take-up roll 13 ar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with the feed guide 112 interposed therebetween. Lt; / RTI >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풀림롤(12)과 권취롤(13)은 각각 공지의 구동모터(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동일한 방향과 속도로 제자리 회전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unwinding roll 12 and the winding roll 13 can b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nd at the same speed, receiving power from a known drive motor (not shown), respectively.

즉, 풀림롤(12)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외면에 권취되어 있는 성형물(P)을 풀어주는 역할을 하고, 상기 권취롤(13)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풀림롤(12)에서 풀리는 성형물(P)을 권취하여 상기 성형물(P)이 이송안내부(112) 및 폴딩부(20)를 거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unwinding roll 12 serves to unwind the molded product P wound on the outer surface while being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and the winding roll 13 is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The molded product P is wound and the molded product P is passed through the conveying guide portion 112 and the folding portion 20.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권취롤(13)에만 상기 구동모터를 연결하여 풀림롤(12)에서 성형물(P)이 풀리도록 하고, 권취롤(13)에 성형물(P)이 권취되는 구조로 구현할 수도 있음을 밝힌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 motor may be connected only to the take-up roll 13 so that the molded product P is unwound from the take-off roll 12 and the molded product P is wound around the take- .

상기 지지부(11)는 상기 풀림롤(12)과 권취롤(13)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풀림롤(12) 및 권취롤(13)이 축 고정되는 틀부(111), 2개 한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틀부(111) 상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이송안내부(112)를 포함한다.The supporting portion 11 is constituted by a pair of two pairs of the frame portion 111 disposed between the unloading roll 12 and the take-up roll 13 and to which the unloading roll 12 and the take-up roll 13 are axially fixed And a conveyance guide part 112 slantingly installed on the frame part 111.

상기 틀부(111)는 다수개의 수직바와 수평바를 사각틀 형상이 되도록 결합하여 제작될 수 있다.The frame 111 may be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and horizontal bars so as to have a rectangular frame shape.

그리고, 상기 틀부(111)의 상측에는 각각 성형물(P)의 공기가 주입된 부분의 상측과 하측 전,후면을 가압하여 공기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부(15)가 설치된다.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portion 111 is provided with a sealing portion 15 for preventing the outflow of air by pressing the upper and lower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ortion where the air of the molded product P is injected.

상기 밀봉부(15)는 원형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틀부(111)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성형물(P)의 전,후면을 가압한다.The sealing portion 15 may be formed in a circular rod shape and presses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molded product P in a state where the sealing portion 15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ame portion 111.

따라서, 상기 밀봉부(15)는 성형물(P)을 가압한 상태에서 통과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Therefore, the sealing portion 15 has a structure that allows the molded product P to pass under pressure.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틀부(111)의 하측에도 상기 밀봉부(15)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밀봉부가 구비됨은 당연하다. Although it is not shown in the drawing,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a sealing portion capable of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as the sealing portion 15 is also provided below the frame portion 111.

또한, 상기 틀부(111)에는 상기 이송부(10)에 의해 이송되는 피이송부(10)의 텐션을 유지하기 위한 텐션유지롤(14)이 구비될 수 있다.The frame part 111 may be provided with a tension holding roll 14 for holding the tension of the conveying part 10 conveyed by the conveying part 10.

상기 텐션유지롤(14)은 다수개를 이루어 상기 틀부(111)에 서로 일정간격 되도록 배치되어 성형물(P) 중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부분의 전면, 후면, 상면, 저면을 고루게 가압한다.The tension retention rolls 14 are arranged in a spaced relation to each other at the frame part 111 so as to uniformly pressurize the front, rear,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molded article P in which no air is injected.

이때, 상기 텐션유지롤(14)은 양측이 상기 틀부(111)에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축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성형물(P)을 가압하여, 상기 성형물(P)이 전체적으로 팽팽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tension holding roll 14 presses the molded product P in a state where both sides of the tension holding roll 14 are rotatably fixed to the frame part 111 so that the molded product P is entirely in a tight state.

즉, 상기 텐션유지롤(14)은 상기 성형물(P)이 권취롤(13)에 권취될 경우 성형물(P)과의 마찰력에 의해 제자리 회전되면서 성형물(P)을 가압하여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tension holding roll 14 is rotated by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molded product P when the molded product P is wound around the take-up roll 13 so that the molded product P can be pressed and maintained in a tight state .

상기 이송안내부(112)는 성형물(P)의 폴딩 성형되는 부분을 지지하는 것으로, 베이스(1122), 상기 베이스(1122)의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지롤(1121)들을 포함한다.The conveyance guide part 112 supports the folded molded part of the formed product P and includes a base 1122 and a plurality of support rolls 1121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vertical length direction of the base 1122 ).

상기 베이스(1122)는 대략 직사각형 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도 1을 기준으로 성형물(P) 중 공기가 주입된 부분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배치된다.The base 1122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frame shape. The base 1122 is formed of two pairs, and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portion of the molded product P into which the air is injected, based on FIG.

상기 지지롤(1121)들은 상기 베이스(1122)의 내부 빈 공간에 수평 배치된 상태에서 양측이 상기 베이스(1122)에 축 고정되어 제자리 회전 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The support rollers 1121 are horizontally disposed in an inner hollow space of the base 1122 so that both sides of the support rollers 1121 are fixed to the base 1122 and can be rotated in place.

그리고, 상기 성형물(P)의 전측에 배치되는 베이스(1122)에 설치된 지지롤(1121)들은 상기 성형물(P)의 전면에 접촉되고, 성형물(P)의 후측에 배치되는 베이스(1122)에 설치된 다른 지지롤(1121)들은 상기 성형물(P)의 후면에 접촉된다.The support rolls 1121 provided on the base 1122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molded product P are disposed on a base 1122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molded product P, And the other support rolls 1121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molded product P. [

따라서, 상기 지지롤(1121)들은 상기 성형물(P)이 권취롤(13)에 권취될 경우, 성형물(P)과의 마찰에 의해 제자리 회전되면서 상기 성형물(P)이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support rolls 1121 are rotated in place by friction with the molded product P when the molded product P is wound around the take-up roll 13 so that the molded product P can be smoothly transported .

이때, 상기 성형물(P)의 전측에 배치되는 베이스(1122)와 성형물(P)의 후측에 배치되는 베이스(1122)는 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서로 가까워지는 형태가 된다.At this time, the base 1122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molded product P and the base 1122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molded product P gradually come closer to each othe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즉, 상기 베이스(1122) 간의 간격 및 지지롤(1121)들 간의 간격은 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태가 되고, 지지롤(1121)들에 간헐적으로 지지된 성형물(P)의 전측면과 후측면 간의 간격 또한 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태가 되는 것이다.That is, the gap between the base 1122 and the support rolls 1121 gradually becomes narrowe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nd the front side of the molded product P intermittently supported by the support rolls 112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rear side and the rear side gradually becomes narrowe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따라서, 성형물(P) 중 후술되는 폴딩부(20)에 의해 폴딩 성형된 부분은 틀부(111)의 하측에 위치된 밀봉부(15)로 갈수록 점차 부피가 작아지게 되어, 밀봉부(15)의 사이를 용이하게 통과하여 권취롤(13)에 권취될 수 있다.The folded portion formed by the folding portion 20 of the molded product P is gradually reduced in volume toward the sealing portion 15 positioned below the frame portion 111, And can be wound around the winding roll 13.

한편, 상기 폴딩부(20)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부(10)를 통해 이송되는 성형물(P) 중 공기가 주입된 부분의 양측을 대략 알파벳 'M'자 형상으로 폴딩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folding unit 20 includes two pairs of folding units 20 for folding both sides of a portion of the molded product P conveyed through the conveying unit 10 into an approximately letter 'M' shape .

구체적으로, 상기 틀부(111)에는 상기 폴딩부(20)를 고정하기 위한 직사각형 판 형상의 고정바(1113)가 복수 설치되고, 상기 폴딩부(20)의 일측면 수직 방향을 따라서는 고정바(1113)에 형성된 관통홀(미도시)에 관통설치되는 복수개의 결합바(21)가 형성된다.A plurality of rectangular bars 1113 for fixing the folding unit 20 are provided on the frame 111 and a fixing bar 1113 is provid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one side of the folding unit 20. [ A plurality of coupling bars 21 are formed to penetrate through holes (not shown)

즉, 상기 폴딩부(20)는 상기 결합바(21)가 고정바(1113)에 고정됨으로 인해 상기 틀부(111)에 상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일면이 상기 성형물(P)의 측면을 가압하는 것이다.That is, the folding part 20 is fixed on the frame part 111 due to the fixing of the coupling bar 21 to the fixing bar 1113, and one surface of the folding part 20 presses the side surface of the molded product P .

그리고, 상기 결합바(21)는 상기 고정바(1113)의 관통홀에 관통된 상태에서 수평 이동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작업자는 피대상물의 폭에 따라 폴딩부(20) 간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The joining bar 21 is horizontally moved in a state of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fixing bar 1113. This allows the operator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olding portions 20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object Can be easily adjusted.

그리고, 상기 폴딩부(20) 간의 간격을 조절한 이후에는 홀더부(미도시)를 통해 상기 결합바(21)를 홀딩시켜 성형물(P)의 양측을 폴딩하는 과정에서 상기 폴딩부(2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fter the interval between the folding units 20 is adjusted, the folding unit 20 is rotated in the process of folding both sides of the molded product P by holding the combining bar 21 through a holder unit (not shown) It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이때, 상기 고정바(1113)의 관통홀은 원 형상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바(21)의 단면 형상은 상기 관통홀에 부합되는 원 형상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상기 고정바(1113)의 관통홀과 결합바(21)가 원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At this time, the through-holes of the fixing bar 1113 are form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upling bars 21 may be form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conforming to the through-holes, And the through hole of the fixing bar 1113 and the coupling bar 21 are formed in a circular shape.

그리고, 상기 홀더부는 중공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바(21)의 외주연에 장착되며, 일측에는 내부와 연결되는 나선홀이 형성된 장착부(미도시) 원형 핀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의 나선홀에 체결되며 그 단부가 상기 결합바(21)의 외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lder portion is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hollow and is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upling bar 21. The holder portion is formed at one side with a circular pin shape having a spiral hole formed therein and connected to the inside thereof, And a pressing portion (not shown) which is formed in a helical line, is fastened to the spiral hol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has an end portion thereof pressing and fix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bar 21. [

한편, 상기 성형물(P)의 양측면은 폴딩부(20)가 가압함으로 인해 내측으로 함몰되는 형태가 된다.On the other h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molded product P are inwardly depressed due to the pressing of the folding part 20. [

또한, 상기 폴딩부(20) 중 성형물(P)을 가압하는 면의 폭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져 대략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width of the surface of the folding unit 20 which presses the molding P gradually narrow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inverted triangle shape.

따라서, 권취롤(13)의 회전작동에 의해 성형물(P)이 폴딩부(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성형물(P)의 양측면 전면과 후면 간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되고, 성형물(P) 중 폴딩부(20)를 통과한 부분의 양측면은 대략 알파벳 'M'자 형상으로 폴딩된다.The gap between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molded product P is gradually narrowed in the process of passing the molded product P through the folding portion 20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winding roll 13, Both sides of the portion passing through the folding portion 20 are folded in an approximately letter 'M' shape.

이때, 상기 성형물(P)의 전체적인 크기나 폭에 따라 기 설정된 양의 공기가 주입되지 않을 경우, 상기 폴딩부(20)가 성형물(P)을 충분히 가압하지 않게 되어, 성형물(P)의 양측 전,후면이 정확하게 대칭되는 형태로 폴딩되지 않고 삐뚫어진 상태로 폴딩되는 문제점이 있다.When the predetermined amount of air is not injected depending on the overall size or width of the molded product P, the folding unit 20 does not press the molded product P sufficiently, ,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ack surface is folded in a twisted state without being folded in a form that is exactly symmetrical.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장치(1)는 상기 성형물(P)의 팽창 정도에 따라 성형물(P)의 내부에 기 설정된 양의 공기가 주입되었는지를 감지하게 되는 검출부(30)를 포함한다.Therefore, the mold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tection unit 30 that detects whether a preset amount of air is injected into the molded product P according to the degree of expansion of the molded product P .

즉, 상기 검출부(30)는 상기 성형물(P)의 내부공간에 기 설정된 양의 공기가 주입되었는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성형물(P)을 불량 발생 없이 폴딩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성형물(P)의 팽창 정도를 비접촉식으로 검출할 수 있는 공지의 포토센서 또는 접촉식으로 검출할 수 있는 접촉감지센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상기 검출부(30)가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는 포토센서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That is, the detection unit 30 detects in real time whether a preset amount of air is inject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molded product P, thereby folding the molded product P without causing any defects. A known photosensor capable of non-contact detection of the degree of expansion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and a contact detection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contact, and in the figure, the detection portion 30 is formed of a photosensor including a light emitting portion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An example is shown.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장치(1)에서 상기 검출부(30)는 성형물(P)의 전면과 후면을 감지하기 위한 제1발광부(31)와 제1수광부(32), 성형물(P)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감지하기 위한 제2발광부(33)와 제2수광부(34)를 포함한다.In the mold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on unit 30 includes a first light emitting unit 31, a first light receiving unit 32, a molded article P and a second light emitting portion 33 and a second light receiving portion 34 for detect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ight receiving portion 33. [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발광부(31,33)와 수광부(32,34)는 브라켓이나 홀더 등의 고정장치(미도시)를 통해 상기 틀부(111)에 고정되거나 또는 후술되는 간격조절부(70)를 통해 상기 틀부(111)에 간격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발광부(31,33)와 수광부(32,34)가 간격조절부(70)를 통해 상기 틀부(111)에 간격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light emitting units 31 and 33 and the light receiving units 32 and 34 are fixed to the frame 111 through a fixing device (not shown) such as a bracket or a holder, The light emitting units 31 and 33 and the light receiving units 32 and 34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rame unit 111 through the gap adjusting unit 70, As shown in Fig.

구체적으로, 상기 틀부(111)의 상측에는 상기 성형물(P)의 전측과 후측에 대칭되도록 수평 배치되고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브라켓(1111) 및 성형물(P)의 좌측과 우측에 대칭되도록 수평 배치되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브라켓(1112)이 구비된다.Specifically, a pair of first brackets 1111 horizontally and bar-shaped ar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111 so as to be symmetrical to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molded product P, And a pair of second brackets 1112 formed in a bar shape horizontally arranged to be symmetrical.

이때, 상기 제1브라켓(1111)과 제2브라켓(1112)은 사각틀 형상이 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bracket 1111 and the second bracket 1112 may be combined to have a rectangular shape.

그리고, 상기 제1브라켓(1111) 및 제2브라켓(1112)은 상기 성형물(P)과 소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제1브라켓(1111)과 제2브라켓(1112)은 후술되는 간격조절부(7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상,하 간격으로 이격된다.The first bracket 1111 and the second bracket 1112 are separated from the molded product P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first bracket 1111 and the second bracket 111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spacing adjusting unit 70 So that they can be easily moved.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1발광부(3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형물(P)의 전측 및 후측에 배치된 제1브라켓(1111) 우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수광부(32)는 상기 성형물(P)의 전측 및 후측에 배치된 제1브라켓(1111)의 좌측에 각각 배치된다.7, the first light emitting portion 31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bracket 1111 disposed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molded product P, and the first light receiving portion 32 are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first bracket 1111 disposed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molded product P, respectively.

따라서 상기 제1발광부(31)와 제1수광부(32)는 상기 성형물(P)을 사이에 두고 대면배치되어, 상기 제1수광부(32)는 제1발광부(31)에서 조사된 광을 수신한다.Accordingly, the first light emitting portion 31 and the first light receiving portion 32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molded product P sandwiched therebetween, and the first light receiving portion 32 receiv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portion 31 .

그리고, 상기 제2발광부(33)는 상기 성형물(P)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 제2브라켓(1112)의 후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2수광부(34)는 상기 성형물(P)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 제2브라켓(1112)의 전측에 각각 배치된다.The second light emitting portion 33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second bracket 1112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lded product P and the second light receiving portion 34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molded product P And are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bracket 1112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따라서, 상기 제2발광부(33)와 제2수광부(34)는 역시 상기 성형물(P)을 사이에 두고 대면배치되어, 상기 제2수광부(34)는 제2발광부(33)에서 조사된 광을 수신한다.Therefore, the second light emitting portion 33 and the second light receiving portion 34 are also arranged so as to face each other with the molded product P sandwiched therebetween, and the second light receiving portion 34 irradiates the second light emitting portion 33 And receives light.

이러한 검출부(30)는 성형물(P)의 내부에 기 설정된 양의 공기가 주입되었는지 여부를 비접촉식으로 검출하게 되며, 그 결과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40)에 송신한다.The detection unit 30 detects whether or not a preset amount of air is injected into the molded product P in a non-contact manner, and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and transmits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control unit 40.

예를 들어, 풀림롤(12)에 권취되어 있는 성형물(P)의 일부분을 풀어 텐션유지롤(14)에 가압되도록 하면서 틀부(111)의 상측에 배치된 밀봉부(15), 틀부(111)의 하측에 배치된 이송안내부(112) 및 밀봉부(15)를 순차적으로 거쳐 권취롤(13)에 소정길이 만큼 권취되도록 셋팅 한 다음, 성형물(P) 중 밀봉부(15)의 사이 구간에 위치된 일부분을 송곳 등의 도구로 천공한 후, 에어컴프레셔 등의 공기주입장치로 성형물(P)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상기 성형물(P)은 부풀어 오르게 된다.The seal part 15 and the frame part 111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part 111 while releasing a part of the formed product P wound on the release roll 12 and pressing the part of the formed product P on the tension holding roll 14, The transfer guide portion 112 and the sealing portion 15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aling portion 15 are sequentially wound on the winding roll 13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molded part P is pierced by a tool such as an auger and then air is injected into the inside of the molded product P by an air injecting device such as an air compressor.

그리고, 상기 성형물(P)의 내부에 기 설정된 양의 공기가 주입될 경우, 상기 성형물(P)의 전,후,좌,우측면이 제1발광부(31)들 및 제2발광부(33)들에서 조사되는 광을 동시에 차단하게 됨으로, 검출부(30)는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어부(40)에 전송한다.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air is injected into the molded product P,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lded product P pas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portions 31 and 33, The detection unit 30 generates a signal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40. The control unit 4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40,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검출부(30)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상기 이송부(10)를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성형물(P)이 제1발광부(31)들 및 제2발광부(33)들에서 조사되는 광을 동시에 차단할 경우 전기적으로 풀림롤(12)에 연결된 구동모터 및 권취롤(13)에 연결된 구동모터를 동시에 작동시켜, 성형물(P)이 권취롤(13)에 감기도록 하며, 그 과정에서 상기 성형물(P)의 공기가 주입된 부분 양측면이 폴딩부(20)에 의해 알파벳 'M'자 형상으로 폴딩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40 controls the transfer unit 10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of the detection unit 30 so that the molded product P is transferred to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s 31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s 33 The driving motor connected to the unwinding roll 12 and the driving motor connected to the winding roll 13 are operate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molded product P is wound on the winding roll 13, So that both sides of the portion of the molded product P into which the air is injected are folded by the folding unit 20 in an alphabet 'M' shape.

이때, 상기 성형물(P)의 천공 부위는 틀부(111)의 하측에 위치된 밀봉부(미도시)와 가까운 곳으로 설정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시 성형물(P)의 천공 부위가 틀부(111)의 하측에 위치된 밀봉부(15)를 신속히 통과하도록 하므로서, 내부에 주입된 공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uncturing portion of the molded product P is set to be close to the sealing portion (not shown) located below the frame portion 111, So that the air injected into the inside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out.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장치(1)는 상기 성형물(P)의 내부에 주입된 유출될 경우 이 사실을 작업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림부를 더 포함한다.Meanwhile, the mold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notification unit for informing the operator of the fact that the molded product P is poured into the molded product P0.

구체적으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제어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틀부(111)에 설치되며 시각적으로 경보하는 시각알림부(50)와 청각적으로 경보하는 청각알림부(6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notification unit includes a visual notification unit 5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0 and installed in the frame unit 111 to visually alarm the user, and an audible alarm unit 60 audibly alarmed.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성형물(P)의 양측을 알파벳 'M'형상으로 폴딩하는 과정에서 상기 성형물(P)의 내부에 주입된 공기는 밀봉부(15)에 의해 가압된 부분을 통해 유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성형물(P)의 내부에는 기 설정된 공기의 양이 유지되지 못해 성형물(P)이 수축된다.The control unit 40 controls the air to be injected into the molded product P in the process of folding both sides of the molded product P in an alphabetical 'M' shape through the portion pressed by the sealed unit 15 Whereby the amount of predetermined air can not be maintained inside the molded product P, and the molded product P contracts.

이와 같은 경우 제1수광부(32)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제1발광부(31)들에서 조사되는 광을 수신하게 됨으로, 검출부(30)는 에러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40)에 전송한다.In this case, since at least one of the first light receiving portions 32 receiv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portions 31, the detecting portion 30 generates an error signal and transmits the error signal to the control portion 40.

그리고, 상기 제어부(40)는 검출부(30)로부터 전송된 에러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이송부(10)의 작동을 중지시킴과 아울러 상기 시각알림부(50)와 청각알림부(60)를 동시에 작동시켜 작업자가 성형물(P)의 내부에서 공기가 유출된 사실을 알 수 있도록 한다.Upon receiving the error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etection unit 30, the control unit 40 stops the operation of the conveyance unit 10 and simultaneously transmits the visual notification unit 50 and the auditory notification unit 60 So that the operator can know the fact that the air has leaked from the inside of the molded product P.

이로 인해 작업자는 성형장치(1)로 이동하여 다시 성형물(P) 중 밀봉부(15)의 사이 구간에 위치된 일부분을 천공한 다음 송곳 등의 도구로 천공한 후, 에어컴프레셔 등의 공기주입장치로 성형물(P)의 내부에 기 설정된 양의 공기를 주입하여 성형물(P)의 폴딩작업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the operator moves to the molding apparatus 1 and again punctures a part of the molding P located in the interval between the sealing portions 15 and then punctures it with a tool such as an auger, A predetermined amount of air is injected into the inside of the molded article P to perform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molded article P.

이때, 상기 시각알림부(50)는 공지의 경광등이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청각알림부(60)는 공지의 부저가 적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a known beacon may be applied to the visual notifying unit 50, and a known buzzer may be applied to the audible beacon notification unit 60.

한편, 상기 간격조절부(70)는 성형물(P)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제1수광부(32)들과 제1발광부(31)들 간의 간격 및 제2수광부(34)들과 제2발광부(33)들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송부(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드부(71), 상기 슬라이드부(71)를 틀부(111)에 고정시키는 가압고정부(72)를 포함한다.The interval adjusting unit 70 adjust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light receiving units 32 and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s 3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light receiving units 34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s 31, A slide fixing portion 72 for fixing the slide portion 71 to the frame portion 111 and a fixing portion 72 for fixing the slide portion 71 to the frame portion 111, .

상기 슬라이드부(71)는 상기 제1발광부(31)와 제1수광부(32), 제2발광부(33)와 제2수광부(34)에 각각 1:1결합되며, 중앙부분에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는 장착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브라켓(1111) 및 제2브라켓(1112)의 외주연에 장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The slide portion 71 is coupled to the first light emitting portion 31 and the first light receiving portion 32, the second light emitting portion 33 and the second light receiving portion 34 at a ratio of 1: And can be slidably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ces of the first bracket 1111 and the second bracket 1112. [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부(71)의 일측에는 상기 장착홀과 연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된다.A coupling hole, which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hol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lide part 71.

상기 가압고정부(72)는 원형 핀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부(71)의 체결홀에 체결되며, 끝단이 제1브라켓(1111) 또는 제2브라켓(1112)의 외면을 가압하여 상기 슬라이드부(71)를 고정시킨다.The pressing and fixing part 72 is formed in a circular pin shape and has a spiral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thereof and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slide part 71. The end of the fastening part 72 is connected to the first bracket 1111 or the second bracket 1112, So that the slide portion 71 is fixed.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장치(1)는 간격조절부(70)를 포함함에 따라 성형물(P)의 사이즈에 맞게 상기 제1수광부(32)들과 제1발광부(31)들 간의 간격 및 제2수광부(34)들과 제2발광부(33)들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성형물(P)을 불량 없이 폴딩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mold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interval adjusting unit 70 and the first light receiving unit 32 and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31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olded product P,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second light receiving portions 34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portions 33 can be adjusted, so that the molded product P having various sizes can be folded and formed without defects.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 : 성형장치 10 : 이송부
11 : 지지부 111 : 틀부
1111 : 제1브라켓 1112 : 제2브라켓
1113 : 고정바 112 : 이송안내부
1121 : 베이스 1122 : 지지롤
12 : 풀림롤 13 : 권취롤
14 : 텐션유지롤 15 : 밀봉부
20 : 폴딩부 21 : 결합바
30 : 검출부 31 : 제1발광부
32 : 제1수광부 33 : 제2발광부
34 : 제2수광부 40 : 제어부
50 : 시각알림부 60 : 청각알림부
70 : 간격조절부 71 : 슬라이드부
71a : 체결홀 72 : 가압고정부
80 : 홀더부 81 : 장착부
82 : 가압부
1: molding apparatus 10: conveying section
11: Support part 111: Frame part
1111: first bracket 1112: second bracket
1113: Fixing bar 112: Feeding guide
1121: Base 1122: Support roll
12: unwinding roll 13: winding roll
14: tension holding roll 15: sealing portion
20: folding part 21: coupling bar
30: Detection unit 31: First light emitting unit
32: first light receiving portion 33: second light emitting portion
34: second light receiving section 40:
50: Visual notification unit 60: Auditory notification unit
70: gap adjusting portion 71:
71a: fastening hole 72:
80: holder part 81: mounting part
82:

Claims (4)

내부 일정구간에 공기가 주입된 성형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성형물 중 공기가 주입된 부분의 양면을 각각 가압하며, 상기 성형물을 가압하는 면의 폭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져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성형물 중 공기가 주입된 부분의 양면을 알파벳 'M'자 형상으로 폴딩시키는 폴딩부,
상기 성형물의 전면과 후면을 감지하는 제1발광부와 제1수광부, 상기 성형물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감지하는 제2발광부와 제2수광부를 포함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의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이송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검출부를 이송부 상에서 이동시켜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외주연에 미 성형된 성형물이 권취되는 풀림롤,
상기 풀림롤과 소정간격 이격되고 폴딩 성형이 완료된 성형물을 권취하는 권취롤,
상기 풀림롤과 권취롤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권취롤에 권취되는 성형물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풀림롤과 권취롤의 사이에 배치되는 틀부,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성형물 중 폴딩 성형되는 부분을 지지하는 이송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안내부는,
상기 성형물 중 공기가 주입된 부분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내부 빈 공간에 수평 배치되어 상기 성형물과 접촉되며, 양측이 상기 베이스에 축 고정되어 성형물이 권취롤에 권취될 경우, 상기 성형물과의 마찰에 의해 제자리 회전되면서 성형물의 이송을 안내하는 지지롤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및 지지롤은 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서로 점진적으로 가까워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검출부가 고정되고, 상기 이송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측에는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슬라이드부,
상기 슬라이드부의 체결홀에 체결되며, 끝단이 상기 이송부를 가압하여 상기 슬라이드부를 고정시키는 가압고정부를 포함하는 성형장치.
A transfer part for transferring the air-injected molding material in an internal predetermined section,
And the width of the surface to which the molded product is pressed gradually narrow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o be formed into an inverted triangle shape , A folding unit for folding both sides of the portion into which the air is injected in an alphabet 'M' shape,
A detecting unit including a first light emitting unit and a first light receiving unit for detect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molded product,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for detecting a left side and a right side of the molded produc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nveyance unit according to whether the detection unit is detected,
And an interval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interval by moving the detecting unit on the conveying unit,
The transfer unit
A release roll on which an unformed molding is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A take-up roll spaced apart from the take-up rol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support portion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unwinding roll and the winding roll and supports the molded product wound on the winding roll,
The support portion
A frame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unwinding roll and the winding roll,
And a conveyance guide portion formed of a pair of two to support a portion of the molding that is to be folded and formed,
The conveyance guide portion
A pair of bases disposed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portion to which the air is injected,
And a support for guiding the conveyance of the molded article while being rotated by the friction with the molded product when the molded product is wound on the take-up roll, the support being horizontally disposed in the inner hollow space of the base and being in contact with the molded product, Roll,
The base and the support rolls are arranged so as to be gradually closer to each othe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Wherein the interval adjusting unit comprises:
A slide part fixed to the detecting part and slidably mounted on the conveying part and having a coupling hole connected to the inner space at one side,
And a pressing and fixing unit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slide part and having an end pressurizing the conveying part to fix the slide par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에 설치되고, 상기 검출부가 성형물을 비 감지시 시각적으로 경보하는 시각알림부, 청각적으로 경보하는 청각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성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visual notification unit installed in the conveyance unit and visually alarming the molded article when the molded article is not sensed, and an audible notification unit audibly alarming the molded article.
삭제delete
KR1020170150691A 2017-11-13 2017-11-13 Forming divice KR1019958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691A KR101995818B1 (en) 2017-11-13 2017-11-13 Forming di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691A KR101995818B1 (en) 2017-11-13 2017-11-13 Forming di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446A KR20190054446A (en) 2019-05-22
KR101995818B1 true KR101995818B1 (en) 2019-07-03

Family

ID=66679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691A KR101995818B1 (en) 2017-11-13 2017-11-13 Forming di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81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776B1 (en) * 2016-04-11 2016-12-28 에스에스켐텍 주식회사 Method of manufacturing heavy duty bags made of low-density polyethylen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6909A (en) * 1997-04-15 1998-11-16 한종상 Vinyl width automatic control device
KR100296051B1 (en) * 1998-11-02 2001-10-29 박희석 Apparatus for forming vinyl bag
KR20160015027A (en) 2014-07-30 2016-02-12 주식회사 옥천 Paper case manufactur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776B1 (en) * 2016-04-11 2016-12-28 에스에스켐텍 주식회사 Method of manufacturing heavy duty bags made of low-density polyethyle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446A (en)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68197B (en) FOERFARANDE FOER ATT FORMA FYLLA OCH TILLSLUTA FOERPACKNINGAR OCH ANORDNING FOER GENOMFOERANDE AV DETTA
CN106181356B (en) Medicine mixer kludge
US4334399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strip-like plastics bag material in packaging machine
AU19972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d hermetically sealing slices of food items
CN106185251B (en) A kind of medicine mixer kludge
EP253663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products in tubular net
US2484780A (en) Wrapping machine and method of wrapping
US20170080634A1 (en) Aligned Perforation Knife and Heat Seal Bar Apparatus for Vertically Positioned Horizontally Traversing Plastic Film Bags Forming Machine
KR101995818B1 (en) Forming divice
JP3027202B2 (en) Detector for defective part of band
CN216186664U (en) Packaging machine
JP2844112B2 (en) Lid film transfer device
EP0516259B1 (en) Apparatus for feeding a continuous plastic film
WO2013059052A1 (en) Apparatus for joining overlapped side edges of plastic film sheet formed into elongate tube
CN209923576U (en) End sewing device for plastic woven bag production
JP201951794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a sheet into a continuous strip
JPH10101005A (en) Horizontal bag forming and filling method and equipment therefore
US3619972A (en) Packaging apparatus
KR20090111201A (en) A bundle of a vinyl sheet manufacturing apparatus and the bundle of vinyl sheet thereby
CN111703664A (en) Express delivery parcel bubble chamber film baling equipment
JPH0457710A (en) Multiple row automatic packaging device
JPS594882Y2 (en) Pillow type packaging equipment
JP6378488B2 (en) Pillow packaging equipment
KR101285437B1 (en) Water tissue packaging system
JPS5923974B2 (en) Surface treatment equipment for synthetic resin molded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