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712B1 - 하부케이싱 및 라이너가 분할된 구조의 스크류 컨베이어와, 그것의 라이너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하부케이싱 및 라이너가 분할된 구조의 스크류 컨베이어와, 그것의 라이너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712B1
KR101995712B1 KR1020190037923A KR20190037923A KR101995712B1 KR 101995712 B1 KR101995712 B1 KR 101995712B1 KR 1020190037923 A KR1020190037923 A KR 1020190037923A KR 20190037923 A KR20190037923 A KR 20190037923A KR 101995712 B1 KR101995712 B1 KR 101995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r
screw member
casing
screw
lower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훈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엠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엠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에스.엠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90037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7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4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comprising a screw or screws enclosed in a tubular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05Driving means, constitutive elements or auxiliary devices
    • B65G2812/0544House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77Screw-conveyors for bulk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rew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류 컨베이어에 구비되는 라이너에서 마모가 발생하는 부분에 대하여 라이너의 부분적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스크류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케이싱과, 내부에 작동공간을 가지도록 상부케이싱과 조립되는 것으로서, 작동공간의 하부가 반원형의 공간을 이루도록 원주면을 따르는 곡면부를 가진 하부케이싱을 포함하는 케이싱과, 상기 작동공간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이송물의 이송을 발생시키는 스크류부재와, 상기 곡면부의 내면에 밀착상태로 설치되어 작동공간의 하면을 이루어 스크류부재를 감싸는 상태에서 스크류부재와 접촉하는 라이너를 포함하는 스크류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싱 및 라이너는 스크류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일측부와 타측부가 중앙부로부터 독립적으로 분리 및 재조립되도록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부케이싱 및 라이너가 분할된 구조의 스크류 컨베이어와, 그것의 라이너 설치방법{SCREW CONVEYOR HAVING DIVIDED STRUCTURE OF LOWER CASING AND LINER, AND LINER INSTALLA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하부케이싱 및 라이너가 분할된 구조의 스크류 컨베이어와, 그것의 라이너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마모가 심한 라이너의 일부분을 분리하여 부분적으로 교체하거나 재설치할 수 있도록 하부케이싱 및 라이너를 분할한 구조의 스크류 컨베이어와, 그것의 라이너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크류 컨베이어는 전동기가 나선형으로 감긴 구조의 스크류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이송대상물을 소정의 위치까지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공급되는 슬러지, 분말 등의 이송에 흔히 이용되고 있다.
그와 같은 스크류 컨베이어는, 중심부에 주축을 구비하고 주축의 둘레에 스크류날개가 나선형으로 감긴 주축 스크류 컨베이어와, 하수 슬러지 등의 이송을 위해 중심부에 별도의 주축이 없이 나선형으로 감긴 스크류 자체만 회전하는 무축 스크류 컨베이어가 있다.
도 1은 그러한 스크류 컨베이어 중 무축 스크류 컨베이어의 구조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등록특허 제10-0584529호에 기재된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케이싱(1) 내측 하부면에 라이너(4)를 안착시키고, 라이너(4)의 상부에 무축 스크류부재(3)를 내설시켜 구동모터와 연결한다.
또한, 케이싱(1)의 덮개(2)에 지지턱(5)이 형성되도록 하여, 덮개(2)의 지지턱(5)에 의해 라이너(4)의 좌우 상단부를 압박하여 라이너(4)에 고정력을 부여하고 있다.
전술한, 종래의 스크류 컨베이어의 구성을 살펴보면, 스크류부재(3)와 라이너(4)의 마찰로 인해 스크류부재(3)의 하측에서 라이너(4)의 마모가 진행되나, 그러한 라이너(4)의 마모는 스크류부재의 길이방향과 둘레방향을 따라 불균일하게 발생한다.
라이너(4)의 마모가 일부분에서 심하게 이루어져 천공이 발생할 경우, 스크류부재(3)나 케이싱(1)의 손상이 있을 수 있고 스크류부재(3)의 원활한 작동에 위험요인이 되므로, 주기적으로 라이너(4)의 교체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한 라이너(4)의 교체는 케이싱(1)의 하부를 분리하여 일체화된 라이너(4)를 교체하는 것으로서, 라이너(4)의 손상되지 않은 부분들도 폐기되어 라이너의 활용효율이 낮아 유지보수비용의 증가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류 컨베이어에 구비되는 라이너에서 마모가 발생하는 부분에 대하여 라이너의 부분적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스크류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크류 컨베이어에 구비되는 라이너에서 마모의 정도가 다른 부분을 재배치함으로써 라이너의 활용율을 높일 수 있는 구조의 스크류 컨베이어와, 그것의 라이너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케이싱과, 내부에 작동공간을 가지도록 상부케이싱과 조립되는 것으로서, 상기 작동공간의 하부가 반원형의 공간을 이루도록 원주면을 따르는 곡면부를 가진 하부케이싱을 포함하는 케이싱과, 상기 작동공간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이송물의 이송을 발생시키는 스크류부재와, 상기 곡면부의 내면에 밀착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작동공간의 하면을 이루어 상기 스크류부재를 감싸는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부재와 접촉하는 라이너를 포함하는 스크류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싱 및 상기 라이너는 상기 스크류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일측부와 타측부가 중앙부로부터 독립적으로 분리 및 재조립되도록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라이너가 상기 스크류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원주면을 따르는 곡판체를 이루면서 좌우대칭의 형상이고, 상기 스크류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접촉선을 가지는 복수의 부분라이너가 조합된 것으로서, 상기 복수의 부분라이너는 상기 스크류부재의 둘레방향에서 서로 균등분할된 것이고, 상기 라이너는 상기 스크류부재의 곡률보다 큰 곡률을 가진 곡판체로 형성하여, 상기 스크류부재의 하측에서 상기 라이너와 접촉하고 상기 스크류부재의 양 측에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싱에 상기 라이너의 좌우측의 각 상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구조가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고정구조는 상기 라이너의 상단이 끼워지는 안착홈과, 상기 라이너의 상단에 하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상기 안착홈의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라이너의 상단을 형성하는 부분이 상기 하부케이싱의 내면에 밀착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에 설치되어 상기 라이너의 상단을 상기 하부케이싱의 내면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작동공간의 후단부에 상기 스크류부재의 후단부를 받침으로써 상기 스크류부재와 상기 라이너와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스크류행거가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부재는 중심의 주축부가 비어있는 무주축스크류의 구조이며, 상기 스크류행거는 상기 스크류부재의 후단부에서 전방을 향해 상기 스크류부재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인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에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스크류부재를 받치고 구름접촉하는 접촉롤러와, 상기 접촉롤러가 상기 스크류부재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로드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한편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상부케이싱과, 내부에 작동공간을 가지도록 상부케이싱과 조립되는 것으로서, 상기 작동공간의 하부가 반원형의 공간을 이루도록 원주면을 따르는 곡면부를 가진 하부케이싱을 포함하는 케이싱과, 상기 작동공간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이송물의 이송을 발생시키는 스크류부재와, 상기 곡면부의 내면에 밀착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작동공간의 하면을 이루어 상기 스크류부재를 감싸는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부재와 접촉하는 라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케이싱 및 상기 라이너는 상기 스크류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일측부와 타측부가 중앙부로부터 독립적으로 분리 및 재조립되도록 분할되며, 상기 라이너는, 상기 스크류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원주면을 따르는 곡판체를 이루면서 좌우대칭의 형상이고, 상기 스크류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접촉선을 가지는 복수의 부분라이너가 조합된 것이고, 상기 라이너는 상기 스크류부재의 곡률보다 큰 곡률을 가진 곡판체로 형성하여, 상기 스크류부재의 하측에서 상기 라이너와 접촉하고 상기 스크류부재의 양 측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것이며, 상기 복수의 부분라이너는 상기 스크류부재의 둘레방향에서 서로 균등분할된 것인 스크류 컨베이어의 라이너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류부재의 하측에서 상기 라이너의 마모가 발생하는 1단계; 상기 하부케이싱을 상기 상부케이싱으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복수의 부분라이너를 상기 하부케이싱으로부터 분리하는 2단계; 상기 1단계에서 상기 스크류부재의 양측에 위치하던 상기 라이너의 부분이 상기 스크류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복수의 부분라이너를 재조립하여 상기 하부케이싱 상에 상기 라이너를 설치하는 3단계; 상기 하부케이싱을 상기 상부케이싱에 조립하는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컨베이어의 라이너 설치방법은 상기 라이너가, 상기 스크류부재의 하측에서 상기 접촉선을 가지도록 2개의 부분라이너로 균등분할된 것이고,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라이너의 좌우측의 각 상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구조가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고정구조는 상기 라이너의 상단이 끼워지는 안착홈과, 상기 라이너의 상단에 하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상기 안착홈의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라이너의 상단을 형성하는 부분이 상기 하부케이싱의 내면에 밀착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에 설치되어 상기 라이너의 상단을 상기 하부케이싱의 내면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컨베이어는, 스크류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하부케이싱 및 라이너의 일측부와 타측부가 중앙부로부터 독립적으로 분리 및 재조립되도록 분할됨으로써, 마모가 상대적으로 심하게 발생하는 라이너의 일측부와 타측부를 중앙부와 독립적으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라이너의 사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컨베이어는, 스크류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접촉선을 가지는 복수의 부분라이너가 조합되어 라이너를 구성하고, 상기 복수의 부분라이너는 스크류부재의 둘레방향에서 서로 균등분할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마모가 상대적으로 큰 부분과 작은 부분을 교체배치하여 재설치 및 재사용할 수 있는 바, 라이너의 사용효율을 높이고 유지보수비용의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컨베이어는, 케이싱에 라이너의 좌우측의 각 상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구조가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고정구조는 라이너의 상단을 형성하는 부분이 하부케이싱의 내면에 밀착할 수 있도록 가압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마모된 부분이 안착홈에 끼워진 상태에서도 라이너가 흔들리지 않고 하부케이싱의 내면에 밀착되어 안정된 설치상태를 형성함으로써, 라이너의 사용효율을 높이는 부분라이너의 재설치 후에도 스크류 컨베이어가 원활히 작동할 수 있다.
도 1는 종래 무축 스크류 컨베이어의 단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컨베이어의 종방향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컨베이어의 구성을 설명하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컨베이어의 횡방향 단면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컨베이어에서 부분라이너를 재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컨베이어에서 안착홈, 탄성부재 및 가압수단의 구성을 설명하는 구성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컨베이어에서 안착홈, 탄성부재 및 가압수단의 작용을 설명하는 작용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컨베이어의 구성을 설명하는 분해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스크류 컨베이어에서 부분라이너를 재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컨베이어에서 스크류행거가 설치된 단면구성을 도시하는 구성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컨베이어는, 상부케이싱(20)과, 내부에 작동공간(15)을 가지도록 상부케이싱(20)과 조립되는 것으로서, 상기 작동공간(15)의 하부가 반원형의 공간을 이루도록 원주면을 따르는 곡면부를 가진 하부케이싱(30)을 포함하는 케이싱(10)과, 상기 작동공간(15)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이송물의 이송을 발생시키는 스크류부재(40)와, 상기 곡면부의 내면에 밀착상태로 설치되어 작동공간(15)의 하면을 이루어 스크류부재(40)를 감싸는 상태에서 스크류부재(40)와 접촉하는 라이너(5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10)은 스크류부재(40)가 위치하여 슬러지 등 이송대상물의 이송을 위한 작동공간(15)을 감싸 형성시키는 부분으로서, 상부케이싱(20)과 하부케이싱(30)을 포함한다.
상부케이싱(20)은 작동공간(15)의 상부를 덮는 것으로서, 상판(21)과 양 측판(22)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케이싱(30)은 작동공간(15)의 하부를 커버하여 스크류부재(40)를 받치는 부분으로서, 내면(30c)에는 라이너(50)가 설치된다.
하부케이싱(30)은 작동공간(15)의 하부가 반원형의 공간을 이루도록 원주면을 따르는 곡면부를 가지는 것으로서, 스크류부재(40)의 하부를 반원형으로 감싸안는 형상이고 상부케이싱(20) 중 양 측판(22)에 하부케이싱(30)의 양측의 플랜지(30a,30b)가 볼트(34)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조립이 이루어진다.
상기 스크류부재(40)는 작동공간(15)에서 슬러지, 분말 등의 이송대상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나선형태의 구조를 가지고 일측에 위치한 전동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공간(15)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는 투입구(18)를 통해 유입된 이송대상물이 스크류부재(40)의 회전에 의해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되어 작동공간(15)의 타측 하부에 설치된 배출구(19)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부재(40)는 합성수지로 제작되고 회전축부분이 비어있는 무축 스크류부재(40)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라이너(50)는 하부케이싱(30)의 반원형의 곡면부의 내면(30c)에 밀착상태로 설치되어 작동공간(15)의 하면을 이루고 스크류부재(40)를 감싸는 상태에서 스크류부재(40)와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스크류부재(40)의 회전시 라이너(50)와 마찰하게 되므로, 마찰에 따른 마모는 라이너(50)에서 발생되고, 라이너(50)에 의해 하부케이싱(30)은 보호될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싱(30) 및 라이너(50)는 스크류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일측부(31)와 타측부(32)가 중앙부(33)로부터 독립적으로 분리 및 재조립되도록 분할된다.
이는 스크류부재(40)의 회전시 스크류부재(40)와 접촉하는 라이너(50)의 마모율은 스크류부재(4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라이너(50)의 일측부(31)와 타측부(32)에서 중앙부(33)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다.
이에 따라, 설정치 이상의 마모시 라이너(50)의 교체가 필요하므로, 그러한 교체주기를 라이너(50)의 일측부(31)와 타측부(32)에서 짧게 하고, 중앙부(33)에서 길게 하는 것이, 라이너(50)의 교체소요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부케이싱(30) 및 라이너(50)의 일측부(31)와 타측부(32)가 중앙부(33)로부터 분할구성함으로써, 라이너(50)의 일측부(31)와 타측부(32)를 독립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 및 도 3과 같이, 하부케이싱(30) 및 라이너(50)을 각각 일측부(31)와 중앙부(33)와 타측부(32)로 순차적으로 분할하고, 하부케이싱(30) 및 라이너(50)는 서로 대응하도록 서로 동일길이로 각각 분할되어 있다.
상기 일측부(31)와 중앙부(33)와 타측부(32)는 볼트(34) 결합된 플랜지(30d,30f)에 의해 서로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라이너(50)의 일측부(31)와 타측부(32)의 교체시 도 3과 같이, 하부케이싱(30) 및 라이너(50)의 중앙부(33)는 상부케이싱(20)과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부케이싱(30) 및 라이너(50)의 일측부(31)와 타측부(32)를 상부케이싱(20)으로부터 분리하고 하부케이싱(30)에 라이너(50)를 교체한 후, 상부케이싱(20)에 재조립한다.
대략 라이너(50)의 일측부(31) 및 타측부(32)를 2회 교체시마다 라이너(50)의 중앙부(33)를 1회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라이너(50)가 복수의 부분라이너(51,52)가 조합되어 전체를 이루도록 분할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분할된 복수의 부분라이너(51,52)는 하부케이싱(30)의 곡면부의 내면(30c)에 설치된 상태에서 서로 접촉하는 접촉선(53)이 형성되고, 이 접촉선(53)은 스크류부재(40)의 길이방향의 직선으로 형성되고 라이너(50)가 복수의 부분라이너(51,52)로 분할되는 분할선이 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라이너(50)는 2개의 좌우대칭인 부분라이너(51,52)로 구성되고, 부분라이너(51,52)가 조합되어 형성된 라이너(50)의 전체 설치상태에서 라이너(50)는 스크류부재(40)의 둘레방향을 따라 원주면을 따르는 곡판체를 이루면서 좌우대칭의 형상을 가진다.
부분라이너(51,52)는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부분라이너(51,52)가 될 수 있고, 도 9와 같이 3개의 부분라이너(54,55,56)가 조합될 수도 있는 것으로서, 복수의 부분라이너(51,52)는 스크류부재(40)의 둘레방향에서 서로 균등분할되도록 한다.
상기 라이너(50)가 전술한 좌우대칭의 형상을 가지고 스크류부재(40)의 둘레방향에서 서로 균등분할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모된 부분과 미마모된 부분의 위치를 바꾸어 재조립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술한 라이너(50)는 곡률(r2)이 스크류의 곡률((r1)보다 크게 구성된다.
즉, 도 4를 참고하면, 라이너(50)가 스크류부재(40)의 곡률(r1)보다 큰 곡률(r2)을 가진 곡판체로 형성하여, 스크류부재(40)의 하측에서 라이너(50)와 접촉하고 상기 스크류부재(40)의 양 측에서 소정간격(b) 이격되도록 한다.
이는 스크류부재(40)와 라이너(50)의 마찰 및 마모가 스크류부재(40)의 하부에서 주로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라이너(50)에서 마모가 발생하지 않은 양 측 부분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재조립에 의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부케이싱(20)의 하면에는 부분라이너(51,52)를 눌러 라이너(50)의 상단에 하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61)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61)는 고무블록이 바람직하다.
하부케이싱(30)이 상부케이싱(20)에 조립시, 상기 탄성부재(61)가 각 부분라이너(51,52)의 상단을 하측방향으로 누름으로써, 부분라이너(51,52)의 접촉선(53)에서 좌우측 부분라이너(51,52)가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도 4의 확대된 부분과 같이, 접촉선(53)이 형성되는 부분라이너(51,52)의 단부는 돌기와 홈의 형태로 부분라이너(51,52)가 서로 접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와 홈은 서로를 향하는 산형과 V형골로 서로 맞물리는 구조로서, 산형과 V형골이 각진 형태를 가지고 서로 맞물림으로써 탄성부재(61)의 탄성력으로 누르는 힘을 부분라이너(51,52)가 받더라도 접촉선(53)에서 안정적 접촉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일측부(31)와 중앙부(33)와 타측부(32) 중 어느 하나의 라이너(50)를 재조립하기 위해 하부케이싱(30)과 부분라이너(51,52)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스크류부재(40)를 받치는 라이너(50)는 스크류부재(40)의 하측을 받치는 부분에서 스크류부재(40)의 자중을 받고 마찰이 주로 발생하므로, 대부분의 마모가 스크류부재(40)의 하측을 받치는 부분에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5와 같이, 부분라이너(51,52) 중 스크류부재(40)의 하측을 받친 A부분에서 마모가 진행되어 라이너(50)가 얇아진 상태이다.
도 5와 같이 부분라이너(51,52)를 분해한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라이너(50)의 좌우측 상단면이었던 부분이 서로 접촉하는 접촉선(53)을 이루도록 부분라이너(51,52)를 각각 돌려 재배치하고, 복수의 부분라이너(51,52)를 재조립하여 하부케이싱(30) 상에 라이너(50)를 설치한다.
이에, 부분라이너(51,52)에서 마모가 발생한 A부분이 모두 스크류부재(40)의 측방향으로 배치되고, 미마모된 B부분이 서로 접촉하여 스크류부재(40)의 하측에 배치되어 스크류부재(40)와 마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라이너(50)의 불필요한 교체를 피하고 재조립에 의해 라이너(5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케이싱(10)에는 라이너(50)의 좌우측의 각 상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구조가 좌우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조는 라이너(50)의 상단이 끼워지는 안착홈(63)과, 상기 라이너(50)의 상단에 하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안착홈(63)의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61)와, 상기 라이너(50)의 상단을 형성하는 부분이 하부케이싱(30)의 내면(30c)에 밀착할 수 있도록 안착홈(63)에 설치되어 라이너(50)의 상단을 하부케이싱(30)의 내면(30c)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71)을 포함한다.
상기 안착홈(63)은 라이너(50)의 상단이 끼워져 안착되는 부분으로서, 상부케이싱(20)과 하부케이싱(30)의 조립에 의해 형성된다.
즉, 안착홈(63)은 하부케이싱(30)의 곡면부 중 내면(30c)의 상단부와 상부케이싱(20)의 하단부에서 내측에 설치된 하향돌기(16)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다.
상기 안착홈(63)은 상부케이싱(20)과 하부케이싱(30)의 조합에 의해 형성하지 않고 상부케이싱(20)과 하부케이싱(30) 중 어느 하나에 형성시켜 라이너(50)의 상단이 끼워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본 실시예와 같이 상부케이싱(20)과 하부케이싱(30)의 조합에 의해 형성하는 구조가 제작상 보다 용이하다.
상기 탄성부재(61)는 라이너(50)의 상단에 하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안착홈(63)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고무블록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61)에 라이너(50)의 상단이 밀착하도록 안착홈(63)에 끼워짐으로써, 탄성부재(61)가 라이너(50)에 가하는 탄성력이 발생하게 되고, 부분라이너(51,52)가 서로 접촉하는 접촉선(53)에서 긴밀한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압수단(71)은 라이너(50)의 상단을 형성하는 부분이 하부케이싱(30)의 내면(30c)에 밀착할 수 있도록 안착홈(63)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수단(71)은 탄성판이 절곡된 형태로 설치되어 상부케이싱(20)의 내면에 용접(71b) 고정되고, 안착홈(63)의 내부로 절곡된 단부(71a)가 배치되며, 탄성판의 절곡된 단부(71a)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가면서 외측경사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라이너(50)의 상단이 안착홈(63)에 끼워지면 탄성판의 절곡된 단부(71a)를 타고 상승할 수 있고, 탄성판의 절곡된 단부(71a)는 탄성력에 의해 라이너(50)의 상단을 외측방향, 즉 하부케이싱(30)의 내면(30c)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수단(71)의 작용은 마모된 라이너(50)의 단부가 안착홈(63)에 끼워져 설치될 경우에 중요한 작용을 한다.
즉, 도 8과 같이, 부분라이너(51,52)의 마모된 부분이 스크류부재(40)의 측방에 위치하도록 재조립하여 설치한 경우, 부분라이너(51,52)의 마모된 부분은 두께가 감소되어 있어 가압수단(71)이 없는 경우, 안착홈(63) 내에서 큰 여유공간을 가지고 스크류부재(40)의 회전작동시 흔들리면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가압수단(71) 즉, 탄성판의 절곡된 단부(71a)가, 마모되어 두께가 얇아진 부분라이너(51,52)의 상단을 가압하여 탄성력에 의해 하부케이싱(30)의 내면(30c)에 밀착시킨다. 이에 부분라이너(51,52)의 흔들림이 방지되고 안정된 고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가압수단(71)은 라이너(50)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부분라이너(51,52)를 형성하고 부분라이너(51,52)를 재배치하여 재사용하는 구조에서 효용성을 가지는 기술수단이다.
한편, 도 9 및 도 10은 3개의 부분라이너(54,55,56)가 조합되어 라이너(50)를 이루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도 3개의 부분라이너(54,55,56)가 조합된 라이너(50)는, 스크류부재(40)의 둘레방향을 따라 원주면을 따르는 곡판체를 이루면서 좌우대칭의 형상이고, 3개의 부분라이너(54,55,56)가 서로 밀착됨으로써 스크류부재(40)의 길이방향으로 접촉선(57,58)을 가진다.
또한, 3개의 부분라이너(54,55,56)가 조합된 라이너(50)는, 스크류부재(40)의 곡률보다 큰 곡률을 가진 곡판체로 형성하여, 스크류부재(40)의 하측에서 라이너(50)와 접촉하고 스크류부재(40)의 양 측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3개의 상기 부분라이너(54,55,56)는 스크류부재(40)의 둘레방향에서 서로 균등분할되도록 구성하여, 서로 위치를 바꾸어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11은 스크류부재(40)의 하측에서 스크류부재(40)와 접촉하여 마모된 라이너(50)를 위치변경하여 재조립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1의 (a)에서는 마모된 부분라이너(54)를 좌측에 배치하고 좌측에 있던 부분라이너(55)를 하측으로 위치변경하여 조립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의 (a)와 같이 사용한 후, 스크류부재(40) 하측의 부분라이너(55)가 마모되면, 이후에는 도 11의 (b)와 같이, 우측의 부분라이너(56)를 하측으로 위치변경하고, 마모된 부분라이너들(54,55)은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스크류 컨베이어의 라이너(50) 설치방법을 통해, 라이너(50)의 활용도를 높여 사용수명을 향상시키고, 라이너(50)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컨베이어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스크류부재(40)의 후단부를 받치는 스크류행거(80)가 설치된 구성이다.
즉, 스크류행거(80)는 작동공간(15)의 후단부에 스크류부재(40)의 후단부를 받침으로써 스크류부재(40)와 작동공간(15)의 바닥면과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이 구성에서 스크류부재(40)는 중심의 주축부가 비어있는 무주축스크류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스크류행거(8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행거(80)는 스크류부재(40)의 후단부에서 전방을 향해 스크류부재(4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인 지지로드(82)와, 상기 지지로드(82)에 결합되고 스크류부재(40)의 내측에서 스크류부재(40)를 받치고 구름접촉하는 접촉롤러(81)와, 상기 접촉롤러(81)가 스크류부재(40)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지지로드(82)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84)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로드(82)는 스크류부재(40)의 후단부에서 전방을 향해 스크류부재(40)의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접촉롤러(81)가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스크류부재(40)와 접촉한다.
상기 지지로드(82)는 스크류부재(40)의 길이방향으로 전방을 향해 삽입되는 수평부(82a)와 그 수평부(82a)의 후단에서 꺾여 상측으로 연장되고 케이싱(10)의 상부케이싱(20)에 설치된 회전축(83)에 결합되는 수직부(82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촉롤러(81)는 지지로드(82)에 결합되고 스크류부재(40)의 내측에서 스크류부재(40)를 받치고 구름접촉하는 것으로서, 바(bar)형상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스크류부재(40)의 회전에 따라 접촉위치가 변화하더라도 스크류부재(40)를 받치는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84)은 접촉롤러(81)가 스크류부재(40)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지지로드(82)에 탄성력을 가하고 있다.
즉, 스프링(84)은 케이싱(10)의 상면에 고정된 고정부재(85)가 받친 상태에서, 지지로드(82)의 수직부(82b)의 상단을 후방을 향해 밀어 회전축(83)을 중심으로 지지로드(82)를 선회시키려 함으로써, 지지로드(82)에 설치된 접촉롤러(81)가 스크류부재(40)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가한다.
이 때, 스프링(84)의 탄성력의 크기는 0보다 크고, 상기 스크류부재(40)의 후단부가 작동공간(15)의 바닥면에서 이격될 수 있는 크기보다 작은 범위가 되도록 한다.
이는, 스프링(84)의 탄성력에 의해 접촉롤러(81)가 스크류부재(40)를 바닥면에서 이격될 정도로 들어 올리려는 것이 아니라, 스크류부재(40)가 중력에 의해 바닥면에 가하는 압력을 완화시키기 위함이다.
만일, 스크류부재(40)가 바닥면에서 이격되면, 바닥면을 따라 협잡물을 밀어 이송시키는 스크류부재(40)의 이송작용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스크류부재(40)가 무주축 스크류인 경우, 구동장치(30)가 스크류부재(40)의 일측에서 결합되어 회전시키므로 타측에서는 별도의 지지수단이 없고 중력에 의해 바닥면이 받치고 있는 상태인 바, 스크류부재(40)의 타측에서는 바닥면과의 접촉압력이 매우 높다.
이에 따라, 스크류부재(40)가 바닥면에 접촉하는 압력이 감소함으로써 바닥면을 형성하는 라이너(50)와 스크류부재(40)의 후단과의 접촉압력이 낮아지고 라이너(50)의 마모량이 감소되어 라이너(50)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케이싱 15; 작동공간
16; 하향돌기 18; 투입구
19; 배출구 20; 상부케이싱
30; 하부케이싱 30a,30b,30d,30f; 플랜지
30c; 내면 31; 일측부
32; 타측부 33; 중앙부
34; 볼트 40; 스크류부재
50; 라이너 51,52,54,55,56; 부분라이너
53,57,58; 접촉선 61; 탄성부재
63; 안착홈 71; 가압수단
71a; 절곡된 단부 80; 스크류행거
81; 접촉롤러 82; 지지로드
82a; 수평부 82b; 수직부
83; 회전축 84; 스프링
85; 고정부재

Claims (6)

  1. 상부케이싱(20)과, 내부에 작동공간(15)을 가지도록 상부케이싱(20)과 조립되는 것으로서, 상기 작동공간(15)의 하부가 반원형의 공간을 이루도록 원주면을 따르는 곡면부를 가진 하부케이싱(30)을 포함하는 케이싱(10)과,
    상기 작동공간(15)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이송물의 이송을 발생시키는 스크류부재(40)와,
    상기 곡면부의 내면(30c)에 밀착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작동공간(15)의 하면을 이루어 상기 스크류부재(40)를 감싸는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부재(40)와 접촉하는 라이너(50)를 포함하는 스크류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싱(30) 및 상기 라이너(50)는 상기 스크류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일측부(31)와 타측부(32)가 중앙부(33)로부터 독립적으로 분리 및 재조립되도록 분할된 것이며,
    상기 라이너(50)는 상기 스크류부재(40)의 둘레방향을 따라 원주면을 따르는 곡판체를 이루면서 좌우대칭의 형상이고, 상기 스크류부재(40)의 길이방향으로 접촉선(53)을 가지는 복수의 부분라이너가 조합된 것으로서,
    상기 복수의 부분라이너는 상기 스크류부재(40)의 둘레방향에서 서로 균등분할된 것이고,
    상기 라이너(50)는 상기 스크류부재(40)의 곡률보다 큰 곡률을 가진 곡판체로 형성하여, 상기 스크류부재(40)의 하측에서 상기 라이너(50)와 접촉하고 상기 스크류부재(40)의 양 측에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컨베이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에는 상기 라이너(50)의 좌우측의 각 상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구조가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고정구조는
    상기 라이너(50)의 상단이 끼워지는 안착홈(63)과,
    상기 라이너(50)의 상단에 하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상기 안착홈(63)의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61)와,
    상기 라이너(50)의 상단을 형성하는 부분이 상기 하부케이싱(30)의 내면(30c)에 밀착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63)에 설치되어 상기 라이너(50)의 상단을 상기 하부케이싱(30)의 내면(30c)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7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컨베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공간(15)의 후단부에는 상기 스크류부재(40)의 후단부를 받침으로써 상기 스크류부재(40)와 상기 라이너(50)와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스크류행거(80)가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부재(40)는 중심의 주축부가 비어있는 무주축스크류의 구조이며,
    상기 스크류행거(80)는
    상기 스크류부재(40)의 후단부에서 전방을 향해 상기 스크류부재(4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인 지지로드(82)와,
    상기 지지로드(82)에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부재(40)의 내측에서 상기 스크류부재(40)를 받치고 구름접촉하는 접촉롤러(81)와,
    상기 접촉롤러(81)가 상기 스크류부재(40)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로드(82)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8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컨베이어
  5. 상부케이싱(20)과, 내부에 작동공간(15)을 가지도록 상부케이싱(20)과 조립되는 것으로서, 상기 작동공간(15)의 하부가 반원형의 공간을 이루도록 원주면을 따르는 곡면부를 가진 하부케이싱(30)을 포함하는 케이싱(10)과,
    상기 작동공간(15)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이송물의 이송을 발생시키는 스크류부재(40)와,
    상기 곡면부의 내면(30c)에 밀착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작동공간(15)의 하면을 이루어 상기 스크류부재(40)를 감싸는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부재(40)와 접촉하는 라이너(5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케이싱(30) 및 상기 라이너(50)는 상기 스크류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일측부(31)와 타측부(32)가 중앙부(33)로부터 독립적으로 분리 및 재조립되도록 분할되며,
    상기 라이너(50)는, 상기 스크류부재(40)의 둘레방향을 따라 원주면을 따르는 곡판체를 이루면서 좌우대칭의 형상이고, 상기 스크류부재(40)의 길이방향으로 접촉선(53)을 가지는 복수의 부분라이너가 조합된 것이고,
    상기 라이너(50)는 상기 스크류부재(40)의 곡률보다 큰 곡률을 가진 곡판체로 형성하여, 상기 스크류부재(40)의 하측에서 상기 라이너(50)와 접촉하고 상기 스크류부재(40)의 양 측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것이며,
    상기 복수의 부분라이너는 상기 스크류부재(40)의 둘레방향에서 서로 균등분할된 것인 스크류 컨베이어의 라이너(50)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부재(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류부재(40)의 하측에서 상기 라이너(50)의 마모가 발생하는 1단계;
    상기 하부케이싱(30)을 상기 상부케이싱(20)으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복수의 부분라이너를 상기 하부케이싱(30)으로부터 분리하는 2단계;
    상기 1단계에서 상기 스크류부재(40)의 양측에 위치하던 상기 라이너(50)의 부분이 상기 스크류부재(4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복수의 부분라이너를 재조립하여 상기 하부케이싱(30) 상에 상기 라이너(50)를 설치하는 3단계;
    상기 하부케이싱(30)을 상기 상부케이싱(20)에 조립하여 결합시키는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컨베이어의 라이너 설치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50)는, 상기 스크류부재(40)의 하측에서 상기 접촉선(53)을 가지도록 2개의 부분라이너로 균등분할된 것이고,
    상기 케이싱(10)에는 상기 라이너(50)의 좌우측의 각 상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구조가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고정구조는
    상기 라이너(50)의 상단이 끼워지는 안착홈(63)과,
    상기 라이너(50)의 상단에 하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상기 안착홈(63)의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61)와,
    상기 라이너(50)의 상단을 형성하는 부분이 상기 하부케이싱(30)의 내면(30c)에 밀착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63)에 설치되어 상기 라이너(50)의 상단을 상기 하부케이싱(30)의 내면(30c)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7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컨베이어의 라이너 설치방법
KR1020190037923A 2019-04-01 2019-04-01 하부케이싱 및 라이너가 분할된 구조의 스크류 컨베이어와, 그것의 라이너 설치방법 KR101995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923A KR101995712B1 (ko) 2019-04-01 2019-04-01 하부케이싱 및 라이너가 분할된 구조의 스크류 컨베이어와, 그것의 라이너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923A KR101995712B1 (ko) 2019-04-01 2019-04-01 하부케이싱 및 라이너가 분할된 구조의 스크류 컨베이어와, 그것의 라이너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5712B1 true KR101995712B1 (ko) 2019-07-03

Family

ID=67258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923A KR101995712B1 (ko) 2019-04-01 2019-04-01 하부케이싱 및 라이너가 분할된 구조의 스크류 컨베이어와, 그것의 라이너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7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628B1 (ko) * 2020-09-01 2021-08-17 나민수 음식물쓰레기 이송 컨베이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317Y1 (ko) * 1999-08-17 2000-02-15 주식회사청우이엔이 스크류 콘베어 하우징 라이닝
KR100584529B1 (ko) * 2003-10-20 2006-05-30 주식회사 한성환경기연 무축 스크류 컨베이어용 라이너의 제조방법
KR100797556B1 (ko) * 2007-04-02 2008-01-24 왬코리아 주식회사 무주축 스크류 이송식 압축·탈수 장치
KR100963569B1 (ko) * 2009-08-28 2010-06-22 (주)큰나무 스크류콘베이어장치
KR101947002B1 (ko) * 2018-10-19 2019-02-12 주식회사 필터레인 무축 컨베이어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317Y1 (ko) * 1999-08-17 2000-02-15 주식회사청우이엔이 스크류 콘베어 하우징 라이닝
KR100584529B1 (ko) * 2003-10-20 2006-05-30 주식회사 한성환경기연 무축 스크류 컨베이어용 라이너의 제조방법
KR100797556B1 (ko) * 2007-04-02 2008-01-24 왬코리아 주식회사 무주축 스크류 이송식 압축·탈수 장치
KR100963569B1 (ko) * 2009-08-28 2010-06-22 (주)큰나무 스크류콘베이어장치
KR101947002B1 (ko) * 2018-10-19 2019-02-12 주식회사 필터레인 무축 컨베이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628B1 (ko) * 2020-09-01 2021-08-17 나민수 음식물쓰레기 이송 컨베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58782B (zh) 用于旋转模切机的冲压屑去除装置和刀片安装台
KR101995712B1 (ko) 하부케이싱 및 라이너가 분할된 구조의 스크류 컨베이어와, 그것의 라이너 설치방법
US7419109B1 (en) Apparatus for attaching hammers to a hammer mill
US6702091B2 (en) Conveyor roller assembly
AU2009300112B2 (en) Elastic joint body
JP2006038222A (ja) 転がり軸受用環状支持部材
EP2698205B1 (en) Cone-shaped crusher
NZ573585A (en) Stator casing where the inner surface faces form a polygon and each face has a groove to reduce friction
WO1997003905A1 (en) Cartridge bearing assembly for volumetric feeder
CA2903791A1 (en) Endless belt conveyor within a tubular housing
AU2019251695A1 (en) Grinding roller and roller press
CN111169947B (zh) 一种自清理、低噪音的管链式饲料输送机
CN210392638U (zh) 快拆式毛刷清扫器
JP5143242B2 (ja) コンベア
AU2017203831B2 (en) A method of making a lifter bar, a refurbished lifter bar and a mould
US9108804B2 (en) Screw conveyor intermediate support
KR20100105474A (ko) 스크롤 유체 기계
AU2006203470A1 (en) Guide roller
CA2476582C (en) Split inlet seal for grain separators and method
US20200224729A1 (en) Elastomeric coupling
KR101343192B1 (ko) 마늘쪽 분리기 및 마늘쪽 분리기용 압착기구
WO2003078843A1 (en) Vane pump
CN111204595A (zh) 一种强制喂料机
CN104037589B (zh) 弹片折弯机
KR20140090580A (ko) 골판지 인쇄기용 급지 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