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581B1 - 오일 분리기 및 이를 사용한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오일 분리기 및 이를 사용한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581B1
KR101995581B1 KR1020120127315A KR20120127315A KR101995581B1 KR 101995581 B1 KR101995581 B1 KR 101995581B1 KR 1020120127315 A KR1020120127315 A KR 1020120127315A KR 20120127315 A KR20120127315 A KR 20120127315A KR 101995581 B1 KR101995581 B1 KR 101995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ipe
housing
return pipe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0699A (ko
Inventor
윤필현
사용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7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581B1/ko
Priority to US13/975,637 priority patent/US9500396B2/en
Priority to EP13191751.0A priority patent/EP2730862B1/en
Priority to CN201310560103.9A priority patent/CN103808091B/zh
Publication of KR20140060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0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2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separating lubricants from the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25B31/002Lubrication
    • F25B31/004Lubrication oil recircul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5/00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6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5Flow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분리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로 오일 혼합 냉매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을 통해 흡입된 오일 혼합 냉매로부터 분리된 냉매를 토출하는 토출관; 및 상기 오일 혼합 냉매로부터 분리된 오일을 토출하는 제 1 회수관 및 제 2 회수관을 포함하는 오일 회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회수관 및 상기 제 2 회수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오일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오일 밸브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조화하는 실내기; 및 상기 실내기와 냉매 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실외기를 포함하고, 상기 실외기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및 상기 압축기로 오일을 유입하기 위한 다수의 오일 회수관이 구비되는 오일 분리기가 포함되고, 상기 다수의 오일 회수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오일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하기 위한 오일 밸브가 구비된다.

Description

오일 분리기 및 이를 사용한 공기조화기{An oil seperator and an air conditioner using it}
본 발명은 오일 분리기 및 이를 사용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 청정 기능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어 상기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상기 실외기에는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여 냉방 또는 난방 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작동 방식인 냉방 모드 또는 난방 모드는 사용자가 요청하는 운전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공기조화기는 냉매의 흐름에 따라 냉방 운전이 수행될 수도 있고 난방 운전이 수행될 수도 있다.
먼저, 상기 공기조화기에서 냉방 운전이 수행될 때의 냉매의 흐름을 설명한다. 실외기의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는 상기 실외기의 열교환기를 거쳐서 고온 고압의 액체 냉매가 된다. 상기 액체 냉매가 실내기로 공급되면,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냉매가 팽창되면서 기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기화 현상에 의해 주변 공기의 온도가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실내기 팬이 회전하면서 실내로 냉기가 토출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에서 난방 운전이 수행될 때의 냉매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실외기의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가 실내기로 공급되면, 상기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가 액화될 수 있다. 상기 액화 현상에 의해 방출된 에너지는 주변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실내기 팬이 회전하면서 실내로 온기가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외기 내부에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방 또는 난방 운전을 수행하기 위해 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 상태로 압축시키는 압축기가 구비된다. 상기 압축기가 구동되면 상기 압축기로부터 냉매와 함께 오일이 토출되고, 상기 냉매와 오일은 오일 분리기에서 분리된다. 상기 오일 분리기에 의해 냉매와 분리된 오일은 오일 회수관을 통해 상기 압축기의 흡입관으로 회수된다.
상기 오일 분리기는 상기 압축기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오일 분리기를 통해 분리된 오일은 상기 압축기로 다시 토출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오일 분리기로부터 상기 압축기로 토출되는 오일의 양이 적으면, 상기 압축기 내부의 오일 부족을 야기하여 상기 압축기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 분리기로부터 상기 압축기로 토출되는 오일의 양이 많으면, 상기 압축기 작동시 냉매와 오일이 함께 압축되므로 상기 압축기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일 분리기로부터 압축기로 토출되는 오일의 양을 적절하게 제어하여 상기 압축기의 구동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 오일 분리기 및 이를 사용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오일 분리기로부터 상기 압축기로 토출되는 오일의 이동 통로가 되는 오일 회수관 일측에 오일 밸브를 설치하여 시스템에 필요한 오일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오일 분리기 및 이를 사용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분리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로 오일 혼합 냉매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을 통해 흡입된 오일 혼합 냉매로부터 분리된 냉매를 토출하는 토출관; 및 상기 오일 혼합 냉매로부터 분리된 오일을 토출하는 제 1 회수관 및 제 2 회수관을 포함하는 오일 회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회수관 및 상기 제 2 회수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오일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오일 밸브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조화하는 실내기; 및 상기 실내기와 냉매 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실외기를 포함하고, 상기 실외기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및 상기 압축기로 오일을 유입하기 위한 다수의 오일 회수관이 구비되는 오일 분리기가 포함되고, 상기 다수의 오일 회수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오일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하기 위한 오일 밸브가 구비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오일 분리기와 압축기를 연결하는 오일 회수관을 다수 개로 설치하여 상기 오일 분리기 내부의 오일을 상기 압축기로 되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오일 회수관의 일측에 오일 밸브를 설치하여, 시스템에 필요한 적정량의 오일을 상기 압축기로 되돌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분리기와 오일 회수관이 연결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분리기에 설치되는 다수의 홀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밸브의 개폐에 따라 오일 회수관을 통과하는 오일의 이동 방향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회수관의 일측에 설치되는 조절 밸브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면에 도시된 스탠드형 또는 천장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공기조화기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벽걸이형에도 사용될 수 있고, 실외기와 실내기의 구분이 없는 일체형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형태는 도면에 한정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는, 조화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는 실내기(200) 및 상기 실내기(200)와 연결되고 실외에 배치되는 실외기(100)를 포함한다.
상기 실외기(100)와 실내기(200)는 냉매 배관으로 연결되어 냉매의 순환에 따라 상기 실내기(200)로부터 냉온의 공기가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200)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실외기(100)에 복수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실내기(200)와, 상기 복수의 실내기(20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10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실내기(200)와 실외기(100)는 냉매 배관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통신이 가능한 케이블로 연결되어 소정의 통신 방식에 따라 제어 명령을 송신 또는 수신할 수도 있다.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실내기(200) 및 실외기(100)를 제어하는 원격제어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내기(20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고 상기 실내기(200)의 동작 상태를 출력하는 로컬제어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내기(200) 및 실외기(100) 이외에도 환기유닛, 공기청정유닛, 가습유닛, 제습유닛, 히터 등의 다수의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제어기(미도시)에는, 조명유닛, 경보유닛 등이 연결되어 상호 연동하여 동작될 수도 있다.
상기 실내기(200)는,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에는, 상기 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고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풍향조절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기(200)는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풍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 때, 다수의 공기 흡입구와 다수의 공기 토출구에는, 다수의 베인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인은, 상기 다수의 공기 흡입구와 다수의 공기 토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폐할 수 있고, 공기의 유동 방향을 안내할 수도 있다.
또한 실내기(200)는,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상태 및 설정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 및 설정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서 공기조화기의 운전 작동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실외기(100)는,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여 냉방 모드 또는 난방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기(100)는, 복수의 실내기(100)로 냉매를 공급하고, 상기 실내기(100)의 토출구를 따라 공기 유동 방향이 안내되어 실내의 환경이 조절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200) 및 실외기(100)의 내부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외기(100)는, 실외 공기와 냉매가 열교환되는 실외 열교환기(110), 실외 공기를 상기 실외 열교환기(110)로 송풍시키는 실외 송풍기(120), 기체 냉매만을 추출하는 어큐뮬레이터(140), 상기 어큐뮬레이터(140)에서 추출된 기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50), 냉매 흐름을 전환시키는 사방밸브(130) 및 난방 운전시 과냉도와 과열도에 따라 제어될 수 있는 실외용 전자팽창밸브(160)를 포함한다.
공기 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상기 실외 열교환기(110)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110)로 전송되는 기상 냉매가, 실외 공기에 의해 응축될 수 있는 응축기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상기 실외 열교환기(110)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110)로 전송되는 액상 냉매가, 실외 공기에 의해 증발될 수 있는 증발기로 작동할 수도 있다.
상기 실외 송풍기(120)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실외 전동기(122)와, 상기 실외 전동기(122)와 연결되어 상기 실외 전동기(122)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실외 팬(12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외기(100)에는, 내부에 2대의 압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대의 압축기 중 하나는 인버터 압축기이고, 다른 하나는 정속 압축기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압축기의 개수 또는 압축기의 종류에는 그 제한이 없다.
상기 실외기(100)는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외기(100)는 메인 실외기와 보조 실외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실외기 및 보조 실외기는 다수의 실내기(2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실외기 및 보조 실외기는 상기 다수의 실내기(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요구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먼저, 동작되는 실내기의 수에 대응하여 메인 실외기가 동작되고, 냉방 또는 난방 용량이 가변됨에 따라 상기 메인 실외기의 수용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보조 실외기가 동작할 수 있다. 즉, 요구되는 냉방 또는 난방 용량에 대응하여 상기 실외기의 작동 대수 및 상기 실외기에 구비된 압축기의 동작이 가변될 수 있다.
실내기(200)는, 실내 공기와 냉매가 열교환되는 실내 열교환기(210), 실내 공기를 상기 실내 열교환기(210)로 송풍시키는 실내 송풍기(220), 과냉도 또는 과열도에 따라 제어되는 실내 유량 조절부인 실내용 전자팽창밸브(23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상기 실내 열교환기(210)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210)로 전송되는 액상 냉매가, 실내 공기에 의해 증발될 수 있는 증발기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상기 실내 열교환기(210)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210)로 전송되는 기상 냉매가, 실내 공기에 의해 응축될 수 있는 응축기로 작용할 수도 있다.
실내 송풍기(220)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실내 전동기(222) 및 상기 실내 전동기(222)와 연결되어 상기 실내 전동기(222)에 의해 회전되면서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실내 팬(22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내를 냉방시키는 냉방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난방시키는 히트 펌프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공기조화기는, 냉방 또는 난방 운전이 수행되기 위하여 내부에 냉매 를 이동시킬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100) 및 실내기(200)에는 다수의 구성요소가 설치된다. 상기 다수의 구성요소 중에는, 냉매가 이동되는 통로인 냉매 배관을 포함한다. 상기 냉매 배관에는 외부 공기와 열교환이 수행될 수 있는 냉매가 이동한다.
상기 공기조화기가 냉방 또는 난방 운전을 수행시, 냉매는 하나의 냉매 사이클을 순환하면서 상기 냉매 배관을 통과한다. 즉, 상기 공기조화기가 작동시, 압축기(150)에 의해 고온 고압의 기체로 압축된 냉매는 상기 압축기(150)에서 토출되는 오일과 함께 흡입관(310)을 따라 오일 분리기(300)로 유입된다. 상기 오일 분리기(300)는,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와 오일을 분리하고, 분리된 냉매는 토출관(320)으로 토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오일 분리기(300)에 의해 분리된 오일은 오일 회수관(3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오일 회수관(330)은, 압축기(150)로 냉매 유입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배관(350)과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오일 회수관(330)을 따라 유입되는 오일은, 상기 가이드 배관(350)을 통과하는 냉매와 합지되어 상기 압축기(150)로 유입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압축기(150)로 유입되는 오일의 양이 너무 많거나 또는 너무 적으면 상기 압축기(150)의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오일 회수관(330)을 통해 상기 압축기(150)로 유입되는 오일의 양은 조절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분리기와 오일 회수관이 연결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오일 분리기(310)에는, 외면을 형성하는 하우징(305), 상기 하우징(305)과 연통되게 설치되고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와 오일이 유입되는 통로인 흡입관(310), 상기 흡입관(310)을 통해 유입되는 냉매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가이드 하는 토출관(320) 및 상기 흡입관(310)을 통해 유입되는 오일이 상기 압축기로 재토출되는 통로인 오일 회수관(330)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 분리기(310)는, 상기 하우징(305)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305)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 회수관(330)은, 상기 하우징(305)의 하면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오일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제 1 회수관(331) 및 상기 하우징(305)의 측면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오일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제 2 회수관(332)을 포함한다. 즉, 상기 압축기(150)로부터 상기 오일 분리기(300) 내부로 토출되는 오일은, 상기 제 1 회수관(331) 및 상기 제 2 회수관(332)을 통해 다시 상기 압축기(150)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회수관(331)과 상기 제 2 회수관(332)은 서로 연통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회수관(331)과 상기 제 2 회수관(332)이 서로 연통되게 설치되는 곳에 합지부(33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회수관(331)을 통과하는 오일과 상기 제 2 회수관(332)을 통과하는 오일은 상기 합지부(334)에서 합지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05)의 하면을 기준면(345)이라 하면, 상기 기준면(345)으로부터 상기 합지부(334)까지의 거리(B)는 상기 기준면(345)으로부터 상기 제 2 회수관(332)의 입구까지의 거리(A) 보다 크거나 동일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2 회수관(332)을 통해 이동하는 오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오일 분리기(300)을 통과하는 냉매 및 오일의 이동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압축기(150)를 통과하는 물질에는, 고온 고압 상태의 기체 냉매와 오일이 포함된다. 상기 압축기(150)를 통과하는 물질인 기체 냉매와 오일은, 오일 혼합 냉매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50)를 통과하는 오일 혼합 냉매는, 흡입관(310)을 통해 오일 분리기(30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오일 분리기(300)는,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 냉매와 오일을 분리한다.
그리고, 상기 오일 분리기(300)에 의해 분리된 냉매는, 토출관(320)을 통해 응축기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 분리기(300)에서 분리된 오일은, 오일 회수관(330)을 통해 다시 상기 압축기(150)로 토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일 회수관(330)은, 상기 오일 분리기(30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305)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 1 회수관(331) 및 상기 하우징(305)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 2 회수관(332)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오일 분리기(300)에서 분리된 오일은 제 1 회수관(331) 또는 제 2 회수관(332)을 통해 상기 압축기(150)로 토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일 분리기(300)에서 분리되는 오일은 제 1 회수관(331) 및 제 2 회수관(332) 중 어느 하나의 배관을 통해 상기 압축기(150)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회수관(332)에는, 오일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오일 밸브(33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오일 밸브(333)가 개방되면, 상기 제 2 회수관(332) 내부의 흡입 압력이 상기 제 1 회수관(331) 내부의 흡입 압력 보다 더 높아져서 상기 제 2 회수관(332)으로만 오일이 이동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오일 밸브(333)가 폐쇄되면, 상기 제 2 회수관(332) 내부의 흡입 압력이 상기 제 1 회수관(331) 내부의 흡입 압력 보다 더 낮아져서 상기 제 1 회수관(331)으로만 오일이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오일 분리기(300)로부터 상기 압축기(150)로 오일이 이동되는 통로는 상기 오일 밸브(333)의 개폐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305) 내부에 수용되는 오일의 수위가 규정되면, 상기 제 2 회수관(332)은, 상기 하우징(305) 내부에 수용되는 오일의 수위 보다 낮거나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때 작동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분리기에 설치되는 다수의 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오일 분리기(3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305)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305)에는, 다수의 배관이 연결되기 위한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하우징(305)에는, 압축기(150)로부터 토출되는 기체 냉매와 오일이 흡입되기 위한 오일 흡입 홀(311)이 형성된다. 상기 기체 냉매 및 오일은, 흡입관(310)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305) 일측에 형성되는 오일 흡입 홀(311)을 따라 상기 하우징(305)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05)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 냉매는, 상기 하우징(305)의 상측에 형성되는 토출 홀(321)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체 냉매는, 상기 토출 홀(321)을 따라 토출관(320)에 의해 가이드 되어 응축기로 이동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305) 내부로 유입되는 오일은, 제 1 관통 홀(335) 또는 제 2 관통 홀(336)을 통해 상기 압축기(150)로 재토출 될 수 있다. 상기 제 2 관통 홀(336)은, 제 2 회수관(332)과 연통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 1 관통 홀(335)은, 제 1 회수관(331)과 연통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 홀(335)은, 상기 하우징(305)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2 관통 홀(336)은, 상기 하우징(305)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하우징(305)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관통 홀(335) 및 상기 제 2 관통 홀(336)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밸브의 개폐에 따라 오일 회수관을 통과하는 오일의 이동 방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오일 분리기(300) 내부로 유입되는 오일의 이동 방향은, 상기 오일 분리기(300) 내부에 수용되는 오일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상기 오일 분리기(300)로부터 압축기(150) 방향으로 오일이 회수될 때, 상기 오일 분리기(3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회수관(331) 또는 제 2 회수관(332)을 따라 오일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2 회수관(332)에는, 오일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오일 밸브(333)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일 밸브(333)의 개폐에 따라 상기 제 1 회수관(331) 및 제 2 회수관(332) 중 어느 하나의 배관을 통해 오일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2 회수관(332)으로부터 상기 하우징(305)의 측면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 형성되는 가상의 면을 연장면(370)이라 이름한다. 그러면, 상기 연장면(370)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305)의 상방향에 배치되는 부분을 상단 연장부(371)라 하고, 상기 연장면(370)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305)의 하방향에 배치되는 부분을 하단 연장부(372)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 2 회수관(332)에 구비되는 오일 밸브(333)를 개방하면, 상기 하우징(305) 내부에 수용되는 오일은, 상기 제 2 회수관(332)을 통해 압축기(150)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회수관(331)의 오일 흡입 압력은, 상기 오일 밸브(333)의 개방에 따라 상기 제 2 회수관(332)의 오일 흡입 압력 보다 낮아지므로, 상기 제 2 회수관(332)을 통해서만 오일이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회수관(332)을 통과하는 오일은, 상기 연장면(370)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305)의 상방향에 배치되는 상단 연장부(371)의 오일만이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단 연장부(372)에 수용되는 오일은, 상기 하우징(305) 내부에 저장되고, 상기 상단 연장부(371)에 수용되는 오일만이 상기 제 2 회수관(332)을 통해 상기 압축기(150)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오일 밸브(333)가 폐쇄되면, 상기 하우징(305) 내부에 수용되는 오일은, 상기 제 1 회수관(331)을 통해서만 상기 압축기(150)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일 밸브(333) 폐쇄시, 연장면(370)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305)의 상방향에 배치되는 상단 연장부(371)에 저장되는 오일과, 상기 연장면(370)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305)의 하방향에 배치되는 하단 연장부(372)에 저장되는 오일이 상기 제 1 회수관(331)을 통해 상기 압축기(150)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에 필요한 오일량이 많으면, 상기 오일 밸브(333)를 폐쇄하여 상기 상단 연장부(371) 및 하단 연장부(372)에 수용되는 오일이 상기 제 1 회수관(331)을 따라 상기 압축기(150)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시스템에 필요한 오일량이 적으면, 상기 오일 밸브(333)를 개방하여 상기 상단 연장부(371)에 수용되는 오일만이 상기 제 2 회수관(332)을 따라 상기 압축기(150)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오일 밸브(400)의 설치 위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제 1 회수관(331)에 상기 오일 밸브(400)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시스템에 필요한 오일량에 관한 정보가 미리 매핑되는 메모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는, 시스템에 필요한 오일량에 따라 상기 오일 밸브의 개폐 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메모리부(미도시)에 미리 저장된 시스템에 필요한 오일량에 관한 정보와 현재 오일 분리기(300)에 저장되어 있는 오일량을 비교하여 상기 오일 밸브(333)의 개폐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회수관의 일측에 설치되는 조절 밸브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오일 분리기(300) 내부로 유입되는 오일은, 제 1 회수관(331) 또는 제 2 회수관(332) 중 어느 하나의 배관을 통해 압축기(150)로 그 이동이 가이드 될 수 있다. 상기 제 2 회수관(332)에는, 오일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오일 밸브(333)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회수관(331)에는, 시스템에서 필요한 오일량에 따라 상기 압축기(150)로 유입되는 오일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 밸브(4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절 밸브(400)는, 상기 제 1 회수관(331)을 통해 유입되는 오일의 이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조절 밸브(400)를 제어하여 상기 압축기(150)로 유입되는 오일량을 더욱 세밀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상기 조절 밸브(400) 및 상기 오일 밸브(333)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제 2 회수관(332)에 상기 조절 밸브(400)가 설치되고, 상기 제 1 회수관(331)에 상기 오일 밸브(400)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실외기 200: 실내기
300: 오일 분리기 333: 오일 밸브

Claims (15)

  1.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로 오일 혼합 냉매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을 통해 흡입된 오일 혼합 냉매로부터 분리된 냉매를 토출하는 토출관; 및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설치되며, 상기 오일 혼합 냉매로부터 분리된 오일을 토출하는 제 1 회수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오일 혼합 냉매로부터 분리된 오일을 토출하는 제 2 회수관;
    상기 제 1 회수관을 통과하는 오일의 이동 통로와, 상기 제 2 회수관을 통과하는 오일의 이동 통로가 연결되는 합지부; 및
    상기 제 1 회수관 및 상기 제 2 회수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오일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합지부까지의 거리(B)는, 상기 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2 회수관의 입구까지의 거리(A)보다 크거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분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밸브가 개방되면, 상기 제 1 회수관 및 상기 제 2 회수관 중 일 회수관으로 오일이 흡입되고,
    상기 오일 밸브가 폐쇄되면, 상기 제 1 회수관 및 상기 제 2 회수관 중 타 회수관으로 오일이 흡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분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오일의 수위가 규정되면,
    상기 제 2 회수관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오일의 수위 보다 낮거나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때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분리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수관 및 상기 제 2 회수관 각각에는, 오일을 유입하기 위한 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회수관에 형성되는 홀은,
    상기 제 1 회수관에 형성되는 홀 보다 소정 높이 상방향에 형성되는 오일 분리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면을 기준으로, 상기 합지부의 높이는,
    상기 제 2 회수관에 형성되는 홀의 높이 보다 더 높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분리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연장면을 기준으로 상방향에 배치되는 상단 연장부 및 상기 연장면을 기준으로 하방향에 배치되는 하단 연장부를 포함하는 오일 분리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면은,
    상기 제 2 회수관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측면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는 가상의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분리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밸브를 개방하면, 상기 상단 연장부에 수용되는 오일이 상기 제 2 회수관으로 흡입되고,
    상기 오일 밸브를 폐쇄하면, 상기 상단 연장부 및 상기 하단 연장부에 수용되는 오일이 상기 제 1 회수관으로 흡입되는 오일 분리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수관에는, 오일의 이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조절 밸브가 구비되는 오일 분리기.
  11. 실내 공기를 조화하는 실내기; 및
    상기 실내기와 냉매 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실외기를 포함하고,
    상기 실외기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및
    상기 압축기로 오일을 유입하기 위한 오일 분리기가 포함되고,
    상기 오일 분리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로 오일 혼합 냉매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을 통해 흡입된 오일 혼합 냉매로부터 분리된 냉매를 토출하는 토출관;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설치되며, 상기 오일 혼합 냉매로부터 분리된 오일을 토출하는 제 1 회수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오일 혼합 냉매로부터 분리된 오일을 토출하는 제 2 회수관;
    상기 제 1 회수관을 통과하는 오일의 이동 통로와, 상기 제 2 회수관을 통과하는 오일의 이동 통로가 연결되는 합지부; 및
    상기 제 1 회수관 및 상기 제 2 회수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오일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합지부까지의 거리(B)는, 상기 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2 회수관의 입구까지의 거리(A)보다 크거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오일 밸브가 개방되면, 상기 다수의 오일 회수관 중 일 회수관이 상기 압축기로 오일의 이동을 가이드 하고,
    오일 밸브가 폐쇄되면, 상기 다수의 오일 회수관 중 타 회수관이 상기 압축기로 오일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공기조화기.
  13. 삭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시스템에 필요한 오일량이 적은 경우, 상기 오일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시스템에 필요한 오일량이 많은 경우, 상기 오일 밸브를 폐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 필요한 오일량에 관한 정보가 미리 매핑된 메모리부가 더 포함되는 공기조화기.
KR1020120127315A 2012-11-12 2012-11-12 오일 분리기 및 이를 사용한 공기조화기 KR101995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315A KR101995581B1 (ko) 2012-11-12 2012-11-12 오일 분리기 및 이를 사용한 공기조화기
US13/975,637 US9500396B2 (en) 2012-11-12 2013-08-26 Oil separator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EP13191751.0A EP2730862B1 (en) 2012-11-12 2013-11-06 Air conditioner with an oil separator
CN201310560103.9A CN103808091B (zh) 2012-11-12 2013-11-12 油分离器以及使用该油分离器的空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315A KR101995581B1 (ko) 2012-11-12 2012-11-12 오일 분리기 및 이를 사용한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699A KR20140060699A (ko) 2014-05-21
KR101995581B1 true KR101995581B1 (ko) 2019-07-02

Family

ID=49546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315A KR101995581B1 (ko) 2012-11-12 2012-11-12 오일 분리기 및 이를 사용한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00396B2 (ko)
EP (1) EP2730862B1 (ko)
KR (1) KR101995581B1 (ko)
CN (1) CN1038080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326B1 (ko) * 2013-12-26 2021-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101622846B1 (ko) 2014-10-27 2016-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일분리기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US11416805B1 (en) 2015-04-06 2022-08-16 Position Imaging, Inc. Light-based guidance for package tracking systems
US10148918B1 (en) 2015-04-06 2018-12-04 Position Imaging, Inc. Modular shelving systems for package tracking
US10853757B1 (en) 2015-04-06 2020-12-01 Position Imaging, Inc. Video for real-time confirmation in package tracking systems
US11501244B1 (en) 2015-04-06 2022-11-15 Position Imaging, Inc. Package tracking systems and methods
KR102404082B1 (ko) * 2015-06-08 2022-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79823B1 (ko) * 2015-10-23 2022-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US11436553B2 (en) 2016-09-08 2022-09-06 Position Imaging, Inc. System and method of object tracking using weight confirmation
US11120392B2 (en) 2017-01-06 2021-09-14 Position Imaging, Inc. System and method of calibrating a directional light source relative to a camera's field of view
US11460227B2 (en) * 2017-11-15 2022-10-0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Oil separator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CN108731294A (zh) * 2018-06-06 2018-11-02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多联机空调及其的控制方法
WO2020061276A1 (en) 2018-09-21 2020-03-26 Position Imaging, Inc. Machine-learning-assisted self-improving object-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WO2020146861A1 (en) 2019-01-11 2020-07-16 Position Imaging, Inc. Computer-vision-based object tracking and guidance modu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36188A1 (fr) 2001-10-19 2003-05-01 Toshiba Carrier Corporation Materiel pour la refrigeration
JP3467837B2 (ja) 1994-06-16 2003-11-17 株式会社デンソー 空気調和装置
WO2008117511A1 (ja) 2007-03-27 2008-10-02 Daikin Industries, Ltd. 冷凍装置
JP2012145251A (ja) * 2011-01-11 2012-08-02 Hitachi Appliances Inc ヒートポンプ装置
JP6010562B2 (ja) 2011-03-08 2016-10-19 エスエーピーピーアイ ネザーランズ サーヴィシーズ ビー.ヴイ アニオン変性セルロースの紡糸方法及び該方法を用いて製造される繊維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66863A (en) * 1947-07-03 1949-04-12 Harry A Phillips Refrigerant injector and surge drum arrangement
US2665557A (en) * 1951-02-03 1954-01-12 Gen Electric Lubricant separating system for refrigerating machines
JPH0610562B2 (ja) 1987-08-31 1994-02-09 三菱電機株式会社 ヒートポンプ式冷暖房装置
SE9103824L (sv) * 1991-12-23 1992-11-30 Kamyr Ab Saett och cyklonanordning foer att motverka skumbildning
JPH05264110A (ja) * 1992-03-24 1993-10-12 Mitsubishi Heavy Ind Ltd 空気調和機
JP2004093027A (ja) * 2002-08-30 2004-03-25 Aisin Seiki Co Ltd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JP3861891B2 (ja) * 2004-08-04 2006-12-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20060055830A (ko) 2004-11-19 2006-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오일 회수장치
CN1888747A (zh) 2005-06-30 2007-01-0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器的油回收结构
KR20070058138A (ko) * 2005-12-01 2007-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일 분리기 및 오일 분리기가 구비된 공기 조화기
EP1909048A1 (en) 2006-10-06 2008-04-09 Chadalavada Venkatasubramaniam Oil-free refrigerant circulation technology for air-conditioning and refrigation system
KR101266657B1 (ko) 2006-10-17 2013-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7837B2 (ja) 1994-06-16 2003-11-17 株式会社デンソー 空気調和装置
WO2003036188A1 (fr) 2001-10-19 2003-05-01 Toshiba Carrier Corporation Materiel pour la refrigeration
WO2008117511A1 (ja) 2007-03-27 2008-10-02 Daikin Industries, Ltd. 冷凍装置
JP2012145251A (ja) * 2011-01-11 2012-08-02 Hitachi Appliances Inc ヒートポンプ装置
JP6010562B2 (ja) 2011-03-08 2016-10-19 エスエーピーピーアイ ネザーランズ サーヴィシーズ ビー.ヴイ アニオン変性セルロースの紡糸方法及び該方法を用いて製造される繊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30862A1 (en) 2014-05-14
CN103808091A (zh) 2014-05-21
US9500396B2 (en) 2016-11-22
CN103808091B (zh) 2016-06-08
KR20140060699A (ko) 2014-05-21
EP2730862B1 (en) 2020-03-04
US20140130539A1 (en) 201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581B1 (ko) 오일 분리기 및 이를 사용한 공기조화기
KR102122574B1 (ko) 어큐뮬레이터 및 이를 사용한 공기조화기
EP2541170A1 (en) Air-conditioning hot-water-supply system
KR10171183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WO2002077535A1 (fr) Climatiseur et procede d'installation de ce climatiseur
CN115264621A (zh) 一种空调室内机、空调室内机的控制方法和空调器
KR101606269B1 (ko) 공기조화기
KR100575682B1 (ko) 실외기간 균압관을 구비한 공기조화기
EP3015796B1 (en) Oil separator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an oil separator
KR100712857B1 (ko) 혼합형 유니터리 공기조화장치의 냉매량 조절방법
KR101844581B1 (ko) 열원 일체형 시스템 공기조화장치
KR102037247B1 (ko) 어큐뮬레이터 및 이를 사용한 공기조화기
CN210601897U (zh) 空调器
KR20180007528A (ko) 공기조화기
KR102048348B1 (ko) 공기조화기
KR101116209B1 (ko) 다단 운전 공기 조화기
KR102621151B1 (ko) 냉동기의 폐열을 활용한 난방 시스템
CN219036820U (zh) 壁挂式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102055941B1 (ko) 공기조화기
KR20070087542A (ko) 수랭식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방장치
JP3187932U (ja) 除湿機
KR20140091265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4848434A (zh) 空调机的室外单元
KR100486602B1 (ko) 순환수 가열기능을 구비한 냉난방 겸용 에어컨
CN109640605A (zh) 用于基站的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