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188B1 - 애완동물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애완동물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188B1
KR101995188B1 KR1020190009046A KR20190009046A KR101995188B1 KR 101995188 B1 KR101995188 B1 KR 101995188B1 KR 1020190009046 A KR1020190009046 A KR 1020190009046A KR 20190009046 A KR20190009046 A KR 20190009046A KR 101995188 B1 KR101995188 B1 KR 101995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et
hot air
main bod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원
Original Assignee
김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원 filed Critical 김용원
Priority to KR1020190009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1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건조장치는 내부에 애완동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고 전면으로 개폐가 가능하며 내부가 투시되는 투명체로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결합되며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거나 상기 본체부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도록 공기의 유동통로를 제공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측면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결합되는 배출관 및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본체부 내부로 온풍을 공급하는 송풍구를 구비한 열풍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연결부 내부에 공기의 흐름을 분할하는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건조에 소비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애완동물 건조장치{Pet drying equipment}
본 발명은 애완동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의 젖은 털을 골고루 말리면서 털의 비산을 막을 수 있는 애완동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의 향상, 핵가족화나 독신가구 증가에 따른 정서적 요구의 증대 등 많은 이유로 애완동물에 대한 수요가 늘어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많이 키워지는 개나 고양이 말고도 기타 다른 포유류나 파충류와 양서류 등이 애완동물로 많이 선택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강아지나 고양이는 폐쇄된 공간이 아니라 사람과 같이 오픈된 공간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청결에 보다 많은 신경을 써야 하고, 이에 자주 목욕을 시켜 냄새와 악취 제거 및 털에 포함된 여러 해로운 입자들을 제거해 줄 필요가 있다.
애완동물을 목욕시킨 후에 털을 충분히 말리지 않으면, 애완동물의 특성상 몸을 심하게 흔들어 물기를 털어내고 이 때 털과 물들이 주변에 비산되기 때문에 수건이나 드라이기로 애완동물의 털을 모두 말려주어야 했다.
이러한 일을 쉽게 하기 위하여 사각 형태의 박스에 애완동물을 집어 넣고, 히터에 의해 애완동물의 털을 건조시키는 애완동물 건조장치가 개발되어 있고, 다수의 특허와 실용신안으로 출원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경우 본체에 수용된 애완동물에 온풍이 공급될 때 외기가 한방향으로만 주입되어 애완동물의 털이 부분적으로 건조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에 애완동물의 털이 모두 건조시키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애완동물을 목욕시킨 후에 털을 말리는 과정에 있어서, 공기를 양방향으로 유동시켜 애완동물의 몸 전체를 고르게 건조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애완동물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본체와, 본체로 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온풍 수단과, 상기 온풍 수단과 본체를 연결하는 배관이 상호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하여 설치 및 수리의 편리성을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건조장치는 내부에 애완동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고 전면으로 개폐가 가능하며 내부가 투시되는 투명체로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결합되며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거나 상기 본체부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도록 공기의 유동통로를 제공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측면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결합되는 배출관; 및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본체부 내부로 온풍을 공급하는 송풍구를 구비한 열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표면에는 상기 열풍기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안쪽으로는 소정의 크기의 내부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관통홀을 일부 차단하고 하부영역이 오픈된 경로변경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부를 바라보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를 바라보는 제2 플레이트가 서로 포개지도록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소정의 직경을 가진 미세홀이 배열을 이룬 제1 배기부와 상기 제1 배기부 하부에 배치되며 제1 배기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 배기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 배기부와 제2 배기부 사이에는 상기 제1 배기부(212)의 측면과 하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1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로변경부재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가지는 직육각형의 형상으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경로변경부재의 내부공간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경로변경부재의 하면에 마련된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열풍기에서 송풍구가 마련된 부분에는 상기 송풍구의 상부와 측부 주위를 둘러싸도록 일정길이만큼 돌출된 제1 고정부가 마련되고, 흡입부가 마련된 부분에는 상기 흡입부의 둘레를 따라 일정길이만큼 돌출된 제2 고정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연결부의 하면에 배치된 상기 제2 걸림부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관은 휘어짐이 가능하도록 연장방향을 따라 표면에 연속적으로 주름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출관의 일단은 상기 연결부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제1 걸림부와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배출관의 타단은 상기 열풍기의 흡입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본체부 내부의 공기가 상기 열풍기의 흡입력에 의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애완동물을 목욕시킨 후 털을 건조시키기 위해 건조장치 내부에 수용하고 온풍을 공급할 때, 온풍이 여러방향으로 제공되어 공기가 순환되는 구조를 이룸에 따라 애완동물의 털을 고르게 말릴 수 있고, 건조에 필요한 시간 또한 단축하여 애완동물에게 가해질 수 있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본체와 본체로 열풍을 공급하는 공급장치 및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배관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호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수리 및 보관의 편리성과 재사용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애완동물 건조장치에서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애완동물 건조장치에서 연결라인과 흡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애완동물 건조장치를 형성하는 각 구성간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애완동물 건조장치에서 본체부와 열풍기의 결합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애완동물 건조장치의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을 나타낸 사시도
도 7는 본 발명의 애완동물 건조장치에서 연결부에 의한 공기의 유동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의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 건조장치는 목욕을 마친 애완동물을 투입하여 털에 묻은 물기를 건조시키는 목적을 가진 장치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건조장치는 내부에 애완동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고 전면으로 개폐가 가능하며 내부가 투시되는 투명체로 형성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측면에 외부의 공기를 흡입 하거나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도록 공기의 유동통로를 제공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부(200), 상기 연결부(200)의 측면에서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결합되는 배출관(300) 및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출관을 통해 상기 본체부 내부로 온풍을 공급하는 열풍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바람직하게 4개의 측면과 상면 하면으로 이루어진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인 크기는 애완동물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내부에서 바람의 유동을 위해 애완동물이 수용되고 일정 면적만큼의 마진을 가지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의 하면에는 애완동물이 올려지는 안착대, 상면에는 애완동물을 넣거나 빼낼 수 있도록 개폐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애완동물 투입구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구성들은 기존의 애완동물 건조장치에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구성으로 본체부(100)의 외부 형상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연결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거나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통로가 마련된 부재이다. 상기 연결부(200)의 하단에는 열풍기(400)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열풍기(400)의 상부에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와 연결된 홀과 상기 열풍기(400)를 서로 연결하는 배출관(30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300)은 소정의 직경을 가진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열풍기(400)의 단부에서 본체부(100)의 일면을 서로 연결하기 때문에 일정 각도로 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애완동물 건조장치에서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애완동물 건조장치에서 본체부(10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연결부(200)는 한쌍의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00)는 본체부(100)의 외부를 바라보도록 결합된 제1 플레이트(210)와 본체부(100)의 내부를 바라보도록 결합된 제2 플레이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210)의 상부에는 소정의 직경을 가진 미세홀이 배열을 이룬 제1 배기부(212)와 상기 제1 배기부(212) 하부에 배치되며 제1 배기부(212)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 배기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배기부(212)와 제2 배기부(213) 사이에는 제1 걸림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부(211)는 윗부분이 개방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210)의 표면으로부터 일정길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걸림부(211)는 상기 제1 배기부(212)의 측면과 하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기부(213)의 하부에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관통홀(215)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215)의 측면과 상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210)의 표면으로부터 일정길이만큼 돌출된 제2 걸림부(2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220)는 상기 제1 플레이트(210)의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플레이트(210)와 동일한 위치에서 서로 포개진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220)의 상부에는 상기 제1 플레이트(210)에 형성된 제1 배기부(212) 및 제2 배기부(213)와 동일한 형상으로 복수개의 미세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동일한 위치에서 결합되므로 제2 플레이트(220)에 형성된 미세홀도 제1 배기부(212)와 제2 배기부(213)로 통칭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플레이트(220)의 상부에 형성된 제1 배기부(212)의 하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제2 플레이트(220)의 표면에서 일정길이만큼 돌출된 제3 걸림부(2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걸림부(223)이 내측면에는 소정의 깊이만큼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3 걸림부(223)의 내측으로는 홈의 깊이만큼의 두께를 갖는 부재가 끼워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3 걸림부(223)에는 포집필터(225)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포집필터(225)는 섬유가 촘촘하게 직조된 부재일 수 있으며, 오염물질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공지된 부재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플레이트(220)에는 상기 제1 플레이트(210)에 형성된 관통홀(215)과 동일한 형상으로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관통홀(215)이라 통칭한다. 상기 관통홀(215)의 하부에는 상기 관통홀(215) 하면의 일부를 가리는 경로변경부재(222)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경로변경부재(222)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가지는 직육각형의 형상으로 상기 제2 플레이트(220)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플레이트(220)와 접촉되는 부분은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로변경부재(222)는 상기 제2 플레이트(220)의 하면 모서리까지 확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경로변경부재(222)의 하면은 상기 제2 플레이트(220)의 표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오픈된 토출구(2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210)와 제2 플레이트(220)는 서로 포개지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플레이트(210)와 제2 플레이트(220)의 모서리를 따라 복수개의 체결홀(216)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체결홀(216)에 결합되는 나사(217)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애완동물 건조장치에서 열풍기와 배출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열풍기(400)의 일측에는 소정갯수의 미세홀로 마련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430)가 마련되고, 흡입된 공기를 내부에서 가열하여 반대편에 마련된 송풍구(420)를 구비하여 열풍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풍기(400)에서 송풍구(420)가 마련된 부분에는 상기 송풍구(420)의 상부와 측부 주위를 둘러싸도록 일정길이만큼 돌출된 제1 고정부(410)가 마련될 수 있고, 흡입부(430)가 마련된 부분에는 상기 흡입부(430)의 둘레를 따라 일정길이만큼 돌출된 제2 고정부(431)가 마련될 수 있다.
열풍기(400)의 상측에는 열풍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온오프 스위치, 열풍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조절제어기와 같은 제어버튼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공지된 기술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송풍구(420)는 도 2에서 설명한 연결부(200)에 형성된 제2 걸림부(214)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송풍구(420)는 관통홀(215)에 포개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관통홀(215)을 통해 본체부(100)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열풍기(400)의 크기 또는 형상은 실시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배출관(300)은 휘어짐이 가능하도록 연장방향을 따라 표면에 연속적으로 주름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배출관(300)의 일단에는 제1 결합부(310)가 형성될 수 있고, 타단에는 제2 결합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310)와 제2 결합부(320)는 제1 걸림부(211)와 제2 고정부(431)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배출관(300)은 본체부(100)의 내부의 수분을 함유한 공기가 배출하여 본체부(100) 내의 건조효율을 높이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애완동물 건조장치를 형성하는 각 구성간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본체부(100)에 결합된 연결부(200)에 마련된 제2 걸림부(214)에는 열풍기(400)의 송풍구(420) 쪽에 마련된 제1 고정부(41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애완동물 건조장치에서 본체부(100)와 열풍기(400)의 결합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체부(100) 표면에 결합된 연결부(200)에는 제2 걸림부(214)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2 걸림부(214)는 내측으로 일정깊이만큼 파인 홈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고정부(410)는 상기 홈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이 가능하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마찬가지로 제1 걸림부(211)는 내측으로 홈부가 형성되며 상면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배출관(300)의 일단에 형성된 제1 결합부(310)의 하방향으로 맞춤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고, 배출관(300)의 타단에 형성된 제2 결합부(320)는 상기 흡입부(43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2 고정부(431)의 하방향으로 맞춤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애완동물 건조장치의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애완동물 건조장치의 작동 방식과 이에 따른공기의 유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와 같이 본체부(100), 열풍기(400) 및 배출관(300)의 슬라이딩 결합이 완성되면, 본체부 내부로 목욕을 마친 애완동물의 물기를 어느정도 제거하고 본체부(100) 내부에 마련된 안착대 위에 올려놓는다.
그리고, 열풍기(400)의 온오프 스위치를 작동시켜 열풍기를 턴온하고, 온도조절제어버튼을 통해 적당한 온도로 열풍이 발생되도록 제어한다. 열풍기(400)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는 연결부(200)를 통해 본체부(100) 내부로 주입될 수 있으며, 본체부(100) 내부의 공기는 연결부(200)를 통해 본체부(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의 구성을 함께 참조하여 연결부에 따른 공기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외부의 공기가 ① 방향과 같이 흡입부(430)를 통해 열풍기(400)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가열되어 송풍구(420)를 통해 배출된다. 배출되는 공기는 연결부(200)에 형성된 관통홀(215)로 유입되어 본체부(100) 내부로 유입되는데 이 때 ② 방향과 ③ 방향과 같은 공기의 유동이 일어날 수 있다.
도 7는 연결부(200)에 의한 공기의 유동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을 참조하면, 관통홀(215)로 유입된 공기 중의 일부는 ②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으며, 관통홀(215)로 유입된 공기중의 일부는 관통홀(215)의 하면에 마련된 경로변경부재(222)를 따라 경로가 변경되어 ③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건조장치는 상기와 같이 본체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일부분 변경시키는 경로변경부재(222)를 구비한다. 상기 경로 변경부재(222)는 연결부(200)에 형성된 관통홀(215)의 일부를 차단하면서 연결부(200)의 하부 모서리까지 연장되고 하측 전방부가 일부 오픈되도록 형성됨으로써 공기의 이동 경로를 변경한다. 즉, 관통홀(215)로 유입된 공기는 경로변경부재(222)의 내부로 일부가 유입되며, 경로변경부재(222)의 내부공간을 따라 이동하면서 하부에 마련된 토출구(226)를 통해 배출될 수 있으며 본체부(100)의 내부에서는 공기의 하강 흐름을 이루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애완동물 건조장치는 공기가 유입되는 홀이 한 개이면서도 본체부(100) 내부에서는 적어도 2개의 공기의 흐름이 일어날 수 있고, 애완동물의 몸 전체에 공기가 전달됨에 따라 건조를 완료하는 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주로 애완동물의 발 부분은 쉽게 마르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본 발명의 애완동물 건조장치는 공기의 하강 흐름을 유도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애완동물 건조장치의 가동시간을 줄일수록 애완동물에게 가해지는 부담 또한 줄어드는 장점을 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체부(100) 내부에서 여러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애완동물의 물기와 접촉하면서 수분을 머금고 있고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애완동물의 털과 각종 오염물질이 비산할 수 있다. 제1 배기부(212)는 열풍기(400)의 흡입력을 사용하여 본체부(100) 내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제1 배기부(212)의 안쪽으로는 포집필터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비산되는 털 및 오염물은 포집필터에 의해 걸러지고 수분을 머금은 공기는 ④ 방향과 같이 열풍기(400)로 내부로 다시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배기부(213)는 제1 배기부(212)가 본체부(1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때문에 본체부(10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배기부(213)로는 본체부(100) 내부 양압(+)의 힘으로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본체부(100) 내부의 쾌적한 분위기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애완동물을 목욕시킨 후 털을 건조시키기 위해 건조장치 내부에 수용하고 온풍을 공급할 때, 온풍이 여러방향으로 제공되어 공기가 순환되는 구조를 이룸에 따라 애완동물의 털을 고르게 말릴 수 있고, 건조에 필요한 시간 또한 단축하여 애완동물에게 가해질 수 있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본체와 본체로 열풍을 공급하는 공급장치 및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배관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호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수리 및 보관의 편리성과 재사용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본체부
200: 연결부
210: 제1 플레이트, 211: 제1 걸림부, 212: 제1 배기부, 213: 제2 배기부
214: 제2 걸림부, 215: 관통홀, 220: 제2 플레이트 223: 제3 걸림부
222: 경로변경부재, 225: 포집필터, 226: 토출구
300: 배출관
310: 제1 결합부, 320: 제2 결합부
400: 열풍기
410: 제1 고정부, 420: 송풍구, 430: 흡입부, 431: 제2 고정부

Claims (5)

  1. 내부에 애완동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고 전면으로 개폐가 가능하며 내부가 투시되는 투명체로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결합되며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거나 상기 본체부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도록 공기의 유동통로를 제공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측면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결합되는 배출관; 및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본체부 내부로 온풍을 공급하는 송풍구를 구비한 열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표면에는 상기 열풍기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안쪽으로는 소정의 크기의 내부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관통홀을 일부 차단하고 하부영역이 오픈된 경로변경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부를 바라보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를 바라보는 제2 플레이트가 서로 포개지도록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소정의 직경을 가진 미세홀이 배열을 이룬 제1 배기부와 상기 제1 배기부 하부에 배치되며 제1 배기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 배기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 배기부와 제2 배기부 사이에는 상기 제1 배기부의 측면과 하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1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경로변경부재는 직육각형의 형상으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관통홀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경로변경부재의 내부공간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경로변경부재의 하면에 마련된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건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기에서 송풍구가 마련된 부분에는 상기 송풍구의 상부와 측부 주위를 둘러싸도록 일정길이만큼 돌출된 제1 고정부가 마련되고, 흡입부가 마련된 부분에는 상기 흡입부의 둘레를 따라 일정길이만큼 돌출된 제2 고정부가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의 하면에 마련된 상기 관통홀의 측면과 상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표면으로부터 일정길이만큼 돌출된 제2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연결부의 하면에 배치된 상기 제2 걸림부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애완동물 건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휘어짐이 가능하도록 연장방향을 따라 표면에 연속적으로 주름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출관의 일단은 상기 연결부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제1 걸림부와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배출관의 타단은 상기 열풍기의 흡입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본체부 내부의 공기가 상기 열풍기의 흡입력에 의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건조장치.

KR1020190009046A 2019-01-24 2019-01-24 애완동물 건조장치 KR101995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046A KR101995188B1 (ko) 2019-01-24 2019-01-24 애완동물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046A KR101995188B1 (ko) 2019-01-24 2019-01-24 애완동물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5188B1 true KR101995188B1 (ko) 2019-07-01

Family

ID=67255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046A KR101995188B1 (ko) 2019-01-24 2019-01-24 애완동물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1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9091A (ko) 2022-03-25 2023-10-05 이미경 절첩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드라이 하우스
KR20230140782A (ko) 2022-03-30 2023-10-10 주식회사 썸머홀릭 반려동물용 드라이 하우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376Y1 (ko) * 2006-11-24 2008-02-13 주식회사 세미클 애완동물용 건조 장치
KR200476748Y1 (ko) * 2014-10-01 2015-03-30 김용원 애완동물 건조장치
KR20160011469A (ko) * 2014-07-22 2016-02-01 주식회사 이주코리아 다기능 팬 모듈과 드라이룸 기능을 구비한 애완동물용 가방의 조립체
KR101840655B1 (ko) * 2017-07-17 2018-03-21 임형규 펫 드라이 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376Y1 (ko) * 2006-11-24 2008-02-13 주식회사 세미클 애완동물용 건조 장치
KR20160011469A (ko) * 2014-07-22 2016-02-01 주식회사 이주코리아 다기능 팬 모듈과 드라이룸 기능을 구비한 애완동물용 가방의 조립체
KR200476748Y1 (ko) * 2014-10-01 2015-03-30 김용원 애완동물 건조장치
KR101840655B1 (ko) * 2017-07-17 2018-03-21 임형규 펫 드라이 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9091A (ko) 2022-03-25 2023-10-05 이미경 절첩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드라이 하우스
KR20230140782A (ko) 2022-03-30 2023-10-10 주식회사 썸머홀릭 반려동물용 드라이 하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94056B (zh) Pet with a drying box
KR100577256B1 (ko) 환기겸용 공기청정기
KR200472302Y1 (ko)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KR101995188B1 (ko) 애완동물 건조장치
KR101963814B1 (ko) 애완동물용 건조 장치
KR101680824B1 (ko) 펫 드라이 룸
CN210091047U (zh) 一种具有智能感应装置的计算机主机箱
KR101937181B1 (ko)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
KR20160011469A (ko) 다기능 팬 모듈과 드라이룸 기능을 구비한 애완동물용 가방의 조립체
KR20110011502U (ko)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KR101971577B1 (ko)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
CN208205770U (zh) 一种物料干燥除湿设备
KR20130003240A (ko) 진공청소기
KR101471406B1 (ko) 실험용 동물배양시스템
KR20230034227A (ko) 펫 드라이룸
CN214155827U (zh) 宠物烘干设备
CN109673530A (zh) 一种风干装置及烘干箱
KR20180045246A (ko) 애완동물용 드라이어
KR102092223B1 (ko) 리프트 장치를 포함하는 가습장치
CN209711095U (zh) 一种风干装置及烘干箱
KR20190111445A (ko) 다기능 펫 드라이룸
KR101674350B1 (ko) 제습기를 이용한 방사성 폐기물 건조기
KR20200040159A (ko) 농축산물 건조기용 습기제거장치
JP4071155B2 (ja) ホルムアルデヒド等の有害化学物質除去設備
KR20230105505A (ko) 옷걸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