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063B1 - 야외 지질 조사용 다목적 홀더 - Google Patents
야외 지질 조사용 다목적 홀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95063B1 KR101995063B1 KR1020180092002A KR20180092002A KR101995063B1 KR 101995063 B1 KR101995063 B1 KR 101995063B1 KR 1020180092002 A KR1020180092002 A KR 1020180092002A KR 20180092002 A KR20180092002 A KR 20180092002A KR 101995063 B1 KR101995063 B1 KR 1019950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ding
- holder
- spring
- holding part
- outdo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5—Thin, flat, rectangular articles, e.g. ID badges or card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66—Tubular, rod-shaped articles, e.g. bat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75—Portable tool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외 지질 조사용 다목적 홀더를 공개한다. 이 장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의 홀딩부; 상기 홀딩부 외면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스프링을 내장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의 스프링 내장부; 상기 스프링 내장부 외면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장된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홀딩부를 개폐하는 한 쌍의 막대 형상의 집게부; 및 상기 홀딩부 외면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홀딩부를 유리 재질의 벽면에 부착하는 한 쌍의 흡입 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홀딩되는 물체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홀딩할 수 있고, 홀딩되는 물체가 우산인 경우 손잡이 부위가 고리 모양까지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다. 또한, 탈착식 홀더로서 2개로 분리하여 도면을 양측에서 그립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넓은 시야각을 제공하고, 복수개의 조사 장비의 거치 및 사용이 간편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목적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야외 지질 조사시 조사 장비를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거치하고, 도면을 차량 유리창의 양측에서 그립하여 사용자가 차량 측면에서 넓은 시야각으로 검토할 수 있는 야외 지질 조사용 다목적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질 조사(geological survey)는 어떤 지역에 대해 암석 및 지층의 분포, 이들의 상호관계, 지질시대, 지질구조 등의 지질현상을 밝히기 위한 조사로서, 이러한 지질조사의 목적은 지하자원의 개발, 국토의 합리적 이용 및 개발, 지질계통의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지질 조사에는 야외 조사와 야외에서 채취한 시료에 대한 실험 등 두 단계가 있는데, 야외 조사에서는 지질도를 작성하는 작업과 더불어 여러 지질현상을 파악하게 되며, 때로는 암석 등의 시료를 채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야외 지질 조사시에는 램프, 클리노미터(clinometer), 조사용 해머(hammer) 및 정(cold chisel) 등의 여러 조사 장비들을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야외 지질 조사시, 매 사용시마다 가방(field bag) 또는 케이스에서 일일이 꺼내어야 하므로 조사 장비를 찾거나 또는 사용하는데 따른 시간이 소요되며, 조사 장비의 사용에 따른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종래에 우천시 차량에서 하차한 후에 지질 조사를 할 때, 우산과 해머 등의 조사 장비를 거치할 적당한 곳이 없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야외 지질 조사시 지질도, 광물 분포도 등을 검토해야 할 때, 차량의 본네트 상에 펼쳐서 제한된 시야각으로 보아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야외 지질 조사시 필요한 해머, 우산, 가방 등의 조사 장비 또는 물품이나 지질도, 광물 분포도 등의 도면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홀딩하여, 우천시에 우산을 차량에 잠시 걸어야 하거나 사이즈가 큰 도면을 차량의 측면에 부착하여 보아야 할 경우, 또는 해머 등 야외 지질 조사 조사 장비를 안정적으로 거치함으로써 지질 조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야외 지질 조사용 다목적 홀더를 착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에 우천시 우산이나 야외 지질 조사 장비를 거치할 적당한 곳이 없어 불편한 문제점과, 지질도, 광물 분포도 등을 검토해야 할 때 차량의 본네트 상에 펼쳐서 제한된 시야각으로 보아야 하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야외 지질 조사용 다목적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야외 지질 조사용 다목적 홀더는 중공의 원통 형상의 홀딩부; 상기 홀딩부 외면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스프링을 내장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의 스프링 내장부; 상기 스프링 내장부 외면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장된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홀딩부를 개폐하는 한 쌍의 막대 형상의 집게부; 및 상기 홀딩부 외면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홀딩부를 유리 재질의 벽면에 부착하는 한 쌍의 흡입 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야외 지질 조사용 다목적 홀더의 상기 홀딩부는 지질 조사 장비들을 홀딩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의 제1 홀딩부; 및 상기 제1 홀딩부의 외면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도면을 홀딩하는 한 쌍의 막대 형상의 제2 홀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야외 지질 조사용 다목적 홀더는 상기 홀딩부, 상기 스프링 내장부 및 상기 집게부는 횡 방향의 중심 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분리 가능하여, 상기 분리된 상부 제2 홀딩부의 하부면에 홈 형상의 암형 결합부가 형성된 제1 탈착식 홀더; 및 상기 제1 탈착식 홀더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분리된 하부 제2 홀딩부의 상부면에 돌기 형상의 숫형 결합부가 형성된 제2 탈착식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암형 결합부는 상기 숫형 결합부와 탈착이 가능하여, 상기 제1 및 제2 탈착식 홀더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야외 지질 조사용 다목적 홀더의 상기 스프링 내장부는 중공의 내부에 결합용 바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탈착식 홀더의 결합 또는 분리시 상기 결합용 바가 각각 상기 스프링 내장부에 장착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야외 지질 조사용 다목적 홀더의 상기 제1 홀딩부는 내주면에 고무 또는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진 제1 접촉부가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야외 지질 조사용 다목적 홀더의 상기 제2 홀딩부는 내벽면에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2 접촉부가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야외 지질 조사용 다목적 홀더의 상기 제1 홀딩부는 상단 외주 면에 합성수지 또는 가죽 재질로 이루어진 외피가 피복되어, 홀딩되는 상기 지질 조사 장비들과의 접촉 소음 및 충격을 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야외 지질 조사용 다목적 홀더의 상기 흡입 캡은 원기둥 형상으로서 상기 제1 홀딩부 외주면에 접착되는 목부; 및 접시 형상으로서 상기 목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원주면이 상기 벽면에 탈부착되는 고무 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야외 지질 조사용 다목적 홀더의 상기 스프링은 상기 집게부에 가해지는 악력에 따라 상기 탄성력이 이용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야외 지질 조사용 다목적 홀더는 중공의 원통 형상의 홀딩부; 상기 홀딩부 외면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스프링을 내장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의 스프링 내장부; 상기 스프링 내장부 외면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장된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홀딩부를 개폐하는 한 쌍의 막대 형상의 집게부; 및 상기 홀딩부 외면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홀딩부를 유리 재질의 벽면에 부착하는 한 쌍의 흡입 캡;을 구비하고, 상기 집게부에 악력이 가해지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홀딩부를 개방하여 벌리고, 상기 집게부에 악력이 해제되면,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홀딩부를 정상 상태로 복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야외 지질 조사용 홀더의 홀딩부 내주면에 고무 또는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진 접촉부가 접착되어, 홀딩되는 물체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홀딩할 수 있다.
또한, 홀딩되는 물체가 우산인 경우, 집게부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홀딩부가 개폐되므로 우산의 손잡이 부위가 원통형뿐 아니라, 고리 모양까지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다.
또한, 홀더가 탈착식이므로 2개로 분리하여 도면을 양측에서 그립할 수 있어, 사용자가 차량 측면에서 도면을 넓은 시야각과 편한 자세로 검토할 수 있다.
또한, 야외 지질 조사시 매 사용시마다 가방 또는 케이스에서 조사 장비를 찾거나 사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며, 복수개의 조사 장비의 거치 및 사용이 간편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외 지질 조사용 다목적 홀더에 지질 조사용 해머(50)를 거치한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홀더 내 제1 탈착식 홀더(100)의 스프링 내장부(130)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홀더의 정상 상태(a) 및 집게부(140)에 악력을 가하여 홀딩부를 벌린 상태(b)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홀더를 이용하여 램프(30), 조사용 해머(50) 및 우산(70)을 차량(10)의 유리창에 홀딩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홀더를 분리하여 차량(10)의 측면에서 도면(20)을 검토하는 경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홀더 내 제1 탈착식 홀더(100)의 스프링 내장부(130)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홀더의 정상 상태(a) 및 집게부(140)에 악력을 가하여 홀딩부를 벌린 상태(b)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홀더를 이용하여 램프(30), 조사용 해머(50) 및 우산(70)을 차량(10)의 유리창에 홀딩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홀더를 분리하여 차량(10)의 측면에서 도면(20)을 검토하는 경우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외 지질 조사용 다목적 홀더에 지질 조사용 해머(50)를 거치한 정단면도로서, 제1 및 제2 탈착식 홀더(100, 200)를 포함하고, 제1 탈착식 홀더(100)는 홀딩부, 스프링 내장부(130), 집게부(140), 흡입 캡(150)을 구비하고, 제2 탈착식 홀더(200)는 홀딩부, 스프링 내장부(230), 집게부(240), 흡입 캡(250)을 구비한다.
제1 탈착식 홀더(100)의 홀딩부는 제1 및 제2 홀딩부(110, 120)를 포함하고, 스프링 내장부(130)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37)을 내장한다.
제2 탈착식 홀더(200)의 홀딩부는 제1 및 제2 홀딩부(210, 220)를 포함하고, 스프링 내장부(230)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237)을 내장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홀더 내 제1 탈착식 홀더(100)의 스프링 내장부(130)의 평면도로서, 제1 비틀림 코일 스프링(137) 및 결합용 바(135)를 구비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야외 지질 조사용 다목적 홀더의 각 구성요소의 구조 및 기능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홀딩부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서 물체를 홀딩한다.
스프링 내장부(130, 230)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서 홀딩부 외면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스프링(137, 237)을 내장한다.
한 쌍의 막대 형상의 집게부(140, 240)는 스프링 내장부(130, 230) 외면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스프링 내장부(130, 230)에 내장된 스프링(137, 237)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홀딩부를 개폐한다.
한 쌍의 흡입 캡(150, 250)은 홀딩부 외면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홀딩부를 유리 재질의 벽면에 부착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홀더의 정상 상태(a) 및 집게부(140)에 악력을 가하여 홀딩부를 벌린 상태(b)의 평면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탈착식 홀더(100, 200) 중 제1 탈착식 홀더(100)의 평면도에 대해서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제1 탈착식 홀더(100)는 제1 및 제2 홀딩부(110, 120), 제1 및 제2 접촉부(115, 125), 스프링 내장부(130), 집게부(140), 흡입 캡(150)을 구비하고, 스프링 내장부(130)는 제1 비틀림 코일 스프링(137) 및 결합용 바(135)를 내장한다.
또한, 흡입 캡(150)은 목부(152) 및 고무 캡(154)을 포함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홀더를 이용하여 램프(30), 조사용 해머(50) 및 우산(70)을 차량(10)의 유리창에 홀딩한 상태의 정면도로서, 복수개의 제1 및 제2 탈착식 홀더(100, 20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외 지질 조사용 다목적 홀더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홀딩부는 중공의 원통 형상의 제1 홀딩부(110)와 제1 홀딩부(110)의 외면 중 한 쌍의 집게부(140)의 위치에 반대측인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한 쌍의 막대 형상의 제2 홀딩부(120)를 구비한다.
원통 형상의 제1 홀딩부(110) 내주면에는 고무 또는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진 제1 접촉부(115)가 접착되고, 한 쌍의 막대 형상의 제2 홀딩부(120) 내벽면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2 접촉부(125)가 접착되어 홀딩부에 홀딩되는 물체(예를 들어 해머, 우산, 지질도 등)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홀딩할 수 있다.
흡입 캡(150)은 원기둥 형상의 목부(152) 및 접시 형상의 고무 캡(154)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목부(152)가 제1 홀딩부(110) 외주면에 접착되고, 고무 캡(154)의 원주면이 유리 재질의 벽면, 예를 들어 차량의 유리창에 탈부착되어, 홀딩부를 고정 또는 분리시킨다.
스프링 내장부(130)는 중공의 원통 형상의 내부에 횡 방향의 중심 축을 중심으로 비틀림 코일 스프링(137)을 내장하여 집게부(140)에 가해지는 악력(握力)에 의해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홀딩부를 개폐한다.
즉,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목적 홀더의 정상 상태에서는 집게부(140)에 아무런 악력(握力)이 가해지지 않아, 제2 홀딩부(120) 내벽면에 접착되어 있는 한 쌍의 제2 접촉부(125)가 맞닿아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집게부(140)에 악력(握力)을 가하면,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 내장부(130)에 내장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137)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및 제2 홀딩부(110, 12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벌려진다.
이 상태에서 램프(30), 클리노미터, 조사용 해머(50) 및 정 등의 여러 조사 장비나 우산(70)을 제1 홀딩부(110)의 내주면에 삽입한 후에, 다시 사용자가 집게부(140)에 악력(握力)을 해제하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137)의 복원력에 의해 제1 및 제2 홀딩부(110, 120)가 정상 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조사 장비나 우산(70)이 제1 홀딩부(110) 내주면에 접착되어 있는 제1 접촉부(115)에 그립(grip)되어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홀딩 또는 거치된다.
만일, 홀딩되는 조사 장비가 조사용 해머(50)인 경우, 해머(50)의 머리 부위는 제1 홀딩부(110)의 상단에 걸림 위치되고, 해머(50)의 손잡이 부위는 제1 접촉부(115)에 그립된다.
또한, 홀딩되는 조사 장비가 램프(30)인 경우, 램프(30)의 전등 케이스 부위는 제1 홀딩부(110)의 상단에 걸림 위치되고, 램프(30)의 손잡이 부위는 제1 접촉부(115)에 그립된다.
이때, 해머(50)의 머리 부위가 걸림 위치되는 제1 홀딩부(110)의 상단 외주 면에는 외피(미도시)가 피복될 수 있다.
이 외피는 재질이 합성수지 또는 가죽 등으로 이루어져, 해머(50)의 머리 부위와 제1 홀딩부(110)의 상단 간의 접촉 소음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홀딩되는 물체가 우산(70)인 경우, 집게부(140)에 가해지는 악력(握力)에 의해 홀딩부가 개폐되므로 우산(70)의 손잡이 부위가 원통형뿐 아니라, 고리 모양까지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홀딩부, 스프링 내장부(130, 230) 및 집게부(140, 240)는 횡 방향의 중심 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분리될 수 있어 본 발명의 야외 지질 조사용 다목적 홀더는 제1 및 제2 탈착식 홀더(100, 200)를 장착 또는 분리의 2가지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스프링 내장부(130, 230)는 중공의 원통 형상의 내부에 결합용 바(bar, 135)를 구비하고, 제1 탈착식 홀더(100)의 제2 홀딩부(120)는 하부면에 홈 형상의 암형 결합부(125)가 형성되고, 제2 탈착식 홀더(200)의 제2 홀딩부(220)는 상부면에 돌기 형상의 숫형 결합부(225)가 형성된다.
즉,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야외 지질 조사시 램프(30), 조사용 해머(50) 및 정(cold chisel) 등의 조사 장비들을 함께 사용해야 하는 경우나 지질도, 광물 분포도 등의 도면(20)을 검토해야 할 때, 본 발명의 홀더가 2개 이상 필요하므로, 본래 제2 홀딩부(120)의 암형 결합부(125) 및 제2 홀딩부(220)의 숫형 결합부(225)를 통해 일체형으로 장착되어 있는 홀더를 간편하게 풀링하면 제1 탈착식 홀더(100)와 제2 탈착식 홀더(200) 2개로 분리가 가능하다.
분리가 된 본 발명의 복수개의 홀더를 이용하여 야외 지질 조사를 수행하는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홀더를 분리하여 차량(10)의 측면에서 도면(20)을 검토하는 경우의 정면도로서, 암형 결합부(125)가 구비된 제1 탈착식 홀더(100) 및 숫형 결합부(225)가 구비된 제2 탈착식 홀더(20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야외 지질 조사용 다목적 홀더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야외 지질 조사시 지질도, 광물 분포도 등의 도면(20)을 검토하는 것이 불가피한데, 종래에 는 차량의 본네트 상이나 지면에 도면(20)을 펼쳐서 제한된 시야각과 불편한 자세로 보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일체형 다목적 홀더를 제1 탈착식 홀더(100)와 제2 탈착식 홀더(200)로 2개로 분리하여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10)의 유리창 벽면의 두 곳에 부착하여 도면(20)을 양측에서 그립하여 사용자가 차량(10) 측면에서 도면(20)을 넓은 시야각과 편한 자세로 검토할 수 있다.
즉, 스프링 내장부(130, 230)로부터 결합용 바(135)를 분리하고, 제1 탈착식 홀더(100)의 제2 홀딩부(120)의 암형 결합부(125)와 제2 탈착식 홀더(200)의 제2 홀딩부(220)의 숫형 결합부(225)를 통해 일체형으로 장착되어 있는 다목적 홀더를 풀링하면 제1 탈착식 홀더(100)와 제2 탈착식 홀더(200)로 각각 분리된다.
이렇게 분리된 제1 탈착식 홀더(100)와 제2 탈착식 홀더(200)가 도면(20)의 양측을 그립할 수 있도록 차량(10)의 유리창 벽면의 두 곳에 적당한 거리를 두고 부착한다.
이때, 제1 탈착식 홀더(100) 및 제2 탈착식 홀더(200) 각각에 구비된 흡입 캡(150, 250)의 고무 캡(154, 254)의 원주면이 차량의 유리창에 부착된다.
사용자가 제1 탈착식 홀더(100) 및 제2 탈착식 홀더(200) 각각의 집게부(140, 240)에 악력(握力)을 가하면, 도 1 및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 내장부(130, 230)에 내장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137)의 탄성력에 의해 제1 탈착식 홀더(100)의 제1 및 제2 홀딩부(110, 120)와 제2 탈착식 홀더(200)의 제1 및 제2 홀딩부(210, 22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벌려진다.
이 상태에서 도면(20)을 제1 탈착식 홀더(100)의 제2 홀딩부(120)와 제2 탈착식 홀더(200)의 제2 홀딩부(220)의 내벽면에 삽입한 후에, 다시 사용자가 집게부(140, 240)에 악력(握力)을 해제하면, 제1 탈착식 홀더(100)의 제2 홀딩부(120)와 제2 탈착식 홀더(200)의 제2 홀딩부(220)가 정상 상태로 복원되어 도면(20)의 양측이 제2 홀딩부(120, 220) 내벽면에 접착되어 있는 제1 접촉부(115, 215)에 그립(grip)되어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홀딩된다.
그 밖에, 배낭이나 가방 등으로부터 복수개의 조사 장비들 및/또는 우산(70)을 꺼내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2개의 홀더로 분리된 본 발명의 복수개의 홀더들을 차량의 유리창에 부착하고, 제1 탈착식 홀더(100) 및 제2 탈착식 홀더(200) 각각의 집게부(140, 240)에 악력(握力)을 가하여 각 각각의 제1 홀딩부(110, 210)를 외측으로 벌려 복수개의 조사 장비들 각각을 각각의 제1 홀딩부(110, 210)에 홀딩할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복수개의 홀더들을 차량(10)의 유리창 외벽면에 부착한 실시예로 예시하였지만, 우천시 제1 탈착식 홀더(100) 및 제2 탈착식 홀더(200)를 차량(10)의 유리창 내벽면에 부착하여 우산(70)을 편 상태로 유리창 내벽면에 거치한 상태에서 복수개의 조사 장비들(30, 50), 도면(20), 사용자를 함께 보호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에 우천시 우산이나 야외 지질 조사 장비를 거치할 적당한 곳이 없어 불편한 문제점과, 지질도, 광물 분포도 등을 검토해야 할 때 차량의 본네트 상에 펼쳐서 제한된 시야각으로 보아야 하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야외 지질 조사용 다목적 홀더를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야외 지질 조사용 홀더의 홀딩부 내주면에 고무 또는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진 접촉부가 접착되어, 홀딩되는 물체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홀딩할 수 있다.
또한, 홀딩되는 물체가 우산인 경우, 집게부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홀딩부가 개폐되므로 우산의 손잡이 부위가 원통형뿐 아니라, 고리 모양까지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다.
또한, 홀더가 탈착식이므로 2개로 분리하여 도면을 양측에서 그립할 수 있어, 사용자가 차량 측면에서 도면을 넓은 시야각과 편한 자세로 검토할 수 있다.
또한, 야외 지질 조사시 매 사용시마다 가방 또는 케이스에서 조사 장비를 찾거나 사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며, 복수개의 조사 장비의 거치 및 사용이 간편해진다.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50: 지질 조사용 해머
100 : 제1 탈착식 홀더
110, 210 : 제1 홀딩부
120, 220 : 제2 홀딩부
130, 230 : 스프링 내장부
135 : 결합용 바
137, 237: 스프링 내장부
140, 240 : 집게부
150, 250 : 흡입 캡
200 : 제2 탈착식 홀더
100 : 제1 탈착식 홀더
110, 210 : 제1 홀딩부
120, 220 : 제2 홀딩부
130, 230 : 스프링 내장부
135 : 결합용 바
137, 237: 스프링 내장부
140, 240 : 집게부
150, 250 : 흡입 캡
200 : 제2 탈착식 홀더
Claims (10)
- 중공의 원통 형상의 홀딩부;
상기 홀딩부 외면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스프링을 내장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의 스프링 내장부;
상기 스프링 내장부 외면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장된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홀딩부를 개폐하는 한 쌍의 막대 형상의 집게부; 및
상기 홀딩부 외면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홀딩부를 유리 재질의 벽면에 부착하는 한 쌍의 흡입 캡;
을 구비하고,
상기 홀딩부, 상기 스프링 내장부 및 상기 집게부는 횡 방향의 중심 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분리 가능하며,
상기 홀딩부는
지질 조사 장비들을 홀딩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의 제1 홀딩부; 및
상기 제1 홀딩부의 외면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도면을 홀딩하는 한 쌍의 막대 형상의 제2 홀딩부;
를 구비하고,
상기 상하 분리시 상기 한 쌍의 흡입 캡이 차량의 유리창 벽면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부착되는 경우, 상기 도면의 양측이 상기 한 쌍의 제2 홀딩부 각각의 내벽면에 그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 지질 조사용 다목적 홀더.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상부 제2 홀딩부의 하부면에 홈 형상의 암형 결합부가 형성된 제1 탈착식 홀더; 및
상기 제1 탈착식 홀더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분리된 하부 제2 홀딩부의 상부면에 돌기 형상의 숫형 결합부가 형성된 제2 탈착식 홀더;
를 구비하고,
상기 암형 결합부는 상기 숫형 결합부와 탈착이 가능하여, 상기 제1 및 제2 탈착식 홀더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 지질 조사용 다목적 홀더.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내장부는
중공의 내부에 결합용 바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탈착식 홀더의 결합 또는 분리시 상기 결합용 바가 각각 상기 스프링 내장부에 장착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 지질 조사용 다목적 홀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딩부는
내주면에 고무 또는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진 제1 접촉부가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 지질 조사용 다목적 홀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홀딩부는
내벽면에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2 접촉부가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 지질 조사용 다목적 홀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딩부는
상단 외주 면에 합성수지 또는 가죽 재질로 이루어진 외피가 피복되어, 홀딩되는 상기 지질 조사 장비들과의 접촉 소음 및 충격을 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 지질 조사용 다목적 홀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캡은
원기둥 형상으로서 상기 제1 홀딩부 외주면에 접착되는 목부; 및
접시 형상으로서 상기 목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원주면이 상기 벽면에 탈부착되는 고무 캡;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 지질 조사용 다목적 홀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집게부에 가해지는 악력에 따라 상기 탄성력이 이용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 지질 조사용 다목적 홀더.
- 중공의 원통 형상의 홀딩부;
상기 홀딩부 외면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스프링을 내장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의 스프링 내장부;
상기 스프링 내장부 외면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장된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홀딩부를 개폐하는 한 쌍의 막대 형상의 집게부; 및
상기 홀딩부 외면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홀딩부를 유리 재질의 벽면에 부착하는 한 쌍의 흡입 캡;
을 구비하고,
상기 집게부에 악력이 가해지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홀딩부를 개방하여 벌리고,
상기 집게부에 악력이 해제되면,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홀딩부를 정상 상태로 복원시키며,
상기 홀딩부, 상기 스프링 내장부 및 상기 집게부는 횡 방향의 중심 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분리 가능하며,
상기 홀딩부는
지질 조사 장비들을 홀딩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의 제1 홀딩부; 및
상기 제1 홀딩부의 외면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도면을 홀딩하는 한 쌍의 막대 형상의 제2 홀딩부;
를 구비하고,
상기 상하 분리시 상기 한 쌍의 흡입 캡이 차량의 유리창 벽면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부착되는 경우, 상기 도면의 양측이 상기 한 쌍의 제2 홀딩부 각각의 내벽면에 그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 지질 조사용 다목적 홀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2002A KR101995063B1 (ko) | 2018-08-07 | 2018-08-07 | 야외 지질 조사용 다목적 홀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2002A KR101995063B1 (ko) | 2018-08-07 | 2018-08-07 | 야외 지질 조사용 다목적 홀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95063B1 true KR101995063B1 (ko) | 2019-07-02 |
Family
ID=67258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2002A KR101995063B1 (ko) | 2018-08-07 | 2018-08-07 | 야외 지질 조사용 다목적 홀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95063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33002U (ja) * | 2007-04-11 | 2007-06-28 | 株式会社ミツトモ製作所 | クランプ |
KR101210834B1 (ko) | 2012-05-21 | 2012-12-11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야외 조사용 장비벨트 |
KR20130007168U (ko) * | 2012-06-05 | 2013-12-13 | 김경남 | 조립식 컵홀더 |
-
2018
- 2018-08-07 KR KR1020180092002A patent/KR10199506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33002U (ja) * | 2007-04-11 | 2007-06-28 | 株式会社ミツトモ製作所 | クランプ |
KR101210834B1 (ko) | 2012-05-21 | 2012-12-11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야외 조사용 장비벨트 |
KR20130007168U (ko) * | 2012-06-05 | 2013-12-13 | 김경남 | 조립식 컵홀더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938540C (en) | Storage device for tools | |
US20050102845A1 (en) | Retention system for a hand tool combination | |
KR101210834B1 (ko) | 야외 조사용 장비벨트 | |
US20160101927A1 (en) | Brush holder | |
US20170258188A1 (en) | Stretchable bottle container | |
US10208903B2 (en) | Wrist band with integrated rotatable light | |
WO2016068540A1 (ko) | 우산거치대 | |
KR101995063B1 (ko) | 야외 지질 조사용 다목적 홀더 | |
US10966478B2 (en) | Apparatus for cleaning a helmet | |
CN202884428U (zh) | 手持携带行动装置的固定器 | |
US7870956B1 (en) | Tool storage assembly | |
US20140327214A1 (en) | Instrument holder for a plotter | |
US7707733B1 (en) | Level vial support for a geomatics pole | |
US20080308665A1 (en) | Towel holder apparatus | |
US20180043516A1 (en) | Screwdriver | |
US20130118939A1 (en) | Tool case | |
US7735639B1 (en) | Eyeglasses holder apparatus | |
US20210137230A1 (en) | Travel Suitcase Beverage Cover | |
KR102430506B1 (ko) | 단말기 유지구 및 단말기 수납 케이스 | |
CN207014306U (zh) | 电动工具及其辅助手柄 | |
US6092929A (en) | Optical device storage system | |
CN210488122U (zh) | 放大镜 | |
KR200479794Y1 (ko) | 핸드폰 케이스 | |
US20180125190A1 (en) | Binoculars covers | |
KR20190094236A (ko) | 다목적 공구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