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4236A - 다목적 공구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목적 공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4236A
KR20190094236A KR1020197020626A KR20197020626A KR20190094236A KR 20190094236 A KR20190094236 A KR 20190094236A KR 1020197020626 A KR1020197020626 A KR 1020197020626A KR 20197020626 A KR20197020626 A KR 20197020626A KR 20190094236 A KR20190094236 A KR 20190094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subassembly
perform
housing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0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엘 알 리
마크 오 레퍼
Original Assignee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94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2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1/00Combination or multi-purpose hand tools
    • B25F1/02Combination or multi-purpose hand tools with interchangeable or adjustable too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다목적 공구 시스템(100)을 제공하며, 이 다목적 공구 시스템은, 제1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1 공구(104); 제2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2 공구(106); 제3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3 공구(140); 및 제4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4 공구(142)를 포함한다. 이들 공구는 단일의 일체형 핸드헬드 하우징(102)을 형성하도록 함께 결합한다. 각 공구는 개별 사용을 위해 하우징에서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다목적 공구 시스템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16년 12월 15일로 출원된 "Multi-Purpose Tool System"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가출원 번호 제62/434,585에 관한 것으로 이를 우선권 주장하며, 이에 의해 그 전체가 참조로 원용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술분야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다목적 공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플라스틱 파스너 제거 공구가 단일 공구로서 또는 다중 공구 세트로서 판매되고 있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중 공구는 분실하거나 잃어버리기가 쉽다. 또한, 상이한 형상 및 사이즈의 다양한 공구는 상이한 장소들 간에 운반하기가 번거로울 수 있다. 몇몇 공구 세트는, 다양한 공구들을 정리하는 데에 이용되는 특수 케이스를 포함한다. 케이스 자체는 비교적 크고 부피를 많이 차지하며, 역시 상이한 장소들 간에 운반하기가 번거로울 수 있다.
미국 특허 제9,505,111호, 미국 특허 제7,735,806호 및 미국 특허 공개 제2008/0127473호가 공구를 개시하고 있다.
단일 하우징 내에 복수의 공구를 정리하고 수납하는 효율적 공구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콤팩트하고 운반하기가 용이한 다목적 공구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필요성을 염두에 두고,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들은, 다목적 공구 시스템을 제공하며, 이 다목적 공구 시스템은, 제1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1 공구; 제2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2 공구; 제3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3 공구; 및 제4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4 공구를 포함한다. 이들 공구는 단일의 일체형 핸드헬드 하우징을 형성하도록 함께 결합한다. 또한, 그 공구들은 개별 사용을 위해 하우징에서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공구는 하우징의 베이스를 제공한다. 제2 공구는 제1 공구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되어 하우징의 커버를 제공한다. 제1 공구에 내부 유지 챔버가 형성된다. 제3 공구와 제4 공구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유지 챔버 내에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공구들 중 하나는 그립 공구(예를 들면, 프라잉 공구(prying tool))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립 공구는 중앙 홈에 의해 분리된 경사진 갈래(prong)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진 갈래는 원위 단부로 가면서 얇은 에지로 테이퍼진다.
공구들 중 하나는 클로우 공구(claw tool)를 포함할 수 있다. 클로우 공구는 간극에 의해 분리된 2개의 아치형 프라이 클로우(pry claw)를 포함할 수 있다.
공구들 중 하나는 확대 공구를 포함할 수 있다. 확대 공구는 지지 비임에 일체로 연결된 확대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지지 비임은 측정에 이용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눈금을 포함한다.
공구들 중 하나는 픽 공구(pick tool)를 포함할 수 있다. 픽 공구는 내측으로 경사 또는 만곡된 측벽, 상부벽 및 저부벽을 통해 반대측 단부에 위치한 팁에 연결된 확장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공구, 제3 공구 또는 제4 공구 중 하나는 제1 공구의 유지 챔버 내에 형성된 상보적 소켓 내에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공구, 제2 공구, 제3 공구 및 제4 공구 중 2개의 공구로 이루어진 제1 쌍은 서로 제거 가능하게 결합하여 제1 공구 서브조립체를 형성한다. 제1 공구, 제2 공구, 제3 공구 및 제4 공구 중 나머지 2개의 공구로 이루어진 제2 쌍은 서로 제거 가능하게 결합하여 제2 공구 서브조립체를 형성한다. 제1 공구 서브조립체는 제2 공구 서브조립체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한다.
제1 공구, 제2 공구, 제3 공구 및 제4 공구 중 적어도 하나는 구성 요소(직경 보스 또는 돌출 실린더 등)의 직경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공구, 제2 공구, 제3 공구 및 제4 공구 중 적어도 2개는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여 서로 결함함으로써 제5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5 공구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5 공구는 지지 스탠드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공구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공구 시스템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공구 시스템의 저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공구 시스템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공구 시스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공구 시스템의 상부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공구로부터 분리된 제4 공구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공구의 유지 챔버의 소켓 내에 삽입되고 있는 제4 공구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공구의 유지 챔버의 소켓 내에 고정된 제4 공구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공구의 유지 챔버의 소켓 내에 고정된 제4 공구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공구의 유지 챔버의 소켓 내에 고정된 제4 공구의 도 10의 라인 11-11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공구의 유지 챔버의 소켓 내에 고정된 제4 공구의 도 10의 라인 12-12를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공구로부터 분리된 제3 공구의 저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공구의 중앙 비임 개구 내로 삽입되고 있는 제3 공구의 저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공구의 유지 캐비티 내에 고정된 제3 공구의 저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공구의 유지 캐비티 내에 고정된 제3 공구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공구의 유지 캐비티 내에 고정된 제3 공구의 도 16의 라인 17-17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공구의 유지 캐비티 내에 고정된 제3 공구의 도 16의 라인 18-18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3 공구의 둘레부에 고정 결합하는 돌출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공구 서브조립체로부터 분리된 제1 공구 서브조립체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공구 서브조립체의 제1 공구의 유지 챔버 위에 끼워지고 있는 제2 공구 서브조립체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공구 서브조립체에 고정된 제2 공구 서브조립체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공구 서브조립체에 고정된 제2 공구 서브조립체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2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공구 서브조립체의 제1 공구의 유지 챔버 위에 고정된 제2 공구 서브조립체의 도 23의 라인 24-24를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공구 서브조립체의 제1 공구의 유지 챔버 위에 고정된 제2 공구 서브조립체의 도 23의 라인 25-25를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로부터 파스너를 제거하는 제1 공구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로부터 파스너를 제거하는 제2공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3 공구를 패널의 구멍 내로 삽입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2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3 공구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3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3 공구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3 공구의 확대 렌즈의 도 29의 라인 31-31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패널에 배치된 제2 공구를 도시한다.
도 3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5 공구를 형성하기 전의 제1 공구 서브조립체로부터 분리된 제2 공구 서브조립체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5 공구를 형성하도록 제1 공구 서브조립체에 고정된 제2 공구 서브조립체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5 공구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소정 장치를 지지하는 제5 공구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공구 시스템의 원위 단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서, 본 개시가 그 적용에 있어서 이하의 설명에 기재되거나 첨부 도면들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의 상세 구조 및 구성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개시는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방식으로 실현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어법 및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지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될 것이라는 점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구비하는" 및 "포함하는"이라는 용어 및 그 어미변화 표현들의 사용은 그 후에 나열된 항목 및 그 균등물은 물론 추가적인 항목들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자가 수납형 공구 세트를 포함하는 다목적 공구 시스템을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그 공구 시스템은, 서로 결합하여 단일의 자가 수납형 패키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별개 및 상이한 공구들을 포함한다. 세트 내의 각 공구는, 별개의 기능을 제공하고, 또한 함께 결합되는 경우에 용이하고 간단한 운반을 위해 가방 또는 의류의 주머니 내에 쉽게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들은 파스너 제거 공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종류의 체결 방안 및 형상을 갖고 복수의 재료로 생성된, 자동차에서 볼 수 있는 것 등의 다양한 트림 파스너(trim fastener), 몰딩 및 도어 트림 패널의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공구 키트 및 공구 세트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공구는 구멍 측정 장치가 통합된 확대 렌즈를 포함한다. 제1 공구는 일반적인 구멍 사이즈의 범위의 신속한 측정이 가능하며, 반대측 단부의 확대 렌즈는 작은 파스너 또는 부품 상의 피처들을 볼 수 있게 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2 공구는 일반적인 측정 장치가 통합된 클로우 공구를 포함한다. 제2 공구는, 일반적인 스터드 사이즈의 신속한 측정과 함께 트림 또는 파스너의 제거를 위한 최대의 레버리지(leverage)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3 공구는, 해당 트림 패널의 손상을 초래하지 않고 파스너의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그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다른 공구를 내부에 수납하도록 구성된 그립 공구를 포함한다. 그립 공구와 클로우 공구는 함께 조립되어, 휴대폰 또는 액자 등의 물품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또 다른 공구를 제공할 수 있다.
모든 공구를 함께 결합하여(예를 들면, 스냅 연결을 통해), 단일의 포켓 사이즈 공구 키트를 형성할 수도 있다. 키트 내의 각 공구는 특정 기능을 수행한다.
게다가,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한,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는 단지 라벨(label)로서 이용된 것으로, 그 대상물에 순서적 요건을 부여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 공구가 제2 공구일 수도 있고 그 반대일 수도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공구 시스템(100)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다목적 공구 시스템(100)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다목적 공구 시스템(100)의 저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다목적 공구 시스템(100)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다목적 공구 시스템(10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다목적 공구 시스템(100)은 콤팩트한 하우징(102)을 포함하며, 이 하우징(102)은 하우징(102)의 베이스(105)를 제공하는 제1 공구(104)(도 1 내지 도 5에 도시)와 하우징(102)의 커버(107)를 제공하는 제2 공구(106)에 의해 형성된다. 제2 공구(106)는 스냅 연결 등을 통해 제1 공구(104)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된다. 제2 공구(106)가 제1 공구(104)에 결합되는 경우, 제2 공구(106)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추가적 공구를 유지하는 내부 챔버 위에 커버(107)를 제공한다.
제1 공구(104)는 그립 공구(예를 들면, 프라잉 공구)로서, 측벽(110)에 연결된 근위 단부벽(108)과, 파지용 마루(114)와 골(116) 등의 복수의 촉각적 피처를 갖는 저부벽(112)을 포함한다. 내부 유지 챔버(118)(도 1 및 도 2에 도시)가 제1 공구(104)의 상부벽(120) 내로 리세스되어 있다. 제2 공구(106)는 제2 공구(106)가 제1 공구(104)에 고정 결합되는 경우에 유지 챔버(118) 내에 고정되게 끼워진다. 제2 공구(106)가 유지 챔버(118) 내에 고정되어 있는지에 관계없이 제1 공구(104)를 위한 손잡이(122)가 근위 단부벽(108), 측벽(110), 저부벽(112) 및 상부벽(120)에 의해 형성된다.
제1 공구(104)는 또한 근위 단부벽(108)과는 반대측의 원위 단부(126)에 작업 부재(124)를 포함한다. 작업 부재(124)는, 중앙 홈(130)에 의해 분리된 경면형의 경사진 갈래(128)들을 포함한다. 경사진 갈래(128)는 원위 단부(126)를 향해 가면서 얇은 에지로 테이퍼진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공구 시스템(100)의 상부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다목적 공구 시스템(100)은, 제1 공구(104)(예를 들면, 그립 공구), 제2 공구(106)(예를 들면, 클로우 공구), 제3 공구(140)(예를 들면, 확대 공구) 및 제4 공구(142)(예를 들면, 픽 공구)를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 챔버(118)는 제1 공구(104)의 상부벽(120) 내로 리세스된다. 제2 공구(106)는 고정 연결 위치에서 유지 챔버(118) 위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제2 공구(106)는 작업용 원위 단부(148)에 연결된 근위 단부(146)를 구비한 본체(144)를 포함한다. 근위 단부(146)는 제1 공구(104)의 근위 단부벽(108)에 형성된 슬롯(152) 내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탭(150)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2 공구(106)가 슬롯(152)을 포함하는 한편, 제1 공구(104)가 탭(15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작업용 원위 단부(148)는 간극(156)에 의해 분리된 2개의 아치형 클로우(154)를 포함한다. 클로우(154)는 제1 공구(104)를 향해 아래쪽으로 만곡된 팁(158)을 포함한다(도 6에 도시). 클로우(154)는 제1 공구(104)에 형성된 상보적 채널(160) 내에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제1 공구(104)를 제2 공구(106)에 고정시키기 위해, 클로우(154)를 채널(160) 내로 밀어 넣고 제2 공구(106)의 원위 단부(148)를 클로우(154)와 채널(160) 간의 계면을 중심으로 뒤로 피벗시켜 제1 공구(104)의 근위 단부(108)에 형성된 슬롯(152) 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공구(106)를 제1 공구(104)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이에 의해, 유지 챔버(118)를 노출시키기 위해), 작업자는 탭(150)은 파지하여 제2 공구(106)를 제1 공구(104)로부터 멀어지게 위로 밀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공구(106)는 또한 작업용 원위 단부(148)에 근접하여 본체(144)를 통과해 형성된 통로(162)를 포함할 수 있다. 둥근 통로(162)는, 제3 공구(140)가 제1 공구(104)의 유지 챔버(118) 내에 유지되고 제2 공구(106)로 덮이는 경우, 제3 공구(140)의 확대 렌즈(164)를 노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2 공구(106)는 둥근 통로(162)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3 공구(140)는 지지 비임(166)에 일체적으로 연결된 확대 렌즈(164)(예를 들면, 투명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짐)를 포함한다. 제3 공구(140)는 제1 공구(104)의 유지 챔버(118) 내에 유지되고 제2 공구(106)에 의해 덮이도록 구성된다.
제4 공구(142)는 내측으로 경사 또는 만곡된 측벽(174), 상부벽(176) 및 저부벽(178)을 통해 반대측 단부(172)에 위치한 팁(170)에 연결된 확장 단부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픽(pick)을 형성한다. 제4 공구(142)는 제1 공구(104)의 유지 챔버(118)에 형성된 상보적 소켓(178) 내에 포개지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 공구(104), 제2 공구(106), 제3 공구(140) 및 제4 공구(142)는 함께 결합되어,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단일의 일체형 핸드헬드 하우징(102)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단일의 일체형 핸드헬드 하우징(102)은 바지 주머니에 넣을 수도 있다. 제1 공구(104), 제2 공구(106), 제3 공구(140) 및 제4 공구(142)는 개별 사용을 위해 하우징(102)으로부터 및/또는 서로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공구(104), 제2 공구(106), 제3 공구(140) 및 제4 공구(142) 중 적어도 2개는 서로 결합되어 제5 공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공구(104)는 제1 기능(예를 들면, 그리핑(gripping), 프라잉(prying) 및/또는 풀링(pulling))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제2 공구(106)는 제2 기능(예를 들면, 클로잉(clawing), 프라잉 및/또는 풀링)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제3 공구(140)는 제3 기능(예를 들면, 확대 및/또는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제4 공구(142)는 제4 기능(예를 들면, 피킹(picking) 및/또는 프라잉)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1, 제2, 제3 및 제4 기능들 각각의 서로 다를 수도 있다.
공구와 관련한 제1, 제2, 제3 및 제4라는 용어는 단지 다목적 공구 시스템(100) 내의 다수의 공구를 지칭하는 것이라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제1 공구는 선택적으로는 제2, 제3 또는 제4 공구일 수도 있다. 제2 공구는 선택적으로는 제1, 제3 또는 제4 공구일 수도 있다. 제3 공구는 선택적으로는 제1, 제2 또는 제4 공구일 수도 있다. 제4 공구는 선택적으로는 제1, 제2 또는 제3 공구일 수도 있다. 게다가, 공구들은 그립 공구, 클로우 공구, 확대 공구 및 픽 공구 이외의 다른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그 공구들 중 하나는 렌치 공구, 해머 공구, 클립 공구, 스크루드라이버 공구 및/또는 등일 수도 있다.
도 7은 제1 공구(104)로부터 분리된 제4 공구(142)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제1 공구(104)의 유지 챔버(118)의 소켓(178) 내에 삽입되고 있는 제4 공구(142)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제1 공구(104)의 유지 챔버(118)의 소켓(178) 내에 고정된 제4 공구(142)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제1 공구(104)의 유지 챔버(118)의 소켓(178) 내에 고정된 제4 공구(142)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제1 공구(104)의 유지 챔버(118)의 소켓(178) 내에 고정된 제4 공구(142)의 도 10의 라인 11-11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제1 공구(104)의 유지 챔버(118)의 소켓(178) 내에 고정된 제4 공구(142)의 도 10의 라인 12-12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다목적 공구 시스템(100)(도 1 내지 도 6에 도시)을 조립하기 위해, 먼저 제4 공구(142)가 제1 공구(104)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4 공구(142)(예를 들면, 픽 공구)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제1 공구(104)(예를 들면, 그립 공구)의 소켓(178) 내에 경사지게 삽입하고, 이어서 돌출부(180)(예를 들면, 탄성 걸쇠, 리지(ledge), 미늘, 램프 및/또는 등)가 제4 공구(142)의 외주부와 스냅식으로 맞물릴 때까지 소켓(178) 내로 밀어 넣을 수 있다. 제4 공구(142)를 제1 공구(104)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작업자는 제4 공구(142)의 일부분을 파지하여, 돌출부(180)의 유지력을 극복하도록 제4 공구(142)를 소켓(178) 밖으로 피벗시키거나 밀어낸다.
도 13은 제2 공구(106)로부터 분리된 제3 공구(140)의 저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제2 공구(106)의 중앙 비임 개구(182) 내에 삽입되고 있는 제3 공구(140)의 저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제2 공구(106)의 유지 캐비티(184) 내에 고정된 제3 공구(140)의 저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제2 공구(106)의 유지 캐비티(184) 내에 고정된 제3 공구(140)의 저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제2 공구(106)의 유지 캐비티(184) 내에 고정된 제3 공구(140)의 도 16의 라인 17-17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제2 공구(106)의 유지 캐비티(184) 내에 고정된 제3 공구(140)의 도 16의 라인 18-18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제3 공구(140)의 지지 비임(166)(예를 들면, 확대 공구)이 제2 공구(106)의 중앙 비임 개구(182) 내로 경사지게 삽입된다. 이어서, 확대 렌즈(164)를 뒤로 피벗시켜, 제3 공구(140)가 유지 캐비티(184) 내에 유지되도록(지지 비임(166)의 적어도 일부분이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공구(106)의 상부를 통해 노출되도록 한다. 제3 공구(140)를 제2 공구(106)에 고정 결합하기 위해, 제2 공구(106)는, 제3 공구(140)의 둘레부와 스냅식으로 맞물리는 돌출부(186)(예를 들면, 탄성 걸쇠, 리지(ledge), 미늘, 램프 및/또는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3 공구(140)의 둘레부(예를 들면, 지지 비임(166)의 단부)에 고정 결합하는 돌출부(186)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제4 공구(142)가 제1 공구(104)에 고정 결합되고 제3 공구(140)가 제2 공구(106)에 고정 결합된 후, 함께 결합된 제1 공구 쌍(예를 들면, 제1 공구(104)와 제4 공구(142))을 포함하는 제1 공구 서브조립체(200)(도 7 내지 도 12에 도시)가 함께 결합된 제2 공구 쌍(예를 들면, 제2 공구(106)와 제3 공구(140))을 포함하는 제2 공구 서브조립체(202)(도 13 내지 도 18에 도시)에 고정되어, 단일의 일체형이고 콤팩트한 다목적 공구 시스템(100)을 형성한다.
도 20은 제2 공구 서브조립체(202)로부터 분리된 제1 공구 서브조립체(200)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1은 제1 공구 서브조립체(200)의 제1 공구(104)의 유지 챔버(118)(그 내에 제4 공구(142)가 이미 고정되어 있음) 위에 끼워진 제2 공구 서브조립체(202)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2는 제1 공구 서브조립체(200)에 고정된 제2 공구 서브조립체(202)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3은 제1 공구 서브조립체(200)에 고정된 제2 공구 서브조립체(202)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24는 제1 공구 서브조립체(200)의 제1 공구(200)의 유지 챔버(104) 위에 고정된 제2 공구 서브조립체(202)의 도 23의 라인 24-24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5는 제1 공구 서브조립체(200)의 제1 공구(200)의 유지 챔버(104) 위에 고정된 제2 공구 서브조립체(202)의 도 23의 라인 25-25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0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제2 공구 서브조립체(202)를 제1 공구 서브조립체(200) 내에 경사지게 삽입하고, 이어서 제1 공구 서브조립체(200)의 돌출부(204)(예를 들면, 탄성 걸쇠, 리지, 미늘, 램프 및/또는 등)가 제2 공구 서브조립체(202)의 외주부에 스냅식으로 고정될 때까지 제1 공구 서브조립체(200) 내로 아래쪽으로 밀어 넣는다. 도시하고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공구 서브조립체(200)가 제2 공구 서브조립체(202)에 고정 결합하여, 복수의 공구(예를 들면, 제1 공구(104), 제2 공구(106), 제3 공구(140) 및 제4 공구(142))를 함께 고정 결합하는 단일의 콤팩트하면서도 편리한 하우징을 제공하며, 이에 의해 단일의 다목적 공구 시스템(100)을 형성한다.
도 2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302)로부터 파스너(300)를 제거하는 제1 공구(104)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공구(104)는 파스너 제거에 이용될 수 있는 그립 공구일 수 있다.
도 2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302)로부터 파스너(300)를 제거하는 제2 공구(106)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제2 공구(106)를 이용하기 위해, 제2 공구 서브조립체(202)가 제1 공구 서브조립체(20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큰 힘 또는 레버리지가 필요한 경우, 클로우 공구 등의 제2 공구(106)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312)의 구멍(310) 내에 삽입되는 제3 공구(140)를 도시한다. 제4 공구를 이용하기 위해, 제2 공구 서브조립체(202)(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가 제1 공구 서브조립체(200)(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로부터 제거되고, 이어서 제3 공구(140)가 제2 공구(106)로부터 제거된다(도 27에 도시). 제3 공구(140)는 확대 렌즈(164)와 지지 비임(166)을 포함하는 확대 공구를 제공할 수 있다. 지지 비임(166)은 손잡이로서 사용될 수 있거나, 구멍(310) 내에 삽입되어 패널(312)에 대한 확대 렌즈(164)의 안정적인 연결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측정용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9는 제3 공구(140)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30은 제3 공구(14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1은 제3 공구(140)의 확대 렌즈(164)의 도 29의 라인 31-31을 따라 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9 내지 도 31을 참조하면, 예를 들면 제2 공구 서브조립체(202)(도 13 내지 도 18 참조)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확대 렌즈(164)를 보호하는 보호 링(165)이 확대 렌즈(164)를 둘러쌀 수 있다. 보호 링(165)은 물체가 확대 렌즈(164)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그에 흠집을 낼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배리어를 제공한다. 지지 비임(166)은 예를 들면 측정에 이용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눈금(16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2는 부품 패널(320) 상에 배치된 제2 공구(106)를 도시한다. 제2 공구(106)는 또한 그 일부분을 통과해 형성된 구멍(107, 109) 등의 복수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구멍(107, 109)은 부품의 직경(예를 들면, 직경 스터드, 보스 또는 기타 그러한 돌출 실린더)을 측정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구멍(107, 109)은 상이한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스터드(322) 등의 다양한 스터드 둘레에 끼워져 그 스터드의 직경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5 공구(350)를 형성하기 전의 제1 공구 서브조립체(200)로부터 분리된 제2 공구 서브조립체(202)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4는 제5 공구(350)를 형성하도록 제1 공구 서브조립체(200)에 고정된 제2 공구 서브조립체(202)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5는 제5 공구(350)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소정 장치(예를 들면, 스마트폰, 테블릿 등)를 지지하는 제5 공구(350)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3 내지 도 36을 참조하면, 제1 공구 서브조립체(200)와 제2 공구 서브조립체(202)가 서로 연결되어, 지지 스탠드 등의 제5 공구(350)를 형성할 수 있다. 제5 공구(350)를 형성하기 위해, 제1 공구 서브조립체(200)와 제2 공구 서브조립체(202)는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콤팩트한 유지 하우징 상태로부터 분리된다. 이어서, 유지 챔버(118)(예를 들면, 도 6에 도시)가 소정 표면 상에서 아래쪽으로 향하고 파지용 마루(114)와 골(116)이 똑바로 선 자세로 노출되도록 제1 공구(104)가 표면 상에 배치된다.
이어서, 제2 공구(106)의 클로우(154)가 도 6에 도시한 것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제1 공구(104)의 채널(160) 내에 삽입된다. 클로우(154)의 만곡된 특성은 제2 공구 서브조립체(202)가 제1 공구 서브조립체(200)에 대해 뒤로 기울어져 도 35 및 도 36에 도시한 지지 자세로 되게 할 수 있다. 마루(114)는 장치(352)의 하부 에지(353)를 위한 상이한 지지 위치들을 제공하며, 이에 의해 장치(352)가 상이한 각도 자세로 제1 공구 서브조립체(200)와 제2 공구 서브조립체(202) 사이에서 지지될 수 있게 한다.
도 3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공구 시스템(100)의 원위 단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공구(104)를 포함하는 제1 공구 서브조립체(200)는 제2 공구(106)를 포함하는 제2 공구 서브조립체(202)에 원위 단부에서 고정 인터페이스(400)를 통해 제거 가능하게 고정된다. 원위 단부의 고정 인터페이스(400)는 다목적 공구 시스템 내의 유일한 고정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제2 공구(106)는 제1 공구(104)의 상보적 리테이너(404)에 스냅식으로, 래치식으로, 또는 기타 방식으로 제거 가능하게 고정되는 탄성 래치(402) 또는 기타 그러한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힘이 화살표(410)의 방향으로 제2 공구(106)에 가해지는 경우, 래치(402)는 래치(402)에 연결된 탄성 비임(408)이 아크(412)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응답하여 리테이너(404)를 지나 이동하며, 이에 의해 제1 공구 서브조립체(200)가 제2 공구 서브조립체(202)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장소들 간에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단일의 콤팩트한 일체형 조립체를 제공하도록 함께 결합하는 복수의 별개의 상이한 공구(예를 들면, 공구(104, 106, 140, 142, 350))를 포함하는 다목적 공구 시스템(100)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단일 하우징 내에 복수의 공구를 정리하고 수납하는 효율적 공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콤팩트하고 운반하기가 용이한 다목적 공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데에 있어서 상부, 저부, 하부, 중간, 측방, 수평, 수직, 전방 등의 다양한 공간 및 방향 관련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지만, 그러한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한 배향과 관련하여서만 사용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그러한 배향은, 상부가 하부가 되거나 그 반대로 되거나, 수평이 수직으로 되는 등이 되도록, 반대로 되거나 회전되거나 달리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의 변형 및 수정은 본 개시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고 정의한 실시예들은 그 상세한 설명 및/또는 도면에서 언급하거나 그로부터 드러나는 개별 특징들의 2개 이상의 모든 대안적인 조합으로 확장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한 상이한 조합들 전부가 본 개시의 다양한 대안적인 양태를 구성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해 알려진 최상의 모드를 설명하는 것으로 당업자들이 본 개시를 이용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청구의 범위는 종래 기술에 의해 허용되는 한 대안적인 실시예를 포함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이용되는 한, "including" 및 "in which"와 같은 용어는 "comprising" 및 "wherein"과 같은 용어 각각에 대한 평이한 영어에서의 동의 어구로서 이용된다. 게다가, 이하의 청구 범위에서 이용되는 한,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는 단지 라벨(label)로서 이용된 것으로, 그 대상물에 순서적 요건을 부여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후속한 청구 범위의 한정 사항들은 기능식 포맷(means-plus-function format)으로 기재된 것이 아니며, 다른 구조 없이 기능의 기재만이 따르는 "수단"이란 문구를 표현적으로 이용하기 전까지는 35 U.S.C.112§(f)항에 기초하여 해석되고자 한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여러 특징들을 이하의 청구 범위에 기재한다.

Claims (20)

  1. 다목적 공구 시스템으로서:
    제1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1 공구;
    제2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2 공구;
    제3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3 공구; 및
    제4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4 공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공구, 제2 공구, 제3 공구 및 제4 공구는 함께 결합하여 단일의 일체형 핸드헬드 하우징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공구, 제2 공구, 제3 공구 및 제4 공구는 개별 사용을 위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다목적 공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구는 상기 하우징의 베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제2 공구는 상기 제1 공구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의 커버를 제공하며, 상기 제1 공구에 내부 유지 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제3 공구와 상기 제4 공구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상기 유지 챔버 내에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다목적 공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구, 제2 공구, 제3 공구 및 제4 공구 중 하나는 그립 공구를 포함하는 것인 다목적 공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공구는 중앙 홈에 의해 분리된 경사진 갈래(ramped prongs)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진 갈래는 원위 단부로 가면서 얇은 에지로 테이퍼지는 것인 다목적 공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구, 제2 공구, 제3 공구 및 제4 공구 중 하나는 클로우 공구를 포함하는 것인 다목적 공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우 공구는 간극에 의해 분리된 2개의 아치형 프라이 클로우(pry claw)를 포함하는 것인 다목적 공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구, 제2 공구, 제3 공구 및 제4 공구 중 하나는 확대 공구를 포함하는 것인 다목적 공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공구는 지지 비임에 일체로 연결된 확대 렌즈를 포함하는 것인 다목적 공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비임은 측정에 이용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눈금을 포함하는 것인 다목적 공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구, 제2 공구, 제3 공구 및 제4 공구 중 하나는 픽 공구(pick tool)를 포함하는 것인 다목적 공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픽 공구는 내측으로 경사 또는 만곡된 측벽, 상부벽 및 저부벽을 통해 반대측 단부에 위치한 팁에 연결된 확장 단부를 포함하는 것인 다목적 공구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구, 제3 공구 또는 제4 공구 중 하나는 상기 제1 공구의 유지 챔버 내에 형성된 상보적 소켓 내에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다목적 공구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구, 제2 공구, 제3 공구 및 제4 공구 중 2개의 공구로 이루어진 제1 쌍은 서로 제거 가능하게 결합하여 제1 공구 서브조립체를 형성하며, 상기 제1 공구, 제2 공구, 제3 공구 및 제4 공구 중 나머지 2개의 공구로 이루어진 제2 쌍은 서로 제거 가능하게 결합하여 제2 공구 서브조립체를 형성하며, 상기 제1 공구 서브조립체는 상기 제2 공구 서브조립체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인 다목적 공구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구, 제2 공구, 제3 공구 및 제4 공구 중 적어도 하나는 부품의 직경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구멍을 포함하는 것인 다목적 공구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구, 제2 공구, 제3 공구 및 제4 공구 중 적어도 2개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여 서로 결함함으로써 제5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5 공구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인 다목적 공구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5 공구는 지지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인 다목적 공구 시스템.
  17. 다목적 공구 시스템으로서:
    제1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1 공구;
    제2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2 공구;
    제3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3 공구; 및
    제4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4 공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공구, 제2 공구, 제3 공구 및 제4 공구는 함께 결합하여 단일의 일체형 핸드헬드 하우징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공구, 제2 공구, 제3 공구 및 제4 공구는 개별 사용을 위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공구는 상기 하우징의 베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제2 공구는 상기 제1 공구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의 커버를 제공하며,
    상기 제1 공구에 내부 유지 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제3 공구와 상기 제4 공구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상기 유지 챔버 내에 유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공구 및 제3 공구 중 하나는 상기 제1 공구의 유지 챔버 내에 형성된 상보적 소켓 내에 유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공구, 제2 공구, 제3 공구 및 제4 공구 중 적어도 2개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여 서로 결함함으로써 제5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5 공구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인 다목적 공구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구는 중앙 홈에 의해 분리된 경사진 공구 갈래를 포함하는 그립 공구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진 갈래는 원위 단부로 가면서 얇은 에지로 테이퍼지며,
    상기 제2 공구는 간극에 의해 분리된 2개의 아치형 프라이 클로우(pry claw)를 포함하는 클로우 공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3 공구는 지지 비임에 일체로 연결된 확대 렌즈를 포함하는 확대 공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비임은 측정에 이용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눈금을 포함하며,
    상기 제4 공구는, 내측으로 경사 또는 만곡된 측벽, 상부벽 및 저부벽을 통해 반대측 단부에 위치한 팁에 연결된 확장 단부를 포함하는 픽 공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5 공구는 지지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인 다목적 공구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구, 제2 공구, 제3 공구 및 제4 공구 중 2개의 공구로 이루어진 제1 쌍은 서로 제거 가능하게 결합하여 제1 공구 서브조립체를 형성하며,
    상기 제1 공구, 제2 공구, 제3 공구 및 제4 공구 중 나머지 2개의 공구로 이루어진 제2 쌍은 서로 제거 가능하게 결합하여 제2 공구 서브조립체를 형성하며,
    상기 제1 공구 서브조립체는 상기 제2 공구 서브조립체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인 다목적 공구 시스템.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구, 제2 공구, 제3 공구 및 제4 공구 중 적어도 하나는 부품의 직경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구멍을 포함하는 것인 다목적 공구 시스템.
KR1020197020626A 2016-12-15 2017-11-06 다목적 공구 시스템 KR201900942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34585P 2016-12-15 2016-12-15
US62/434,585 2016-12-15
PCT/US2017/060090 WO2018111435A1 (en) 2016-12-15 2017-11-06 Multi-purpose tool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236A true KR20190094236A (ko) 2019-08-12

Family

ID=60409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0626A KR20190094236A (ko) 2016-12-15 2017-11-06 다목적 공구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76724B2 (ko)
KR (1) KR20190094236A (ko)
WO (1) WO2018111435A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40135A (en) * 1927-02-10 1932-01-05 Emmett J Schutt Combination tool
DE19527859A1 (de) * 1995-07-29 1997-01-30 Ctech Ag Mehrzweck-Handgerät nach Art eines Taschenmessers
US6076665A (en) * 1998-10-02 2000-06-20 Chuang; Louis Compact tool holder for different tools
US6244489B1 (en) * 1998-12-11 2001-06-12 Robert Laurie Retractable staple remover jaws utilizing stapler machine as lever handles
US6460698B1 (en) * 2000-11-27 2002-10-08 Jenn Liang Wang Planer tool casing
TW520024U (en) * 2001-09-21 2003-02-01 Chuan Ching Mechanical Ind Co Compass with six functions
US20080127473A1 (en) 2006-12-01 2008-06-05 Min-Chi Yu Tool kit for removing decorative plates and trims of vehicles
US7735806B2 (en) 2007-06-21 2010-06-15 Scosche Industries, Inc. Panel removal tool and method
US20100263219A1 (en) * 2008-12-17 2010-10-21 Kempker Jeffrey A Tool with ergonomic handle and replaceable cutter head
US9505111B2 (en) 2013-03-14 2016-11-29 Scott A. Dorsey Trim removal tool and method
CN106255574B (zh) * 2014-07-11 2019-05-03 塞莱皇家股份公司 多重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11435A1 (en) 2018-06-21
US11376724B2 (en) 2022-07-05
US20210237250A1 (en) 202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1108B2 (en) Device for holding and supporting articles
US9052474B2 (en) Clip device for facilitating insertion and removal of a push-pull fiber optic connector
USD907095S1 (en) Camera device with stand
US7055689B2 (en) Hanger for wrenches
US5056661A (en) Tool caddy
US8490937B2 (en) Mount system for handheld electrical device
US20060234846A1 (en) Tool holder
US5207126A (en) Roof shake removal tool
US10052754B1 (en) Magnetic tool holder
US20160167219A1 (en) Bit and fastener holder assembly for a power tool
US7175151B2 (en) Hand tool suspension device
US9755685B2 (en) Protective device
US6511112B2 (en) Magnetic remote-retrieval device
US7000809B1 (en) Mini-flashlight sling
US9399283B2 (en) Tool box system
US20130126541A1 (en) Magnetic item holder
US20060223378A1 (en) Recharging unit
RU58510U1 (ru) Коробка для инструмента
US11147326B1 (en) Combination glove and phone mount assembly
KR20190094236A (ko) 다목적 공구 시스템
US20140209649A1 (en) Interchangeable holder
US6926143B1 (en) Case for tool shafts
USD481282S1 (en) Mechanic's tool tray with spring-loaded flaps for clamping on tire or the like
US7464833B2 (en) Holding device for sport stacking cups
TWM563332U (zh) 套筒工具吊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