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4037B1 - Orchard security anti-theft alarm system - Google Patents
Orchard security anti-theft alarm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94037B1 KR101994037B1 KR1020180022059A KR20180022059A KR101994037B1 KR 101994037 B1 KR101994037 B1 KR 101994037B1 KR 1020180022059 A KR1020180022059 A KR 1020180022059A KR 20180022059 A KR20180022059 A KR 20180022059A KR 101994037 B1 KR101994037 B1 KR 1019940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orchard
- alarm sound
- face
- extrac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13—Recognition of a predetermined image pattern or behaviour pattern indicating theft or intrus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5/00—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25—Monitoring making use of different thresholds, e.g. for different alarm level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수원 도난방지 안전알림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과수원으로 불법침입한 사람 또는 야생동물 등의 객체를 보다 용이하게 감지 및 촬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보음을 통해 과수원으로 불법침입한 야생동물을 보다 용이하게 과수원 외부로 쫓아내거나 과수원으로 불법침입한 사람에게 경고를 줄 수 있고, 나아가 과수원으로 불법침입한 사람의 과수절도증거확보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chard-free anti-theft security notification system, which can more easily detect and photograph objects such as a person or a wild animal who illegally entered an orchard, It can be used to exclude people from the orchard or to warn people who have invaded the orchard, and it can also help to secure evidence of the fruit of the person who invaded the orchard.
Description
본 발명은 과수원으로 불법침입한 사람 또는 야생동물 등의 객체를 보다 용이하게 감지 및 촬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보음을 통해 과수원으로 불법침입한 야생동물을 보다 용이하게 과수원 외부로 쫓아내거나 과수원으로 불법침입한 사람에게 경고를 줄 수 있고, 나아가 과수원으로 불법침입한 사람의 과수절도증거확보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 과수원 도난방지 안전알림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easily detect and photograph objects such as a person or a wild animal illegally invaded by an orchard, as well as alert the user to illegally invade wild animals through the orchard, It is about the orchard safety screening system that can give warning to one person and can also help to obtain evidence of the fruit stolen of illegally invaded orchards.
일반적으로, 과수원은 도난, 풍해, 짐승들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생울타리나 담으로 주위를 둘러싸고 여러가지 과일을 집약적으로 재배하는 농장을 말하며, 최근에는 인간이 개입하지 않아도 정확한 측위 방법을 이용하여 과수원 내부의 새 등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지함으로서, 과수원의 과수를 새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과수원 관리 시스템이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6-0133956호로도 제안된 바 있다.Generally, an orchard is a farm in which a variety of fruits are concentrated intensively around a surrounding area in order to prevent theft, winds, and beasts from harming. In recent years, even without human intervention, The orchard management system has been prop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6-0133956, which can safely protect the fruit of the orchard from the bird by accurately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bird.
한편, 과수원을 비롯한 여러 농가에서는 농산물 절도 및 관련범죄가 발생하고 있으며, 야간을 이용하거나 사람의 관리가 허술한 틈을 이용하여 수확물을 절도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는데, 이를 막기 위한 경찰의 활동은 농번기와 같은 특정 기간에만 집중되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many orchards including the orchard, theft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related crimes are occurring, and the number of people stealing crops by using nighttime use or poor management by people is increasing. There is a limit because it is concentrated only in a certain period.
또한, 상기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6-0133956호로 제안된 과수원 관리시스템으로는 새로부터 과수를 보호할 뿐 과수를 절도하고자 하는 절도범에게 경고 및 과수원으로 접근하는 야생동물을 쫓아내기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orchard management system proposed in the above-mentione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6-0133956 includes a warning system for protecting the fruit trees from being newly introduced, a warning to the thief who intends to steal the fruit tree,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과수원으로 불법침입한 사람 또는 야생동물 등의 객체를 보다 용이하게 감지 및 촬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보음을 통해 과수원으로 불법침입한 야생동물을 보다 용이하게 과수원 외부로 쫓아내거나 과수원으로 불법침입한 사람에게 경고를 줄 수 있고, 나아가 과수원으로 불법침입한 사람의 과수절도증거확보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 과수원 도난방지 안전알림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detecting and shooting objects of a person or a wild animal illegally invaded by an orchard, The purpose of this system is to provide a safe notification system for orchards that can easily be used to drive people out of orchards or warn people who have invaded them illegally,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과수원 토지에 설치되어 과수원으로 침입한 객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과수원으로 침입한 객체에게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과수원으로 침입한 객체에게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출력부와; 과수원으로 침입한 객체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객체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 상기 발광부 및 상기 경보음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원 도난방지 안전알림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rchard, comprising: a camera unit installed in an orchard land and photographing an object penetrating into an orchard; A light emitting unit for emitting light to an object penetrating into the orchard; An alarm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alarm sound to an object invading the orchard; A sensing unit for sensing an object penetrating into the orchar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amera unit,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alarm sound output unit according to the object detection signal of the sensing unit.
여기서,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가 촬영한 촬영영상정보를 관리서버, 과수원 관리자의 단말기 및 과수원으로 침입한 객체를 단속하는 단속기관으로 무선송신하는 무선송수신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wirelessly transmits the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to the control server, the terminal of the orchard manager, and the regulatory agency that intercepts the object that has entered the orchard, according to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
그리고, 상기 카메라부가 촬영한 촬영영상정보에 포함된 객체의 종류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가 판단한 객체의 종류에 해당되는 경보음이 각각 저장되는 경보음저장DB와; 상기 경보음저장DB로부터 상기 판단부가 판단한 객체의 종류에 해당되는 경보음을 추출하는 경보음추출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경보음출력부가 상기 경보음추출부가 추출한 해당경보음을 출력하도록 상기 제어부로 상기 경보음추출부가 추출한 해당경보음을 무선송신하는 무선송신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type of an object included in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An alarm sound storing DB in which an alarm sound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object judged by the judging unit is stored; An alarm sound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an alarm sound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object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from the alarm sound storage DB; And a wireless transmiss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alarm sound extracted by the alarm sound extraction unit to the controller so that the alarm sound output unit outputs the alarm sound extracted by the alarm sound extraction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또는, 상기 카메라부가 촬영한 촬영영상정보에 포함된 객체의 종류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가 판단한 객체가 사람인 경우, 상기 카메라부가 촬영한 촬영영상에 포함된 객체에서 얼굴이미지를 추출하는 얼굴추출부와; 상기 얼굴추출부가 추출한 얼굴이미지를 과수원 관리자의 단말기 및 과수원으로 침입한 객체를 단속하는 단속기관으로 무선송신하는 무선송수신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type of an object included in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camera unit; A face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a face image from an object included in the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when the judging unit judges that the object is a person; And a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wirelessly transmitting the facial image extracted by the facial extracting unit to an enforcement agency for enforcing control of an object intruding into the terminal of the orchard manager and the orchard.
또는, 상기 카메라부가 촬영한 촬영영상정보에 포함된 객체의 종류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절도관련수배자의 얼굴이미지가 저장되는 얼굴DB와; 상기 판단부가 판단한 객체가 사람인 경우, 상기 카메라부가 촬영한 촬영영상에 포함된 객체에서 얼굴이미지를 추출하는 얼굴추출부와; 상기 얼굴추출부가 추출한 얼굴이미지와 상기 얼굴DB에 저장된 얼굴이미지를 비교하여 절도관련수배자여부를 판단하는 얼굴인식부와; 상기 얼굴추출부가 추출한 얼굴이미지를 상기 얼굴인식부가 절도관련수배자의 얼굴이미지라 판단한 경우, 상기 얼굴추출부가 추출한 얼굴이미지를 과수원 관리자의 단말기 및 과수원으로 침입한 객체를 단속하는 단속기관으로 무선송신하는 무선송수신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type of an object included in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camera unit; A face DB in which a face image of the slave related to the theft is stored; A face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a face image from an object included in the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when the judging unit judges that the object is a person; A face recognition unit for comparing the face image extracted by the face extraction unit and the face image stored in the face DB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is the theft-related wanderer; A face image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a face image extracted by the face extracting unit from an image of a face image of a slave subject related to the theft,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나아가, 상기 발광부와 상기 경보음출력부를 작동중지 및 상기 감지부의 객체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를 작동시키는 부분감시모드와; 상기 감지부의 객체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부, 상기 경보음출력부 및 상기 카메라부 모두를 작동시키는 감시모드로 구성되는 모드설정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artial monitoring mode for deactivating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alarm sound output unit and operating the camera unit according to the object detection signal of the sensing unit; And a monitoring mod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unit, the alarm sound output unit, and the camera unit are operated according to the object detection signal of the sensing unit.
여기서, 상기 부분감시모드가 ON상태인 경우, 상기 무선송수신부는 상기 얼굴인식부가 절도관련수배자의 얼굴이미지라 판단한 상기 얼굴추출부가 추출한 얼굴이미지만을 상기 과수원 관리자의 단말기 및 과수원으로 침입한 객체를 단속하는 단속기관으로 무선송신하고, 상기 감시모드가 ON상태인 경우, 상기 얼굴추출부가 추출한 얼굴이미지를 상기 과수원관리자의 단말기 및 과수원으로 침입한 객체를 단속하는 단속기관으로 무선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partial monitoring mode is ON, the wireless transceiver interrupts the object that has infiltrated into the terminal or the fruit orchard of the orchard manager only the face image extracted by the face extracting unit, the face recognizing unit determining that the face recognizing unit is the face image of the theft- It is preferable to wirelessly transmit the facial image extracted by the face extracting unit to a regulatory agency that interrupts the object invading the terminal or the fruit orchard of the orchard manager when the monitoring mode is ON.
본 발명은 적외선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감지부를 통해 과수원으로 불법침입한 사람 또는 야생동물 등의 객체를 보다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 LED 등의 발광부를 통해 특히, 야간에도 카메라부가 불법침입한 사람 또는 야생동물 등의 객체를 보다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보음출력부가 출력하는 경보음을 통해 과수원으로 불법침입한 야생동물을 보다 용이하게 과수원 외부로 쫓아내거나 과수원으로 불법침입한 사람에게 경고를 줄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카메라부가 촬영한 촬영영상정보를 통해 과수원으로 불법침입한 사람의 과수절도증거확보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easily detect an object such as a person or a wild animal illegally infiltrated into an orchard through a sensing unit including an infrared sensor or the like, It is not only easier to shoot objects such as people or wild animals, but also alert people to illegal invasion of wild animals that have invaded illegally into the orchard through the orchard. Furthermore, it is also effective to secure the evidence of the fruit theft of a person illegally invaded into the orchard through the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camera s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과수원 도난방지 안전알림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카메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과수원 토지에 카메라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관리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8은 모드설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9는 부분감시모드에서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0은 감시모드에서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orchard source anti-theft security no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mera unit,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mera unit is installed on an orchard land,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state of the control unit,
5 to 7 are block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 management server,
8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ode setting unit,
9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in the partial monitoring mode,
10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in the monitoring mod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과수원 도난방지 안전알림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rchard source anti-theft security no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과수원 도난방지 안전알림시스템은 크게, 카메라부(도 1의 10), 발광부, 경보음출력부, 감지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fruit juice theft prevention safety no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unit (10 in FIG. 1), a light emitting unit, an alarm sound output unit, a sensing unit, and a control unit.
도 2는 카메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과수원 토지에 카메라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mera unit,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mera unit is installed on an orchard land.
먼저, 상기 카메라부(1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지주(110), 지지몸체(120) 및 카메라(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 the
상기 지주(110)의 하부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과수원의 토지(2)의 각 모서리부위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될 수 있다.3, the lower part of the
상기 지지몸체(120)는 상기 지주(110)의 상부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설치될 수 있다.The
상기 카메라(130)는 상기 지지몸체(120)의 상부에 구비되어 과수원으로 침입한 사람 또는 야생동물 등의 객체를 촬영하게 된다.The
과수원으로 침입한 사람 또는 야생동물 등의 객체를 촬영하는 상기 카메라(130)의 촬영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130)는 상기 지지몸체(120)의 상부에 상기 지지몸체(120)의 상하좌우방향으로 각각 회전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다음으로, 상기 발광부(20)는 상기 카메라부(10)의 지지몸체(120)의 전측에 상기 지지몸체(12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과수원으로 침입한 사람 또는 야생동물 등의 객체에게 빛을 발광하는 LED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Next, the
도 4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state of the control unit.
다음으로, 상기 경보음 출력부(30)는 과수원으로 침입한 사람 또는 야생동물 등의 객체에게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alarm
상기 경보음출력부(30)는 상기 카메라부(10)의 카메라(13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지지몸체(12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The alarm
다음으로, 상기 감지부(40)는 상기 발광부(2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카메라부(10)의 지지몸체(120)의 전측에 구비되어 과수원으로 침입한 사람 또는 야생동물 등의 객체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Next, the
상기 감지부(40)가 적외선 센서로 이루어질 경우 과수원의 화재발생여부 또한 보다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When the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5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감지부(40)의 객체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부(20)와 상기 경보음출력부(30)를 제어할 수 있다.4, the
상기 감지부(40)가 과수원으로 침입한 사람 또는 야생동물 등의 객체를 감지할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전원공급부(5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카메라부(10)가 사람 또는 야생동물 등의 객체를 촬영, 상기 발광부(20)가 빛을 발광 및 상기 경보음출력부(30)가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When the
상기 감지부(40)가 과수원으로 침입한 사람 또는 야생동물 등의 객체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카메라부(10), 상기 발광부(20) 및 상기 경보음출력부(30)가 작동중지될 수 있다.The
상기 카메라부(10)가 촬영한 촬영영상정보는 컴퓨터의 모니터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70)를 통해 화면출력될 수 있다.The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다음으로, 상기 감지부(4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10)가 촬영한 촬영영상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무선송신하는 무선송수신부(60)가 구비될 수 있다.Next, a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상기 무선송수신부(6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부(10)의 지지몸체(120)의 상부에 상기 카메라(13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되는 송수신안테나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2, the wireless transmitting and receiving
상기 감지부(40)가 과수원으로 침입한 사람 또는 야생동물 등의 객체를 감지한 경우, 상기 무선송수신부(6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부(10)가 촬영한 촬영영상정보를 과수원 관리실 등에 설치될 수 있는 컴퓨터 등의 관리서버(90), 과수원 관리자의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3) 및 과수원으로 칩입한 사람 또는 야생동물 등의 객체를 단속하는 해당관할구역의 119구조대, 경찰서 등의 단속기관으로 무선송신할 수 있다.1, 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도 5 내지 도 7은 관리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5 to 7 are block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 management server.
다음으로, 상기 관리서버(90)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판단부(910), 경보음저장DB(901), 경보음추출부(902) 및 무선송수신부(950)가 구비될 수 있다.5, the
상기 판단부(910)는 상기 카메라부(10)가 촬영한 촬영영상정보에 포함된 객체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The
일예로, 상기 판단부(910)는 상기 카메라부(10)가 촬영한 촬영영상정보에 나타난 객체의 크기, 움직임, 속도, 패턴 등을 통해 객체의 종류가 사람 또는 야생동물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즉, 사람이나 야생동물은 각각 영상에 나타나는 크기가 다름으로, 그 크기에 따라서 1차적으로 객체를 파악할 수 있으며, 그 객체의 움직임속도는 사람, 야생동물 모두 다 다르기 때문에 이를 통해 움직임 속도에 의한 객체의 인식 내지는 파악이 가능할 수 있다.In other words, since human and wild animals each have different sizes to appear in the image, the object can be grasped firstly according to its size, and since the moving speed of the object is different for both human and wild animals, It can be recognized or grasped.
2차적으로, 상기 판단부(910)가 객체의 형상에서 추출한 특징점을 파악하여 객체의 종류를 파악할 수도 있다.Secondly, the
이때,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알고리즘, SURF(Speed Up Robust Features) 알고리즘과 같은 특징점 추출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feature point extraction algorithms such as 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SIFT) algorithm and SURF (Speed Up Robust Feature) algorithm can be used.
상기 경보음저장DB(901)는 상기 판단부(910)가 판단한 객체의 종류에 해당되는 경보음이 각각 저장될 수 있다.The alarm
상기 경보음저장DB(901)에 저장되는 경보음은 과수원으로 침입한 사람에게 출력될 경고음성과 과수원으로 침입한 야생동물에게 출력되어 야생동물을 퇴치하기 위한 퇴치음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alarm sound stored in the alarm
상기 경보음추출부(902)는 상기 판단부(910)가 판단한 객체의 종류가 사람인 경우, 상기 경보음저장DB(901)에 저장된 경보음 중 사람에게 출력될 경고음성을 추출할 수 있다.When the type of the object determined by the
상기 판단부(910)가 판단한 객체의 종류가 야생동물인 경우, 상기 경보음추출부(902)는 상기 경보음저장DB(901)에 저장된 경보음 중 야생동물에게 출력될 퇴치음을 추출할 수 있다.If the type of the object determined by the
상기 무선송수신부(950)는 상기 경보음추출부(902)가 추출한 해당경보음을 상기 제어부(50)로 무선송신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경보음추출부(902)가 추출한 해당경보음을 상기 경보음출력부(30)가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다음으로, 상기 관리서버(90)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얼굴추출부(9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Next, the
상기 얼굴추출부(930)는 상기 판단부(910)가 판단한 객체가 사람인 경우, 상기 카메라부(10)가 촬영한 촬영영상에 포함된 객체이미지에서 얼굴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The
상기 무선송수신부(950)는 상기 얼굴추출부(930)가 추출한 얼굴이미지를 과수원 관리자의 단말기(3) 및 과수원으로 침입한 객체를 단속하는 단속기관(5)으로 무선송신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과수원 관리자는 과수원으로 침입한 사람의 얼굴생김새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음은 물론 단속기관(5)은 과수원으로 불법침입한 사람의 검거에 큰 도움이 될 수 있게 된다.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다음으로, 상기 관리서버(90)에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얼굴DB(920)와 얼굴인식부(9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얼굴DB(920)에는 절도관련수배자의 얼굴이미지가 저장될 수 있다.The
상기 얼굴인식부(940)는 상기 얼굴추출부(930)가 추출한 얼굴이미지와 상기 얼굴DB(920)에 저장된 얼굴이미지를 비교하여 절도관련수배자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상기 얼굴추출부(930)가 추출한 얼굴이미지를 상기 얼굴인식부(940)가 절도관련수배자의 얼굴이미지라 판단한 경우, 상기 얼굴추출부(930)가 추출한 얼굴이미지를 과수원 관리자의 단말기(3) 및 과수원으로 침입한 객체를 단속하는 단속기관(5)으로 무선송신할 수 있다.When the
도 8은 모드설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ode setting unit.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50)에는 모드설정부(80)가 누름식 버튼 또는 다이얼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Next, the
상기 모드설정부(80)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부분감시모드(810)와 감시모드(820)로 구성될 수 있다.The
과수원 관리자가 관광객들에게 관광목적으로 과수원을 개방한 경우, 과수원을 관광목적으로 방문한 관광객에게 상기 발광부(20)와 상기 경보음출력부(30)가 불필요한 빛을 발광 및 경보음을 출력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최소한 절도관련수배자로부터 과수를 보호하기 위해, 과수원 관리자는 상기 부분감시모드(810)와 사기 감시모드(820) 중 상기 부분감시모드(810)를 ON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When the orchard manager opens the orchard for tourists to tourists, the
도 9는 부분감시모드에서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FIG. 9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in the partial monitoring mode. FIG.
상기 부분감시모드(810)를 ON상태로 설정한 경우,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발광부(20)와 상기 경보음출력부(30)는 작동중지될 수 있다.When the
그리고, 상기 카메라부(10)는 상기 감지부(40)의 객체감지신호에 따라 개방된 과수원을 관광목적으로 방문한 관광객을 촬영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얼굴추출부(930)가 추출한 관광객의 얼굴이미지를 상기 얼굴인식부(940)가 절도관련수배자의 얼굴이미지라 판단한 경우, 상기 관리서버(90)의 무선송수신부(950)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과수원의 관리자의 단말기(3) 및 과수원으로 침입한 객체를 단속하는 단속기관(5)으로 상기 얼굴인식부(940)가 절도관련수배자의 얼굴이미지라 판단한 상기 얼굴추출부(930)가 추출한 관광객의 얼굴이미지를 무선송신할 수 있다.When the
도 10은 감시모드에서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10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in the monitoring mode.
다음으로, 과수원 관리자가 불특정 다수로부터 과수원의 과수를 보호하고자 할 경우, 과수원 관리자는 상기 부분감시모드(810)와 상기 감시모드(820) 중 상기 감시모드(820)를 ON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Next, when the orchard manager intends to protect the fruit number of the orchard from an unspecified number of persons, the orchard manager can set the
상기 감시모드(820)를 ON상태로 설정한 경우, 상기 감지부(40)의 객체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50)가 상기 카메라부(10), 상기 발광부(20) 및 상기 경보음출력부(30) 모두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상기 관리서버(90)의 무선송수신부(950)는 상기 얼굴추출부(930)가 추출한 과수원으로 침입한 사람의 얼굴이미지를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과수원 관리자의 단말기(3) 및 과수원으로 침입한 객체를 단속하는 단속기관(5)으로 무선송신할 수 있다.10, 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적외선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감지부(40)를 통해 과수원으로 불법침입한 사람 또는 야생동물 등의 객체를 보다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 LED 등의 상기 발광부(20)를 통해 특히, 야간에도 상기 카메라부(10)가 불법침입한 사람 또는 야생동물 등의 객체를 보다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경보음출력부(30)가 출력하는 경보음을 통해 과수원으로 불법침입한 야생동물을 보다 용이하게 과수원 외부로 쫓아내거나 과수원으로 불법침입한 사람에게 경고를 줄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카메라부(10)가 촬영한 촬영영상정보를 통해 과수원으로 불법침입한 사람의 과수절도증거확보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more easily detect an object such as a person or a wild animal who illegally entered an orchard through the
10; 카메라부, 20; 발광부,
30; 경보음출력부, 40; 감지부,
50; 제어부.10; A
30; Alarm sound output unit, 40; Sensing unit,
50; Control section.
Claims (7)
과수원으로 침입한 객체에게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과수원으로 침입한 객체에게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출력부와;
과수원으로 침입한 객체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카메라부가 촬영한 촬영영상정보에 포함된 객체의 종류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절도관련수배자의 얼굴이미지가 저장되는 얼굴DB와;
상기 판단부가 판단한 객체가 사람인 경우, 상기 카메라부가 촬영한 촬영영상에 포함된 객체에서 얼굴이미지를 추출하는 얼굴추출부와;
상기 얼굴추출부가 추출한 얼굴이미지와 상기 얼굴DB에 저장된 얼굴이미지를 비교하여 절도관련수배자여부를 판단하는 얼굴인식부와;
상기 얼굴추출부가 추출한 얼굴이미지를 상기 얼굴인식부가 절도관련수배자의 얼굴이미지라 판단한 경우, 상기 얼굴추출부가 추출한 얼굴이미지를 과수원 관리자의 단말기 및 과수원으로 침입한 객체를 단속하는 단속기관으로 무선송신하는 무선송수신부와;
과수원을 관광목적으로 방문한 방문객에게 상기 발광부와 상기 경보음출력부가 빛을 발광 및 경보음을 출력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절도관련수배자로부터 과수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발광부와 상기 경보음출력부를 작동중지 및 상기 감지부의 객체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를 작동시키는 부분감시모드와, 불특정 다수로부터 과수원의 과수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감지부의 객체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부, 상기 경보음출력부 및 상기 카메라부 모두를 작동시키는 감시모드로 구성되고, 상기 부분감시모드가 ON상태인 경우 상기 무선송수신부는 상기 얼굴인식부가 절도관련수배자의 얼굴이미지라 판단한 상기 얼굴추출부가 추출한 얼굴이미지만을 상기 과수원 관리자의 단말기 및 과수원으로 침입한 객체를 단속하는 단속기관으로 무선송신하고, 상기 감시모드가 ON상태인 경우 상기 얼굴추출부가 추출한 얼굴이미지를 상기 과수원 관리자의 단말기 및 과수원으로 침입한 객체를 단속하는 단속기관으로 무선송신하는 모드설정부와;
상기 감지부의 객체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 상기 발광부 및 상기 경보음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원 도난방지 안전알림시스템.
A camera unit installed in an orchard land and photographing an object that has entered the orchard;
A light emitting unit for emitting light to an object penetrating into the orchard;
An alarm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alarm sound to an object invading the orchard;
A sensing unit for sensing an object penetrating into the orchard;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type of an object included in the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A face DB in which a face image of the slave related to the theft is stored;
A face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a face image from an object included in the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when the judging unit judges that the object is a person;
A face recognition unit for comparing the face image extracted by the face extraction unit and the face image stored in the face DB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is the theft-related wanderer;
A face image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a face image extracted by the face extracting unit from an image of a face image of a slave subject related to the theft,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alarm sound output unit may not emit light and alarm sound to a visitor who visits the orchard for a sightseeing purpose, and the light emission unit and the alarm sound output unit are operated to protect the fruit water from the thef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amera unit in accordance with an object detection signal of the sens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amera unit in accordance with an object detection signal of the sensing unit to protect the fruit number of the orchard from an unspecified number, When the partial monitoring mode is ON, the wireless transceiver is configured such that only the face image extracted by the face extracting unit, which is determined by the face recognizing unit as the face image of the slave related wanderer, is stored in the terminal and the fruit orchard of the orchard manager To the wireless service provider. A mode setting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facial image extracted by the face extracting unit to a regulatory agency for interrupting an object invading into a terminal or a fruit orchard of the orchard manager when the monitoring mode is 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amera unit,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alarm sound output unit according to the object detection signal of the sensing unit.
상기 판단부가 판단한 객체의 종류에 해당되는 경보음이 각각 저장되는 경보음저장DB와;
상기 경보음저장DB로부터 상기 판단부가 판단한 객체의 종류에 해당되는 경보음을 추출하는 경보음추출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경보음출력부가 상기 경보음추출부가 추출한 해당경보음을 출력하도록 상기 제어부로 상기 경보음추출부가 추출한 해당경보음을 무선송신하는 무선송신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원 도난방지 안전알림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alarm sound storing DB in which an alarm sound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object judged by the judging unit is stored;
An alarm sound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an alarm sound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object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from the alarm sound storage DB;
And a wireless transmiss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alarm sound extracted by the alarm sound extraction unit to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alarm sound output unit outputs the alarm sound extracted by the alarm sound extraction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ti-theft security alert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2059A KR101994037B1 (en) | 2018-02-23 | 2018-02-23 | Orchard security anti-theft alarm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2059A KR101994037B1 (en) | 2018-02-23 | 2018-02-23 | Orchard security anti-theft alarm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94037B1 true KR101994037B1 (en) | 2019-06-27 |
Family
ID=67057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2059A Expired - Fee Related KR101994037B1 (en) | 2018-02-23 | 2018-02-23 | Orchard security anti-theft alarm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94037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31547A (en) * | 2004-07-20 | 2006-02-02 | Mitsubishi Electric Corp | Antitheft system for crop |
KR20160133956A (en) | 2015-05-14 | 2016-11-23 | 중소기업은행 | Orchard management system |
KR20160135004A (en) * | 2015-05-14 | 2016-11-24 |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 Module-based intelligent video surveillance system and antitheft method for real-time detection of livestock theft |
KR101740714B1 (en) * | 2015-12-07 | 2017-06-09 | 설순길 | Apparatus for prohibiting steeling corp produce and repelling animals of farm and the method thereof |
KR20170089213A (en) * | 2016-01-26 | 2017-08-03 | 렉스젠(주) |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Entity |
KR20180013149A (en) * | 2016-07-28 | 2018-02-07 | (주)덕분이엔씨 | Poaching environment monitoring apparatus |
-
2018
- 2018-02-23 KR KR1020180022059A patent/KR10199403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31547A (en) * | 2004-07-20 | 2006-02-02 | Mitsubishi Electric Corp | Antitheft system for crop |
KR20160133956A (en) | 2015-05-14 | 2016-11-23 | 중소기업은행 | Orchard management system |
KR20160135004A (en) * | 2015-05-14 | 2016-11-24 |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 Module-based intelligent video surveillance system and antitheft method for real-time detection of livestock theft |
KR101740714B1 (en) * | 2015-12-07 | 2017-06-09 | 설순길 | Apparatus for prohibiting steeling corp produce and repelling animals of farm and the method thereof |
KR20170089213A (en) * | 2016-01-26 | 2017-08-03 | 렉스젠(주) |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Entity |
KR20180013149A (en) * | 2016-07-28 | 2018-02-07 | (주)덕분이엔씨 | Poaching environment monitoring apparatu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78071B1 (en) | Farms and artificial fish bank anti-thief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 |
JP4702598B2 (en) |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 |
KR101644443B1 (en) | Warning method and system using prompt situation information data | |
KR101700395B1 (en) | Security drone and mobile security system thereof | |
US20200355463A1 (en) | Public Safety Smart Belt | |
CN108275114B (en) | Oil tank anti-theft monitoring system | |
CA2840664C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apid human detection with pet immunity | |
CN111739248A (en) | Artificial intelligent Internet of things security system and control method | |
KR102499410B1 (en) | Smart alarm system for unmanned guard and method thereof | |
CN112757300A (en) | Robot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 |
US12073701B2 (en) | Public safety smart belt | |
JP2014194686A (en) | Crime prevention system | |
US11275951B2 (en) | Surveillance drone with microbots | |
KR101878309B1 (en) | Safe warning apparatus and safe warn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 |
US12027029B2 (en) | Keep out zone system | |
KR101994037B1 (en) | Orchard security anti-theft alarm system | |
KR101524922B1 (en) | 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emergency alert | |
KR101415848B1 (en) | Monitering apparatus of school-zone using detection of human body and vehicle | |
ES2686086B1 (en) | Autonomous private security system, capable of providing passive and active services and in the fight against gender violence. | |
CN106412520A (en) | Greenhouse intelligent video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 |
JP5371103B2 (en) | Reporting system, reporting device, reporting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US11155237B2 (en) | Perimeter alert defense system | |
JP2004355551A (en) | Protection system | |
CA3231774A1 (en) | Information sign unit, warn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warning system | |
KR102007955B1 (en) | Drone and system for safe returning ho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6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6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402 |